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346B1 - 압출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압출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346B1
KR101923346B1 KR1020180072043A KR20180072043A KR101923346B1 KR 101923346 B1 KR101923346 B1 KR 101923346B1 KR 1020180072043 A KR1020180072043 A KR 1020180072043A KR 20180072043 A KR20180072043 A KR 20180072043A KR 101923346 B1 KR101923346 B1 KR 101923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base material
mold
cylindrical bas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훈섭
Original Assignee
조훈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훈섭 filed Critical 조훈섭
Priority to KR102018007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extruding metal
    • B21C23/21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32Lubrication of metal being extruded or of dies, or the like, e.g. physical state of lubricant, location where lubricant is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3/00Feeding extrusion presses with metal to be extruded ; Loading the dummy 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장치는, 작업공간 내에 형성되어,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원통형 모재를 수용공간과 나란하게 배치하는 배치부, 상기 배치부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가 상기 수용공간을 지나 상기 금형을 통과하도록 하는 압출부 및 상기 원통형 모재의 상기 금형으로의 이동 경로인 수용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의 상기 금형으로의 평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출 성형장치{Extrusion 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압출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원통형 모재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 압출 성형이란, 단면이 균일한 긴 봉이나 관 등을 제조하는 금속가공법의 하나로, 영국의 J 브라마가 1797년에 납을 녹여 펌프로 밀어내어 연관(鉛管)을 만든 것이 그 시초이다.
크게 정압출법(正押出法)과 역압출법으로 분류되는데 전자는 압출되는 금속의 방향이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는 방향과 같은 경우이고, 후자는 이 방향이 반대가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재(素材)를 용기(容器)에 넣고 다이의 구멍으로부터 밀어내어 단면적이 소재보다도 작고 일정한 긴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또한, 고온하에서 하는 것을 열간(熱間)압출가공이라 하고, 실온(室溫)에서 하는 것을 냉간(冷間)압출가공이라고 한다.
압출 장치는, 원재료에 고온 고압을 가하여 특정 모양의 압출 금형을 강제로 통과하도록 하여 원하는 단면의 모양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625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27528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원통형 모재를 압출 성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장치는,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원통형 모재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 성형시스템 - 상기 가열장치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원통형 모재를 상기 프레임부가 제공하는 작업공간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원통형 모재를 가압하는 압출성형장치,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공간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압출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압출성형장치에 의해 가압된 상기 원통형 모재의 구경이 축소되도록 하는 금형 및 상기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에 맞추어 금형을 교체하는 금형교체장치를 구비함 - 에 이용되는 압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간 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를 상기 수용공간과 나란하게 배치하는 배치부, 상기 배치부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가 상기 수용공간을 지나 상기 금형을 통과하도록 하는 압출부 및 상기 원통형 모재의 상기 금형으로의 이동 경로인 수용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의 상기 금형으로의 평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장치의 상기 배치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된 채, 회동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안착부가 상기 프레임부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제3 위치에서, 상기 안착부가 상기 수용공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장치의 상기 안착부로의 상기 원통형 모재의 안착 전에, 상기 제3 위치의 상기 안착부 상에 가열된 상기 원통형 모재와 상기 압출부가 용착(鎔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착방지물을 안착시키는 용착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용착방지부는, 상기 용착방지물이 수용된 방지물수용부 및 상기 방지물수용부로부터 상기 작업공간까지 형성된 채, 상기 용착방지물을 이송하는 방지물이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장치의 상기 안착부는, 측면이 개구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개구된 측면이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원통형 모재를 향하게 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원통형 모재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개구된 측면이 상측을 향하게 되고, 반원통 형상이 상기 원통형 모재의 측면 및 바닥면을 포위하게 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의 상기 안착부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장치의 상기 압출부는, 상기 공간제공부와 멀어지는 제3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위치이동부의 상기 공간제공부와의 대향면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종단면적의 크기와 같거나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장치의 상기 배치부는,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와 상기 공간제공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4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배치부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가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 상기 금형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장치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압출부로부터 상기 공간제공부를 