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288B1 -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288B1
KR102638288B1 KR1020230043710A KR20230043710A KR102638288B1 KR 102638288 B1 KR102638288 B1 KR 102638288B1 KR 1020230043710 A KR1020230043710 A KR 1020230043710A KR 20230043710 A KR20230043710 A KR 20230043710A KR 102638288 B1 KR102638288 B1 KR 102638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containment vessel
piping
measurem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수
김우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3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3Remote inspection of vessels, e.g. pressure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00Reactor types
    • G21C1/32Integral reactors, i.e. reactors wherein parts function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but not essential to the reaction, e.g. heat exchangers, are disposed inside the enclosure with the cor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격납용기 외부에 계측기가 구비된 계측기실을 마련하고, 격납용기 내부의 공정 변수 계측 지점과 격납용기 외부의 계측기실에 마련된 계측기를 감지관으로 연결하는 공정 계측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PROCESS MEASUREMENT SYSTEMS FOR LIGHT WATER SMALL MODULAR REACTORS}
본 발명은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변수를 계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수형 원자로는 원자로 내 핵연료인 우라늄이 핵분열을 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냉각재인 물(냉각수)로 전달하여 증기를 생산하고 그 증기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의 원자로이다.
원자로 내에서 물을 끓여 증기를 직접 생산하는 방식의 경수로를 비등경수로라 하며, 원자로 내부를 가압하여 물이 끓는 것을 방지하고 증기발생기를 이차계통으로 분리시켜 증기를 생산하는 형태를 가압경수로라 한다.
소형모듈원자로(Small Modular Reactors, SMR)란 원자로모듈의 공장 생산이 가능하며 전기 출력이 300MWe 미만인 원자로이다. 특히 대형 원전과 달리 노심, 증기발생기, 가압기, 냉각재펌프 등 원자로를 구성하는 주요기기들이 하나의 원자로 압력용기 내에 배치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원자로를 말한다.
소형모듈원자로는 주요기기들을 하나의 원자로 압력용기 내에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대형 원전에서 주요 기기들 간을 연결하는 연결 배관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대형 원전에서 가장 심각한 사고로 고려되어 왔던 배관파단사고를 근원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므로 대형 원전 대비 안정성이 크게 개선된 원자로이며, 경제성과 유연성 측면에서도 장점을 갖는다.
한편 주요기기들을 하나의 원자로 압력용기 내에 집약하고 소형화함에 따라 새로이 해결해야할 과제도 있다. 그중 하나가 공정 계측 시스템 구축이다.
원전에서 사용되는 공정(process) 변수는 압력, 유량, 수위, 온도로 분류할 수 있다.
대형 원전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대형 원전의 경우 격납건물 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공정 계측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서 공정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계측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공정과 계측기 사이에는 방사선 차폐 벽을 두어 계측기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반면 소형모듈원자로의 경우 원자로용기(Reactor Vessel, RV)와 격납용기(Containment Vessel, CV)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계측기를 공정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설치하거나, 공정과 계측기 사이에 충분한 차폐 시설을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런데 계측기를 구성하는 전자 부재는 방사능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원자로용기와 격납용기 사이에 설치되는 계측기는 고 방사능과 고온의 영향으로 정밀한 계측을 담보할 수 없다.
또한 고 방사능과 고온의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계측기는 열 노화 가속 등으로 수명이 단축되며, 원자로용기와 격납용기 사이의 협소한 공간은 수명을 다한 계측기의 교체와 보수 또한 어렵게 한다.
이러한 공정 계측 시스템 구축의 어려움은 원자로가 다른 기계, 기구, 시설 등과 달리 고도로 정밀하게 제어 되어야 하며, 정밀하게 제어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통상적인 사고의 피해와 견줄 수 없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에 있어서 정밀한 계측이 가능하고, 계측기의 유지와 보수가 편리한 공정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은 구성으로 노심, 가압기, 증기발생기 및 냉각재펌프를 포함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와 상기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를 내장하여 방사능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측에 제1관통부를 포함하는 격납용기와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압력계측기를 구비하는 계측기실과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압력계측지점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압력계측용탭 및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압력계측기와 상기 압력계측용탭을 연결하며, 상기 압력계측지점과 연통되어 상기 압력계측지점의 압력을 상기 압력계측기에 전달하는 도압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도압관은,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압력계측용탭에 연결되고, 제1하향경사를 가지며 상기 압력계측용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1배관부와,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1배관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연속하고, 제2하향경사를 가지며 상기 제1관통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2배관부와,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제1-2배관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압력계측기와 연결되는 제1-3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향경사는 수평으로부터 1.2° 이상의 각도로 하향하는 경사이며, 상기 제2하향경사는 수평으로부터 85° 이하의 각도로 하향하는 경사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하향경사는 수평으로부터 1.2° 내지 4.5°의 각도로 하향하는 경사이며, 상기 제2하향경사는 수평으로부터 80° 내지 85°의 각도로 하향하는 경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3배관부는 상기 제1관통부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폐쇄 작동 시 상기 제1-2배관부와 상기 제1-3배관부를 격리하는 제1-2차단밸브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은 구성으로, 노심, 가압기, 증기발생기 및 냉각재펌프를 포함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와 상기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를 내장하여 방사능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측에 제1관통부를 포함하는 격납용기와 상기 격납용기 외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수위계측기를 구비하는 계측기실과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수위계측지점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1수위계측용탭과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수위계측지점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수위계측지점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2수위계측용탭과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수위계측기와 상기 제1수위계측용탭을 연결하며, 상기 제1수위계측지점과 연통되어 상기 제1수위계측지점의 압력을 상기 수위계측기에 전달하는 제1수위계측용감지관 및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수위계측기와 상기 제2수위계측용탭을 연결하며, 상기 제2수위계측지점과 연통되어 상기 제2수위계측지점의 압력을 상기 수위계측기에 전달하는 제2수위계측용감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수위계측용감지관은,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수위계측용탭에 연결되는 제2-1배관부와,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제2-1배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수위계측기와 연결되는 제2-2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수위계측용감지관은,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2수위계측용탭에 연결되는 