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914B1 -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914B1
KR102054914B1 KR1020190023366A KR20190023366A KR102054914B1 KR 102054914 B1 KR102054914 B1 KR 102054914B1 KR 1020190023366 A KR1020190023366 A KR 1020190023366A KR 20190023366 A KR20190023366 A KR 20190023366A KR 102054914 B1 KR102054914 B1 KR 10205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upled
induction part
support
convex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제원
Original Assignee
정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제원 filed Critical 정제원
Priority to KR1020190023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 B65D47/28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between tub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구를 개방하고 액체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스파우트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은, 배출구를 형성하는 걸림단의 상단에 일측으로 걸리어 상기 걸림단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상기 걸림단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걸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하단 외측에 결합되고 관통구로 액체를 유통시키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지지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내측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유도부, 및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 또는 해제되며, 결합 시 상기 유도부의 상단을 밀폐하는 캡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SPOUT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체의 배출구에 구비되어 배출구를 개방하고 액체의 배출을 유도하는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액체류 등을 수용하는데 용기가 사용된다. 이 용기는 배출구를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례로써, 액체 용기는 배출구에 개폐 가능한 캡, 즉 밀봉 및 배출 유도 기능을 구비한 스파우트 캡(spout cap)을 구비한다.
스파우트 캡은 용기체의 배출구에 구비되어, 용기체 내에 밀어 넣어지거나 용기체 내부로부터 당겨 꺼내지면서 배출구를 밀봉 및 개봉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일례로써, 스파우트 캡은 배출구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배치 및 결합되는 내부마개, 외부마개 및 보호캡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파우트 캡에서, 보호캡을 제거하고, 외부마개를 개방한 후, 내부마개를 잡아 당겨 용기체의 내부에서 배출구를 통하여 내부마개에 이어지는 유도부를 외부로 인출하고 내부마개를 개방함으로써 용기체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유도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유도부가 배출구의 외부로 인출되고 내부마개를 개방하므로 배출구 및 유도부를 통하여 액체류가 효과적으로 배출 유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파우트 캡을 구비한 액체 용기에 수용된 액체류를 배출구 및 유도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최외곽의 보호캡을 제거하고, 내부마개를 수동으로 잡아당겨서 내부마개 및 유도부를 배출구의 외부로 인출한 후 내부마개를 개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구를 개방하고 액체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스파우트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파우트 캡을 이용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은, 배출구를 형성하는 걸림단의 상단에 일측으로 걸리어 상기 걸림단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상기 걸림단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걸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하단 외측에 결합되고 관통구로 액체를 유통시키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지지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내측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유도부, 및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 또는 해제되며, 결합 시 상기 유도부의 상단을 밀폐하는 캡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심방향 내측을 제1볼록면으로 형성하고 외측을 제1오목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단 내측을 제2볼록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외측의 제1오목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수용되어 상기 연장부재에서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재 결합시, 하강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면서 측면으로 상기 제1볼록면에 접촉되고, 상기 캡부재 해제시, 상기 탄성부재의 팽창으로 상승되어 하단 외측의 제3오목면으로 상기 제1볼록면에 면접촉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오목면과 상기 제1볼록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호 곡면 접촉되고,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제1실링부재를 구비하여, 실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캡부재 결합시, 상단으로 상기 캡부재의 내측 결합홈에 실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유도부의 상기 제1볼록면에서 승강하는 제1유도부재, 및상기 제1유도부재의 내면에서 승강하는 제2유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제2유도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유도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도부재는 