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4533A -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4533A
KR20080104533A KR1020070051435A KR20070051435A KR20080104533A KR 20080104533 A KR20080104533 A KR 20080104533A KR 1020070051435 A KR1020070051435 A KR 1020070051435A KR 20070051435 A KR20070051435 A KR 20070051435A KR 20080104533 A KR20080104533 A KR 20080104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transformer
input terminal
switching devic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식
Original Assignee
(주)태경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경산전 filed Critical (주)태경산전
Priority to KR102007005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4533A/ko
Publication of KR20080104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 교체 작업 시, 작업 안정성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고압선로에 연결되는 변압기 또는 무정전 차량을 부하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는, 고압선로에 연결되는 변압기와 부하선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와 상기 부하선로 사이를 전기적으로 온/오프하는 스위칭 장치, 및 상기 고압선로에 상기 변압기와 병렬로 배치되는 무정전 차량과 상기 스위칭 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변압기, 무정전, 바이패스

Description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UNINTERRUPTIBLE POWER BYPASSING DEVICE AND POWER SUPPLY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중, 전신주에 설치되는 스위칭 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중, 무정전 차량에 연결되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4는 스위칭 장치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5는 스위칭 장치의 온 작동 상태도이다.
도6은 스위칭 장치의 오프 작동 상태도이다.
도7은 스위칭 장치의 오프 및 커넥터의 연결 상태도이다.
도8은 커넥터의 연결 및 스위칭 장치의 온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신주 20 : 가공지선
30 : 고압선로 40 : 변압기
50 : 스위칭 장치 60 : 부하선로
71, 72, 73 : 제1, 제2, 제3 리드선
31, 31, 33 : 제1, 제2, 제3 고압선로
41, 42, 43 : 제1, 제2, 제3 변압기
61, 62, 63 : 제1, 제2, 제3 부하선로
51 : 입력단자 52 : 출력단자
511, 512, 513 : 제1, 제2, 제3 입력단자
521, 522, 523 : 제1, 제2, 제3 출력단자
711, 712, 713 : 제11, 제12, 제13 리드선
721, 722, 723, 724 : 제21, 제22, 제23, 제24 리드선
731, 732, 733, 734 : 제31, 제32, 제33, 제34 리드선
45 : 입력단 46 : 출력단
47 : 접지단 64 : 접지선로
514 : 접지 입력단 524 : 접지 출력단
80 : 커넥터 90 : 무정전 차량
53 : 연결부재
531, 532, 533, 534 : 제1, 제2, 제3, 제4 연결부재
54 : 연결봉 55 : 손잡이
56 : 케이스 561 : 입력단자 인출구
562 : 출력단자 인출구 563 : 커넥터 삽입구
57 : 피결합부 81 : 결합부
571, 572, 573, 574 : 제1, 제2, 제3, 제4 피결합부
811, 812, 813, 814 : 제1, 제2, 제3, 제4 결합부
58 : 안내 홀 59 : 절연부재
591 : 커넥터 유도구
5631, 5632, 5633, 5634 : 제1, 제2, 제3, 제4 커넥터 삽입구
5911, 5912, 5913, 5914 : 제1, 제2, 제3, 제4 커넥터 유도구
본 발명은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고압선로에 연결되는 변압기 또는 무정전 차량을 부하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공급 장치는 가공지선, 고압선로, 부하선로 및 변압기를 포함한다. 전신주에는 최상단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순차적으로 가공지선, 고압선로 및 부하선로들이 설치된다. 가공지선은 벼락으로부터 고압선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체 위쪽에 고압선로와 평행하게 가설된 금속선이다. 벼락 전류는 가공지선에서 전신주를 통하여 땅으로 유도된다.
예를 들면, 고압선로는 3300V, 5700V, 6600V의 고전압으로 전력을 보내며, 부하선로는 100V 단상, 200V 단상 또는 3상으로 전력을 보낸다. 고압선로와 부하선로 사이에는 변압기가 설치된다.
