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155B1 -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 - Google Patents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155B1
KR101929155B1 KR1020180050271A KR20180050271A KR101929155B1 KR 101929155 B1 KR101929155 B1 KR 101929155B1 KR 1020180050271 A KR1020180050271 A KR 1020180050271A KR 20180050271 A KR20180050271 A KR 20180050271A KR 101929155 B1 KR101929155 B1 KR 101929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unit
load body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권이
하대길
Original Assignee
이권이
하대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권이, 하대길 filed Critical 이권이
Priority to KR102018005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무단 진입 및 차량의 무단 진출을 방지함은 물론 출입구의 개폐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차단장치는 바닥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중량을 갖는 개폐하중체와, 개폐하중체의 일측에 이격 고정되는 구동하우징과, 개폐하중체에 결합된 상태로 구동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선회 가능한 연결부재와, 개폐하우징에 결합되고 바닥에 대하여 개폐하중체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회전되는 바퀴 및 구동하우징을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하중체를 선회시키는 개폐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BLOCKING DEVICE AND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B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무단 진입 및 차량의 무단 진출을 방지함은 물론 출입구의 개폐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주차시스템은 인력에 의해 주차권 발급 및 주차요금정산이 이루어지는 유인 주차관리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네트워크 인프라 및 주차장비 발달에 따라 주차권 발급 및 주차요금정산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종래에는 주차장 출입구에 입차시간이 기재된 주차권을 발부하기 위한 무인발권기가 설치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자원소모를 유발하고, 주차권 분실 및 주차요금 정산이 까다로운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종래의 주차장 출입구를 차단하는 차단장치에서 차단바는 일측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고, 단순한 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이 진입 또는 진출할 때, 차단바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3674호(발명의 명칭 : 복합형 주차차단장치, 2016. 10. 0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무단 진입 및 차량의 무단 진출을 방지함은 물론 출입구의 개폐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는 바닥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중량을 갖는 개폐하중체; 상기 개폐하중체의 일측에 이격 고정되는 구동하우징; 상기 개폐하중체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구동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선회 가능한 연결부재; 상기 개폐하우징에 결합되고, 바닥에 대하여 상기 개폐하중체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회전되는 바퀴; 및 상기 구동하우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개폐하중체를 선회시키는 개폐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는 바닥에 대하여 상기 개폐하중체가 지지되도록 상기 개폐하중체에 결합되는 조절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는 상기 개폐유닛과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하우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개폐하중체가 선회될 때, 상기 조절좌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연동구동부; 및 상기 개폐유닛에 포함되고, 상기 개폐하중체의 선회와 연동되어 상기 조절좌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조절좌연동유닛;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에서 구동하우징을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하중체를 선회시키는 것이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개폐구동부;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부가 끼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부; 및 상기 고정브라켓부를 상기 구동축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에서 구동하우징을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하중체를 선회시키는 것이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개폐구동부;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부; 및 상기 개폐하중체의 선회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조절좌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조절좌연동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좌연동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개폐하중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축부; 상기 구동축부의 회전력을 상기 작업축부에 전달하는 제1전달부; 및 상기 작업축부의 회전력으로 상기 조절좌를 승강 이동시키거나, 상기 작업축부의 회전력으로 상기 조절좌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전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좌연동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개폐하중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작업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작업축연동부; 및 상기 작업축연동부에서 상기 작업축부의 제한적인 아이들 회전을 구현하는 축연동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축연동유닛은, 상기 작업축부와 상기 작업축연동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작업돌부; 상기 작업축부의 제한적인 아이들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돌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작업축부와 상기 작업축연동부 중 다른 하나에 돌출되는 제한가이드부; 상기 작업축부와 상기 작업축연동부 중 다른 하나에 함몰 또는 관통되는 연동홀부; 상기 