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955B1 -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 Google Patents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955B1
KR101924955B1 KR1020170041749A KR20170041749A KR101924955B1 KR 101924955 B1 KR101924955 B1 KR 101924955B1 KR 1020170041749 A KR1020170041749 A KR 1020170041749A KR 20170041749 A KR20170041749 A KR 20170041749A KR 101924955 B1 KR101924955 B1 KR 101924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pening
plate
closing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179A (ko
Inventor
김광식
Original Assignee
김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식 filed Critical 김광식
Priority to KR1020170041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95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 입구의 개방 또는 폐쇄상태를 오류 없이 확고히 유지할 수 있고, 배수의 연속성과 원활성 그리고 폐쇄의 완결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배수관 입구의 개폐작동에 대한 안정성 및 신뢰성이 담보되는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깔때기형태의 배수판, 상부 개방형 이중관, 마개판, 탄력판 및 마개판을 지지하는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선등록특허에 마감판, 걸림링, 파지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마개판의 각 탄력판 하부 외면에 파지링의 파지공으로 도입하는 돌기형 코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형 코의 직 상부 외측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이중관의 개폐안내관 최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편 저면의 개방걸림턱 또는 상기 걸림링의 폐쇄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고, 상기 각 탄력판 상부 외면에는 막대형태의 돌기를 형성하여 마개판을 눌러 배수관 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돌기 끝이 상기 개폐안내관의 걸림편 내경 상단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양측 탄력판 사이에는 탄성체를 장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opening and closing stopper for sink drain}
본 발명은 선등록특허를 개량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입구의 개폐작동을 오류 없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개폐작동의 신뢰성이 늘 유지되며, 구성요소들 및 그 결합관계에 대한 유지 및 관리 등을 편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일반적인 싱크대 배수구는 싱크대의 수조 바닥에 형성되는 배수구멍에 장착되는 배수트랩과; 상기 배수트랩 내에 설치되는 망통과; 상기 배수트랩의 입구(이하 '배수입구'라 함)를 막는 마개와; 상기 배수트랩 하단에 연결되는 배수관 등의 결합체이다.
상기 배수구는 배수입구에서 마개를 제거하면 오수를 배수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오수 내에 포함된 음식물 등의 찌꺼기는 망통에 의해 여과된다. 그리고 배수입구에 마개를 막으면 배수관을 통하여 비상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수조 내에 물을 저수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의 배수구용 개폐마개는 분리형이어서 배수입구를 개방할 때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보관과 취급에 상당한 불편이 있었다. 위 불편은 배수입구에 마개를 비스듬히 하여 그 틈새로 배수되도록 하면 해소될 수 있으나, 이는 배수입구를 축소하는 작용 즉, 배수의 원활성을 저해하는 배수의 병목현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위 틈새에 의한 찌꺼기의 걸림 때문에 배수입구의 막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이 선등록특허를 제안하였지만, 선등록특허는 종래의 문제는 전부 해결할 수 있었던 반면에, 각 구성요소들 간의 유기적 결합 및 그 작용에 있어 문제가 발견되었다. 즉, 사용자가 마개판의 누름 정도를 인지할 수 없음으로써(닫힘 조작의 한계를 알 수 없음으로써) 마개판의 닫힘을 한 번의 조작으로 성공하는 확률이 떨어졌으며, 또 탄력판의 탄력작동의 신뢰성이 시간에 비례하여 저하되는 문제가 발견되었고, 더불어 각 구성요소들을 고장 등과 이유로 교체 및 수리가 필요할 경우 분해가 용이하지 않아 유지· 관리가 쉽지 않았다.
(KR)특허등록 제10-1607501호
본 발명은 선등록특허를 개량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입구의 개폐작동을 오류 없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개폐작동의 신뢰성이 늘 유지되며, 구성요소들 및 그 결합관계에 대한 유지 및 관리 등을 편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는, 중앙의 배수관 입구가 테두리에 비해 낮게 위치되고, 테두리의 저면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깔때기형태의 배수판과; 상기 배수관의 중심에 구비되고 동심인 승강안내관과 개폐안내관 사이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승강안내관과 개폐안내관이 바닥으로 일체화되는 상부 개방형 이중관과; 상기 배수관 및 이중관 사이의 배수공간에 형성되어 배수관과 이중관을 연결하는 두 개 이상의 힘살과; 상기 배수관 입구를 개폐하고, 승강관이 상기 승강안내관 내에 삽입되는 마개판과; 상기 마개판 저면의 승강관 중앙 양측에 대칭 형성되어 사이에 탄성생성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안내관의 상부 걸림편 중심을 통하여 개폐안내관 내부로 도입하는 탄력판과; 상기 설치공간에 장전되어 마개판을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이중관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중관의 개폐안내관 내에 도입하는 돌출관이 형성되며, 바닥에는 마감판통수공이 형성되는 마감판과; 상기 개폐안내관의 걸림턱과 상기 돌출관 사이에 고정된 걸림링과; 상기 마감판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면이 마감판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고, 중앙에 파지공이 형성된 파지링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마개판의 각 탄력판 하부 외면에 파지링의 파지공으로 도입하는 돌기형 코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형 코의 직 상부 외측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이중관의 개폐안내관 최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편 저면의 개방걸림턱 또는 상기 걸림링의 폐쇄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고, 상기 각 탄력판 상부 외면에는 막대형태의 돌기를 형성하여 마개판을 눌러 배수관 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돌기 끝이 상기 개폐안내관의 걸림편 내경 상단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양측 탄력판 사이에는 탄성체를 장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마감판을 이중관 저면에서 분리하기만 하면 걸림링 및 파지링을 분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교체 등) 및 관리(세척 등)가 용이한 효과가 있고, 이 효과는 개폐마개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동반한다.
한편, 본 발명은 선등록특허와 다르게 폐쇄걸림턱을 별도의 걸림링으로 구현되도록 하고, 파지링을 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마개판의 개폐 작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작동의 신뢰성이 선등록특허 비해 한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도로서, 배수구를 개방한 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로서, 배수구를 폐쇄한 상태 예시도
도 3은 도 1의 A - B 선의 단면도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개판에 형성된 탄력판에 대한 평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개판의 개폐되는 작용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마개판의 단면 예시도로서, 양측 탄략판 사이에 탄성체가 설치된된 예시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상세한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내용이나 공지된 사항은 생략 또는 간단한 명칭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는. 크게 배수판(10), 이중관(20), 파지링(50), 마개판(60), 마감판(80) 그리고 스프링(9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배수판(10)은, 경사면(13)에 의해 중앙의 배수관(11) 입구가 테두리(15)에 비해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깔때기형태로서, 테두리(15) 저면에 싱크대의 장착용 단턱(12)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12) 내측에는 싱크대 장착부분과 배수판(10) 사이 틈새(장착 경계부분)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패킹(14)을 설치한다. 또한 배수판(10)의 테두리(15)에는 여러 개의 물골(151)을 방사형태로 등 간격 형성하여 싱크대 수조에서 유입되는 오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에서 단턱(12)이 장착되는 싱크대 장착부분을 통상의 싱크대 배수트랩으로 이해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단턱(12)은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싱크대의 배수구멍에 직결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단턱(12)의 장착부분을 싱크대 수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이중관(20)은, 승강안내관(21)과 개폐안내관(22)을 동심원 형태로 구현하되, 바닥(23)으로 상기 안내관들을 일체화하고, 상기 승강안내관(21)과 개폐안내관(22) 사이에는 설치공간(24)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23)에는 상기 설치공간(24)으로 노출되는 여러 개의 통수공(231)과 체결공(232)을 천공한다.