3상의 경우, 고압선로는 3개의 선로들 즉, 제1 고압선로, 제2 고압선로 및 제3 고압선로를 포함하고, 부하선로는 3개의 선로들 즉, 제1 부하선로, 제2 부하선로 및 제3 부하선로를 포함한다. 부하선로는 변압기에서 인출되는 접지선로 1개를 더 포함한다. 변압기는 3개의 변압기들 즉, 제1 변압기, 제2 변압기 및 제3 변압기를 포함한다.
제1 변압기는 제1 고압선로와 제1 부하선로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를 서로 연결하고, 제2 변압기는 제2 고압선로와 제2 부하선로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하며, 제3 변압기는 제3 고압선로와 제3 부하선로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한다. 또한 변압기들은 접지단을 접지선로에 연결한다.
변압기를 교체해야 할 경우가 있다. 또한 변압기의 교체 작업 중에도, 고압선로에서 부하선로로 전력 공급을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교체해야 할 대상 변압기를 바이패스하여, 고압선로를 부하선로에 임시 연결한다.
바이패스 전력 공급을 위하여, 무정전 차량이 사용된다. 무정전 차량은 대상 변압기와 같은 작용을 한다. 무정전 차량은 고압선로에 연결되는 고압 인출선로와 부하선로에 연결되는 부하 인입선로를 구비한다.
변압기는 고압선로에 제1 리드선으로 연결되고, 부하선로에 제2 리드선으로 연결된다. 변압기 교체시, 무정전 차량의 고압 인출선로를 고압선로에 연결한 후, 변압기와 부하선로를 연결하던 제2 리드선을 절단하고, 무정전 차량의 부하 인입선로를 부하선로에 연결한다.
따라서 고압선로로 송전되는 전력은 무정전 차량을 통하여 부하선로로 바이 패스 공급된다. 전력의 바이패스 공급 상태에서 대상 변압기를 제거하고 정상 변압기를 설치한다.
제1 리드선을 통하여 정상 변압기를 고압선로에 연결하고, 또한 제2 리드선을 이용하여 변압기를 부하선로 및 접지선로에 연결한다. 또한 무정전 차량의 고압 인출선로를 고압선로로부터 분리하고, 부하 인입선로를 부하선로로부터 분리한다.
일련의 작업 공정을 통한 변압기 교체시, 변압기와 부하선로를 연결하는 제2 리드선을 절단하고, 새로운 리드선을 사용하여 결선하여야 한다. 또한 무정전 차량의 부하 인입선로를 부하선로에 결선하였다가 분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변압기의 교체시, 작업 안정성 및 작업 능률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변압기 교체 작업 시, 작업 안정성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선로에 연결되는 변압기 또는 무정전 차량을 부하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는, 고압선로에 연결되는 변압기와 부하선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와 상기 부하선로 사이를 전기적으로 온/오프하는 스위칭 장치, 및 상기 고압선로에 상기 변압기와 병렬로 배치되는 무정전 차량과 상기 스위칭 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변압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입력단자, 상기 부하선로에 연결되는 출력단자, 및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단자는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연결부재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입력단자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입력단자 인출구, 상기 출력단자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출력단자 인출구, 및 상기 피결합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커넥터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장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피결합부와 상기 커넥터 삽입구에 대응하는 커넥터 유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단, 상기 출력단 및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동일 개수의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연결부재들을 관통하고 절연부재를 개재하여 연결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연결부재들은 상기 출력단들 각각에 대응하여 볼트와 너트로 선회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안내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 장치는 가공지선, 고압선로, 상기 고압선로에 제1 리드선으로 연결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에 제2 리드선으로 연결되는 스위칭 장치, 및 상기 스위칭 장치에 제3 리드선으로 연결되는 부하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전력공급 장치는 전신주(10)에 설치되는 가공지선(20), 고압선로들(30), 변압기들(40), 스위칭 장치(50) 및 부하선로들(60)을 포함한다.
