KR20240023727A - 소화액체가 포함된 인터-모듈 버스바 - Google Patents

소화액체가 포함된 인터-모듈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727A
KR20240023727A KR1020220101747A KR20220101747A KR20240023727A KR 20240023727 A KR20240023727 A KR 20240023727A KR 1020220101747 A KR1020220101747 A KR 1020220101747A KR 20220101747 A KR20220101747 A KR 20220101747A KR 20240023727 A KR20240023727 A KR 20240023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
bus bar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liquid
module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택
이원태
오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0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3727A/ko
Priority to PCT/KR2023/011798 priority patent/WO2024039133A1/ko
Priority to CN202380013397.5A priority patent/CN117897863A/zh
Priority to EP23855100.6A priority patent/EP4379947A1/en
Publication of KR20240023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는 인터-모듈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전기 전도성 금속 소재로 형성된 금속바와 금속바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는 절연체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체 내부에 소화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액체가 포함된 인터-모듈 버스바 {Inter-module busbar with digestive fluid}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는 인터-모듈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전도성 금속 소재로 형성된 금속바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절연물의 구조와 화재발생 시에 이를 소화할 수 있는 소화액체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인터-모듈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 에너지 고갈로 인한 대체에너지 개발로 인해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등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필수불가결하게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전자기기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량 증가 및 복잡화, 전기 자동차 등의 개발로 인해 요구되는 용량이 증가되고 있다. 사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소형 기기에는 다수의 전지 셀을 배치하고 있으나, 자동차 등에는 다수개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지 모듈 또는 이러한 전지 모듈을 다수 구비한 전지 팩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모듈들의 전기적 연결 수단으로는 버스바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케이블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굵기로도 대전류를 안정적으로 흘려보낼 수 있어 대전류 통전 수단으로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버스바는 전기 전도율이 좋은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안전을 위해 터미널에 연결되는 금속바의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튜브나 사출물로 피복한다.
그러나, 배터리 팩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튜브나 사출물이 소실되고 이로 인해 금속바가 외부로 노출되어 주변 금속 물체와 접촉하여 쇼트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에 강한 내열 절연체를 구비한 버스바만으로는 화염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전무한 실정이다.
아래 (특허문헌 1)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금속바(10)의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절연성과 내화성을 구비한 물질로 코팅 처리된 환형이나 띠 모양의 금속 와이어와 밴디지 부재(30A)를 함께 감싸는 절연성 튜브(20)를 마련하여 주변 금속물체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밴디지 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화재 발생에 따른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하는 구조일 뿐 근본적인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소화 수단은 전혀 개시 또는 암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14109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금속바를 둘러싸는 절연체의 내부에 소화액체를 구비하여 화재 발생시에 소화액체가 누출되어 직접 화염을 진화할 수 있는 인터-모듈 버스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는, 전기 전도성 금속 소재로 형성된 금속바와 금속바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는 절연체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체는 내부에 소화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금속바에 삽입하기 위한 홀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바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서, 상기 금속바에 삽입되는 복수의 절연체들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서, 상기 절연체는 금속바를 둘러싸는 내부 절연부과 상기 내부 절연부의 측면을 제외한 외면을 감싸는 외부 절연부로 구성되되, 상기 내부 절연부의 내부에 상기 소화액체가 투입될 공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서, 상기 소화액체가 투입될 공간은 상기 금속바와 밀착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외부절연부와 밀착되는 제2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서, 상기 소화액체가 투입될 공간은 상기 금속바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서, 상기 내부 절연부는 상기 소화액체를 투입하는 제1 주입홀과 상기 제1 주입홀을 밀봉하는 제1 밀봉캡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서, 상기 내부 절연부는 상기 소화액체를 투입하는 제1 주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절연부는 상기 제1 주입홀과 관통하는 제2 주입홀을 더 포함하고, 제1 주입홀 및 제2 주입홀을 밀봉하는 제2 밀봉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서, 상기 제1 절연층이 제2 절연층 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서, 상기 외부 절연부는 내부 절연부의 측면을 포함하는 외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서, 상기 내부 절연부는 