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449B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3449B1 KR101923449B1 KR1020120077174A KR20120077174A KR101923449B1 KR 101923449 B1 KR101923449 B1 KR 101923449B1 KR 1020120077174 A KR1020120077174 A KR 1020120077174A KR 20120077174 A KR20120077174 A KR 20120077174A KR 101923449 B1 KR101923449 B1 KR 1019234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filter
- unit
- air
- humidif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마련되는 케이스, 물이 수용되는 물 저장부, 물 저장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유닛 및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살균하는 가열 유닛을 포함하며,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을 끊이지 않고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가열 살균함으로써, 물에 증식되어 있는 유해살균 기타 미생물을 사멸함과 동시에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가습할 수 있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건조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한 후, 다시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에 습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습기는 가습 방식에 따라 크게 초음파 방식과 자연기화 방식으로 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여기서, 최근에 초음파 방식의 가습기에 이용되는 세척제에 대한 유행성이 밝혀짐에 따라, 물을 흡수한 가습 필터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물의 자연증발을 유도하여 공기를 가습하는 자연기화 방식의 가습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자연기화 방식의 가습기의 경우에는 자연증발에 이용되기 위한 물이 필요하므로, 가습기의 내부에 물 저장부를 마련하여 이에 물을 수용한다. 그런데,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에 유해세균 기타 미생물이 증식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일으키거나 가습 필터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자연기화 방식의 가습기는 가습 필터와 가습 필터가 설치되는 케이스 사이의 갭으로 인한 누설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습량이 감소되고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살균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가습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누설 유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가습기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가습 필터와 물을 분리시켜 유해세균 기타 미생물이 증식된 물에 의하여 가습 필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마련되는 케이스, 물이 수용되는 물 저장부, 물 저장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유닛 및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살균하는 가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마련되는 케이스, 물이 수용되는 물 저장부,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됨에 따라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에 일부분이 잠기거나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의 외부로 전체가 노출되는 필터 유닛 및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되, 필터 유닛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에 의하면,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을 끊이지 않고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가열 살균함으로써, 물에 증식되어 있는 유해살균 기타 미생물을 사멸함과 동시에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습 필터의 전후에 전방 누설방지판과 후방 누설방지판을 설치함으로써 누설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바, 가습량을 증가시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습 필터를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습기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습 필터와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을 서로 분리할 수 있어 물에 의해 가습 필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습기 내부의 공기 순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있어서 가열 유닛이 유도 가열 금속과 유도 가열부로 구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누설방지판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누설방지판이 설치된 경우의 공기 순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필터 유닛의 일부가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에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필터 유닛 전체가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습기 내부의 공기 순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있어서 가열 유닛이 유도 가열 금속과 유도 가열부로 구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누설방지판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누설방지판이 설치된 경우의 공기 순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필터 유닛의 일부가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에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필터 유닛 전체가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110)가 마련되는 케이스(100), 물이 수용되는 물 저장부(200), 물 저장부(2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유닛(400) 및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살균하는 가열 유닛(500)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습기 내부의 공기 순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구성 및 공기 순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100)는 가습기(10)의 외관을 형성하며, 공기 유입구(110), 공기 토출구(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1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전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이를 통해 가습기(10)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공기 유입구(110)에는 공기청정 필터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청정 필터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메쉬 형태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상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이를 통해 가습된 공기가 가습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 저장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후술할 가습 유닛(400)에 공급되기 위한 물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물 저장부(200)는 그 일측에 설치된 워터 탱크(30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이 부족한 경우에는 워터 탱크(300)에 물을 보충함으로써, 물 저장부(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가습 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저장부(200)의 상측에 설치되며, 물 저장부(2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공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습유닛(400)은 다음과 같이 필터 프레임(410), 안내부(미도시), 가습 필터(430), 수차(4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 프레임(4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일측이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가습 유닛(4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여기서, 필터 프레임(410)은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가습 필터(4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프레임(410)의 중앙부에 마련되며,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습 필터(430)는 fabric 기타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수차(4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프레임(410)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며,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을 가습 필터(430)에 공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차(450)는 물을 퍼 올릴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바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은 필터 프레임(410)이 회전됨에 따라 수차(450)에 의해 퍼 올려지게 된다.
