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631B1 -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631B1
KR101922631B1 KR1020160146398A KR20160146398A KR101922631B1 KR 101922631 B1 KR101922631 B1 KR 101922631B1 KR 1020160146398 A KR1020160146398 A KR 1020160146398A KR 20160146398 A KR20160146398 A KR 20160146398A KR 101922631 B1 KR101922631 B1 KR 101922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silver
silver nanowires
reactor
nano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9906A (ko
Inventor
박이순
서덕민
윤형덕
이민엽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46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6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liquid metal compounds, e.g. solutions
    • B22F1/00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5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 B22F1/054Nanosized p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25Noble metals, i.e. Ag Au, Ir, Os, Pd, Pt, Rh, Ru
    • B22F2301/255Silver or gold

Abstract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통하여, 비용이 저렴하며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결함이 적은 고종횡비(High aspect ratio)의 은 나노와이어(AgNWs)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ILVER NANOWIRES}
본 발명은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도성 투명 전극(Transparent conduction electrode, TCE)는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s, TSP), 박막 태양 전지(Thin-film solar cells), 투명 디스플레이 (Transparent display), 유연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광범위한 기술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종래 흔히 사용되는 전도성 투명 전극으로는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된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 Oxides, ITO) 박막이 있다. ITO 박막은 높은 투광도(Transmittance), 및 낮은 면저항(Sheet resistance)를 나타낸다. 그러나, 굽힘 응력(Bending stress) 등 기계적 강도가 취약하고, 대면적 터치스크린 패널(Large area TSP) 등에 적용될 경우 투광도가 감소되고, 면저항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전도성 고분자, 금속나노와이어 등 다양한 대체 물질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1차원 형상의 금속 나노와이어 (One-dimension metal nanowires)는 대면적 터치스크린 패널, 박막 태양 전지, 플렉시블 OLEDs, 투명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고투과성을 지니면서도, 높은 전도성을 띠는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s, AgNW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으로 하드 템플릿 합성법(Hard template method), 소프트 템플릿 합성법(Soft template method)을 포함한 다양한 제조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들 중 폴리올 환원(polyol reduction)을 이용한 용액상 합성법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고종횡비(High aspect ratio)를 갖는 은 나노와이어의 수득이 어렵고, 합성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또한,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의 분리 및 정제에 고비용이 소비되어, 산업적으로 적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통하여, 비용이 저렴하며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결함이 적은 고종횡비(High aspect ratio)의 은 나노와이어(AgNWs)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폴리올 환원을 이용한 은 나노와이어의 용액상 합성법은 고종횡비(High aspect ratio)를 갖는 은 나노와이어 수득이 어렵고, 분리 및 정제에 고비용이 소비되어, 산업적으로 적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비용이 저렴하며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결함이 적은 고종횡비(High aspect ratio)의 은 나노와이어(AgNWs)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은염, 폴리올 용매, 캡핑시약(Capping agent), 계면활성제, 및 할로겐 촉매를 포함하는 용액에서의 환원반응을 통해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이되, 상기 환원반응은, 반응기 하부가 테이퍼형상(tapered)인 관형 반응기(tubular reactor)에서 수행되는 것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기 하부가 테이퍼형상(tapered)인 것은 반응기 하부의 특정 지점부터 반응기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반응기 하부가 테이퍼형상(tapered)인 관형 반응기(tubular reactor)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다만 이러한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닫힌계(Closed system)에서 은염, 폴리올용매 등 반응물질들의 혼합용액을 교반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는 경우, 용액의 교반에 따른 회전으로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가 반응기 벽면과의 전단응력(shear stress)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은 나노와이어의 형상이 파괴되어 고종횡비(high aspect ratio)를 갖는 고품질의 은 나노와이어 수득이 불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와 같이 반응기 하부가 테이퍼형상(tapered)인 관형 반응기(tubular reactor)를 사용하는 경우,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가 교반의 영향을 받지 않는 테이퍼형상(tapered)의 하부에 안착되어, 반응기 벽면과의 전단응력(shear stress)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고종횡비(high aspect ratio)를 갖는 고품질의 은 나노와이어를 수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상 반응기를 사용하므로 은 나노와이어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 할로겐 촉매, 캡핑시약, 폴리올용매,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상기 반응기 내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1 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제1 용액에, 은염, 및 폴리올용매를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점적(dropwise)하여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된 제1 용액에, 은염, 및 폴리올용매를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점적(dropwise)하여 투입하는 단계;는 100rpm 이상, 및 400rpm 이하의 교반 하에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교반속도가 너무 느린 경우, 은 나노와이어의 성장에 관여하지 않는 은 이온이 증가하여, 무정형(amorphous)의 은 나노입자(Ag nanoparticle)이 다량 수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교반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가 파괴되어 다량의 은 나노입자만 수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교반은, 기계식 혼합(mechanical stirring)에 의할 수 있다. 