향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안착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제1 안착부를 회동시키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제2 안착부를 회동시키는 제2 회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위치이동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안착부가 상기 제2 안착부보다 먼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장치의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삽입부에 의한 상기 원통형 모재의 유입 시, 상기 금형과 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압출공간이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삽입부에 의한 상기 원통형 모재의 유입이 완료되면, 상기 금형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용착방지물은, 상기 삽입부와 상기 안착부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삽입부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원통형 모재에 전달하고, 상기 원통형 모재와 접촉되면, 상기 원통형 모재와 용착되며, 상기 공간제공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제공부가 상기 금형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공간제공부와 상기 금형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의 끝단에 용착된 상기 용착방지물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지물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장치는 상기 공간제공부에 연결된 채, 상기 공간제공부가 상기 금형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공간제공부의 외측에서 상기 공간제공부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간제공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채, 원형평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공간제공부의 굴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공기를 분사하는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는 평행부, 상기 평행부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공간제공부의 굴곡면으로부터 원형평면을 향해 연장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공기펌프로부터 제공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장치의 상기 절곡부는, 상기 평행부가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평행부와 연동되어 상기 분사부가 상기 수용공간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원통형 모재를 압출 성형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시스템의 이송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장치의 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장치의 압출부 및 공간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장치의 공기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7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압출 성형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시스템의 이송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압출 성형시스템은, 압출 성형장치 및 금형교체장치를 포함하므로, 상기 압출 성형장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고, 상기 금형교체장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15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셩형시스템은, 가열장치(Q)에 의해 가열된 금속재료를 압연하여, 제조된 원통형 모재(M)를 제조하고자 하는 가공 구경으로 압출하기 위한 압출 성형시스템(1)이다.
상기 압출 성형시스템(1)은, 프레임부(10), 이송유닛(20), 압출성형장치(30), 금형(40) 및 금형교체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는, 상기 가열장치(Q)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선반 형태로 형성된 채, 상기 압출성형장치(30), 금형(40) 및 금형교체장치(5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가열장치(Q)에 의해 가열된 원통형 모재(M)를 상기 프레임부(10)가 제공하는 작업공간(T, 도 6 참조)으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공간(T)이란,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압출성형장치(30) 및 금형(40)에 의해 가공되기 위해, 이동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상기 압출성형장치(30)와 인접한 위치의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유닛(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제공한다.
상기 금형(40)은, 상기 프레임부(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공간(S)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압출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압출성형장치(30)에 의해 가압된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구경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금형교체장치(50)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가공 구경에 맞추어 금형(40)을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가열장치(Q)의 토출구(Q1)로부터 토출된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상기 가열장치(Q)로부터 상기 압출성형장치(30)를 향한 제1 방향(D1)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21) 및 상기 제1 이송부(21)에 의해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상기 작업공간(T)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21)는,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회전롤러를 구비한 제1-1 이송부(211) 및 상기 제1-1 이송부(211)를 따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한 제1 위치(도 2 참조)에서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한 제2 위치(도 3 참조)로 회동되는 제1-2 이송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22)는, 상기 제1-2 이송부(212)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2 이송부(212)가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2 이송부(212)와 나란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2 이송부(212)로부터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금형교체장치(50)는, 상기 제1-2 이송부(212)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1-2 이송부(212) 상에 안착된 상기 원통형 모재(M)를 가압하여, 상기 원?형 모재가 상기 제1-2 이송부(212)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22)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가압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가압부(60)에 의해 가압력은, 상기 제2 방향(D2)이다.
