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833B1 - 연료기화폭발탄 - Google Patents

연료기화폭발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833B1
KR101925833B1 KR1020160063234A KR20160063234A KR101925833B1 KR 101925833 B1 KR101925833 B1 KR 101925833B1 KR 1020160063234 A KR1020160063234 A KR 1020160063234A KR 20160063234 A KR20160063234 A KR 20160063234A KR 101925833 B1 KR101925833 B1 KR 101925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dy
fuel
filling space
combustible fuel
dispers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430A (ko
Inventor
이정환
조동현
진연태
김형준
양희성
안영준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063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83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 F42B12/5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by dispe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 F42B12/5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by dispersion
    • F42B12/52Fuel-air explosiv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9/00Time fuzes; Combined time and percussion or pressure-actuated fuzes; Fuzes for timed self-destruction of ammu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연료운 형성을 위한 1차 기폭시 가연성 연료의 조기 점화가 방지되어 폭발력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분산화약이 충진되는 제1충진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탄체; 상기 베이스탄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산화약을 점화하는 제1기폭부; 상기 베이스탄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압력전달체가 충진되는 방화튜브; 상기 방화튜브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압력전달체를 경유한 상기 분산화약의 폭발력에 의해 비산되는 가연성 연료가 충진되도록 제2충진공간이 형성된 외부탄체; 및 상기 분산화약의 점화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지연시간 경과 후 상기 비산된 가연성 연료를 점화하는 제2기폭부를 포함하는 연료기화폭발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기화폭발탄{fuel air explosive munition}
본 발명은 연료기화폭발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운 형성을 위한 1차 기폭시 가연성 연료의 조기 점화가 방지되어 폭발력이 향상되는 연료기화폭발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기화폭발탄(fuel air explosive munition, FAE)은 폭풍형 무기로, 가연성 연료를 공기 중에 분산시키고, 일정한 지연시간이 경과되면 분산된 연료를 점화하여 분진 폭발과 유사한 형태의 폭굉을 통해 충격파와 열을 발생시키는 무기이다.
여기서, 상기 연료기화폭발탄은 분산화약이 충진된 내부 탄체와, 상기 내부 탄체의 외부에 구비되되 분산화약의 폭발 압력에 의해 공기 중으로 분산되는 가연성 연료가 충진된 외부 탄체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연성 연료는 산화프로필렌, 노말 헵탄 또는 이에 니트로메탄과 같은 민감제를 혼합한 조성물로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분산화약은 1차 기폭장치에 의해 점화되어 폭발되며 가연성 연료를 공기 중으로 살포한다. 이때, 살포된 가연성 연료는 분산화약의 폭발 압력으로 공기 중에 분산되어 연료-공기 혼합 구름을 형성하고, 2차 기폭장치에 의해 점화되어 폭발된다.
여기서, 상기 연료-공기 혼합 구름은 내부의 가연성 연료 농도가 특정한 범위 내에서 점화될 때 폭굉되어 유효한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2차 기폭장치는 분산화약의 폭발 이후 연료-공기 혼합 구름 속의 연료 농도가 최적의 범위가 되는 수십 msec에서 수백 msec의 지연시간 경과시 연료-공기 혼합 구름 내지 가연성 연료를 점화하도록 정밀 설계된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기화폭발탄은 가연성 연료가 분산되는 과정에서 분산화약의 폭발시 발생된 열/화염 등으로 인해, 가연성 연료가 충분하게 분산되지 못한 상태에서 점화되는 조기 점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며, 조기 점화로 인해 표적파괴에 요구되는 충격파와 열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가연성 연료를 공기 중에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화약으로 폭발 온도가 낮은 니트로 구아니딘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가연성 연료의 높은 인화성으로 인해 동일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6913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운 형성을 위한 1차 기폭시 가연성 연료의 조기 점화가 방지되어 폭발력이 향상되는 연료기화폭발탄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분산화약이 충진되는 제1충진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탄체; 상기 베이스탄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산화약을 점화하는 제1기폭부; 상기 베이스탄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분산화약의 기폭시 발생된 화염이 차단되도록 불연성 분말재료로 구비되는 압력전달체가 충진되는 방화튜브; 상기 방화튜브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압력전달체를 경유한 상기 분산화약의 폭발력에 의해 비산되는 가연성 연료가 충진되도록 제2충진공간이 형성된 외부탄체; 및 상기 분산화약의 