이 때 기계식 혼합에 사용되는 임펠러(Impeller)는 스크류식(screw type) 임펠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퍼형상(tapered)인 반응기 하부의 높이는, 전체 반응기 총 높이 100높이%에 대하여, 10높이% 이상, 및 30높이%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반응기 하부의 테이퍼형상이 너무 길게 형성되면, 반응기 하부에 교반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여, 반응기 하부에서도 은 나노와이어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응기 하부의 테이퍼형상이 너무 짧은 경우에는,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가 테이퍼 형상의 반응기 하부에 충분히 안착하지 못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반은, 상기 반응기 총 높이 100높이%에 대하여, 상기 반응기의 상부로부터 20높이% 이상, 및 60높이% 이하의 범위 내인 위치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위치에서 교반을 수행함으로써, 테이퍼형상(tapered)의 반응기 하부에 전달되는 교반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교반을 통해 상기 반응기 총 높이 100높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기의 상부로부터 20높이% 이상, 및 60높이% 이하의 범위 내의 용액의 평균회전속도에 대한 상기 반응기의 하부로부터 10높이% 이상, 및 30높이% 이하인 테이퍼형상(Tapered)의 반응기 하부 내 용액의 평균회전속도는 1/100 이상, 및 1/20 이하인 것로 조절되어, 반응기 하부에 안착된 은 나노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반응기는 반응기 하부에 위치하고,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 용액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밸브를 연 상태로 상기 제2 용액을 점적(dropwise)하여 투입함과 동시에,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를 상기 반응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면서, 상기 환원반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응 초기 반응 용액의 탁도를 통해 육안으로 나노와이어의 제조를 확인한 직후, 밸브를 여는 것일 수 있다. 밸브를 여는 시점은, 안정적인 연속반응이 방해되지 않는 시점이면 족하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이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은 나노와이어를 NaCl 수용액 하에서 침전시켜, 상기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된 은 나노와이어를 NaCl 수용액 하에서 침전시켜, 상기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를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반응기의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은 나노와이어 용액을 수용하는 침전반응기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침전반응기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반응기로부터 배출되는 은 나노와이어 용액을 수용할 수 있다.
종래 폴리올 환원에 의한 은 나노와이어 제조시, 배치(Batch) 형태의 반응기에서의 반응을 통해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고, 원심분리 등의 별도의 분리공정을 거쳐 은 나노와이어를 분리 및 정제하였다. 이러한 추가적인 공정으로 추가적인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고, 대량생산에 부적합하여 산업화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의 경우, NaCl 용액 하에서 자연침전을 통해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를 분리시킴으로써, 원심분리 등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공정이 간소화되어 저비용으로 은 나노와이어를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산업화되기에 매우 용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NaCl 수용액 내의 NaCl의 함량은, 상기 NaCl 수용액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20중량% 이상, 및 30중량%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농도 범위의 NaCl 수용액에서, 은 나노와이어가 빠르고, 높은 수율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가열된 제1 용액에, 은염, 및 폴리올용매를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점적(dropwise)하여 투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용액을 상기 제1 용액에 점적(dropwise)하는 속도는, 1.0ml/min 이상, 및 20ml/min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용액의 투입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빠른 경우, 은 나노입자(Ag nanoparticle)이 다량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기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의 배출 속도는, 1.0ml/min 이상, 및 20ml/min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배출 속도가 너무 느린 경우, 반응기 하부에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가 너무 많이 축적되어 교반의 영향을 많이 받아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배출 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 반응기 내 환원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액을 가열하는 단계;는 100℃ 이상, 및 25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가열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 은 나노와이어의 성장이 저해되어 은 나노 입자(Ag nanoparticle)가 다량 제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열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은 나노와이어의 급격한 성장으로 직경이 커지거나 길이가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반응에 사용되는 물질들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캡핑(Capping) 시약"은 은 나노와이어의 횡단면 표면이 결정화될 수 있도록 성장 중인 은 나노와이어의 측면 표면과 우선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이에 부착되는 화학적 제제를 말한다. 