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788B1 -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788B1
KR101926788B1 KR1020180006609A KR20180006609A KR101926788B1 KR 101926788 B1 KR101926788 B1 KR 101926788B1 KR 1020180006609 A KR1020180006609 A KR 1020180006609A KR 20180006609 A KR20180006609 A KR 20180006609A KR 101926788 B1 KR101926788 B1 KR 101926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otation
bar
scratc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태
박광필
배성호
정원석
전태현
이동항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토탈페이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토탈페이브시스템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 G01N3/46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the indentors performing a scratching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고, 스크래치(20)의 정도를 통해 콘크리트 포장부(10)의 경화정도를 측정하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A)는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올려지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기둥부(200); 기둥부(200)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는 스크래치 형성부(300);를 포함하되, 스크래치 형성부(300)는 기둥부(200)의 상면에 외측방향을 향하여 설치되는 축부(310); 축부(310)의 하측으로 돌출결합된 회전바(320); 회전바(320)의 하부에 결합된 추(330);을 포함하고, 회전바(320)와 상기 추(330)가 축부(310)를 따라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스크래치(2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A)는 기둥부(200)에 결합된 회전바(320)가 자중에 의해, 도 3과 같이 회전구동 함으로서,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한다. 기존의 스크래치 테스트는 작업자가 철근(또는 스틸 바)을 손으로 잡고, 스크래치를 형성하기 때문에 매번 다른 힘으로 스크래치를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어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도 측정장치(A)는 회전바(320)와 추(330)의 무게를 이용하여 일전한 회전력으로 콘크리트 포장부(10)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기 때문에 정확한 경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HARDNESS OF CONCRETE AND MEAS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
국내 고속도로 콘크리트 포장의 대부분은 온도변화에 따른 슬래브의 체적변화를 제어하기 위해, 콘크리트 포장의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줄눈을 설치하는 줄눈콘크리트 포장(JOINTED CONCRETE PAVEMENT)을 시공하고 있다.
줄눈콘크리트 포장은 줄눈 시공 성과에 따라 포장의 공용성이 좌우된다.
줄눈 절단은 초기균열이 발생되기 전에 실시되어야 하는데, 이는 줄눈 절단이 시기가 너무 늦으면 균열이 이미 발생되는 상태이므로 랜덤균열이 발생하게 되며, 반대로 줄눈 절단 시기가 너무 이르게 되면 줄눈 절단기를 포장면 위에 올려 놓을 수 없고, 올려 놓더라도 골재 튐 현상(Ravelling)이 발생하여 공용성 및 차량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지금까지 줄눈 절단시기는 현장 작업자의 경험적 판단에 의지하여 시행되었는데, 일반적으로 타설 이후 4시간 ~ 72시간 사이에 실시하고 있다.
줄눈 결정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스크래치 테스트로서, 작업자가 철근 또는 스틸 바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포장부의 상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고 스크래치의 정도를 판단하여 줄눈 시기를 결정한다.
그러나 기존의 스크래치 테스트는 작업자가 철근(또는 스틸 바)을 손으로 잡고, 스크래치를 형성하기 때문에 매번 다른 힘으로 스크래치를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콘크리트 포장부의 상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할 수 있는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을 제시한다.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고, 스크래치(20)의 정도를 통해 콘크리트 포장부(10)의 경화정도를 측정하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A)는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올려지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기둥부(200); 상기 기둥부(200)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는 스크래치 형성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래치 형성부(300)는 상기 기둥부(200)의 상측 영역에 외측방향으로 결합되는 축부(310); 상기 축부(310)의 하측으로 돌출결합된 회전바(320); 상기 회전바(320)의 하부에 결합된 추(33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320)와 상기 추(330)가 상기 축부(310)의 축을 따라 자중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축부(310)는 상기 기둥부(200)에 결합되는 결합부(311); 상기 결합부(311)의 외측에 결합되는 회전부본체(312); 상기 회전부본체(312)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된 회전축(313);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바(320)는 상기 회전축(313)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본체(312)에는 상기 회전바(320)의 회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회전각센서(600)가 설치된 되어, 상기 회전바(320)의 회전각(θ)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본체(312)의 외측에 형성된 회전부(321); 상기 회전부(321)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측으로 돌출결합된 바(322); 상기 바(322)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추(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지하다.