점화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지연시간 경과 후 상기 비산된 가연성 연료를 점화하는 제2기폭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산화약의 폭발력이 상기 압력전달체로 집중되어 전달되도록 상기 베이스탄체의 측벽부에는 중앙부에 상부 및 하부보다 얇은 두께의 파괴유도부가 구비되고, 상기 방화튜브는 상기 파괴유도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충진공간 및 상기 파괴유도부를 초과하는 상하폭을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기화폭발탄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충진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분산화약의 충진범위를 상기 제2충진공간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제한하는 삽입제한부가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외부탄체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탄체가 관통되도록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커버에 의해 커버되되, 상기 베이스탄체의 하단부 외면에는 상기 하부커버의 하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날개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압력전달체가 충진된 방화튜브가 분산화약이 충진된 베이스탄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분산화약의 폭발력이 불연성 분말재료인 압력전달체의 운동 에너지로 전환되어 가연성 연료에 간접 전달되므로 분산화약의 폭발열 및 화염으로 인한 가연성 연료의 조기 점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연료-공기 혼합 구름의 폭굉에 따른 열압력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분산화약의 폭발력이 파괴유도부로 집중되어 압력전달체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방화튜브가 파괴유도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초과하는 범위로 베이스탄체를 감싸며 제2충진공간의 내측부 전체를 커버하므로 분산화약의 폭발열 및 화염이 가연성 연료로부터 더욱 정확하게 차단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제1충진공간의 하부에 분산화약의 충진범위를 제2충진공간의 하단의 높이범위 상측으로 제한하는 삽입제한부가 삽입되므로 베이스탄체의 바닥부에 가해지는 폭발압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베이스탄체의 하단측으로 분산화약의 화염이 노출되어 발생될 수 있는 가연성 연료의 조기 점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료기화폭발탄(100)은 베이스탄체(10), 제1기폭부(40), 방화튜브(20), 외부탄체(30), 그리고 제2기폭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탄체(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분산화약(a)이 충진되는 제1충진공간(19)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분산화약(a)은 폭발시 외부를 향하는 압력을 발생시켜, 외부탄체(30)에 수용된 가연성 연료(c)를 대기 중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작용한다.
이때, 상기 분산화약(a)은 폭발시 온도가 낮은 폭발성 물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니트로 구아니딘(Nitroguanidine), 피이티엔(PETN), 헥스겐(RDX), 옥토겐(octogen, HMX) 내지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탄체(1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되,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화학적으로 안정한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탄소강 내지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탄체(10)의 측벽부(10a)는 분산화약(a)의 폭발시 압력에 의해 파괴될 수 있도록 3mm 이내의 두께로 구비되되, 둘레방향으로 균일하게 파쇄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탄체(10)의 바닥부(10b)는 상기 측벽부(10a)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1충진공간(19)의 하부를 차폐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탄체(10)의 하단부 외면, 즉 상기 바닥부(10b)의 외주에는 상기 측벽부(10a)의 외경을 초과하도록 돌설된 지지날개부(1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0a)의 상단부에는 결합마개부(16)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마개부(16)의 하단부는 상기 측벽부(10a)의 상단부 외면을 감싸도록 연장되고, 결합마개부(16)의 하단부 내면과 베이스탄체(10)의 측벽부(10a)의 외면 사이는 오링 등의 밀폐부재에 의해 실링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기폭부(40)는 상기 베이스탄체(1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산화약(a)을 점화한다. 여기서, 상기 제1기폭부(40)는 케이싱(44), 리드와이어(41), 뇌관(42), 기폭약(4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싱(44)은 상기 결합공(16a)의 내면에 형합되도록 삽입되되 상기 케이싱(44)의 외면과 결합공(16a)의 내면 사이에는 오링 등의 밀폐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케이싱(44)의 내부에는 뇌관(42) 및 기폭약(43)이 구비되며, 상기 뇌관(42)의 상단부는 리드와이어(41)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기폭약(43)의 하단부는 상기 제1충진공간(19)의 분산화약(a)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와이어(41)의 상단부는 제어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유무선신호에 따라 발생된 전류를 리드와이어(41)로 공급하며, 상기 뇌관(42)은 공급된 전류를 통해 기폭되어 기폭약(43)을 기폭시키고 기폭약(43)의 폭발에너지를 통해 분산화약(a)이 점화되어 폭발된다.