상기 개폐안내관(22)의 상하에는 개방걸림턱(221)과 걸림턱(222)을 수직방향으로 상하 형성하고, 개방걸림턱(221) 직 상부에는 걸림편(224)을 일체로 형성하여 걸림편(224) 하측으로 파지유지공간(223)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이중관(20)은, 상기 배수관(11) 중앙에 위치되어 여러 개의 힘살(40)로 배수관(11)과 일체화되는데, 상기 힘살(40)은 이중관(20)과 배수관(11)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공간(30)에 위치되고, 그 단면은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삼각형태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마감판(80)은, 납작한 원기둥의 형상 또는 납작한 원기둥의 둘레에 모서리가 깎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에는 이중관(20)의 파지유지공간에 삽입 가능하게 동심원 형태로 돌출되어 있고, 마감판(80)의 상, 하측으로 천공되며, 이중관(20)의 바닥(23)에 천공된 통수공(231)과 체결공(232)의 개수와 위치가 같은 마감판통수공(83)과 마감판체결공(84)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232)과 마감판체결공(84)으로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82)을 이용하여 체결하여 마감판(80)이 이중관(20)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파지링(50)은, 돌출관(81)의 중심내부 하측으로 삽입되고, 파지링(50)의 내측 둘레인 파지공(51)의 크기는 돌기형 코(71)가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 걸림링(52)은 돌출관(81)의 상단과 폐쇄걸림턱(222)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걸림턱(222)의 내측 둘레의 상측에는 걸림돌기(74)가 들어갈 수 있게 모서리가 깎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걸림링(52)의 저면은 걸림돌기(74)가 걸려질수 있는 폐쇄걸림턱(54)으로 이루어진다. 걸림링(52)의 내측 둘레의 크기인 고정공(53)은 걸림돌기(74) 외측 둘레와 파지링(50)의 외측 둘레의 크기보다 작아야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마개판(60)은, 상승하였을 때에는 배수판(10)의 배수관(11) 입구를 개방하고, 하강하였을 때에는 배수관(11) 입구를 폐쇄하는 것으로, 상면에는 돌조(63)를 형성하여 배수관(11) 입구을 개폐하기 위한 마개판(60)의 누름 조작을 미끄럼 없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마개판(60) 중앙 저면 양측에는 탄력판(70)(70')을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하여 이중관(20)의 개폐안내관(22) 중심을 관통하도록 하되, 양측 탄력판(70)(70') 사이에 탄성생성공간(73)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각 탄력판(70)(70')은 원형 봉을 양측으로 분할하여 중간에 탄성생성공간(73)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하부 외면에 상기 파지링(50)의 파지공(51)으로 도입하는 돌기형 코(71)가 형성되며, 돌기형 코(71)의 상단 끝에는 개폐안내관(22)의 개방걸림턱(221) 또는 걸림링(52)의 폐쇄걸림턱(54)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림돌기(74)가 형성된다. 이때 돌기형 코(71)의 높이는 상기 파지링(50)의 파지공(51) 내경 바깥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돌기형 (71)의 외경을 파지공(51)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한다는 것이다. 또한 마개판(60)의 탄력판(70)(70') 외측에 승강관(61)을 형성하여 이중관(20)의 승강안내관(2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배수관(11) 입구의 개폐를 위한 마개판(60)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스프링(90)은 이중관(20)의 설치공간(24)에 장전되어 마개판(60) 저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마개판(60)의 개방 및 폐쇄의 교대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치공간(24)에 대한 스프링(90)의 안정적 설치를 위해 스프링의 내경은 개폐안내관(22)의 외경과 같거나 커야된다.