여기서, 수차(450)에 의해 퍼 올려진 물을 가습 필터(430)로 안내하기 위해, 필터 프레임(410)에는 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는 각각의 수차(450)에 대응되도록 필터 프레임(410)의 외주면이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차(450)에 의해 퍼 올려진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은 안내부를 통해 가습 필터(430)로 안내되어 가습 필터(430)에 흡수된다. 가습 필터(430)에 의해 흡수된 물은 공기 흡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가습 필터(430)를 통과함에 따라 증발되어 유입된 공기를 가습한다.
즉,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는 필터에 흡수된 물을 자연증발시켜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자연기화 방식을 가진다. 가습 필터(430)를 통한 가습작용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할 스크롤부(600) 및 송풍팬(610)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가습 유닛(400)은 회전 가능한 가습 Disc, 회전하는 원통형 가습 Filter, 2축으로 회전하는 Fabric 재질의 가습 Filter, 고정된 블록 형태의 가습 Filter 등으로 가습 유닛(400)을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습 유닛(400)이 필터 프레임(410), 가습 필터(430) 및 수차(450)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습 유닛(400)은 자연기화 방식을 가지는바,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에 유해 세균 기타 미생물이 증식되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각종 질병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는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살균하는 가열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유닛(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히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히팅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저장부(200)의 바닥면에 물 저장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발열되는 히터(51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히터(510)의 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저장부(20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며, 노출된 히터(510)의 단부는 케이스(100) 내부의 바닥면에 마련된 전기 소켓(520)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히터(510)는 전기 소켓(5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열 유닛(500)을 이용하여 물 저장부(200)를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살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가열 유닛(500)은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되, 액체 상태가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가열할 수 있다. 특히, 가열 유닛(500)은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을 그 온도가 60℃ 이상 95℃이하로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가열할 수 있다.
물의 액체 상태에서의 비열(Cp)은 4.18 J/g ℃ 으로서, 물 1g을 20℃의 물에서 100℃의 물로 변화시키는데에는 총 334.4J의 열량이 필요하다. 또한, 물의 증발열(hfg)은 2.087 J/g 으로서, 물 1g을 20℃의 물에서 100℃의 증기로 변화시키는데에는 총 2421.6 J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100℃로 끊여서 살균하는 경우, 20℃ 물을 100℃까지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열량(333.4 J)보다 100℃ 물을 증기로 기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2087.2 J)이 6배 이상 큼을 알 수 있다. 즉, 물을 100℃ 이상 끊이는 경우에는 전력 소모가 크게 늘어나게 된다.
또한, 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세균 기타 미생물은 대부분 물의 온도가 60℃ 이상 95℃이하인 경우에 사멸되거나 증식이 억제된다. 즉, 물을 끊이지 않고, 물의 온도를 60℃ 이상 95℃이하의 범위 내에서 소정 시간 유지시켜 줌으로써 대부분의 유해세균 기타 미생물을 사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열 유닛(500)을 통해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되, 물의 온도가 60℃ 이상 95℃이하로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소정 시간 가열함으로써, 물에 포함된 세균 기타 미생물을 사멸시킴과 동시에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는 외부 공기를 케이스(100)의 내부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하여 스크롤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롤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 유닛(400)의 후방에 설치되되, 개구된 상부가 케이스(100)의 공기 토출구(130)와 연통 되도록 설치되며, 송풍팬(610)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610)은 스크롤부(6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송풍팬(610)으로 사용되는 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스크롤부(600), 송풍팬(610), 그리고 상술한 가습 유닛(400)을 통한 가습 작용 및 공기 순환 구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습 유닛(400)의 가습 필터(430)는 필터 프레임(410)이 회전됨에 따라 물을 공급받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가습 필터(430)가 물을 흡수한 후에는 송풍팬(610)이 가동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흡입구(110)를 통해 가습기(10)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다.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가습 필터(430)를 통과하면서 가습 필터(430)에 흡수된 물을 증발시켜 가습된다. 또한, 가습된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610)에 의해 스크롤부(600)로 유입된다.
스크롤부(600)로 유입된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610)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어 스크롤부(600)의 내주면을 따라 스크롤부(600)의 개구된 상면으로 안내된다.