제3-1배관부와,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제3-1배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수위계측기와 연결되는 제3-2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1배관부는, 일 지점에 상기 제2-1배관부와 연통하며 상기 제1수위계측용탭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수위계측지점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응축시키는 제1응축수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2배관부는 상기 제1관통부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폐쇄 작동 시 상기 제2-1배관부와 상기 제2-2배관부를 격리하는 제2-2차단밸브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고, 상기 제3-2배관부는 상기 제1관통부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폐쇄 작동 시 상기 제3-1배관부와 상기 제3-2배관부를 격리하는 제3-2차단밸브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경수형 소형원자로모듈 공정 계측 시스템은 구성으로 노심, 가압기, 증기발생기 및 냉각재펌프를 포함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와 상기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를 내장하여 방사능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측에 제1관통부를 포함하는 격납용기와 상기 격납용기 외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유량계측기를 구비하는 계측기실과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유량계측지점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1유랑계측용탭과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유량계측지점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유량계측지점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2유량계측용탭과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유량계측기와 상기 제1유량계측용탭을 연결하며, 상기 제1유량계측지점과 연통되어 상기 제1유량계측지점의 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량계측용감지관과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유량계측기와 상기 제2유량계측용탭을 연결하며, 상기 제2유량계측지점과 연통되어 상기 제2유량계측지점의 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량계측용감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유량계측용감지관은,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유량계측용탭에 연결되는 제4-1배관부와,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제4-1배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유량계측기와 연결되는 제4-2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유량계측용감지관은,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2유량계측용탭에 연결되는 제5-1배관부와,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제5-1배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유량계측기와 연결되는 제5-2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1배관부는 일 지점에 상기 제4-1배관부와 연통하며, 상기 제1유량계측지점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응축시키는 제2응축수포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1배관부는 일 지점에 상기 제5-1배관부와 연통하며, 상기 제2응축수포트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유량계측지점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응축시키는 제3응축수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4-2배관부는 상기 제1관통부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폐쇄 작동 시 상기 제4-1배관부와 상기 제4-2배관부를 격리하는 제4-2차단밸브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고, 상기 제5-2배관부는 상기 제1관통부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폐쇄 작동 시 상기 제5-1배관부와 상기 제5-2배관부를 격리하는 제5-2차단밸브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은 구성으로 노심, 가압기, 증기발생기 및 냉각재펌프를 포함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와 상기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를 내장하여 방사능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측에 제1관통부를 포함하는 격납용기와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접속함을 구비하는 계측기실과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온도계측지점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온도계측용노즐과 상기 온도계측용노즐에 연결되며,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 값이 달라지는 측온저항체와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측온저항체와 상기 접속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측온저항체의 저항 값 변화에 관한 전기신호를 상기 접속함에 전송하는 미네랄 절연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측온저항체를 둘러싸서 상기 측온저항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 및 결합 관계에 따라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에 있어서, 공정 변수의 정밀하고 원활한 계측이 가능한 계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계측기의 피폭으로 인한 고장이나 수명 감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지와 보수에 있어서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변수를 엄밀하게 제어하여 운영할 수 있으므로, 원자로의 안정성이 크게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압력을 계측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수위를 계측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하다",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서 기재된 특징(예를 들어 기능,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감지관"은 측정 공정 변수(예를 들어, 압력, 수위, 유량, 온도일 수 있다)를 계측기에 전달하는 통로(관)로 이해하여야 하며, 동일 의미를 도압관, 센싱라인, 튜빙라인, 임펄스라인으로도 표현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압력을 계측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변수를 계측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압력을 계측하기 위한 공정 계측 시스템의 일 실시 예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를 우선 설명하면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단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노심(130)을 내장하는 하부용기(110)와 반구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부용기(110)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용기(120)가 소형모듈원자로의 원자로용기(Reactor Vessel, RV)를 구성한다.
원자로용기의 내부에는 핵분열을 수행하여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노심(130)이 내장되며, 노심(130)은 하부용기(110) 내부에서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내부격벽(111)으로 둘러 쌓여 하부용기(110)의 중심에 하부용기(11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부용기(120)에는 가압기(140)가 노심(130)과 중심을 맞추어 위치한다. 가압기(140)는 원자로용기의 내부를 채우는 일차냉각재(물)가 끓지 않도록 포화증기압을 조절하여 원자로용기 내부의 압력을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내부격벽(111)과 하부용기(110) 사이에는 증기발생기(150)가 구비된다. 증기발생기(150)는 하부용기(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튜브로 에워싼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증기발생기(150)의 일측은 하부용기(110)의 외주면에 마련된 공급유로(113)와 연통되어 이차냉각재가 유입되고, 유입된 이차냉각재는 원자로용기 내부를 채우는 일차냉각재(물)과 열교환을 수행한 후 증기가 되어 하부용기(110)의 외주면에 마련된 배출유로(112)와 연통된 타측으로 배출된다.
증기발생기(150)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증기는 원자로용기 외부에 마련된 터빈을 돌려 전력을 생산한다.
상부용기(120) 또는 원자로용기의 외주면에는 냉각재펌프(160)가 구비되며, 냉각재펌프(160)는 원자로용기 내부의 일차냉각재(물)를 강제로 순환시켜 노심(130)의 열을 증기발생기(150)로 전달한다.
소형모듈원자로는 원자로용기를 둘러싸는 격납용기(200)에 의해 밀폐된다. 격납용기(200)는 소형모듈원자로(100)를 내장하여 방사능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소형모듈원자로(100)와 이를 둘러싸는 격납용기(200)는 설치 장소에서 모듈화격벽(300)으로 구획된 단위 공간 안에 격리된 상태를 단위체로하여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위 공간은 물로 채워 방사능의 누출을 추가적으로 방지하며, 격납용기(200)의 과열을 식힌다.