이 캡핑 시약은 성장 중인 은 나노와이어의 횡단면 표면과 상호작용하는 것보다 더 강하게 측면 표면과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측면 표면은 부동태화되는 반면, 횡단면 표면은 추가의 결정화에 이용되어 은 나노와이어를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캡핑 시약은,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odone)),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odone))인 것일 수 있다. 다만, 캡핑 시약의 역할에 적합한 다른 물질의 채용이 가능하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캡핑 시약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중량평균분자량(Mw)는 5,000 이상, 및 1,500,000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5,000 이상, 및 360,000이하인 것일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 캡핑 시약의 중량평균분자량이 너무 높으면, 반응 용액의 점도가 상승하여 은 나노와이어의 수율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반응 용액의 점도가 최적화되어, 은 나노와이어의 수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은염"은, 양전하를 띠는 은 이온과 음전하를 띠는 카운터이온을 갖는 중성 화합물을 말한다. 카운터이온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은염은, AgNO3, AgClO4, Ag(pyridine)2,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은염은 폴리올 등의 용매에 용해되어, 은 이온, 및 이와 반대전하는 갖는 카운터이온으로 분해된 후, 폴리올 용매에 의해 은 이온이 환원되어 은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은염의 종류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용액에서 상기 캡핑시약이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odone))인 경우, 상기 제2 용액 내 상기 은염에 포함된 은 이온(Ag+)에 대한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odone)) 내 PVP 반복단위(repeat unit)의 몰 비는, 1.0 초과, 및 16.0 미만인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초과, 및 6.0 미만인 것일 수 있다. 은 이온에 대한 캡핑 시약의 몰 비가 너무 작은 경우, 성장 중인 은 나노와이어의 캡핑이 충분히 이루어 지지 않아, 고종횡비(high aspect ratio)의 은 나노와이어의 수율이 낮아 질 수 있다. 은 이온에 대한 캡핑 시약의 몰 비가 너무 큰 경우, 은 결정 성장면에 캡핑 시약이 작용하여 은 나노와이어의 고종횡비가 낮아지거나 반응 용액의 점도가 상승하여 은 나노와이어의 수율이 감소할 수 있다.
"할로겐 촉매"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포함하는 염 첨가제를 말한다. 염 첨가제는, 물, 알코올 및 폴리올(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및 글루코스를 포함)과 같은 극성 용매 중에 이온으로 분리된다. 이때 양이온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일 수 있다. 음이온은 일반적으로 무기물이며, 할로겐 이온(Cl-, Br-, F-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촉매제의 존재로 인해 은 원자를 포함하는 이방성 나노구조체들이 은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씨드(Seed)로 우선적으로 성장하게 되고 이로써 상대적으로 고수율 및 상대적으로 높은 단분산도를 가진 나노와이어들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할로겐촉매는, NaBr, KBr, AgCl, KCl,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다만, 할로겐 촉매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다른 물질의 채용이 가능하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계면활성제"는, 보조 캡핑 시약 및 상간 촉매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소듐 도데실 설파이트 (Sodium dodecyl sulfate, SDS), 쇼듐 에틸헥실 설파이트(Sodium 2-ethyl hexyl sulfat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듐 도데실 설파이트 (Sodium dodecyl sulfate, SD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용액 내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0.24mM 초과, 및 10.0mM 미만인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24mM 초과, 및 3.60mM 미만인 것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너무 낮은 경우, 무정형(amorphous)의 은 입자 덩어리(aggregates)가 다량 생성되어, 은 나노와이어의 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너무 높은 경우, 성장 중인 은 나노와이어에 은 이온이 너무 빠른 속도로 전달되어, 무정형(amorphous)의 은 입자가 다량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3 mM 초과 2.0 mM 범위 내에서 고종횡비(high aspect ratio)를 갖는 고품질의 은 나노와이어의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폴리올 용매"는 은염, 할로겐 촉매 및 캡핑 시약이 용해되는 극성 용매를 말한다. 추가로, 폴리올 용매는 환원제로서 기능하여 은염을 원소 금속으로 변형시킨다. 일반적으로, 상기 환원 용매는 적어도 2개의 히드록실기를 포함하는 화학적 시약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 용매는,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다만, 환원에 적합한 폴리올 용매면 다른 물질을 채용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통하여, 비용이 저렴하며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결함이 적은 고종횡비(High aspect ratio)의 은 나노와이어(AgNWs)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g+ ion:PVP repeat unit의 Mole ratio 변화에 따른 합성 AgNW의 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2는, 교반속도(rpm) 및 반응 시간 변화에 따른 합성 AgNW의 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3은, 계면활성제(SDS) 함량에 따른 합성 AgNW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NaCl/NaBr 핵형성제를 이용하여 합성된 AgNW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Batch형 둥근 원기둥형 반응기의 기계식 교반기 임펠러(Impeller)구조 및 반응시간에 따른 합성 AgNW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열린계 테이퍼형상(tapered)인 관상 반응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열린계 테이퍼형상(tapered)인 관상 반응기를 이용하여 합성된 AgNW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서는, 폴리올 용매로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은염으로 AgNO3, 할로겐 촉매로 NaCl/NaBr, 캡핑시약으로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odone), PVP), 계면활성제로 소듐 도데실 설파이트(Sodium dodecylsulfate, SDS)를 사용하였다. 상기 시약은 모두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 사에서 구입한 그대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 둥근 3구 플라스크를 이용한 회분(Batch)식 나노와이어 제조.