팽창성 내열 실리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서, 상기 외부 절연부는 열에 의해 세라믹화 되는 내열 실리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서, 상기 소화액체는 절연성을 갖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 의하면, 버스바 내부에 소화액체를 포함하고 있어 화재시에 소화액체가 누출되어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 의하면, 버스바를 외부 충격이나 전기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체가 블록 단위에 제조되어 금속바의 길이만큼 삽입할 수 있어 버스바의 제조 단가 낮추고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에 의하면, 버스 내부에 구비된 소화액체를 화재의 원인과 종류에 따라 달리 주입하므로써 다양한 화재 원인과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체의 J-J 단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체의 K-K 단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연체의 K-K 단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연체의 K-K 단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연체의 K-K 단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 하부로부터의 화재시의 변형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를 결합한 일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터-모듈 버스바는 배터리 모듈들을 연결하기 위해 양단부에 체결홀(H)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금속 소재인 금속바(100)와 금속바(100)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절연체(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바(100)의 양단부 중 일단부는 어느 하나의 배터리 모듈의 (+)단자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부는 다른 배터리 모듈의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모듈의 단자들은 볼트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금속바(10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홀(H)에 끼워진 다음, 너트로 조여져 연결 부위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통전 전류의 크기에 따라 두께와 폭이 결정될 수 있고, 설치 장소 또는 설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절연체(200)는 금속바(100)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써, 전기 절연성을 유지하면서 금속바(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절연체(200)는 금속바(100) 삽입 공간(B)을 구비하고 있고, 금속바(100)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다. 절연체(200)는 금속바(100)에 쉽게 삽입되기 위해 하나의 단위 블록 형태로 구성되는데, 금속바(100)의 길이에 맞게 삽입할 절연체(200)의 개수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금속바(100)의 길이만큼 복수개의 절연체(200)를 삽입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금속바(100)는 다양한 크기와 길이를 가질 수 있고, 그때 마다 버스바는 새롭게 설계 제작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절연체(200)는 금속바(100)의 길이만큼 추가로 삽입이 가능하고, 절연체(200)의 금속바 삽입 공간(B)의 모양과 크기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버스바를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각각의 절연체(200)는 서로 인접하는 영역에 접착제(230)를 통해 상호 밀착되게 고정할 수 있어 움직임이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절연체(200)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체(200)의 J-J 단면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6은 절연체(200)의 K-K 단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절연체(200)는 금속바(100)에 삽입을 위한 홀(B), 금속바를 둘러싸는 내부 절연부(210)와 내부 절연부(210)를 둘러싸는 외부 절연부(220)로 이루어진다.
내부 절연부(210)는 도넛 형태의 구조로 금속바 삽입 공간(B)을 감싸는 안쪽 면인 제1 절연층(211)과 금속바를 둘러싸는 형태인 소화액체 주입 공간(S) 및 바깥 면인 제2 절연층(2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절연층(211)과 제2 절연층(212)은 도 5에서 분리된 것처럼 보이나 실질적으로 도 6처럼 하나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절연층(211)과 제2 절연층(212)은 동일한 두께로 구성될 수 있지만, 금속바 삽입 공간(B)을 안정되게 유지하고, 후술하겠지만 화염 발생시에 소화액체를 쉽게 외부로 누출하게 하기 위해 제2 절연층(212)을 제1 절연층(211)보다 상대적 더 얇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절연층(212)에는 소화액체를 주입하는 제1 주입홀(215)와 제1 주입홀(215)를 밀봉하기 위한 제1 밀봉캡(216)으로 구성되는 제1 주입부(214)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주입홀(215)을 통해 소화액체(213)를 주입할 수 있다. 소화액체가 주입된 이후에는 제1 밀봉캡(216)에 의해 밀봉되어 소화액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1 주입홀의 크기 및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소화액체의 주입 효율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무정형일 수 있다.
한편, 내부 절연부(210)를 구성하는 제1 절연층(211)과 제2 절연층(212)은 소화액체를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바람직하게는 내화학성과 화염에 의해 일정 이상의 온도로 상승하면 팽창되면서 용융되어 내부 소화액체가 외부로 쉽게 노출되는 특징이 있는 팽창성 난연 실리콘 재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외부 절연부(220)는 내부 절연부(210)의 외면을 감싸는 구조로서, 본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도 5 및 도 6처럼 내부 절연부(210)의 양측면을 제외한 외면을 둘러싸는 형태를 이룬다.
또한, 외부 절연부(220)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 세라믹화 되면서 작은 균열이 발생하는 내화 실리콘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일 예로, 세라믹화 내화 실리콘은 상온에서는 통상적 실리콘 수지의 성능을 나타내지만, 고온에서는 세라믹화 구조로 변환되어 세라믹 특성으로 변화하고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충격에 견딜 수 있다.
이하, 화염에 따른 절연체(200)의 자세한 형상의 변화는 도 11에서 자세히 후술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연체(200)의 K-K 단면의 수직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는 내부 절연부(210)에 소화액체를 주입한 후 제1 밀봉캡에 의해 밀봉한 후 외부 절연부(220)를 구비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소화액체를 주입할 수 없다.
