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189B1 - 양방향 단자대 - Google Patents

양방향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189B1
KR102036189B1 KR1020190000407A KR20190000407A KR102036189B1 KR 102036189 B1 KR102036189 B1 KR 102036189B1 KR 1020190000407 A KR1020190000407 A KR 1020190000407A KR 20190000407 A KR20190000407 A KR 20190000407A KR 102036189 B1 KR102036189 B1 KR 102036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insulating
spare
slid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김형섭
김주목
최태원
박재형
김정섭
Original Assignee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 작업시 필수부하 전원장치의 이설 작업 과정에서 단자대를 기준으로 입력측 장치와 는 출력측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설 작업에 필요한 케이블의 결선 및 해체 그리고 케이블의 재결선 작업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양방향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양방향 단자대는 구획바디와 구획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작동바디와 구획바디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바디를 포함하는 단자대바디와, 구획바디를 기준으로 양단부가 각각 작동바디와 고정바디에 돌출 형성되는 둘 이상의 메인버스바와, 메인버스바와 1:1 대응으로 이격되고 구획바디를 기준으로 양단부가 각각 작동바디와 고정바디에 돌출 형성되는 둘 이상의 스페어버스바 및 작동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메인버스바와 스페어버스바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버스바변경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단자대{TWO WAY TERMINAL}
본 발명은 양방향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전 작업시 필수부하 전원장치의 이설 작업 과정에서 단자대를 기준으로 입력측 장치와 는 출력측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설 작업에 필요한 케이블의 결선 및 해체 그리고 케이블의 재결선 작업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양방향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계기용 변성기와 전력량계를 직접 접속하여 수용가의 사용 전력량을 계측하여 왔다. 이때, 계기용 변성기의 결함이나 계기용 변성기로부터 이어지는 배선의 단선, 계기용 변성기로부터 전력량계로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의 역상 등 이상 유무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계기용 변성기와 전력량계를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그 상태를 점검하여야 하므로, 그 점검이 대단히 어려웠고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이에 따라, 계기용 변성기와 전력량계 사이에 전력량계용 시험단자대를 설치하여 계기용 변성기로부터 전력량계로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가 결상되었는지 또는 전압 및 전류가 역상으로 전력량계로 공급되는지를 쉽게 점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시험단자대를 기준으로 입력측 장치 또는 출력측 장치를 교체 또는 이설해야 하는 경우, 이설 작업 도중에는 장치 간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0858호 (발명의 명칭 : 무정전 교환용 시험용 단자대, 2007. 08. 2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전 작업시 필수부하 전원장치의 이설 작업 과정에서 단자대를 기준으로 입력측 장치와 는 출력측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설 작업에 필요한 케이블의 결선 및 해체 그리고 케이블의 재결선 작업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양방향 단자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단자대는 구획바디와, 상기 구획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작동바디와, 상기 구획바디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바디를 포함하는 단자대바디; 상기 구획바디를 기준으로 양단부가 각각 상기 작동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에 돌출 형성되는 둘 이상의 메인버스바; 상기 메인버스바와 1:1 대응으로 이격되고, 상기 구획바디를 기준으로 양단부가 각각 상기 작동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에 돌출 형성되는 둘 이상의 스페어버스바; 및 상기 작동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버스바와 상기 스페어버스바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버스바변경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디는, 둘 이상의 상기 메인버스바가 배치되는 메인접속부; 상기 메인접속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둘 이상의 상기 스페어버스바가 배치되는 스페어접속부; 및 상기 메인접속부와 상기 스페어접속부를 구획하는 케이블구획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버스바와 상기 스페어버스바는, 상호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고정바디에는, 상호 인접한 상기 메인버스바와 상기 스페어버스바를 구획하는 단자구획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변경유닛은, 상기 작동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연슬라이더; 상기 절연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메인버스바 또는 상기 스페어버스바에 적층되고, 상기 메인버스바와 1:1 대응되도록 상기 절연슬라이더에서 상기 구획바디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둘 이상의 작동버스바; 상기 메인버스바와 1:1 대응으로 구비되고, 상기 절연슬라이더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버스바와 상기 작동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거나, 상기 스페어버스바와 상기 작동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둘 이상의 절연결합구; 및 상기 절연결합구가 회전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절연슬라이더에서 탈부착 가능한 절연홀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바디에는, 상기 절연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절연슬라이더에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절연가이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절연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레일부; 