스크롤부(600)의 개구된 상면으로 안내된 공기는 스크롤부(600)와 연통된 공기 토출구(130)를 통해 가습기(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실내 공간에 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유닛이 유도 가열 금속과 유도 가열부로 구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가열 유닛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히팅부를 전기 소켓(520)으로부터 전력을 직접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는 히터(510)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히팅부는 같이 물 저장부(200)의 바닥면에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유도 가열 금속판(5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가열 유닛(500)은 케이스(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자기장을 발생하여 유도 가열 금속판(530)을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 가열 금속판(5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의 형상을 가지며, SUS 기타 유도 가열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열부(5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유도 가열 금속판(53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coil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팅부를 유도 가열 금속판(530)으로 구성함으로써, 유도 가열 금속판(530)에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유도 가열부(540)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물 저장부(20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물과 접촉되는 히팅부에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합선 기타 전기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있어서 전방 및 후방 누설방지판을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누설방지판이 설치된 경우의 공기 순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전방 및 후방 누설방지판을 통한 누설 유동의 방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가습 유닛(400)을 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하는 경우에는 가습 유닛(400)과 케이스(100)의 내측면이 접촉되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 프레임(410) 및 수차(450)와 케이스(100) 내측면 사이에 소정의 갭이 마련한다.
이로 인해,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가습 필터(430)를 통과하지 않고 필터 프레임(410) 및 수차(450)와 케이스(100) 내측에 사이에 마련된 소정의 갭을 통과하게 된다. 즉, 가습 필터(430)를 통과하지 않는 누설 유동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처럼 누설 유동이 발생함에 따라, 가습 필터(430)의 가습량이 감소되며, 좁은 갭 사이를 공기가 통과됨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고, 전체 통과유량을 증가시켜 소비전력이 증가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는 전방 누설방지판(150) 및 후방 누설방지판(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누설방지판(150)은 가습 유닛(400)의 전방에 배치되며, 공기 흡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습 유닛(400)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누설방지판(170)은 가습 유닛(400)의 후방에 배치되며, 가습 유닛(400)을 통과한 공기를 송풍팬(610)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방 누설방지판(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공기 흡입구(110)와 가습 유닛(400) 사이에 배치된다. 특히, 전방 누설방지판(150)은 케이스(100)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갭이 발생하지 않도록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가습 유닛(400)과 대응되도록 그 중심부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후방 누설방지판(1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 유닛(400)과 스크롤부(600) 사이에 배치된다. 특히, 후방 누설방지판(170)은 케이스(100)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갭이 발생하지 않도록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스크롤부(600)와 대응되도록 그 중심부가 개구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량의 공기만이 필터 프레임(410) 및 수차(450)와 케이스(100)의 내측면 사이에 마련된 소정의 갭을 통과하게 되는바, 누설 유동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가습 필터(4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켜 가습량을 증가시키고, 누설 유동의 저감에 의해 소음을 줄이고, 전체 통과 유량을 감소시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가습기(10)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2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20)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1110)가 마련되는 케이스(1100), 물이 수용되는 물 저장부(1200), 케이스(1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됨에 따라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에 일부분이 잠기거나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의 외부로 전체가 노출되는 필터 유닛(1300) 및 케이스(1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필터 유닛(130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10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팬(1400)을 포함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예에 따른 가습기(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술한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케이스(1100)는 가습기(20)의 외관을 형성하며, 공기 흡입구(1110), 공기 토출구(1130), 격벽(1150), 안내부(1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의 길이가 길고, 전후의 폭이 좁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20)는 벽걸이용 가습기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용도의 가습기로도 활용될 수도 있다.
공기 흡입구(1110)는 케이스(1100)의 하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이를 통해 가습기(20)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1130)는 케이스(1100)의 상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후술할 송풍팬(1400)을 통과한 공기가 가습기(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격벽(1150)은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형성되어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한다. 격벽(115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은 격벽(1150)과 케이스(1100)의 후면벽 사이에 마련되는 안내부(1170)에 의해 연통된다.
물 저장부(12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0) 내부공간의 하부에에 설치되며, 후술할 필터 유닛(1300)에 공급되기 위한 물이 수용될 수 있다.
필터 유닛(1300)은 케이스(1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됨에 따라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에 일부분이 잠기거나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의 외부로 전체가 노출된다.