100 ml 둥근 3구 플라스크에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분자량 40,000) 1.875 g을 넣고 에틸렌글리콜 20 ml 을 더한 다음 마그네틱 교반막대 (Magnetic Bar)를 이용, PVP와 SDS를 용해하여 제 1용액을 제조하였다. 50 ml 플라스크에 AgNO3 1.875 g과 에틸렌글리콜 5 ml을 넣은 다음 교반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 2용액을 적가 펀넬(Dropping Funnel)에 넣은 다음 160 oC 로 가열된 제 1용액에 1 ml/min의 속도로 적가하면서 적정한 시간동안 마그네틱 교반 막대를 교반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였다. 반응 용액이 은 회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하고 상온으로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용액에 5배 정도의 과량의 아세톤을 넣고 원심분리를 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침전시키고 용매를 제거한 다음 다시 아세톤을 넣고 은 나노와이어를 재분산 및 원심분리를 2회 반복하여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를 수득하고 투입한 Ag+ 이온 대비 Ag 금속으로 변환률(wt%)을 평가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수득된 Ag금속 성분 중 생성된 은 나노와이어 대비 은 입자의 비율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2 : 계면활성제(SDS)를 포함한 회분(Batch)식 나노와이어 제조.
상기 비교예 1의 제 1용액 제조에 있어서 PVP 이외에 0.115 g의 소듐 도데실 설파이트(SDS)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같은 방법으로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 NaCl / NaBr 핵형성제(Seed)를 포함한 회분(Batch)식 나노와이어 제조.
제 1용액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비교예 2의 성분 이외에 핵형성제로서 NaCl/NaBr을 0.001/0.00095 mMol의 농도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같은 방법으로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였다. 폴리올 방법에 의한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는 그 원료인 AgNO3, 캡핑 시약 PVP, 계면활성제 SDS, 핵형성제 NaCl/NaBr 등 반응 조성물의 농도비 뿐 아니라 AgNO3를 포함하는 제 2 용액을 주입한 후의 반응 시간, 교반속도 등에 매우 예민하게 의존한다. 본 비교 실험에서는 이러한 조건들을 변경하여 수득한 은 나노와이어 생성물의 변환율, 은 나노와이어 대비 무성형 은 나노 입자들의 비율 등을 표 1과 도 1 내지 3으로 나타내었다.
Sample No. AgNO3 solution PVP/SDS solution SDS
(Mm)
Stirrer speed
(rpm)
Reaction Time after edition of PVP/SDS
(min)
Ag : PVP
(mole ratio)
AgNO3(g) EG
(ml)
PVP
(g)
PVP
(MW)
EG
(ml)
SDS
(g)
AgNW-P1 1.875 5 1.875 40,000 20 0.115 0.30 250 5 1 : 1.5
AgNW-P2 0.937 5 1.875 40,000 20 0.115 0.30 250 5 1 : 3.0
AgNW-P3 0.703 5 1.875 40,000 20 0.115 0.30 250 5 1 : 4.0
AgNW-P4 0.469 5 1.875 40,000 20 0.115 0.30 250 5 1 : 6.0
AgNW-S1 0.703 5 1.875 40,000 20 0.092 0.24 250 5 1 : 4.0
AgNW-P3 0.703 5 1.875 40,000 20 0.115 0.30 250 5 1 : 4.0
AgNW-S2 0.703 5 1.875 40,000 20 0.138 0.36 250 5 1 : 4.0
AgNW-S3 0.703 5 1.875 40,000 20 0.161 0.42 250 5 1 : 4.0
AgNW-S4 0.703 5 1.875 40,000 20 0.184 0.48 250 5 1 : 4.0
AgNW-R1 0.703 5 1.875 40,000 20 0.115 0.30 80 5 1 : 4.0
AgNW-P3 0.703 5 1.875 40,000 20 0.115 0.30 250 5 1 : 4.0
AgNW-R2 0.703 5 1.875 40,000 20 0.115 0.30 500 5 1 : 4.0
AgNW-P3 0.703 5 1.875 40,000 20 0.115 0.30 250 5 1 : 4.0
AgNW-T1 0.703 5 1.875 40,000 20 0.115 0.30 250 10 1 : 4.0
AgNW-T2 0.703 5 1.875 40,000 20 0.115 0.30 250 15 1 : 4.0
도 1은, Ag+ ion:PVP repeat unit의 몰 비율(Mole ratio) 변화에 따른 합성 AgNW의 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Ag+ ion:PVP repeat unit이 몰 비율이 (a) 1:1.5, (b) 1 : 3.0, (c) 1 : 4.0, 및 (d) 1 : 6.0인 것이다.
