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131B1 -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 - Google Patents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131B1
KR101927131B1 KR1020170042155A KR20170042155A KR101927131B1 KR 101927131 B1 KR101927131 B1 KR 101927131B1 KR 1020170042155 A KR1020170042155 A KR 1020170042155A KR 20170042155 A KR20170042155 A KR 20170042155A KR 101927131 B1 KR101927131 B1 KR 10192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ressure
insertion portion
extension pip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335A (ko
Inventor
김영인
김긍구
송재승
김종욱
정경훈
유승엽
배영민
문주형
한훈식
신수재
장정봉
김석
조현준
이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킹 압둘라 시티 포 어토믹 앤드 리뉴어블 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킹 압둘라 시티 포 어토믹 앤드 리뉴어블 에너지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4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13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벽 내지 제n벽(n은 2이상인 자연수)의 다중벽을 갖는 원자로용기; 내부에 계측압력 유도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n벽 안쪽의 측정대상으로부터 압력을 전달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연장배관; 상기 제1벽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배관을 고정하는 연결노즐; 상기 연장배관의 일측에 상기 계측압력 유도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계측기와 연결되는 계측도관; 상기 연장배관의 끝에 설치되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INDUCTION APPARATUS FOR MEASURING PRESSURE AND NUCLEAR POWER PLA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벽을 통과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는 주요기기의 설치위치에 따라 주요기기(증기발생기, 가압기, 원자로냉각재펌프 임펠러 등)가 원자로용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분리형원자로(예, 상용 원자로: 대한민국)와 주요기기가 원자로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일체형원자로(예, SMART 원자로: 대한민국)로 나뉜다.
또한, 경수형 원자로는 원자로냉각재의 비등을 허용하는 비등경수로와 비등을 허용하지 않고 가압기에 의해 과냉각상태를 유지하는 가압경수로로 나뉜다.
분리형 가압경수로의 경우 가압기가 원자로용기 외부에 분리되어 별도 설치되므로, 일반적인 차압식 수위 계측기를 이용하여 가압기의 수위를 계측한다.
일체형원자로에서 가압기는 원자로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며, 원전 정상운전 중 원자로용기 내부 수위는 가압기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가압기 수위 이하의 원자로냉각재계통은 냉각수로 채워져 있다.
일체형원자로에서 가압기는 원자로용기 내부의 상부안내구조물과 원자로용기 상부 덮게 사이에 형성된다. 가압기 수위 하단은 상부안내구조물(제3 벽)에 형성되므로 차압계를 이용하여 가압기 수위를 계측하려면 원자로용기(제1 벽), 노심지지배럴(제2 벽), 상부안내구조물(제3 벽)을 통과하여 압력이 전달되어야 한다.
한편, 수위 계측기(수위계)로는 플로트식, 부력식, 차압식, 정전용량식, 퍼지식, 전도도식, 초음파식, 방사선식, 레이다식 등 다양한 형태가 상용화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이들 계측기 중에서 현재까지 원전의 격납건물과 같은 사고환경 조건에서 검증된 계측기로는 차압식 수위계가 유일하다. 차압식 수위계는 비록 온도 등 운전조건에 따른 작동 유체의 밀도가 변화를 보정해 주어야 하는 단점은 있으나, 비교적 단순한 원리로 작동하며 고압, 고온 등 운전환경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아, 공업용 프로세스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차압식 수위계는 수위가 형성되지 않는 상부와 수위가 형성되는 하부로부터 각각 압력 도관을 연결하고, 각각의 도관을 차압계와 연결하여 액체의 수위에 따른 차압 변화를 이용하여 수위를 계측한다.
원전의 경우 주기적으로 핵연료재장전 및 교체 작업과 정기적인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한다. 핵연료재장전이나 각종 유지보수 작업 시 상부안내구조물과 노심지지배럴 등은 인양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차압식 수위계는 수위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압력도관 연결해야 하므로, 다중의 벽을 갖는 구조에서도 다중 벽 안쪽까지 압력도관을 연결해야 한다. 이에 따라 원자로와 같이 핵연료의 교체나 각종 유지보수를 위해, 다중 벽과 같은 내부구조물을 분해 조립해야 하는 경우 압력도관이 간섭을 하므로 사용이 제한되고, 인양 시 압력도관이 걸려 내부구조물의 인양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전 환경에서 검증된 차압식 수위계를 일체형원자로에 적용 가능하고, 인양 시 압력도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벽 내지 제n벽(n은 2이상인 자연수)의 다중벽을 갖는 원자로용기; 내부에 계측압력 유도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n벽 안쪽의 측정대상으로부터 압력을 전달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연장배관; 상기 제1벽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배관을 고정하는 연결노즐; 상기 연장배관의 일측에 상기 계측압력 유도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계측기와 연결되는 계측도관; 상기 연장배관의 끝에 설치되는 마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제2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1삽입부를 상기 측정대상으로 안내하는 삽입부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 안내부는, 상기 제2벽에 교차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직관부; 및 상기 직관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부를 상기 직관부로 유도하는 제1확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 안내부는 상기 직관부의 타단에서 제3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확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확관부는 상기 제2벽을 통과하여 상기 제1벽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계측압력 유도유로와 상기 계측도관의 유로를 연결하는 연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홀은 상기 제1벽과 상기 제1벽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건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홀은 상기 제1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건물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벽에서 상기 제1확관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유로차단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 안내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1삽입부와 접촉 가능하게 돌출형성되는 제1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의 일측에 상기 삽입부 안내부와 접촉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1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장배관과 접촉되는 제2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벽, 연결노즐 및 연장배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접촉부가 밀착되는 제2접촉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 안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접촉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의 밀착을 위한 제1접촉부가 상기 제1접촉부 고정부와 접촉 가능하게 상기 제1삽입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1삽입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는 일부가 벤딩되어 상기 삽입부 안내부와 접촉되는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제2벽 또는 제3벽에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내부에 계측공동을 형성하는 계측공동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계측공동 구조물은 상기 측정대상의 압력을 상기 계측공동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압력전달 유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계측공동 구조물은, 상기 계측공동에 수용된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를 감싸고, 상기 계측공동의 개방부의 중심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상의 이동판; 상기 이동판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이동판을 상기 중심부로 유도하는 스프링; 및 상기 제1삽입부가 관통하는 상기 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한 개이상의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한 개이상의 고정판은, 상기 이동판 및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고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는 제2벽 또는 제3벽 분리 시 일부가 부분 인출되고, 상기 제2벽 또는 제3벽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보조 연장배관; 및 상기 보조 연장배관의 끝에 설치되는 보조 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는 제2벽 또는 제3벽 분리 시 완전 인출된 후, 상기 마감부가 닫힘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도관이 더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계측공동 구조물은 하나 이상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의 후단에 상방향으로 