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883B1 -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갖는 전선 - Google Patents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갖는 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883B1
KR101925883B1 KR1020120071338A KR20120071338A KR101925883B1 KR 101925883 B1 KR101925883 B1 KR 101925883B1 KR 1020120071338 A KR1020120071338 A KR 1020120071338A KR 20120071338 A KR20120071338 A KR 20120071338A KR 101925883 B1 KR101925883 B1 KR 10192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able
module
cables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167A (ko
Inventor
다비드 뒤부와
프랑수와 갸웅귀
압델라띠프 아잇 아마르
브누와 롤레
빠스깔 스트레이
Original Assignee
넥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쌍 filed Critical 넥쌍
Publication of KR2013000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03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02G15/105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connected to the cable shield only
    • H02G15/1055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connected to the cable shield only with cross-bonding of cable sh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4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02G15/18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connected to a cable shield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개의 상-전도 케이블(2)을 포함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1)으로서, 각각의 상-전도 케이블(2)은 상이한 유형의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4)에 의해 함께 연결된 일련의 케이블 부분(3, 3a, 3b)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접합부(4)는 상-전도 케이블(2)의 제1 부분(3a)을 제2 부분(3b)에 연결시키는 본체(5)를 포함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선(1)은, 모든 접합부(4)에 있어서 본체(5)는 동일하며, 상기 본체는 제1 부분(3a)의 제1 스크린과 제2 부분(3b)의 제2 스크린에 연결된 표준 연결 인터페이스(7)를 구비하고, 가변 모듈(6, 6a, 6b, 6c)에는 대응하는 연결 인터페이스(8) 및 하나 이상의 연결 케이블(9, 11, 14, 1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변 모듈은 각 접합부(4)의 본체(5)의 연결 인터페이스(7)에 플러그식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갖는 전선{ELECTRICAL LINE FURNISHED WITH SCREEN-BREAK JUNCTIONS}
본 발명은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갖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선은 3개의 상-전도 케이블(phase-conducting cable)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케이블은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있는 연속하는 케이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케이블 부분은 중심 전도체를 포함하고 있고, 이 전도체는 그 길이 전체가 금속 스크린으로 둘러싸여 있고, 두 연속하는 케이블 부분의 스크린은 이러한 유형의 접합부 내에서 분리되어 있어 상-전도 케이블의 전류 흐름에 의해 기인하는 스크린 내에 흐르는 잔류 전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갖는 고전압 전기 접속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 및 "스크린-분리 접합부"라는 표현은 동일한 개념이다.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는 이미 존재하고 있으며 특허된 기술이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US3363049에서는 내부 전도체가 케이블 부분의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고 외부 전도체가 나머지 케이블 부분의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는 동축 연결 케이블과 관련된,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설명하고 있다. 이 미국특허는 동축 연결 케이블을 이용하는 한가지 유형의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설명하고 있다.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은 상-전도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케이블은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에 의해 단부끼리 마주하도록 배치된 연속하는 케이블 부분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는 잔류 전류를 방전시킬 때 필요한 요구사항에 따라, 케이블에서 여러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조적 특성, 기능적 특성 및 치수와 관련된 특성을 갖는 스크린-브레이크 케이블 접합부를 개발하여 가공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선은, 일반적인 구조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특별한 기능에 연결되어 있는 분리할 수 있는 모듈과 관련된 여러 유형의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사용하며, 이 모듈은 일반적인 구조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이러한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면, 표준 연결 인터페이스가 있는데, 이 인터페이스에 원하는 모듈을 플러그식으로 끼울 수 있고, 이 모듈은 대응하는 표준 연결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가변 모듈과 관련하여, 각각의 접합부는 다른 유형의 접합부와 상이하다. 