상단 내측으로 제3볼록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유도부재는 하단 외측에 형성되는 제4오목면으로 상기 제3볼록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3볼록면과 상기 제4오목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호 곡면 접촉되고,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제2실링부재를 구비하여, 실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도부재 및 상기 제2유도부재는 상기 캡부재 결합시, 상단으로 상기 캡부재의 내측 결합홈에 실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유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제1지지부보다 높게 형성된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유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은, 배출구를 형성하는 걸림단의 상단에 일측으로 걸리어 상기 걸림단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상기 걸림단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걸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하단 내측에 부착되고 삽입된 탄성부재에 의한 압축 또는 팽창되고 내부에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유도부, 및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 또는 해제되며, 결합 시 상기 유도부의 압축된 상단을 밀폐하는 캡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배출통로의 상단을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액체를 수용하고 일측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상기 걸림단을 구비하는 용기체, 및 상기 걸림단에 설치되는 스파우트 캡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도부를 탄성부재의 탄성력 또는 탄성부재의 압축 또는 팽창으로 작동되게 하므로 배출구(용기체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유도부가 배출구의 외부로 자동 인출되므로 유도부의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일 실시예는 체결부재에 대하여 캡부재를 결합 또는 해제하므로 유도부의 상단을 밀폐 또는 개방하게 된다. 즉 유도부에 연결되는 배출구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파우트 캡에서 캡부재를 개방하므로 유도부가 용기체의 배출구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파우트 캡에서 연장부재의 내주면과 유도부 중 제1유도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기밀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스파우트 캡에서 유도부 중 제1유도부재의 내주면과 제2유도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기밀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스파우트 캡에서 캡부재를 개방하므로 유도부가 용기체의 배출구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스파우트 캡(1)은 배출구(10)의 걸림단(20)에 설치되는 연장부재(30), 체결부재(40), 지지부재(50), 유도부(60) 및 캡부재(70)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의 용기는 걸림단(20)을 구비하는 용기체(2), 및 걸림단(20)에 설치되는 스파우트 캡(1)을 포함한다. 편의상, 제1실시예의 용기와 제1실시예의 스파우트 캡(1)에 대하여 함께 설명한다.
걸림단(20)은 용기체(2)의 일면을 절단하고 절곡하여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용기체(2)의 배출구(10)는 걸림단(20)의 내주면으로 설정된다. 즉 걸림단(20)은 내주면으로 배출구(10)를 형성하면서 외주면 및 상단으로 스파우트 캡(1)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연장부재(30)는 상단 일측으로 걸림단(20)에 걸리어 걸림단(20)의 내부로 연장된다. 연장부재(30)는 지지부재(50)와 유도부(6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일례로써, 연장부재(30)의 하단은 용기체(2)의 배출구(10) 내에서 배출구(10)의 중심방향 내측을 제1볼록면(301)으로 형성하고 외측을 제1오목면(302)으로 형성된다.
체결부재(40)는 걸림단(20)의 외측에 배치되어 연장부재(30)와 걸림단(20)을 상호 체결한다. 즉 연장부재(30)는 배출구(10)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걸림단(20)의 상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체결부재(40)는 연장부재(30)를 통하여 지지부재(50)와 유도부(60)를 배출구(10)에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연장부재(30)와 걸림단(20) 사이에 실링성이 확보된다.
지지부재(50)는 연장부재(30)의 하단 외측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구(501)를 통하여 용기체(2) 내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시 유통시킬 수 있다. 일례로써, 지지부재(50)는 상단 내측을 제2볼록면(502)으로 형성하여, 연장부재(30) 하단 외측의 제1오목면(302)에 결합된다.
그리고 배출구(10)에 연장부재(30)가 설치되고, 연장부재(30)에 지지부재(50)가 설치되므로 지지부재(50)에 형성되는 관통구(501)가 배출구(10)에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액체를 배출시키게 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지지부재와 연장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도부(60)는 지지부재(50)에 탄성부재(80)를 개재하여 지지되고 연장부재(30)의 내측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유도부(60)는 지지부재(50)에 수용되어 연장부재(30)에서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부재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스파우트 캡에서 캡부재를 개방하므로 유도부가 용기체의 배출구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캡부재(70)가 체결부재(40)에 결합될 때, 캡부재(70)의 누름 작용에 의하여 유도부(60)는 하강되어 탄성부재(80)를 압축하면서 유도부(60)의 측면으로 제1볼록면(301)에 접촉된다.
그리고 캡부재(70)가 체결부재(40)로부터 체결 해제될 때, 즉 캡부재(70)가개방되어 누름 작용이 해제되면, 유도부(60)는 탄성부재(80)의 팽창으로 인하여 상승되어, 하단 외측의 제3오목면(601)으로 연장부재(30)의 제1볼록면(301)에 면접촉으로 결합된다.