및 상기 지지레일부에서 상기 절연슬라이더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기 걸림레일부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슬라이더; 및 상기 걸림레일부의 안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슬라이더에서 상기 지지레일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연홀더는, 상기 절연결합구와 1:1 대응으로 결합되는 탈착로드;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탈착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로드; 및 작업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회전로드를 상호 연결하는 파지로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탈착로드와 상기 절연결합구가 결합되거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로드가 회전되어 상기 탈착로드와 경사지게 형성되면, 상기 절연결합구와 상기 탈착로드의 결합이 유지되거나, 상기 절연결합구의 회전이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변경유닛은, 상기 절연슬라이더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절연홀더와 탈부착 가능한 홀더탈착핀;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변경유닛은, 상기 홀더탈착핀과 상기 절연홀더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절연슬라이더에 대하여 상기 홀더탈착핀을 탄성 지지하는 핀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단자대에 따르면, 정전 작업시 필수부하 전원장치의 이설 작업 과정에서 단자대를 기준으로 입력측 장치와 는 출력측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설 작업에 필요한 케이블의 결선 및 해체 그리고 케이블의 재결선 작업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기의 혼선으로 인한 케이블의 결선 오류, 기동시의 설비사고 및 안전사고, 차단되지 않은 단자대의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고를 예방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선시의 볼트조임작업 불량, 단자대 과열(flush over)로 인한 화재사고를 예방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버스바와 스페어버스바의 구획을 통해 메인케이블과 스페어케이블의 설치를 간편하게 하고, 버스바 간의 이격 배치를 바탕으로 절연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버스바 간의 전기적 접속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절연결합구를 통해 버스바 간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는 메인버스바와 스페어버스바의 교대 배열을 통해 절연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슬라이드 이동만으로도 상호 1:1 대응되는 버스바 사이에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며, 절연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호 다른 성질의 버스바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고, 버스바 사이의 접속 불량 및 전기 안전사고를 예방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바디에서 절연슬라이더의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작동바디에서 작동버스바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작동바디에서 절연슬라이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결합구를 통해 버스바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절연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홀더를 통해 절연결합구를 보호하고, 절연결합구의 임의 조작을 방지하며, 필수부하 전원장치의 이설 작업 과정에서 이설 상태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탈착핀을 통해 절연홀더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절연홀더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계통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작필수부하 전원장치의 이설 작업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결합구 및 절연홀더를 통해 버스바 간의 전기적 접속을 간소화함은 물론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예방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종래와 같이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전기적 접속 작업을 실시할 때, 협소한 단자대바디에서 공구 또는 버스바결합구의 낙하에 따라 작업자의 감전사고 또는 단락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절연결합구를 통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작업자의 수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협소한 단자대바디에서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수부하 전원장치의 이설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종래에 실시하던 단자대 케이블 해체 및 결선, 케이블 포설 등의 부가 작업이 제외되어 작업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자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자대에서 버스바변경유닛의 슬라이딩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자대에서 버스바변경유닛에 포함되는 절연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자대에서 버스바변경유닛에 포함되는 절연홀더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자대에서 버스바변경유닛에 포함되는 절연홀더의 탈부착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단자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자대는 단자대바디(10)와, 메인버스바(20)와, 스페어버스바(30)와, 버스바변경유닛(40)을 포함한다.
단자대바디(10)는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로써, 구획바디(13)와, 구획바디(13)의 일측에 구비되는 작동바디(11)와, 구획바디(13)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바디(12)를 포함한다. 단자대바디(10)는 절연체로 이루어져 메인버스바(20)와 스페어버스바(30) 사이, 상호 인접한 두 메인버스바(20) 사이, 상호 인접한 두 스페어버스바(30) 사이, 구획바디(13)를 기준으로 하는 작동바디(11)와 고정바디(12)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다.
