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834B1 -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834B1
KR101925834B1 KR1020160086559A KR20160086559A KR101925834B1 KR 101925834 B1 KR101925834 B1 KR 101925834B1 KR 1020160086559 A KR1020160086559 A KR 1020160086559A KR 20160086559 A KR20160086559 A KR 20160086559A KR 101925834 B1 KR101925834 B1 KR 101925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slide groove
mounting hole
hole
shield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025A (ko
Inventor
이정환
조동현
진연태
김형준
양희성
안영준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08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83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 F42B12/5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by dispersion
    • F42B12/52Fuel-air explosiv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5/00Arming-means in fuzes; Safety means for preventing premature detonation of fuzes or charges
    • F42C15/34Arming-means in fuzes; Safety means for preventing premature detonation of fuzes or charges wherein the safety or arming action is effected by a blocking-member in the pyrotechnic or explosive train between primer and main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탄두로부터 방출시 지연기폭관의 연소불꽃으로 인한 조기점화가 방지되도록, 본 발명은 1차 점화장치를 통한 분산화약의 폭발시 분산되는 가연성 연료의 분산방향을 따라 형성된 방출구에 장착되는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장착홀의 하부에 지연기폭관이 설치되되, 상기 설치된 지연기폭관의 상부를 따라 상기 장착홀과 교차되는 횡방향의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된 점화헤드부; 일단부가 탄발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배치되되 상기 방출구의 내면으로부터 이탈시 타단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슬라이드 이동되고,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지연기폭관의 상단이 차폐되도록 상기 장착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화염차폐부; 및 상기 점화헤드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지연기폭관의 연소에 따라 상기 분산화약의 점화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지연시간 경과 후 분산된 상기 가연성 연료를 점화하는 기폭부를 포함하는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second igniter for fuel air explosive munition}
본 발명은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두로부터 방출시 지연기폭관의 연소불꽃으로 인한 조기점화가 방지되는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기화폭발탄(fuel air explosive munition, FAE)은 폭풍형 무기로, 가연성 연료를 공기 중에 분산시키고, 일정한 지연시간이 경과되면 분산된 연료를 점화하여 분진 폭발과 유사한 형태의 폭굉을 통해 충격파와 열을 발생시키는 무기이다.
여기서, 상기 연료기화폭발탄은 분산화약이 충진된 내부 탄체와, 상기 내부 탄체의 외부에 구비되되 분산화약의 폭발 압력에 의해 공기 중으로 분산되는 가연성 연료가 충진된 외부 탄체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연성 연료는 산화프로필렌, 노말 헵탄 또는 이에 니트로메탄과 같은 민감제를 혼합한 조성물로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분산화약은 1차 점화장치에 의해 점화되어 폭발되며 가연성 연료를 공기 중으로 살포하고, 살포된 가연성 연료는 분산화약의 폭발 압력으로 공기 중에 분산되어 연료-공기 혼합 구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연료-공기 혼합 구름은 2차 점화장치에 의해 점화되어 폭발된다.