도 5는 도 4의 스파우트 캡에서 연장부재의 내주면과 유도부 중 제1유도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기밀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도부(60)의 제3오목면(601)과 연장부재(30)의 제1볼록면(301)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호 곡면으로 접촉되고,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제1실링부재(651)를 구비하여, 실링 구조를 형성한다.
상호 곡면 접촉은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유도부(60)의 제3오목면(601)과 연장부재(30)의 제1볼록면(301) 사이에 실링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제1실링부재(651)는 유도부(60)의 제3오목면(601)과 연장부재(30)의 제1볼록면(301) 사이의 실링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스파우트 캡에서 유도부 중 제1유도부재의 내주면과 제2유도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기밀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캡부재(70)가 체결부재(40)에 결합될 때, 유도부(60)는 상단으로 캡부재(70)의 내측 결합홈(71)에 실링 결합된다.
다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스파우트 캡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도부(60)는 연장부재(30)의 내측에 승강 구조로 배치되는 제1유도부재(61)와 제2유도부재(62)를 포함한다.
제1유도부재(61)는 연장부재(30)의 제1볼록면(301)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볼록면(301)에 슬라이딩 구조로 접촉되어 승강한다. 제2유도부재(62)는 제1유도부재(61)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1유도부재(61)의 내면에 슬라이딩 구조로 접촉되어 승강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80)는 적어도 지지부재(50)와 제2유도부재(62) 사이에 배치되어 제2유도부재(62)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유도부재(61)는 상단 내측으로 좁아지면서 볼록해지는 제3볼록면(603)을 형성하고, 제2유도부재(62)는 하단 외측으로 넓어지면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4오목면(604)으로 제3볼록면(603)에 접촉된다.
제3볼록면(603)의 좁아지는 구조와 제4오목면(604)의 넓어지는 구조는 하나의 탄성부재로 제1, 제2유도부재(61, 62)의 연속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3볼록면(603)과 제4오목면(604)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호 곡면 접촉되고,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제2실링부재(652)를 구비하여, 실링 구조를 형성한다.
상호 곡면 접촉은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제1유도부재(61)의 제3볼록면(603)과 제2유도부재(62)의 제4오목면(604) 사이에 실링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제2실링부재(652)는 제1유도부재(61)의 제3볼록면(603)과 제2유도부재(62)의 제4오목면(604) 사이의 실링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캡부재(70)가 체결부재(40)에 결합할 때, 제1유도부재(61) 및 제2유도부재(62)는 상단으로 캡부재(70)의 내측 결합홈(71)에 실링 결합된다.
한편, 탄성부재(80)는 제1스프링(81)과 제2스프링(82)을 포함한다. 제1스프링(81)은 지지부재(50)에서 제1유도부재(61)에 대응하는 제1지지부(51)와 제1유도부재(61) 사이에 개재되어, 제1유도부재(61)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제2스프링(82)은 지지부재(50)의 제1지지부(51)보다 높게 형성되어 제2유도부재(62)에 대응하는 제2지지부(52)와 제2유도부재(62) 사이에 개재되어, 제2유도부재(62)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제1, 제2스프링(81, 82)은 용기체(2)의 배출구(10)로부터 제1, 제2유도부재(61, 62)를 충분히 인출할 수 있게 한다.
제1스프링(81)은 자체 탄성력으로 연장부재(30)의 제1볼록면(301)과 제1유도부재(61)의 제3오목면(601) 사이의 실링을 구현하고, 제2스프링(82)은 자체 탄성력으로 제1유도부재(61)의 제3볼록면(603)과 제2유도부재(62)의 제4오목면(604) 사이의 실링을 구현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도부는 제1, 제2유도부재보다 더 많은 유도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유도부재에 대응하는 제1, 제2지지부보더 더 많은 지지부 및 제1, 제2스프링보다 더 많은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유도부재, 지지부 및 스프링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유도부의 다단 인출로 인하여 더 길어지고, 동일한 인출 길이에서는 다단 인출이 더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는 유도부(60), 즉 제1, 제2유도부재(61, 62)를 탄성부재(80), 즉 제1, 제2스프링(81,82)의 탄성력 또는 탄성부재(80) 즉 제1, 제2스프링(81,82)의 압축 또는 팽창으로 작동되게 하므로 용기체(2)의 배출구(10)를 개방할 때, 유도부(60), 즉 제1, 제2유도부재(61, 62)가 배출구(10)의 외부로 자동 인출되게 한다.