연동홀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돌부; 및 상기 작업축부와 상기 작업축연동부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기 연동돌부를 탄성 지지하는 연동탄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좌연동유닛은, 상기 작업축연동부와 상기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거나, 상기 작업축연동부와 상기 개폐하중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개폐돌부; 및 상기 개폐돌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작업축연동부와 상기 연결부재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거나, 상기 작업축연동부와 상기 개폐하중체 중 다른 하나에 함몰되는 개폐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좌연동유닛은, 상기 개폐하중체의 선회 경로를 형성하는 지지가이드부; 및 상기 작업축연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축연동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연동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에 따르면, 차량의 무단 진입 및 차량의 무단 진출을 방지함은 물론 출입구의 개폐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장치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폐하중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고정하중체가 배치됨으로써, 주차장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폐하중체와 고정하중체가 조경구조물이거나, 경계구조물이거나, 출입문 형태를 포함함으로써, 주차장 주변의 조경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좌를 통해 출입구가 닫힌 상태에서 개폐하중체의 무단 선회를 방지하고, 출입구를 안정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하중체의 선회에 따라 조절좌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출입구의 개폐를 원활하게 하고, 출입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조절좌가 바닥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축부에 연결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개폐하중체의 선회 및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좌연동유닛을 통해 한번의 개폐유닛의 동작으로 개폐하중체의 선회 동작과 조절좌의 이격 동작이 모두 이루어지도록 하고, 출입구의 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하중체의 선회 동작과 연동되어 조절좌가 승강 이동되거나 조절좌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개폐하중체가 선회할 때, 조절좌가 바닥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축연동부와 축연동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작업축부의 제한적인 아이들 회전을 구현할 수 있고, 아이들 회전에 따라 조절좌의 승강 또는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연동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작업축부의 아이들 회전을 구속할 수 있고, 구속된 상태에서 개폐하중체의 선회를 원활하게 하며, 조절좌의 승강 또는 회전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돌부와 개폐가이드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작업축부의 아이들 회전량을 증가시키거나, 작업축부의 회전을 제한하며, 개폐하중체가 선회할 때 조절좌가 바닥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가이드부와 연동지지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개폐하중체의 선회량을 제한하는 한편, 축연동유닛의 동작을 명확하게 하여 아이들 회전 구간과 회전 구속 구간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출입구의 닫힘 상태에서 조절좌가 바닥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에서 개폐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에서 출입구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에서 출입구의 열림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에서 개폐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개폐유닛에서 작업축부와 조절좌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개폐유닛에서 조절좌의 승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개폐유닛에서 조절좌의 승강에 대응하여 축연동유닛의 동작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부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사항을 설명하는 것은 도면으로 직접 표시하지 않더라도 통상의 기술자가 충분히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이고, 특유의 과제 해결 원리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 간의 유지적인 결합 관계를 나타내고, 이에 따라 본 발명만의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도 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는 중량을 갖는 개폐하중체(10)를 통해 차량(C)의 무단 진입 및 차량(C)의 무단 진출을 방지함은 물론 출입구의 개폐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는 중량을 갖는 개폐하중체(10)와, 개폐하중체(10)의 일측에 이격 고정되는 구동하우징(20)과, 개폐하중체(10)에 결합된 상태로 구동하우징(20)의 둘레를 따라 선회 가능한 연결부재(30)와, 개폐하중체(10)에 결합되는 바퀴(60)와, 구동하우징(20)을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하중체(10)를 선회시키는 개폐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하중체(10)는 바닥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바퀴(60)는 바닥에 대하여 개폐하중체(10)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회전되므로, 바닥에 대한 개폐하중체(10)의 슬라이드 이동 및 구동하우징(20)을 회전축으로 하는 개폐하중체(10)의 선회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개폐하중체(10)는 식물의 재배가 가능한 화단이나 식생블럭이 포함된 조경구조물이거나,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구조물이거나, 출입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개폐하중체(10)가 종래의 차단바와 같은 구성이라면, 차량(C)의 출입에 대해 개폐하중체(10)가 별도의 변형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개폐하중체(10)는 중량을 가지고 구동하우징(20)을 회전축으로 하여 선회하므로, 개폐하중체(1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유닛(4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종래의 차단바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보다 크지만, 바퀴(60)를 통해 회전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개폐하중체(10)의 선회를 위해 바퀴(60)가 반드시 필요하다.