여기서, 상기 연료-공기 혼합 구름은 내부의 가연성 연료 농도가 특정한 범위 내에서 점화될 때 폭굉되어 유효한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2차 점화장치는 1차 점화장치와 함께 점화되어 탄두로부터 방출되며, 지연기폭관의 연소과정에 따라 분산화약의 폭발 이후 연료-공기 혼합 구름 속의 연료 농도가 최적의 범위가 되는 수십 msec에서 수백 msec의 지연시간 경과 후 연료-공기 혼합 구름 내지 가연성 연료를 점화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종래의 2차 점화장치는 지연기폭관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화염으로 인해 충분하게 분산되지 못한 상태의 가연성 연료가 점화되는 조기 점화 현상을 유발하였으며, 조기 점화로 인해 표적파괴에 요구되는 충격파와 열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6913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두로부터 방출시 지연기폭관의 연소불꽃으로 인한 조기점화가 방지되는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차 점화장치를 통한 분산화약의 폭발시 분산되는 가연성 연료의 분산방향을 따라 형성된 방출구에 장착되는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장착홀의 하부에 지연기폭관이 설치되되, 상기 설치된 지연기폭관의 상부를 따라 상기 장착홀과 교차되는 횡방향의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된 점화헤드부; 일단부가 탄발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배치되되 상기 방출구의 내면으로부터 이탈시 타단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슬라이드 이동되고,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지연기폭관의 상단이 차폐되도록 상기 장착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화염차폐부; 및 상기 점화헤드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지연기폭관의 연소에 따라 상기 분산화약의 점화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지연시간 경과 후 분산된 상기 가연성 연료를 점화하는 기폭부를 포함하는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화염차폐부는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되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타측에 구비된 단턱부에 걸림되는 차폐몸체부와, 상기 단턱부에 형성된 구속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차폐몸체부의 타단부에 단차지게 돌설된 접촉돌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홈부는 상기 장착홀 및 상기 연통홀의 정렬시 상기 차폐몸체부의 타단부가 상기 단턱부로부터 기설정된 차폐이동간격에 대응하여 이격 배치되도록 확장 형성되되, 상기 차폐몸체부는 상기 연통홀의 테두리로부터 일단측으로 연장된 부분의 폭이 상기 차폐이동간격을 초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장착홀의 타측에서 상기 방출구의 내면까지의 간격으로부터 상기 연통홀의 타측에서 상기 차폐몸체부의 타단부까지의 간격을 감한 폭으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폐몸체부의 일단부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도록 타단측으로 함몰 형성된 탄성부재장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차폐몸체부의 측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내면에 레일 결합되는 슬라이드결합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지연기폭관의 지연 연소 과정을 통해 분산화약의 점화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지연시간 경과 후 기폭부가 폭발되므로 분산화약의 폭발 후 대기 중에 충분히 분산된 가연성 연료가 폭굉되며 높은 연소열과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2차 점화장치가 방출구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연통홀 및 하부 장착홀 간의 연통이 해제되도록 화염차폐부가 탄발 이동되되 단턱부에 걸림되며 지연기폭관의 상단이 차폐되어 지연기폭관의 화염누출이 방지되므로 가연성 연료의 조기 점화 현상이 예방되어 연료-공기 혼합 운의 폭굉에 따른 열압력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방출구의 내면을 향해 탄발 지지된 안전슬라이더부에 지연기폭관의 하단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전달홀이 형성되어, 안전슬라이더부가 탄발 이동되는 2차 점화장치의 방출시에만 지연기폭관의 하단부와 기폭부의 사이가 연통되므로 지연기폭관의 오폭발로 인한 안전사고가 예방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에서 점화헤드부의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에서 화염차폐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에서 점화헤드부의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에서 화염차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100)는 점화헤드부(10), 화염차폐부(20), 그리고 기폭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기화폭발탄(7)은 1차 점화장치(4)에 의해 점화된 분산화약(5)의 폭발압력으로 가연성 연료(6)를 공기 중으로 비산시켜 연료-공기 혼합 운을 형성하고, 2차 점화장치(100)의 폭발을 통해 기형성된 연료-공기 혼합 운 내의 가연성 연료(6)를 점화시켜 분진 폭발과 유사한 형태의 폭굉을 유발함으로써 충격파와 열을 발생시키는 무기이다.
이때, 상기 2차 점화장치(100)는 대기 중에 충분히 분산된 상태의 가연성 연료(6)가 점화되도록 분산화약(5)의 폭발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된 후 폭발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연료기화폭발탄(7)에는 상기 1차 점화장치(4) 및 2차 점화장치(100)의 고정을 위한 탄두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탄두부에는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유무선신호에 따라 발생된 전류를 리드와이어(2,3)로 공급한다. 이때, 추진장약조립체(50)가 점화되며, 추진장약조립체(50)의 폭발을 통해 2차 점화장치(100)가 탄두부로부터 방출되고, 추진장약조립체(50)의 폭발시 발생된 화염으로 지연기폭관(13)이 점화된다.
그리고, 1차 점화장치(4)가 점화되며 분산화약(5)이 폭발되고 분산화약(5)의 외측에 배치된 가연성 연료(6)가 대기 중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때, 지연기폭관(13)은 지연 연소 과정을 통해 소정의 시간 경과 후 기폭부(30)의 폭발을 유도하며, 기폭부(30)의 폭발을 통해 대기 중에 분산된 가연성 연료(6)가 폭굉된다.
