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595B1 - 통신기능 내장형 스마트 엘이디 항공등화 - Google Patents
통신기능 내장형 스마트 엘이디 항공등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6595B1 KR102016595B1 KR1020190008359A KR20190008359A KR102016595B1 KR 102016595 B1 KR102016595 B1 KR 102016595B1 KR 1020190008359 A KR1020190008359 A KR 1020190008359A KR 20190008359 A KR20190008359 A KR 20190008359A KR 102016595 B1 KR102016595 B1 KR 1020165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d
- communication
- cpu
- power line
- communication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306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58 core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B64F1/20—Arrangement of optical beac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 H05B33/0809—
-
- H05B33/0884—
-
- H05B37/0263—
-
- H05B37/03—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203/00—Aircraft or airfield lights using LE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통신 기능을 내장한 엘이디 항공등화에 관한 것으로서, LED 램프모듈; LED 램프모듈을 ON/OFF 시키는 LED 드라이버; LED 램프모듈 및 LED 드라이버의 동작 상태를 감시 제어하고 그 상태를 통신부에 알리는 CPU; 및 주제어유닛(MCU)과 전력선을 통하여 LED 램프모듈과 LED 드라이버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전력선모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 내장형 스마트 엘이디 항공등화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공등화시설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의 이착륙시 안전운행을 돕기 위해 지상이나 항공기에 설치하는 등화 또는 조명시설을 총칭하여 항공등화시설 또는 항공조명시설이라고 한다.
이러한 항공등화시설은 공항 등화시설, 항공로 등화시설, 항공장애물 등화시설, 항공기 등화시설로 분류된다.
항공등화를 운용하는 방법은 기존 대부분의 공항은 그룹제어 방법이다. 공항은 Relay Panel Control - Relay Panel - 정전류조정기(Constant Current Regulator, CCR)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간의 연결은 제어 및 감시용 멀티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Relay Panel Control과 항공등화 제어소 및 관제탑 간의 연결은 TCP/IP 또는 멀티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정전류조정기(CCR)에 여러 개의 항공등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항공등은 일괄적으로 제어된다.
정전류조정기(CCR)는 절연 변압기(Isolating Transformer)를 통해 항공등과 직렬 회로를 구성한다. 정전류조정기(CCR)은 항공등의 안전한 점등을 위해 전원 전압이나 주파수의 변동이나 부하 용량 변동이 있더라도 정전류 출력을 공급하는 기능과 개로 과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져야 하며 관제탑 또는 감시실에서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어야 한다. 제어의 범위는 정전류조정기(CCR) 전원의 ON/OFF와 전류 단수를 변경하는 것이다. 전류 단수는 시정에 따라 항공등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변경한다.
항공등화는 일반적으로 부하의 변동이나 전원 전압의 변동이 있더라도 정전류 출력을 공급하는 정전류조정기(CCR)를 이용하여 그룹별 또는 등화 종류별로 그룹제어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때, 정전류조정기(CCR)는 여러 개의 항공등화들이 직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관제탑 및 항공등화 제어소에서는 정전류조정기(CCR) 단위별로 ON/OFF 제어, 단수 변경 및 상태를 감시할 수는 있으나 개별 항공등화의 ON/OFF, 단수 변경 및 상태감시는 할 수 없었다.
이러한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개별 전구감시 및 제어 시스템(ILCMS)이 각 공항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 시스템은 정전류조정기(CCR)의 그룹별 제어가 아닌 개별 항공등화의 ON/OFF 및 고장 유무 등의 상태 감시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 개별 전구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적용으로 정전류조정기(CCR)의 상태 및 고장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유지보수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항공등화의 ON/OFF, 고장 시간, 고장 위치, 유지보수 이력 등을 확인하여 유지보수 업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즉, 1세대 항공등화시스템은 항공등화 원격제어시스템(ALCMS)-정전류조정기(CCR)-절연변압기-항공등화로 항공등화를 정전류조정기(CCR)의 그룹으로 제어를 했다면, 2세대 항공등화시스템은 항공등화 원격제어시스템(ALCMS)-정전류조정기(CCR)-주제어유닛(MCU)-절연변압기(IT)-램프제어유닛(LCU)-항공등화(Lamp)의 시스템으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2세대의 항공등화 시스템은 전력선 통신모뎀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선의 누화 및 전력 공급선 교차시 통신 시스템상의 혼선이 발생할 수 있고 외부 유입 노이즈가 통신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은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유지보수의 효율성 증가 및 개별 제어로 인한 에너지 절감 효과로 점차 이러한 2세대 시스템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2세대 항공등화 시스템은 할로겐 항공등화를 LED 항공등화로 대체하면서 중요한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기존 할로겐 항공등화는 고장의 유형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필라멘트 소손으로 회로가 개방(Open) 되며, 이러한 개방(Open)으로 인하여 전류가 0(zero)이 되므로 이 전류가 없는 상태를 램프제어유닛(LCU)에서 감지를 하여 주제어유닛(MCU)와 통신을 하여 고장 유무를 항공등화 원격제어시스템(ALCMS)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LED 항공등화는 LED 항공등화를 구성하는 LED 모듈과 구동장치가 있는데 LED 모듈은 고장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데 구동장치의 고장 유무는 검출 할 수 없다.