단순히 종래의 차단바를 선회시키면서 바퀴(60)를 구비한다면, 차단바의 설치 높이에 한계를 나타내고, 차단바의 선회에 저항을 부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개폐하중체(10)에 바퀴(60)가 구비됨으로써, 바닥에 대한 개폐하중체(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구동하우징(20)을 회전축으로 하는 개폐하중체(10)의 선회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므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단순 결합 내지 주지 관용의 기술이라고 보기 어렵다.
개폐하중체(10)에는 사용자의 출입구 이용 여부를 표시하는 알림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하우징(20)에는 출입구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거나 출입구에 접근하는 차량(C)을 감지하는 개폐센서(21)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센서(21)의 감지에 따라 개폐유닛(40)의 동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개폐센서(21)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개폐센서(21)의 감지에 따라 후술하는 연동구동부(미도시)의 동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구동하우징(20)에는 출입구임을 표시하는 램프(22)가 구비될 수 있다. 램프(22)는 차량(C)의 출입 여부에 따라 점등될 수 있다.
연결부재(30)에는 개폐유닛(40)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축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축부(31)의 자유단부에는 후술하는 고정브라켓부(44)가 구비된다.
개폐유닛(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단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를 기준으로 한 쌍이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단장치에서 한 쌍의 개폐하중체(10)는 출입구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한 쌍의 구동하우징(20)은 한 쌍의 개폐하중체(10)에 대응하여 출입구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단장치는 출입구에 하나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단장치에서 하나의 개폐하중체(10)는 출입구에 배치되고, 하나의 구동하우징(20)은 출입구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단장치는 하나의 구동하우징(20)과 한 쌍의 개폐하중체(10)가 출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단장치에서 하나의 구동하우징(20)은 출입구의 폭 방향 중앙 부분에 배치되고, 한 쌍의 개폐하중체(10)는 출입구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구동하우징(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는 중량을 갖는 고정하중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하중체(50)는 출입구에 배치되는 개폐하중체(10)와 구동하우징(20)에 대응하여 개폐하중체(10)의 타측과 구동하우징(20)의 일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고정하중체(50)는 바닥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바닥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하중체(50)는 식물의 재배가 가능한 화단이나 식생블럭이 포함된 조경구조물이거나,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구조물이거나, 출입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는 개폐하중체(10)에 결합되는 조절좌(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좌(70)는 바닥에 대하여 개폐하중체(10)가 지지되도록 한다. 조절좌(70)는 하나 이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개폐하중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조절좌는 개폐하중체(10)의 중량에 의해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바닥에 대하여 개폐하중체(1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개폐하중체(10)를 이용한 출입구의 닫힘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는 조절좌(70)와 더불어 구동하우징(20)을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하중체(10)가 선회될 때, 조절좌(7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연동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동구동부(미도시)는 개폐하중체(10)에서 조절좌(70)를 승강 이동시키거나, 조절축부를 매개로 개폐하중체(10)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동구동부(미도시)는 개폐유닛(40)과 별도로 구비된다. 연동구동부(미도시)는 연결부재(30)와 개폐하중체(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연동구동부(미도시)가 하나의 조절좌(70)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연동구동부(미도시)는 조절좌(70)에 1:1 대응으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연동구동부(미도시)가 둘 이상의 조절좌(70)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첫째, 연동구동부(미도시)는 조절좌(70)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연동구동부(미도시)는 조절좌(70)가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와, 조절좌(70)의 승강 이동을 위해 실린더에 승강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는 조절좌(70)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된 상태에서 연결부재(30)와 개폐하중체(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동구동부(미도시)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와, 회전력을 조절좌(7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는 기어조립체, 체인과 스프로킷, 벨트와 풀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연동구동부(미도시)는 조절좌(7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연동구동부(미도시)는 개폐하중체(10)에서 조절좌(7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조절축부와, 조절축부의 회전 또는 조절좌(70)의 상하 방향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동구동부(미도시)는 회전력을 조절좌(70)에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는 출입구의 전방으로 도로가 형성되는 경우, 출입구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도로에 설치되어 출입구 측으로 진행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감지센서(미도시)는 