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564Y1 - 폭발 지연 뇌관 - Google Patents

폭발 지연 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564Y1
KR840002564Y1 KR2019840010685U KR840010685U KR840002564Y1 KR 840002564 Y1 KR840002564 Y1 KR 840002564Y1 KR 2019840010685 U KR2019840010685 U KR 2019840010685U KR 840010685 U KR840010685 U KR 840010685U KR 840002564 Y1 KR840002564 Y1 KR 840002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delay
retardant
explosive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죤브라이안
리챠드 모오스 다늘엘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트 드 네모스 앤드 컴패니
에이. 엔. 리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077,718 external-priority patent/US4369708A/en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트 드 네모스 앤드 컴패니, 에이. 엔. 리디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트 드 네모스 앤드 컴패니
Priority to KR2019840010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5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5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6Pyrotechnic delay initi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27/00Compositions containing a metal, boron, silicon, selenium or tellurium or mixtures, intercompounds or hydrides thereof, and hydrocarbons or 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CDETONATING OR PRIMING DEVICES; FUSES; CHEMICAL LIGHTERS; PYROPHORIC COMPOSITIONS
    • C06C9/00Chemical contact igniters; Chemical ligh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1Initi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e.g. for initiator case or electric l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폭발 지연 뇌관
제1도는 폭발 지연약이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카본 캡슐 내부에 수용된 본 고안의 전기식 폭발지연뇌관의 횡단면도.
제2도는 폭발 지연약이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카본 튜브내부에 수용된 본 고안의 전기식 폭발지연 뇌관의 횡단면도.
본 고안은 폭발지연 뇌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열성 폭약의 점폭약에 인접한 발열 연소성 성조물의 폭발지연약을 설치한 전기식 및 비전기식 뇌관에 관한 것이다.
폭발지연기술은 지하 및 지상의 폭파작업에 있어서, 암석의 파쇄능과 변위능을 향상시키고, 진동, 소음, 및 암석의 비산의 제어를 보다 양호하게 하고, 분말율을 감소시키며, 폭파단가를 낮추는 수단으로서 광범위하게 실시되고 있다. 단시간 또는 밀리세컨드(milli second) 폭발지연 뇌관(예로서, 공칭 폭발지연초시가 약 1000밀리세컨드 이하의 뇌관) 그리고 장시간 폭발지연 뇌관(예로서, 공칭폭발지연초시가 약 1000밀리세컨드 이상의 뇌관)이 각종 폭파요건의 필요에 부응하여 개발되어 왔다. 현재로서는 밀리세컨드(ms) 폭발지연뇌관이 채석, 노천채굴 및 건설사업용의 폭발지연 뇌관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또 지하의 광산에 있어서도 다단 평탄 폭파, 채굴장 폭파 및 기타 복수열의 구멍이 자유면이 될 때까지 무너져가는 광업폭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MS폭발지연 폭파는 장시간 폭발지연 폭파에 비하여 보다 단시간의 폭발지연 간격에서 점화되어가는 연속 구공간의 상호작용 때문에 암석을 그의 전면에서 보다 멀리까지 이동시킨다. 시판중인 한 계열에서 한 뇌관의 폭발지연 초시의 공칭 간격은 단시간 폭발지연 초시 MS뇌관에 있어서는 25밀리세컨드 정도의 단시간인 것이 보통이지만, 장시간 폭발지연 초시 MS뇌관에 있어서는 100밀리세컨드까지이고, 장시간 폭발지연 뇌관에 있어서는 약 500 내지 600 밀리 세컨드까지로 하고 있다.