결국, 본 발명의 전선은, 똑같은 구조를 갖는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신속하게 반복적으로 설치하고 이어서 요구사항에 맞는 모듈을 삽입함으로써, 빠르고 쉽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3개의 상-전도 케이블을 포함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으로서, 각각의 상-전도 케이블은 상이한 유형의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에 의해 함께 연결된 일련의 케이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접합부는 상-전도 케이블의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연결시키는 본체를 포함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에 있어서, 모든 접합부에 있어서 본체는 동일하며, 상기 본체는 제1 부분의 제1 스크린과 제2 부분의 제2 스크린에 연결된 표준 연결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가변 모듈에는 대응하는 연결 인터페이스 및 하나 이상의 연결 케이블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변 모듈은 각 접합부의 본체의 연결 인터페이스에 플러그식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전선의 모든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는 일정한 표준규격의 본체와 가변 모듈을 구비하며, 본체의 기본 기능은 상-전도 케이블의 두 연속하는 부분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고, 가변 모듈의 기능은 연속하는 부분의 스크린에 흐르는 잔류 전류를 방전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방전은 모듈의 각 연결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진다. 중요한 점은, 한 유형의 모듈은 다른 유형의 모듈과 연결 케이블의 수량 및/또는 특성이 다르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은 빠르고, 효율적이면서, 상당히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로, 모든 케이블 부분은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의 표준 본체에 의해 동일한 작동 프로토콜을 따라 시스템적으로 함께 결합되어 있다. 두 번째로는, 요구사항과 국부적인 접속부에 따라, 가장 적절한 모듈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접합부의 각 본체에 연결된다. 보통, 상-전도 케이블의 스크린은 금속으로 되어 있다. 본체의 표준 접속 인터페이스와 본체 내부에 있는 케이블 부분의 스크린은 스크린 내에 흐르는 잔류 전류를 전도할 수 있는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외부로 잔류 전류를 내보내고, 이 수단은 예를 들어 제2의 내부 케이블을 구성될 수 있다. 접합부의 각 본체의 연결 인터페이스는 접합부의 두 스크린과 연결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두 개의 접촉점을 포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유형의 모듈의 대응하는 연결 인터페이스도 본체의 연결 인터페이스의 두 접촉점에 연결될 수 있는 두 개의 대응하는 접촉점을 포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3개의 상-전도 케이블은 각각, 각 케이블을 따라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접합부를 동일한 개수로 구비하고 있어, 케이블의 접합부는 전선을 따라 형성된 영역에서 그룹을 이루며, 하나의 동일한 영역에 있는 접합부는 모두 동일한 유형의 접합부이다. 즉, 본 발명의 전선은 동일한 유형의 3개의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각각 포함하며 또한 약간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동일한 영역의 각 접합부는 상이한 전도 케이블에 속한다. 약간 분산되어 있는 영역은 수 미터 정도 이격되어 있는 영역이다. 각각의 영역에 대하여 동일한 유형의 접합부를 그룹화하면, 서로 연결시키기기 더 쉬워지고, 따라서 케이블 부분의 금속 스크린에 흐르는 잔류 전류를 방전시키는 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전선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첫 번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듈은 하나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을 갖고 있고,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은 상기 연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체와 모듈은 제1 유형의 접합부를 형성한다. 즉, 하나의 동일한 접합부에 있는 두 스크린에 흐르는 잔류 전류는 제1 유형의 모듈에 설치된 하나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에 의해 방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류-전도 회로를 생성하기 위해 모듈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스크린으로부터 하나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로 잔류 전류를 보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동일한 영역의 3개의 접합부에서 나오는 3개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은, 직접 접지를 하는 박스에 연결된다. 박스는 전선과 일체로 되어 있는 부분은 아니지만, 3개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박스는 직접 접지되어 있고 3개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장치를 포함한다. 이런식으로, 케이블 부분의 스크린에서 흐르는 잔류 전류는 직접 접지부로 흘러나간다.