즉, LED 항공등화는 LED 모듈과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장 유형도 LED 모듈 자체의 고장과 LED를 점등시키는 구동장치의 고장으로 나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LED 모듈의 고장은 회로의 단락(Short)과 회로의 개방(Open) 고장이 있으며 구동장치도 각 부품의 고장에 따라 고장 유형이 발생하는데 LED 모듈의 고장은 LED 모듈의 고장을 구동부 회로에서 인식하여 릴레이를 구동하여 회로를 할로겐 항공등화의 고장처럼 회로가 개방(Open) 시켜 전력선 모뎀에서 고장 유무를 검출 할 수 있다. 즉, 할로겐 항공등화와 동일한 방식으로 고장유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LED 구동장치는 각각의 부품이 손상되어도 회로의 전류는 완전 0(zero)이 되지 않으며 구동장치가 고장이 될 때 릴레이를 개방(Open) 시킬 수 없는 경우가 생기므로 LED 구동장치의 고장 유무는 완벽하게 검출 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참고로 LED 항공등화는 등화의 종류에 따라 LED 모듈의 수량이 다른데, LED 국제 규격 상 LED 모듈이 25% 이상 소손되어 고장이 나면 전체 LED 모듈을 소등시켜야 한다. 이렇게 25% 이상이 소손이 되면 조종사가 항공등화의 광도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을 수 있고 혼란이 가중되므로 전체 LED 모듈을 소등시키고 유지보수 하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제2세대 항공등화 시스템인 개별전구제어 및 감시시스템(ILCMS)은 LED 항공등화를 적용하는 경우 구동장치의 완벽한 고장 유무를 검출 할 수 없으므로 공항의 적용에 한계가 발생하였고 적용한 공항에서는 LED 모듈의 고장만을 검출하고 있다.
따라서, 제안하는 특허는 통신기능을 하는 통신부(전력선모뎀)을 항공등화에 내장한 LED 항공등화로서 LED 항공등화 본연의 기능인 항공등화의 역할을 하면서 개별 등화를 ON/OFF 할 수 있는 제어 기능도 가지게 된다. 이렇게 통신기능을 내장한 LED 항공등화로 구현이 가능하게 되면 앞선 내용에서 문제가 되었던 구동장치의 고장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러한 통신기능을 내장한 LED 항공등화에서 구동장치의 고장 검출을 하는 방법은 2가지 방식이 가능하며, 첫 번째 방법으로는 LED 구동장치에서의 각 부품고장을 마이크로프로세서(CPU)에서 검출하여 내장된 전력선 통신모뎀으로 통신을 이용하여 고장 유무를 전달하고, 전력선 통신모뎀이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으로 개별전구감시 및 제어시스템(ILCMS)에 고장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LED 구동장치의 각 부품고장을 마이크로프로세서(CPU)에서 검출하여 구동장치 내의 릴레이를 개방(Open) 시켜 이를 전력선 통신모뎀이 인식하는 것이다. 이때는 전력선 통신 모뎀이 LED 항공등화에 내장되어 있으며 LED 항공등화 내부에서 릴레이 개방(Open)을 검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방법을 채택하여 LED 항공등화 내부에 전력선 통신 모뎀을 내장하여 LED 구동장치의 각 부품고장을 마이크로프로세서(CPU)에서 직접 검출하도록 한다.