필터 유닛(130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저장부(1200)의 상측에 설치되되, 그 하단부에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필터 유닛(1300)으로는 다양한 필터는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필터 유닛(1300)은 가습 필터 또는 공기청정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습 필터는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을 공급받아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필터로서, 주로 실내가 건조한 겨울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 필터는 유입된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청정 필터로서, 주로 여름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터 유닛(1300)이 가습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필터 유닛(1300)이 가습 필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스폰지와 유사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습기(2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까지 필터 유닛(1300)이 항상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에 잠겨있게 되면, 물에서 증식하는 유해세균 기타 미생물에 의하여 필터 유닛(1300)이 오염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터 유닛(1300)은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 유닛(1300)의 중심부는 케이스(1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모터(미도시)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에 습기를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유닛(1300)을 그 하단부가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 습기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유닛(1300) 전체가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필터 유닛(1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실내에 습기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까지 필터 유닛(1300)이 물에 잠김에 따라 필터 유닛(130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필터 유닛(1300)은 그 일측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 돌기(1310)를 포함하고, 케이스(1100)는 그 내부에 형성되되, 걸림 돌기(1310)가 걸리게 형성되어 필터 유닛(1300)의 회전 각을 제한하는 스토퍼(1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필터 유닛(1300)의 상면에 걸림 돌기(1310)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격벽(1150)의 하면에 스토퍼(1152)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1300)의 회전 시에 걸림 돌기(1310) 및 스토퍼(1152)에 의하여 필터 유닛(1300)의 회전 각이 제한될 수 있다.
송풍팬(1400)은 케이스(1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필터 유닛(130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10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송풍팬(140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며, 공기 흡입구(1110)를 통해 가습기(20))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100)의 내부로 강제로 순환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에 습기를 공급하고자 경우에는 송풍팬(1400)을 가동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1110)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10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유입된 공기는 필터 유닛(1300)을 통과하게 되며, 필터 유닛(1300)에 흡수된 물을 증발시켜 가습된다.
가습된 공기는 안내부(1170)를 통해 케이스(1100)의 상부 공간 쪽으로 유입되며, 송풍팬(1400)을 거쳐 공기 토출구(113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그 결과, 실내 공간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 습기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풍팬(1400)의 작동이 정지되며, 송풍팬(1400)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필터 유닛(1300)이 회전되어 필터 유닛(130) 전체가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필터 유닛(13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송풍팬(1400)으로 사용되는 팬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반경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반경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이 사용될 수 있다. 송풍팬(1400)을 크로스 플로우 팬으로 구성함으로써 가습기(20)의 전후 폭을 더욱 줄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가습기(20)를 벽결이용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 저장부(1200)에는 물이 수용되는바, 물에 유해세균 기타 미생물이 증식하여 질병의 요인에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20)는 케이스(1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살균하는 가열 유닛(1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유닛(15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저장부(1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력을 직접적으로 공급받아 발열되는 히터 또는 유도 가열되는 유도 가열 금속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열 유닛(1500)을 통해 물을 살균하는 시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않으나, 예를 들어 필터 유닛(1400) 전체가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즉, 실내에 습기가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 물을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물을 살균하는 경우에 물을 끊여서 살균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물을 그 온도가 60℃ 이상 95℃ 이하로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소정 시간동안 가열하여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물 저장부(1200)에 수용된 물에 포함된 대부분의 유해세균 기타 미생물을 사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끊여서 살균하는 경우에 비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가습기(10, 2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가습기 : 10, 20 케이스 : 100, 1100
공기 유입구 : 110, 1110 공기 토출구 : 130, 1130
전방 누설방지판 : 150 후방 누설방지판 : 170
물 저장부 : 120, 1120 가습 유닛 : 400
필터 프레임 : 410 가습 필터 : 430
수차 : 450 가열 유닛 : 500, 1500
유도 가열 금속판 : 530 유도 가열부 : 540
송풍팬 : 610, 1400
공기 유입구 : 110, 1110 공기 토출구 : 130, 1130
전방 누설방지판 : 150 후방 누설방지판 : 170
물 저장부 : 120, 1120 가습 유닛 : 400
필터 프레임 : 410 가습 필터 : 430
수차 : 450 가열 유닛 : 500, 1500
유도 가열 금속판 : 530 유도 가열부 : 540
송풍팬 : 610, 1400
Claims (21)