본 발명의 전선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듈은 동축 연결 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동축 연결 케이블의 내부 도체는 제1 스크린에 연결되고, 상기 동축 연결 케이블의 외부 도체는 제2 스크린에 연결되며, 본체와 모듈은 제2 유형의 접합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하나의 동일한 접합부에 있는 두 스크린에 흐르는 잔류 전류는 제2 유형의 모듈에 설치된 동축 연결 케이블에 의해 방전된다. 다시 말하면, 제2 유형의 모듈은 전류-전도 회로를 생성하도록 내부에 형성되어, 스크린으로부터 동축 연결 케이블로 두 잔류 전류를 보낼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동일한 영역의 3개의 접합부에서 나오는 3개의 동축 연결 케이블은 3개의 동축 경로를 갖는 박스에 크로스-본드(cross-bonding)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 박스는 전선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며, 해당 영역 내에 전선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박스는 접지되어 있는 연결장치를 갖고 있고, 3개의 동축 연결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스크린의 간접적인 크로스-본드에 해당하는데, 박스에 수용되어 있는 이러한 연결장치를 통해서, 예를 들어 단락(fault)을 찾을 때 스크린 연결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과전류 억제장치나 피뢰장치를 박스 내에 수용할 수 있는데, 이로써 접합부의 스크린-브레이크에 가해지는 과전력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선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듈은 두 개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고, 한 케이블은 제1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케이블은 제2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고, 본체와 모듈은 제3 유형의 접합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하나의 동일한 접합부에 있는 각 스크린의 잔류 전류는, 제3 유형의 모듈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을 통해 방전시킨다.
바람직하게, 제1 접합부의 하나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은 제2 접합부의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접합부의 나머지 연결 케이블은 제3 접합부의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다. 즉, 하나의 동일한 영역에 속하는 3개의 접합부는 각각, 동일한 구조의 나머지 두 개의 접합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크린을 직접적인 크로스-본드 방식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서, 피뢰장치로 보호할 필요가 없는 스크린을 크로스-본드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린은 알루미늄, 납, 강철 및 구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크린은 또한, 다른 유형의 여러 금속층을 조합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선에 이용되는,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에 관한 것이다. 보다 명확하게는, 본 발명의 접합부는 공통되는 본체와 본체에 연결된 가변 모듈로 구성된 조립체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전선은, 전선을 구성하는 스크린-분리 접합부의 특성 때문에, 쉽고 빠르며 상당히 유연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모든 접합부의 본체는 동일하기 때문에,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동일한 작업을 통해 상-전도 케이블을 따라 체계적이면서 반복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치된 각각의 본체에 적절한 모듈을 삽입할 수 있고, 어떤 모듈을 사용할지는 특별히 필요한 사항 및/또는 국부적인 제한사항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상 케이블을 따라 여러 유형의 스크린-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케이블을 형성하는 부분의 금속 스크린 내에 흐르는 잔류 전류를 방출하는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되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신속하게 반복적으로 설치하고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모듈을 삽입함으로써, 빠르고 쉽게 전선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선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4c를 참고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 도 1은 본 발명의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의 측면도이고,
- 도 3a는 본 발명의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의 제1 유형의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 도 3b는 본 발명의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의 제2 유형의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 도 3c는 본 발명의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의 제3 유형의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 도 4a는 제1 유형의 3개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고전압 전선의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 도 4b는 제2 유형의 3개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고전압 전선의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 도 4c는 제3 유형의 3개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고전압 전선의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의하면,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1)이 3개의 상-전도 케이블(2)을 포함하고 있고, 이 케이블(2)은 각각 연속하는 케이블 부분(3)들을 포함하고 있고, 이 케이블 부분들은 케이블(2)을 형성하도록 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2)의 한 부분(3)은, 중심부가 금속 전도체로 이루어져 있고, 이 금속 전도체는 절연물질로 둘러싸여 있고 또한 알루미늄, 납, 강철 또는 구리로 이루어진 원통형 금속 스크린으로 둘러싸여 있다.