본 특허의 통신기능을 내장한 LED 항공등화는 LED 항공등화의 LED 모듈 고장 검출 뿐만 아니라 LED 구동장치 고장 검출이 가능하며 별도의 전력선 통신 모뎀이 필요 없어 LED 항공등화와 절연변압기만 베이스박스에 넣어도 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만일 라이트베이스의 공간이 협소한 공항에서 별도의 전력선 통신 모뎀을 적용하고자 하면 추가적인 공사가 필요하나, 통신기능을 내장한 LED 항공등화는 추가적인 공사를 하지 않고 기존 항공등화의 공간만을 사용하므로 추가적인 공사비와 공사에 따른 공사기간을 단축 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전력선 통신 모뎀이 없으므로 LED 항공등화와 별도의 전력선 통신 모뎀의 가격보다는 통신기능만 내장된 LED 항공등화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게 된다. 유지보수적인 문제로도 전력선 통신모뎀의 감시 의한 유지보수 효율 증가뿐만 아니라 전력선 통신모뎀과 LED 항공등화를 각각 유지보수 하는 것보다는 내장한 LED 항공등화 하나만 관리하면 되므로 유지보수의 효율성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도 1은 제2세대 항공등화시스템인 개별전구제어 및 감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기능이 내장된 LED 항공등화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기능이 내장된 LED 항공등화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발명의 통신기능과 릴레이를 동시에 이용하는 통신기능이 내장된 LED 항공등화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기능이 내장된 LED 항공등화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기능이 내장된 LED 항공등화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발명의 통신기능과 릴레이를 동시에 이용하는 통신기능이 내장된 LED 항공등화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원 발명인 통신기능이 내장된 LED 항공등화(3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정전류조정기(CCR)는 출력전류(2.8A ~ 6.6A)에 따라 스마트 항공등화의 출력광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비이다.
서지 보호부(311)는 입력 라인을 통하여 서지가 가해지는 경우에 항공등화의 고장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일 앞단에 설치하며, 적용되는 규격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10kV, 5kA의 서지가 입력되어도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정전류조정기(CCR)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광도로 항공등화의 LED 램프가 출력될 수 있으므로, 항공등화에 입력되는 전류 값을 측정하기 위해 전류 측정부(320)에서 측정 가능한 값으로 변환을 위해 변류기(312, Current Transformer)는 입력 전류 값을 1/2,500의 작은 값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2.8A가 변류기(312)에 입력되면 1.12mA가 전류 측정부(320)에 입력되고, 6.6A가 변류기(312)에 입력되면 2.64mA가 전류 측정부(320)에 입력된다.
전류 측정부(320)는 변류기(312)를 통하여 입력 받은 전류값을 전류 측정부(320)에서 계산하여 CPU(35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큰 부하에 의해 일시적으로 또는 계속적으로 발생 가능한 전류의 불안정을 보상하기 위하여 수 주기의 전류를 평균값으로 계산하여 CPU(35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와 CPU(350) 사이의 통신, 그리고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와 주제어유닛(MCU)사이의 통신이 잘 이루어지도록 항공등화(300)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할 목적으로 입력 라인에 EMI 필터(313)를 설치할 수 있다.
AC/DC 변환부(330)는 입력되는 AC 전원을 항공등화장치(300)에서 사용하기 위한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AC/DC 변환을 통하여 출력된 DC 전원은 LED 램프모듈(380)의 제어를 위한 LED Driver(370)와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에 공급되고(도면 미도시), 또 각 IC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DC/DC 변환부(340)에도 공급된다.
스위칭 제어부(330)에서는 항공등화(300)로 입력되는 전원과 바이패스되는 전원으로 나누어지는데, 사용되는 전원만 입력되고 나머지는 모두 바이패스 되도록 스위칭을 위한 PWM 듀티비를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PWM 듀티비를 정확히 조절하기 위해서는 출력 전원을 피드백 받아서 그 전원에 따라 PWM 듀티비가 정교하게 조절되도록 스위칭 제어부(330)를 구성하고 있다.
DC/DC 변환부(340)는 AC/DC 변환부(330)로부터 DC 전압이 공급되면 이 전압을 다시 DC 변환을 통하여 각 IC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원을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AC/DC 변환부/스위칭 제어부(330)에서는 25V가 출력되도록 제어를 하고 있으며, 25V가 출력되면 이 전압은 LED Driver(370)와 통신부(360)에 사용되고, 25V를 다시 DC/DC 변환을 통하여 +5V가 출력되면 이 전압을 이용해 각 IC를 구동 시키고 있다.
