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891B1 -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891B1
KR101923891B1 KR1020150171150A KR20150171150A KR101923891B1 KR 101923891 B1 KR101923891 B1 KR 101923891B1 KR 1020150171150 A KR1020150171150 A KR 1020150171150A KR 20150171150 A KR20150171150 A KR 20150171150A KR 101923891 B1 KR101923891 B1 KR 101923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opening
bracket
door latch
ou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114A (ko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1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89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로드의 상단은 아웃핸들과 연결되고, 로드의 하단은 도어래치와 연결되어 상기 아웃핸들의 조작에 의해 로드가 하강하면 로드의 하단이 도어래치를 가압하여 상기 도어래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도어래치의 열림 방지구조에 있어서, 상단은 아웃핸들의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연결되고 하단은 도어래치의 레버로 연결되는 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핸들이 조작에 따라 로드가 하강하여 상기 레버를 누르되, 측면충돌에 의한 아웃핸들의 하강이 발생하면, 아웃핸들 하강에 따른 변위를 흡수하는 관절운동이 로드에서 발생하여, 상기 레버의 눌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충격에 의한 도어의 비정상적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차량 도어의 비정상적인 개방으로 인해, 차량에 탑승해 있던, 탑승자가 차량 밖으로 튕겨 나가져 발생되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상승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Prevention structure for opening of door latch}
본 발명은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의 측면 충돌 발생 시에, 차량 도어의 비정상적인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이 발생되면, 차량 도어 패널의 변형이 발생된다. 이러한 도어 패널의 변형이 발생되면, 아웃 사이드 핸들과 도어 래치간의 거리가 축소됨에 따라 아웃 사이드 핸들에 의한 도어 래치의 열림 작동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측면 충돌에 따른 변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이 발생되면, 도어 패널의 변형됨에 따라 아웃 사이드 핸들(1)이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아웃 사이드 핸들(1)이 하방향 이동이 발생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 사이드 핸들 로드(2)의 눌림 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아웃 사이드 핸들 로드(2)의 눌림 발생에 따라 아웃 사이드 레버(3)의 눌림 작동이 발생되어 래치(4)의 누름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래치(4)의 누름 현상이 발생되면 결국 도어 래치(5)의 해제 작동 시 발생되어 차량 도어의 오픈 작동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충격에 의한 도어의 비정상적인 개방 작동될 뿐만 아니라, 작동이 되면, 차량 탑승자가 차량 밖으로 튕겨져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충격에 의한 도어의 비정상적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차량 탑승자가 차량 밖으로 나가져 발생되는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드의 상단은 아웃핸들과 연결되고, 로드의 하단은 도어래치와 연결되어 상기 아웃핸들의 조작에 의해 로드가 하강하면 로드의 하단이 도어래치를 가압하여 상기 도어래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도어래치의 열림 방지구조에 있어서, 상단은 아웃핸들의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연결되고 하단은 도어래치의 레버로 연결되는 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핸들이 조작에 따라 로드가 하강하여 상기 레버를 누르되, 측면충돌에 의한 아웃핸들의 하강이 발생하면, 아웃핸들 하강에 따른 변위를 흡수하는 관절운동이 로드에서 발생하여, 상기 레버의 눌림이 방지된다.
