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283B1 -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제공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제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283B1
KR101922283B1 KR1020147021097A KR20147021097A KR101922283B1 KR 101922283 B1 KR101922283 B1 KR 101922283B1 KR 1020147021097 A KR1020147021097 A KR 1020147021097A KR 20147021097 A KR20147021097 A KR 20147021097A KR 101922283 B1 KR101922283 B1 KR 10192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computing device
open instance
user input
associated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323A (ko
Inventor
존 마틴
앤드류 보로브스키
그라햄 필립 올드필드
리차드 마이클 콜린
Original Assignee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40108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5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 G06F9/4856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resumption being on a different machine, e.g. task migration, virtual machine mi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2Graphics controller able to handle multiple formats, e.g. input or output forma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 2 디바이스상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제공{PROVISION OF AN OPEN INSTANCE OF AN APPLICATION}
본 개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련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정 개시된 양태/실시예는 사용 시에 손으로 파지(hand-held)할 수 있는 (비록 사용 시에 크래들에 배치될 수는 있지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소위 핸드 포터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핸드 포터블 전자 디바이스는 소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 전화,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들은 종종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은 아마도 동시에 상이한 장치/디바이스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상이한 장치/디바이스상에서 또한 실행될 수 있는 균등한 애플리케이션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일부 공통 기능을 공유하지만, 각각은 또한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공통이 아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종래의 공개된 문서 또는 임의의 배경의 열거 또는 논의는 반드시 문서 또는 배경이 당시 기술의 일부이거나 통상의 일반 상식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실시예는 배경 이슈 중 하나 이상을 다룰 수 있거나 다루지 못할 수 있다.
제 1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장치가 적어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 2 디바이스상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제 1 디바이스상의 오픈 애플리케이션과 유사한 외관을 갖는 제 2 디바이스상의 오픈 애플리케이션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가 제 1 디바이스로부터의 디스플레이에서 점진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가 제 2 디바이스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가 제 1 또는 제 2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제 2 디바이스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제 1 또는 제 2 디바이스상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는 제 1 디바이스의 우측 측면을 벗어나서 그리고 좌측으로부터 제 2 디바이스의 스크린으로 분명히 슬라이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장치는 적어도 사용자 입력의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부분이 제 2 디바이스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적어도 사용자 입력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부분이 제 1 디바이스상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점진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부분이 제 2 디바이스상에 상응하게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특성은 사용자 입력의 방향, 사용자 입력의 속도, 및 사용자 입력의 반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 속도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의 명백한 전이가 발생하는 속도에 반영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특성은 속도 의존 특성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특성은 예를 들어 위쪽 방향으로 제 1 디바이스상의 사용자 입력이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나타내어 제 1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상단을 남기는 것으로 나타나고, 제 2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하단으로부터 상응하는 인스턴스의 외관을 제공하도록 방향 특성일 수 있다. 사용자는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는 반전된 입력의 방향을 적절히 따를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슬라이드 입력과 같은 입력을 수행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다시 원래 장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그/그녀의 마음을 변경하고 슬라이드 입력의 방향을 반전시키기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특성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콘텐츠가 2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전송되고 있다는 사용자 인식을 제공하기 위해 2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분배되도록 제 1 디바이스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부분 및 제 2 디바이스상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상의 각각의 부분은 2개의 장치 사이에서 분배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의 완전한 표현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 장치의 스크린에 걸친 경로의 3분의 1만큼 슬라이드 제스처를 제공하면, 명백한 전이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가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 3분의 1만큼 이동되는 것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오픈 인스턴스의 3분의 2는 제 1 디바이스상에 여전히 디스플레이되고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3분의 1은 제 2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전반적으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의 완전한 표현은 2개의 장치 사이에 분배되고 2개의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걸쳐 디스플레이된다.