또한, 상기 제2 이송부(22)는, 상기 제1-2 이송부(212)로부터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위치 이동되어 안착되면, 상기 제1-2 이송부(212)의 배치 높이와 동일한 제1 높이에서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하강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압출성형장치(30)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제2 이송부(22)를 구성하는 복수의 회전롤러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22)가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2 높이로 하강하며, 상기 제2 이송부(22) 상에 안착된 상기 원통형 모재(M)와 접촉되는 접촉경사부(24, 도 5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경사부(24)는, 상기 제2 이송부(22)로부터 멀어지는 제3 방향(D3, 도 6 참조)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이송부(22)의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2 높이로의 하강 중에 상기 원통형 모재(M)와 접촉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자중에 의해 상기 제3 방향(D3)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작업공간(T)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배치부(31), 압출부(33) 및 공간제공부(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치부(31)는, 상기 작업공간(T) 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상기 수용공간(S, 도 9 참조)과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압출부(33)는, 상기 배치부(31)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M)를 가압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수용공간(S)을 지나 상기 금형(40)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제공부(35, 도 9 참조)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상기 금형(40)으로의 이동 경로인 수용공간(S)을 제공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상기 금형(40)으로의 평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상기 안착부(312)로의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안착 전에, 상기 제3 위치의 상기 안착부(312) 상에 배치된 가열된 상기 원통형 모재(M)와 상기 압출부(33)가 용착(鎔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착방지물(P, 도 6 참조)을 안착시키는 용착방지부(37, 도 6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용착방지부(37)는, 상기 용착방지물(P)이 수용된 방지물수용부(371) 및 상기 방지물수용부(371)로부터 상기 작업공간(T)까지 형성된 채, 상기 용착방지물(P)을 이송하는 방지물이송부(3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출성형장치(30)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금형교체장치(50)는, 가이드부(51, 도 10 참조), 금형이동부(53, 도 10 참조), 입력신호감지부(55, 도 23 참조) 및 제어부(57, 도 23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1)는, 상기 금형(40)이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부(10)의 제1 폭방향(W1, 도 15 참조) 또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제2 폭방향(W2, 도 17 참조)으로의 상기 금형(40)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금형이동부(53)는, 상기 금형(40)을 상기 제1 폭방향(W1) 또는 상기 제2 폭방향(W2)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의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금형(40)은, 상기 프레임부(10)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금형부(41, 도 15 참조), 제2 금형부(42, 도 15 참조) 및 제3 금형부(43, 도 15 참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금형(40)에 의해 압출되는 가공 구경은, 상기 제1 금형부(41), 상기 제2 금형부(42) 및 상기 제3 금형부(43) 각각에 장착되는 구경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구경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제1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1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1 구경부(41a) 및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제2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2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2 구경부(42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S)과 상기 제1 압출공간 또는 상기 수용공간(S)과 상기 제2 압출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금형교체장치(50)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압출성형장치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장치의 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장치의 압출부 및 공간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장치의 공기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장치(30)는, 상술한 압출 성형시스템(1)에 이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배치부(31), 압출부(33) 및 공간제공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치부(31)는, 상기 작업공간(T) 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상기 수용공간(S)과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치부(31)는, 상기 프레임부(10)에 장착된 채, 회동되는 회동부(311) 및 상기 회동부(311)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안착되는 안착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311)는, 상기 안착부(312)가 상기 프레임부(10)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제3 위치(도 7 참조)에서, 상기 안착부(312)가 상기 수용공간(S)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4 위치(도 8 ?조)로 위치 이동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2)는, 측면이 개구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회동부(311)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개구된 측면이 상기 이송유닛(2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원통형 모재(M)를 향하게 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312)는,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회동보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개구된 측면이 상측을 향하게 되고, 반원통 형상이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측면 및 바닥면을 포위하게 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상기 안착부(312)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압출부(33)는, 상기 배치부(31)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M)를 가압하여 상기 원통형 부개가 상기 수용공간(S)을 지나 상기 금형(40)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제공부(35)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상기 