가공지선(20)은 전신주(10)의 최상단에서 고압선로(30)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벼락 전류를 땅으로 유도하여 벼락으로부터 고압선로를 보호한다. 고압선로(30)는 가공지선(20)의 하측에서 전신주(10)에 설치되며, 예를 들면, 3300V, 5700V 및 6600V의 고전압으로 전력을 보낸다.
변압기(40)는 고압선로(30)로 송전되는 고전압 전력을 저전압 전력으로 변환시킨다. 스위칭 장치(50)는 변압기(40)와 부하선로(60) 사이에서 전신주(10)에 설치되어, 변압기(40)에서 부하선로(60)로의 전력을 단속한다.
부하선로(60)는 스위칭 장치(50) 및 고압선로(30)의 하측에서 전신주(10)에 설치되며, 예를 들면, 100V 및 200V의 저전압으로 전력을 보낸다.
고압선로(30), 변압기(40) 및 부하선로(60)는 부하선로(60)로 공급되는 전력의 상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는 3상으로 전력을 공급한 것을 예시한다.
고압선로(30)는 제1 리드선(71)으로 변압기(40)에 연결되고, 변압기(40)는 제2 리드선(72)으로 스위칭 장치(50)에 연결되며, 스위칭 장치(50)는 제3 리드선(73)으로 부하선로(60)에 연결된다.
고압선로(30)는 제1 고압선로(31), 제2 고압선로(32) 및 제3 고압선로(33)를 포함한다. 변압기(40)는 제1 변압기(41), 제2 변압기(42) 및 제3 변압기(43)를 포함한다. 부하선로(60)는 제1 부하선로(61), 제2 부하선로(62) 및 제3 부하선로(63)를 포함한다.
도2를 참조하면, 스위칭 장치(50)는 입력단자(51)와 출력단자(52)를 포함한다(도2 참조). 입력단자(51)는 제1 입력단자(511), 제2 입력단자(512) 및 제3 입력단자(513)을 포함한다. 출력단자(52)는 제1 출력단자(521), 제2 출력단자(522) 및 제3 출력단자(523)를 포함한다.
제1 리드선(71)은 제11 리드선(711), 제12 리드선(712) 및 제13 리드선(713)을 포함한다. 제2 리드선(72)은 제21 리드선(721), 제22 리드선(722) 및 제23 리드선(723)을 포함한다. 제3 리드선(73)은 제31 리드선(731), 제32 리드선(732) 및 제33 리드선(733)을 포함한다.
제11 리드선(711)은 제1 고압선로(31)와 제1 변압기(41)를 연결하고, 제12 리드선(712)은 제2 고압선로(32)와 제2 변압기(42)를 연결하며, 제13 리드선(713)은 제3 고압선로(33)와 제3 변압기(43)를 연결한다.
제21 리드선(721)은 제1 변압기(41)와 제1 입력단자(511)를 연결하고, 제22 리드선(722)은 제2 변압기(42)와 제2 입력단자(512)를 연결하며, 제23 리드선(723)은 제3 변압기(43)와 제3 입력단자(513)를 연결한다.
제31 리드선(731)은 제1 변압기(41)와 제1 부하선로(61)를 연결하고, 제32 리드선(732)은 제2 변압기(42)와 제2 부하선로(62)를 연결하며, 제33 리드선(733)은 제3 변압기(43)와 제3 부하선로(63)를 연결한다.
또한, 변압기(40)는 제1 리드선(71)이 연결되는 입력단(45)과, 제2 리드선(72)이 연결되는 출력단(46) 및 접지단(47)을 구비한다.
변압기(40)의 접지단(47) 접지를 위하여, 부하선로(60)는 접지선로(64)를 포함하고, 스위칭 장치(50)는 접지 입력단(514)과 접지 출력단(524)를 구비한다.
제2 리드선(72)은 제24 리드선(724)을 포함하고, 제24 리드선(724)는 변압기(40)의 접지단(47)과 스위칭 장치(50)의 접지 입력단(514)을 서로 연결한다.