도로에 매립되는 루프코일을 포함하거나, 도로에서 차량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감지센서(미도시)가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개폐유닛(40)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출입구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거나, 개방된 출입구에서 운전자에게 경보를 알림으로써, 출입구에서 진출하는 차량이 도로를 이동하는 차량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은 구동하우징(20)을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하중체(10)를 선회시키는 것으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개폐구동부(41)와,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부(43)와, 연결축부(31)를 매개로 연결부재(30)와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축부(43)가 끼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부(44)와, 고정브라켓부(44)를 구동축부(43)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은 구동축부(43)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개폐하중체(1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구동축부(43)와 고정브라켓부(4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키홈부와, 구동축부(43)와 고정브라켓부(44) 중 다른 하나에 돌출되어 키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키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마주보도록 구동축부(43)와 고정브라켓부(44)에 모두 키홈부가 구비되는 경우, 고정키부(45)는 상호 마주보는 키홈부에 모두 끼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은 회전력을 조절하여 구동축부(43)의 회전량을 제한하는 변속부(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은 바닥에서 이격되어 개폐구동부(41)를 지탱하는 베이스부(46)와, 구동축부(43)와 고정브라켓부(44)의 결합부위를 감싸 보호하는 고정블럭부(4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46)는 구동축부(4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은 후술하는 연동지지부(121)와 지지가이드부(4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동지지부(121)는 연결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지지가이드부(461)는 바닥 또는 베이스부(46)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개폐하중체(10)의 선회에 따라 연결부재(30)에서 연동지지부(121)가 회전되고, 회전되는 연동지지부(121)가 지지가이드부(46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면, 개폐하중체(10)에 의해 구동축부(43)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분산시켜 개폐하중체(10)의 선회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도 3과 같이 출입구가 닫힌 상태에서 차량(C)의 접근에 따라 개폐센서(21)가 차량(C)을 감지하거나 차량(C)의 진입을 위한 외부신호가 개폐유닛(40)에 입력되면, 개폐구동부(41)는 정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회전력에 의해 구동축부(43)가 정회전되며, 구동축부(43)에 고정된 연결부재(30) 및 개폐하중체(10)를 선회시킨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출입구가 개방 상태를 나타내고, 차량(C)의 출입을 허용한다. 이때, 개폐센서(21)의 감지신호, 외부신호, 개폐유닛(40)의 동작신호 중 어느 하나가 연동구동부(미도시)에 입력되면, 연동구동부(미도시)가 동작되어 조절좌(7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리고 차량(C)이 출입구를 통과한 다음에는 다시 개폐구동부(41)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회전력에 의해 구동축부(43)가 역회전되며, 구동축부(43)에 고정된 연결부재(30) 및 개폐하중체(10)를 원위치로 선회시킨다.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출입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차량(C)의 출입을 차단한다. 이때, 출입구가 닫히면, 다시 연동구동부(미도시)가 동작되어 조절좌(70)를 원위치로 이동시키고, 조절좌(70)가 바닥을 지지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차단장치는 개폐하중체(10), 구동하우징(20), 연결부재(30), 바퀴(60), 조절좌(70), 개폐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조절좌(70)는 개폐하중체(10)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개폐하중체(1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재(71)와, 조절부재(7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가압부재(72)와, 조절부재(71)를 기준으로 바닥가압부재(72)를 탄성 지지하는 가압탄성부재(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은 구동하우징(20)을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하중체(10)를 선회시키는 것으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개폐구동부(41)와,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부(43)와, 개폐하중체(10)의 선회와 연동되어 회전력에 의해 조절좌(7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조절좌연동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조절좌연동유닛(100)은 개폐하중체(10)에서 조절좌(70)를 승강 이동시키거나, 조절축부를 중심으로 개폐하중체(10)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조절좌연동유닛(100)은 구동축부(43)의 회전과 연동되어 구동축부(43)의 회전력에 의해 조절좌(7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조절좌연동유닛(100)은 연결부재(30)와 개폐하중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축부(110)와, 구동축부(43)의 회전력을 작업축부(110)에 전달하는 제1전달부(140)와, 작업축부(110)의 회전력으로 조절좌(70)를 승강 이동시키거나 작업축부(110)의 회전력으로 조절좌(7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전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축부(43)와 작업축부(110)는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전달부(140)는 작업축부(110)에 구비되는 제1베벨기어(141)와, 제1베벨기어(141)와 치합되도록 구동축부(43)에 구비되는 제2베벨기어(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전달부(140)는 구동축부(43)에 나선 형상으로 구비되는 웜과, 웜에 치합되도록 작업축부(110)에 구비되는 웜휠을 포함할 수있다.
