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249B1 -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249B1
KR101926249B1 KR1020170015933A KR20170015933A KR101926249B1 KR 101926249 B1 KR101926249 B1 KR 101926249B1 KR 1020170015933 A KR1020170015933 A KR 1020170015933A KR 20170015933 A KR20170015933 A KR 20170015933A KR 101926249 B1 KR101926249 B1 KR 101926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mixer
molding machine
balance mete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142A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김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민 filed Critical 김영민
Priority to KR102017001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24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7Weight
    • B01F15/00194
    • B01F15/001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1Flow rate
    • B01F35/21111Mass flow 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투입기와 상기 원료투입기에서 공급되는 원료의 질량를 측정하는 저울계량기와 질량이측정된 원료를 혼합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된 원료를 성형하는 성형기를 포함하여, 원료의 공급부터 반응제 제조가 완료될때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로 진행할수 있고, 또한 혼합기 및 성형기를 상하로 일련배치하여 혼합기와 성형기내 원료들이 직접 하강하여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일수 있는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Automatic Making Machine of Reagent}
본 발명은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투입기와 상기 원료투입기에서 공급되는 원료의 질량를 측정하는 저울계량기와 질량이측정된 원료를 혼합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된 원료를 성형하는 성형기를 포함하여, 원료의 공급부터 반응제 제조가 완료될때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로 진행할수 있고, 또한 혼합기 및 성형기를 상하로 일련배치하여 혼합기와 성형기내 원료들이 직접 하강하여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가루형태의 재료를 혼합하여 대상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재료의 질량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전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될수 있도록 하는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활성탄을 제조하기 위한 조립활성탄제조장치로, 하기의 특허문헌처럼 원료저장호퍼와 혼합기, 성형조립기등으로 구성된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공보 제10-0156053(1998. 07. 20. 등록) "조립활성탄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하지만, 원료저장호퍼에서 혼합기로 재료가 공급시 여러 혼합 원료를 자동으로 측정할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반응제를 제조시 전과정을 자동화과정으로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원료투입기에서 공급되는 각각의 원료의 질량이 순차적으로 측정될 수 있는 저울계량기시스템을 구비하여, 원료의 공급을 자동화로 진행할 수 있는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기 및 성형기를 상하 일련배치하도록 하여 혼합기 내부의 원료가 바로 하강하여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를 공급하는 단계부터 모든 과정을 자동화로 진행할 수 있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는 원료투입기와 상기 원료투입기에서 공급되는 원료의 질량을 측정하는 저울계량기와 질량이 측정된 원료를 혼합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된 원료를 성형하는 성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원료투입기는 분말형태의 원료를 포함하며, 각각의 원료는 서로 다른 원료투입기에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저울계량기는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원료투입기에서 저울계량기로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이송관로를 제어하는 저울계량기제어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원료투입기로부터 순차적으로 각각의 원료가 저울계량기로 공급되도록 하여, 모든 원료의 질량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는 저울계량기가 혼합기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질량이 측정된 원료가 하강하여 혼합기에 투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혼합기가 성형기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혼합완료된 원료가 하강하여 성형기에 투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는 플런저로 혼합된 재료를 밀어서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펠렛 또는 구형형태의 반응제를 성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는 상기 성형기에서 성형된 반응제를 건조하는 컨베이어건조기와 상기 건조기를 통과한 반응제를 소성하는 소성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건조기는 건조해야 하는 반응제가 수납되는 건조기호퍼, 반응제를 연속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및 반응제를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건조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소성기는 소성해야 하는 반응제가 수납되는 소성기호퍼 및 상기 반응제가 소성되는 소성기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소성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기 내부 온도를 20 내지 200℃를 유지하며, 상기 소성기는 소성기 내부 온도를 50 내지 60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원료투입기에서 공급되는 각각의 원료의 질량이 순차적으로 측정될 수 있는 저울계량기시스템을 구비하여, 원료의 공급을 자동화로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기 및 성형기가 상하 일련배치되어 혼합기 내부의 원료가 바로 하강하여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를 공급하는 단계부터 모든 과정을 자동화로 진행할 수 있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의 구성도
도2는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칭되는 '반응제'는 파우더형태의 원료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을 하는 반응제 또는 촉매로 이용되는 펠렛 또는 구형등의 입자를 의미한다. 특히 반응제는 다른분야에서 사용가능하지만, 반도체 폐가스 치리용 흡착제 담체로 쓰이는 반응제를 제조하는데 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는 원료투입기(10)와 상기 원료투입기에서 공급되는 원료의 질량을 측정하는 저울계량기(20)와 질량이 측정된 원료를 혼합하는 혼합기(30)와 상기 혼합기(30)에서 혼합된 원료를 성형하는 성형기(40)와 상기 성형기(40)에서 성형된 반응제를 건조하는 컨베이어건조기(50)와 상기 건조기를 통과한 반응제를 소성하는 연속소성기(60)와 자동화제어장치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총괄제어부(70)을 포함한다. (이중, 총괄제어부(70)와 이하 혼합기제어부(35), 성형기제어부(43), 연속소성기제어부(63)은 도면에 미도시)
상기 원료투입기(10)는 반응제로 사용되는 원료를 투입하는 구성으로, 원료를 저장하는 원료통(11), 원료통의 원료가 저울계량기로 이송되는 원료이송관로(12)를 포함하며, 분말형태의 원료를 각각의 원료통(11)에 투입하면 원료이송관로(12)를 통해 원료가 이동하게 되며, 원료투입기(10)의 수량에는 제한이 없으며, 사용하는 분말원료의 수량만큼 사용가능하다.