연속 폭발지연, 특히 MS폭발지연 폭파에 대한 중요한 요건은 동일한 폭발지연 정격의 다수의 뇌관에 폭발지연 시간이 뇌관마다 변동하지 않고 가능한 균일한 것이다. 지정된 공칭 폭발지연시간이 동일군의 뇌관의 폭발지연 초시의 공칭값으로부터의 변동은 임의의 폭발시간이 인접하는 2개의 뇌관의 점화간격이 8밀리세컨드 이하로는 단축되지 않는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허용되는 최대 변동이 25밀리 세컨드 폭발지연 간격의 계열인 뇌관에서는 ±21밀리 세컨드, 100밀리 세컨드 폭발지연 간격의 계열인 뇌관에서는 ±46밀리 세컨드인 것을 의미한다. 양호한 균일성이 없으며, 주어진 폭발지연 샘플로부터 기대되는 바와 같은 바람직한 파쇄, 진동저하등을 얻기가 어려워진다.
폭발지연 뇌관에 있어서, 폭발지연 간격, 즉 전기 또는 충격에너지로부터 뇌관의 폭발까지 걸리는 시간은 점화약과 감열성의 점폭약의 사이에 발열 연소성 조성물인 폭발지연약을 개재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폭발지연약의 연소속도와 튜브형의 폭발지연약의 길이에서 폭발지연 간격이 정해진다. 어떤 종류의 뇌관에서의 폭발지연약은 주위의 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뇌관외곽의 가운데에 점폭약에 대하여 압입하여 장전되어 있지만, 통상적으로 폭발지연약은 예컨대 미합중국 특허 제2,999,460호(제1도) 및 미합중국 특허 제3,021,786호(제2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두꺼운 강성의 지지튜우브의 내부에 수용된다. 지지튜브의 사용에 있어서, 소량의 장약(즉, 단일길이당의 장약중량)으로 폭발지연약을 오랫동안 유지(보다 긴 폭발지연초시를 부여)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폭발지연약의 전 중량도 최소로 줄일 수 있으므로 뇌관외곽이 파열되거나 폭발지연시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없는 점이 바람직하다.
본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공지의 폭발지연약 지지체는 대부분 두꺼운 금속(통상납) 튜브이다. 다만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2,999,460호에는 그의 제1도에 도시된 두꺼운 지지체가 예컨대 납 또는 플라스틱 튜브인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 미합중국 특허 제2,771,033호에는 가소성의 섬유제품에 의해서 포위된 폭발지연 약 조성물의 코어가 기재되어 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2,773,447호에는 폭발지연약이 연소할 때 용해하는 얇은 종이 또는 섬유제품에 덮인 외피에 의해서 포위된 폭발지연약 코어가 기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한쪽 단부가 완전히 폐쇄된 튜브형의 금속외곽속에 폐단부로부터 차례로
(1) 폭약조성물(예로서, 압축된 과립상의 팬태리스늘톨 테트라늘트레이트, PETN)인 기본장약,
(2) 감열성 폭약조성물(예로서, 아지화납, lead azide)인 점폭약,
(3) 폭발연소성 조성물(예로서, 붕소와 연단(鉛丹)의 혼합물)인 폭발지연약 및
(4) 폭발지연약의 점화용 점화장약이 수용된 폭발지연 뇌관의 개량을 제공한다. 이러한 개량은 폭발지연약과 튜브형 금속외곽의 내벽과의 사이에 적합하게는 두께가 적어도 약 0.5mm의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 카본을 층을 형성하고, 점폭약은 튜브형 금속외곽에 장약하는 동안 점폭약이 폭발지연약속에 침입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저지되는 형태로 된다.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폭발지연약과 점폭약의 사이에서의 계면이 튜브형 금속외곽의 중심축 부근의 좁은 부분에만 한정되도록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 카본층을 형성하여 점폭약이 폭발지연약 내부로 침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한쪽 단부는 개구단부이고, 다른 단부는 축방향 오리피스가 관통하는 폐쇄부이며, 상기 폐쇄부가 점폭약에 인접하도록 튜브형 금속외곽의 가운데에 끼워진 튜브형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핀루오로 카본 캡슐내부에 폭발지연약을 수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폭발지연약은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 카본튜브형 내부에 수용되고, 점폭약은 점폭약이 폭발지연약 내부에 실질적으로 침입될 수 있을 정도로 교란되지 않도록 충분히 압분화된 형태로 한다.