여기서, 상기 지연기폭관(13)의 지연 연소 과정을 통해 가연성 연료(6)가 대기 중에 충분하게 분산된 상태에서 점화될 수 있으므로 높은 연소열과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탄두부에는 상기 2차 점화장치(100)가 설치되는 방출구(1)가 구비되며, 상기 방출구(1)는 가연성 연료(6)가 분산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2차 점화장치(100)가 기형성된 연료-공기 혼합 운의 중심을 향해 방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화헤드부(10), 상기 화염차폐부(20), 상기 기폭부(30)는 케이스부(100a)를 통해 일체로 조립되어 상기 방출구(1)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00a)는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방출구(1)의 내부에 삽입되는 측벽부 상부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관통공(101,1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100a)의 상측에는 리드와이어(2)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추진장약조립체(50)가 배치되며, 상기 추진장약조립체(50)가 리드와이어(2)를 통해 점화되어 폭발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100a)가 상기 방출구(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화헤드부(10)는 상기 추진장약조립체(5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장착공간의 상부에 조립되며, 점화헤드부(1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장착홀(12a,12b)과 상기 장착홀(12a,12b)과 교차되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부(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12a,12b)의 내부 하측에는 지연기폭관(13)이 설치되되, 상기 점화헤드부(10) 중앙부에는 상기 설치된 지연기폭관(13)의 상부에서 상기 장착홀(12a,12b)과 교차되는 횡방향의 슬라이드홈부(1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장착홀(12a,12b)은 상기 슬라이드홈부(14)에 의해 상부 장착홀(12a) 및 하부 장착홀(12b)로 구획되며, 하부 장착홀(12b)에 상기 지연기폭관(13)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 장착홀(12a) 및 상기 하부 장착홀(12b)은 상호 동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연기폭관(13)의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하부 장착홀(12b)의 상단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확관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 장착홀(12a)의 상단부는 상기 추진장약조립체(50)의 하단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부 장착홀(12a)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장착홀(12b)의 상단부와 대향 배치된다.
이때, 상기 추진장약조립체(50)의 폭발시 발생된 화염이 상기 상부 장착홀(12a)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14)를 통과하여 하부 장착홀(12b)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지연기폭관(13)이 점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연기폭관(13)은 분산화약의 점화시점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점화 및 폭발되는 추진장약조립체(50)에 연계되어 점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00a)의 상부측 관통공(101)은 상기 슬라이드홈부(14)와 연통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점화헤드부(10)는 조립 및 제조 편의성을 위해 하우징(10a) 및 하우징커버(10b)로 분할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점화헤드부(10)의 상부를 형성하는 하우징(10a)의 중앙부에 상부 장착홀(12a)이 형성되고, 점화헤드부(1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커버(10b)의 중앙부에 하부 장착홀(12b)이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0a)의 하면 내지 하우징커버(10b)의 상면에 돌설된 격벽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10a) 및 상기 하우징커버(10b)가 상호 이격되도록 조립되면 한쌍의 장착홀(12a,12b) 사이에 슬라이드홈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홈부(14)는 일단이 폐쇄되되 상부측 관통공(101)과 대향되는 타단측에 단턱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측 관통공(101)과 연통되도록 상기 단턱부(15)에 횡방향으로 구속홀(15a)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화염차폐부(20)는 상기 슬라이드홈부(14)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되 상기 단턱부(15)에 걸림되는 차폐몸체부(20a)와, 상기 구속홀(15a)을 관통하도록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타단부에 단차지게 돌설된 접촉돌기(20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일단부에는 탄성부재(22)가 삽입되도록 타단측으로 함몰된 탄성부재장착홈(2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일단부는 슬라이드홈부(14)의 폐쇄된 일단측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장착홈(24)에는 상기 슬라이드홈부(14)의 일단으로부터 돌설된 지지부(19) 및 상기 지지부(19)에 장착된 탄성부재(22)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화염차폐부(20)가 상기 단턱부(15) 내지 상부측 관통공(101)을 향해 탄발 지지되면서도, 탄성부재(22)의 설치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몸체부(20a)는 상기 슬라이드홈부(14)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단턱부(15) 사이의 간격 미만의 폭을 갖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드홈부(14)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몸체부(20a)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14)는 전후방향 너비가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폐몸체부(20a)가 상기 슬라이드홈부(14) 내에서 비틀림 없이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너비방향 외면, 즉 측면부에는 슬라이드결합부(23)가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드홈부(14)의 너비방향 내면에는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3)가 