또한, 조절좌(70)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제2전달부(150)는 작업축부(110)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152)와, 피니언기어(152)에 치합되도록 조절좌(70)에 구비되는 랙기어(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절좌(70)의 상하 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제2전달부(150)는 작업축부(110)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제1회전기어와, 제1회전기어에 치합되도록 조절좌(70)에 구비되는 제2회전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회전기어의 정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제2회전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회전기어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조절좌(7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2전달부(150)는 작업축부(110)의 회전력을 피니언기어(152) 또는 제1회전기어에 전달하는 제3전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제3전달부(160)는 작업축부(110)에 구비되는 제1기어(161)와, 제1기어(161)와 치합되도록 피니언기어(152) 또는 제1회전기어에 구비되는 제2기어(16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기어(161)의 정회전에 따라 제2기어(162)가 역회전함으로써, 작업축부(110)의 회전력을 제2전달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기어(162)와 피니언기어(152) 또는 제2기어(162)와 제1회전기어는 전달축(164)을 매개로 동축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제1기어(161)와 제2기어(162)가 이격 배치되는 경우, 제3전달부(160)는 제1기어(161)와 제2기어(162)를 연결하는 전달부재(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재(163)는 제1기어(161)와 제2기어(162)의 형태에 따라 체인 또는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1기어(161)의 정방향 회전에 대해 제2기어(162)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작업축부(110)의 회전력을 제2전달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조절좌연동유닛(100)은 연결부재(30)와 개폐하중체(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작업축부(11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작업축연동부(120)와, 작업축연동부(120)에서 작업축부(110)의 제한적인 아이들 회전을 구현하는 축연동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축연동유닛(130)은 작업축부(110)의 제한적인 아이들 회전에 대응하여 개폐하중체(10)가 선회되지 않도록 하고, 조절좌(70)만 움직일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축연동유닛(130)은 작업축부(110)와 작업축연동부(120)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작업돌부(135)와, 작업축부(110)의 제한적인 아이들 회전에 대응하여 작업돌부(135)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작업축부(110)와 작업축연동부(120)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제한가이드부(136)와, 작업축부(110)와 작업축연동부(120) 중 다른 하나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연동홀부(131)와, 연동홀부(13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돌부(132)와, 작업축부(110)와 작업축연동부(120)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연동돌부(132)를 탄성 지지하는 연동탄성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축연동유닛(130)은 연동홀부(131)가 관통 형성되는 경우, 연동탄성부(133)를 지지하기 위해 연동홀부(131)에 결합되는 탄성지지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출입구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가 되도록 개폐하중체(10)가 선회하는 동안 축연동유닛(130)에서 작업돌부(135)는 도 8의 (a)와 같이 제한가이드부(136)의 일측에서 연동돌부(132)에 의해 저지된다. 이때, 조절좌(70)는 도 7의 (a)와 같이 바닥에서 근접한 상태(바닥에서 약간 이격된 상태)가 된다. 