작동바디(11)에는 버스바변경유닛(40)의 절연슬라이더(5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레일(111)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11)은 절연슬라이더(5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레일부(112)와, 지지레일부(112)에서 절연슬라이더(5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레일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디(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메인버스바(20)가 배치되는 메인접속부(121)와, 메인접속부(1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격되어 둘 이상의 스페어버스바(30)가 배치되는 스페어접속부(122)와, 메인접속부(121)와 스페어접속부(122)를 구획하는 케이블구획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구획부(123)는 고정바디(12)에서 메인버스바(20)의 설치 위치와 스페어버스바(30)의 설치 위치를 둘로 구획한다. 케이블구획부(123)는 메인버스바(20)에서 고정바디(12)의 일측단부에도 구비되어 외부와 메인버스바(20) 쪽의 고정바디(12)를 구획하고, 스페어버스바(30)에서 고정바디(12)의 타측단부에도 구비되어 외부와 스페어버스바(30) 쪽의 고정바디(12)를 구획할 수 있다.
메인접속부(121)와 스페어접속부(122)에는 각각 단자구획부(124)가 구비된다. 메인접속부(121)에 구비되는 단자구획부(124)는 메인접속부(121)에서 상호 인접한 둘 이상의 메인버스바(20)를 상호 구획하고, 스페어접속부(122)에 구비되는 단자구획부(124)는 스페어접속부(122)에서 상호 인접한 둘 이상의 스페어버스바(30)를 상호 구획한다.
메인버스바(20)는 구획바디(13)를 기준으로 양단부가 각각 작동바디(11)와 고정바디(12)에 돌출 형성된다. 메인버스바(20)는 단상의 전원을 전달하거나 3상 이상의 전원을 전달하므로,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단자대바디(10)에 고정된다.
메인버스바(20)에는 메인케이블(24)이 결합된 메인단자(25)가 메인결합구(26)를 매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버스바(20)는 3상의 전원을 전달하므로, 제1메인바(21)와, 제1메인바(21)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2메인바(22)와, 제2메인바(22)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3메인바(2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어버스바(30)는 메인버스바(20)와 마찬가지로 구획바디(13)를 기준으로 양단부가 각각 작동바디(11)와 고정바디(12)에 돌출 형성된다. 스페어버스바(30)는 메인버스바(20)와 1:1 대응되고, 단상의 전원을 전달하거나 3상의 전원을 전달하므로,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단자대바디(10)에 고정된다.
스페어버스바(30)에는 스페인케이블(34)이 결합된 스페어단자(35)가 스페어결합구(36)를 매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페어버스바(30)는 3상의 전원을 전달하므로, 제1스페어바(31)와, 제1스페어바(31)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2스페어바(32)와, 제2스페어바(32)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3스페어바(33)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변경유닛(40)은 작동바디(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버스바변경유닛(40)은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메인버스바(20)와 스페어버스바(30)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된다.
버스바변경유닛(40)은 절연슬라이더(50)와, 작동버스바(60)와, 절연결합구(70)와, 절연홀더(80)를 포함하고, 홀더탈착핀(90)을 더 포함하며, 핀탄성부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슬라이더(50)는 작동바디(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절연슬라이더(50)는 절연체로 이루어져 상호 인접한 두 작동버스바(60)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다.
절연슬라이더(50)에는 상호 인접한 두 작동버스바(60) 사이를 구획하는 절연구획부(51)가 구비될 수 있다.
절연슬라이더(50)에는 가이드레일(111)과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절연가이드(52)가 구비될 수 있다. 절연가이드(52)는 가이드레일(111)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걸림레일부(113)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슬라이더(521)와, 걸림레일부(113)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안착공간(523)이 형성되도록 지지슬라이더(521)에서 지지레일부(112)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슬라이더(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슬라이더(50)에는 양측단부에 구비되어 외부와 작동버스바(60)를 구획하는 홀더지지날개부(53)가 구비될 수 있다. 홀더지지날개부(53)에는 홀더탈착핀(9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작동버스바(60)는 메인버스바(20)와 1:1 대응되도록 절연슬라이더(50)에서 구획바디(13)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작동버스바(60)는 단상의 전원을 전달하거나 3상 이상의 전원을 전달하므로,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절연슬라이더(50)에 고정된다.