다음으로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의 공정 계측 시스템은 공정 변수 중 하나인 압력을 정밀하고 편리하게 측정하기 위해 격납용기(200) 외부에 계측기실(400)(Transmitter Room)을 마련하여 압력계측기(500)를 설치하고, 격납용기(200) 내부의 압력계측지점에는 압력계측용탭(510)을 마련하며, 상기 압력계측용탭(510)과 계측기실(400)의 압력계측기(500)를 도압관(520)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구성을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전술한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는 노심(130), 가압기(140), 증기발생기(150) 및 냉각재펌프(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격납용기(200)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를 둘러싸 내장하여 방사능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격납용기(200)의 일측에는 제1관통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통부(210)에는 격납용기(200)를 관통하는 구멍이 마련되어 도압관(520)이 제1관통부(210)를 통해 격납용기(200) 내부의 압력계측용탭(510)과 격납용기(200) 외부의 압력계측기(5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제1관통부(210)는 도압관(520)이 통과하되, 이외의 물질이나 방사능이 누출되지 않도록 방수, 내고온, 내방사선 특성을 고려한 봉인(sealing) 처리가 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격납용기(200)는 모듈화격벽(300)으로 구획된 단위 공간 안에 격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계측기실(400)은 모듈화격벽(30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모듈화격벽(300)에는 제2관통부(31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관통부(310)에는 모듈화격벽(300)을 관통하는 구멍이 마련되어 도압관(520)이 제2관통부(310)를 통해 모듈화격벽(300) 내부의 압력계측용탭(510)과 모듈화격벽(300) 외부의 압력계측기(5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제1관통부(210)와 마찬가지로 제2관통부(310)는 도압관(520)이 통과하되, 이외의 물질이나 방사능이 누출되지 않도록 방수, 내고온, 내방사선 특성을 고려한 봉인 처리가 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계측기실(400)은 격납용기(200) 또는 모듈화격벽(300)의 외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압력계측기(500)를 구비할 수 있다.
계측기실(400)은 격납용기(200) 또는 모듈화격벽(300)과 충분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거나, 격납용기(200)(또는 모듈화격벽(300))와의 사이에 추가적인 방사능 차폐 시설(예를 들어, 방사선 차폐 벽일 수 있다)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압력계측기(500)에는 신호선(L)이 연결될 수 있으며, 신호선(L)은 원격지의 제어설비(미도시)에 압력계측기(500)의 계측 정보를 전달한다.
다음으로 압력의 계측을 위해, 격납용기(200)의 외주면 또는 격납용기(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압력계측지점에는 압력계측용탭(510)이 설치될 수 있다.
우선 압력의 계측이 필요한 지점을 살피면, 가압기(140)의 압력, 증기발생기(150)의 압력, 원자로용기 내부의 압력 또는 격납용기(200) 내부의 압력(예를 들어, 격납용기(200)와 원자로용기 사이의 압력일 수 있다)일 수 있다.
압력계측용탭(510)은 압력계측지점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도압관(520)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압력계측지점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압력계측지점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가압기(140)의 압력을 계측하는 경우 압력계측용탭(510)은 가압기(14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압기(14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스크류 결합, 플랜지 결합 또는 용접 등을 할 수 있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가압기(14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가압기(14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격납용기(200)와 원자로용기 사이의 압력을 계측하는 경우 압력계측용탭(510)은 격납용기(20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격납용기(20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스크류 결합, 플랜지 결합 또는 용접 등을 할 수 있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가압기(14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가압기(14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압관(520)은 제1관통부(210)(또는 모듈형격벽이 있는 경우 제1관통부(210)와 제2관통부(310))를 통해 압력계측용탭(510)과 압력계측기(500)를 연결하며, 압력계측용탭(510)에 마련된 관통공을 통해 압력계측지점 내부와 연통되어 압력계측지점 내부의 압력을 압력계측기(500)에 전달하는 관이다.
압력측정지점 내부의 유체는 도압관(520)을 통해 압력계측기(500)에 도달하며, 압력계측기(500)와 압력측정지점의 압력이 같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압관(520)은 제1-1배관부(520a), 제1-2배관부(520b) 및 제1-3배관부(52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배관부(520a)는 격납용기(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압력계측용탭(510)에 연결되고, 압력계측용탭(510)으로부터 제1하향경사를 가지며 연장된다. 제1하향경사란 수평(또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하향하는 경사로 이해될 수 있다.
제1-1배관부(520a)는 압력계측지점으로부터 도압관(520)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도입부이며, 압력계측지점에 따라 액체와 기체 상태의 유체가 혼재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하향경사를 주어 밀도가 높은 액체 상태의 유체만이 압력계측기(500)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가압경수로형 소형모듈원자로에 있어서, 가압기(140)는 유일하게 비등이 가능한 지점으로 상부는 기체 상태일 수 있다. 가압기(140)의 압력을 정밀하게 계측하기 위해서는 액체 상태의 일차냉각재(물)만이 압력계측기(500)에 도달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제1-1배관부(520a)는 제1하향경사를 포함하여, 기체 상태의 일차냉각재(물)는 다시 가압기(140) 내부로 배출하고 밀도가 높은 액체 상태의 일차냉각재(물)만이 압력계측기(500)에 도달하도록 한다.
제1-1배관부(520a)에 있어서 제1하향경사는 경사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수직 방향으로 하향하며 연장되는 길이의 비로 표현할 때, 48:1 이상의 비율로 하향하는 경사일 수 있다.
또는 각도로 환산하여 제1하향경사는 수평(또는 수평면)으로부터 하방으로 1.2° 이상의 각도를 이루며 하향하는 경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수직 방향으로 하향하며 연장되는 길이의 비로 표현할 때, 48:1 내지 12:1의 비율로 하향하는 경사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평(또는 수평면)과 하방으로 1.2° 내지 4.5°의 각도를 이루며 하향하는 경사일 수 있다.
제1-1배관부(520a)는 제1-1차단밸브(53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1차단밸브(530a)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의 비정상 운전 시 또는 도압관(520)의 유지와 보수가 필요할 때, 방사능 물질이 제1-1배관부(520a)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원자로냉각재압력경계(Reactor Coolant Pressure Boundary, RCPB)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1차단밸브(530a)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압력계측용탭(51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제1-2배관부(520b)는 격납용기(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제1-1배관부(520a)의 타단에 연결되어 연속하고, 제2하향경사를 가지며 제1관통부(210)를 향해 연장된다. 제1-2배관부(520b)는 제1관통부(210)에서 제1-3배관부(520c)와 연결된다.
제1-2배관부(520b)는 제1-1배관부(520a)에서 모두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는 기체 상태의 일차냉각재(물)을 제거하기 위해 제2하향경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하향경사는 수평(또는 수평면)과 하방으로 85° 이하의 각도를 이루며 하향하는 경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부터 하방으로 80° 내지 85°의 각도를 이루며 하향하는 경사일 수 있다.