또한 제1실시예는 체결부재(40)에 대하여 캡부재(70)를 결합 또는 해제하므로 유도부(60), 즉 제1, 제2유도부재(61, 62)의 상단을 밀폐 또는 개방하게 된다. 즉 유도부(60), 즉 제1, 제2유도부재(61, 62)에 연결되는 배출구(10)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캡부재(70)는 체결부재(40)와의 결합 해제를 위하여, 조작고리(72)를 구비하여 해제 조작을 편리하게 하며, 체결부재(40)에 연결부재(73)로 연결되어 복수 회, 개폐시 분실을 방지케 한다.
이하에서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들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스파우트 캡에서 캡부재를 개방하므로 유도부가 용기체의 배출구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스파우트 캡(5)은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지지부재(50)에 대한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 연장부재(230), 체결부재(40), 유도부(260) 및 캡부재(270)를 포함한다.
유도부(260)는 연장부재(230)의 하단 내측에 부착되고 삽입된 탄성부재(280)에 의한 압축 또는 팽창되며 내부에 배출통로(261)를 형성한다. 유도부(260)는 배출통로(261)의 상단을 밀봉하는 밀봉부재(262)를 더 포함한다.
캡부재(270)는 체결부재(40)에 대하여 결합 또는 해제되며, 체결부재(40)에 결합 시 유도부(260)를 압축하고 압축된 상단을 밀폐한다. 밀봉부재(262)가 구비되는 경우, 캡부재(270)는 유도부(260)의 상단과의 밀폐 기능이 낮을 수도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 탄성부재(280)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유도부(260)에 매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탄성부재는 유도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유도부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되어 탄성 작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써, 유도부(260)가 유연성을 가질 때, 탄성부재(280)는 유도부(260)를 팽창시킬 수 있는 충분한 탄성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5: 스파우트 캡 2: 용기체
10: 배출구 20: 걸림단
30, 230: 연장부재 40: 체결부재
50: 지지부재 51: 제1지지부
52: 제2지지부 60, 260: 유도부
61: 제1유도부재 62: 제2유도부재
70, 270: 캡부재 71: 결합홈
80, 280: 탄성부재 81: 제1스프링
82: 제2스프링 261: 배출통로
262: 밀봉부재 301: 제1볼록면
302: 제1오목면 501: 관통구
502: 제2볼록면 601: 제3오목면
603: 제3볼록면 604: 제4오목면
651: 제1실링부재 652: 제2실링부재

Claims (13)

  1. 삭제
  2. 배출구를 형성하는 걸림단의 상단에 일측으로 걸리어 상기 걸림단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상기 걸림단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걸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하단 외측에 결합되고 관통구로 액체를 유통시키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지지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내측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유도부; 및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 또는 해제되며, 결합 시 상기 유도부의 상단을 밀폐하는 캡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심방향 내측을 제1볼록면으로 형성하고 외측을 제1오목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단 내측을 제2볼록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외측의 제1오목면에 결합되는
    스파우트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수용되어 상기 연장부재에서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재 결합시, 하강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면서 측면으로 상기 제1볼록면에 접촉되고,
    상기 캡부재 해제시, 상기 탄성부재의 팽창으로 상승되어 하단 외측의 제3오목면으로 상기 제1볼록면에 면접촉으로 결합되는
    스파우트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오목면과 상기 제1볼록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호 곡면 접촉되고,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제1실링부재를 구비하여, 실링 구조를 형성하는
    스파우트 캡.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캡부재 결합시, 상단으로 상기 캡부재의 내측 결합홈에 실링 결합되는
    스파우트 캡.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유도부의 상기 제1볼록면에서 승강하는 제1유도부재, 및
    상기 제1유도부재의 내면에서 승강하는 제2유도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제2유도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유도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파우트 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부재는
    상단 내측으로 제3볼록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유도부재는
    하단 외측에 형성되는 제4오목면으로 상기 제3볼록면에 접촉되는
    스파우트 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볼록면과 상기 제4오목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호 곡면 접촉되고,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제2실링부재를 구비하여, 실링 구조를 형성하는
    스파우트 캡.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부재 및 상기 제2유도부재는
    상기 캡부재 결합시, 상단으로 상기 캡부재의 내측 결합홈에 실링 결합되는
    스파우트 캡.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유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제1지지부보다 높게 형성된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유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2스프링
    을 포함하는 스파우트 캡.