작동버스바(60)에는 작동케이블(64)이 결합된 작동단자(65)가 작동결합구(66)를 매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동버스바(60)는 3상의 전원을 전달하므로, 제1작동바(61)와, 제1작동바(61)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2작동바(62)와, 제2작동바(62)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3작동바(63)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버스바(60)는 절연슬라이더(5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메인버스바(20) 또는 스페어버스바(30)에 적층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동버스바(60)는 절연슬라이더(5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메인버스바(20)의 상부 또는 스페어버스바(30)의 상부에서 이격 배치되어 절연슬라이더(50)의 슬라이드 이동 과정에서 버스바 간의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도록 한다. 하지만, 작동버스바(60)가 메인버스바(20) 또는 스페어버스바(30)의 상부에 적층 지지되면, 절연슬라이더(50)가 작동바디(11)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때, 상호 다른 극성의 메인버스바(20)와 스페어버스바(30)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합선과 같은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절연결합구(70)는 메인버스바(20)와 1:1 대응으로 구비된다. 절연결합구(70)는 버스바들이 단상의 전원을 전달하거나 3상 이상의 전원을 전달하므로, 둘 이상을 포함한다.
절연결합구(70)는 작업자의 파지를 위해 외주면이 절연되는 절연머리부(71)와, 절연머리부(71)에서 연장되는 결합나사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절연머리부(71)는 작동버스바(60)에 지지되고, 결합나사부(72)는 작동버스바(60)를 통과하여 작동버스바(60)의 하측에 배치된 메인버스바(20) 또는 스페어버스바(30)와 나사 결합된다. 결합나사부(72)는 작동버스바(60)에서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하고, 작동버스바(6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절연머리부(71)에는 절연홀더(80)와의 탈부착 결합 또는 절연홀더(80)와의 회전 가능한 지지를 위해 홀더결합부(711)가 구비된다.
절연결합구(70)는 절연슬라이더(50)의 위치에 따라 메인버스바(20)와 작동버스바(60)를 나사 결합으로 밀착 지지시켜 적층된 두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결합구(70)는 절연슬라이더(50)의 위치에 따라 스페어버스바(30)와 작동버스바(60)를 나사 결합으로 상호 밀착 지지시켜 적층된 두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절연홀더(80)는 절연슬라이더(5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절연홀더(80)에는 절연결합구(70)가 회전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절연홀더(80)는 절연체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파지를 안정화시킬 수 있고, 절연홀더(80)의 동작에 따라 작동버스바(60)에 전기적으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홀더(80)는 절연결합구(70)와 1:1 대응으로 결합되는 탈착로드(81)와, 회전축(83)을 매개로 탈착로드(8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로드(82)와, 작업자의 파지를 위해 회전로드(82)를 상호 연결하는 파지로드(85)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홀더(80)는 탈착로드(8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착로드(81)에는 절연결합구(70)와의 탈부착 결합 또는 절연결합구(70)와의 회전 가능한 지지를 위해 홀더결합부(711)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거나 홀더결합부(711)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결합부(811)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홀더결합부(711)와 탈착결합부(811)는 각각 돌기와 홈의 구조를 나타내어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하였다. 탈착로드(81)와 절연결합구(70)가 결합되면, 절연결합구(70)의 임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한다.
회전로드(82)와 파지로드(85) 중 어느 하나에는 홀더탈착핀(90)과의 끼움 결합을 위한 걸림홈부(821)가 함몰 형성된다.
홀더탈착핀(90)은 절연슬라이더(50)의 홀더지지날개부(53)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홀더탈착핀(90)은 절연홀더(8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홀더탈착핀(90)은 절연슬라이더(50)의 홀더지지날개부(53)에 지지되고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머리부(91)와, 파지머리부(91)에서 연장되어 절연슬라이더(50)의 홀더지지날개부(5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절연홀더(80)의 걸림홈부(821)에 끼움 결합 가능한 지지로드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로드부(92)에는 걸림홈부(821)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로드부(92)에는 홀더지지날개부(53)에서의 슬라이드 이동량 또는 절연홀더(80)의 걸림홈부(821)와의 끼움 결합량을 제한하는 탄성제한부(93)가 구비될 수 있다.