물론, 상기 제1기폭부(40)는 연료기화폭발탄(100)이 목표된 위치, 시간에 작동하여 분산화약(a)을 기폭시키는 장치이기만 하면, 상술한 전기신호식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화튜브(20)는 상기 베이스탄체(1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압력전달체(b)가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탄체(30)는 상기 방화튜브(2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압력전달체(b)를 경유한 상기 분산화약(a)의 폭발력에 의해 비산되는 가연성 연료(c)가 충진되도록 제2충진공간(3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탄체(30)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측벽부(30a)와, 상기 측벽부(30a)의 상단부를 밀폐하는 상부커버(30c)와, 상기 측벽부(30a)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하부커버(30b)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커버(30b)의 중앙부에는 상기 베이스탄체(10)의 측벽부(10a)가 관통되도록 관통공(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화튜브(20)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탄체(10)의 측벽부(10a) 외경을 초과하는 내경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외부탄체(30)의 측벽부(30a)는 상기 방화튜브(20)의 외경을 초과하는 내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연료기화폭발탄(10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방화튜브(20)의 하단부 및 상기 하부커버(30b)가 용접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부커버(30b)의 상면부 중앙에는 상기 방화튜브(20)의 결합위치가 안내되도록 조립홈(4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30c)는 중앙부에 상기 결합마개부(16)가 결합되는 결합공(37)이 형성되며, 상기 방화튜브(20)의 상단부가 상기 결합공(37)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방화튜브(20)의 상단부 및 상기 결합공(37)의 하단부가 용접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30c) 및 상기 하부커버(30b)를 감싸도록 상기 외부탄체(10)의 측벽부(30a)가 씌워지며, 상기 상부커버(30c) 및 상기 외부탄체(10)의 측벽부(30a) 상단, 상기 하부커버(30b) 및 상기 외부탄체(10)의 측벽부(30a) 하단 사이가 용접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탄체(10)가 하부커버(30b)의 관통공(31)을 통해 방화튜브(20) 내부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탄체(10)의 지지날개부(14)는 상면부가 관통공(31)의 하부측 테두리면에 걸림되며 하부커버(30b)의 하면부를 지지하되, 지지체(32) 및 보조덮개(33)에 의해 상기 베이스탄체(10)의 하단부가 하부커버(30b)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화튜브(20)의 내면 및 상기 베이스탄체(10)의 측벽부(10a) 외면 사이에 압력전달체(b)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화튜브(20)의 외면과 상기 외부탄체(30)의 측벽부(30a)의 내면 사이에 가연성 연료(c)가 충진되는 제2충진공간(39)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30c)에는 결합공(37)의 테두리면부에 연료마개(36)에 의해 개폐되는 주입공(35)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공(35)을 통해 가연성 연료(c)가 상기 제2충진공간(39)으로 충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산화약(a)은 상기 결합공(37)의 중앙부를 통해 상기 제1충진공간(19)으로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산화약(a)은 상기 제1충진공간(19)에 대응되는 펠렛형태로 기제조되되, 하단부에 