레일 결합되도록 슬라이드안내부(1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결합부(23) 및 상기 슬라이드안내부(17)는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홈 및 돌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 더욱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홈부(14)의 내부에서 걸림되는 등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몸체부(20a)는 그의 상면 및 하면 중 하나가 상기 상부 장착홀(12a)의 하단 및 상기 하부 장착홀(12b)의 상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면 및 하면이 상기 상부 장착홀(12a)의 하단 및 상기 하부 장착홀(12b)의 상단에 모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접촉돌기(20b)는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타단면 중앙부에 돌설될 수 있으며, 상기 단턱부(15)에 형성된 구속홀(15a) 및 상기 상부측 관통공(101)을 통과할 수 있는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접촉돌기(20b)가 상기 구속홀(15a) 및 상기 상부측 관통공(101)을 통과하여 상기 방출구(1)의 내면에 접촉되어 구속됨에 따라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화염차폐부(20)는 상기 방출구(1)의 내면으로부터 이탈시 타단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슬라이드 이동되고,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지연기폭관(13)의 상단이 차폐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장착홀(12a,12b)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연통홀(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홀(21) 및 상기 장착홀(12a,12b)이 선택적으로 연통된다는 말은 상기 화염차폐부(20)의 타단부가 상기 방출구(1)의 내면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홀(21) 및 상기 장착홀(12a,12b)이 연통되되, 타단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화염차폐부(20)가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연통홀(21) 및 상기 장착홀(12a,12b)의 연통이 해제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통홀(21)은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접촉돌기(20b)가 상기 방출구(1)의 내면에 구속된 상태에서 장착홀(12a,12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촉돌기(20b)는 상기 장착홀(12a,12b)의 타측에서 상기 방출구(1)의 내면까지의 간격(e)으로부터 상기 연통홀(21)의 타측에서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타단부까지의 간격(f)을 감한 폭(d)으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돌기(20b)가 상기 방출구(1)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홀(21) 및 상기 장착홀(12a,12b)이 상호 정렬되어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부(100a)가 상기 방출구(1)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장착홀(12a) 및 상기 연통홀(21), 상기 하부 장착홀(12b)이 상호 연통되며, 상기 추진장약조립체(50)의 폭발시 발생된 화염이 상기 장착홀(12a) 및 연통홀(21)을 거쳐 지연기폭관(13)을 점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진장약조립체(50)의 폭발시 발생된 압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부(100a)가 가압되어 방출구(1)로부터 배출되며, 방출구(1)의 내면에 의한 상기 접촉돌기(20b)의 구속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상기 차폐몸체부(20a)는 상기 슬라이드홈부(14)의 일단부에 구비된 탄성부재(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홈부(14)의 타단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홀(12a,12b) 및 상기 연통홀(21) 간의 연통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타단부가 상기 단턱부(15)의 내면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화염차폐부(20)가 상기 점화헤드부(10) 내지 케이스부(100a)의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염차폐부(20)의 분실 및 이탈로 인한 작업 지연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2차 점화장치(100) 및 방출구(1) 간의 조립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홈부(14)는 상기 장착홀(12a,12b) 및 상기 연통홀(21)의 정렬시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타단부가 상기 단턱부(15)로부터 기설정된 차폐이동간격에 대응하여 이격 배치되도록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통홀(21)과 상기 장착홀(12a,12b)이 상호 연통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차폐몸체부(20a)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단턱부(15)까지의 간격(c)이 상기 차폐이동간격을 초과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부(14)의 폭이 설정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홈부(14)의 폭은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일단부를 탄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22) 및 탄성부재(22)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구조를 고려하여 설정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폐이동간격이라는 말은 상기 장착홀(12a,12b) 및 상기 연통홀(21)이 상호 연통된 상태에서 차폐몸체부(20a)의 위치로부터 상기 장착홀(12a,12b) 및 상기 연통홀(21)이 상호 미중첩되는 차폐몸체부(20a)의 위치까지의 이동간격을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장착홀(12a,12b) 및 상기 연통홀(21)이 상호 미중첩된 상태는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상면과 상기 상부 장착홀(12a)의 하단이 밀착된 경우, 상기 상부 장착홀(12a)의 하단 및 상기 연통홀(21)의 상단이 완전하게 어긋난 배치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하면과 상기 하부 장착홀(12b)의 상단이 밀착된 경우, 상기 하부 장착홀(12b)의 상단 및 상기 연통홀(21)의 하단이 완전하게 어긋난 배치상태를 의미한다.