또한, 도 2는, 교반속도(rpm) 및 반응 시간 변화에 따른 합성 AgNW의 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 내지 (c)는 교반속도 변화에 따른 것으로, (a) 80 rpm, (b) 250 rpm, 및 (c) 500 rpm 인 것이다. 또한 도 2의 (d) 내지 (f)는 반응 시간 변화에 따른 것으로 (d) 5 분, (e) 10 분, 및 (f) 15 분인 것이다.
도 3은, 계면활성제(SDS) 함량에 따른 합성 AgNW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며, (a) 0.24 mM, (b) 0.30 mM, (c) 0.36 mM, (d) 0.42, 및 (e) 0.48mM인 것이다.
도 4는, NaCl/NaBr 핵형성제를 이용하여 합성된 AgNW의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a) NaCl/NaBr=0.00/0.00 mMol (즉, 상기 핵형성제가 이용되지 않은 경우), (b) NaCl/NaBr=0.003/0.00295 mMol, 및 (c) NaCl/NaBr=0.001/0.00095 mMol인 것이다.
표 1 및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둥근 3구 플라스크를 이용한 닫힌계(Closed System) 회분(Batch)식 반응에 의한 은 나노와이어의 최적 조건을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① 제 2용액에 포함된 Ag+ 이온 대 제 1용액에 포함된 PVP 반복단위의 mol 비는 닫힌계 회분식반응의 경우 1 : 4가 바람직하다.
② 둥근 3구 플라스크를 이용한 닫힌계 회분식 반응으로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할 때 AgNO3를 포함하는 에틸렌글리콜을 제 2용액에 적가 후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수득된 은 나노와이어의 비율이 현저히 감소하고 무정형 은 입자들이 많이 되는데 이것은 마그네틱 교반막대가 회전하며 교반할 때 3구 플라스크의 바닥면과 충돌하여 생성된 은 나노와이어에 기계적 충격을 가해 무정형 은 나노입자로 변형시키기 때문으로서, 닫힌계 회분식 반응계의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③ 제 1용액에 캡핑 시약 PVP 이외에 계면활성제 SDS를 추가하여 은 나노와이어의 합성 속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이것은 왜냐하면 SDS가 대항이온을 Na+에서 Ag+로 교환하여 성장하는 은 나노와이어 결정화 횡단면에 원활히 공급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④ 제 1용액에 캡핑 시약 PVP, 계면활성제 SDS이외에 NaCl/NaBr 핵형성제를 도입함으로서 생성되는 은 나노와이어의 직경을 감소시켜 은 나노와이어를 필름에 코팅하여 터치패널, 플렉서블 OLED 소자 등에 필요한 투명 전극 필름을 제조할 때 헤이즈(Haze)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고 은 나노와이어의 대용량의 높은 합성 수율로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기 위하여 둥근 3구 플라스크 반응기와 마그네틱 교반막대를 원기둥형 반응기 (Resin Kettle)와 기계식 교반기 (Mechanical Stirrer)로 바꾸어 반응을 하였다.
비교예 4 : 원기둥형 반응기 응용 회분(Batch)식 나노와이어의 제조.
기계식 교반기가 장착된 500 ml 원기둥형 반응기에 폴리비닐피롤리돈 15.0 g과 SDS 0.92 g을 넣고 에틸렌글리콜 160 ml를 더한 다음 기계식 교반기로 용해하여 제 1용액을 제조하였다. 100 ml 플라스크에 AgNO3 5.624 g과 에틸렌글리콜 40 ml을 넣은 다음 교반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 2용액을 적가 펀넬에 넣고 160 oC로 가열한 제 1용액에 1 ml/min의 속도로 적가하고, 하기 표 2의 조건과 같이 기계식 교반기의 임펠러(Impeller) 모양과 교반속도를 변경시키면서 적정시간 동안 반응시켜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였으며 반응 종료 후 원심 분리법으로 은 나노와이어를 회수 하고 금속은 전환율, 은 나노와이어 대비 무정형 은 입자 비율 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 및 도 5에 나타내었으며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Sample
No.