본 고안의 적합한 폭발지연 뇌관은 또한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 카본제의 폭발지연약을 수용하는 튜브, 또는 캡슐 내부에 끼워진 튜브형 강성금속캡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강성 금속캡슐은 한쪽 단부가 개구부로 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관통된 축방향 오리피스를 설비한 폐쇄부로서, 상기 캡슐의 폐쇄부는 폭발지연약에 인접해 있고, 개구단부는 바람직하게 뇌관의 점화장치를 향하여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단부가 폐쇄되어 있는 금속외곽이고, (2)는 입상 폭약조성물인 기본장약이며, (3)은 입상 감열성 폭약조성물인 점폭약이고, (4)는 입상 발열연소성 조성물인 폭발지연약이며, (5)는 외곽(1)의 내부에 적합하게 끼워져 수용되어 있는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 카본제의 튜브형 캡슐이다.
캡슐(5)은 폭발지연약(4)의 수용기구 또는 지지체로서, 그의 측벽은 폭발지연약과(4) 외곽(1)의 내벽과의 사이에 들어가는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 카본층으로 되고, 그의 폐쇄단부(7)는 점폭약(3)의 위를 향하여 인접되어 배치되며 점폭약(3)과 폭발지연약(4)의 사이의 격변으로서 작용한다. 축방향 오리피스(8)로 인하여 점폭약(3)과 폭발지연약(4) 사이에 작은 축방향 계면(9)이 존재해 있다.
캡슐(5)은 폭발지연약(4)의 수용기구 또는 지지체로서, 그의 측벽은 폭발지연약과(4) 외곽(1)의 내벽과의 사이에 들어가는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 카본층으로 되고, 그의 폐쇄단부(7)는 점폭약(3)의 위를 향하여 인접되어 배치되며 점폭약(3)과 폭발지연약(4)의 사이의 격변으로서 작용한다. 축방향 오리피스(8)로 인하여 점폭약(3)과 폭발지연약(4) 사이에 작은 축방향 계면(9)이 존재해 있다.
캡슐(5)의 내부에는 적합하게 끼워진 상태의 금속제 튜브형 캡슐(10)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캡슐(10)도 한쪽 단부는 개구부(11)이고 다른 단부는 축방향오리피스(13)를 설비한 폐쇄단부(12)로 되어 있다. 캡슐(10)은 캡슐(5)의 내부에서 폐쇄단부(12)가 폭발지연약(4)의 위로 직접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폐쇄단부(11)는 점화장치(14)를 향하고, 점화장치(14)는 감열성 점화약조성물(15), 한쌍의 각선(16) 및 고저항의 교선(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화약(15)은 플라스틱제 점화컵(18)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루브 형태의 고무 플러그(19)는 점화약(15)의 위를 단단히 덮도록 외곽(1)의 개구단부에 완전히 끼워져 있고 내수성의 밀폐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각선(16)의 선단을 외곽(1)의 내부에 견고하게 배치시키는 작용을 한다.
[실시예 1]
첨부된 도면의 제1도에 도시된 뇌관을 다음과 같이 제작한다. 외곽(1)은 표준적인 뇌관외곽, 예를들면 길이 5.486cm, 외경 0.73cm, 내경 0.66cm인 5052계 알루미늄 합금제 외곽이다.
기본장약(2)는 전술한 PETN 0.49g으로 구성되는데, 이것을 외곽(1)에 넣고 뾰족한 프레스핀으로 1220 내지 1335뉴우톤의 힘으로 압입한다. 점폭약(3)은 덱스트린(dextrine) 처리된 아지화 납과 조대한 디니트로크레실레이트(dinitro cresylate) 납염의 85/15(중량 %) 혼합물 0.17g으로서, 상기 혼합물을 외곽(1)에 장진하고 평평한 핀으로 1335뉴우톤의 힘으로 압입한다. 캡슐(5)은 길이 2.16cm, 외경 0.65cm, 내경 0.53cm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제이고, 축방향 오리피스(8)의 직경은 0.13cm이다. 캡슐(5)은 점폭약(3)이 오리피스(8)를 통하여 캡슐(5)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형태로서, 축방향으로 선단이 잘려진 핀을 사용하여 890뉴우톤의 힘으로 외곽(1) 내부에 압입한다. 폭발지연약(4)은 캡슐(5) 내부에 느슨하게 장진되는데, 성분을 폴리설파이드계 고무로서 입상화된 붕소와 연단의 혼합물이며, 중량(즉, 그의 길이)과 혼합물의 붕소 함유량은 달성해야 할 폭발지연 시간에 따라 변화된다.