제1-3배관부(520c)는 격납용기(200)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제1관통부(210)(또는 모듈형격벽을 포함하는 경우 제1관통부(210)와 제2관통부(310))를 통해 제1-2배관부(520b)와 연결되며, 타단은 압력계측기(500)와 연결된다.
제1-3배관부(520c)는 제1-2차단밸브(530b)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제1-2차단밸브(530b)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의 비정상 운전 시 또는 도압관(520)의 유지와 보수가 필요할 때, 방사능 물질이 제1-2배관부(520b)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원자로냉각재압력경계(Reactor Coolant Pressure Boundary, RCPB)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2차단밸브(530b)는 폐쇄 작동 시 제1-2배관부(520b)와 제1-3배관부(520c)를 격리할 수 있도록 제1관통부(21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2차단밸브(530b)의 적어도 하나(특히, 제1관통부(210)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1-2차단밸브(530b))는 원격지에서 제어하거나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의 운전 상태(예를 들어 비정상 운전 상태 일 수 있다)에 맞추어 자동으로 폐쇄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밸브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3배관부(520c)는 압력계측기(500)에 인접한 위치에 제1-3차단밸브(530c)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1-3차단밸브(530c)는 압력계측기(500)를 교체하거나,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의 비정상 운전 시 또는 도압관(520)의 유지와 보수가 필요할 때, 방사능 물질이 제1-3배관부(520c)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원자로냉각재압력경계(Reactor Coolant Pressure Boundary, RCPB)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수위를 계측하기 위한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포함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되, 동일한 부호로 표기된 구성은 동일한 구조, 기능, 작용 및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된 구성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수위를 계측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에 있어서 공정 변수 중 하나인 수위를 정밀하고 편리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격납용기(200) 외부에 계측기실(400)을 마련하여 수위계측기(600)를 설치하고, 격납용기(200) 내부의 수위계측지점에는 수위계측용탭을 마련하며, 상기 수위계측용탭과 계측기실(400)의 수위계측기(600)를 수위계측용감지관(620, 650)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구성을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전술한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는 노심(130), 가압기(140), 증기발생기(150) 및 냉각재펌프(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를 내장하여 방사능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납용기(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모듈화격벽(300)을 더 포함하여 구획된 단위 공간 안에 격납용기(200)가 격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격납용기(200)는 제1관통부(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듈화격벽(300)은 제2관통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통부(210)와 제2관통부(310)로 후술할 수위계측용감지관(620, 650)이 통과하여 격납용기(200) 내부의 수위계측용탭(610, 640)과 격납용기(200)(또는 모듈화격벽(300)) 외부의 수위계측기(600)를 연결한다.
제1관통부(210)와 제2관통부(310)는 수위계측용감지관(620, 650)을 통과시키되, 이외의 물질이나 방사능이 누출되지 않도록 방수, 내고온, 내방사선 특성을 고려한 봉인(sealing) 처리가 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계측기실(400)은 격납용기(200) 또는 모듈화격벽(300)의 외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수위계측기(600)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계측기실(400)과 마찬가지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수위계측기(600)는 차압식 수위계측기(600)일 수 있다.
차압식 수위계측기(600)는 액체 상태의 유체가 일정 수위로 채워진 밀폐 용기에서 액체 부분의 압력과 기체 부분의 압력 값 차이로 수위를 측정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액체 상태의 유체와 기체 상태의 유체가 공존하여 수위의 계측이 필요한 지점을 살피면, 가압기(140)의 수위, 원자로용기 내부의 수위 또는 격납용기(200) 내부의 수위(예를 들어, 격납용기(200)와 원자로용기 사이의 수위일 수 있다)일 수 있다.
다음으로 차압식 수위 계측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격납용기(200)의 외주면 또는 격납용기(200)의 내부에는 기체 상태의 유체가 들어찬 부분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1수위계측지점과 제1수위계측지점의 하부에 액체 상태의 유체가 들어찬 부분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2수위계측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수위계측지점에는 제1수위계측용탭(610)이 설치되어 후술할 제1수위계측감지관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제1수위계측지점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제1수위계측지점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2수위계측지점에는 제2수위계측용탭(640)이 설치되어 후술할 제2수위계측용감지관(650)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제2수위계측지점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제2수위계측지점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가압기(140)에는 일차냉각재(물)가 일정 수위로 차 있으며, 제1수위계측지점은 가압기(140)의 상부에 기체로 채워진 부분에 설정되어 제1수위계측지점이 위치하는 가압기(140)의 외주면에 제1수위계측용탭(610)이 설치되며, 제2수위계측지점은 가압기(140)의 하부에 일차냉각재로 채워진 부분에 설정되어 제2수위계측지점이 위치하는 가압기(140)의 외주면에 제2수위계측용탭(640)이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격납용기(200)와 원자로용기 사이의 수위를 계측하는 경우 제1수위계측지점은 격납용기(200)의 상부에 기체로 채워진 부분에 설정되어 제1수위계측지점이 위치하는 격납용기(200)의 외주면에 제1수위계측용탭(610)이 설치되며, 제2수위계측지점은 격납용기(200)의 하부에 냉각수로 채워진 부분에 설정되어 제2수위계측지점이 위치하는 격납용기(200)의 외주면에 제2수위계측용탭(640)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차압식 수위 계측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제1수위계측용감지관(620)과 제2수위계측용감지관(6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위계측용감지관(620)은 제1관통부(210)(또는 제1관통부(210)와 제2관통부(310))를 통해 수위계측기(600)와 제1수위계측용탭(610)을 연결하는 관이다. 