금형(40)으로의 이동 경로인 수용공간(S)을 제공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상기 금형(40)으로의 평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상기 안착부(312)로의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안착 전에, 상기 제3 위치의 상기 안착부(312) 상에 배치된 가열된 상기 원통형 모재(M)와 상기 압출부(33)가 용착(鎔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착방지물(P)을 안착시키는 용착방지부(3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용착방지부(37)는, 상기 용착방지물(P)이 수용된 방지물수용부(371) 및 상기 방지물수용부(371)로부터 상기 작업공간(T)까지 형성된 채, 상기 용착방지물(P)을 이송하는 방지물이송부(3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출부(33)는, 위치이동부(331) 및 삽입부(3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331)는, 상기 공간제공부(35)와 멀어지는 제3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33)는, 상기 위치이동부(331)의 상기 공간제공부(35)와의 대향면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S)의 종단면적의 크기와 같거나 작은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치부(31)는,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333)와 상기 공간제공부(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33)는, 상기 배치부(31)가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4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배치부(31)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M)를 가압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수용공간(S)을 통해 상기 금형(40)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2)는, 상기 압출부(33)로부터 상기 공간제공부(35)를 향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안착부(312a) 및 제2 안착부(31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311)는, 상기 제1 안착부(312a)와 연결된 채, 상기 제1 안착부(312a)를 회동시키는 제1 회동부(311a) 및 상기 제2 안착부(312b)와 연결된 채, 상기 제2 안착부(312b)를 회동시키는 제2 회동부(311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312)는, 상기 삽입부(333)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위치이동부(331)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안착부(312a)가 상기 제2 안착부(312b)보다 먼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공간제공부(35)는, 상기 삽입부(333)에 의한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유입 시, 상기 금형(40)과 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S)과 상기 압출공간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제공부(35)는, 상기 삽입부(333)에 의한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유입이 완료되면, 상기 금형(40)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용착방지물(P)은, 상기 삽입부(333)와 상기 안착부(312)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M)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삽입부(333)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원통형 모재(M)에 전달하고, 상기 원통형 모재(M)와 접촉되면, 상기 원통형 모재(M)와 용착될 수 있다.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방지물가압부(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지물가압부(38)는, 상기 공간제공부(35)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제공부(35)가 상기 금형(40)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공간제공부(35)와 상기 금형(4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M)의 끝단에 용착된 상기 용착방지물(P)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상기 방지물가압부(38)의 하측에 형성된 채, 상기 용착방지물(P)을 회수하여 상기 방지물수용부(371)로 이송하는 회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공기분사부(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부(39)는, 상기 공간제공부(35)에 연결된 채, 상기 공간제공부(35)가 상기 금형(40)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공간제공부(35)의 외측에서 상기 공간제공부(35)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용공간(S) 내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부(39)는, 상기 수용공간(S) 내로의 원통형 모재(M)의 출입 및 상기 삽입부(333)의 상기 수용공간(S) 내로의 출입 과정에서 상기 수용공간(S) 내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가압에 의한 금속재료의 파편들이 상기 수용공간(S) 내에 잔류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공간제공부(35)는, 원통형을 형성된 채, 원형평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형평면이란 원통형의 원형면을 의미한다.
상기 공기분사부(39)는, 상기 공간제공부(35)의 굴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391) 및 상기 고정부(391)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면 공기를 분사하는 회전부(39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굴곡면이란, 원통형의 측면을 의미한다.
상기 회전부(393)는, 상기 고정부(391)에 장착되는 평행부(393a), 상기 평행부(393a)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공간제공부(35)의 굴곡면으로부터 원형평면을 향해 연장된 절곡부(393b) 및 상기 절곡부(393b)의 끝단에 형성되어 공기펌프로부터 제공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393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393b)는, 상기 평행부(393a)가 상기 고정부(391)를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평행부(393a)와 연동되어 상기 분사부(393c)가 상기 수용공간(S)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부(393c)는, 상기 수용공간(S)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수용공간(S) 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금형교체장치