제3 리드선(73)은 제34 리드선(734)을 포함하며, 제34 리드선(734)은 스위칭 장치(50)의 접지 출력단(524)과 접지선로(64)를 서로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변압기(41)는 제11 리드선(711)이 연결되는 제1 입력단(451)과, 제21 리드선(721)이 연결되는 제1 출력단(461), 및 제24 리드선(724)이 연결되는 제1 접지단(471)을 구비한다.
제2 변압기(42)는 제12 리드선(712)이 연결되는 제2 입력단(452)과, 제22 리드선(722)이 연결되는 제2 출력단(462), 및 제24 리드선(724)이 연결되는 제2 접지단(472)을 구비한다.
제3 변압기(43)는 제13 리드선(713)이 연결되는 제3 입력단(453)과, 제23 리 드선(723)이 연결되는 제3 출력단(463), 및 제24 리드선(724)이 연결되는 제3 접지단(473)을 구비한다.
스위칭 장치(50)는 변압기(40)와 부하선로(60) 사이를 필요에 따라 전기적으로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력공급 장치는 스위칭 장치(50)를 구비하여, 변압기(40)에서 부하선로(60)로의 전력 공급을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중, 무정전 차량에 연결되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는 스위칭 장치(50)와 커넥터(80)를 포함한다. 커넥터(80)는 고압선로(30)에 변압기(40)와 병렬로 배치되는 무정전 차량(90)에 연결되어 있다.
무정전 차량(90)은 변압기(40)와 같은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변압기(40)를 제거하는 경우, 고압선로(30)의 전력을 바이패스하여 부하선로(60)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도2를 참조하면, 스위칭 장치(50)는 입력단자(51)와 출력단자(52) 사이에 구비되어, 입력단자(51)와 출력단자(52)의 전기적 연결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하는 연결부재(53)를 포함한다.
연결부재(53)는 제1 연결부재(531), 제2 연결부재(532), 제3 연결부재(533) 및 제4 연결부재(534)를 포함한다. 연결부재들(53)은 출력단자들(52) 각각에 대응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볼트(B)와 너트(N)로 체결된다. 연결부재들(53)은 볼트(B)를 힌지 축으로 하여 선회되어 출력단자(51)와 전기적 연결을 단속한다.
스위칭 장치(50)는 연결봉(54)와 손잡이(55) 및 케이스(56)를 포함한다. 연결봉(54)은 연결부재들(53)을 관통하고 절연부재(541)를 개재하여 연결부재들(53)을 서로 연결하여, 연결부재들(53)이 일체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손잡이(55)는 연결봉(54)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결봉(54)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4를 참조하면, 케이스(56)는 입력단자(51), 출력단자(52) 및 연결부재(53)를 내장한다. 따라서 케이스(56)는 입력단자 인출구(561), 출력단자 인출구(562) 및 커넥터 삽입구(563)을 포함한다.
입력단자 인출구(561)는 입력단자(51)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출력단자 인출구(562)는 출력단자(52)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커넥터 삽입구(563)는 커넥터(80)의 삽입 측에 형성된다.
연결부재(53)는 커넥터 삽입구(563)에 대응하는 부분에 피결합부(57)를 형성한다. 피결합부(57)는 제1 연결부재(531), 제2 연결부재(532), 제3 연결부재(533) 및 제4 연결부재(534)에 각각 대응하는 제1 피결합부(571), 제2 피결합부(572), 제3 피결합부(573) 및 제4 피결합부(574)를 포함한다.
커넥터(80)는 피결합부(57)에 결합되는 결합부(81)을 포함한다. 결합부(81)는 제1 피결합부(571)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811), 제2 피결합부(572)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812), 제3 피결합부(573)에 결합되는 제3 결합부(813) 및 제4 피결합부(574)에 결합되는 제4 결합부(814)를 포함한다.
연결봉(54)은 케이스(56)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케이스(56)는 연결봉(54)의 양단에 대응하여 안내 홀(58)을 형성한다. 연결봉(54)은 안내 홀(58)을 따라 선회 작동된다. 안내 홀(58)은 볼트(B)를 반경 중심으로 한다.