상기 회전부(321)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321). 상기 바(322), 상기 추(330)가 일체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330)는 원뿔형상으로서, 원뿔의 꼭짓점이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바(322)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330)는 상기 바(322)에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고, 나사구동 정도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본체(312)의 상부에는 상기 스크래치 형성부(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400)가 결합되되, 상기 높이조절부(400)는 상기 회전부본체(312)의 상측으로 결합된 조절부본체(410); 상기 조절부본체(4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꺽임부(420); 회전구동으로 상기 스크래치 형성부(3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꺽임부(420)에 상하방향따라 볼트결합되고, 상기 꺽임부(420)를 관통한 하부가 상기 기둥부(2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된 조절부(4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부(400)에 의한 상기 회전부본체(312)의 높이 조절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부본체(312)의 하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센서(5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수평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계(11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받침장치(12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상기 받침장치(120)는 각각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용 받침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장치(120)의 하면에는 미끄럼 방지패드(12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A)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은 상기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A)를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설치하는 측정장치 설치단계; 상기 추(330)의 하부가 상기 포장부(1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스크래치 형성부(300)를 조절하는 조절단계; 상기 회전바(320)를 회전구동하여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과 수평이 되도록하는 회전바구동단계; 상기 회전바구동단계가 기준이 되도록 상기 회전각센서(600)를 셋팅하는 회전각센서셋팅단계; 상기 높이조절부(400)를 조절하여 상기 스크래치 형성부(300)를 하향 이동시키되, 상기 높이측정센서(500)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래치 형성부(300)의 이동정도를 확인하는 스크래치 형성부조절단계;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과 수평이 된 상기 회전바(320)를 자유낙하 시켜 상기 추(330)의 하부가 상기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는 스크래치형성단계; 포장부(10)의 상면에 형성된 스크래치(20)의 정도를 통해 콘크리트 포장부(10)의 경화정도를 측정하는 경도측정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콘크리트 포장부의 상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경도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 형성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바가 회전구동 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스크래치 형성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에 수평계와 받침장치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장치의 하면에 미끄럼 방지패드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장치설치단계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바구동단계 공정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치형성단계 공정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부의 상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고, 스크래치(20)의 정도를 통해 콘크리트 포장부(10)의 경화정도를 측정하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A)는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올려지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기둥부(200); 기둥부(200)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는 스크래치 형성부(300);를 포함하되, 스크래치 형성부(300)는 기둥부(200)의 상측 영역에 외측방향으로 결합되는 축부(310); 축부(310)의 하측으로 돌출결합된 회전바(320); 회전바(320)의 하부에 결합된 추(330);을 포함하고, 회전바(320)와 추(330)가 축부(310)의 축을 따라 자중에 의해 회전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A)는 기둥부(200)에 결합된 회전바(320)가 자중에 의해, 도 3과 같이 회전구동 함으로서,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한다.
기존의 스크래치 테스트는 작업자가 철근(또는 스틸 바)을 손으로 잡고, 스크래치를 형성하기 때문에 매번 다른 힘으로 스크래치를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어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도 측정장치(A)는 회전바(320)와 추(330)의 무게를 이용하여 일정한 회전력으로 콘크리트 포장부(10)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기 때문에 정확한 경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축부(310)는 기둥부(200)에 결합되는 결합부(311); 결합부(311)의 외측에 결합되는 회전부본체(312); 회전부본체(312)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된 회전축(313);을 포함하되, 회전바(320)는 회전축(313)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측부(310)는 도 2와 같이 기둥부(200)에 결합되되, 본체부(100)의 외측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회전바(320)는 회전축(313)에 결합되어 회전부본체(312)의 외측에 형성된 회전부(321); 회전부(321)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측으로 돌출결합된 바(322); 바(322)의 하부에 결합된 추(33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본체(312)에는 상기 회전바(320)의 회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회전각센서(600)가 설치된 되어, 상기 회전바(320)의 회전각(θ)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회전바(320)는 도 3과 같이 구동하는데, 그 회전구동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회전부 본체(310)의 내측에 회전각센서(600)가 설치된다.
회전각센서(600)는 도 5와 같이 회전부본체(312)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700)와 연결된다.
디스플레이장치(700)는 회전각센서(600)가 측정한 회전각(θ)과 높이측정센서(500)가 측정한 회전부본체(312)본체의 높이를 숫자로 표시한다.