상기 원료이송관로(12)는 분말형태 원료가 이송되는 관로로, 원료의 종류, 이송량, 이송시간에 따라 적절한 장치가 이용되며, 종류로는 흡인식 이송장치(이송관내 압력을 대기압 이하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 필터교체의 어려움과 미세분말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음), 압송식 이송장치(노즐을 통해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며 장거리 수송이 가능하나, 미세분진 발생으로 실내공기가 오염되며, 고압블러워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고, 필터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음), 고압저속 이송장치(공기량이 적으므로 소음 및 먼지가 적고, 원료형상의 파괴가 적으로, 혼합원료의 분리가 적은 장점이 있음), 코일스프링식 이송장치(이송관 내부에 구비된 이송코일스프링이 회전하면서 분말형태의 원료를 이송하는 것으로, 분진발생이 없으며, 필터막힘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송관의 굴곡이 용이하며,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간단한 장점이 있으나, 이송거리에 제한이 있고 설치장소가 적절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음)과 스크류식 이송장치(이송관 내부에 구비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원료를 이송하는 것으로, 먼지발생이 적고 정량이송이 가능하다는 장점)등이 있다. 이중 바람직하게 정량이송에 효율적인 스크류식 이송장치를 원료이송관로로 사용한다.
상기 저울계량기(20)는 상기 원료투입기(10)에서 공급된 원료의 질량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측정되는 원료의 질량을 설정하는 측정부(21)와 질량을 미리 설정하고, 설정한 질량만큼 원료가 공급되면 상기 원료이송관로(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저울계량기제어부(22)와 질량측정이 완료된 원료를 혼합기로 이송하는 저울계량기이송로(23)를 포함하여, 순차적으로 원료의 질량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여러개의 원료 중 첫번째 원료가 저울계량기제어부(22)에서 미리설정한 질량대로 공급이 되면, 저울계량기제어부(22)에서 첫번째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이송관로(12)를 제어하여 원료이송관로(12) 작동이 정지되게되며, 첫번째 원료에 대한 공급이 정지된다.
그리고 질량 측정이 완료된 첫번째 원료는 저울계량기이송로(23)를 통해 혼합기(30)로 이송된다. 그리고 두번째 원료의 원료투입기(10)가 작동되어, 두번째 원료의 원료투입기(10)에서 원료이송관로(12)를 통해 측정부(21)로 원료가 공급된다. 그래서 미리설정한 두번째 원료의 질량만큼 측정이 완료되면 다시 저울계량기이송로(23)를 통해 혼합기(30)로 이송된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원료의 질량을 측정하고, 질량이 측정된 원료는 저울계량기이송로(23)를 통해 혼합기(30)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원료투입기(10)에 투입된 모든 원료의 질량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료이송관로(12)와 저울계량기이송로(23)는 스크류식 이송장치를 이용하며, 분말형태의 원료들은 스크류를 통해 회전이 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혼합기(30)는 상기 저울계량기(20)에서 공급된 원료들을 혼합하는 구성으로, 상기 저울계량기(20)에서 이송된 원료를 혼합하는 혼합장치(31), 액체가 투입된 원료에 압력을 가하며 반죽하는 롤러(32), 액체를 투입하는 액체공급기(33), 액체공급기의 액체를 혼합기로 공급하는 액체공급기이송로(34), 혼합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혼합기제어부(35)을 포함하며, 분말형태의 원료를 골고루 뒤섞으며, 반응제마다 적합한 액체를 공급하여 분말형태의 원료를 반죽하여 원료들을 혼합한다.