도 17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7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50)는, 상술한 압출 성형시스템(1)에 이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금형교체장치(50)는, 가이드부(51), 금형이동부(53), 입력신호감지부(55) 및 제어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1)는, 상기 금형(40)이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부(10)의 제1 폭방향(W1) 또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제2 폭방향(W2)으로의 상기 금형(40)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51)는, 상기 프레임부(1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프레임부(1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후술할 제1 금형부(41)와 제2 금형부(42)는 연결된 채,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금형이동부(53)는, 상기 금형(40)을 상기 제1 폭방향(W1) 또는 상기 제2 폭방향(W2)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형이동부(53)는, 상기 제1 금형부(41)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금형부(41)를 상기 제1 폭방향(W1) 또는 상기 제2 폭방향(W2)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금형부(42)는, 상기 금형이동부(53)에 의한 상기 제1 금형부(41)의 위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제1 폭방향(W1) 또는 상기 제2 폭방향(W2)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의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금형(40)은, 상기 프레임부(10)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금형부(41), 제2 금형부(42), 제3 금형부(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금형(40)에 의해 압출되는 가공 구경은, 상기 제1 금형부(41), 상기 제2 금형부(42) 및 상기 제3 금형(40)에 각각에 장착되는 구경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구경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제1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1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1 구경부(41a) 및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제2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2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2 구경부(42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S)과 상기 제1 압출공간 또는 상기 수용공간(S)과 상기 제2 압출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1 구경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1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입력되면, 상기 제1 압출공간과 상기 수용공간(S)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금형이동부(53)는, 상기 제1 금형부(41)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1 금형부(41)의 상기 제1 압출공간과 상기 공간제공부(35)의 수용공간(S)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2 구경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2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입력되면, 상기 제2 압출공간과 상기 수용공간(S)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금형이동부(53)는, 상기 제1 금형부(41)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1 금형부(41)와 연동되는 상기 제2 금형부(42)의 제2 압출공간과 상기 공간제공부(35)의 수용공간(S)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형(40)을 구성하는 각각의 금형(40)부는, 상기 압출성형장치(30)와 대향하는 제1 대향면, 상기 제1 대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대향면,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쉽게 말해, 각각의 금형(40)부는,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은 상기 가이드부(51) 상에 안착되게 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금형부(41)는, 상기 제2 금형부(42)와 대향하는 제1-1 측면(41b,)으로부터 함입된 함입부(4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금형부(42)는, 상기 제1 금형부(41)와 대향하는 제2-2 측면(42b)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4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제1 금형부(41)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제1-1 측면(41b) 및 제2-1 측면으로, 상기 제2 금형부(42)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제1-2 측면 및 제2-2 측면(42b)으로, 후술할 제3 금형부(43)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제1-3 측면 및 제2-3 측면(43b)으로 설명하여, 혼동을 방지한다.
상기 제1 돌출부(421)는, 상기 제2-2 측면(42b)으로부터 상기 제1-1 측면(41b)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421a) 및 상기 제1 연장부(421a)와 연결되되, 상기 제1 연장부(421a)의 종단면적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확장부(42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함입부(411)는, 상기 제1-1 측면(41b)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제1 연장부(42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부(411a) 및 상기 형상부(411a)와 연결된 채 함입되되, 상기 제1 확장부(421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확장대응부(41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421)는, 상기 함입부(411)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함입부(41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금형부(42)는, 상기 제1 돌출부(421)의 상기 함입부(411)로의 삽입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41)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금형부(41)와 상기 제2 금형부(42)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금형부(42)는 상기 제1 금형부(41)가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확장대응부(411b)를 통한 상기 제1 확장부(421b)로의 외력 인가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41)와 연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돌출부(421)는, 상기 형상부(411a)와 상기 확장대응부(411b)의 경계가 만들어낸 단턱에 걸린 상태로, 상기 함입부(41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제1 금형부(41)에 작용하는 외력은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의 외력이다.
결국, 상기 제1 금형부(41)와 상기 제2 금형부(42)의 연결은, 상기 제1 금형부(41) 또는 상기 제2 금형부(42)의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50)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10)의 제1 길이방향(L1, 도 18 참조) 또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제2 길이방향(L2, 도 18 참조)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이드이동부(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가이드이동부(59)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경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제3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3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3 구경부(43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금형부(43)로의 상기 제3 구경부(43a)의 장착을 위한 사용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제1 금형부(41)와 제2 금형부(42)의 연결관계와 같이, 제3 금형부(43) 또한 제2 금형부(42)에 연결하여, 금형이동부(53)에 의한 위치 이동으로 제1 구경, 제2 구경, 제3 구경의 가공 구경을 변경할 수 있겠으나, 제1 구경, 제2 구경, 제3 구경이 아닌 다른 가공 구경을 이용하려면 금형(40)부에 장착된 구경부를 바꿔줘야만 한다.