출입구가 닫힌 상태가 되면, 작업축부(110)는 구동축부(43)의 회전력에 의해 제한가이드부(136)에 대응하여 제한적으로 아이들 회전된다. 제한적인 아이들 회전에 대응하여 작업돌부(135)가 연동돌부(132)의 일측을 가압하면, 연동돌부(132)는 연동홀부(131)에 삽입되었다가 연동탄성부(133)의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복귀하고, 작업돌부(135)는 연동돌부(132)를 지나 제한가이드부(136)의 타측으로 이동하고, 작업축부(110)의 회전을 정지한다. 이때, 조절좌(7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지지됨은 물론 가압탄성부재(73)가 압축된다. 따라서, 조절좌(70)는 개폐하중체(10)를 기준으로 바닥을 탄성 가압하고 있으므로, 출입구가 닫힌 상태에서 개폐하중체(10)를 바닥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출입구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가 되도록 구동축부(43)가 회전되면, 작업축부(110)는 구동축부(43)의 회전력에 의해 제한가이드부(136)에 대응하여 제한적으로 아이들 회전된다. 그러면, 작업돌부(135)는 제한가이드부(136)의 타측에서 제한가이드부(136)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연동돌부(132)의 타측에 지지된다. 이때, 조절좌(70)는 도 7의 (a)와 같이 바닥에서 근접한 상태(바닥에서 약간 이격된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작업축부(110)가 회전되면, 작업돌부(135)는 연동돌부(132)의 타측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구동축부(43)의 회전력에 의해 개폐하중체(10)가 선회함으로써, 출입구가 열린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출입구가 열린 상태가 되면, 작업축부(110)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작업돌부(135)는 연동돌부(132)를 지나 제한가이드부(136)의 일측에 완전히 지지되고, 작업축부(110)의 회전을 정지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조절좌연동유닛(100)은 연결부재(30) 측에 구비되는 개폐돌부(170)와 개폐가이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폐돌부(170)는 작업축연동부(120)와 연결부재(30)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개폐가이드부(180)는 개폐돌부(170)의 제한적인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작업축연동부(120)와 연결부재(30)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조절좌연동유닛(100)은 개폐하중체(10) 측에 구비되는 개폐돌부(170)와 개폐가이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폐돌부(170)는 작업축연동부(120)와 개폐하중체(10)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개폐가이드부(180)는 작업축연동부(120)와 개폐하중체(10)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된다.
그러면, 작업축연동부(120)는 연결부재(30)와 개폐하중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작업축부(110)의 제한적인 아이들 회전에 개폐가이드부(180)의 길이만큼 아이들 회전량이 증가하고, 조절좌(70)와 바닥 사이의 단차를 크게 하며, 조절좌(70)가 안정되게 바닥을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조절좌연동유닛(100)은 개폐하중체(10)의 선회 경로를 형성하는 지지가이드부(461)와, 작업축연동부(120)에 구비되어 작업축연동부(1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지지가이드부(461)를 따라 이동되는 연동지지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가이드부(461)는 베이스부(46) 또는 바닥에 구비될 수 있다. 작업축연동부(120)는 연결부재(30)와 개폐하중체(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폐하중체(10)의 선회각에 대응하여 개폐가이드부(180)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개폐돌부(170)가 개폐가이드부(18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지지되는 경우, 개폐하중체(10)의 선회각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작업축부(110)의 제한적인 아이들 회전에 대응하여 작업돌부(135)가 연동돌부(132)를 안정되게 가압하며, 연동돌부(132)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조절좌(70)가 안정되게 바닥을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11은 작업축부(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시부이다.