장치는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가 제 2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된 후에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가 제 1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2 디바이스상에 개방된 후에,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1 디바이스상에 여전히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호 작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거나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제 1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영역에 걸친 스와이프(swip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와이프는 장치의 터치 감지 영역의 한 에지에서 시작한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손가락(또는 스타일러스, 또는 스크라이버 등)을 한 에지로부터 또는 장치 중 하나에 대한 (터치 감지) 스크린 또는 영역의 한 에지 외부로부터 슬라이딩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제 1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영역(a touch-sensitive region)에 의해 검출되는 소용돌이 제스처(a swirl gestur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소용돌이 제스처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또는 스타일러스, 또는 스크라이버 등)을 (터치 감지) 스크린상의 나선형, 아치형 또는 원형 움직임 주변에 이동시킴으로써 소용돌이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는 음성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Come to smartphone"와 같은 '풀' 타입 음성 명령을 제공하거나, "Go to desktop"와 같은 '푸시' 타입 음성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러한 음성 명령을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또는 제 1 및 제 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는 오디오 입력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주변 장치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장치 또는 제 1 디바이스 또는 제 2 디바이스와 연관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상에 이루어지는 이하의 제스처: 슬라이드, 디스플레이의 한 에지로부터의 슬라이드, 탭, 다수의 탭, 누르기(a press), 튀기기(a flick), 핀치 제스처(a pinch gesture), 및 소용돌이 제스처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완드(wand), 포인트 스틱,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스타일러스 및 패드, 마우스, 물리 키보드, 가상 키보드, 조이스틱, 리모트 컨트롤러, 버튼, 마이크로폰, 모션 검출기, 위치 검출기, 스크라이버 및 가속도계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동일한 데이터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제 1 디바이스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 2 디바이스상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함으로써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콘텐츠는 애플리케이션이 개방될 때마다 이러한 콘텐츠가 통상 저장되고 이용 가능하다는 점에 영속적 데이터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장치는 동일한 일시적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제 1 디바이스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 2 디바이스상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함으로써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시적 콘텐츠는 영속적이지 않고, (특히 시스템 장애 후 데이터 복구와 같은 예외 상황을 제외하고) 통상 저장되지 않는 콘텐츠 및/또는 데이터로 간주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개방하는 인스턴스 사이에 이용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제 1 및 제 2 디바이스에 위치된 각각의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액세스함으로써 각각의 제 1 및 제 2 디바이스상에 사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장치는 그의 각각의 메모리상에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제 1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각각의 오픈 인스턴스에 제공될 수 있는 공통 레벨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2개의 애플리케이션은 공통 업무가 수행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둘 다는 텍스트 편집을 허용할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디바이스의 동일한 운영 체제를 사용하여 제 1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각각의 오픈 인스턴스에 제공될 수 있는 공통 레벨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디바이스의 상이한 운영 체제를 사용하여 제 1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각각의 오픈 인스턴스에 제공될 수 있는 공통 레벨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장치는 동일한 작업이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일, 또는 상이한 운영 체제를 갖고, 공통 레벨의 기능을 갖는 이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디바이스의 동일한 운영 체제를 사용하여 제공된 균등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디바이스의 상이한 운영 체제를 사용하여 제공된 균등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각각의 장치는 동일, 또는 상이한 운영 체제를 갖고, 이용 가능한 균등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균등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상이한 조직에 의해 제조되지만, 본래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느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도록 선택하는지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동일한 작업을 유사한 방법으로(심지어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2개의 워드 프로세싱 패키지일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원격 서버와의 통신에 의해 각각의 제 1 및 제 2 디바이스상에 사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는 각각의 제 1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원격 서버와의 통신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원격 서버와의 통신에 의해 각각의 제 1 및 제 2 디바이스상에 사용을 위해 제공되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은 원격 서버상에 저장된 이메일 클라이언트 아웃룩일 수 있고,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는 아웃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는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할 수 있다.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장치는 다른 디바이스로의 연결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는 각각의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장치는 상이한 기능에 이용 가능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 콘텐츠는 텍스트, 번호, 필드, 셀, 이미지 콘텐츠, 오디오 콘텐츠, 비디오 콘텐츠, 및 웹페이지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콘텐츠는 윈도우 타이틀, 버튼, 아이콘 및 메뉴와 같은, 특정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포함하지 않으며; 그러한 요소는 애플리케이션의 셸(shell)에 이용 가능할 것이고 사용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시적 콘텐츠는 포인터 위치, 커서 위치, 줌 팩터, 페이지상의 위치, 윈도우 크기,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 내의 위치, 윈도우 폼 팩터(form factor), 디스플레이상의 윈도우의 위치, 툴바 설정, 및 강조된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상에 제공되는(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는 제 2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와 실질적으로 상이한 외관(a different appearance)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애플리케이션은 공통 레벨의 기능을 제공할지라도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운영 체제를 갖는 장치상에 또는 상이한 버전의 동일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상에 실행되면, 2개의 애플리케이션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 랩톱 컴퓨터, 이동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시계, 비휴대용 전자 장치,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서버, 또는 그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모듈/회로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크기들, 상이한 디스플레이 폼 팩터, 상이한 디스플레이 해상도, 및 상이한 디스플레이 색상 배합 중 하나 이상을 각각 가질 수 있고, 장치는 제 2 디바이스상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제공에서 이러한 상이한 양태를 고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는 적외선 연결, 블루투스 연결, 무선 연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연결, 전화 연결, 물리적 유선 연결, 네트워크 연결, 및 수동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조합에 의해 통신가능하게 링크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링크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제 1 오픈 인스턴스와 연관된 일시적 콘텐츠가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제공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즉, 한 장치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로의 애플리케이션의 명백한 전달("이동하는 것"의 외관)은 상기와 같이 통신 링크를 통할 수 있다.