제1수위계측용감지관(620)은 제1수위계측용탭(610)에 마련된 관통공을 통해 제1수위계측지점 내부와 연통되어 제1수위계측지점 내부의 압력을 수위계측기(600)에 전달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제1수위계측용감지관(620)은 제2-1배관부(620a)와 제2-2배관부(6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배관부(620a)는 격납용기(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제1수위계측용탭(610)에 연결되고, 제1수위계측용탭(610)으로부터 제1관통부(210)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이며, 제2-2배관부(620b)는 격납용기(200)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제1관통부(210)를 통해 제2-1배관부(620a)와 연결되고 타단은 수위계측기(60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때, 제2-1배관부(620a)는 제1수위계측지점의 내부로부터 제2-1배관부(620a)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유체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제1응축수포트(630)와 폐쇄 작동 시 제1수위계측지점의 내부와 제2-1배관부(620a)를 격리하는 제2-1차단밸브(66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응축수포트(630)는 제2-1배관부(620a)와 연통되며 제1수위계측용탭(610)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응축수포트(630)와 제1수위계측용탭(610) 사이에 높이 차가 있는 경우 높이 차이만큼의 유체 밀도 변화가 발생되어 수위계측기(600)에 전달되는 압력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제2-1차단밸브(660a)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수위계측용탭(61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의 비정상 운전 시 또는 수위계측용감지관(620, 650)의 유지와 보수가 필요할 때, 방사능 물질이 제1수위계측용탭(610)을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원자로냉각재압력경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2-2배관부(620b)는 폐쇄 작동 시 제2-1배관부(620a)와 제2-2배관부(620b)를 격리하는 제2-2차단밸브(660b)와 폐쇄 작동 시 제2-2배관부(620b)와 수위계측기(600)를 격리하는 제2-3차단밸브(660c)를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제2-2차단밸브(660b)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관통부(21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의 비정상 운전 시 또는 수위계측용감지관(620, 650)의 유지와 보수가 필요할 때, 방사능 물질이 제2-1배관부(620a)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원자로냉각재압력경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2차단밸브(660b)의 적어도 하나(특히, 제1관통부(210)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2차단밸브(660b))는 원격지에서 제어하거나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의 운전 상태(예를 들어 비정상 운전 상태 일 수 있다)에 맞추어 자동으로 폐쇄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밸브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2-3차단밸브는 수위계측기(60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수위계측기(600)의 교체나 보수가 필요할 때, 방사능 물질이 제2-2배관부(620b)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원자로냉각재압력경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2수위계측용감지관(650)은 제1관통부(210)(또는 제1관통부(210)와 제2관통부(310))를 통해 수위계측기(600)와 제2수위계측용탭(640)을 연결하는 관이다. 제2수위계측용감지관(650)은 제2수위계측용탭(640)에 마련된 관통공을 통해 제2수위계측지점 내부와 연통되어 제2수위계측지점 내부의 압력을 수위계측기(600)에 전달한다.
제2수위계측용감지관(650)은 제3-1배관부(650a)와 제3-2배관부(6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배관부(650a)는 격납용기(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제2수위계측용탭(640)에 연결되고, 제2수위계측용탭(640)으로부터 제1관통부(210)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이며, 제3-2배관부(650b)는 격납용기(200)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제1관통부(210)를 통해 제3-1배관부(650a)와 연결되고 타단은 수위계측기(60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때 제3-1배관부(650a)는 폐쇄 작동 시 제2수위계측지점의 내부와 제3-2배관부(650b)를 격리하는 제3-1차단밸브(67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1차단밸브(670a)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2수위계측용탭(64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1차단밸브(660a)와 동일한 이유이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3-2배관부(650b)는 폐쇄 작동 시 제3-1배관부(650a)와 제3-2배관부(650b)를 격리하는 제3-2차단밸브(670b)와 폐쇄 작동 시 제3-2배관부(650b)와 수위계측기(600)를 격리하는 제3-3차단밸브(670c)를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제3-2차단밸브(670b)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관통부(21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2차단밸브(660b)와 동일한 이유이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3-2차단밸브(670b)의 적어도 하나(특히, 제1관통부(210)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3-2차단밸브(670b))는 원격지에서 제어하거나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의 운전 상태(예를 들어 비정상 운전 상태 일 수 있다)에 맞추어 자동으로 폐쇄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밸브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3-3차단밸브(670c)는 수위계측기(60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3차단밸브(660c)와 동일한 이유이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포함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되, 동일한 부호로 표기된 구성은 동일한 구조, 기능, 작용 및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된 구성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에 있어서 공정 변수 중 하나인 유량을 정밀하고 편리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격납용기(200) 외부에 계측기실(400)을 마련하여 유량계측기(700)를 설치하고, 격납용기(200) 내부의 유량계측지점에는 유량계측용탭(710, 740)을 마련하며, 상기 유량계측용탭(710, 740)과 계측기실(400)의 유량계측기(700)를 유량계측용감지관(720, 750)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노심(130), 가압기(140), 증기발생기(150) 및 냉각재펌프(160)를 포함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와 격납용기(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모듈화격벽(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격납용기(200)는 제1관통부(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듈화격벽(300)은 제2관통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통부(210)와 제2관통부(310)로 후술할 유량계측용감지관(720, 750)이 통과하여 격납용기(200) 내부의 유량계측용탭(710, 740)과 격납용기(200)(또는 모듈화격벽(300)) 외부의 유량계측기(700)를 연결한다. 제1관통부(210)와 제2관통부(310)는 방수, 내고온, 내방사선 특성을 고려한 봉인(sealing) 처리가 되어야 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계측기실(400)은 격납용기(200) 또는 모듈화격벽(300)의 외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유량계측기(700)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계측기실(400)과 마찬가지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유량계측기(700)는 차압식 유량계측기(700)일 수 있다.
차압식 유량계측기(700)는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연결하는 관로에 연결되어 제1지점과 제2지점의 압력 값 차이로 유량을 측정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유량의 계측이 필요한 지점을 살피면, 원자로용기의 내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자로용기와 내부격벽(111) 사이를 흐르는 일차냉각재의 유량일 수 있다.
다음으로 차압식 유량 계측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원자로용기의 외주면에는 제1유량계측지점과 제2유량계측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 일차냉각재의 경로를 고려하여 설정되며, 제1유량계측지점과 제2유량계측지점 상호 간에는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일차냉각재는 냉각재펌프(160)에 의해 원자로용기의 내부를 순환한다. 냉각재펌프(160)의 전단에서 시작되는 흐름은 원자로용기와 내부격벽(111) 사이 공간을 통해 원자로용기의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며, 원자로용기의 하부에서 내부격벽(111)의 내부로 유입된다.
내부격벽(111)의 내부로 유입된 일차냉각재는 노심(130)을 지나 내부격벽(111)의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며, 내부격벽(111)의 상부에서 다시 원자로용기와 내부격벽(11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며 순환 체계를 구성한다.