굽혀지게 형성되는 굽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접촉부는 제1벽 또는 연결노즐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 안내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접촉부 고정부; 및 상기 연장배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접촉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연장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삽입부는, 일단부에 제2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접촉부를 상기 제2접촉부 고정부로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의 제2접촉부를 상기 제2접촉부 고정부로 밀착시키는 제1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를 상기 제1접촉부 고정부를 향해 밀착시키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2삽입부를 상기 제2접촉부 고정부를 향해 밀착시키는 제2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는 내부에 서로 분리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압력 유도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장배관을 지지하는 벨로우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삽입부를 삽입 및 인출하는 삽입부 이송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 이송장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삽입부를 이송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벽 내지 제n벽(n은 2이상인 자연수)의 다중벽을 갖는 원자로용기;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압력 유도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n벽 안쪽의 측정대상으로부터 압력을 전달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벽에 설치되는 연결노즐; 상기 연결노즐의 일측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압력 유도유로와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고, 계측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도관; 상기 연결노즐의 끝에 설치되는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노즐, 계측도관 및 마감부는 상기 제1벽과 상기 제1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는 건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원자로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벽 내지 제n벽(n은 2이상인 자연수)의 다중벽을 갖는 원자로용기; 상기 원자로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기; 상기 가압기의 압력 및 수위를 계측하는 계측기; 상기 가압기로부터 압력을 상기 계측기로 유도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 압력 유도 장치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압력 유도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벽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기로부터 압력을 전달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연장배관; 상기 제1벽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배관을 고정하는 연결노즐; 상기 연장배관의 일측에 상기 계측압력 유도유로와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고, 계측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도관; 상기 연장배관의 끝에 설치되는 마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전은, 노심을 구비하고,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벽 내지 제n벽(n은 2이상인 자연수)의 다중벽을 갖는 원자로용기; 상기 원자로용기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노심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 상기 증기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계통; 상기 증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터빈계통; 상기 원자로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기; 상기 가압기의 압력 및 수위를 계측하는 계측기; 상기 가압기로부터 압력을 상기 계측기로 유도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 압력 유도 장치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압력 유도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벽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기로부터 압력을 전달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연장배관; 상기 제1벽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배관을 고정하는 연결노즐; 상기 연장배관의 일측에 상기 계측압력 유도유로와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고, 계측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도관; 상기 연장배관의 끝에 설치되는 마감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이용하여 다중 벽이 설치된 조건에서도 측정하고자 하는 내부(예, 가압기)의 압력을 계측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계측 압력 유도 장치는 검증이 용이한 비교적 단순한 기술이다.
셋째, 원자력 및 일반산업계에서 검증된 차압식 수위계를 일체형원자로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개념을 도출하였다.
넷째, 단일 계측 압력 유도 장치로부터 다수의 계측도관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계측 계통을 단순화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구비한 일체형원자로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로서, 도 2는 원전의 정상운전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가 원자로용기의 다중벽을 관통하도록 조립된 개념도이고, 도 3은 유지 보수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가 부분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4는 유지 보수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가 완전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로서, 도 5는 원전의 정상운전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가 원자로용기의 다중벽을 관통하도록 조립된 개념도이고, 도 6은 유지 보수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가 부분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7은 유지 보수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가 완전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로서, 도 8은 원전의 정상운전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가 원자로용기의 다중벽을 관통하도록 조립된 개념도이고, 도 9는 유지 보수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가 부분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0은 유지 보수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가 완전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0b에서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1b는 도 21a에서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로서, 도 24는 제1삽입부가 삽입부 이송장치에 의해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고, 도 25는 제1삽입부가 삽입부 이송장치에 의해 인출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를 구비한 일체형원자로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를 보여주는 개념도로서, 도 2는 원전의 정상운전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가 원자로용기(10)의 다중벽을 관통하도록 조립된 개념도이고, 도 3은 유지 보수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가 부분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4는 유지 보수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가 완전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원전은 원자로용기(10), 노심(15), 증기발생기(16), 원자로냉각재펌프(17), 급수계통(18), 터빈계통(20)및 가압기(22)를 포함한다.
원자로용기(10)는 원자로의 외형을 형성한다. 일체형 원자로의 경우 원자로용기(10)는 제1벽(11) 내지 제n벽의 다중벽(11,12,1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말한다. 여기서 원자로용기(10)는 제1벽(11)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2벽(12)에서 제n벽으로 갈수록 원자로용기(10)의 내부공간으로 향하여 가깝게 배치된다. 노심지지배럴은 제2벽(12)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부안내구조물은 제3벽(13)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부안내구조물의 가압기(22) 부분에 습식단열재가 설치될 수 있다. 습식단열재는 제4벽(14)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제5벽 이상의 벽이 존재할 수도 있다.
노심(15)은 원자로용기(10) 내의 하부 중심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핵연료봉을 장전하여 핵분열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증기발생기(16)는 일차계통과 이차계통의 경계에 배치된다. 증기발생기(16)는 원자로용기(10)의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증기발생기(16)는 고온의 원자로냉각재와 저온의 급수를 열교환시켜 원자로냉각재계통의 열을 냉각하도록 구성된다. 급수계통(18)과 증기발생기(16) 사이에 급수관이 연결되고, 급수관에 격리밸브(19)가 설치되어, 격리밸브(19)가 개방됨에 따라 급수가 급수계통(18)으로부터 증기발생기(16)로 공급될 수 있다.