상기 혼합장치(31)는 스크류, 리본혼합기, 텀블러혼합기등이 사용가능하며 반응제 종류에 따라 적합한 혼합장치를 사용하며, 상기 액체공급기(33)는 미리설정된 액체의 부피만큼 액체공급기이송로(34)를 통해 혼합기로 공급하며, 상기 롤러(32)는 분말형태의 원료에 액체가 공급되면 압력을 가해 분말형태의 원료가 반죽형태가 될수 있도록 하며, 2단 내지 3단형태로 되어 있어 반죽이 여러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혼합기(30)는 상하일련배치되어 있어, 반죽은 추가적인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이송가능하며, 하강하면서 롤러(32)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성형기(40)는 상기 혼합기(30)에서 혼합된 원료들을 구형이나 펠렛등과 같은 입자형태로 성형하는 구성으로, 혼합기 내 압력을 가하는 플런저(41)와 반응제가 배출되는 노즐(42), 성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성형기제어부(43)을 포함하고 있으며, 성형기(40)는 혼합기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혼합된 원료가 하강하며 투입되면 압력을 가하는 플런저가 왕복운동을 하며 혼합된 원료를 노즐(42)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성형기(40)에서 성형된 반응제는 성형기이송로(A)를 통해 컨베이어건조기(50)로 이동하는데, 상향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반응제가 위쪽으로 이동하며, 셩형기이송로(C) 종류지점에서 반응제가 하강하며 컨베이어건조기(50)로 전달된다.
상기 혼합기(30)와 성형기(40)는 상하로 일련배치되어 있어 별도의 이송로를 통과하지 않고, 추가적인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도, 분말형태의 원료가 하강하면, 반죽형태로 혼합되고, 이는 다시 성형기로 하강하여 성형이 진행되게 되는바, 혼합기(30)와 성형기(40)의 공정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건조기(50)는 상기 성형기(40)에서 성형된 반응제를 건조하는 구성으로, 건조해야 하는 반응제가 수납되는 건조기호퍼(51)와 반응제가 이동되는 컨베이어(52), 반응제를 건조하는 건조기(53), 컨베이어건조기를 제어하는 컨베이어건조기제어부(54)를 포함한다.
건조기호퍼(51)에 수납된 반응제는 컨베이어(52)로 순차적으로 하강하게 되고, 건조기(53)내에서 건조가 진행된다. 컨베이어(52)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을 하는바, 컨베이어(52)위에 있는 반응제는 이동되면서 건조과정이 함께 진행된다. 컨베이어건조기(50)는 반응제의 종류에 따라 반응온도와 운반속도 조절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 20 내지 200℃온도를 유지한다. 컨베이어건조기제어부(54)는 컨베이어건조기(50)의 컨베이어(52)의 이동속도, 건조기(53)의 온도 등 컨베이어건조기의 작동사항을 제어한다.
상기 연속소성기(60)는 상기 컨베이어건조기(50)를 통과한 반응제를 소성하는 구성으로, 건조과정이 완료된 반응제가 수납되는 소성기호퍼(61)와 반응제가 소성되는 소성기(62), 연속소성기를 제어하는 연속소성기제어부(63)을 포함하며, 연속소성기의 온도는 반응제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며, 바람직하게 50 내지 600℃ 온도를 유지한다. 연속소성기(60)는 로터리킬른(Rotary Kiln)과 같은 연속적소성이 가능한 것이면 어느것이든 가능하다. 로터리킬른은 원통형 가로틀의 회전식 가마로, 큰 원통이 경사지게 가로 놓이고 그것을 회전시키면서 반응제를 이동시킨다.