물론, 차폐몸체부(20a)의 상하면이 상부 장착홀(12a)의 하단 및 하부 장착홀(12b)의 상단과 모두 밀착된 경우에는 상기 상부 장착홀(12a)의 하단 및 상기 연통홀(21)의 상단이 완전하게 어긋난 배치상태 및 상기 하부 장착홀(12b)의 상단 및 상기 연통홀(21)의 하단이 완전하게 어긋난 배치상태 중 하나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차폐이동간격은 상기 연통홀(21)의 직경 및 상기 연통홀(21)에 밀착되는 상기 장착홀(12a,12b)의 직경 중 큰 하나를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상면과 상기 상부 장착홀(12a)의 하단이 밀착된 경우, 상기 상부 장착홀(12a)의 하단 직경(a) 및 상기 연통홀(21)의 상단 직경 중 큰 직경을 초과하도록 차폐이동간격이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차폐몸체부(20a)가 상기 단턱부(15)에 밀착되도록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차폐몸체부(20a)가 슬라이드홈부(14)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연통홀(21) 및 상기 장착홀(12a,12b)의 연통 상태가 완전하게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몸체부(20a)는 상기 연통홀(21)의 테두리로부터 일단측으로 연장된 부분의 폭이 상기 차폐이동간격을 초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차폐몸체부(20a)는 상기 장착홀(12a,12b)과 밀착 배치되는 상하면 중 하나의 일단부로부터 연통홀(21)의 테두리 일측까지의 폭(b)이 상기 차폐이동간격을 초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차폐몸체부(20a)의 타단부가 상기 단턱부(15)에 밀착되도록 이동되어 상기 연통홀(21) 및 상기 장착홀(12a,12b)이 완전하게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연통홀(21)의 외측에 대응되는 차폐몸체부(20a)를 통해 상기 장착홀(12a,12b)이 정확하게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장착홀(12b) 및 상기 상부 장착홀(12a) 사이가 상기 차폐몸체부(20a)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상기 지연기폭관(13)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상기 케이스부(100a) 내지 점화헤드부(10)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추진장약조립체(50)의 폭발과 함께 지연기폭관(13)이 점화되면, 상기 케이스부(100a)가 방출구(1)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 화염차폐부(20)의 타단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고, 화염차폐부(20)가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연기폭관(13)의 상단부가 차폐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연기폭관(13)의 지연 연소 과정에서 발생된 화염이 연료-공기 혼합 운 내에 배치된 2차 점화장치(10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누출된 화염으로 인한 가연성 연료의 조기 점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즉, 지연기폭관(13)의 지연 연소가 완료되어, 가연성 연료의 충진량 및 분산화약의 폭발압력에 대응되도록 최초 산출된 지연시간이 경과된 후 기폭부(30)가 폭발되는 경우에만 가연성 연료가 점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연성 연료가 공기 중에 충분히 분산된 상태에서 점화될 수 있으므로 연료-공기 혼합 운의 폭굉시 표적파괴에 충분한 연소열과 충격파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폭부(30)는 상기 점화헤드부(1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지연기폭관(13)의 연소에 따라 상기 분산화약의 점화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지연시간 경과 후 분산된 상기 가연성 연료를 점화한다.