삽입제한부(15)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충진공간(19)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력전달체(b)는 상기 결합공(37)의 외곽부를 통해 상기 방화튜브(20) 및 상기 베이스탄체(10) 사이 공간으로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마개부(16)의 외면에는 결합공(37)의 상부측 테두리면을 지지하도록 걸림턱(16b)이 돌설되며, 상기 걸림턱(16b)의 하면부에는 오링 등의 밀폐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37)을 통해 상기 제1충진공간(19)에 분산화약(a)이 충진되고 상기 방화튜브(20) 및 상기 베이스탄체(10) 사이 공간에 압력전달체(b)가 충진되면, 상기 결합마개부(16)가 상기 결합공(37)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마개부(16)를 통해 상기 제1충진공간(19)의 상단부 및 상기 방화튜브(20)의 상단부가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연성 연료(c)가 상기 압력전달체(b)를 경유한 분산화약(a)의 폭발력에 의해 비산된다는 말은 분산화약(a)의 폭발력이 1차적으로 압력전달체(b)의 비산을 유발하고, 상기 압력전달체(b)의 비산에 따른 운동에너지가 가연성 연료(c)로 전달되어 가연성 연료(c)가 비산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산화약(a)의 폭발력은 상기 가연성 연료(c)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압력전달체(b)의 비산 운동을 유발함에 따라 압력전달체(b)의 비산에 따른 운동에너지로써 간접적으로 가연성 연료(c)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화튜브(20)는 내부의 충진된 압력전달체(b)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가연성 연료(c)와 접촉시 화학 반응이 없거나 적은 탄소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산화약(a)의 폭발에 연계된 압력전달체(b)의 비산시 운동에너지에 의해 용이하게 파괴될 수 있도록 1mm 이하의 두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탄체(30)는 가연성 연료(c)의 충진 압력 및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가연성 연료(c)와 화학 반응이 없거나 적은 탄소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부탄체(30)의 측벽부(30a)는 분산화약(a)의 폭발 및 그에 연계된 압력전달체(b)의 비산에 따른 가연성 연료(c)의 비산시 압력에 의해 파괴될 수 있도록 5mm 이하의 두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탄체(30)의 측벽부(30a)에는 용이한 파단을 위해 내면 및 외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노치(38)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노치(38)는 상기 외부탄체(30)의 측벽부(30a) 내면이 외면측을 향해 함몰되거나 상기 외부탄체(30)의 측벽부(30a) 외면이 내면측을 향해 함몰된 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치(38)는 상기 측벽부(30a)의 둘레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소에 형성될 수 있으며, 18°간격으로 20개소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나의 노치(38)는 상기 측벽부(30a)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연성 연료(c)는 인화점 및 휘발점이 낮은 가연성 물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산화 프로필렌(propylene oxide)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연성 연료(c)는 상기 제1기폭부(40)에 의해 점화된 분산화약(a)의 폭발과 그에 연계된 압력전달체(b)의 비산 운동을 통해 대기 중으로 분산되어 연료-공기 혼합 구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전달체(b)는 분산화약(a)의 폭발압력을 가연성 연료(c)로 전달하되, 분산화약(a)의 폭발로 인해 대기 중으로 비산되며 분산화약(a)의 폭발되는 공간과 가연성 연료(c)가 분산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를 형성한다.