회전부(321)의 회전구동에 따라 회전부(321). 바(322), 추(330)가 일체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330)는 원뿔형상으로서, 원뿔의 꼭짓점이 하측을 향하도록 바(322)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추(330)는 바(322)에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고, 나사구동 정도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330)는 도 4, 5와 같이 스크래치(20)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꼭짖점이 하측을 향하도록 바(322)에 결합된다.
또한 미세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바(322)에 너트 결합된다.
회전부본체(312)의 상부에는 스크래치 형성부(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400)가 결합되되, 높이조절부(400)는 회전부본체(312)의 상측으로 결합된 조절부본체(410); 조절부본체(4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꺽임부(420); 회전구동으로 스크래치 형성부(3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꺽임부(420)에 상하방향따라 볼트결합되고, 꺽임부(420)를 관통한 하부가 기둥부(2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된 조절부(4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조절부(400)에 의한 회전부본체(312)의 높이 조절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회전부본체(312)의 하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센서(5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조절부(400)는 도 5, 6과 같이 회전부본체(31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부본체(312)의 상부에 결합된다.
높이조절부(400)는 조절부(430)를 회전하여 회전부 본체(312)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조절부(430)를 조절할 때는 회전부 본체(312)와 기둥부(200)의 결합력을 느슨하게 하고, 조절한다.
높이측정센서(500)는 기둥부(200)의 외측 영역인 본체부(100) 상면에 설치되고, 회전부본체(312)의 하면 까지의 길이를 측정한다.
본체부(100)에는 본체부(100)의 수평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계(11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00)에는 본체부(1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받침장치(12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받침장치(120)는 각각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용 받침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장치(120)의 하면에는 미끄럼 방지패드(12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본체부(100)에 수평계(110)가 설치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장치가 설치된다.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은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구배를 갖도록 시공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할 때, 포장부(10)의 상면 구배와 동일한 구배를 갖도록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A)를 설치해야 한다.
이때,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장치(120)를 조절하여 측정장치의 구배를 조절하고, 수평계(110)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A)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경도를 측정할 때, 측정장치(A)가 움직이면 정확한 스크래치(20)를 형성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받침장치(120) 하면에 미끄럼 방지패드(121)를 설치하여 고정력을 강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A)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은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A)를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설치하는 측정장치 설치단계; 추(330)의 하부가 포장부(1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스크래치 형성부(300)를 조절하는 조절단계; 회전바(320)를 회전구동하여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과 수평이 되도록하는 회전바구동단계; 회전바구동단계가 기준이 되도록 회전각센서(600)를 셋팅하는 회전각센서셋팅단계; 높이조절부(400)를 조절하여 스크래치 형성부(300)를 하향 이동시키되, 높이측정센서(500)를 이용하여 스크래치 형성부(300)의 이동정도를 확인하는 스크래치 형성부조절단계;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과 수평이 된 회전바(320)를 자유낙하 시켜 추(330)의 하부가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는 스크래치형성단계; 포장부(10)의 상면에 형성된 스크래치(20)의 정도를 통해 콘크리트 포장부(10)의 경화정도를 측정하는 경도측정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측정장치 설치단계에서는 콘크리트 포장부(10)의 구배에 따라 측정장치의 구배를 조절할 수 있다.
측정장치 설치 이후에는 추(330)의 하단이 포장부(1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스크레치 형성부(3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후, 바(322)를 포장부(10)와 평행하도록 회전바(320)를 회전구동시키고, 회전각센서(600)를 셋팅한다.
이때 회전바(320)가 포장부(10)와 평행한 상태를 0로 셋팅할 경우, 회전바(320)의 자유낚하로 회전바(320)가 이동한 회전각(θ)은 180°보다 작은 값이 될 것이다. 추(330)와 포장부(10)의 상면의 마찰력 때문이다.
회전각센서(600)의 셋팅이 완료되면 높이조절부(400)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회전바(320)의 자유낙하시 추(330)의 하단이 포장부(10)의 상면에 일정 깊이 묻히도록 조절한다.
스크래치형성단계는 스크래치 형성부조절단계로 하향 이동된 추(330)가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게 된다.