  11. 삭제
  12. 삭제
  13. 액체를 수용하고 일측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걸림단을 구비하는 용기체; 및
    상기 걸림단에 설치되는 스파우트 캡
    을 포함하며,
    상기 스파우트 캡은
    상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상기 걸림단의 상단에 일측으로 걸리어 상기 걸림단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상기 걸림단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재와 상기 걸림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하단 외측에 결합되고 관통구로 액체를 유통시키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지지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내측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유도부; 및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 또는 해제되며, 결합 시 상기 유도부의 상단을 밀폐하는 캡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의 중심방향 내측을 제1볼록면으로 형성하고 외측을 제1오목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단 내측을 제2볼록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외측의 제1오목면에 결합되는 용기.
KR1020190023366A 2019-02-27 2019-02-27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2054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366A KR102054914B1 (ko) 2019-02-27 2019-02-27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366A KR102054914B1 (ko) 2019-02-27 2019-02-27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914B1 true KR102054914B1 (ko) 2019-12-12

Family

ID=6900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366A KR102054914B1 (ko) 2019-02-27 2019-02-27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9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394B2 (ja) * 1998-11-10 2001-09-10 スケーター株式会社 ペットボトルの飲み口装置
JP3088853U (ja) * 2002-03-26 2002-10-04 ニッスイ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ー付き飲料容器
JP3479057B2 (ja) * 2001-08-08 2003-12-15 スケーター株式会社 飲料容器の飲用補助装置
JP3126205U (ja) * 2006-08-02 2006-10-19 ▲き▼美興業股▲ふん▼有限公司 弾性伸縮飲み口を具えた水筒
KR101335570B1 (ko) * 2012-03-12 2013-12-02 (주)연우 튜브형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394B2 (ja) * 1998-11-10 2001-09-10 スケーター株式会社 ペットボトルの飲み口装置
JP3479057B2 (ja) * 2001-08-08 2003-12-15 スケーター株式会社 飲料容器の飲用補助装置
JP3088853U (ja) * 2002-03-26 2002-10-04 ニッスイ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ー付き飲料容器
JP3126205U (ja) * 2006-08-02 2006-10-19 ▲き▼美興業股▲ふん▼有限公司 弾性伸縮飲み口を具えた水筒
KR101335570B1 (ko) * 2012-03-12 2013-12-02 (주)연우 튜브형 화장품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305B1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EP1350737A1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a cover cap provided with a pump member to pump out air from the container
KR100626174B1 (ko) 액상 화장품용기
KR102194139B1 (ko) 배출 장치
RU2017133550A (ru) Крышка для контейнера
CN105073594A (zh) 真空容器用止回阀及利用其的真空容器盖子
KR102054914B1 (ko) 스파우트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JP6103596B2 (ja) スポイト容器
KR100986313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WO2017111263A1 (ko) 내용물 배출펌프
JP2019510546A (ja) サイドボタンを具備した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US5038817A (en) Narrow accessway liquid sewage pump remotely operable multi-part quick connect/disconnect slide coupling
US1767680A (en) Pressure device in dispensing fluids and semifluids
CN108639548B (zh) 滑轨式负压密封罐盖及滑轨式负压密封罐
US2269625A (en) Pump
KR102249852B1 (ko) 수증기 밀폐용기
CN111720594A (zh) 具有泄压保护功能的单向阀
JP6507150B2 (ja) スポイト容器
US20210235904A1 (en) Push-type travel cup
CN212564563U (zh) 一种具有泄压保护功能的单向阀
JP6225300B1 (ja) 排水栓装置
KR20090113157A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101404081B1 (ko) 세면대
KR102652196B1 (ko) 밀폐용기
US1958273A (en) Pressure device for dispensing fluids, grease,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