CPU(350)는 항공등화(300)의 동작 상태를 감시 및 제어하고 그 상태를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
① 전류 제어(PWM 제어)
입력 전류가 변류기(312)를 통하여 전달되고, 그 값을 전류 측정부(320)에서 계산하고, CPU(350)에서는 그 값을 받아 PWM으로 변환하여 LED Driver(370)를 제어함으로써 정확한 광도로 LED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② LED 램프모듈 고장 감시 기능
LED를 항상 감시하여 통신부(360, 전력선모뎀)로부터 LED 상태 전달 요구를 받을 때마다 LED 상태를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③ LED On/Off 명령 전달/실행
통신부(360, 전력선모뎀)로부터 CPU(350)에 LED의 On 또는 Off 명령이 전달되면 이 명령 그대로 LED Driver(370)를 On/Off 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CPU(350)에 의해 LED가 25% 이상으로 고장났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CPU(350)에 의해 LED를 Off 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LED를 Off 시키고 그 상태를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부(360, 전력선모뎀)는 주제어유닛(MCU)와 통신을 하는 핵심 구성으로 주제어유닛(MCU)과 전력선을 이용하여 도 3과 같이 통신을 하여 항공등화 상태 정보를 요구 또는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통신부(360, 전력선모뎀)는 LED 램프모듈(380)의 상태를 전달하라는 요구를 CPU(350)에 하고, CPU(350)에서는 LED 램프모듈(380)의 상태를 통신부(350)에 전달한다. 이때 LED 램프모듈(380)의 상태가 양호하다는 신호를 받으면 LED는 계속 On 상태 유지하고, LED가 25% 이상으로 불량하다는 신호를 받으면 LED를 Off 시키고, 그 상태를 주제어유닛(MCU)에 전달한다.
그리고 주제어유닛(MCU)의 요청이 있으면 통신부(360, 전력선모뎀)는 항공등화(300)의 상태를 주제어유닛(MCU)에 전달한다. 일예로,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와 CPU(350) 사이에는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CPU(3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알려야 되는데, CPU(350)의 고장에 의해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에 알리지 못한 경우에는 통신부(360, 전력선모뎀)가 판단하여 CPU(350)의 고장으로 인식하고 그 상태를 주제어유닛(MCU)에 전달한다.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와 CPU(350)는 서로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로 통신하며 전송속도는 9,600bps 로 설정한다. 이때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와 CPU(350)는 UART 뿐만 아니라 RS 485, RS 422, RS 232를 포함하여 어떠한 통신 방법에 의해서도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전송속도도 9,600bps의 최적 속도 뿐만 아니라 2,400bps부터 115,000bps의 속도 범위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360, 전력선모뎀)로부터 CPU(350)에게 전류측정부(320), AC/DC 변환부(330), DC/DC 변환부(340), LED 드라이버(370) 및 LED 램프모듈(380) 등의 현재 상태를 알려 달라고 요청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CPU(350)는 이를 확인하여 통신부(360, 전력선모뎀)로 현재 상태를 측정하여 송신할 수 있다. 몇 가지의 통신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전압이 정상상태보다 ±10% 높거나 낮을 경우 CPU(350)가 이를 판단하여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에서 입력 전원 불량이라고 일정 간격으로 통신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60, 전력선모뎀)를 제외한 LED 드라이버(370) 등의 부품이 고장일 경우 이를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에 전달할 수 있다.
LED 램프모듈(380)의 고장도 감지할 수 있다. LED 램프모듈(380)이 25%이상 또는 50%가 고장(개방 또는 단락 고장)날 경우 CPU(350)가 이를 감지하여 LED 드라이버(370)를 비활성화 시킨 후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에 LED 고장이라고 일정간격으로 통신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CPU(350)에 고장이 발생하여 통신부(360, 전력선모뎀)에 일정시간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지 못할 경우 통신부(360, 전력선모뎀)는 CPU(350) 고장이라고 판단하고 인식할 수 있다.