도 2, 도 3a, 도 3b 및 도 3c에 의하면, 케이블(2)의 두 개의 연속하는 부분(3a, 3b)이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screen-break junction)(4) 및 분리할 수 있는 모듈(6)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있고,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는 본체(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합부(4)에서, 두 개의 연속하는 케이블 부분(3a, 3b)의 전도부는 서로 접촉하는 상태로 연속성을 유지하여, 전도 케이블(2)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스크린에서 흐르는 잔류 전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전압 전선은 여러 유형의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4)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의하면, 각각의 접합부(4)의 본체(5)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원통형 본체이고, 이 본체(5)는 케이블(2)의 두 연속하는 부분(3a, 3b)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보호부의 역할을 한다. 본체(5)는 세 개의 케이블(2)에서 전선(1)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모든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4)에 대하여 일정하게 공통된다. 본체(5)는 표준 연결 인터페이스(7)를 구비하고 있고, 이 인터페이스는 케이블(2)의 두 연속하는 부분(3a, 3b)에 속하는 두 개의 분리된 금속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고, 스크린과의 연결은 예를 들어 내부의 제2 케이블과 같은 전류-전도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표준 연결 인터페이스(7)는 스크린과의 두 연결부에 대응하는 두 개의 접촉점을 갖는다. 가변적이면서 분리할 수 있는 모듈(6)은 본체(5)에 대응하는 연결 인터페이스(8)를 갖고 있어, 본체(5)의 표준 연결 인터페이스에 플러그식으로 끼울 수 있고, 모듈(6)은 하나 이상의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분리할 수 있는 모듈(6)은 여러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어떤 형태이든 본체(5)의 인터페이스(7)에 호환되는 표준형태로 이루어진 연결 인터페이스(8)를 갖고 있다. 이러한 연결 인터페이스(8)는 본체의 연결 인터페이스(7)의 두 접촉점과 상호작용을 하는 두 개의 대응하는 접촉점을 포함하고 있어서, 스크린과 모듈(6)의 연결 케이블 사이에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가변 모듈(6)은 연결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어서, 케이블(2)의 부분(3)의 금속 스크린에 흐르는 잔류 전류를 방전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 모듈은 기본적으로 3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6a)은 하나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9)을 포함하고 있다. 이 모듈(6a)은 두 개의 내부 핀(10)을 포함하며, 모듈(6a)이 접합부(4)의 본체(5)에 설치되는 경우, 이 핀은 접합부(4)의 두 금속 스크린과 두 개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단일-폴 연결 케이블(9)은 두 내부 핀(10)의 단부를 연결시키며 모듈(6a)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듈(6b)은 동축 연결 케이블(11)을 포함하고 있다. 이 모듈(6b)은 두 개의 내부 핀(10)을 포함하고 있고, 모듈(6b)이 접합부(4)의 본체(5) 내에 설치되는 경우 두 내부 핀은 접합부(4)의 두 금속 스크린과 두 개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동축 케이블(11)의 내부 전도체(12)는 두 핀 중 한 핀(1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동축 케이블(11)의 외부 전도체(13)는 나머지 핀(1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동축 연결 케이블(11)은 두 핀(1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모듈(6b)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모듈(6c)은 두 개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14, 15)을 포함하고 있다. 이 모듈(6c)은 두 개의 내부 핀(10)을 포함하며, 모듈(6c)이 접합부(4)의 본체(5) 내에 설치되는 경우, 이 핀은 접합부(4)의 두 금속 스크린과 두 개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단일-폴 연결 케이블(14)은 두 핀 중 한 핀(1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연결 케이블(15)은 다른 핀(1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두 개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14, 15)은 각각 두 핀(10) 중 한 핀과 하나씩 연결되어 있고, 모듈(6c)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도 1에 의하면, 각각의 상-전도 케이블(2)은 동일한 수로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4)를 구비하고 있고, 접합부(4)는 케이블(2)을 따라 같은 위치에 놓여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1)에는, 복수의 영역(16)이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각각의 영역은 동일한 유형의 3개의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4)를 포함하며, 이 접합부는 각각의 상-전도 케이블(2)에서 시작된다. 또한 각각의 영역(16)의 세 접합부(4)는 동일한 유형이므로, 배치구조를 바꿔가면서 케이블(2)의 부분(3)의 스크린에 흐르는 잔류 전류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전시킬 수 있다.
도 4a는 하나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만 포함하는 모듈(6a)을 각각 갖고 있는 3개의 접합부(4)를 포함하고 있는 영역(16)을 보여주고 있는데, 3개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9)은, 접지되어 있고 전선(1) 외부의 박스(18)에 수용되어 있는 연결장치(17)에 접속되어 있다. 3개의 단일-폴 케이블(9)을 연결장치(17)에 연결시킴으로써, 케이블(2)의 부분(3)의 스크린을 직접 접지할 수 있다.