공업용 청동제의 캡슐(10)은 길이 1.19cm 외경 0.561cm, 두께 0.5cm이다. 축방향 오리피스(13)의 직경은 0.28cm이다. 캡슐(10)은 1290뉴우톤의 힘으로 캡슐(5) 내부에 배치한다.
점화장치(14)의 구성요소는 플라스틱제(예로서, 폴리에틸렌제)의 점화컵(18), 폴리설파이드제 고무로서 입상화된 감열성 점화약(15)(이러한 경우, 붕소와 연단의 2/98(중량 %) 혼합물 0.27g임) 및 플라스틱으로 절연된 금속(구리 또는 철)제인 두개의 각선(16)이고, 각선(16)의 벗겨진 선단은점화약속에 끼워진 직경 0.00396cm, 저항 100오옴인 교선(17)에 접속되어 있다. 점화컵(18)은 캡슐(5)위에 배치한다.
상기 뇌관을 9종류의 폭발지연 시간으로 하여 제작한다. 각각의 뇌관은 최단의폭발지연 시간으로부터 25 또는 50밀리 세컨드씩 증가하며 서로 다른 폭발지연초시를 부여하도록 선정한 폭발지연약을 함유하고 있다. 각각의 폭발지연시간으로 제작된 뇌관의 로트(lot)중에서 25개의 뇌관을 27℃의 대기중에서 점화하여 실제의 폭발지연 초시를 시험한다.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실려 있다.
[표 1]
(a) 표준편차
(b) 변동개수
[대조실험]
캡슐(5)을 나일론 또는 폴리포르말디하이드로 형성한 점 이외에는 상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작한 뇌관(공칭 폭발지연초시 : 200밀리세컨드)의 경우에 있어서, 뇌관을 점화하면 외곽(1)이 파열되어 버린다. 이것은 이와같은 플라스틱의 분해에 의해 발생한 가스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의 지정 단별번호 3.7 및 9의 폭발지연 뇌관을 21℃의 대기중 및 27℃의 수중에서 점화했을 때의 폭발지연 초시에 대하여 시행한다.
각 단에서 10개의 뇌관을 상기 두가지 조건에서 각각 시험한다. 결과는 종래 기술의 단별번호 3 및 9의 뇌관을 동일조건하에서 시험하여 구한 결과와 비교하여 하기의 표에 실려 있다. 시험은 각 단에 대하여 각조건하에서 10회 행한다. 종다 기술의 뇌관에서 폴리에틸렌 캡슐(5)은 생략했다.
[표 2]
[실시예 3]
제1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뇌관을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했다. 이러한 변경에 있어서, 캡슐(5)은 총길이 1.8cm, 외경 0.64cm 및 내경 0.54cm인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카본튜브(20)로 교체한다. 여기서, 점폭약(3), 튜브(20) 및 캡슐(10)을 외곽(1)에 장진하는데 사용된 압입력은 실시예 1에서 점폭약(3), 캡슐(5) 및 캡슐(10)을 장진하는데 사용한 압입력과 동일하다.
이와같이 구한 지정 단별번호 6의 뇌관 15개를 10℃에서 점화했을 때의 평균 폭발지연 초시는 202밀리 세컨드(σ=8)이고, 동일한 단별번호의 뇌관 15개를 27℃에서 점화했을 때의 평균 폭발 지연초시는 198밀리 세컨드(σ=5.7)이다.