추가 양태에서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 2 디바이스상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 양태에서,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되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상에 실행될 때, 적어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 2 디바이스상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추가 양태에서, 장치가 제공되며,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 2 디바이스상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조합하여 또는 개별적으로 (청구된 것을 포함하여) 특별히 언급하든 언급하지 않든 개별적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으로 하나 이상의 상응하는 양태, 실시예 또는 특징을 포함한다. 논의된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상응하는 수단은 또한 본 개시 내에 속한다.
개시된 방법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기 위한 상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본 개시 내에 속하고 개시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포괄된다.
상기 요약은 단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이제 설명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오직 예로서 주어진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 장치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예시적 장치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추가 예시적 장치를 예시한다.
도 4a-도 4b는 상이하고 동일한 운영 체제를 갖는 장치/디바이스상에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다.
도 5는 서버와 통신하는 다수의 장치/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6a-도 6f는 3개의 상이한 장치/디바이스를 가로질러 이동되는 맵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예시한다.
도 7a-도 7f는 2개의 상이한 장치/디바이스를 가로질러 이동되는 텍스트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오픈 인스턴스를 예시한다.
도 8a-도 8g는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가 한 장치/디바이스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디바이스로 이동할 수 있는 상이한 방법을 예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방법에 따른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10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전자 장치/디바이스는 종종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은 아마도 동시에 상이한 장치/디바이스상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무실은 동일한 워드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모두 실행할 수 있는 다수의 데스크톱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원격 서버상에 저장되고 상이한 장치/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거나,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개별 데스크톱 컴퓨터상에 사용을 위해 국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고, 또한 상이한 장치/디바이스상에 실행할 수 있는 균등 애플리케이션(equivalent appllications)이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균등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워드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Word), 워드 퍼펙트(WordPerfect), 및 오픈 오피스 라이터(Open Office Writer)일 수 있다. 이러한 3개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균등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그것은 실제로 상이한 워드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이다.
또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일부 공통 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한편 각각은 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공통이 아닌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플로팅(plotting) 애플리케이션은 공통 기능을 공유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애플리케이션은 일부 공통 기능을 공유하지만(예를 들어, 태뷸러/셀루러 포맷으로 데이터를 조직할 수 있음) 각각은 공유되지 않은 그 자체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은 더 고급의 텍스트 기반이 레포트가 생성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데이터 플로팅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기능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지만, 데이터 플로팅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더 고급의 방법으로, 예를 들어, 함수 및 통계적 분석을 사용하여 플로팅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지만, 스프레드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기능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것은 그러한 장치/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하나보다 많은 장치/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업무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또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할 수 있는 것에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는 스프레드시트 내의 데이터가 제공되고 사용자는 데이터 플로팅 애플리케이션에서 그 데이터를 사용하여 정교한 그래프를 플로팅하기를 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스마트폰상에서 이메일을 수신하고, 그들이 스마트폰상의 이용 가능한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큰 키보드상에 타이핑하는 것이 더 쉽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으므로 랩톱 컴퓨터 또는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그 이메일에 대한 응답을 작성하기를 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전화에 내장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진을 찍을 수 있지만, 자신의 태블릿 PC, 랩톱,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상의 사진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조작하기를 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이한 장치상의 하나보다 많은 애플리케이션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되거나 현재 수행되고 있는 업무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쉽고 직관적인 방법을 갖는 것은 유익할 수 있다. 