상기 로드는, 상기 아웃핸들의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연결되되 하단은 제1브라켓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되는 제1로드; 상단은 제1브라켓에 연결되고 하단은 제2브라켓에 연결되되 하단은 제2브라켓에서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되는 제2로드; 및 상단은 제2로드에 연결되고 하단은 도어래치에 연결되는 제3로드; 를 포함하고, 아웃핸들이 조작에 따른 눌림은 제1로드와 제2로드 및 제3로드를 통해 레버로 전달되되, 측면충돌에 의한 아웃핸들의 하강이 발생하면 관성에 의해 제1로드와 제2로드의 회동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은, 제1로드의 회전축을 중앙에 두고 일측에는 상기 제1로드의 회동을 방지하는 제1측벽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1로드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1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은, 제2로드의 회전축을 중앙에 두고 일측에는 상기 제2로드의 회동을 방지하는 제2측벽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2로드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2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부는 실내측을 향하고 제2개구부는 실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에는 탄성력에 의해 제1로드가 제1개구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탄성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에는 탄성력에 의해 제2로드가 제2개구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탄성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일측 끝단이 제1브라켓에 지지되며 타측 끝단은 제1로드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토션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일측 끝단은 제2브라켓에 지지되고 타측 끝단은 제2로드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충격에 의한 도어의 비정상적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차량 도어의 비정상적인 개방으로 인해, 차량에 탑승해 있던, 탑승자가 차량 밖으로 튕겨 나가져 발생되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상승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종래의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에서 각각의 제1로드, 제2로드 제3로드의 구조를 확대한 도면,
도 4 는 도 2에 도시된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에서 제1로드의 정상 시 때의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에서 각각의 제1로드, 제2로드 제3로드의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4 는 도 2에 도시된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에서 제1로드의 정상 시 때의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3)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는, 핸들로드(2)의 상단은 아웃핸들(1)과 연결되고, 핸들로드(2)의 하단은 도어래치(3)와 연결되어, 상기 아웃핸들(1)의 조작에 의해 핸들로드(2)가 하강하면 핸들로드(2)의 하단이 도어래치(3)를 가압하여, 상기 도어래치(3)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래치의 열림 방지구조는, 로드(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드(100)는, 상단이 아웃핸들(1)의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100)는 하단이 상기 도어래치(3)의 레버(101)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100)의 작동 시, 상기 아웃핸들(1)이 조작에 따라 상기 로드(100)가 하강하여, 상기 레버(101)를 누르되, 측면충돌에 의한 아웃핸들(1)의 하강이 발생하면, 아웃핸들(1) 하강에 따른 변위를 흡수하는 관절운동이 로드(100)에서 발생하여, 상기 레버(101)의 눌림이 방지된다. 더불어 상기 관절운동은, 상기 로드(100)가 굴곡 형성되기 때문에, 변위를 흡수하여 관절운동 즉 꺽여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상기 로드(100)가 관절운동 되기 위해, 상기 로드(100)는 제1로드(110)와, 제2로드(120) 및 제3로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로드(110)는 상기 아웃핸들(1)의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연결되되, 하단은 제1브라켓(112)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112)에는, 제1측벽(112a)과, 제1개구부(11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112a)은 제1로드(110)의 회전축을 중앙에 두고, 일측에는 상기 제1로드(110)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112)의 타측에는 상기 제1로드(110)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1개구부(11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부(112b)는 도시된 도 3 및 4와 같이, 실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112)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로드(110)가 제1개구부(112b)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탄성부재(112c)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부재(112c)는 일측 끝단이, 상기 제1브라켓(112)에 지지되며, 타측 끝단은 제1로드(11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토션스프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필요로 하는 구조적 강성을 가지고 탄성력을 주는 탄성부재이면 그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브라켓(122)은, 상기 제2로드(120)의 회전축을 중앙에 두고, 일측에는 상기 제2로드(120)의 회동을 방지하는 제2측벽(12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122)의 타측에는 상기 제2로드(120)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2개구부(122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개구부(122b)는 도시된 3및 4와 같이, 실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122)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로드(120)가 제2개구부(122b)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탄성부재(122c)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122c)는 일측 끝단이 제2브라켓(122)에 지지되고, 타측 끝단은 제2로드(12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토션스프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필요로 하는 구조적 강성을 가지고 탄성력을 주는 탄성부재이면 그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더불어, 도시된 도 4와 같이, 상기 로드(100)가 정상동작 즉 측면충돌이 일어나지 않을 시, 상기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가, 정상일 때, 상기 제1로드(110) 및 제2로드(120)가, 제1개구부(112b) 및 제2개구부(122b)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정상작동 시에, 제1개구부(112b)와 제2개구부(122b)로 상기 로드(100)가 회전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아웃핸들(1)이 조작에 따른 눌림은 상기 제1로드(110)와 제2로드(120) 및 제3로드(130)를 통해 레버(101)로 전달되되, 측면충돌에 의한 아웃핸들(1)의 하강이 발생하면 관성에 의해 제1로드(110)와 제2로드(120)의 회동이 이뤄질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충격에 의한 도어의 비정상적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차량 도어의 비정상적인 개방으로 인해, 차량에 탑승해 있던, 탑승자가 차량 밖으로 튕겨 나가져 발생되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상승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아웃핸들