위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정리하면, 배수판(10)의 배수관(11) 중앙에 이중관(20)이 배치된 다음 배수관(11)과 이중관(20) 사이의 배수공간(30)에 형성되는 여러 개의 힘살(40)로 일체화되고, 이중관(20)의 승강안내관(21)에는 배수관(11)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판(60)의 승강관(61)이 삽입되어 스프링(90)으로 지지되고, 마개판(60) 저면의 양측 탄력판(70)(70')은 파지유지공간(223)의 걸림링(52)과 이중관(20)의 개폐안내관(22) 중심을 관통하면서 걸림돌기(74)가 개방걸림턱(221) 또는 폐쇄걸림턱(54)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면 도 1과 도2에서와 같이 마개판(60)에 형성된 탄력판(70)(70')의 걸림돌기(74)가 폐쇄걸림턱(54)에 걸려져 있으면 배수판(10)의 배수관(11) 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이렇게 배수관(11)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입구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스프링(80)의 여유 압축을 통하여 마개판(60)을 눌러 탄력판(70)(70')의 걸림돌기(74)를 이중관(20)의 폐쇄걸림턱(54)에서 이탈시킨 후 개방걸림턱(221)에 걸리게 하면 되는데, 아래에서는 이에 대한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도 5 참조).

마개판(60)을 눌러 하강시키면 탄력판(70)(70')에 형성된 걸림돌기(74)는 파지유지공간(223) 내에 설치된 걸림링(52)의 상측에 모서리가 깎인 부분을 통해 강제도입으로 탄력판(70)(70')을 오므리게 됨으로써 삽입되고, 설치공간(24)에 설치된 스프링(90)의 복원력에 의해 마개판(60)이 상승하게 되지만 걸림링(52)의 하측인 폐쇄걸림턱(54)에 의해 걸림돌기(74)가 걸리게 되어 마개판(60)의 폐쇄(닫힘)위치가 유지된다(도 5의 (a), (b), (c)참조).