여기서, 가공 구경의 크기를 바꾸려면, 금형(40)이 위치한 협소하고 위험한 공간에 사용자가 어렵게 투입되어, 금형(40)부 내의 구경부를 바꾸어야만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금형(40)부의 구경부를 바꿀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금형(40)부와 금형(40)부 사이의 연결 또한 자동으로 구현되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가공 구경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제1 구경부(41a)가 구현하는 제1 구경은, 가장 사용도가 높은 것을 적용하여, 제1 금형부(41)의 제1 구경부(41a)는 장착 및 장착 해제하지 않도록 하고, 제2 금형부(42)와 제3 금형부(43)는 서로 위치 교환할 수 있으므로, 양자에 다양한 가공 구경을 장착 또는 장착 해제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다.
이하, 제2 금형부(42)와 제3 금형부(43)가 바뀌는 매커니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제3 금형부(43)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안착된 채, 상기 가이드이동부(59)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안착된 상기 제1 금형부(41) 및 상기 제2 금형부(42)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대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의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3 금형부(43)의 관통부(H)에 제3 구경부(43a)를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구경부(43a)가 구현하는 가구 구경인 제3 구경은, 제1 구경과 제2 구경과는 다른 값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크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3 구경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3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입력되면, 상기 제2 금형부(42)의 제1 대향면(41a)과 상기 제3 금형부(43)의 제2 대향면이 대향하도록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상기 제2 금형부(42)와 상기 제3 금형부(43)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제2 금형부(42)와 상기 제3 금형부(43)가 중첩되어 배치되면, 상기 제3 금형부(43)와 상기 제2 금형부(42)가 상기 제2 길이방향(L2)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이동부(59)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금형부(42)는, 상기 제3 금형부(43)의 상기 제2 길이방향(L2)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 금형부(43)에 의해 상기 제2 길이방향(L2)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금형부(41)와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3 금형부(43)는, 상기 제2 길이방향(L2)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41)와 나란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금형부(4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금형부(43)는, 상기 제2 금형부(42)와 대향하는 제2-3 측면(43b)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4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431)는, 상기 제2-3 측면(43b)으로부터 상기 제1-2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431a) 및 상기 제2 연장부(431a)와 연결되되, 상기 제2 연장부(431a)의 종단면적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확장부(43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431a)는, 상기 제1 연장부(421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금형부(41)의 형상부(41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확장부(431b)는, 상기 제1 확장부(421b)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금형부(41)의 확장대응부(411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421)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3 구경인 경우, 상기 제2 길이방향(L2)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함입부(411)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함입부(41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2 돌출부(431)는, 상기 제2 길이방향(L2)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함입부(411)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함입부(41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431)의 상기 함입부(411)로의 삽입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41)와 상기 제3 금형부(43)는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압출 성형시스템
10: 프레임부
20: 이송유닛
30: 압출성형장치
40: 금형
50: 금형교체장치
60: 이송가압부

Claims (10)

  1.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원통형 모재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 성형시스템 - 상기 가열장치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원통형 모재를 상기 프레임부가 제공하는 작업공간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원통형 모재를 가압하는 압출성형장치,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공간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압출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압출성형장치에 의해 가압된 상기 원통형 모재의 구경이 축소되도록 하는 금형 및 상기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에 맞추어 금형을 교체하는 금형교체장치를 구비함 - 에 이용되는 압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간 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를 상기 수용공간과 나란하게 배치하는 배치부;
    상기 배치부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가 상기 수용공간을 지나 상기 금형을 통과하도록 하는 압출부; 및
    상기 원통형 모재의 상기 금형으로의 이동 경로인 수용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의 상기 금형으로의 평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치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된 채, 회동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안착부가 상기 프레임부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제3 위치에서, 상기 안착부가 상기 수용공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회동되며,