2 : 핸들로드
3 : 도어래치
100 : 로드
101 : 레버
110 : 제1로드
112 : 제1브라켓
112a : 제1측벽
112b : 제1개구부
112c : 제1탄성부재
120 : 제2로드
122 : 제2브라켓
122a : 제2측벽
122b : 제2개구부
122c : 제2탄성부재
130 : 제3로드

Claims (8)

  1. 로드 상단은 아웃핸들(1)의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연결되고 하단은 도어래치(3)의 레버(101)로 연결되는 로드(100); 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핸들(1)이 조작에 따라 로드(100)가 하강하여 상기 레버(101)를 누르되, 측면충돌에 의한 아웃핸들(1)의 하강이 발생하면, 아웃핸들 하강에 따른 변위를 흡수하는 관절운동이 로드(100)에서 발생하여, 상기 레버(101)의 눌림이 방지되도록 한 도어래치의 열림 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드(100)는,
    상기 아웃핸들(1)의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연결되되, 하단은 제1브라켓(112)에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되는 제1로드(110)와,
    상단은 제1브라켓(112)에 연결되고 하단은 제2브라켓(122)에 연결되되 하단은 제2브라켓(122)에서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되는 제2로드(120)와,
    상단은 제2로드(120)에 연결되고 하단은 도어래치(3)에 연결되는 제3로드(130)를 포함하고,
    아웃핸들(1)이 조작에 따른 눌림은 제1로드(110)와 제2로드(120) 및 제3로드(130)를 통해 레버(101)로 전달되되, 측면충돌에 의한 아웃핸들(1)의 하강이 발생하면 관성에 의해 제1로드(110)와 제2로드(120)의 회동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112)은,
    상기 제1로드(110)의 회전축을 중앙에 두고, 일측에는 상기 제1로드(110)의 회동을 방지하는 제1측벽(112a)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1로드(110)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1개구부(112b)가 형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122)은,
    상기 제2로드(120)의 회전축을 중앙에 두고, 일측에는 상기 제2로드(120)의 회동을 방지하는 제2측벽(122a)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2로드(120)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2개구부(12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112b)는,
    실내측을 향하고 상기 제2개구부(122b)는 실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112)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로드(110)가 제1개구부(112b)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탄성부재(112c)가 장착되고,
    상기 제2브라켓(122)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로드(120)가 제2개구부(122b)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탄성부재(122c)가 장착된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112c)는,
    일측 끝단이 상기 제1브라켓(112)에 지지되며, 타측 끝단은 제1로드(11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토션스프링이고,
    상기 제2탄성부재(122c)는,
    일측 끝단은 제2브라켓(122)에 지지되고 타측 끝단은 제2로드(12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
KR1020150171150A 2015-12-03 2015-12-03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 KR101923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150A KR101923891B1 (ko) 2015-12-03 2015-12-03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150A KR101923891B1 (ko) 2015-12-03 2015-12-03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114A KR20170065114A (ko) 2017-06-13
KR101923891B1 true KR101923891B1 (ko) 2018-11-29

Family

ID=5921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150A KR101923891B1 (ko) 2015-12-03 2015-12-03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5649B (zh) * 2017-11-10 2021-03-09 东风汽车有限公司 侧门外拉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114A (ko)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399B2 (en) Device for prevention of door opening during roll-over
KR101050610B1 (ko)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
JP2016175633A (ja) 自動車用パッシブフードヒンジ装置
JP2007030693A (ja) 自動車のフード構造
KR101923891B1 (ko) 도어래치의 열림방지 구조
KR101610948B1 (ko) 지지형 후드 힌지 상승장치
KR20160020857A (ko) 차량용 수납함
JP2006096282A (ja) 自動車のフードストッパ構造
KR20130051828A (ko)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
KR100380374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KR100380366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KR100380363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KR100376469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84226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KR100381087B1 (ko) 자동차 후드의 충격 흡수장치
KR100376465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JP6903461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
KR100376450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76466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98440B1 (ko) 자동차 후드의 충격 완화장치
JP6733589B2 (ja) 車両のフロントバンパ
KR100398441B1 (ko) 자동차 후드의 충격 완화장치
KR100380375B1 (ko) 자동차 후드로크의 충격 흡수장치
KR100410856B1 (ko) 자동차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20140076402A (ko) 댐핑하중 조절형 미케니컬 액티브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