이 경우 일차냉각재의 유량 측정을 위해 제1유량계측지점은 냉각재펌프(160)의 전단이 위치하는 원자로용기의 외주면에 설정될 수 있으며, 제2유량계측지점은 제1유량계측지점과 거리를 두고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유량계측지점은 증기발생기(150) 전단 또는 후단이 위치하는 원자로용기의 외주면에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유량계측지점에는 제1유량계측용탭(710)이 설치되어 후술할 제1유량계측용감지관(720)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제1유량계측지점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제1유량계측지점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2유량계측지점에는 제2유량계측용탭(740)이 설치되어 후술할 제2유량계측용감지관(750)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제2유량계측지점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제2유량계측지점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차압식 유량 계측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제1유량계측용감지관(720)과 제2유량계측용감지관(7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량계측용감지관(720)은 제1관통부(210)(또는 제1관통부(210)와 제2관통부(310))를 통해 유량계측기(700)와 제1유량계측용탭(710)을 연결하는 관이다. 제1유량계측용감지관(720)은 제1유량계측용탭(710)에 마련된 관통공을 통해 제1유량계측지점 내부와 연통되어 제1유량계측지점 내부의 압력을 유량계측기(700)에 전달한다.
또한, 도 3를 참조하면 제1유량계측용감지관(720)은 제4-1배관부(720a)와 제4-2배관부(7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4-1배관부(720a)는 격납용기(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제1유량계측용탭(710)에 연결되고, 제1유량계측용탭(710)으로부터 제1관통부(210)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이며, 제4-2배관부(720b)는 격납용기(200)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제1관통부(210)를 통해 제4-1배관부(720a)와 연결되고 타단은 유량계측기(70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때, 제4-1배관부(720a)는 제4-1배관부(720a)와 연통되어 제1유량계측지점의 내부로부터 제4-1배관부(720a)로 유입되는 유체를 응축시키는 제2응축수포트(730)와 폐쇄 작동 시 제1유량계측지점의 내부와 제4-1배관부(720a)를 격리하는 제4-1차단밸브(77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1차단밸브(770a)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유량계측용탭(71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의 비정상 운전 시 또는 유량계측용감지관(720, 750)의 유지와 보수가 필요할 때, 방사능 물질이 제1유량계측용탭(710)을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원자로냉각재압력경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4-2배관부(720b)는 폐쇄 작동 시 제4-1배관부(720a)와 제4-2배관부(720b)를 격리하는 제4-2차단밸브(770b)와 폐쇄 작동 시 제4-2배관부(720b)와 유량계측기(700)를 격리하는 제4-3차단밸브(770c)를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제4-2차단밸브(770b)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관통부(21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의 비정상 운전 시 또는 유량계측용감지관(720, 750)의 유지와 보수가 필요할 때, 방사능 물질이 제4-1배관부(720a)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원자로냉각재압력경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4-2차단밸브(770b)의 적어도 하나(특히, 제1관통부(210)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4-2차단밸브(770b))는 원격지에서 제어하거나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의 운전 상태(예를 들어 비정상 운전 상태 일 수 있다)에 맞추어 자동으로 폐쇄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밸브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4-3차단밸브(770c)는 유량계측기(70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유량계측기(700)의 교체나 보수가 필요할 때, 방사능 물질이 제4-2배관부(720b)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원자로냉각재압력경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3를 참조하면, 제2유량계측용감지관(750)은 제1관통부(210)(또는 제1관통부(210)와 제2관통부(310))를 통해 유량계측기(700)와 제2유량계측용탭(740)을 연결하는 관이다. 제2유량계측용감지관(750)은 제2유량계측용탭(740)에 마련된 관통공을 통해 제2유량계측지점 내부와 연통되어 제2유량계측지점 내부의 압력을 유량계측기(700)에 전달한다.
제2유량계측용감지관(750)은 제5-1배관부(750a)와 제5-2배관부(7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5-1배관부(750a)는 격납용기(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제2유량계측용탭(740)에 연결되고, 제2유량계측용탭(740)으로부터 제1관통부(210)를 향해 연장되는 부분이며, 제5-2배관부(750b)는 격납용기(200)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제1관통부(210)를 통해 제5-1배관부(750a)와 연결되고 타단은 유량계측기(70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때 제5-1배관부(750a)는 제5-1배관부(750a)와 연통되어 제2유량계측지점의 내부로부터 제5-1배관부(750a)로 유입되는 유체를 응축시키는 제3응축수포트(760)와 폐쇄 작동 시 제2유량계측지점의 내부와 제5-1배관부(750a)를 격리하는 제5-1차단밸브(78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응축수포트(760)는 전술한 제2응축수포트(730)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제2응축수포트(730)와 제3응축수포트(760)의 설치 높이 차이에 의한 압력 차이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제5-1차단밸브(780a)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유량계측용탭(74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4-1차단밸브(770a)와 동일한 이유이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5-2배관부(750b)는 폐쇄 작동 시 제5-1배관부(750a)와 제5-2배관부(750b)를 격리하는 제5-2차단밸브(780b)와 폐쇄 작동 시 제5-2배관부(750b)와 유량계측기(700)를 격리하는 제5-3차단밸브(780c)를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제5-2차단밸브(780b)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관통부(21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4-2차단밸브(770b)와 동일한 이유이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5-2차단밸브(780b)의 적어도 하나(특히, 제1관통부(210)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5-2차단밸브(780b))는 원격지에서 제어하거나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의 운전 상태(예를 들어 비정상 운전 상태 일 수 있다)에 맞추어 자동으로 폐쇄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밸브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5-3차단밸부는 수위계측기(600)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4-3차단밸브(770c)와 동일한 이유이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포함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되, 동일한 부호로 표기된 구성은 동일한 구조, 기능, 작용 및 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된 구성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에 있어서 공정 변수 중 하나인 온도를 정밀하고 편리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격납용기(200) 외부에 계측기실(400)을 마련하여 접속함(800)(Junction Box)를 설치하고, 격납용기(200) 내부의 온도계측지점에는 온도계측용노즐(810)을 통해 측온저항체(820)(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RTD)가 설치되며, 상기 측온저항체(820)와 계측기실(400)의 접속함(800)을 미네랄 절연 케이블(840)(Mineral Insulation Cable)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노심(130), 가압기(140), 증기발생기(150) 및 냉각재펌프(160)를 포함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100)와 격납용기(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모듈화격벽(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격납용기(200)는 제1관통부(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듈화격벽(300)은 제2관통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통부(210)와 제2관통부(310)로 미네랄 절연 케이블(840)이 통과하여 격납용기(200) 내부의 측온저항체(820)와 격납용기(200)(또는 모듈화격벽(300)) 외부의 접속함(800)을 연결한다. 제1관통부(210)와 제2관통부(310)는 방수, 내고온, 내방사선 특성을 고려한 봉인(sealing) 처리가 되어야 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계측기실(400)은 격납용기(200) 또는 모듈화격벽(300)의 외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접속함(800)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계측기실(400)과 마찬가지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온도의 계측이 필요한 지점을 살피면, 원자로용기의 내부와 증기발생기(15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자로용기의 내부를 순환하는 일차냉각재의 온도나 증기발생기(150)의 외부를 흐르는 이차냉각재의 온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일차냉각재가 흐르는 원자로용기의 외주면 또는 증기발생기(150)와 연결되어 이차냉각재계통을 구성하는 설비의 외주면에 온도계측지점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온도계측지점에는 온도계측용노즐(810)이 설치되어 측온저항체(820)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온도계측지점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측온저항체(820)가 온도계측지점 내부의 온도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측온저항체(820)(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RTD)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 값이 달라지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측온저항체(820)는 측온저항체(820)를 둘러싸서 측온저항체(820)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관(830)(예를 들어, thermowell)을 더 포함하여, 온도계측용노즐(8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온도 측정의 대상이 일차냉각재 또는 이차냉각재의 온도이며, 일차냉각재와 이차냉각재는 흐름을 가져 유압이 있으므로, 측온저항체(820)가 상기 유압에 의해 부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온도 계측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미네랄 절연 케이블(840)을 포함할 수 있다.