위 작용을 통하여 배수판(10)과 배수관(11) 입구를 개방하면 싱크대 수조의 오수는 배수판(10)의 테두리(15)를 범람하거나 혹은 테두리(15)에 형성된 물골(151)을 통해 배수되고, 배수되는 오수가 만에 하나, 이중관(20)의 설치공간(24)으로 유입될 경우에는 이중관(20)의 바닥(23)에 형성된 통수공(231)을 통하여 배수된다.
이 상태에서 마개판(60)을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마개판(60)을 누르면 마감판(80)의 돌출관(81)에 삽입된 파지링(50)의 파지공(51)으로 탄력판(70)(70') 하측의 돌기형 코(71)가 도입되게 되어 탄력판(70)(70')이 서로 상대방향으로 모이게 되는데, 이때 탄성생성공간(73)으로 인하여 탄성이 발생하게 되어 탄력판에는 원래위치로 되돌아가려는 복원력이 발생하고, 이 복원력은 돌기형 코(71)가 파지공(51)의 내경을 파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렇게 탄력판이 돌기형 코에 의해 오므려 들면 탄력판의 걸림돌기(74) 끝은 걸림링(52)의 내경을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위치가 된다(도 5의 (d) 참조). 이후 마개판의 누름 압력을 해제하면 설치공간(24)에 설치된 스프링(90)의 복원력에 의해 마개판(60)이 상승하면서 탄력판도 상승하여 걸림돌기(74)가 걸림링을 통과할 수 있게 될 때 파지링(50)은 탄력판(70)(70')의 돌기형 코(71)에 파지된 상태 그대로 탄력판과 동시 상승하면서 그 외경이 걸림링(52)의 폐쇄걸림턱(54)에 걸리게 되고(도 5의 (e) 참조), 탄력판(70)(70')이 계속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파지링(50)이 걸림링(52)에 걸리더라도 탄력판의 상승으로 인하여 파지링(50) 내경에서 돌기형 코(71)가 이탈되고, 동시에 탄성생성공간(73)의 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졌던 양측의 탄력판(70)(70')도 복원되어 탄력판의 걸림돌기(74)가 걸림편(224)의 하측인 개방걸림턱(221)에 걸리게 되어 마개판 및 탄력판의 상승이 멈춤으로써 마개판(60)의 개방작용이 완료되며, 파지링은 돌기형 코가 이탈됨과 동시에 마개판 바닥으로 자유낙하여 원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마개판(60)의 각 탄력판(70)(70')의 상단에 막대형태의 돌기(72)를 형성하여 마개판(60)을 눌러 마개판으로 배수관(11)의 입구를 폐쇄할 때 돌기(72) 끝이 개폐안내관(22)의 걸림편(224) 내경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에 걸리면(접촉하면) 그 걸림(접촉)으로 마개판(60)의 누름 정도(부하)를 인지할 수 있음으로써 마개판(60)의 과도한 누름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마개판의 폐쇄 작동을 한 번의 누름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돌기(72)는 걸림편(224)의 경사면에 걸리지만 마개판(60)을 좀다 강하게 누르면 그 누름 압력에 의해 걸림편의 내경을 통과하여 하강할 수 있으므로 돌기(72)가 걸림편의 경사면에 걸리더라도 마개판(60)의 개방 작동을 실시하는 것에는 아무런 장애를 주지않는다.

한편,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양측 탄력판(70)(70')의 복원성능이 떨어질 수 있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탄력판(70)(70')의 내경에서 외경으로 천공된 탄성체결합공(75)을 형성하여 탄성체(91)를 삽입함으로써 탄력판(70)(70') 작동에 대한 신뢰성을 항상 동일하게 유지 및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91)로는 도 6에서와 같은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배수판 11 : 배수관
12 : 단턱 13 : 경사면
14 : 패킹 15 : 테두리
151 : 물골 152 : 돌출부
20 : 이중관 21 : 승강안내관
22 : 개폐안내관 221 : 개방걸림턱
222 : 걸림턱 223 : 파지유지공간
224 : 걸림편 23 : 바닥
231 : 통수공 232 : 체결공
24 : 설치공간 30 : 배수공간
40 : 힘살 50 : 파지링
51 : 파지공 52 : 걸림링
53 : 고정공 54 : 폐쇄걸림턱
60 : 마개판 61 : 승강관
63 : 돌조 70, 70‘ : 탄력판
71 : 돌기형 코 72 : 돌기
73 : 탄성생성공간 74 : 걸림돌기
75 : 탄성체결합공 80 : 마감판
81 : 돌출관 82 : 체결수단
83 : 마감판통수공 84 : 마감판체결공
90 : 스프링 91 : 탄성체

