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176B1 -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176B1
KR101926176B1 KR1020180014015A KR20180014015A KR101926176B1 KR 101926176 B1 KR101926176 B1 KR 101926176B1 KR 1020180014015 A KR1020180014015 A KR 1020180014015A KR 20180014015 A KR20180014015 A KR 20180014015A KR 101926176 B1 KR101926176 B1 KR 101926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ant current
group
controlling
current regulator
current regul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영
임민수
박재우
홍원대
노행근
이민우
서사도
Original Assignee
유양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양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양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81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17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 G08G5/0026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located o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6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aircraft runway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단계별로 밝기가 조정되는 항공등화에 전류원 소스를 공급하는 정전류조정기(CCR : Constant Current Regulator)의 순차적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정전류조정기를 용도를 포함하여 분류한 다수의 그룹(group)으로 구성하는 그룹화단계와; 상기 그룹화단계에서 분류된 각각의 그룹 내에 속한 정전류조정기 전체를 동시에 온/오프(ON/OFF) 상태로 제어하는 그룹별 관제단계와, 상기 그룹별로 온(ON) 상태로 제어시 그룹 내의 모든 정전류조정기로의 전원공급을 최저밝기단계로 제어하는 스탠바이단계로 구성되어,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그룹 제어단계; 및 상기 그룹 제어단계 종료 후, 그룹에 상관 없이 다수의 정전류조정기별로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 제어단계는 어느 하나의 그룹 제어 후 다른 하나의 그룹을 제어할 경우 일정시간 대기 후에 제어하고, 상기 개별 제어단계는 상기 정전류조정기의 각각을 항공등화의 설정된 밝기단계까지 한 단계씩 조정하며, 각각의 밝기단계 조정 후에는 일정시간 대기 후에 다음 밝기단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SEQUENCIAL CONTROL METHOD OF CONSTANT CURRENT REGULATOR}
본 발명은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항에서 항공기의 이착륙을 돕기 위해 사용하는 항공등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류조정기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공등화는 빛, 색채 및 배열로 구성되어 주위 밝기, 시정 및 운고 등에 따라 적정한 광도로 조절되어 조종사에게 이착륙에 필요한 모든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활주로등, 선회등, 유도로등, 풍향등, 정지로등, 비상용 등화 등을 포함한다. 항공 등화 제어시스템은 공항에서 항공등화 관제사에 의해 정전류조정기를 온/오프하거나 항공 등화에 공급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등화의 밝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최근에는 전력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공항에 설치된 항공 등화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따라 항공 등화를 온/오프 제어하는 기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항에서 항공등화의 운영은 기상조건에 따라 또는 태양의 조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맞춰 일률(일괄)적으로 등화의 밝기가 적용된다. 따라서, 공항에 설치된 항공등화는 일시에 켜지거나(ON) 꺼지고(OFF), 동시에 정해진 밝기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정전류조정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류조정기 전원 공급부에 발생하는 돌입전류로 인해 정전류조정기 및 항공등화가 손상되고, 수명이 단축되며, 이로 인한 유지/관리/보수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항공등화는 항공기의 이착륙을 위해 없어서는 안될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인천공항과 같은 대형 공항의 경우 항공등화의 수가 수만 개에 달하므로 항공등화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는 대형 항공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 될 수 있다.
(0001)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302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시에 켜지거나 꺼지는 항공등화의 제어방법을 순차적 제어방법으로 변경함으로써, 일시에 점등시 정전류조정기 전원 공급부에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항공등화의 순차적 제어방법은, 단계별로 밝기가 조정되는 항공등화에 전류원 소스를 공급하는 정전류조정기(CCR : Constant Current Regulator)의 순차적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정전류조정기를 용도를 포함하여 분류한 다수의 그룹(group)으로 구성하는 그룹화단계와; 상기 그룹화단계에서 분류된 각각의 그룹 내에 속한 정전류조정기 전체를 동시에 온/오프(ON/OFF) 상태로 제어하는 그룹별 관제단계와, 상기 그룹별로 온(ON) 상태로 제어시 그룹 내의 모든 정전류조정기로의 전원공급을 최저밝기단계로 제어하는 스탠바이단계로 구성되어,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그룹 제어단계; 및 상기 그룹 제어단계 종료 후, 그룹에 상관 없이 다수의 정전류조정기별로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 제어단계는 어느 하나의 그룹 제어 후 다른 하나의 그룹을 제어할 경우 일정시간 대기 후에 제어하고, 상기 개별 제어단계는 상기 정전류조정기의 각각을 항공등화의 설정된 밝기단계까지 한 단계씩 조정하며, 각각의 밝기단계 조정 후에는 일정시간 대기 후에 다음 밝기단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밝기단계는 1 내지 7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별 제어단계의 밝기단계 조정 단계별 대기 시간은 50 ~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제어를 통해 정전류조정기 전원공급부의 돌입전류를 감소시켜 정전류조정기로 안정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안정된 전원공급으로 인해 정전류조정기와 항공등화의 고장을 방지하고, 제품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유지/관리/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전류조정기와 항공등화를 안전하게 관리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운영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등화 제어 및 감시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전류조정기의 그룹화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등화 제어 및 감시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전류조정기의 그룹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은 단계별로 밝기가 조정되는 항공등화에 전류원 소스를 공급하는 정전류조정기(CCR : Constant Current Regulator)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정전류조정기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정전류조정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류조정기 전원 공급부에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최소화함으로써, 정전류조정기와 이에 연결된 다수의 항공등화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항공등화는 인천공항의 경우 수만 개에 이를 정도로 많은 수의 등기구로 구성되며, 적게는 수 개의 항공등화에서부터 많게는 수백 개의 항공등화가 하나의 정전류조정기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전류조정기 역시 수백 개로 구성되며, 이를 일시에 동작시킬 경우 상당한 돌입전류가 발생되므로, 정전류조정기는 물론 항공등화에도 손상이 가해지며, 제품수명에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물론, 정전류조정기 자체에도 돌입전류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가 구성되어 있으나, 비행기의 이착륙을 위해 필수적으로 있어야 할 항공등화는 매일 온(ON)/오프(OFF) 제어되거나, 밝기가 일시에 설정된 밝기로 조정되어야 하므로, 그 중요도를 고려하였을 때 이중 삼중의 안전장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필수적인 구성요건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그룹화단계(S100), 그룹 제어단계(S200) 및 개별 제어단계(S300)의 방법으로 진행된다.