폭발지연약(4)의 지지체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단별번호의 종래기술의 뇌관(동일한 시험 갯수)을 10℃에서 점화했을 때의 평균 폭발지연초시는 187밀리 세컨드(σ=9)이고, 27℃에서 점화했을 때의 평균 폭발지연초시는 174밀리 세컨드(σ=9)이다. 즉, 상기 두 종류의 온도에서의 시간차가 13밀리 세컨드인 것에 비하여 본 고안의 폭발지연 뇌관에서는 그 차이가 불과 4밀리 세컨드임을 알 수 있다.
폭발지연약(4)을 위한 금속제지지체를 사용하고, 제1도에 도시된 장치(14) 대신에 전기 도화선 점화장치를 구비한 종래기술의 뇌관(동일한 시험 갯수)에서는 평균 폭발 지연초시가 10℃에서 점화했을 때 213밀리 세컨드(σ=11), 27℃에서 점화했을 때 206밀리 세컨드(σ=9)로서 시간차는 7밀리세컨드이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폭발지연 뇌관이 일정조건하에서 점화했을 때 폭발지연초시의 양호한 균일성과 예측 가능성을 나타내며, 뇌관의 폭발지연초시가 종래의 뇌관보다는 주위환경(온도 및 매질밀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 카본제의 폭발지연약 지지체는 폭발지연약 지지체와 금속 외곽 사이에서 보다 적합하게 끼워 맞춰짐(즉, 점폭약의 보다 양호한 밀봉)을 부여함과 동시에, 폭발성 점폭약 위에서 금속제인 폭발지연약 지지체를 금속제 뇌관 외곽에 삽입하는데 따르는 마찰의 위험이 없는 것도 유리한 점이다. 또한,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 카본제 지지체가 폭발 지연시간에 미치는 효과중의 한가지로서, 주위의 온도 또는 매질(예로서, 공기 또는 물)의 변화에 의한 폭발지연 시간의 변동이 작다는 것을 들수 있다.
폭발 지연약은 폭발연소성 조성물로서, 예컨대 약 1000℃정도의 고온에 달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하여 폭발지연약은 종래에는 금속제의 두꺼운 지지체에 밀폐되었거나, 또는 금속제의 뇌관 외곽 내부에 장약되었다. 상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2,999,460호에는 두꺼운 폭발지연약 지지체용으로서 납 또는 플라스틱튜브가 제시되어 있지만, 나일론 또는 아세탈수지와 같은 공지된 플라스틱은 연소하는 폭발지연약에 접촉할때 분해되고 뇌관의 일체성이 손상을 받기 때문에, 폭발지연 특성은 효과가 없게 된다. 따라서, 플라스틱제의 외곽(케이스)을 구비한 종래의 뇌관,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2,767,655호에 기재된 뇌관은 순간 폭발뇌관(즉, 폭발이 지연되지 않는 뇌관)인 것으로도 해석된다.
본 고안의 폭발 지연뇌관에서 중요한 특징 중 한가지는 바람직하게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점폭약이 폭발지연약 지지체로서의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 카본 캡슐에 의하여 폭발지연약 내부로 침입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저지되도록 한 형태인 점이다.
상기 지지체 캡슐이 입상 점폭약에 대하여 배치될 때, 캡슐의 폐쇄단부는 겨벽을 형성하게 되어 입상 점폭약이 폭발지연약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게 된다. 점폭약으로부터의 폭발지연약 이격리됨에 따라 뇌관의 폭발지연시간은 균일하게 된다. 물론, 점폭약과 기본장약의 기폭을 확실시하기 위해서는 각종 장약열의 사이를 연속적으로 해야 할 필요성이 따르므로 완전히 격리하기란 불가능하다.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점폭약과 폭발지연약 사이에 격벽층이 존재하지 않아도 점폭약을 장약하는데 사용한 압력의 지지체 튜브와 폭발지연약이 점폭약을 넘어서 뇌관외곽에 압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점폭약의 느슨한 표면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는 정도로 점폭약을 압분화시킬 수 있는 힘이라면, 양호한 폭발지연시간의 균일성을 똑같이 얻을 수 있다. 특히, 폭발지연약 지지체가 개구단부인 경우, 점폭약에 가해지는 압력은 적어도 약 225뉴우톤이 되어야 한다.