Claims (3)

  1. 중앙의 배수관(11) 입구가 테두리(15)에 비해 낮게 위치되고, 테두리(15)의 저면에는 단턱(12)이 형성되는 깔때기형태의 배수판(10)과;
    상기 배수관(11)의 중심에 구비되고 동심인 승강안내관(21)과 개폐안내관(22) 사이에 설치공간(24)이 형성되며, 승강안내관(21)과 개폐안내관(22)이 바닥(23)으로 일체화되는 상부 개방형 이중관(20)과;
    상기 배수관(11) 및 이중관(20) 사이의 배수공간(30)에 형성되어 배수관(11)과 이중관(20)을 연결하는 두 개 이상의 힘살(40)과;
    상기 배수관(11) 입구를 개폐하고, 승강관(61)이 상기 승강안내관(21) 내에 삽입되는 마개판(60)과;
    상기 마개판(60) 저면의 승강관(61) 중앙 양측에 대칭 형성되어 사이에 탄성생성공간(73)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안내관(22)의 상부 걸림편(224) 중심을 통하여 개폐안내관(22) 내부로 도입하는 탄력판(70)(70')과;
    상기 설치공간(24)에 장전되어 마개판(60)을 지지하는 스프링(90)과;
    상기 이중관(20)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중관(20)의 개폐안내관(22) 내에 도입하는 돌출관(81)이 형성되며, 바닥에는 마감판통수공(83)이 형성되는 마감판(80)과;
    상기 개폐안내관(22)의 걸림턱(222)과 상기 돌출관(81) 사이에 고정된 걸림링(52)과;
    상기 마감판(80)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면이 마감판(80)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고, 중앙에 파지공(51)이 형성된 파지링(5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마개판(60)의 각 탄력판(70)(70') 하부 외면에 파지링(50)의 파지공(51)으로 도입하는 돌기형 코(71)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형 코(71)의 직 상부 외측에는 걸림돌기(74)를 형성하여 이중관(20)의 개폐안내관(22) 최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편(224) 저면의 개방걸림턱(221) 또는 상기 걸림링(52)의 폐쇄걸림턱(54)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고, 상기 각 탄력판(70)(70') 상부 외면에는 막대형태의 돌기(72)를 형성하여 마개판(60)을 눌러 배수관(11) 입구를 폐쇄할 때 상기 돌기(72) 끝이 상기 개폐안내관(22)의 걸림편(224) 내경 상단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양측 탄력판(70)(70') 사이에는 탄성체(91)를 장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2. 삭제
  3. 삭제
KR1020170041749A 2017-03-31 2017-03-31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KR101924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749A KR101924955B1 (ko) 2017-03-31 2017-03-31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749A KR101924955B1 (ko) 2017-03-31 2017-03-31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179A KR20180111179A (ko) 2018-10-11
KR101924955B1 true KR101924955B1 (ko) 2018-12-04

Family

ID=6386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749A KR101924955B1 (ko) 2017-03-31 2017-03-31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324B1 (ko) * 2021-01-20 2021-10-29 주식회사 에스엠지 배수구 개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501B1 (ko) * 2015-07-08 2016-04-11 김광식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501B1 (ko) * 2015-07-08 2016-04-11 김광식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179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501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WO2015152472A1 (ko) 배수트랩
US11519161B2 (en) Drain stopper and strainer
US20170073948A1 (en) Drain Stopper With Detachable Solid Matter Receptacle
US9611630B2 (en) Drain catch with cross bars repair insert
KR101924955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CA2937720C (en) Plumbing device
US8727137B1 (en) Filter housing with removable cyclone cage
CA2962521A1 (en) Non-return valve for flue gas venting and damper assembly for use therein
US10364559B2 (en) Plumbing device
JP2010037923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JP2009052353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20110111721A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101058890B1 (ko) 배수트랩
US10273671B2 (en) Drain cover
US6447680B1 (en) Double pass septic tank outlet filter
KR101301341B1 (ko) 분할된 복수 개의 개폐판을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070074703A (ko) 배수트랩
JP2013244446A (ja) ストレーナ
KR200484438Y1 (ko) 필터부를 구비한 벨모양 배수트랩
KR200413497Y1 (ko) 배수트랩
KR20040086229A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US2906549A (en) Loose coupling for tubular members
KR102054914B1 (ko)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JP2008240239A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