핀탄성부재(100)는 탄성력에 의해 홀더탈착핀(90)과 절연홀더(80)의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핀탄성부재(100)는 절연슬라이더(50)에 대하여 홀더탈착핀(90)을 탄성 지지한다. 핀탄성부재(100)는 지지로드부(92)를 감싸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양단부가 절연슬라이더(50)의 홀더지지날개부(53)와 홀더탈착핀(90)의 탄성제한부(93)에 각각 지지되도록 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자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단자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결합구(70)를 매개로 작동버스바(60)와 메인버스바(20)가 접속되어 있다.
메인버스바(20)와 접속된 작동버스바(60)를 스페어버스바(30)에 접속하는 경우, 작업자가 홀더탈착핀(90)을 잡아당기면, 홀더탈착핀(90)의 지지로드부(92)가 걸림홈부(821)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탈착로드(81)와 회전로드(82)가 일직선이 되도록 회전축(83)을 중심으로 회전로드(82)를 회전시킨 다음,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절연결합구(70)의 나사 결합을 해제시킨다. 이때, 절연결합구(70)로부터 절연홀더(8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홀더탈착핀(90)의 파지를 해제하면, 홀더탈착핀(90)은 핀탄성부재(10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절연결합구(70)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면 메인버스바(20)의 상부에서 작동버스바(60)가 이격된다. 그리고 작동버스바(60)가 스페어버스바(30)의 상부에서 이격 배치되도록 절연슬라이더(50)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작동버스바(60)와 스페어버스바(30)에 절연결합구(70)를 나사 결합하면, 스페어버스바(30)의 상부에 작동버스바(60)가 밀착 지지되어 작동버스바(60)와 스페어버스바(3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지막으로, 절연결합구(70)에 절연홀더(80)의 탈착로드(81)를 결합한 다음, 회전축(83)을 중심으로 회전로드(82)를 회전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홀더탈착핀(90)을 잡아당기고, 회전로드(82)의 회전에 따라 걸림홈부(821)가 홀더탈착핀(9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홀더탈착핀(90)의 파지를 해제하면, 홀더탈착핀(90)은 핀탄성부재(10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고, 홀더탈착핀(90)의 지지로드부(92)가 걸림홈부(821)에 끼움 결합된다. 회전로드(82)가 회전되어 탈착로드(81)와 경사지게 형성되면, 절연결합구(70)와 탈착로드(81)의 결합을 유지시키거나 절연결합구(7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반대로, 스페어버스바(30)와 접속된 작동버스바(60)를 메인버스바(20)에 접속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결합구(70)의 나사 결합 해제를 통해 작동버스바(60)와 스페어버스바(30)의 결합을 해제한 다음, 절연슬라이더(50)를 이동시키고, 절연결합구(70)의 나사 결합을 통해 작동버스바(60)와 메인버스바(20)를 결합하여 작동버스바(60)를 다시 메인버스바(20)에 접속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버스바(20)와 스페어버스바(30)는 상호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고정바디(12)에는 상호 인접한 메인버스바(20)와 스페어버스바(30)를 구획하는 단자구획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디(12)에는 고정바디(12)의 외부와 최외측의 메인버스바(20)를 구획하고, 고정바디(12)의 외부와 최외측의 스페어버스바(30)를 구획하는 케이블구획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슬라이더(5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작동버스바(60)는 메인버스바(20) 또는 스페어버스바(30)에 적층 지지되어 버스바 간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양방향 단자대에 따르면, 정전 작업시 필수부하 전원장치의 이설 작업 과정에서 단자대를 기준으로 입력측 장치와 는 출력측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설 작업에 필요한 케이블의 결선 및 해체 그리고 케이블의 재결선 작업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차단기의 혼선으로 인한 케이블의 결선 오류, 기동시의 설비사고 및 안전사고, 차단되지 않은 단자대의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고를 예방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선시의 볼트조임작업 불량, 단자대 과열(flush over)로 인한 화재사고를 예방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버스바(20)와 스페어버스바(30)의 구획을 통해 메인케이블(24)과 스페어케이블(34)의 설치를 간편하게 하고, 버스바 간의 이격 배치를 바탕으로 절연슬라이더(5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버스바 간의 전기적 접속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절연결합구(70)를 통해 버스바 간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버스바(20)와 스페어버스바(30)의 교대 배열을 통해 절연슬라이더(50)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슬라이드 이동만으로도 상호 1:1 대응되는 버스바 사이에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며, 절연슬라이더(5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호 다른 성질의 버스바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고, 버스바 사이의 접속 불량 및 전기 안전사고를 예방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동바디(11)에서 절연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작동바디(11)에서 작동버스바(6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작동바디(11)에서 절연슬라이더(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결합구(70)를 통해 버스바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절연슬라이더(5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절연홀더(80)를 통해 절연결합구(70)를 보호하고, 절연결합구(70)의 임의 조작을 방지하며, 필수부하 전원장치의 이설 작업 과정에서 이설 상태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홀더탈착핀(90)을 통해 절연홀더(80)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절연홀더(8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계통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작필수부하 전원장치의 이설 작업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절연결합구(70) 및 절연홀더(80)를 통해 버스바 간의 전기적 접속을 간소화함은 물론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예방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종래와 같이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전기적 접속 작업을 실시할 때, 협소한 단자대바디에서 공구 또는 버스바결합구의 낙하에 따라 작업자의 감전사고 또는 단락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절연결합구(70)를 통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작업자의 수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협소한 단자대바디(10)에서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수부하 전원장치의 이설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종래에 실시하던 단자대 케이블 해체 및 결선, 케이블 포설 등의 부가 작업이 제외되어 작업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단자대바디 11: 작동바디 111: 가이드레일