터빈계통(20)은 증기발생기(16)에서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계통이다. 터빈계통(20)은 증기의 유체에너지를 기계적에너지로 변환하는 터빈과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로 구성된다. 터빈계통(20)과 증기발생기(16) 사이에는 증기관이 연결되고, 증기관에 격리밸브(19)가 설치되어, 격리밸브(21)가 개방됨에 따라 증기가 증기발생기(16)에서 터빈계통(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원자로냉각재펌프(17)는 원자로용기(10) 내부의 원자로냉각재를 강제 순환시킨다. 이에 의해, 노심(15)에서 가열된 고온의 원자로냉각재는 노심지지배럴을 따라 상승하고, 상부안내구조물과 노심지지배럴 사이의 유로를 따라 노심지지배럴과 원자로용기(10)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원자로냉각재펌프(17)의 동력에 의해 노심지지배럴과 원자로용기(10) 사이로 유입된 원자로냉각재는 증기발생기(16)로 공급되어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 후 노심(15)의 하부로 다시 공급되어 순환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일체형 원자로에서 가압기(22)는 원자로용기(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원전의 정상운전 중 원자로용기(10)의 수위는 가압기(22)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가압기(22) 수위 이하의 원자로냉각재계통은 원자로냉각재(냉각수)로 채워져 있다. 가압기(22)는 원자로용기(10) 내부의 상부안내구조물과 원자로용기(10)의 상부 덮개 사이에 형성된다. 가압기(22)의 수위 하단은 상부안내구조물(제3벽(13))에 형성되므로, 차압계를 이용하여 가압기(22)의 수위를 계측하려면 가압기(22) 내부의 압력이 상부안내구조물(제3벽(13)), 노심지지배럴(제2벽(12)), 원자로용기(제1벽(11))를 통과하여 외부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원전 환경에서 검증된 차압식 수위계를 일체형원자로에 적용하기 위한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를 제공한다.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는 제1삽입부(110), 삽입부 안내부(120), 계측 공동 구조물(130), 연장배관(140), 연결노즐(160), 마감부(170)를 포함한다.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는 다중벽(11,12,13,14)을 관통하도록 원자로용기(10)에 장착되어 가압기(22) 내부의 압력을 원자로용기(10)의 바깥까지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제1삽입부(110)는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곳으로부터 압력을 전달해 가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제1삽입부(110)의 일측 단부는 개방되고, 제1삽입부(110)의 타측 단부는 막혀 있다. 제1삽입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 단부로 연장되는 계측압력 유도유로(111)가 제1삽입부(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원전의 정상 운전 시 원자로용기(10)의 내부까지 삽입되어 가압기(22)의 수위 계측이 가능하며, 가압기(22) 내부의 압력은 계측압력 유도유로(111)를 따라 제1벽(11)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계측압력 유도유로(111)는 측정하고자 하는 곳의 압력을 제1벽(11)의 외부로 전달하는 유로이다. 계측압력 유도유로(111)의 타측 단부에 연결홀(114)이 형성되어, 연결홀(114)을 통해 계측도관(150)의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홀(114)은 조립 공차를 고려하여 계측도관(150)의 유로 직경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삽입부(110)는 원전의 유지 보수 시에는 원자로용기(10) 바깥으로 인출되어 제2벽(12) 내지 제4벽(14) 등 내부구조물의 인양이 용이하다.
삽입부 안내부(120)는 제2벽(12)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삽입부(110)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삽입부 안내부(120)는 직관부(121)와 제1확관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직관부(121)는 제2벽(12)을 관통하거나 제2벽(12)의 전후면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삽입부 안내부(120)는 직관부(121)가 제2벽(12)의 전후면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모습을 보여준다. 직관부(121)는 제1삽입부(110)를 계측 공동(131)으로 유도한다. 제1확관부(122)는 앞부분이 제1벽(11)을 향하여 확대된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삽입부(110)의 삽입 시 삽입부 안내부(120)의 중심부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 시 공차 또는 설치 오차에 의해 제1삽입부(110)와 삽입부 안내부(120)의 중심이 맞지 않는 경우에 제1확관부(122)를 이용해 제1삽입부(110)를 삽입부 안내부(120)의 중심부로 유도할 수 있다. 제1확관부(122)는 원자로냉각재펌프(17)의 우회유량이 크지 않도록 유로 간극이 형성된다.
계측 공동 구조물(130)은 제2벽(12) 또는 제3벽(13)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계측 공동 구조물(130)은 제3벽(13)에 설치된다. 계측 공동 구조물(130)은 삽입부 안내부(120)의 설치 없이도 가압기(22) 내부의 압력전달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제3벽(13) 및 제4벽(14)을 관통하여 제3벽(13)으로부터 가압기(22) 안쪽으로 연장된다. 제2벽(12)에 삽입부 안내부(120)가 설치되었으나, 제3벽(13) 및 제4벽(14)에는 삽입부 안내부(120)를 설치하지 않고 계측 공동 구조물(130)을 설치하여 삽입부 안내부(120)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계측 공동 구조물(130)은 복수의 압력전달 유로구(132)를 구비하고 내부에 계측 공동(131)을 형성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곳(가압기(22) 등)의 압력을 계측 공동(131)으로 유도한다. 계측 공동 구조물(130)은 제2벽(12)을 향하여 개방되어 제1삽입부(110)의 단부를 계층공동에 위치시켜 압력을 계측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계측 공동(131)은 삽입부 안내부(120)보다 더 큰 구조로도 구성 가능하므로, 제1삽입부(110)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다. 측정하고자 하는 곳의 압력을 전달받으면서도 큰 우회유량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 및 개수의 압력전달 유로구(1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측 공동 구조물(130)의 개방부에 돌출부(133)가 형성되어 제1삽입부(110)와 계측 공동 구조물(130)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 함으로써 계측 공동(131)으로 우회유량의 유동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벽(11)에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연장배관(140)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노즐(160)이 제1벽(11)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연결노즐(160)은 파손확률을 줄여 주기 위해 두께를 증가시켜 강화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배관(140)은 연결노즐(160)의 일측 단부로부터 건물(180)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어, 제1삽입부(110)의 안내, 계측도관(150)의 연결, 제1삽입부(110)의 삽입 및 인출, 마감부(170)의 연결 등을 위해 형성된다. 연장배관(140)은 계측압력 유도유로(111)와 연통되는 연통홀(140a)을 구비한다. 연통홀(140a)은 계측도관(150)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계측도관(150)은 일측이 연통홀(140a)과 연결되고 타측이 차압계, 압력계, 또는 수위계 등의 계측기(151)와 연결되어 차압, 압력 또는 수위를 계측할 수 있다. 연장배관(140) 상의 계측도관(150)의 연결위치는 적용 조건에 따라 제1벽(11)과 건물(180) 사이에 제1벽(11)과 가깝게 하거나 내부 건물(180) 안쪽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계측도관(150)은 제1벽(11)과 건물(180) 사이에 설치된다. 계측도관(150)은 압력계 또는 차압계 또는 차압식 수위계 등에 연결하기 위해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로부터 압력을 전달해 가는 배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도관(150)이 한 개의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장배관(14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도관(150)이 연결될 수 있다.