여기서, 상기 기폭부(30)는 3차 전폭약(32)이 충진된 전폭관(30a)과, 상기 전폭관(30a)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기폭약(33)이 충진된 기폭관(30b)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폭관(30a) 및 상기 기폭관(30b)은 내부에 충진된 3차 전폭약(32) 내지 기폭약(33)과 화학 반응이 없거나 적은 탄소강, 알루미늄 합금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되 폭발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파괴될 수 있는 두께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폭관(30a)의 상단부는 개구되어 상기 하부 장착홀(12b)의 하단과 대향 배치되며, 상기 전폭관(30a)의 상부에는 2차 전폭약(31)이 충진되고, 2차 전폭약(31)의 하부를 따라 3차 전폭약(32)이 충진된다.
여기서, 상기 지연기폭관(13)의 하부 및 상기 기폭부(30) 사이에는 일단부가 탄발 지지되어 타단부가 상기 방출구(1)의 내면에 구속되는 안전슬라이더부(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커버(10b)의 하부에는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형태의 보조슬라이드홈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100a)에는 상기 보조슬라이드홈부(18)의 타측 개구와 대향되는 부분에 하부측 관통공(10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전슬라이더부(40)는 상기 보조슬라이드홈부(18)에 배치되어 탄성부재(42)에 의해 방출구(1)의 내면측으로 탄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슬라이더부(40)의 일측부에는 상기 방출구(1)의 내면으로부터 이탈시 상기 하부 장착홀(12b)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되 내부에 1차 전폭약이 장착되는 전달홀(43)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전슬라이더부(40)의 타단부가 상기 방출구(1)의 내면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홀(43) 및 상기 장착홀(12b)이 어긋나게 배치되되, 상기 안전슬라이더부(40)의 타단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홀(43) 및 상기 장착홀(12b)이 상호 연통되도록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100a)가 상기 방출구(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달홀(43)이 상기 하부 장착홀(12b)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안전슬라이더부(40)의 타측부 상면에 의해 상기 지연기폭관(13)의 하단부가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100a)가 상기 방출구(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연기폭관(13)의 오폭발이 발생된 경우에도, 발생된 화염이 안전슬라이더부(4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기폭부(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연기폭관(13)의 오폭발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슬라이더부(40)의 상면에는 상기 보조슬라이드홈부(18)의 상면부에 하향 돌설된 제한돌기(16)가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전달홀(43) 및 상기 장착홀(12b) 간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도록 횡방향으로 확장된 유격홈부(4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1차 전폭약이 장착된 상기 전달홀(43) 및 상기 장착홀(12b)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안전슬라이더부(40)의 타단부가 상기 방출구(1)의 내면에 구속되어 상기 전달홀(43) 및 상기 장착홀(12b)의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에서의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격홈부(41)는 상기 안전슬라이더부(40)의 타단부가 상기 방출구(1)의 내면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한돌기(16)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타단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전달홀(43) 및 상기 장착홀(12b)이 정렬되도록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한돌기(16)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횡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100a)가 상기 방출구(1)로부터 이탈되면, 안전슬라이더부(40)의 유격홈부(41) 일단이 상기 제한돌기(16)에 걸림됨에 따라 전달홀(43) 및 상기 장착홀(12b)이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상기 안전슬라이더부(40)가 정확하게 슬라이드 이동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연기폭관(13)의 연소시 발생된 화염이 상기 전달홀(43)에 장착된 1차 전폭약을 기폭시키고, 1차 전폭약은 전폭관(30a)의 2차 전폭약(31)을 기폭시키며, 2차 전폭약(31)의 폭발력에 의해 3차 전폭약(32), 기폭약(33)이 순차 폭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폭약(33)을 통해 상기 가연성 연료의 폭굉을 위한 폭발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으며, 연료-공기 혼합 운의 전체 영역이 순식간에 폭굉되며 고압의 충격파와 열이 방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 10: 점화헤드부
20: 화염차폐부 30: 기폭부
50: 추진장약조립체

Claims (5)

1차 점화장치를 통한 분산화약의 폭발시 분산되는 가연성 연료의 분산방향을 따라 형성된 방출구에 장착되는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장착홀의 하부에 지연기폭관이 설치되되, 상기 설치된 지연기폭관의 상부를 따라 상기 장착홀과 교차되는 횡방향의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된 점화헤드부;
일단부가 탄발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배치되되 상기 방출구의 내면으로부터 이탈시 타단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슬라이드 이동되고,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지연기폭관의 상단이 차폐되도록 상기 장착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화염차폐부; 및