상술한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에 따르면, 차량(C)의 무단 진입 및 차량(C)의 무단 진출을 방지함은 물론 출입구의 개폐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차단장치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폐하중체(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고정하중체(50)가 배치됨으로써, 주차장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폐하중체(10)와 고정하중체(50)가 조경구조물이거나, 경계구조물이거나, 출입문 형태를 포함함으로써, 주차장 주변의 조경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조절좌(70)를 통해 출입구가 닫힌 상태에서 개폐하중체(10)의 무단 선회를 방지하고, 출입구를 안정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개폐하중체(10)의 선회에 따라 조절좌(7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출입구의 개폐를 원활하게 하고, 출입구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조절좌(70)가 바닥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부(43)에 연결부재(30)를 고정시킴으로써, 개폐하중체(10)의 선회 및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절좌연동유닛(100)을 통해 한번의 개폐유닛(40)의 동작으로 개폐하중체(10)의 선회 동작과 조절좌(70)의 이격 동작이 모두 이루어지도록 하고, 출입구의 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폐하중체(10)의 선회 동작과 연동되어 조절좌(70)가 승강 이동되거나 조절좌(7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개폐하중체(10)가 선회할 때, 조절좌(70)가 바닥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축연동부(120)와 축연동유닛(13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작업축부(110)의 제한적인 아이들 회전을 구현할 수 있고, 아이들 회전에 따라 조절좌(70)의 승강 또는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축연동유닛(1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작업축부(110)의 아이들 회전을 구속할 수 있고, 구속된 상태에서 개폐하중체(10)의 선회를 원활하게 하며, 조절좌(70)의 승강 또는 회전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개폐돌부(170)와 개폐가이드부(18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작업축부(110)의 아이들 회전량을 증가시키거나, 작업축부(110)의 회전을 제한하며, 개폐하중체(10)가 선회할 때 조절좌(70)가 바닥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가이드부(461)와 연동지지부(121)의 부가 구성을 통해 개폐하중체(10)의 선회량을 제한하는 한편, 축연동유닛(130)의 동작을 명확하게 하여 아이들 회전 구간과 회전 구속 구간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출입구의 닫힘 상태에서 조절좌(70)가 바닥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개폐하중체 11: 알림부 20: 구동하우징
21: 개폐센서 22: 램프 30: 연결부재
31: 연결축부 40: 개폐유닛 41: 개폐구동부
411: 변속부 43: 구동축부 44: 고정브라켓부
45: 고정키부 46: 베이스부 461: 지지가이드부
47: 고정블럭부 50: 고정하중체 60: 바퀴
70: 조절좌 71: 조절부재 72: 바닥가압부재
73: 가압탄성부재 100: 조절좌연동유닛 110: 작업축부
111: 지지부시부 120: 작업축연동부 121: 연동지지부
130: 축연동유닛 131: 연동홀부 132: 연동돌부
133: 연동탄성부 134: 탄성지지부 135: 작업돌부
136: 제한가이드부 140: 제1전달부 141: 제1베벨기어
142: 제2베벨기어 150: 제2전달부 151: 랙기어
152: 피니언기어 160: 제3전달부 161: 제1기어
162: 제2기어 163: 전달부재 164: 전달축
170: 개폐돌부 180: 개폐가이드부 C: 차량

Claims (7)

  1. 바닥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중량을 갖는 개폐하중체;
    상기 개폐하중체의 일측에 이격 고정되는 구동하우징;
    상기 개폐하중체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구동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선회 가능한 연결부재;
    상기 개페하중체에에 결합되고, 바닥에 대하여 상기 개폐하중체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회전되는 바퀴;
    상기 구동하우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개폐하중체를 선회시키는 개폐유닛; 및
    바닥에 대하여 상기 개폐하중체가 지지되도록 상기 개폐하중체에 결합되는 조절좌;를 포함하는 차단장치용 개폐유닛이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개폐구동부;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부; 및
    상기 개폐하중체의 선회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조절좌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조절좌연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좌연동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개폐하중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축부;
    상기 구동축부의 회전력을 상기 작업축부에 전달하는 제1전달부; 및
    상기 작업축부의 회전력으로 상기 조절좌를 승강 이동시키거나, 상기 작업축부의 회전력으로 상기 조절좌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장치용 개폐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좌연동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개폐하중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작업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작업축연동부; 및
    상기 작업축연동부에서 상기 작업축부의 제한적인 아이들 회전을 구현하는 축연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장치용 개폐유닛.