112: 지지레일부 113: 걸림레일부 12: 고정바디
121: 메인접속부 122: 스페어접속부 123: 케이블구획부
124: 단자구획부 13: 구획바디 20: 메인버스바
21: 제1메인바 22: 제2메인바 23: 제3메인바
24: 메인케이블 25: 메인단자 26: 메인결합구
30: 스페어버스바 31: 제1스페어바 32: 제2스페어바
33: 제3스페어바 34: 스페어케이블 35: 스페어단자
36: 스페어결합구 40: 버스바변경유닛 50: 절연슬라이더
51: 절연구획부 52: 절연가이드 521: 지지슬라이더
522: 걸림슬라이더 523: 안착공간 53: 홀더지지날개부
60: 작동버스바 61: 제1작동바 62: 제2작동바
63: 제3작동바 64: 작동케이블 65: 작동단자
66: 작동결합구 70: 절연결합구 71: 절연머리부
711: 홀더결합부 72: 결합나사부 80: 절연홀더
81: 탈착로드 811: 탈착결합부 82: 회전로드
821: 걸림홈부 83: 회전축 84: 연결로드
85: 파지로드 90: 홀더탈착유닛 91: 파지머리부
92: 지지로드부 93: 탄성제한부 100: 핀탄성부재

Claims (10)

  1. 구획바디와, 상기 구획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작동바디와, 상기 구획바디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정바디를 포함하는 단자대바디;
    상기 구획바디를 기준으로 양단부가 각각 상기 작동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에 돌출 형성되는 둘 이상의 메인버스바;
    상기 메인버스바와 1:1 대응으로 이격되고, 상기 구획바디를 기준으로 양단부가 각각 상기 작동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에 돌출 형성되는 둘 이상의 스페어버스바; 및
    상기 작동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버스바와 상기 스페어버스바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버스바변경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단자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둘 이상의 상기 메인버스바가 배치되는 메인접속부;
    상기 메인접속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둘 이상의 상기 스페어버스바가 배치되는 스페어접속부; 및
    상기 메인접속부와 상기 스페어접속부를 구획하는 케이블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단자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버스바와 상기 스페어버스바는, 상호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고정바디에는,
    상호 인접한 상기 메인버스바와 상기 스페어버스바를 구획하는 단자구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단자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변경유닛은,
    상기 작동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연슬라이더;
    상기 절연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메인버스바 또는 상기 스페어버스바에 적층되고, 상기 메인버스바와 1:1 대응되도록 상기 절연슬라이더에서 상기 구획바디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둘 이상의 작동버스바;
    상기 메인버스바와 1:1 대응으로 구비되고, 상기 절연슬라이더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버스바와 상기 작동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거나, 상기 스페어버스바와 상기 작동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둘 이상의 절연결합구; 및
    상기 절연결합구가 회전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절연슬라이더에서 탈부착 가능한 절연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단자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디에는, 상기 절연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절연슬라이더에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절연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단자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절연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레일부; 및
    상기 지지레일부에서 상기 절연슬라이더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기 걸림레일부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슬라이더; 및
    상기 걸림레일부의 안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슬라이더에서 상기 지지레일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단자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홀더는,
    상기 절연결합구와 1:1 대응으로 결합되는 탈착로드;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탈착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로드; 및
    작업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회전로드를 상호 연결하는 파지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단자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로드와 상기 절연결합구가 결합되거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로드가 회전되어 상기 탈착로드와 경사지게 형성되면, 상기 절연결합구와 상기 탈착로드의 결합이 유지되거나, 상기 절연결합구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단자대.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변경유닛은,
    상기 절연슬라이더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절연홀더와 탈부착 가능한 홀더탈착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단자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변경유닛은,
    상기 홀더탈착핀과 상기 절연홀더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절연슬라이더에 대하여 상기 홀더탈착핀을 탄성 지지하는 핀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단자대.