미네랄 절연 케이블(840)은 일단이 측온저항체(8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관통부(210)(또는 제1관통부(210)와 제2관통부(310))를 통해 접속함(800)과 연결되며, 측온저항체(820)의 저항 값 변화에 따른 전기 신호를 접속함(8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통해 개시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은 계측기 또는 접속함을 격납용기 또는 모듈형격벽의 외부에 마련된 계측기실에 구비하여, 방사능과 온도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므로 공정 변수의 계측에 있어서 높은 신뢰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유지와 보수가 편리하고, 운전원의 접근에 있어서도 편리함과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검증된 계측기를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개발 비용의 증가나 개발 과정에서 새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없는 장점이 있으므로, 경제성과 시장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은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형태와 구조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적용의 범위가 매우 넓은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이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 110 : 하부용기
111 : 내부격벽 112 : 배출유로
113 : 공급유로 120 : 상부용기
130 : 노심 140 : 가압기
150 : 증기발생기 160 : 냉각재펌프
200 : 격납용기 210 : 제1관통부
300 : 모듈화격벽 310 : 제2관통부
400 : 계측기실 500 : 압력계측기
510 : 압력계측용탭 520 : 도압관
520a : 제1-1배관부 520b : 제1-2배관부
520c : 제1-3배관부 530a : 제1-1차단밸브
530b : 제1-2차단밸브 530c : 제1-3차단밸브
600 : 수위계측기 610 : 제1수위계측용탭
620 : 제1수위계측용감지관 620a : 제2-1배관부
620b : 제2-2배관부 630 : 제1응축수포트
640 : 제2수위계측용탭 650 : 제2수위계측용감지관
650a : 제3-1배관부 650b : 제3-2배관부
660a : 제2-1차단밸브 660b : 제2-2차단밸브
660c : 제2-3차단밸브 670a : 제3-1차단밸브
670b : 제3-2차단밸브 670c : 제3-3차단밸브
700 : 유량계측기 710 : 제1유량계측용탭
720 : 제1유량계측용감지관 720a : 제4-1배관부
720b : 제4-2배관부 730 : 제2응축수포트
740 : 제2유량계측용탭 750 : 제2유량계측용감지관
750a : 제5-1배관부 750b : 제5-2배관부
760 : 제3응축수포트 770a : 제4-1차단밸브
770b : 제4-2차단밸브 770c : 제4-3차단밸브
780a : 제5-1차단밸브 780b : 제5-2차단밸브
780c : 제5-3차단밸브 800 : 접속함
810 : 온도계측용노즐 820 : 측온저항체
830 : 보호관 840 : 미네랄 절연 케이블
L : 신호선

Claims (11)

  1.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
    노심, 가압기, 증기발생기 및 냉각재펌프를 포함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
    상기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를 내장하여 방사능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측에 제1관통부를 포함하는 격납용기;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압력계측기를 구비하는 계측기실;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압력계측지점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압력계측용탭; 및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압력계측기와 상기 압력계측용탭을 연결하며, 상기 압력계측지점과 연통되어 상기 압력계측지점의 압력을 상기 압력계측기에 전달하는 도압관;을 포함하며,
    상기 도압관은,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압력계측용탭에 연결되고, 제1하향경사를 가지며 상기 압력계측용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1배관부와,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1배관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연속하고, 제2하향경사를 가지며 상기 제1관통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2배관부와,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제1-2배관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압력계측기와 연결되는 제1-3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향경사는 수평으로부터 1.2° 이상의 각도로 하향하는 경사이며,
    상기 제2하향경사는 수평으로부터 85° 이하의 각도로 하향하는 경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3배관부는 상기 제1관통부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폐쇄 작동 시 상기 제1-2배관부와 상기 제1-3배관부를 격리하는 제1-2차단밸브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4.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
    노심, 가압기, 증기발생기 및 냉각재펌프를 포함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
    상기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를 내장하여 방사능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측에 제1관통부를 포함하는 격납용기;
    상기 격납용기 외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수위계측기를 구비하는 계측기실;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수위계측지점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1수위계측용탭;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수위계측지점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수위계측지점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2수위계측용탭;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수위계측기와 상기 제1수위계측용탭을 연결하며, 상기 제1수위계측지점과 연통되어 상기 제1수위계측지점의 압력을 상기 수위계측기에 전달하는 제1수위계측용감지관; 및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수위계측기와 상기 제2수위계측용탭을 연결하며, 상기 제2수위계측지점과 연통되어 상기 제2수위계측지점의 압력을 상기 수위계측기에 전달하는 제2수위계측용감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수위계측용감지관은,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수위계측용탭에 연결되는 제2-1배관부와,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제2-1배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수위계측기와 연결되는 제2-2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수위계측용감지관은,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2수위계측용탭에 연결되는 제3-1배관부와,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제3-1배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수위계측기와 연결되는 제3-2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1배관부는,
    일 지점에 상기 제2-1배관부와 연통하며 상기 제1수위계측용탭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수위계측지점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응축시키는 제1응축수포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2배관부는 상기 제1관통부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폐쇄 작동 시 상기 제2-1배관부와 상기 제2-2배관부를 격리하는 제2-2차단밸브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고,
    상기 제3-2배관부는 상기 제1관통부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폐쇄 작동 시 상기 제3-1배관부와 상기 제3-2배관부를 격리하는 제3-2차단밸브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
    노심, 가압기, 증기발생기 및 냉각재펌프를 포함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
    상기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를 내장하여 방사능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측에 제1관통부를 포함하는 격납용기;