상기 점화헤드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지연기폭관의 연소에 따라 상기 분산화약의 점화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지연시간 경과 후 분산된 상기 가연성 연료를 점화하는 기폭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염차폐부는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되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타측에 구비된 단턱부에 걸림되는 차폐몸체부와,
상기 단턱부에 형성된 구속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차폐몸체부의 타단부에 단차지게 돌설된 접촉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부는 상기 장착홀 및 상기 연통홀의 정렬시 상기 차폐몸체부의 타단부가 상기 단턱부로부터 기설정된 차폐이동간격에 대응하여 이격 배치되도록 확장 형성되되,
상기 차폐몸체부는 상기 연통홀의 테두리로부터 일단측으로 연장된 부분의 폭이 상기 차폐이동간격을 초과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장착홀의 타측에서 상기 방출구의 내면까지의 간격으로부터 상기 연통홀의 타측에서 상기 차폐몸체부의 타단부까지의 간격을 감한 폭으로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몸체부의 일단부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도록 타단측으로 함몰 형성된 탄성부재장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차폐몸체부의 측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부의 내면에 레일 결합되는 슬라이드결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
KR1020160086559A 2016-07-08 2016-07-08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 KR101925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59A KR101925834B1 (ko) 2016-07-08 2016-07-08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59A KR101925834B1 (ko) 2016-07-08 2016-07-08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025A KR20180006025A (ko) 2018-01-17
KR101925834B1 true KR101925834B1 (ko) 2018-12-06

Family

ID=6102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559A KR101925834B1 (ko) 2016-07-08 2016-07-08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1561B (zh) * 2019-12-31 2020-09-25 西安现代控制技术研究所 一种拖曳式二次起爆云爆弹及其精确引战配合方法
CN111322913B (zh) * 2020-03-10 2020-12-01 西安近代化学研究所 适用于300m/s落速的云爆战斗部的燃料抛撒防蹿火结构
CN116357998B (zh) * 2023-04-12 2024-06-11 安徽理工大学 一种用于铝热反应的电点火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2169A (en) * 1970-11-06 1979-01-02 Beech Aircraft Corporation Fuel-air type bomb
US4297949A (en) * 1979-07-31 1981-11-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loud detonator in surface-launched fuel-air explosive minefield clearance round
US4493262A (en) * 1982-11-03 1985-01-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uel air explosiv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025A (ko)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63065B (zh) 气体发生器
KR101925834B1 (ko) 연료기화폭발탄용 2차 점화장치
SU1521291A3 (ru) Детонатор без первичного взрывчатого вещества
KR940008965A (ko) 차량 탑승자 보호 장치용 가스 발생기
KR102041896B1 (ko) 가스 발생기
US20200039463A1 (en) Gas generator
CN109641567B (zh) 气体发生器
KR20130040170A (ko) 가스 발생기
US20090223402A1 (en) Pyrotechnic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80354451A1 (en) Gas generator
SK3192002A3 (en) Detonator
US20190061677A1 (en) Gas generator
US3688702A (en) Detonator device for explosive charge exhibiting detonating effect capable of bridging gap between spaced charges
US4423682A (en) One-way explosive transfer assembly
CA1282639C (en) Explosive delay detonator
US4492167A (en) Partially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igniter
US3547033A (en) Ignitor for explosive charge with means for preventing inadvertent ignition
CN107074188A (zh) 气体发生器
KR101925833B1 (ko) 연료기화폭발탄
RU2706671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генератор маскирующих завес
CN114111473A (zh) 一种防止结论失真的针刺雷管引信隔爆安全性试验方法
RU2120101C1 (ru) Дето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основе бризантного взрывчатого вещества
KR100935946B1 (ko) 도화선이 구비된 훈련용 수류탄
US2084218A (en) Delay action fuse for projectiles and the like
RU2089828C1 (ru) Детон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основе бризантного взрывчатого веще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