폭발지연약 지지체, 즉 제1도의 캡슐(5) 또는 제2도의 튜브(20)는 폴리오레핀(예로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플루오로 카본(예로서, 테트라 플루오로틸렌)을 성형 또는 압출 가공하여 제작하며 이와같은 플라스틱 재료는 뇌관내에서 발열 연소성의 폭발지연약과 직접 접촉된 상태로 사용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러한 플라스틱은 플라스틱과 접촉하고 있는 폭발지연약의 연소에 의해 생기는 열을 받을 때 뇌관외곽을 파열시킬 우려가 있는 가스 발생 분해없이 용이하게 용해된다. 예로서 350밀리 세컨드인 폭발지연 시간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플라스틱의 어느 지점도 약 35밀리 세컨드동안 1mm의 전방 화염(예로서, 약 1000℃)에의 노출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점화충격의 적용과 뇌관 폭발과의 사이의 시간간격은 폭발지연약의 연소속도와 주상체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폭발지연약의 조성이 일정하다면, 보다 긴 폭발지연 시간의 뇌관에 필요한 보다 긴 폭발지연약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긴 폭발지연약 지지체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서 외곽(1)도 더 길게할 필요가 따른다. 폭발지연약의 직경은 지지체 캡슐 또는 튜브의 벽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된다. 따라서 폭발지연약 조성은 일정하게 하고 폭발지연약의 주상체의 길이를 길게함으로써 폭발지연시간을 길게하는 경우, 폭발지연약의 직경을 그 길이의 전장 또는 부분을 작게함으로써 폭발지연약의 전장약량이 뇌관외곽이 견딜 수 없을 정도의 양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폭발지연 뇌관에 존재하는 지지체캡슐 또는 튜브가 없는 경우, 폭발지연약의 주상체를 길게하면, 폭발지연약의 전장약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보다 긴 폭발지연시간을 얻기 위해서 연소를 지연시키는 별도의 조성물을 사용할 필요가 생기고, 이에 따라 폭발지연시간의 균일성이 나빠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지체 벽의 두께는 적어도 약 0.5mm 이상으로 하고 1.7mm를 넘어서는 안되며, 폭발지연약의 직경은 약 3mm 이하로 한다.
본 고안의 적합한 뇌관에 있어서, 한쪽 단부가 축방향 오리피스를 구비한 폐쇄단부로 되어 있는 튜브형 강성금속 캡슐(제1도의 10)은 폭발지연약을 지지하는 캡슐 또는 튜브내에서 그의 폐쇄단부가 폭발지연약에 대해서 배치되고, 적합하게는 그의 개구단부가 뇌관의 폭발 단면보다는 점화단면을 향해 있다. 상기 금속캡슐을 예컨대 청동, 구리 또는 철로 만들지만, 충분히 두껍다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도 좋다. 이러한 금속캡슐은 폭발지연약 지지체를 연신시켜 뇌관외곽에 밀착되도록 하고, 폭발 지연약이 적소에서 유지되도록 도와주며, 뇌관외곽이 충격에 의해 파괴되는 것에 대하여 보강한다.
뇌관의 각종 장약에 대한 조성에 관련하여 조성물이 자체의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완수하는 한, 본 고안에서는 특히 제한하지 않는다. 폭발 지연약은 일정한 속도로 연소하고 통기구가 없는 폭발 지연뇌관에 관용되는 고체 산화제와 환원제의 임의의 가스가 없는 발열 반응성 혼합물인 것이 좋다. 이와같은 혼합물의 예로는 붕소-연단, 붕소-연단-2염기성 아인산염 납, 알루미늄-산화 제2구리, 마그네슘-과산화바륨-셀레늄 및 규소-연단을 들 수 있다. 폭발지연약은 적어도 약 890뉴우톤의 힘으로 지지체 내에 압입한다.