    상기 격납용기 외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유량계측기를 구비하는 계측기실;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유량계측지점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1유량계측용탭;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유량계측지점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유량계측지점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제2유량계측용탭;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유량계측기와 상기 제1유량계측용탭을 연결하며, 상기 제1유량계측지점과 연통되어 상기 제1유량계측지점의 유체가 유입되는 제1유량계측용감지관; 및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유량계측기와 상기 제2유량계측용탭을 연결하며, 상기 제2유량계측지점과 연통되어 상기 제2유량계측지점의 유체가 유입되는 제2유량계측용감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량계측용감지관은,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유량계측용탭에 연결되는 제4-1배관부와,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제4-1배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유량계측기와 연결되는 제4-2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유량계측용감지관은,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2유량계측용탭에 연결되는 제5-1배관부와,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제5-1배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유량계측기와 연결되는 제5-2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1배관부는 일 지점에 상기 제4-1배관부와 연통하며, 상기 제1유량계측지점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응축시키는 제2응축수포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1배관부는 일 지점에 상기 제5-1배관부와 연통하며, 상기 제2응축수포트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유량계측지점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응축시키는 제3응축수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2배관부는 상기 제1관통부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폐쇄 작동 시 상기 제4-1배관부와 상기 제4-2배관부를 격리하는 제4-2차단밸브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고,
    상기 제5-2배관부는 상기 제1관통부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폐쇄 작동 시 상기 제5-1배관부와 상기 제5-2배관부를 격리하는 제5-2차단밸브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10.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
    노심, 가압기, 증기발생기 및 냉각재펌프를 포함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
    상기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를 내장하여 방사능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측에 제1관통부를 포함하는 격납용기;
    상기 격납용기의 외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접속함을 구비하는 계측기실;
    상기 격납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온도계측지점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형성하는 온도계측용노즐;
    상기 온도계측용노즐에 연결되며,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 값이 달라지는 측온저항체; 및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상기 측온저항체와 상기 접속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측온저항체의 저항 값 변화에 관한 전기신호를 상기 접속함에 전송하는 미네랄 절연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온저항체를 둘러싸서 상기 측온저항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KR1020230043710A 2023-04-03 2023-04-03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KR102638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710A KR102638288B1 (ko) 2023-04-03 2023-04-03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710A KR102638288B1 (ko) 2023-04-03 2023-04-03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288B1 true KR102638288B1 (ko) 2024-02-19

Family

ID=9005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710A KR102638288B1 (ko) 2023-04-03 2023-04-03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2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7122A1 (en) * 2012-01-05 2013-07-11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Reactor Water-Level/Temperature Measurement Apparatus
JP2016003955A (ja) * 2014-06-17 2016-01-12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原子炉水位計測装置
JP2016057107A (ja) * 2014-09-08 2016-04-21 株式会社Ihi 観測機器挿入装置取付け方法
KR20180111335A (ko) * 2017-03-31 2018-10-11 킹 압둘라 시티 포 어토믹 앤드 리뉴어블 에너지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7122A1 (en) * 2012-01-05 2013-07-11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Reactor Water-Level/Temperature Measurement Apparatus
JP2016003955A (ja) * 2014-06-17 2016-01-12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原子炉水位計測装置
JP2016057107A (ja) * 2014-09-08 2016-04-21 株式会社Ihi 観測機器挿入装置取付け方法
KR20180111335A (ko) * 2017-03-31 2018-10-11 킹 압둘라 시티 포 어토믹 앤드 리뉴어블 에너지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0500B2 (ja) 原子炉水位計
US7845223B2 (en) Condensing chamber design
KR102638288B1 (ko) 경수형 소형모듈원자로의 공정 계측 시스템
US5475720A (en) Non-condensable gas tolerant condensing chamber
US65574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void fraction measurement and adverse output signal mitigation on pressure-base instruments
CN105091631A (zh) 一种具备实时监测泄露功能的同轴管式换热器
CN108981420A (zh) 一种适用于危险流体介质的双层套管换热装置
KR20130104336A (ko) 피동형 노심냉각시스템
US4414177A (en) Liquid level, void fraction, and superheated steam sensor for nuclear reactor cores
KR101927131B1 (ko) 계측 압력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전
US78853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early sensing of water leakage, through chemical concentration monitoring, in nuclear reactor system using liquid metal and molten salt
CN207038190U (zh) 一种核反应堆中传热管破漏的检测控制装置
JP6489904B2 (ja) 非常時における原子炉水位計測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545280B1 (ko) 원전 증기발생기 전열관 누설 감지 시스템
JP6489903B2 (ja) 非常時における原子炉水位計測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原子炉への注水方法
Lewin Evaluation of instrumentation for detection of inadequate core cooling in boiling water reactors
Seo et al. Status of manufacturing experimental apparatus to investigate SWR phenomenon in the PCSG
Lish et al. Development of I2S-LWR instrumentation systems
Anderson et al. Summary of inadequate core cooling instrumentation for US nuclear power plants
JPS6018037B2 (ja) 高速増殖炉の炉内配管破損検出装置
CA3236645A1 (en) Device for subjecting probes to irradiation in the core of a heavy water reactor, diverter, installation for producing activated probes in the core of a heavy water reactor and heavy water reactor
Osterhout Operation of the water-to-sodium leak detection system at the experimental breeder reactor II
Kovtonyuk et al. Safety of evolutionary reactors: feasibility study for the experimental program of SPES facility
KR200450814Y1 (ko) 관내 충격방지용 냉각장치
CA2020213A1 (en) Movement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