    상기 안착부로의 상기 원통형 모재의 안착 전에, 상기 제3 위치의 상기 안착부 상에 가열된 상기 원통형 모재와 상기 압출부가 용착(鎔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착방지물을 안착시키는 용착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용착방지부는,
    상기 용착방지물이 수용된 방지물수용부 및 상기 방지물수용부로부터 상기 작업공간까지 형성된 채, 상기 용착방지물을 이송하는 방지물이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측면이 개구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개구된 측면이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원통형 모재를 향하게 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원통형 모재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개구된 측면이 상측을 향하게 되고, 반원통 형상이 상기 원통형 모재의 측면 및 바닥면을 포위하게 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의 상기 안착부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는,
    상기 공간제공부와 멀어지는 제3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위치이동부의 상기 공간제공부와의 대향면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종단면적의 크기와 같거나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와 상기 공간제공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4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배치부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가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 상기 금형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압출부로부터 상기 공간제공부를 향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안착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제1 안착부를 회동시키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제2 안착부를 회동시키는 제2 회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위치이동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안착부가 상기 제2 안착부보다 먼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제공부는,
    상기 삽입부에 의한 상기 원통형 모재의 유입 시, 상기 금형과 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압출공간이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삽입부에 의한 상기 원통형 모재의 유입이 완료되면, 상기 금형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용착방지물은,
    상기 삽입부와 상기 안착부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삽입부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원통형 모재에 전달하고, 상기 원통형 모재와 접촉되면, 상기 원통형 모재와 용착되며,
    상기 공간제공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제공부가 상기 금형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공간제공부와 상기 금형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의 끝단에 용착된 상기 용착방지물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지물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제공부에 연결된 채, 상기 공간제공부가 상기 금형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공간제공부의 외측에서 상기 공간제공부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간제공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채, 원형평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공간제공부의 굴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공기를 분사하는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는 평행부, 상기 평행부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공간제공부의 굴곡면으로부터 원형평면을 향해 연장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공기펌프로부터 제공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평행부가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평행부와 연동되어 상기 분사부가 상기 수용공간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성형장치.
KR1020180072043A 2018-06-22 2018-06-22 압출 성형장치 KR10192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43A KR101923346B1 (ko) 2018-06-22 2018-06-22 압출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43A KR101923346B1 (ko) 2018-06-22 2018-06-22 압출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346B1 true KR101923346B1 (ko) 2018-11-28

Family

ID=6456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043A KR101923346B1 (ko) 2018-06-22 2018-06-22 압출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2413A (zh) * 2018-12-11 2019-02-15 湖南千源铝业有限公司 一种用于铝合金挤压成型的上油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2413A (zh) * 2018-12-11 2019-02-15 湖南千源铝业有限公司 一种用于铝合金挤压成型的上油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345B1 (ko) 압출 성형시스템
KR101923346B1 (ko) 압출 성형장치
KR101779663B1 (ko) 각관 타공기
KR101099287B1 (ko) 어큐뮬레이터 및 어큐뮬레이터의 자동 축관성형장치
KR102023176B1 (ko) 빌렛 절단장치
US6748721B2 (en) Thermoforming method for film on blister packing machines and apparatus for it
KR101923347B1 (ko) 금형교체장치
CN101232989B (zh) 热成形装置
KR101913131B1 (ko) 이중 스트립 동시 가공 방법
CZ93195A3 (en) Device for bending glass panes by applying pressure
KR101744799B1 (ko) 관재 액압성형장치
KR101286674B1 (ko) 고주파 열간 프레스 장치
KR101046063B1 (ko) 클램프 버디의 자동 제조장치.
CN218491061U (zh) 自动接布装置及放料架
JP2014046538A (ja) 蛇腹チューブ製造装置
KR20170067469A (ko) 엘보관 제조장치
KR102475209B1 (ko)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자동절단장치
JP4767776B2 (ja) 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0275584B1 (ko) 전자동 인발가공시스템의 금형장치
KR101782067B1 (ko) 플러그 핀 가공 장치
KR101744840B1 (ko) 관재 액압성형공법
KR20200094429A (ko) 핸들링로봇을 이용한 프레스장치
CN217223287U (zh) 一种多工位自动胀管设备
JP5152825B2 (ja) プレス加工システム
JP4238183B2 (ja) 押出機のダイスの交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