스위칭 장치(50)는 절연부재(59)를 포함한다. 절연부재(59)는 피결합부(57)와 커넥터 삽입구(563)에 대응하는 커넥터 유도구(591)를 포함한다.
커넥터 삽입구(563)은 제1 피결합부(571)에 대응하는 제1 커넥터 삽입구(5631), 제2 피결합부(572)에 대응하는 제2 커넥터 삽입구(5632), 제3 피결합부(573)에 대응하는 제3 커넥터 삽입구(5633) 및 제4 결합부(574)에 대응하는 제4 커넥터 삽입구(5634)를 포함한다.
커넥터 유도구(591)은 제1 피결합부(571)에 대응하는 제1 커넥터 유도구(5911), 제2 피결합부(572)에 대응하는 제2 커넥터 유도구(5912), 제3 피결합부(573)에 대응하는 제3 피결합부(5913) 및 제4 결합부(574)에 대응하는 제4 커넥터 유도구(5914)를 포함한다.
절연부재(59)는 연결부재(53)의 피결합부(57)와 케이스(56) 사이에 개재되어, 커넥터 유도구(591)를 통하여 커넥터(80)의 삽입을 유도한다.
도5는 스위칭 장치의 온 작동 상태도이다.
연결부재들(53)을 연결하는 연결봉(54)은 볼트(B)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선회 조작되어, 출력단자(51)에 연결된 연결부재들(53)을 입력단자(52)에 연결시키고 있다.
전력공급 장치는 고압선로(30) 및 변압기(4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스위칭 장치(50)를 통하여 부하선로(60)로 공급하여, 일상적인 전력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6은 스위칭 장치의 오프 작동 상태도이다.
연결부재들(53)을 연결하는 연결봉(54)은 볼트(B)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선회 조작되어, 출력단자(51)에 연결된 연결부재들(53)을 입력단자(52)로부터 분리시키고 있다.
전력공급 장치는 고압선로(30) 및 변압기(4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스위칭 장치(50)에서 차단하여 변압기(40)의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즉, 변압기(40)의 입력단(45)과 출력단(46) 및 접지단(47)에 연결된 제1 리드선(71) 및 제2 리드선(72)의 결선을 해체하는 작업에 의하여, 변압기(40)는 제1 리드선(71)과 제2 리드선(7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7은 스위칭 장치의 오프 및 커넥터의 연결 상태도이다.
무정전 파이패스를 위하여, 도6의 작업 전에 도7의 작업을 먼저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압선로(30)에 연결된 무정전 차량(90)의 커넥터(80)를 스위칭 장치(50)의 연결부(591)에 결합시킨다. 도7은 커넥터(80)의 결합부(81)가 피결합부(57)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는 고압선로(30), 무정전 차량(90), 커넥터(80) 및 스위칭 장치(50)의 연결부재(53)를 통하여, 부하선로(60)로 전력을 바이패스 공급한다.
도8은 커넥터의 연결 및 스위칭 장치의 온 상태도이다.
바이패스 공급 상태에서 변압기(40)의 교체 작업을 수행한다. 변압기(40) 교체 작업 후, 변압기(40)를 부하선로(60)에 연결한다. 이때, 변압기(40)와 무정전 차량(90)은 병렬 상태로 연결되어 부하선로(60)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어서, 스위칭 장치(50)로부터 커넥터(80)를 제거한다. 따라서 고압선로(30)로 공급되는 전력은 교체된 변압기(40) 및 스위칭 장치(50)를 통하여 부하선로(60)를 공급된다.