-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내부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물이 수용되는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 유닛;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프레임과, 상기 필터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물 저장부에서 가열된 물을 흡수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필터를 포함하는 가습 유닛;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 필터에 흡수된 물이 증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며, 상기 가습 필터에 의해 가습된 공기를 원주면을 통해 상기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공기 토출구와 연통하는 개방면을 구비한 스크롤부; 및
상기 가습 필터와 상기 스크롤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습 필터 및 상기 송풍팬과 마주보는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가습 필터에 의해 가습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으로 안내하는 후방 누설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 유닛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되, 액체 상태가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을 그 온도가 60℃ 이상 95℃이하로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습 필터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가습 유닛은,
상기 필터 프레임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며 상기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가습 필터에 공급하는 복수의 수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은,
그 일측이 상기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차는 상기 필터 프레임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을 퍼 올려 상기 가습 필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필터 프레임의 외주면이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차에 의해 퍼 올려진 물을 상기 가습 필터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닛은,
상기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유도 가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며, 자기장을 발생하여 상기 유도 가열 금속판을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가습 유닛으로 안내하는 전방 누설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7174A KR101923449B1 (ko) | 2012-07-16 | 2012-07-16 | 가습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7174A KR101923449B1 (ko) | 2012-07-16 | 2012-07-16 | 가습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0650A KR20140010650A (ko) | 2014-01-27 |
KR101923449B1 true KR101923449B1 (ko) | 2018-11-29 |
Family
ID=5014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7174A KR101923449B1 (ko) | 2012-07-16 | 2012-07-16 | 가습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344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6571B1 (ko) * | 2014-07-03 | 2021-06-21 | 코웨이 주식회사 | 가습장치 |
KR102407479B1 (ko) | 2015-04-16 | 2022-06-14 | 코웨이 주식회사 | 가습기 |
KR102507465B1 (ko) | 2015-10-08 | 2023-03-09 | 코웨이 주식회사 | 기화식 가습기 |
BR112018012463A2 (pt) * | 2015-12-17 | 2018-12-18 | Aldo Adolfo Mizrahi Aksiyote | sistema e dispositivo de alta eficiência em transferência de massa |
KR101983379B1 (ko) * | 2017-09-05 | 2019-09-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20220162549A (ko) | 2021-06-01 | 2022-12-08 | 코웨이 주식회사 | 가습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74756A (ja) * | 1999-03-18 | 2000-10-06 | Aiwa Co Ltd | 加湿器 |
JP2003159585A (ja) * | 2001-11-28 | 2003-06-03 | Matsukawa Kagaku:Kk | 水処理装置 |
JP2003294277A (ja) * | 2002-04-01 | 2003-10-15 |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 加湿器 |
JP3776424B2 (ja) * | 2003-10-23 | 2006-05-17 | 株式会社コロナ | 加湿器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8854A (ko) * | 2007-09-17 | 2009-03-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 장치 |
KR101594340B1 (ko) * | 2009-06-30 | 2016-02-16 | 코웨이 주식회사 | 가습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
-
2012
- 2012-07-16 KR KR1020120077174A patent/KR1019234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74756A (ja) * | 1999-03-18 | 2000-10-06 | Aiwa Co Ltd | 加湿器 |
JP2003159585A (ja) * | 2001-11-28 | 2003-06-03 | Matsukawa Kagaku:Kk | 水処理装置 |
JP2003294277A (ja) * | 2002-04-01 | 2003-10-15 |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 加湿器 |
JP3776424B2 (ja) * | 2003-10-23 | 2006-05-17 | 株式会社コロナ | 加湿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0650A (ko) | 2014-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3449B1 (ko) | 가습기 | |
TW201247253A (en) | Humidifier with ultraviolet disinfection | |
JP3920050B2 (ja) | 加湿装置 | |
KR20170042440A (ko) | 가습기 | |
JP2012032058A (ja) | 加湿装置 | |
KR20140001621A (ko) |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순환기 | |
KR102092223B1 (ko) |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 |
JP2002327940A (ja) | 空気調和機 | |
CN206514391U (zh) | 除湿加湿净化杀菌一体机 | |
JP4737330B2 (ja) | 液処理用放電ユニット、調湿装置、及び給湯器 | |
JP2013155995A (ja) | 加湿装置 | |
KR101336896B1 (ko) | 기화식 가습기 | |
JP2008116203A (ja) | 空気調和機 | |
KR101346249B1 (ko) | 증발식 가습기 | |
JP3837651B2 (ja) | 気化式加湿装置 | |
JP2012037170A (ja) | 加湿機能付脱臭装置 | |
JP2008025898A (ja) |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 |
JP2022103054A (ja) | 衣類処理装置 | |
JP5812080B2 (ja) | 加湿装置 | |
KR20110026614A (ko) | 공기청정 가습기 | |
JP2004233022A (ja) | 気化式加湿機 | |
KR20130066316A (ko) |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 |
US10625040B2 (en) | Humidifier for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 | |
KR101051492B1 (ko) | 온수보일러의 열을 이용한 가습장치 | |
KR101336895B1 (ko) | 기화식 가습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