점폭약은 폭발지연약 조성물의 연소에 의해 용이하게 기폭하는 임의의 감열성 폭발 조성물인 것이 좋고, 예를들면 아지화납, 뇌산수은, 디아조디니트로페놀 또는 이와 유사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기본 장약으로 사용되는 조성물은 임의의 관용 기본장약, 예를들면 PETN, 사이클로-트리메틸렌트리니트라민, 사이클로테트라메틸렌-테트라니트라민, 아지화납, 피크릴설폰, 니트로마니트, TNT 및 이와 유사한 것이 좋다. 기본 장약은 느슨한 상태 또는 압분화된 상태 어느 것이나 좋다.
본 고안의 뇌관은 전기식 또는 비전기식 어느 방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전기식 뇌관용으로서 적합한 점화장치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미합중국 특허 제2,771,033호 및 제2,773,44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른 공지된 전기식 점화장치도 폭발지연약의 점화에 사용할 수 있다. 비전기식 뇌관에 있어서는 전기식 점화장치 대신에 미합중국 특허 제3,021,786호의 제2도 및 1979년 2월 26일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15,288호의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점화장약을 도폭선의 폭발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으로 점화시키는 점화장치가 이용된다.

Claims (1)

  1. 한쪽 단부가 완전히 폐쇄된 튜브형 금속제 외곽(1)을 포함하며, 상기 폐쇄단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폭약조성물인 기본장약(2), 감열성 폭약조성물인 점폭약(3), 발열 연소성 조성물인 폭발지연약(4) 및 상기 폭발지연약(4)의 점화용인 점화장치(14)를 내재한 폭발지연 뇌관에 있어서,
    상기 점폭약(3)이 상기 폭발지연약(4)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저지하기에 적합한 형태로서, 상기 폭발지연약(4)과 상기 외곽(1)의 내벽 사이에 위치하는 폴리오레핀 또는 폴리플루오로 카본제 캡슐(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지연 뇌관.
KR2019840010685U 1979-09-21 1984-10-26 폭발 지연 뇌관 KR840002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685U KR840002564Y1 (ko) 1979-09-21 1984-10-26 폭발 지연 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77,718 US4369708A (en) 1979-09-21 1979-09-21 Delay blasting cap
US077718 1979-09-21
KR1019800002107A KR830002661A (ko) 1979-09-21 1980-05-28 폴발지연 캡(Cap)
KR2019840010685U KR840002564Y1 (ko) 1979-09-21 1984-10-26 폭발 지연 뇌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107A Division KR830002661A (ko) 1979-09-21 1980-05-28 폴발지연 캡(C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564Y1 true KR840002564Y1 (ko) 1984-12-08

Family

ID=2734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685U KR840002564Y1 (ko) 1979-09-21 1984-10-26 폭발 지연 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5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4814A (en) Delay detonator device
FI82678C (fi) Taendelement foer en icke-primaer spraengaemnesdetonator samt spraengaemnesdetonator.
US6408759B1 (en) Initiator with loosely packed ignition charge and method of assembly
RU2203260C2 (ru) Детонаторы, имеющие вводы со многими линиями
US4312271A (en) Delay detonator device
US3726217A (en) Detonating devices
US4335652A (en) Non-electric delay detonator
US4132171A (en) Apparatus for detonating an explosive charge
JPS6041638B2 (ja) 遅発雷管
JPS63201083A (ja) 非電気雷管
CA2145721C (en) Explosive detonation apparatus
JPS6235039B2 (ko)
US4817530A (en) Delay detonator
US4239004A (en) Delay detonator device
US3291046A (en) Electrically actuated explosive device
US3212439A (en) Blasting caps containing only secondary explosive
US5144893A (en) Safe ordnance initiation system
US3776135A (en) Non-electric blasting cap assembly
US4671177A (en) Temperature resistant detonator
US2478415A (en) Blasting initiator
CA1150104A (en) Non-electric delay detonator with percussion -sensitive ignition charge in spacing between deformable shell and rigid metal capsule
US2578726A (en) Compressed gas bomb
US35419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remature ignition of electro-explosive devices
US6578490B1 (en) Ignitor apparatus
CA1094390A (en) Explosives initiation assembly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