이처럼, 상기 분산화약(a)의 폭발 압력이 높은 인화성의 가연성 연료(c)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방화튜브(20) 내에 충진된 압력전달체(b)를 경유하여 가연성 연료(c)에 간접 전달되므로 분산화약(a)의 폭발시 발생된 열/화염으로 인한 가연성 연료(c)의 조기 점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연료-공기 혼합 구름의 폭굉에 따른 열압력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즉, 가연성 연료(c)의 충진량 및 분산화약(a)의 폭발압력에 대응되도록 최초 산출된 지연시간이 경과되어 가연성 연료(c)가 대기 중에 충분히 분산된 상태에서 점화될 수 있으므로 연료-공기 혼합 구름의 폭굉을 통해 표적파괴에 충분한 연소열과 충격파가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전달체(b)는 불에 타지 않으며 열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불연성 분말재료로 구비되되, 흑연 분말, 유리 분말, 암석 분말, 석면 분말, 알루미늄 분말, 철강 분말, 시멘트 분말, 석회 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산화약(a)의 기폭시 발생된 열/화염이 가연성 연료(c)측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정확하게 차단될 수 있으며, 폭발시 발생된 압력만이 상기 압력전달체(b)를 경유하여 상기 가연성 연료(c)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탄체(10)의 측벽부(10a)는 중앙부에 상부(13) 및 하부(12)보다 얇은 두께의 파괴유도부(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파괴유도부(11)는 상기 베이스탄체(10)의 측벽부(10a)에서 결합마개부(16)와 결합되는 상부측(13), 바닥부(10b)와 연결되는 하부측(12)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분산화약(a)의 폭발시 얇은 두께의 파괴유도부(11)가 두꺼운 두께의 상부측(13) 내지 하부측(12)보다 먼저 파괴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산화약(a)의 폭발력이 파괴유도부(11)로 집중되어 압력전달체(b)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화튜브(20)는 상기 파괴유도부(11)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충진공간(39)의 상하폭(d) 및 상기 파괴유도부(11)를 초과하는 상하폭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화튜브(20)의 외면은 상기 제2충진공간(39)의 내측부 전체를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방화튜브(20)의 내면은 상기 파괴유도부(11)의 외면을 커버하되 베이스탄체(10)의 측벽부(10a) 상부(13) 및 하부(12) 외면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상기 방화튜브(20) 및 압력전달체(b)를 통해 분산화약(a)의 폭발열 및 화염이 제2충진공간(39)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는 경로가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산화약(a)의 폭발이 집중되는 파괴유도부(11) 및 가연성 연료(c)가 충진된 제2충진공간(39) 사이가 정확하게 구획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방화튜브(20) 내지는 압력전달체(b)가 파괴유도부(11)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초과하는 범위로 베이스탄체(10)를 감싸며 제2충진공간(39)의 내측부 전체를 커버하므로 분산화약(a)의 폭발열 및 화염이 가연성 연료(c)로부터 더욱 정확하게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산화약(a)의 폭발열 및 화염이 가연성 연료(c)에 직접 접촉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조기 점화 현상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충진공간(19)의 하부에는 상기 분산화약(a)의 충진범위를 상기 제2충진공간(39)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제한하는 삽입제한부(15)가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삽입제한부(15)는 상기 분산화약(a)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제한부(15)가 제1충진공간(19)의 하부에 삽입되면 상기 분산화약(a)은 상기 삽입제한부(15)의 상면부에 대응되는 높이까지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제한부(15)는 제1충진공간(19)의 하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면부의 높이가 상기 제2충진공간(39)의 하단 높이를 초과하도록 제1충진공간(19)의 하단 및 상기 제2충진공간(39)의 하단 높이를 고려하여 두께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탄체(10)의 바닥부(10b)에 가해지는 분산화약(a)의 폭발압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탄체(10)의 하단측으로 노출된 분산화약(a)의 화염으로 인한 가연성 연료(c)의 조기 점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기폭부(50)는 상기 분산화약(a)의 점화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되니 지연시간 경과 후 상기 비산된 가연성 연료(c)를 점화한다.
여기서, 상기 제2기폭부(50)는 리드와이어(51), 지연뇌관부(52), 첨탄부(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드와이어(51)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제어부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지연뇌관부(52)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지연뇌관부(52)는 전류 공급 시점으로부터 첨탄부(53)의 점화 시작 시간까지 지연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연시간은 연료-공기 혼합 구름 속의 가연성 연료(c) 농도가 폭굉한계 범위를 만족하도록 가연성 연료(c)가 충분히 분산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하며, 가연성 연료(c)의 충진량 및 분산화약(a)의 폭발 압력 등에 따라 산출될 수 있으며, 대체적으로 150msec 내외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첨탄부(53)는 점화시 상기 연료-공기 혼합 구름 내부로 발사되어 가연성 연료(c)의 폭굉을 위한 폭발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기폭부(50)는 첨탄부(53)가 연료-공기 혼합 구름의 중심측으로 발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커버(30c)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체(30d)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발사된 첨탄부(53)가 연료-공기 혼합 구름 내에서 폭발에너지를 공급함에 따라 연료-공기 혼합 구름의 전체 영역이 순식간에 폭굉되며 고압의 충격파와 열을 방출한다.