그 외 통신부(360, 전력선모뎀)가 LED On/Off 명령을 송신하면 CPU(350)는 이 명령을 수신한 후 LED 드라이버(370)를 제어하여 LED 램프모듈(380)을 On/Off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항공등화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데 이는 릴레이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도 4는 앞선 도 3과 같이 통신부에서 LED 램프모듈이나 그 외의 부품 고장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필드 운영조건에 따라 통신부와 CPU 사이의 통신상태가 원활하지 못할 경우 CPU에서는 릴레이(410)를 차단함으로서 CPU와 통신부 사이의 회로가 개방(Open) 되고, 통신부가 이 개방(Open)을 확인하여 LED 모듈 등의 고장임을 인식하여 고장 신호를 주제어유닛(MCU)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앞서 도 3의 방식과 같이 통신을 하여 고장을 검출 할 수도 있지만 릴레이(410)를 통해서도 고장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즉, 어느 UART를 통한 통신방법과 릴레이(410)를 통한 하드웨어적인 고장검출 중 어느 것이든 먼저 인식한 것이 통신부에 전송되는 것이다. 필드 운영조건에 따라 통신방법과 릴레이 방식의 검출 속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빠른 검출방법을 이용하면 고장검출 실패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고장검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LED 램프모듈 등의 고장을 검출하는 또 하나의 방법으로, 이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LED 모듈 등의 고장을 통신부에서 검출하여 주제어유닛(MCU)에 전달하는 방법이 아닌, CPU가 고장을 인식하여 릴레이(510)를 구동시켜 입력 전원이 차단(회로 Open)될 경우 주제어유닛(MCU)에서 통신의 송수신이 차단되므로 이를 주제어유닛(MCU) 자체에서 감지하여 항공등화의 불량을 판단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이용하여 LED 램프모듈, 통신부 등의 고장까지도 주제어유닛(MCU)이 모두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추가적으로 이러한 통신부 내장형 엘이디 항공등화에서 도 3 내지 도 5의 방식을 모두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도 3의 통신부와 CPU의 통신방식에 의한 고장검출, 도 4의 통신부와 릴레이를 통한 고장검출, 도 5의 릴레이에 의한 주제어유닛에서의 고장검출을 모두 같이 적용할 수도 있다. 즉, 통신부 내장형으로 사용할 경우 고장검출의 여러 유형을 적용에 응용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항공등화
311 : 서지보호부
312 : 변류기
313 : EMI 필터
320 : 전류측정부
330 : AC/DC 변환부, 스위칭 제어부
340 : DC/DC 변환부
350 : CPU
360 : 통신부(전력선모뎀)
370 : LED 드라이버
380 : LED 램프모듈
300 : 항공등화
311 : 서지보호부
312 : 변류기
313 : EMI 필터
320 : 전류측정부
330 : AC/DC 변환부, 스위칭 제어부
340 : DC/DC 변환부
350 : CPU
360 : 통신부(전력선모뎀)
370 : LED 드라이버
380 : LED 램프모듈
Claims (7)
- 통신 기능을 내장한 엘이디 항공등화에 관한 것으로서,
LED 램프모듈;
LED 램프모듈을 ON/OFF 시키는 LED 드라이버;
LED 램프모듈 및 LED 드라이버의 동작 상태를 감시 제어하고 그 상태를 통신부에 알리는 CPU; 및
주제어유닛(MCU)과 전력선을 통하여 LED 램프모듈과 LED 드라이버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전력선모뎀);를 포함하며,
상기 CPU와 상기 통신부(전력선모뎀) 사이에 릴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CPU와 상기 통신부(전력선모뎀) 사이의 통신상태가 원활하지 못할 경우 상기 CPU에서 상기 릴레이를 차단함으로서 상기 CPU와 상기 통신부(전력선모뎀) 사이의 회로가 개방(Open)되고, 상기 통신부(전력선모뎀)가 고장 신호를 상기 주제어유닛(MCU)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 내장형 스마트 엘이디 항공등화.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PU와 입력 전원 사이에 릴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CPU가 상기 LED 드라이버의 고장을 인식하여 상기 릴레이를 차단함으로서 입력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주제어유닛(MCU)에서 통신의 송수신이 차단되는 것을 자체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 내장형 스마트 엘이디 항공등화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정전류조정기(CCR)로부터의 입력 전류를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 가능한 값으로 변환하는 변류기; 및
상기 변류기에서 입력 받은 전류 값을 계산하여 상기 CPU에 전달하는 전류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 내장형 스마트 엘이디 항공등화
-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변환부; 및
상기 AC/DC 변환부로부터 공급받은 DC 전원을 각 IC에 필요한 전원으로 다시 DC 변환하여 공급하는 DC/DC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 내장형 스마트 엘이디 항공등화
- 제1항에 있어서,