연장배관(140)의 내부에는 제2접촉부(112)가 구비되어 계측 공동(131) 이외의 공간으로부터 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접촉부(112)의 위치는 제1벽(11) 또는 연결노즐(160) 또는 연장배관(140)까지 설치할 수 있다. 제1벽(11) 또는 연결노즐(160) 등 원자로용기(10)에 제2접촉부(112)를 가깝게 설치하는 이유는 연장배관(140)의 파단 시 틈새유로를 통한 방출유량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제2접촉부(112)는 제1삽입부(1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거나 상기 일측으로부터 제1삽입부(110)의 끝단까지 일정한 두께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2접촉부(112)는 제1삽입부(110)의 일측으로부터 마감부(170)를 향해 제1삽입부(110)의 끝단까지 일정한 두께로 돌출 형성된다. 제2접촉부(112)는 연장배관(14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연장배관(140)과 제1삽입부(110) 사이의 간극을 밀봉할 수 있다. 제2접촉부(112)의 일측은 연결홀(114)에서 제1벽(11)을 향해 연장되고 제2접촉부(112)의 타측은 제1삽입부(110)의 타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마감부(170)는 연장배관(140)의 끝에 설치되어, 제1삽입부(110)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로부터 유체가 방출되는 것을 제한한다. 마감부(170)는 마감부 바디(171)와 덮개(172)로 구성될 수 있다. 마감부 바디(171)의 내부에 관통홀과 수용홀이 형성된다. 관통홀은 제1삽입부(110)의 단부가 관통되고, 수용홀은 관통홀을 통해 관통된 제1삽입부(110)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홀은 관통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수용홀에 수용된 제1삽입부(110)의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너트(113)가 체결됨에 따라 제1삽입부(110)가 너트(113)에 의해 관통홀에서 제1벽(11)을 향해 이탈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덮개(172)는 수용홀을 덮도록 마감부 바디(171)의 일측면에 볼트 등으로 체결되어, 제1삽입부(110)를 구속할 수 있다. 마감부(170)는 건물(18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건물(180)은 제1벽(11)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마감부(170)가 건물(180) 내부에 설치될 경우, 제1벽(11), 즉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원자로용기(10)와 떨어진 곳에서 삽입부의 삽입 및 인출, 마감부(170) 조립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 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원전의 정상 운전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는 제1삽입부(110)가 제1 내지 제n벽을 갖는 다중벽(11,12,13,14)을 관통하도록 원자로용기(10)에 장착되고, 연결도관에 수위 계측기(151)가 연결되어, 가압기(22) 등 수위를 계측할 곳으로부터 계측 공동 구조물(130)의 계측 공동(131), 제1삽입부(110)의 계측압력 유도유로(111), 연결홀(114), 연통홀(140a) 및 계측도관(150)를 따라 수위 계측기(151)로 가압기(22)의 압력이 전파된다. 이에 의해, 수위계측기(151)는 전파된 압력을 이용하여 가압기(22)의 수위 등을 계측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원전의 유지 보수 시 제1삽입부(110)를 제2 내지 제4벽(12,13,14)으로부터 제1벽(11)을 향해 부분적으로 인출한 후 마감부(170)를 재조립할 수 있다.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는 보조 연장배관(141) 및 보조 마감부(1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보수 시 보조 연장배관(141) 및 보조 마감부(1412)는 건물(180) 내부에 배치되어 제1삽입부(110)의 부분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보조 연장배관(141)의 일측에 플랜지 형태의 덮개부(1411)가 구비되고, 타측에 보조 마감부(1412)가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1411)는 부분 인출된 제1삽입부(110)의 일부를 수용하며 마감부(170)의 수용부를 덮도록 마감부(170)에 볼트(173)로 체결된다. 보조 연장배관(141)은 부분 인출된 제1삽입부(110)를 감싸도록 덮개부(141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보조 마감부(1412)는 마감부(170)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1삽입부(110)의 구속을 위해 마감부(170)의 수용부에 구비되어 제1삽입부(110)의 단부에 체결되었던 너트(113)는 보조 마감부(1412)의 수용부에 수용된 제1삽입부(110)의 단부에 체결된 후 보조 마감부(1412)에 덮개(172)가 수용부를 덮도록 볼트(173)로 체결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원전의 유지 보수 시 제1삽입부(110)를 제2 내지 제4벽(12,13,14)으로부터 제1벽(11)의 외부로 완전 인출한 후 마감부(170)를 재조립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연장배관(141) 및 보조 마감부(1412)는 불필요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삽입부(110)는 제2 내지 제4벽(14)으로부터 인출되어 분리되어, 제2 내지 제4벽(12,13,14)을 인양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유지 보수 중에도 연장배관(140) 및 계측도관(150)은 제1벽(11) 및 건물(180) 사이에 배치되고, 수위계측기(151)가 계측도관(150)에 연결되어 제1벽(11) 내부의 수위를 계측할 수 있다.