물론, 상기 제2기폭부(50)는 분산화약(a)의 기폭 후 기설정된 지연시간 경과 후 가연성 연료(c)의 점화를 위한 폭발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기만 하면 상술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연료기화폭발탄 10: 베이스탄체
20: 방화튜브 30: 외부탄체
40: 제1기폭부 50: 제2기폭부

Claims (5)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분산화약이 충진되는 제1충진공간이 형성된 베이스탄체;
    상기 베이스탄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산화약을 점화하는 제1기폭부;
    상기 베이스탄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분산화약의 기폭시 발생된 화염이 차단되도록 불연성 분말재료로 구비되는 압력전달체가 충진되는 방화튜브;
    상기 방화튜브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압력전달체를 경유한 상기 분산화약의 폭발력에 의해 비산되는 가연성 연료가 충진되도록 제2충진공간이 형성된 외부탄체; 및
    상기 분산화약의 점화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지연시간 경과 후 상기 비산된 가연성 연료를 점화하는 제2기폭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산화약의 폭발력이 상기 압력전달체로 집중되어 전달되도록 상기 베이스탄체의 측벽부에는 중앙부에 상부 및 하부보다 얇은 두께의 파괴유도부가 구비되고, 상기 방화튜브는 상기 파괴유도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충진공간 및 상기 파괴유도부를 초과하는 상하폭을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기화폭발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진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분산화약의 충진범위를 상기 제2충진공간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제한하는 삽입제한부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연료기화폭발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탄체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탄체가 관통되도록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커버에 의해 커버되되,
    상기 베이스탄체의 하단부 외면에는 상기 하부커버의 하면부를 지지하는 지지날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기화폭발탄.
KR1020160063234A 2016-05-24 2016-05-24 연료기화폭발탄 KR101925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34A KR101925833B1 (ko) 2016-05-24 2016-05-24 연료기화폭발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234A KR101925833B1 (ko) 2016-05-24 2016-05-24 연료기화폭발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430A KR20170132430A (ko) 2017-12-04
KR101925833B1 true KR101925833B1 (ko) 2018-12-06

Family

ID=6092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234A KR101925833B1 (ko) 2016-05-24 2016-05-24 연료기화폭발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3632B (zh) * 2018-09-28 2021-02-23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液体抛撒装置及其中心管热锻造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0526A (zh) * 2014-09-22 2015-03-04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云爆战斗部防蹿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0526A (zh) * 2014-09-22 2015-03-04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云爆战斗部防蹿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430A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0093A (en) Explosive apparatus
JPS6041638B2 (ja) 遅発雷管
US2597641A (en) Pressure-operated starting device
NO850910L (no) Tennsats, slagtenningsladning samt fremgangsmaate for igangsetting av forbrenning
US4817530A (en) Delay detonator
KR101925833B1 (ko) 연료기화폭발탄
US2462305A (en) Explosive device
KR101925834B1 (ko)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
US2478415A (en) Blasting initiator
KR20180013470A (ko) 연료기화탄 연료운의 2차 지연 기폭을 위한 기폭 장치
EP3497399A1 (en) A method of and a cartridge for disarming an unexploded blasting charge in a drill hole
JP6580014B2 (ja) 信号弾発射装置
RU2252389C1 (ru) Поджиг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RU2706671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генератор маскирующих завес
RU2216531C2 (ru) Способ образования и взрыва топливно-воздушного облака
US2084218A (en) Delay action fuse for projectiles and the like
KR100279050B1 (ko) 격벽착화기
GB967660A (en) Improvements in apparatus for controlling riots
KR20130054744A (ko) 열감응 착화기, 열감응 자동 점화기 및 이를 구비한 비행체
KR840002564Y1 (ko) 폭발 지연 뇌관
RU2367888C1 (ru) Дето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замедлением
RU2353481C1 (ru) Пирорезак
US10365077B2 (en) Detonator provided with a securement device
KR100469136B1 (ko) 연료기화 폭발탄의 기폭방법
JP2007292320A (ja) 弾頭処理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