무정전 바이 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는 스위칭 장치(50)의 구비로 인하여, 변압기(40) 교체 작업 시, 제1 리드(71), 제2 리드선(72) 및 제3 리드 선(73)를 절단 및 교체를 불필요하게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변압기와 부하선로 사이에 스위칭 장치를 구비하므로 변압기와 부하선로 사이에서 전기적인 단속이 용이해진다. 변압기와 병렬로 배치되는 무정전 차량의 커넥터를 스위칭 장치에 연결함으로써 변압기와 무정전 차량을 부하선로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따라서 변압기 교체 작업 시, 작업 안정성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Claims (10)

  1. 고압선로에 연결되는 변압기와 부하선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와 상기 부하선로 사이를 전기적으로 온/오프하는 스위칭 장치; 및
    상기 고압선로에 상기 변압기와 병렬로 배치되는 무정전 차량과 상기 스위칭 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변압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입력단자,
    상기 부하선로에 연결되는 출력단자, 및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는,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포함하는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연결부재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입력단자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입력단자 인출구,
    상기 출력단자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출력단자 인출구, 및
    상기 피결합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커넥터 삽입구를 포함하는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피결합부와 상기 커넥터 삽입구에 대응하는 커넥터 유도구를 포함하는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 상기 출력단 및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동일 개수의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연결부재들을 관통하고 절연부재를 개재하여 연결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연결부재들은 상기 출력단들 각각에 대응하여 볼트와 너트로 선회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안내 홀을 포함하는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7. 가공지선;
    고압선로;
    상기 고압선로에 제1 리드선으로 연결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에 제2 리드선으로 연결되는 스위칭 장치; 및
    상기 스위칭 장치에 제3 리드선으로 연결되는 부하선로를 포함하는 전력공급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변압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입력단자,
    상기 부하선로에 연결되는 출력단자, 및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력공급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연결부재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입력단자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입력단자 인출구,
    상기 출력단자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출력단자 인출구, 및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피결합부에 대응하는 커넥터 삽입구를 포함하는 전력공급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 상기 출력단 및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동일 개수의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연결부재들을 관통하고 절연부재를 개재하여 연결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연결부재들은 상기 출력단들 각각에 대응하여 볼트와 너트로 선회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안내 홀을 포함하는 전력공급 장치.
KR1020070051435A 2007-05-28 2007-05-28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 KR20080104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435A KR20080104533A (ko) 2007-05-28 2007-05-28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435A KR20080104533A (ko) 2007-05-28 2007-05-28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533A true KR20080104533A (ko) 2008-12-03

Family

ID=4036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435A KR20080104533A (ko) 2007-05-28 2007-05-28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45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189B1 (ko) * 2019-01-02 2019-10-24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양방향 단자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189B1 (ko) * 2019-01-02 2019-10-24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양방향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4310B (zh) 使用接地开关的ac和dc系统之间的接口装置
US20130229739A1 (en) Voltage balancing of symmetric hvdc monopole transmission lines after earth faults
RU242296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лавки гололеда на проводах и тросах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варианты)
US9397235B2 (en) Photovoltaic string combiner with disconnect having provision for converting between grounded and ungrounded systems
US20070161282A1 (en) Modular connection assembly
CN109347134B (zh) 双极柔性直流电网极线电气主接线系统及在线检修方法
JP4490486B2 (ja) 高電圧スイッチギア・アセンブリ
CN106501674A (zh) 中压配电网单相接地故障定位装置及其故障定位方法
KR101126214B1 (ko) 배전계통 송전선로상의 무정전 변압기 변경 연결방법
KR20080104533A (ko)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
CN101366156B (zh) 具有单独可隔离的功能区的配电系统
CN210005629U (zh) 特高压gis耐压试验装置
CN212625119U (zh) 变压器中性点连接系统
CN208257228U (zh) 低压大电流交流恒流源组合而成的电流算术运算装置
CN207036915U (zh) 一种应用于电力行业的分线结构和分线装置
KR200414236Y1 (ko) 전력계통 동심중성선 활선절단시공장치
RU117732U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CN103354325A (zh) 一种带负荷更换负荷开关的方法
CN216215896U (zh) 一种电力电缆交叉互联箱的故障修正装置
CN202177641U (zh) 单极四组合换相器
CN203859082U (zh) 一种带插座的漏电断路器
CN207939172U (zh) 含T型线夹的500kV输电线路邻相导线换相结构
CN215418056U (zh) 一种微型漏电断路器
CN213150616U (zh) 一种开关装置
CN210269931U (zh) 一种基于微动开关的操作控制电源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