가압기(22)는 원자로의 압력을 제어하는 매우 중요한 기기이며, 가압기(22)의 수위는 원자로 운전 및 안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하면, 첫째, 원전 정상 운전 중에도 제1삽입부(110)를 삽입하여 압력을 계측하거나 또는 이를 이용하여 수위를 계측하고, 원전의 정지 시에는 제1삽입부(110)를 인출하여, 핵연료의 교체 작업을 위한 내부구조물의 인양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둘째, 일체형원자로와 같이 다중벽이 설치된 경우에도 계측 공동(131) 및 연장배관(140)등을 활용하여 제1삽입부(110)의 인출 및 삽입 작업이 매우 용이하므로, 가압기(22)의 압력이나 수위를 원활히 계측할 수 있다.
셋째, 이미 검증된 차압식 수위계를 일체형원자로의 수위계로 활용할 수 있어, 신규 수위계 개발에 소요되는 경제적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기술은 원전뿐만 아니라 일반 산업계의 차압식 수위계 설치가 어려운 조건에서 활용 가능하며, 기타 압력계 등 다른 용도로도 활용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200)를 보여주는 개념도로서, 도 5는 원전의 정상운전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200)가 원자로용기(10)의 다중벽을 관통하도록 조립된 개념도이고, 도 6은 유지 보수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200)가 부분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7은 유지 보수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200)가 완전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도 2 내지 도 4)와 대비할 때 삽입부 안내부(220)에 제2확관부(223)가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확관부(223)는 제2벽(12)을 관통하여 직관부(221)의 일측 끝에서 제3벽(13)을 향해 돌출되게 연장되고, 제2확관부(223)의 외주면은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제2확관부(223)의 내주면은 직경이 제3벽(13)을 향해 점점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삽입부(110)와 삽입부 안내부(220) 사이의 간극을 통해 원자로냉각재의 우회유량이 형성되는 경우에 유속이 빠른 유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확관부(223)는 유동을 서서히 팽창시켜 계측 공동(131)으로 큰 유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타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300)를 보여주는 개념도로서, 도 8은 원전의 정상운전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300)가 원자로용기(10)의 다중벽을 관통하도록 조립된 개념도이고, 도 9는 유지 보수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300)가 부분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0은 유지 보수 시 계측 압력 유도 장치(300)가 완전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도 2 내지 도 4)와 비교할 때 계측도관(350) 및 계측기(151)가 건물(180) 내부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건물(180) 내부에 계측도관(350) 및 계측기(151)를 설치할 경우에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원자로용기(10)에서 이격된 건물(180) 내부에서 제1삽입부(110)의 인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원전의 경우 제1삽입부(110)의 인출 및 삽입 시 계측기(151)의 환경 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제2접촉부(112)는 제1벽(11)의 관통부 내에 위치하여 연장배관(340)의 파단 시 연장배관(340)과 제1삽입부(110) 사이의 틈새유로를 통한 방출유량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4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유동 차단 구조물(424)이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유동 차단 구조물(424)은 제1벽(11) 내지 제3벽(13) 중 어느 하나의 벽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은 제1벽(11)에 유동 차단 구조물(424)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유동 차단 구조물(424)은 제1확관부(122)를 향해 돌출되게 연장되어 제1벽(11)의 관통부를 관통하는 제1삽입부(110)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동 차단 구조물(424)은 제1벽(11)의 관통부를 중심에 두고 관통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동 차단 구조물(424)의 내주면은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유동 차단 구조물(424)의 외측면은 제2벽(12)을 향해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벽(11)과 제2벽(12) 사이의 유동이 유동 차단 구조물(424)에 의해 제1삽입부(110)의 밖으로 분산되게 함으로써, 유동에 의해 제1삽입부(110)가 받을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기타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5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제5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삽입부 안내부(520)의 직관부(521) 내주면에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1접촉부(5211)가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접촉부(5211)는 계측 공동(131)으로 삽입되는 제1삽입부(110)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접촉부(5211)는 제1삽입부(110)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틈새유로를 통한 우회유량을 제한할 수 있다. 기타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6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제6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제1삽입부(6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삽입부 안내부(120)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615)가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접촉부(615)의 기능은 제5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접촉부(615)는 제1삽입부(110)가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다는 점에서 제5실시예와 다르다. 기타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 또는 제5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7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제7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삽입부 안내부(720)에 제2확관부(723)가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확관부(723)의 기능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나, 제2확관부(723)는 제2실시예의 제2확관부(723)보다 길이가 더 증가되어 우회 유동을 더 확산시켜 계측 공동(131)의 유동 영향을 더 완화시킬 수 있다. 제2확관부(723)는 제2벽(12)을 통과하여 제1벽(11)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다르다. 기타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8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제8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연장배관(84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접촉부 고정부(842)가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삽입부(110)의 제2접촉부(112)를 제2접촉부 고정부(842)에 밀착시켜 계측 공동(131) 이외의 유로로부터 받을 수 있는 유동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프링(874)이 마감부(870)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제1스프링(874)은 제1삽입부(110)의 단부와 덮개(872) 사이에 배치되어, 제1삽입부(110)를 밀어줌으로써 제2접촉부(112)를 제2접촉부 고정부(842)로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9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제9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제1삽입부(110)에 제2접촉부(912)가 부분적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삽입부(110)의 단부가 제2접촉부(912)는 제1벽(11)의 관통부에 위치하여 연장배관(140)의 파단 시 틈새유로를 통한 방출유량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10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제10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제1삽입부(110)에 벤딩되게 형성되는 벤딩부(1015)가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1삽입부(110)의 단부가 계측 공동의 내부에 수용될 때 벤딩부(1015)는 삽입부 안내부(120)의 내주면과 적어도 1곳 이상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11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제11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계측 공동 구조물(1130) 내부에 이동판(1134), 고정판(1135) 및 스프링(1136)이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동판(1134)은 삽입부 안내부(120)와 같이 앞부분이 제2벽(12)을 향해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판(1134)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판(1134)의 외주면은 축방향으로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이동판(1134)의 내주면은 반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판(1134)의 내부에는 제1삽입부(110)가 관통할 수 있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관통홀의 직경은 제1삽입부(110)가 이동판(1134)의 제1관통홀을 관통할 때 이동판(1134) 중앙의 제1홀과 제1삽입부(110)의 간극을 최소화하도록 제1삽입부(110)의 직경보다 약간 크거나 같다.