도 4b는 동축 연결 케이블(11)을 포함하는 모듈(6b)을 각각 갖고 있는 3개의 접합부(4)를 포함하고 있는 영역(16)을 보여주고 있는데, 3개의 동축 연결 케이블(11)은, 접지되어 있고 전선(1) 외부의 박스(20)에 수용되어 있는 연결장치(19)에 접속되어 있고, 이 연결장치(19)는 크로스-본드 방식으로 3개의 동축 경로(coaxial way)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외피 라이닝 전도체(sheath lining conductors)를 연결시킴으로써, 접합부(4)의 스크린-브레이크를 보호하고 스크린을 크로스-본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4c는, 두 개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14, 15)을 포함하는 모듈(6c)을 각각 갖고 있는 3개의 접합부(4)를 포함하고 있는 영역(16)을 보여주고 있는데, 제1 접합부(4)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14)이 제2 접합부(4)의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접합부(4)의 나머지 연결 케이블(15)은 제3 접합부(4)의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다. 스크린을 연결시키는 이러한 개략적인 구조가 동일한 영역(16)의 3개의 접합부(4)에 대하여 반복된다. 스크린의 직접적인 크로스-본드에 대응하는 이러한 구조에 의해, 케이블(2)의 스크린에 흐르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0)

  1. 3개의 상-전도 케이블(2)을 포함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1)으로서,
    각각의 상-전도 케이블(2)은 상이한 유형의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4)에 의해 함께 연결된 일련의 케이블 부분(3, 3a, 3b)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접합부(4)는 상-전도 케이블(2)의 제1 부분(3a)을 제2 부분(3b)에 연결시키는 본체(5)를 포함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에 있어서,
    모든 접합부(4)에 있어서 본체(5)는 동일하며, 상기 본체는 제1 부분(3a)의 제1 스크린과 제2 부분(3b)의 제2 스크린에 연결된 표준 연결 인터페이스(7)를 구비하고, 가변 모듈(6, 6a, 6b, 6c)에는 대응하는 연결 인터페이스(8) 및 하나 이상의 연결 케이블(9, 11, 14, 1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변 모듈은 각 접합부(4)의 본체(5)의 연결 인터페이스(7)에 플러그식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상-전도 케이블(2)은 각각, 각 케이블(2)을 따라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접합부(4)를 동일한 개수로 구비하고 있어, 케이블(2)의 접합부(4)는 전선(1)을 따라 형성된 영역(16)에서 그룹을 이루며, 하나의 동일한 영역(16)에 있는 접합부(4)는 모두 동일한 유형의 접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6a)은 하나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9)을 갖고 있고,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은 상기 연결 케이블(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체(5)와 모듈(6a)은 제1 유형의 접합부(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
  4. 제3항에 있어서,
    하나의 동일한 영역(16)의 3개의 접합부(4)에서 나오는 3개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9)은, 직접 접지를 하는 박스(1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6b)은 동축 연결 케이블(11)을 구비하며, 상기 동축 연결 케이블의 내부 도체(12)는 제1 스크린에 연결되고, 상기 동축 연결 케이블의 외부 도체(13)는 제2 스크린에 연결되며, 본체(5)와 모듈(6b)은 제2 유형의 접합부(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
  6. 제5항에 있어서,
    하나의 동일한 영역(16)의 3개의 접합부(4)에서 나오는 3개의 동축 연결 케이블(11)은 3개의 동축 경로를 갖는 박스(20)에 크로스-본드(cross-bonding)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6c)은 두 개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14, 15)을 구비하고 있고, 한 케이블(14)은 제1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케이블(15)은 제2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고, 본체(5)와 모듈(6c)은 제3 유형의 접합부(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접합부(4)의 하나의 단일-폴 연결 케이블(14)은 제2 접합부(4)의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접합부(4)의 나머지 연결 케이블(15)은 제3 접합부(4)의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알루미늄, 납, 강철 및 구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매립형 고전압 전선.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선에 이용되는, 스크린-브레이크를 구비한 접합부(4).