그룹화단계(S100)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정전류조정기를 용도에 따라 다수의 그룹(group)으로 구성하는 단계이며, 그룹화 방법은 용도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그룹 제어단계(S200)는 용도별로 분류한 그룹별 한 묶음 단위로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로써, 그룹별 관제(管制)단계(S210) 및 스탠바이단계(S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룹별 관제단계(S210)에서는 상기와 같이 분류된 각각의 그룹내에 속한 정전류조정기 전체를 동시에 온오프(ON/OFF) 상태로 제어한다.
스탠바이단계(S220)에서는 그룹별로 온(ON) 상태로 제어시 그룹 내의 모든 정전류조정기로의 전원공급을 최저밝기단계로 제어한다. 밝기단계는 보통 1단계에서 7단계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밝기 단수는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그룹 제어단계(S200)에서는 그룹별로, 그룹에 속한 정전류조정기 전체를 온오프 상태로 제어하며, 온(ON) 상태로 제어시 밝기 상태를 1단계까지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어느 한 그룹 제어 후 다른 하나의 그룹을 제어할 경우에는 일정시간 대기 후에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시간이라 함은 각 공항 여건에 따르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50 ~ 500㎳로 설정할 수 있다.
그룹별 제어가 종료된 후에는 개별 제어단계(S300)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개별 제어단계(S300)는 그룹에 상관없이 모든 정전류조정기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단계이다.
즉, 개별 제어단계(S300)에서는 1단계에 맞춰 항공등화에 대한 출력 전류로 조정된 모든 정전류조정기를 설정된 단계까지 순차적으로 밝기를 조정한다.
물론, 오프(Off) 상태로 제어시에는 그룹 제어단계(S200)에서 제어가 완료되며, 개별 제어단계(S300)는 온(ON) 상태로 제어시에만 수행되는 단계이다.
개별 제어단계(S300)에서는 각각의 정전류조정기를 항공등화의 설정된 밝기단계까지 한 단계씩 조정하며, 각각의 밝기단계 조정 후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일정시간 대기 후에 다음 단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1 ~ N(번) 까지의 정전류조정기가 존재할 경우 밝기 단계를 3단계로 조정한다면 그룹 제어단계에서 모든 정전류조정기는 1단계로 조정된 상태이며, 이후 1번 정전류조정기를 2단계로 제어 후 2번부터 N번까지의 정전류조정기를 순차적으로 2단계로 제어한다. 또한, N번 정전류조정기까지 2단계로 모두 조정한 후에는 다시 1번 정전류조정기부터 3단계로 조정 후 N번 정전류조정기까지 순차적으로 3단계로 조정한다.
전술한 본 발명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항공등화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분석한 후 1 ~ N번까지 그룹화된 정전류조정기 그룹 중 1번 그룹에 속한 정전류조정기의 밝기를 1단계로 조정한다.
1번 그룹 내 모든 정전류조정기를 온 상태로 제어시 밝기를 1단계로 제어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1번 그룹 내 모든 정전류조정기를 오프상태로 제어한다.
제어 후에는 일정시간을 대기하며, 일정 시간 대기 후에는 2번 그룹 내 정전류조정기를 상기와 같이 제어하여 N번 그룹까지 수행한다.
N번 그룹가지 수행한 후에는 그룹에 상관없이 1 ~ N번까지의 모든 정전류조정기를 1번 정전류조정기부터 순차적으로 제어한다.