고정판(1135)은 계측 공동 구조물(1130)의 내부에 설치되고 고정판(1135)의 일부는 이동판(1134)과 접촉되어 이동판(1134)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판(1135)은 계측 공동 구조물(113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판(1134)의 배면에 배치되거나 이동판(1134)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은 고정판(1135)이 이동판(1134)의 배면에만 설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고정판(1135)의 내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어, 제2관통홀을 통해 제1삽입부(110)가 관통될 수 있다. 제2관통홀은 제2관통홀보다 직경이 크다.
스프링(1136)은 이동판(1134)을 탄성 지지하도록 계측 공동 구조물(1130)과 이동판(113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1136)은 이동판(1134)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프링(1136)은 계측 공동 구조물(1130) 내부의 사방 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삽입부(110)가 이동판(1134)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될 때 스프링(1136)의 압축 또는 팽창으로 이동판(1134)이 이동하여 제1삽입부(110)와 이동판(1134)의 중앙이 맞추어질 수 있다. 또한 이동판(1134)의 관통홀과 제1삽입부(110)의 간극이 최소화되어 계측 공동으로의 유동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12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제1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굽힘부(1216)가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굽힘부(1216)는 제1삽입부(110)의 끝단에서 굽힘 가능하게 연장될 수 있다. 굽힘부(1216)는 연장배관(140)으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곡선 형태로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배관(140)은 상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된 굽힘부(1216)를 수용하기 위해 굽힘부(1216)의 형상을 따라 건물(180) 내부로 길이가 더 연장될 수 있다. 추가로 연장되는 연장배관(1241)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연결 플랜지(171)에 의해 제1벽(11)과 건물(180) 사이에 위치하는 연장배관(14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플랜지는 볼트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마감부(170)는 제1벽(11)과 건물(180) 사이에 위치하는 연장배관(140)보다 기설정 높이로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수평 형태의 제1삽입부(110)는 계측 공동(131)으로부터 인출될 경우에 수위를 삽입부(110) 이하까지 낮추어 인출 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요구 특성에 따라 굽힘부(1216)를 설치하면, 제1벽(11) 내부의 수위를 낮추지 않고도 제1삽입부(110)의 부분 인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0b는 도 20a에서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1b는 도 21a에서 B 부분 확대도이다.
제1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할 때 제2삽입부(1317)가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삽입부(1317)는 제1삽입부(1310)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삽입부(1317)는 제1삽입부(1310)의 다른 일측 단부를 감싸도록 제1삽입부(1310)의 외주면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접촉부 고정부(13211) 및 제1접촉부(1318)와, 제2접촉부 고정부(1342) 및 제2접촉부(13171)를 동시에 구비할 경우에 제작 공차 또는 온도 팽창 등으로 제1 및 제2접촉부(1318,13171) 중 어느 하나의 접촉부는 상대물인 제1 및 제2접촉부 고정부(13211,1342)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삽입부(1317)를 별도로 삽입하여 제2접촉부(112)를 제2접촉부(112) 고정부로 밀착시킬 수 있다. 제2접촉부(112)를 밀착시키기 위해 마감부(170)의 수용부에 제2스프링(137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접촉부 고정부(13211)는 삽입부 안내부(1320)의 직관부(1321) 내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촉부(1318)는 제1접촉부 고정부(13211)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제1삽입부(110)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촉부 고정부(1342)는 연장배관(140)의 내주면 일측에 연장배관(1340)의 두께방향으로 건물(180)의 관통부와 중첩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촉부(13171)는 제2접촉부 고정부(1342)와 접촉 가능하도록 제2삽입부(1317)의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삽입부(1317)의 다른 일측 단부에 직경이 크게 형성된 헤드부(13172)가 형성될 수 있다.
계측기(151)와 연결을 위한 계측도관(150)은 건물(18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연통홀(1340a)은 계측도관(150)의 유로와 연통되도록 연장배관(1340)에 형성되고, 제1삽입부(1310)에 제1연결홀(1314)이 형성되고, 제2삽입부(1317)에 제2연결홀(13173)이 형성된다. 연통홀(140a), 제1 및 제2연결홀(1314,13173)은 제1삽입부(1310)의 직경방향으로 상호 중첩되게 배치되고, 계측압력 유도유로(1311)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연통홀(1340a)은 계측도관(150)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제1연결홀(1314)은 조립공차 등을 고려하여 연통홀(140a)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제2연결홀(13173)은 제1연결홀(1314)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프링(1374)은 제1삽입부(1310)와 덮개(172) 사이에 배치되고 제1삽입부(1310)를 연장배관(14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접촉부를 제1접촉부 고정부(13211)로 밀착시킬 수 있다. 제2스프링(1375)은 제2삽입부(1317)와 덮개(172) 사이에 배치되고 제2삽입부(1317)를 연장배관(134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제2접촉부(112)를 제2접촉부(13171) 고정부로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접촉부(1318,13171)는 제1 및 제2스프링(1374,1375) 등의 외력에 의해 제1 및 제2접촉부 고정부(13211,1342) 중 적어도 하나에 밀착될 수 있다. 기타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14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1b는 도 21a에서 B 부분 확대도이다.