AgNO3 solution PVP/SDS solution Stirrer
(rpm)
Reaction time
(min)
Impeller
type
Yield
(wire : particle)
AgNO3
(g)
EG
(ml)
PVP
(g)
PVP
(MW)
EG
(ml)
SDS
(g)
AgNW-MD1 5.624 40 15 40,000 160 0.92 150 5 denticulated NA
AgNW-MD2 5.624 40 15 40,000 160 0.92 150 10 denticulated NA
AgNW-MD3 5.624 40 15 40,000 160 0.92 150 15 denticulated NA
AgNW-MS1 5.624 40 15 40,000 160 0.92 150 5 screw 70.0 % (75 : 25)
AgNW-MS2 5.624 40 15 40,000 160 0.92 150 10 screw 79.4 % (80 : 20)
AgNW-MS3 5.624 40 15 40,000 160 0.92 150 20 screw 45.7 % (70 : 30)
AgNW- MS4 5.624 40 15 10,000 160 0.92 150 5 screw 92.0 % (90 : 10)
AgNW- MS5 5.624 40 15 10,000 160 0.92 150 10 screw 94.0 % (90 : 10)
AgNW- MS6 5.624 40 15 10,000 160 0.92 150 15 screw 94.2 % (90 : 10)
도 5는, Batch형 둥근 원기둥형 반응기의 기계식 교반기 임펠러(Impeller)구조 및 반응시간에 따른 합성 AgNW의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a) 내지 (c)는 톱니식임펠러(denticulated type impeller)를 사용함에 따른 것이고, (d) 내지 (f)는 스크류식 임펠러(screw type impeller ) 및 중량평균 분자량이 40,000인 PVP를 사용함에 따른 것이고, (g) 내지 (i) 스크류식 임펠러(screw type impeller) 및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인 PVP를 사용함에 따른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이 확인된다.
① 기계식 교반기 임펠러(Impeller)의 형태를 톱니형으로 할 경우 은 나노와이어의 형상(morphology)은 반응 시간의 증가에 따라 급속히 충격을 받아 무정형 은 입자로 변하였다.
② 기계식 교반기를 스크류(Screw)의 형태로 바꾸고 비교예1-3 보다 교반속도를 150 rpm으로 낮추어 반응할 경우 은 나노와이어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② 용액 적가 완료 후 반응 시간이 5분을 넘기면 무정형 은 입자가 증가 하였는데 이것은 은 나노와이어에 충격이 잘 전해지기 ?문이다.
③ 은 나노와이어 합성 제 1용액에 포함된 PVP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40,000에서 10,000으로 낮추어 사용할 경우 합성 용액 점도 저하로 Ag+ 이온의 Ag 금속 전환율 및 은 나노와이어 생성 비율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원기둥형 반응기를 이용한 은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은 회분식 반응기 이기 때문에 반응 시간이 길고 합성 효율이 낮으며 반응 시간에 따라 반응물 조성이 바뀌게 되므로 생성되는 은 나노와이어의 수율 및 형상이 바뀌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튜브형 관상 반응기의 하단부가 축소된 출입구와 밸브를 가지는 Tapered Tubular 반응기를 사용하여 열린계(Open System) 연속 반응기 (Continuous reactor)로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Tapered 관상 반응기를 이용한 열린계(Open System)에서의 연속 은나노와이어의 제조.
기계식 교반기가 장착된 500 ml Tapered 관상 반응기 (도6)에 폴리피롤리돈 15.0 g, SDS 0.92 g 및 에틸렌글리콜 200 ml을 더한 다음 NaCl/NaBr 핵형성제 에틸렌글리콜 용액을 0.001 mMol/0.00095 mMol의 농도가 되게 추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 1용액을 제조하였다. 200 ml 플라스크에 AgNO3 5.624 g과 에틸렌글리콜 100 ml을 넣은 다음 교반하여 제 2용액을 제조하였다. 제 2용액을 적가 펀넬에 넣고 160 oC로 가열된 제 1용액에 1 ml/min의 속도로 적가하면서 150rpm에서 스크류 형태의 임펠러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적정시간동안 반응 시켜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였다. 합성 반응을 하면서 30분 후부터 하부 출구의 밸브를 열고 1 ml/min의 속도로 배출하여 연속 반응으로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Tapered 관상 반응기를 이용한 열린계(Open System)에서의 연속 은나노와이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 1 및 제 2용액을 제조한 다음 제 1용액 150 ml를 반응기 상판에 4구 주입구를 가진 Tapered 관상 반응기에 넣고 160 oC 가열한 다음 제 2용액 50 ml를 일시에 제 1용액에 넣은 후 30 분간 교반하면서 반응하였다. 다음에는 남은 50 ml 제 1용액과 50 ml 제 2용액을 각각 적가 펀넬에 넣고 동시에 1 ml/min의 속도로 적가함과 동시에 250rpm에서 스크류 형태의 임펠러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반응기 하부 출구의 밸브를 열고 2 ml/min의 속도로 배출하여 연속 반응으로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2에서 수득된 은 나노와이어 합성 결과를 표 3 및 도 7-8에 나타내다.