상기 제어기(70)는 MMI와 같은 자동화프로그램을 통해 전 장비를 프로그래밍하는 구성으로, 저울계량기제어부(22), 혼합기제어부(35), 성형기제어부(43), 컨베이어건조기제어부(54), 연속소성기제어부(63)의 각각의 제어부를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래서 설정무게를 비롯하여 각 개별건조기의 설정을 총괄적으로 제어하여 저울계량기에서 측정하는 질량, 컨베이어건조기와 연속소성로의 이동속도, 시간 등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반응제 제조장치는 구체적으로 반도체 폐가스 처리용 흡착제 담체의 다공성 구조체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로 가장 적합한 장치인바, 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반도체 폐가스 처리용 흡착제 및 촉매의 다공성 구조체는 반도체 폐가스 등에서 유해물질(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을 제거하는 흡착제 또는/ 및 금속 촉매의 담체로 사용되며, 비표면적, 흡착률 등의 기존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고온에서 사용이 가능하여 화재 위험성을 줄이고, 석탄계 활성탄에 보조 흡착물질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향상된 강도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활성탄은 다공성 구조체를 구성하는 기본 물질로 넓은 비표면적으로 인해 강한 흡착성을 가지며, 10 내지 8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고, 분말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평균입도가 1 내지 100um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성탄은 높은 발화온도를 가지는 석탄계 활성탄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흡착물질은 흡착성을 가지며 다공성 구조체의 성형성(또는 제조된 다공성 구조체의 강도)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10 내지 8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고, 분말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평균입도가 1 내지 100um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흡착 물질은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천연 제올라이트, 제올라이트 13X, Y-제오라이트, USY-제올라이트 등), 규조토, 점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조된 다공성 구조체가 큰 강도와 넓은 비표면적을 가지기 위해 이산화규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는 다공성 구조체의 성형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물질로, 1 내지 50중량부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로는 상기 슈도보헤마이트가 혼합된 산성 용액, 슈도보헤마이트가 혼합된 알칼리 용액, 5 내지 15% 농도의 알칼리 용액(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이 사용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슈도보헤마이트가 혼합된 산성 용액은 5 내지 15%의 농도를 가지는 산성 용액(초산, 인산, 구연산 등이 사용됨)에 슈도보헤마이트 분말(평균입도가 1 내지 100um임)을 혼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슈도보헤마이트가 혼합된 알칼리 용액의 5 내지 15%의 농도를 가지는 알칼리 용액(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이 사용됨)에 슈도보헤마이트 분말(평균입도가 1 내지 100um임)을 혼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슈도보헤마이트는 산성 용액 또는 알칼리 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80중량부가 사용되게 된다.
원료투입기(10)의 원료통(11)에 반도체 폐가스 흡착제의 담체 제조시 원료가 되는 석탄계활성탄, 보조흡착물질 및 바인더를 투입하며, 상기 보조흡착물질은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천연 제올라이트, 제올라이트 13X, Y-제오라이트, USY-제올라이트, 규조토 및 점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바인더는 상기 슈도보헤마이트가 사용된다. 이들은 원료이송관로(12)를 통해 저울계량기(20)로 이송된다.
상기 저울계량기(20)는 공급된 석탄계활성탄, 보조흡착물질 및 바인더의 질량을 측정한다. 저울계량기제어부(22)를 통해 석탄계활성탄은 10 내지 80중량부, 상기 보조흡착 물질은 10 내지 80중량부 및 바인더는 1 내지 50중량부의 범위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석탄계활성탄 26중량부, 보조흡착물질로 산화알루미늄 26중량부, 바인더로 슈도보헤마이트 16중량부가 되도록 질량을 설정하며, 측정부(21)는 순차적으로 각각의 재료를 측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설정된 질량대로 측정이 완료되면 저울계량기이송로(23)를 통해 혼합기(30)로 이송된다.
상기 혼합기(30)는 저울계량기이송로(23)에서 공급된 석탄계활성탄, 보조흡착물질 및 바인더를 혼합장치(31)를 통해 혼합하며, 액체공급기(33)에 보관되있던 5 내지 15% 농도의 범위내 산성 용액 또는 알칼리 용액, 바람직하게는 초산 4중량부와 물 27중량부가 혼합된 산성용액을 상기 중량부에 적합한 부피만큼 액체공급기이송로(34)를 통해 공급되고, 분말형태의 원료들에 액체형태의 원료가 혼합된다. 이러한 혼합원료들은 하강하며 롤러(32)에 투입되며, 롤러를 통해 압력이 가해지면서 반죽형태의 혼합원료가 제조된다. 반도체 폐가스 처리용 흡착제 담체의 다공성 구조체를 제조하는 경우 혼합장치(31)은 리본혼합기(ribbon blender)를 사용하여 제조하는데, 리본혼합기는 회전축에 리본 같은 날개가 붙은 혼합기를 의미한다.