A :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10 : 콘크리트 포장부
20 : 스크래치 100 : 본체부
110 : 수평계 120 : 받침장치
121 : 미끄럼 방지패드 200 : 기둥부
300 : 스크래치 형성부 310 : 축부
311 : 결합부 312 : 회전부본체
313 : 회전축 320 : 회전바
321 : 회전부 322 : 바
330 : 추 400 : 높이조절부
500 : 높이측정센서 600 : 회전각센서

Claims (14)

  1.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고, 스크래치(20)의 정도를 통해 콘크리트 포장부(10)의 경화정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A),
    상기 측정장치(A)는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올려지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기둥부(200);
    상기 기둥부(200)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는 스크래치 형성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래치 형성부(300)는
    상기 기둥부(200)의 상측 영역에 외측방향으로 결합되는 축부(310);
    상기 축부(310)의 하측으로 돌출결합된 회전바(320);
    상기 회전바(320)의 하부에 결합된 추(330);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바(320)와 상기 추(330)가 상기 축부(310)의 축을 따라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스크래치(20)를 형성하며,
    상기 축부(310)는
    상기 기둥부(200)에 결합되는 결합부(311);
    상기 결합부(311)의 외측에 결합되는 회전부본체(312);
    상기 회전부본체(312)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된 회전축(313);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320)는 상기 회전축(313)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바(320)는
    상기 회전축(313)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본체(312)의 외측에 형성된 회전부(321);
    상기 회전부(321)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측으로 돌출결합된 바(322);
    상기 바(322)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추(33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321)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부(321). 상기 바(322), 상기 추(330)가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추(330)는
    원뿔형상으로서, 원뿔의 꼭짓점이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바(322)에 결합되고, 상기 바(322)에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며, 나사구동 정도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회전부본체(312)의 상부에는 상기 스크래치 형성부(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400)가 결합되되,
    상기 높이조절부(400)는
    상기 회전부본체(312)의 상측으로 결합된 조절부본체(410);
    상기 조절부본체(4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꺽임부(420);
    회전구동으로 상기 스크래치 형성부(3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꺽임부(420)에 상하방향따라 볼트결합되고, 상기 꺽임부(420)를 관통한 하부가 상기 기둥부(2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된 조절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본체(312)에는
    상기 회전바(320)의 회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회전각센서(600)가 설치 되어, 상기 회전바(320)의 회전각(θ)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400)에 의한 상기 회전부본체(312)의 높이 조절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부본체(312)의 하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센서(5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수평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계(1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가장 자리를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받침장치(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받침장치(120)는 각각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용 받침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장치(120)의 하면에는 미끄럼 방지패드(12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14.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A)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A)를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설치하는 측정장치 설치단계;
    상기 추(330)의 하부가 상기 포장부(1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스크래치 형성부(300)를 조절하는 조절단계;
    상기 회전바(320)를 회전구동하여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과 수평이 되도록하는 회전바구동단계;
    상기 회전바구동단계가 기준이 되도록 상기 회전각센서(600)를 셋팅하는 회전각센서셋팅단계;
    상기 높이조절부(400)를 조절하여 상기 스크래치 형성부(300)를 하향 이동시키되, 상기 높이측정센서(500)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래치 형성부(300)의 이동정도를 확인하는 스크래치 형성부조절단계;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과 수평이 된 상기 회전바(320)를 자유낙하 시켜 상기 추(330)의 하부가 상기 콘크리트 포장부(10)의 상면에 스크래치(20)를 형성하는 스크래치형성단계;
    포장부(10)의 상면에 형성된 스크래치(20)의 정도를 통해 콘크리트 포장부(10)의 경화정도를 측정하는 경도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
KR1020180006609A 2018-01-18 2018-01-18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 KR101926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609A KR101926788B1 (ko) 2018-01-18 2018-01-18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609A KR101926788B1 (ko) 2018-01-18 2018-01-18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788B1 true KR101926788B1 (ko) 2019-03-07

Family