다음으로는 Tapered 관상 반응기를 사용하여 합성된 은 나노와이어의 회수 및 정제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실시예 3 : Tapered 관상 반응기로 수득된 나노와이어의 회수 및 정제.
Tapered 관상 반응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면서 반응기 하부 출구 밸브를 열어 약 25 ml의 은 나노와이어 반응액을 2,000-5,000 ml의 25% NaCl 수용액에 받은 다음 약 10분간 서서히 교반한 후 6시간 동안 실온에서 정치하여 자연 침강법으로 은 나노와이어 침전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는 상등액을 사이폰을 이용하여 제거한 다음 2,000 ml의 순수로 2회 세정하고 상등액은 제거, 침강된 은 나노와이어를 분리 및 정제하였다.
도 6은, 열린계 테이퍼형상(tapered)인 관상 반응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열린계 테이퍼형상(tapered)인 관상 반응기를 이용하여 AgNW의 합성 및 회수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Reaction condition for synthesis of AgNWs with tapered tubular reactor Recovery of AgNWs
AgNO3 solution PVP solution Temp
(oC)
rpm Reaction
Time
(min)
25 wt% NaCl aq. solution
(g)
Precipitation Yield
(%)
(wire : particle)
AgNO3
(g)
EG
(ml)
PVP
(g)
PVP
(MW)
EG
(ml)
SDS
(g)
NaBr
(mM)
10.14 50 40.0 40,000 200 1.5 0.05 160 100 10 5,000 72.7
(85 : 15)
10.14 50 40.0 40,000 300 1.5 0.05 160 100 10 4,000 77.1
(90 : 10)
10.14 50 40.0 10,000 200 1.5 0.05 160 100 10 2,000 89.9
(90 : 10)
도 7은, 도 6의 열린계 테이퍼형상(tapered)인 관상 반응기를 이용하여 합성된 AgNW의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a) 저배율, (b) 고배율 사진이다.
표 3 및 도 6 내지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열린계 테이퍼형상(tapered)인 관상반응기를 이용하여 AgNW를 합성할 경우를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① 열린계 (Open System) Tapered 관상반응기를 사용하여 평균 직경 30+5 nm 길이 30 m로 종횡비 1000 : 1 의 은 나노와이어를 수득할 수 있었다.
② 제 1 및 제 2용액을 Tapered 관상 반응기에 투입하는 방법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이 변화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득되는 은 나노와이어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었다.
③ Tapered 관상 반응기를 사용하여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면서 반응기 하부 출구 밸브를 열어 약 25 ml의 은 나노와이어 반응액을 2,000-5,000 ml의 25% NaCl 수용액에 받은 다음 약 10분간 서서히 교반한 후 6시간 동안 실온에서 정치하여 자연 침강법으로 은 나노와이어 침전을 형성하여 Centrifuge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AgNW의 회수 및 정제를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5)

  1. 은염, 폴리올 용매, 캡핑시약, 계면활성제, 및 할로겐 촉매를 포함하는 용액에서의 환원반응을 통해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이되,
    상기 환원반응은, 반응기 하부가 테이퍼형상(tapered)인 관형 반응기(tubular reactor)에서 수행되며,
    상기 테이퍼형상(tapered)은 반응기 하부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것이며,
    상기 테이퍼형상(tapered)인 반응기 하부의 높이는, 전체 반응기 총 높이 100높이%에 대하여, 하부로부터 10높이% 이상, 및 30높이% 이하이고,
    상기 은 나노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는,
    할로겐 촉매, 캡핑시약, 폴리올용매,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상기 반응기 내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1 용액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제1 용액에, 은염, 및 폴리올용매를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점적(dropwise)하여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기는, 반응기 하부에 위치하고,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 용액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를 연 상태로,
    상기 제2 용액을 점적(dropwise)하여 투입함과 동시에,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을 상기 반응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면서, 상기 환원반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서,
    상기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에서,
    밸브는 여는 시점은, 반응 초기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를 확인한 시점인 것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서,
    상기 배출된 은 나노와이어를 NaCl 수용액 하에서 침전시켜, 상기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서,
    상기 배출된 은 나노와이어를 NaCl 수용액 하에서 침전시켜, 상기 제조된 은 나노와이어를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반응기의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은 나노와이어 용액을 수용하는 침전반응기에서 수행되는 것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서,
    상기 NaCl 수용액 내의 NaCl의 함량은,
    상기 NaCl 수용액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20중량% 이상, 및 30중량% 이하인 것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서,
    상기 반응기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용액의 배출 속도는,
    1.0ml/min 이상, 및 20ml/min 이하인 것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 1항에서,
    상기 제1 용액에서 상기 캡핑시약은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odone))이고,
    상기 제2 용액 내 상기 은염에 포함된 은 이온(Ag+)에 대한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odone)) 내 PVP 반복단위(repeat unit)의 몰 비는,