반면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인터-모듈 버스바는 소화액체를 주입하기 위해 내부 절연부에 구비된 제1 주입홀(215)과 외부 절연부(225)에 구비된 제2 주입홀(225)이 하나로 관통되고 제2 밀봉캡(226)에 의해 밀봉되는 제2 주입부(224)를 포함한다.
특히, 제2 실시예는 소화액체의 주입 공간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내부 절연부(210) 및 외부 절연부(220)를 제작한 후에 추후 공정에 의해 제2 주입부(224)를 생성할 수 있어 제1 실시예이 비해 작업공정을 상대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화액체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로 절연체(200)의 제작이 가능하고 추후 용도에 따라 제2 주입부(224)로 소화액체를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연체(200)의 K-K 단면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연체(200)의 K-K 단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200)는 외부 절연부(220)가 내부 절연부(210)의 측면까지 포함하는 외면 전체(단, 금속바 삽입 공간인 B의 안쪽 면은 제외)를 모두 감싸는 구조이다.
도 9는 내부 절연부(210)에만 제1 주입부(214)를 둔 제1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제3 실시예이고, 도 10은 제2 주입부(224)를 둔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제4 실시예이다.
특히, 하나의 절연체(200)만으로 버스바를 구성할 경우에 제1,2 실시예에서는 내부 절연부(210)의 측면이 화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거나, 또는 접착제(230)로 접착된 인접한 절연체(200)간에 간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화염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 하부로부터의 화재시의 변형된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 내부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많은 열과 화염이 발생하여 인터-모듈 버스바에 구비된 절연부가 소실되어 주변부와 전기적인 쇼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전기적 쇼트는 배터리 팩 내부의 전기적 폐회로가 형성되어 팩 내부에 열폭주가 가속화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 (a)는 배터리 모듈들을 연결하는 인터-모듈 버스바의 하부에서 화염이 발생한 경우 변형이 일어나기 전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 (b)는 화염이 발생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의 버스바의 변형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 (b)를 참고하면, 화염이 발생하여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절연체(200)의 외부를 형성하는 외부 절연부(220)의 표면이 세라믹화 된다. 이와 동시에 내부 절연부(210)는 가열에 의해 팽창이 되면서, 세라믹화된 외부 절연부(220)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외부 절연부(220)의 하부 표면에 균열 틈(240)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균열 틈(240)을 통해 열을 받게 되는 내부 절연부(210)는 용융되면서 내부에 있는 소화액체(213)가 외부 절연부(220)의 균열 틈(240) 사이로 흘러나와 화염을 조기에 진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화는 물리적 소화(산소공급원, 점화에너지, 가연물 등의 제거나 차단)와 화학적 제어를 통해 연소의 연쇄반응을 억제하는 화학적 소화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은 밀폐된 배터리 팩 내부에서의 화재를 진화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본 발명에서의 소화액체(213)는 바람직하게는 절연성을 가지며, 또한 화재의 인한 연쇄반응을 억제시켜 소화하는 부촉매 효과를 이용하는 화학적 소화에 해당하는 할로겐화합물 소화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버스바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고, 또한, 화재의 원인도 다양하므로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소화액체(213)를 쉽게 채용할 수 있으므로 소화액체(213)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절연체(200)를 제작하는 방법으로 제1 절연층(211)과 제2 절연층(212) 및 제1 주입홀(214)을 포함하는 내부 절연부(210)를 사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제1 단계, 제1 주입홀(214)로 소화액체(213)를 주입하는 제2 단계, 소화액체(213)의 주입이 완료되면 제1 밀봉캡(216)으로 소화액체(213)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제3 단계, 내부 절연부(210)를 외부로 감싼 외부 절연부(220)를 형성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생성된 절연체(200)를 금속바(100)의 양단부를 제외한 길이만큼 복수개의 절연체(200)를 삽입하고 각각의 절연체들은 접착제(230)를 통해 고정하여 인터-모듈 버스바를 제작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를 제작하는 과정은 제1 실시예에서 상기의 제1 단계 이후 바로 외부 절연부(220)를 형성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하고, 이후, 제2 주입부(224)로 소화액체(213)를 주입하고 밀봉하는 단계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의 제5 단계를 통해 인터-모듈 버스바를 제작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 100: 금속바
20: 절연성 튜브
30A: 밴디지 부재
200: 절연체
210: 내부 절연부
211: 제1 절연층
212: 제2 절연층
213: 소화액체
214: 제1 주입부
215: 제1 주입홀
216: 제1 밀봉캡
220: 외부 절연부
224: 제2 주입부
225: 제2 주입홀
226: 제2 밀봉캡
230: 접착제
240: 균열 틈
H: 볼트 체결홀
S: 소화액체 주입 공간
B: 금속바 삽입 공간

Claims (14)

  1. 전기 전도성 금속 소재로 형성된 금속바;
    상기 금속바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는 절연체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체 내부에 소화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금속바에 삽입하기 위한 홀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바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바에 삽입되는 복수의 절연체들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금속바를 둘러싸는 내부 절연부과 상기 내부 절연부의 측면을 제외한 외면을 감싸는 외부 절연부로 구성되되,