상기 성형기(40)는 상기 혼합기(30)에서 하강하며 배출된 원료들을 성형하게 되며, 플런저(41)가 압력을 가하여 노즐(42)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노즐(42)을 통해 배출되는 원료는 펠렛형태의 작은 입자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바로 성형기이송로(A)를 통해 이송된다.
상기 컨베이어건조기(50)의 건조기호퍼(51)를 통해 수납된 반응제는 컨베이어(52)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건조기(53)을 통과하게 된다. 켄베이어건조기제어부(54)에서 건조기의 온도를 20 내지 120℃ 온도가 유지되도록 설정하며, 컨베이어(52)에 위치한 반응제는 이동되면서 계속 건조가 진행된다. 컨베이어건조기(50)를 통과한 반응제는 컨베이어건조기이송로(A')를 통해 소성기호퍼(61)로 이송된다.
상기 연속소성기(60)는 건조가 완료된 반응제를 소성하는 과정으로, 연속소성기는 로터리킬른소성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건조기이송로(A')를 통해 소성기호퍼(61)로 이송된 반응제는 연속소성기(60)에서 소성되며, 연속소성기(60) 온도는 300 내지 600℃ 온도를 유지하며, 연속소성기(60)를 통과하면 전체과정은 완료된다. 이러한 일련의 자동화연속공정을 통해, 반도체 폐가스 처리용 흡착제 담체로 사용되는 다공성 구조체를 제조하는데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원료투입기
11: 원료통 12: 원료이송관로
20: 저울계량기
21: 측정부 22: 저울계량기제어부 23: 저울계량기이송로
30: 혼합기
31: 혼합장치 32: 롤러 33:액체공급기 34: 액체공급기이송로
35: 혼합기제어부
40: 성형기
41: 플런저 42: 노즐 43: 성형기제어부
A: 성형기이송로
50: 컨베이어건조기
51: 건조기호퍼 52: 컨베이어 53:건조기 54:컨베이어건조기제어부
A': 컨베이어건조기이송로
60: 연속소성기
61: 소성기호퍼 62:소성기 63: 연속소성기제어부
70: 총괄제어부

Claims (9)

  1. 반도체 폐가스 처리용 흡착제 담체로 쓰이는 반응제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각각 다른 분말 원료를 공급하는 복수 개의 원료투입기와; 각각의 원료투입기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말 원료를 공급받아 분말 원료 각각의 질량을 측정하는 저울계량기와; 상기 저울계량기에서 질량이 측정된 분말 원료들을 혼합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에서 혼합된 원료를 입자 형태로 성형하여 반응제를 형성하는 성형기와; 상기 성형기에서 형성된 반응제를 이송시키는 성형기이송로와; 상기 성형기이송로를 통해 공급된 반응제를 건조하는 컨베이어건조기와; 상기 컨베이어건조기에서 건조된 반응제를 소성하는 연속소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투입기는 각각 다른 분말 형태의 원료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원료통과, 상기 복수 개의 원료통 각각에 매칭되며 원료통에 저장된 원료가 상기 저울계량기로 이송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원료이송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이송관로에는 스크류식 이송장치가 사용되고,
    상기 저울계량기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질량이 측정된 원료를 혼합기에 이송되도록 하는 저울계량기이송로와, 측정부, 저울계량기이송로 및 복수 개의 원료이송관로의 작동을 제어하여 특정 원료가 설정한 질량만큼 혼합기에 공급되도록 하는 저울계량기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울계량기이송로에는 스크류식 이송장치가 사용되며,
    상기 저울계량기제어부는 각각의 분말 원료마다 질량을 설정하고, 일 원료이송관로를 작동시켜 공급받은 특정 분말 원료에 대한 측정부의 질량 측정 결과가 설정된 질량을 가지는 경우 상기 일 원료이송관로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저울계량기이송로를 작동시킴으로써, 반응제를 구성하는 분말 원료들이 순차적으로 설정된 양만큼 상기 혼합기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혼합기는 일정량의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기와, 상기 저울계량기에서 공급되는 분말 원료들과 상기 액체공급기에서 공급되는 액체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장치와, 상기 혼합장치에서 형성된 혼합물에 압력을 가하여 반죽 형태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기는 내부에서 왕복 운동을 하여 공급된 반죽 형태의 혼합물에 압력을 가하는 플런저와, 성형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플런저가 밀어낸 혼합물을 배출하는 노즐을 포함하여,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펠렛 또는 구형형태의 반응제를 형성하고,
    상기 성형기이송로는 상향식으로 설치되어 반응제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컨베이어건조기에 공급되며,
    상기 저울계량기는 혼합기 상부에 위치하여 질량이 측정된 원료가 하강하여 혼합기에 투입되며, 상기 혼합기는 성형기 상부에 위치하여 혼합물이 하강하여 성형기에 투입되고, 상기 혼합장치는 롤러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혼합장치에서 혼합된 혼합물은 하강하여 롤러를 통과하고,