ID=6576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609A KR101926788B1 (ko) 2018-01-18 2018-01-18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7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5143A (zh) * 2020-12-01 2021-03-12 李云明 一种便携式建筑工程质量检测仪
CN114088558A (zh) * 2021-10-19 2022-02-25 富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高温高湿环境下混凝土凝固状态的检测装置
KR102602883B1 (ko) * 2023-04-28 2023-11-16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현장형 과일 경도측정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3964A (en) * 1930-10-21 1936-03-17 Baldwin Southwark Corp Pendulum type material testing apparatus
US3548645A (en) * 1968-01-24 1970-12-22 Ryszard Tadeusz Sikorski Device for measuring hardness of plastics by means of pendulum method
US4318297A (en) * 1977-11-25 1982-03-09 L'oreal Pendulum-type film hardness measurement tester
JPS5954941A (ja) * 1982-09-24 1984-03-29 Toshiba Corp 自動記録振杆硬度計
JPH0363847U (ko) * 1989-10-25 1991-06-21
JPH11248615A (ja) * 1998-02-27 1999-09-17 Toyoda Gosei Co Ltd 塗装合成樹脂成形品用の引掻き試験機
US20010047679A1 (en) * 2000-02-03 2001-12-06 Haines Robert Christoper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friction
US20120103055A1 (en) * 2010-10-27 2012-05-03 James Ryan Scratch Resistance Test Methods and Apparatus
WO2013158387A1 (en) * 2012-04-19 2013-10-2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endulum-type mar testing device
KR101428805B1 (ko) * 2013-03-07 2014-08-08 주식회사 한국종합안전연구원 안전 진단용 콘크리트 및 철근 경도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3964A (en) * 1930-10-21 1936-03-17 Baldwin Southwark Corp Pendulum type material testing apparatus
US3548645A (en) * 1968-01-24 1970-12-22 Ryszard Tadeusz Sikorski Device for measuring hardness of plastics by means of pendulum method
US4318297A (en) * 1977-11-25 1982-03-09 L'oreal Pendulum-type film hardness measurement tester
JPS5954941A (ja) * 1982-09-24 1984-03-29 Toshiba Corp 自動記録振杆硬度計
JPH0363847U (ko) * 1989-10-25 1991-06-21
JPH11248615A (ja) * 1998-02-27 1999-09-17 Toyoda Gosei Co Ltd 塗装合成樹脂成形品用の引掻き試験機
US20010047679A1 (en) * 2000-02-03 2001-12-06 Haines Robert Christoper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friction
US20120103055A1 (en) * 2010-10-27 2012-05-03 James Ryan Scratch Resistance Test Methods and Apparatus
WO2013158387A1 (en) * 2012-04-19 2013-10-2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endulum-type mar testing device
KR101428805B1 (ko) * 2013-03-07 2014-08-08 주식회사 한국종합안전연구원 안전 진단용 콘크리트 및 철근 경도측정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권영웅, 콘크리트의 표면 경도 시험법, 콘크리트학회지제10권제2호,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 4, pp20-26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5143A (zh) * 2020-12-01 2021-03-12 李云明 一种便携式建筑工程质量检测仪
CN114088558A (zh) * 2021-10-19 2022-02-25 富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高温高湿环境下混凝土凝固状态的检测装置
KR102602883B1 (ko) * 2023-04-28 2023-11-16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현장형 과일 경도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788B1 (ko) 콘크리트 경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경도 측정방법
US10227738B2 (en) Road paver having layer thickness detect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thickness of an applied material layer
US8702344B2 (en) Road paver with layer thickness measuring device
JP5390100B2 (ja) 道路舗装機械の監視方法及びその監視装置
US9702096B2 (en) Automotive construction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otive construction machine
KR101421676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 파이프 서포트
US9033611B2 (en) Road paver with layer thickness measuring device
JP4940445B2 (ja) 道路切削機及び切削深さ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
US8033751B2 (en) Gyro compensated inclinometer for cross slope control of concrete screed
US7316520B2 (en) Low surface area shearing device
US10640936B2 (en) Method of mounting a weigh-in-motion sensor in a roadway
KR101897724B1 (ko) 굴곡 또는 경사를 이루는 도로포장 피니셔 작업에 사용되는 스크리드
KR102439258B1 (ko) 수평설치가 가능한 경사계장치
CN107907438B (zh) 一种用于检测及评定粗集料磨耗及磨光性能的设备及方法
CN105625145A (zh) 一种悬挂式摊铺机找平装置及其找平方法
CN203572465U (zh) 一种沥青路面松铺层高程与厚度实时监测装置
JPH0743130Y2 (ja) 敷きならし機械
KR101591802B1 (ko) 개량형 맨홀구조를 이용한 도로의 시공방법
CN105887632A (zh) 一种悬挂式摊铺机的找平方法及找平装置
CN110409248B (zh) 一种道路施工方法
KR101118756B1 (ko) Pc 패널의 높이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구조물
KR101723132B1 (ko) 거치용 바이스를 이용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JP3030853U (ja) 舗装厚指示計
CN211815411U (zh) 一种路沿砖布砖工具
CN109138385B (zh) 一种面砖调平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