KR1020190000407A 2019-01-02 2019-01-02 양방향 단자대 KR102036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407A KR102036189B1 (ko) 2019-01-02 2019-01-02 양방향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407A KR102036189B1 (ko) 2019-01-02 2019-01-02 양방향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189B1 true KR102036189B1 (ko) 2019-10-24

Family

ID=6842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407A KR102036189B1 (ko) 2019-01-02 2019-01-02 양방향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5131A (zh) * 2022-06-24 2022-09-20 济南鼎拓电气有限公司 一种风电塔筒管型母线稳固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58B1 (ko) 2007-06-18 2007-08-23 태형산업주식회사 무정전 교환용 시험용 단자대
KR20080104533A (ko) * 2007-05-28 2008-12-03 (주)태경산전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
KR101030727B1 (ko) * 2009-10-28 2011-04-26 조규행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533A (ko) * 2007-05-28 2008-12-03 (주)태경산전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및 전력공급 장치
KR100750858B1 (ko) 2007-06-18 2007-08-23 태형산업주식회사 무정전 교환용 시험용 단자대
KR101030727B1 (ko) * 2009-10-28 2011-04-26 조규행 전기계량기 교체용 무정전 단자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5131A (zh) * 2022-06-24 2022-09-20 济南鼎拓电气有限公司 一种风电塔筒管型母线稳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1710C2 (ru) Система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CN102027639B (zh) 桥形连接器和由至少两个电接线端子和一个桥形连接器组成的结构单元
KR101343512B1 (ko) 개별적으로 차단가능한 기능영역을 갖는 배전 시스템
JP5706530B2 (ja) 運転中のシステムへの給電を確立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2047513B (zh) 母线系统和用于其中的模块体
CN112952499B (zh) 用于汇流排系统的适配器装置
US7247045B1 (en) Modular connection assembly
US8888512B2 (en) Power-track adapter
US9627829B2 (en) Adapter system with an adapter for busbars and an adapter connection module
US10027204B2 (en) Method of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power to loads and a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same
KR102036189B1 (ko) 양방향 단자대
KR100816102B1 (ko) 저압 배전반용 이중 착탈식 어댑터
EP3254347B1 (en) Consumer units, receptacles for consumer units and consumer unit systems
US9742164B2 (en) Secondary disconnect assembly for a switching device
KR100882790B1 (ko)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JP2013187947A (ja) プラグイン分電盤
KR101029293B1 (ko)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US9312083B1 (en) Threaded rod-and-spacer switch handle tie
US20160322804A1 (en) Protection device for electrical network
US7859130B2 (en)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equipment with varying requirements for the power supply
JP2009177947A (ja) 応急接続回路及びそれに用いる接続装置
AU2012396428A1 (en) Current transformer and load interrupter having such a current transformer
JP2013247808A (ja) 変圧器の二次側の接続機構
KR20240153007A (ko) 부스덕트 분기박스
AU2008100118B4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individually isolatable functional z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