    상기 컨베이어건조기는 상기 성형기이송로에서 공급된 반응제가 수납되는 건조기호퍼와, 상기 건조기호퍼에 수납된 반응제를 연속이동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반응제를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건조가 진행되며,
    상기 연속소성기는 건조된 반응제가 수납되는 소성기호퍼와, 상기 소성기호퍼에 수납된 반응제를 소성시키는 소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기의 내부 온도는 20 내지 120℃를 유지하고, 상기 소성기의 내부 온도는 300 내지 600℃를 유지하며,
    상기 저울계량기가 상기 혼합장치로 공급하는 분말 원료는 석탄계활성탄 26중량부, 산화알루미늄 26중량부 및 슈도보헤마이트 16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체공급기가 상기 혼합장치로 공급하는 액체는 초산 4중량부와 물 27중량부가 혼합된 산성용액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15933A 2017-02-06 2017-02-06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 KR101926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933A KR101926249B1 (ko) 2017-02-06 2017-02-06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933A KR101926249B1 (ko) 2017-02-06 2017-02-06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142A KR20180091142A (ko) 2018-08-16
KR101926249B1 true KR101926249B1 (ko) 2018-12-06

Family

ID=6344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933A KR101926249B1 (ko) 2017-02-06 2017-02-06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2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72B1 (ko) * 2019-11-15 2020-05-26 주식회사 그린시스템 생분해성 재료 컴파운딩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529B2 (ja) * 1997-06-13 2002-03-18 中国塗料株式会社 塗料混合装置および方法
KR200333370Y1 (ko) * 2003-07-04 2003-11-15 이현숙 플라스틱 원료에 철분말이 혼합된 바란스 제품의사출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529B2 (ja) * 1997-06-13 2002-03-18 中国塗料株式会社 塗料混合装置および方法
KR200333370Y1 (ko) * 2003-07-04 2003-11-15 이현숙 플라스틱 원료에 철분말이 혼합된 바란스 제품의사출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72B1 (ko) * 2019-11-15 2020-05-26 주식회사 그린시스템 생분해성 재료 컴파운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142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249B1 (ko) 반응제 자동화제조장치
CN104261451A (zh) 一种轻质碳酸钙的生产方法
CN108117376A (zh) 一种烧结多孔砖的制备方法
RU2005100862A (ru) Способ обжига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й минеральной шихты
CN208377954U (zh) 一种活性炭烘干用进料机构
CN106430184A (zh) 一种化学法制活性炭的多层链板式活化炉
CN201400730Y (zh) 化纤纺丝干燥装置
CN105674711A (zh) 砖坯烘干装置
FI126239B (fi) Laitteisto lentotuhkan rakeistamiseen
RU2491234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шихты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клогранулята для пеностекла
CN111333396B (zh) 一种抹灰石膏制备系统
KR20100024606A (ko) 수직형 소성로를 이용한 자열 소성체 제조방법
CN209451616U (zh) 干法脱硫系统
CN108697978B (zh) 脱硫系统的运行方法
CN105536643A (zh) 一种陶瓷粉料造粒加工设备
CN202212155U (zh) 干法造粒设备
CN206840436U (zh) 一种智能化自保温砌块给料系统
CN110557946A (zh) 有机污泥的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216584208U (zh) 一种浸渍活性炭生产系统
CN109499295A (zh) 干法脱硫系统
CN201685333U (zh) 干粉砂浆旋转生产线
CN217368432U (zh) 一种负载型催化剂的生产设备
CN205352052U (zh) 一种辊道窑自动上料系统
RU2008118935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RU101968U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пресс-порш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