이때, 밝기를 1단계로 설정시에는 전술한 그룹 제어단계(S200)에서 제어가 마무리되며, 밝기를 3단계로 설정했다고 가정할 경우 S = S(1) + 1(그룹 제어단계에서 S = 1로 조정했으므로 S = 2 / 컴퓨터 명령어로 인코딩시 S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하게 입력함)에 의해 1번 정전류조정기의 밝기가 2단계로 조정된다.
1번 정전류조정기의 밝기가 2단계로 조정된 후에는 일정시간 대기 후 2번 정전류조정기를 상기와 같이 제어하여 N번 정전류조정기까지 2단계 밝기로 조정한다.
N번 정전류조정기까지 2단계 밝기로 조정 후에는 다시 1번 정전류조정기의 밝기를 S = S(2) + 1에 의해 밝기가 3단계로 조정된다.
동일하게 N번 정전류조정기까지 3단계로 밝기가 조정된 후에는 제어절차가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룹별 제어와 개별적 제어를 각각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항공등화 제어 및 감시시스템이 항공등화를 제어할 때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전원 공급의 급격한 변동을 줄일 수 있다.
S100 : 그룹화단계
S200 : 그룹 제어단계
S210 : 그룹별 관제단계 S220 : 스탠바이단계
S300 : 개별 제어단계

Claims (3)

  1. 단계별로 밝기가 조정되는 항공등화에 전류원 소스를 공급하는 정전류조정기(CCR : Constant Current Regulator)에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순차적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정전류조정기를 용도를 포함하여 분류한 다수의 그룹(group)으로 구성하는 그룹화단계와;
    상기 그룹화단계에서 분류된 각각의 그룹 내에 속한 정전류조정기 전체를 동시에 온/오프(ON/OFF) 상태로 제어하는 그룹별 관제단계와, 상기 그룹별로 온(ON) 상태로 제어시 그룹 내의 모든 정전류조정기로의 전원공급을 최저밝기단계로 제어하는 스탠바이단계로 구성되어,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그룹 제어단계; 및
    상기 그룹 제어단계 종료 후, 그룹에 상관 없이 다수의 정전류조정기별로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 제어단계는 어느 하나의 그룹 제어 후 다른 하나의 그룹을 제어할 경우 일정시간 대기 후에 제어하고,
    상기 개별 제어단계는 상기 정전류조정기의 각각을 항공등화의 설정된 밝기단계까지 한 단계씩 조정하며, 각각의 밝기단계 조정 후에는 일정시간 대기 후에 다음 밝기단계로 조정하며, 상기 개별 제어단계의 밝기단계 조정 단계별 대기 시간은 50 ~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단계는 1 내지 7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
  3. 삭제
KR1020180014015A 2018-02-05 2018-02-05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 KR101926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15A KR101926176B1 (ko) 2018-02-05 2018-02-05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015A KR101926176B1 (ko) 2018-02-05 2018-02-05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176B1 true KR101926176B1 (ko) 2018-12-07

Family

ID=6466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015A KR101926176B1 (ko) 2018-02-05 2018-02-05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9764A (zh) * 2019-09-26 2020-01-14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动态模拟的飞机离场放行排序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9954A (ja) * 2004-05-11 2005-11-17 Hitachi Cable Ltd 発光ダイオードユニットの点灯方式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9954A (ja) * 2004-05-11 2005-11-17 Hitachi Cable Ltd 発光ダイオードユニットの点灯方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9764A (zh) * 2019-09-26 2020-01-14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动态模拟的飞机离场放行排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549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lluminating environments
US20110031896A1 (en) Lighting device for lighting the airfield of an airport
US5289110A (en) Input current responsive, tap changing transformer system
US9655186B2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for an aircraft and aircraft comprising such emergency lighting system
CN103607832B (zh) 智能led照明系统的控制方法
KR101705424B1 (ko) 항공등화시스템 개별등화기의 원격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KR101631349B1 (ko) 항공등화시스템
KR101926176B1 (ko) 정전류조정기의 순차적 제어방법
CN103687168A (zh) 航空指示灯及航空指示灯系统
US7327283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flight deck module integration
CN210247120U (zh) 一种基于无线物联网通信的助航灯光监控系统
KR101020869B1 (ko)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KR101901994B1 (ko) 제어소의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전류조정기의 자동 절체 방법
AU2017395527B2 (en) Chained flashlight system
US20110210607A1 (en) Adaptive power supply
EP3259960B1 (en) Airfield runway lamp controller
US20210407287A1 (en) Traffic management system and traffic management method including portable traffic controller
KR102016595B1 (ko) 통신기능 내장형 스마트 엘이디 항공등화
KR101908458B1 (ko) 항공등화용 정전류조정기의 출력전류 자동제어 장치
CN105322652B (zh) 具有余度供电的直升机机内照明亮度调节控制电路及方法
KR102646515B1 (ko) Nvg 모드가 부가된 항공 등화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1800926A (zh) 一种e-house室内设备间的照明供电系统及方法
CN204494333U (zh) 机场助航灯分段控制装置
CN204482093U (zh) 助航灯分段控制装置
KR102328898B1 (ko) 교통 신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