    상기 내부 절연부의 내부에 상기 소화액체가 투입될 공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액체가 투입될 공간은 상기 금속바와 밀착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외부 절연부와 밀착되는 제2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액체가 투입될 공간은 상기 금속바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절연부는 상기 소화액체를 투입하는 제1 주입홀과 상기 제1 주입홀을 밀봉하는 제1 밀봉캡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절연부는 상기 소화액체를 투입하는 제1 주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절연부는 상기 제1 주입홀과 관통하는 제2 주입홀을 더 포함하고, 제1 주입홀 및 제2 주입홀을 밀봉하는 제2 밀봉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이 제2 절연층 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절연부는 내부 절연부의 측면을 포함하는 외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절연부는 팽창성 내열 실리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절연부는 팽창성 내열 실리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액체는 절연성을 갖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모듈 버스바.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터-모듈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220101747A 2022-08-16 2022-08-16 소화액체가 포함된 인터-모듈 버스바 KR20240023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747A KR20240023727A (ko) 2022-08-16 2022-08-16 소화액체가 포함된 인터-모듈 버스바
PCT/KR2023/011798 WO2024039133A1 (ko) 2022-08-16 2023-08-10 소화액체가 포함된 인터-모듈 버스바
CN202380013397.5A CN117897863A (zh) 2022-08-16 2023-08-10 包括灭火液体的模块间汇流条
EP23855100.6A EP4379947A1 (en) 2022-08-16 2023-08-10 Inter-module busbar including fire-extinguishing liqu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747A KR20240023727A (ko) 2022-08-16 2022-08-16 소화액체가 포함된 인터-모듈 버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727A true KR20240023727A (ko) 2024-02-23

Family

ID=8994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747A KR20240023727A (ko) 2022-08-16 2022-08-16 소화액체가 포함된 인터-모듈 버스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79947A1 (ko)
KR (1) KR20240023727A (ko)
CN (1) CN117897863A (ko)
WO (1) WO202403913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095A (ko)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안전성이 우수한 버스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295A (ko) * 2019-08-12 2021-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 및 방열 성능이 우수한 버스바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US11107233B2 (en) 2019-08-14 2021-08-31 Bnsf Railwa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objects
KR20210042480A (ko) * 2019-10-10 2021-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050983A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재 안전성이 우수한 버스바
DE102020111189A1 (de) * 2020-04-24 2021-10-28 Auto-Kabel Management Gmbh Kühlsystem für Stromschienen
CN216597908U (zh) * 2021-10-26 2022-05-24 恒大新能源技术(深圳)有限公司 自熔断汇流排和电池模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095A (ko)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안전성이 우수한 버스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79947A1 (en) 2024-06-05
CN117897863A (zh) 2024-04-16
WO2024039133A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487808A (zh) 能量存储系统
JP5175627B2 (ja) 二次電池
CN110828747A (zh) 动力电池热防护系统
CN108155429B (zh) 过充安全保护装置
EP3304619B1 (en) Battery connector, battery module and electric vehicle
US20230008601A1 (en) Device for break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to a battery cell in the event of outgassing
KR20210042480A (ko)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40023727A (ko) 소화액체가 포함된 인터-모듈 버스바
KR102254205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CN216597908U (zh) 自熔断汇流排和电池模组
US8251760B2 (en) Terminal for electrical resistance element
KR20240046035A (ko) 내열부재가 부가된 접속부재 어셈블리
CN219759868U (zh) 软包电芯及电池模组
CN218101148U (zh) 一种新型超温保护器
WO2023163542A1 (ko) 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및 상기 전지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40035365A (ko) 내화염성이 향상된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211125702U (zh) 动力电池的安全盖板组件及具有其的动力电池
KR20240033312A (ko) 절연층을 포함하는 인터 모듈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40047835A (ko) 방화벽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219303908U (zh) 电池模组和电池包
CN215527903U (zh) 导电排、电池模组及电池包
WO2024054098A1 (ko) 내화염성이 향상된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213584070U (zh) 电连接件以及电池包
KR20240059147A (ko) 캡 일체형 내화버스바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20230133538A (ko) 열폭주 방지를 위한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