제14실시예는 제13실시예와 대비할 때 한 개의 제1삽입부(1410)에 복수의 계측기(151)를 연결하기 위해 상호 독립된 계측압력 유도유로(1411)를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유도관(14111,14112)이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복수의 유도관(14111,14112)은 제1 및 제2유도관(14111,14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삽입부(110)의 내부에 분리벽(14113)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유도관(14111,14112)이 분리벽(14113)에 의해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되어, 서로 분리된 두 개의 계측압력 유도유로(141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삽입부(110)의 일측 단부에 입구홀이 상호 분리된 두 계측압력 유도유로(1411)와 연통되게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고, 제1유도관(14111)의 상부와 제2유도관(14112)의 하부에 출구홀이 제1 및 제2계측도관(150)과 계측압력 유도유로(1411)를 각각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삽입부(1410)를 복수개로 설치하지 않고도 독립적인 계측이 가능하다. 기타 구성요소는 제13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15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제15실시예는 제14실시예와 대비할 때 건물(180)의 외측에 설치되어 연장배관(140)을 지지하는 벨로우즈(1581)가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벨로우즈(1581)는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주름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배관(140)은 벨로우즈(1581)의 중공부를 관통하고, 벨로우즈(1581)의 일측은 건물(180)에 지지되고, 벨로우즈(1581)의 타측은 제1삽입부(110)의 일부를 감싸며 제1삽입부(1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벨로우즈(1581)는 건물(180)의 관통부에 대한 밀봉 및 연장배관(140)의 온도 팽창 등에 의한 변위를 흡수할 수 있다. 기타 구성요소는 제14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16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제16실시예는 제14실시예와 대비할 때 연결노즐(1660)에 마감부(170)를 직접 설치하거나, 짧은 연장배관을 이용하여 제1벽(11)과 건물(180) 사이에 마감부(170)를 설치하여 제1삽입부(1610)를 짧게 할 수 있다. 기타 구성요소는 제14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계측 압력 유도 장치(1700)를 보여주는 개념도로서, 도 24는 제1삽입부(1710)가 삽입부 이송장치(1790)에 의해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고, 도 25는 제1삽입부(1710)가 삽입부 이송장치(1790)에 의해 인출된 모습을 보여준다.
제17실시예는 제14실시예와 대비할 때 삽입부 이송장치(179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삽입부 이송장치(1790)는 하우징(1791), 구동부(1792), 동력전달부(1793) 및 종동부(1794)를 포함하여, 제1삽입부(1710)가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791)은 연결노즐(160)에서 건물(180)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우징(1791)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792)는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1793)는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종동부(1794)는 제1삽입부(110)의 후단에서 나선형 또는 톱니형 태로 연장될 수 있다. 종동부(1794)는 동력전달부(1793)와 접촉 또는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1793)와 종동부(1794)는 예를 들면 각각 피니언과 랙의 결합 구조로 구성되어 구동부(1792)가 구동됨에 따라 종동부(1794)가 계측 공동(131)을 향해 전진하거나 건물(180)을 향해 후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삽입부(110)의 해체 없이도 모터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부(1792) 및 동력전달부(1793)를 작동시켜 제1삽입부(110)를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다. 기타 구성요소는 제14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원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10 : 원자로용기 11 : 제1벽
12 : 제2벽 13 : 제3벽
14 : 제4벽 15 : 노심
16 : 증기발생기 17 : 원자로냉각재펌프
18 : 급수계통 19 : 격리밸브
20 : 터빈계통 21 : 격리밸브
22 : 가압기 23 : 계측기
100,200,300,400,500,600,700,800,900,1000,1100,1200,1300,1400,1600,1700 : 계측 압력 유도 장치
110 : 제1삽입부 111 : 계측압력 유도유로
14111 : 제1계측압력 유도유로
14112 : 제2계측압력 유도유로
112,912 : 제2접촉부 113 : 너트
114,1314 : 연결홀 1015 : 벤딩부
1216 : 굽힘부 1317,1417 : 제2삽입부
13171 : 제2접촉부 1318,1418,1518,1618 : 제1접촉부
120,220,1320 : 삽입부 안내부
121,221,521,721,1321 : 직관부
5211 : 제1접촉부 13211,14211,15211,16211 : 제1접촉부 고정부
122,222,522,722,1322 : 제1확관부
223,723 : 제2확관부 324 : 유동 차단 구조물
130 : 계측 공동 구조물 131 : 계측 공동
132 : 압력전달 유로구 133 : 돌출부
1134 : 이동판 1135 : 고정판
1136 : 스프링 140 : 연장배관
140a : 연통홀 141,1241 : 보조 연장배관
1411,12411 : 덮개부 1412,12412 : 보조 마감부
842,1342 : 제2접촉부 고정부
150 : 계측도관 1451 : 제1계측도관
1452 : 제2계측도관 151 : 계측기
160,1660 : 연결노즐 170 : 마감부
171 : 마감부 바디 172 : 덮개
173 : 볼트 874,1374 : 제1스프링
1375 : 제2스프링 180 : 건물
1581 : 벨로우즈 1790 : 삽입부 이송장치
1791 : 하우징 1792 : 구동부
1793 : 동력전달부 1794 : 종동부

Claims (36)

  1.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벽 내지 제n벽(n은 2이상인 자연수)의 다중벽을 갖는 원자로용기;
    내부에 계측압력 유도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n벽 안쪽의 측정대상으로부터 압력을 전달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연장배관;
    상기 제1벽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배관을 고정하는 연결노즐;
    상기 연장배관의 일측에 상기 계측압력 유도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계측기와 연결되는 계측도관;
    상기 연장배관의 끝에 설치되는 마감부;
    를 포함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1삽입부를 상기 측정대상으로 안내하는 삽입부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안내부는,
    상기 제2벽에 교차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직관부; 및
    상기 직관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삽입부를 상기 직관부로 유도하는 제1확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안내부는 상기 직관부의 타단에서 제3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확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확관부는 상기 제2벽을 통과하여 상기 제1벽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계측압력 유도유로와 상기 계측도관의 유로를 연결하는 연결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은 상기 제1벽과 상기 제1벽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건물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은 상기 제1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벽에서 상기 제1확관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유로차단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안내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1삽입부와 접촉 가능하게 돌출형성되는 제1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의 일측에 상기 삽입부 안내부와 접촉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1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12.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장배관과 접촉되는 제2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 연결노즐 및 연장배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접촉부가 밀착되는 제2접촉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안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접촉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의 밀착을 위한 제1접촉부가 상기 제1접촉부 고정부와 접촉 가능하게 상기 제1삽입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1삽입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일부가 벤딩되어 상기 삽입부 안내부와 접촉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제2벽 또는 제3벽에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내부에 계측공동을 형성하는 계측공동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계측공동 구조물은 상기 측정대상의 압력을 상기 계측공동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압력전달 유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공동 구조물은,
    상기 계측공동에 수용된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를 감싸고, 상기 계측공동의 개방부의 중심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상의 이동판;
    상기 이동판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이동판을 상기 중심부로 유도하는 스프링; 및
    상기 제1삽입부가 관통하는 상기 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한 개이상의 고정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이상의 고정판은,