  3. 제1항의 개폐유닛을 포함하는 차단장치이고,
    상기 개폐유닛과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하우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개폐하중체가 선회될 때, 상기 조절좌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연동구동부; 및
    상기 개폐유닛에 포함되고, 상기 개폐하중체의 선회와 연동되어 상기 조절좌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조절좌연동유닛;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50271A 2018-04-30 2018-04-30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 KR101929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271A KR101929155B1 (ko) 2018-04-30 2018-04-30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271A KR101929155B1 (ko) 2018-04-30 2018-04-30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155B1 true KR101929155B1 (ko) 2019-03-12

Family

ID=6580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271A KR101929155B1 (ko) 2018-04-30 2018-04-30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15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2870B1 (en) * 2002-05-15 2004-12-21 Paul Jules Krivoy Barrier transporter and positioner
KR200385884Y1 (ko) * 2005-03-07 2005-06-07 어은수 주차방지용 설치구
KR100740082B1 (ko) * 2004-04-02 2007-07-16 정한선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0838618B1 (ko) * 2008-01-04 2008-06-16 주식회사 에스티일공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경사로의 차로변경유도장치
KR101064628B1 (ko) * 2010-08-19 2011-09-15 (주)삼우건설 휴대용 간이 바리케이트
KR20130023500A (ko) * 2011-08-29 2013-03-08 신민규 주차금지 표시장치
KR20140055522A (ko) * 2012-10-31 2014-05-09 하종식 차단기 겸용 바리케이드
KR101663674B1 (ko) 2014-11-04 2016-10-07 (주)인펙비전 복합형 주차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2870B1 (en) * 2002-05-15 2004-12-21 Paul Jules Krivoy Barrier transporter and positioner
KR100740082B1 (ko) * 2004-04-02 2007-07-16 정한선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0385884Y1 (ko) * 2005-03-07 2005-06-07 어은수 주차방지용 설치구
KR100838618B1 (ko) * 2008-01-04 2008-06-16 주식회사 에스티일공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경사로의 차로변경유도장치
KR101064628B1 (ko) * 2010-08-19 2011-09-15 (주)삼우건설 휴대용 간이 바리케이트
KR20130023500A (ko) * 2011-08-29 2013-03-08 신민규 주차금지 표시장치
KR20140055522A (ko) * 2012-10-31 2014-05-09 하종식 차단기 겸용 바리케이드
KR101663674B1 (ko) 2014-11-04 2016-10-07 (주)인펙비전 복합형 주차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8073A (en) Automatic sectional door opener
US4472910A (en) Integral device for garage door opener
FR2660963B1 (fr) Dispositif d'actionnement a ecrou et vis reversible et porte coulissante equipee d'un tel dispositif.
KR101165505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걸어맞춤 장치
WO2007001493A3 (en) Pivoting and barrier locking operator system
CA2505553A1 (en) Motorized locking mechanism
KR101929155B1 (ko) 차단장치와 차단장치용 개폐유닛
US20210180402A1 (en) Closure Locking System
US81001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rrier movement
US7025298B2 (en) Cable drive assembly
KR101686330B1 (ko) 셀프락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US5263281A (en) Vertically pivotal security gate
KR101658797B1 (ko)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
US6073913A (en) Hydraulic valve for a camera dolly
EP3604720A2 (en) Motorised closure system and method
IT201800009233A1 (it) Dispositivo di chiusura di pozzetti o simili
CN215212983U (zh) 传动机构、重叠门及建筑物
KR100725085B1 (ko) 견인차량의 경광등 높이 조절장치
JP2019138117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1976326B1 (ko) 차단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주차시스템의 안전장치
US71440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r fail safe condition for an automatic security gate
KR100252595B1 (ko) 자동문개폐장치
GB2344138A (en) Up-and-over door:drives for door and door bolt
WO1999002333A1 (en) Press device for processing lead frames
JP2006207789A (ja) 回転数量検出スイッチを内蔵した駆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