    1.0 초과, 및 16.0 미만인 것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12. 제 1항에서,
    상기 제 1용액 내 상기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0.24mM 초과, 및 10.0mM 미만인 것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13. 제 1항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듐 도데실 설파이트 (Sodium dodecyl sulfate, SDS), 쇼듐 에틸헥실 설파이트(Sodium 2-ethyl hexyl sulfate),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14. 제 1항에서,
    상기 캡핑시약은,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odone)),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15. 제 1항에서,
    상기 할로겐촉매는,
    NaBr, KBr, AgCl, KCl,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인,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KR1020160146398A 2016-11-04 2016-11-04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KR101922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398A KR101922631B1 (ko) 2016-11-04 2016-11-04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398A KR101922631B1 (ko) 2016-11-04 2016-11-04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906A KR20180049906A (ko) 2018-05-14
KR101922631B1 true KR101922631B1 (ko) 2018-11-27

Family

ID=6218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398A KR101922631B1 (ko) 2016-11-04 2016-11-04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197B1 (ko) * 2020-08-10 2022-04-25 한국광기술원 고전도성 투명 터치센서, 그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CN114178524B (zh) * 2021-12-30 2023-12-22 福州大学 基于离心原理可连续纯化银纳米线的方法
CN115502409B (zh) * 2022-09-29 2023-08-22 青岛九维华盾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纳米银线批量合成装置及合成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1435A (ja) 2011-02-15 2014-05-15 ケアストリーム ヘルス インク ナノワイヤ調製方法、組成物、および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1435A (ja) 2011-02-15 2014-05-15 ケアストリーム ヘルス インク ナノワイヤ調製方法、組成物、および物品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SC Adv., 2015, Vol.5, pp.29872-29877(2015.03.23.)*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은 나노와이어의 합성 및 터치패널용 투명전극 기판으로의 응용", 2013, 김석원(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906A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657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ilver-coated copper nanowire having core-shell structure by using chemical reduction method
US20190111491A1 (en) Methods of controlling nanostructure formations and shapes
Kumar et al. Promising wet chemical strategies to synthesize Cu nanowires for emerging electronic applications
US778539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nanoparticles
US963674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ilver nanowires
TWI508922B (zh) 生長銅奈米線之組成物及方法
KR101922631B1 (ko)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JP5211029B2 (ja) 金属シードを用いた金属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金属シードを含む金属ナノ粒子
US10226822B2 (en) Method for preparing metal nanoparticles using a multi-functional polymer and a reducing agent
US9539643B2 (en) Making metal and bimetal nanostructures with controlled morphology
US20140251087A1 (en) Production of nanostructures
KR20130142775A (ko)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KR101423563B1 (ko) 금속 및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 및 나노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2497069B1 (ko) 금속 나노와이어의 연속 흐름 제조
US10464136B2 (en) Preparation method of copper nano-structures
CN111014718A (zh) 一种简易条件下制备纳米银线的方法
CN108526480B (zh) 一种低成本快速制备铜纳米线的方法
CN110181074B (zh) 一种复合软模板法绿色制备高长径比银纳米线的方法
CN107406544B (zh) 用基于(甲基)丙烯酸酯的封端剂合成银纳米线
US9296622B2 (en) Method for continuous preparation of indium-tin coprecipitates and indium-tin-oxide nanopowders with substantially homogeneous indium/tin composition, controllable shape and particle size
KR101554927B1 (ko)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
Shi et al. Surfactant charge mediated shape control of nano-or microscaled coordination polymers: The case of tetrapyridylporphine based metal complex
KR20140104935A (ko)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Tan et al. Size control of 1D Sb 2 Se 3 nanorods prepared by a facile mixed solvothermal method with tartaric acid assistance
KR20150097152A (ko)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