    상기 이동판 및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고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제2벽 또는 제3벽 분리 시 일부가 부분 인출되고,
    상기 제2벽 또는 제3벽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보조 연장배관; 및
    상기 보조 연장배관의 끝에 설치되는 보조 마감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제2벽 또는 제3벽 분리 시 완전 인출된 후, 상기 마감부가 닫힘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도관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공동 구조물은 하나 이상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의 후단에 상방향으로 굽혀지게 형성되는 굽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2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는 제1벽 또는 연결노즐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26. 제2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안내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접촉부 고정부; 및
    상기 연장배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접촉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연장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삽입부는,
    일단부에 제2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접촉부를 상기 제2접촉부 고정부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2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의 제2접촉부를 상기 제2접촉부 고정부로 밀착시키는 제1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를 상기 제1접촉부 고정부를 향해 밀착시키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2삽입부를 상기 제2접촉부 고정부를 향해 밀착시키는 제2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내부에 서로 분리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압력 유도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배관을 지지하는 벨로우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를 삽입 및 인출하는 삽입부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이송장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삽입부를 이송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34.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벽 내지 제n벽(n은 2이상인 자연수)의 다중벽을 갖는 원자로용기;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압력 유도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n벽 안쪽의 측정대상으로부터 압력을 전달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벽에 설치되는 연결노즐;
    상기 연결노즐의 일측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압력 유도유로와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고, 계측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도관;
    상기 연결노즐의 끝에 설치되는 마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노즐, 계측도관 및 마감부는 상기 제1벽과 상기 제1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는 건물 사이에 배치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35.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벽 내지 제n벽(n은 2이상인 자연수)의 다중벽을 갖는 원자로용기;
    상기 원자로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기;
    상기 가압기의 압력 및 수위를 계측하는 계측기;
    상기 가압기로부터 압력을 상기 계측기로 유도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 압력 유도 장치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압력 유도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벽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기로부터 압력을 전달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연장배관;
    상기 제1벽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배관을 고정하는 연결노즐;
    상기 연장배관의 일측에 상기 계측압력 유도유로와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고, 계측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도관;
    상기 연장배관의 끝에 설치되는 마감부;
    를 포함하는 일체형 원자로.
  36. 노심을 구비하고,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벽 내지 제n벽(n은 2이상인 자연수)의 다중벽을 갖는 원자로용기;
    상기 원자로용기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노심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
    상기 증기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계통;
    상기 증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터빈계통;
    상기 원자로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기;
    상기 가압기의 압력 및 수위를 계측하는 계측기;
    상기 가압기로부터 압력을 상기 계측기로 유도하는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 압력 유도 장치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압력 유도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다중벽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기로부터 압력을 전달하는 제1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연장배관;
    상기 제1벽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배관을 고정하는 연결노즐;
    상기 연장배관의 일측에 상기 계측압력 유도유로와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고, 계측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도관;
    상기 연장배관의 끝에 설치되는 마감부;
    를 포함하는 원전.
KR1020170042155A 2017-03-31 2017-03-31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 KR10192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155A KR101927131B1 (ko) 2017-03-31 2017-03-31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155A KR101927131B1 (ko) 2017-03-31 2017-03-31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335A KR20180111335A (ko) 2018-10-11
KR101927131B1 true KR101927131B1 (ko) 2018-12-11

Family

ID=6386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155A KR101927131B1 (ko) 2017-03-31 2017-03-31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1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622B1 (ko) * 2020-07-14 2021-12-21 한국원자력연구원 재장전수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일체형 원자로
KR102638288B1 (ko) * 2023-04-03 2024-02-19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5077A (ja) 2007-07-06 2009-04-09 Toshiba Corp 原子炉内計測用配管の固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定工法
JP2016057107A (ja) 2014-09-08 2016-04-21 株式会社Ihi 観測機器挿入装置取付け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5077A (ja) 2007-07-06 2009-04-09 Toshiba Corp 原子炉内計測用配管の固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固定工法
JP2016057107A (ja) 2014-09-08 2016-04-21 株式会社Ihi 観測機器挿入装置取付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335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0920B2 (en) Steam generator for nuclear steam supply system
KR101630428B1 (ko) 핵증기 공급계통
US11031146B2 (en) Method for heating a primary coolant in a nuclear steam supply system
EP2320139B1 (en) Heat transfer tube of a steam generator for sodium cooled fast reactor
KR101927131B1 (ko)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
CN107250664B (zh) 用于反应堆设备的卧式蒸汽发生器
CN103608623B (zh) 用于蒸汽发生器的防振动管支撑板布置
KR102211463B1 (ko) 계측기 관통 플랜지를 갖는 원자로에 연료를 보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7289032B2 (ja) 上昇式熱交換器を備えた原子炉
RU2503071C2 (ru) Реактор на быстрых нейтронах
JP2010066191A (ja) 中間熱交換器及び高速増殖炉プラント
CA2678972C (en) Reflector system of fast reactor
KR20220098791A (ko) 일체형 원자로(실시예)
JP4794149B2 (ja) 炉心を含む原子炉圧力容器内に核燃料集合体を支持するための装置
CN116844742A (zh) 基于干井与移动式换热器的核供热堆、供热系统
JPH052959B2 (ko)
CN104428079A (zh) 管道长度调整设备及方法
JP4769836B2 (ja) 高速増殖炉型原子力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ポンプ組込型中間熱交換器
JP2023508471A (ja) 沸騰水型原子炉用パッシブ格納容器冷却システム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4660125B2 (ja) 電磁ポンプ内蔵型中間熱交換器
JP2011242169A (ja) 高速炉の炉内構造
CN115762822A (zh) 气冷堆热传输系统
KR790001198B1 (ko) 원자력 증기 발생장치
JPS625280B2 (ko)
JPH08334583A (ja) 原子炉の固有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