입력 라인을 통해 가해지는 서지를 차단하여 상기 항공등화의 고장이나 파괴를 방지하는 서지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 내장형 스마트 엘이디 항공등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8359A KR102016595B1 (ko) | 2019-01-22 | 2019-01-22 | 통신기능 내장형 스마트 엘이디 항공등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8359A KR102016595B1 (ko) | 2019-01-22 | 2019-01-22 | 통신기능 내장형 스마트 엘이디 항공등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6595B1 true KR102016595B1 (ko) | 2019-10-21 |
Family
ID=6846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8359A KR102016595B1 (ko) | 2019-01-22 | 2019-01-22 | 통신기능 내장형 스마트 엘이디 항공등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659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4295B1 (ko) * | 2022-12-08 | 2023-06-16 | 최병관 | 항공등화 고압선 단락 감시 및 램프 감시 시스템 |
WO2024122939A1 (ko) * | 2022-12-08 | 2024-06-13 | 최병관 | 항공등화 고압선 단락 감시 및 램프 감시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0869B1 (ko) | 2009-01-02 | 2011-03-09 | 유양산전 주식회사 |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
KR101020867B1 (ko) * | 2009-01-02 | 2011-03-09 | 유양산전 주식회사 |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
KR20140085937A (ko) * | 2012-12-28 | 2014-07-0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항공등화 제어 및 감시시스템 |
KR20160142018A (ko) * | 2015-06-02 | 2016-12-1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항공등화 개별 제어기 |
-
2019
- 2019-01-22 KR KR1020190008359A patent/KR1020165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0869B1 (ko) | 2009-01-02 | 2011-03-09 | 유양산전 주식회사 |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
KR101020867B1 (ko) * | 2009-01-02 | 2011-03-09 | 유양산전 주식회사 |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
KR20140085937A (ko) * | 2012-12-28 | 2014-07-0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항공등화 제어 및 감시시스템 |
KR20160142018A (ko) * | 2015-06-02 | 2016-12-12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항공등화 개별 제어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4295B1 (ko) * | 2022-12-08 | 2023-06-16 | 최병관 | 항공등화 고압선 단락 감시 및 램프 감시 시스템 |
WO2024122939A1 (ko) * | 2022-12-08 | 2024-06-13 | 최병관 | 항공등화 고압선 단락 감시 및 램프 감시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81654B2 (en) | LED centralized DC power supply system and operating methods thereof | |
US9131584B2 (en) | Airfield lighting sustem | |
CN107069953B (zh) | 一种基于电源总线信息的监测系统 | |
KR102016595B1 (ko) | 통신기능 내장형 스마트 엘이디 항공등화 | |
KR20130135419A (ko) | 엘이디 조명용 전원 장치 | |
US10612759B2 (en) | Monitor, light control system, and light fixture control method | |
EP4253187A2 (en) | Signal light, system and control method | |
CN210247120U (zh) | 一种基于无线物联网通信的助航灯光监控系统 | |
KR101020869B1 (ko) |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 |
CN112867215A (zh) | 5g智慧助航灯及使用方法 | |
KR20140085937A (ko) | 항공등화 제어 및 감시시스템 | |
US20210024225A1 (en) | Install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gnalling lights arranged in series | |
CN110264695B (zh) | 基于电力线载波通信技术的助航灯光监控系统及方法 | |
KR102016596B1 (ko) | 유도로 안내등의 제어장치 및 방법 | |
KR200261285Y1 (ko) | 항공장애등 장치 | |
KR101901994B1 (ko) | 제어소의 항공등화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전류조정기의 자동 절체 방법 | |
KR102544295B1 (ko) | 항공등화 고압선 단락 감시 및 램프 감시 시스템 | |
KR101020868B1 (ko) |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 |
CN203243560U (zh) | 机场跑道、滑行道关闭标识灯装置供电系统 | |
CN201563270U (zh) | 一种基于can总线的顺序闪光灯系统 | |
CN102214943B (zh) | 不断电电源供应器及其所适用的电源供应方法 | |
KR101364850B1 (ko) | Led 램프의 고장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 | |
KR101478857B1 (ko) | 항공 등화 제어시스템 | |
KR101020866B1 (ko) | 발광 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항공 등화 시스템 | |
CN209980452U (zh) | 基于电力线载波通信技术的助航灯光监控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