KR1020120071338A 2011-07-01 2012-06-29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갖는 전선 KR101925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5946 2011-07-01
FR1155946A FR2977396B1 (fr) 2011-07-01 2011-07-01 Ligne electrique munie de jonctions a arrets d'ecr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167A KR20130004167A (ko) 2013-01-09
KR101925883B1 true KR101925883B1 (ko) 2018-12-06

Family

ID=4622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338A KR101925883B1 (ko) 2011-07-01 2012-06-29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갖는 전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88147B2 (ko)
EP (1) EP2541712B1 (ko)
JP (1) JP5952109B2 (ko)
KR (1) KR101925883B1 (ko)
DK (1) DK2541712T3 (ko)
FR (1) FR2977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6468B1 (fr) 2014-01-15 2017-10-06 Nexans Ligne electrique a haute tension enterree
NO345645B1 (en) * 2017-11-27 2021-05-25 Nexans Subsea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95391A (en) * 1964-10-23 1970-06-17 British Insulated Callenders Improvements in Joints for Electric Cables
GB1059270A (en) * 1964-10-23 1967-02-15 British Insulated Callenders Improvements in joints for electric cables
GB1203949A (en) * 1966-12-30 1970-09-03 Pirelli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joints for electric cables
USRE28837E (en) * 1971-12-30 1976-06-01 Amerace Corporation Shielding tape grounding device for high voltage cables
JPS4918087U (ko) * 1972-05-19 1974-02-15
JPS5312827B2 (ko) * 1972-06-09 1978-05-04
JPS5235113B2 (ko) * 1972-06-16 1977-09-07
JPS5196074A (ko) * 1975-02-21 1976-08-23
US4032205A (en) * 1976-09-10 1977-06-28 Rte Corporation Adaptor for a high voltage cable
US4234756A (en) * 1979-03-29 1980-11-18 Reliable Electric Company Preterminated block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AU557924B2 (en) * 1981-07-28 1987-01-15 Pirelli General Plc Heat shielding electric cables
CA1197296A (en) * 1983-06-08 1985-11-26 Leonard J. Charlebois Telecommunications cable splice closures
FR2593335B1 (fr) * 1986-01-22 1988-07-22 Pirelli Treficable Dispositif pour relier deux cables electriques isoles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protection exterieure de la jonction
JPH02184215A (ja) * 1989-01-09 1990-07-18 Hitachi Cable Ltd 電力ケーブル線路
JPH02223327A (ja) * 1989-02-23 1990-09-05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ケーブル接続部
DE69711055T2 (de) * 1997-11-28 2002-09-12 Nexans Kabelverbindung mit Erdungsverbindung und/oder Schirmauskreuzung für Energiekabl
KR101135143B1 (ko) * 2004-03-01 2012-04-16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 접속구조
EP2088656A1 (en) * 2008-02-08 2009-08-12 ABB Technology AG A cable joint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77396A1 (fr) 2013-01-04
US20130000973A1 (en) 2013-01-03
FR2977396B1 (fr) 2013-07-05
EP2541712B1 (fr) 2020-02-12
KR20130004167A (ko) 2013-01-09
JP5952109B2 (ja) 2016-07-13
US9088147B2 (en) 2015-07-21
JP2013138593A (ja) 2013-07-11
EP2541712A1 (fr) 2013-01-02
DK2541712T3 (da) 202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0530B2 (en) Terminal connection device for a power cable
KR101343512B1 (ko) 개별적으로 차단가능한 기능영역을 갖는 배전 시스템
CN103283100B (zh) 铁道车辆的高压设备系统及铁道车辆
KR200472373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삼상일괄형 모선 구조
US10401416B2 (en) Electrical cable link apparatus and electrical cable system comprising the apparatus
CN103917414A (zh) 线束
KR101925883B1 (ko) 스크린-브레이크 접합부를 갖는 전선
KR20130010619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JP2003189430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CN1795590B (zh) 电连接装置
CN103944099B (zh) 预制舱式gis组合电器及预制舱式变电站
US7955128B2 (en) Electrical power system, method and assembly having nonconductive support bar
CN202503253U (zh) 应用于高压电缆开关分界箱上的分路套管
JP5470523B2 (ja) 過電流保護機器収納盤
KR100894508B1 (ko) 대전류 케이블을 위한 접속재
RU2661886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и компоновка блоков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для ослабления магнитных полей
US1735179A (en) Electrical apparatus
US7514822B2 (en)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device having a phase conductor and an encasing conductor
KR100914555B1 (ko) 전원분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분배시스템
RU2277743C2 (ru) Двухцепная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CN111541114A (zh) 交流汇流连接器
KR20080104533A (ko)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
EP2908383A1 (en) Electrical coupling device
JP2018181488A (ja) ユニットケーブル
JP2016201969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