이것은 업무가 수행되는 것을 계속하기 위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폐쇄하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개방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을 수행할 시에, 일부 정보가 전송으로 인해 누락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워드 프로세싱 업무를 한 애플리케이션/장치로부터 다른 애플리케이션/장치로 이동시키는 예에서, 통상 전송 동안 누락되는 정보는 텍스트 내의 텍스트 커서(캐럿(caret))의 위치, 줌 설정, 보여지는 페이지 번호, 및 다음 문자 입력에 대해 인에이블되는 폰트 설정(예를 들어 볼드체, 이탤릭체, 취소선)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브라우징하는 업무를 전송하는 예에서, 업무를 한 애플리케이션/장치로부터 다른 애플리케이션/장치로 전송할 시에 누락된 정보는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줌 팩터, 비디오의 해상도, 사용자가 (예를 들어 20 초에서 1 분 클립으로) 보고 있었던 비디오 내의 위치 및 오디오 설정(예를 들어 볼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데이터(소위 일시적 콘텐츠)가 업무 전달 사이에서 보존되었다면 이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애플리케이션(적어도 하나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의 오픈 인스턴스를 한 장치/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디바이스/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비교적 쉽고 직관적인 방법이 있었다면 이득을 다수의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폐쇄하고, 그 다음에 제 2 디바이스상의 제 2 균등 애플리케이션을 개방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그 다음에 동일한 작업/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작업을 제 2 애플리케이션/장치에서 재개하기 위해 제스처를 한 장치의 터치 감지 스크린상에 수행할 수 있었다면, 이때 사용자는 장치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수행된 업무를 전송하는 더 순조롭고 더 간단한 방법을 경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의 특징을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 2 디바이스상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위에 명시된 이득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입력(I) 및 출력(O)을 포함하는 장치(100)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메모리만이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예가 하나 보다 많은 프로세서 및/또는 하나보다 많은 메모리(예를 들어 동일 또는 상이한 프로세서/메모리 타입)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장치(100)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대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일 수 있다. 장치(100)는 또한 장치에 대한 모듈일 수 있거나, 장치 자체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범용 CPU이고 메모리(120)는 범용 메모리이다.
입력(I)은 추가 구성요소로부터 장치(100)로의 시그널링의 수신을 허용한다. 출력(O)은 장치(100)로부터 추가 구성요소로의 시그널링의 전진적 제공을 허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입력(I) 및 출력(O)은 추가 구성요소에 장치(100)의 연결을 허용하는 연결 버스의 일부이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상에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입력(I)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실행/처리하는 데 전용인 범용 프로세서이다. 프로세서(110)로부터 그러한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시그널링은 출력(O)을 통해 추가 구성요소에 계속 제공된다.
메모리(120)(반드시 단일 메모리 유닛인 것은 아닌)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고체 상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ROM, RAM, 플래시 또는 다른 메모리와 같은)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그램 코드가 프로세서(110)상에 실행될 때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한다. 메모리(120)와 프로세서(110) 사이의 내부 연결은 프로세서(110)가 메모리(120)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 사이에 액티브 커플링(active coupling)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입력(I), 출력(O), 프로세서(110) 및 메모리(120)는 각각의 구성요소(I, O, 110, 120) 사이의 통신을 허용하도록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는 이러한 예에서 ASIC과 같이 서로 근접하여 위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성요소(I, O, 110, 120)는 전자 장치에서의 설치를 위해 단일 칩/회로에 통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는 개별적으로(예를 들어, 장치(200, 300)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 도처에, 또는 "클라우드"를 통해) 위치될 수 있고/있거나, 다른 기능을 제공/지원할 수 있다.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예는 도 2에서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구성요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 2는 개별 구성요소를 통해 장치(100)의 기능을 통합하는 장치(100)의 변형을 도시한다. 다른 예에서, 장치(200)는 이동 전화 또는 PDA 또는 오디오/비디오 플레이어 등에 대한 모듈(선택적 파선 박스에 의해 도시되는)로서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모듈, 장치 또는 장치는 적절히 구성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장치/장치(2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e-lnk, 또는 터치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디스플레이(240)를 포함한다. 장치(200)는 데이터를 수신하고/하거나, 데이터를 포함하고/하거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포트(도시되지 않은)에 연결을 위한 안테나(260)와 통신하는 통신 유닛(250)(수신기, 송신기, 및/또는 송수신기와 같은)을 포함한다. 장치(20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20)를 포함하며, 데이터는 안테나(26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로부터, 또는 통신 유닛(250)으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240), 및/또는 장치가 제공된 임의의 다른 출력 장치를 통해 장치(200)의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또한 데이터를 나중의 사용자를 위해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장치는 통신 버스(280)를 통해 연결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통신 유닛(250)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물리적 연결을 수락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포트(도시되지 않은)에 연결하기 위한 안테나(260)와 통신하는 수신기, 송신기, 및/또는 송수신기일 수 있으며, 그 결과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타입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통신(또는 데이터) 버스(280)는 프로세서(210)가 메모리(220)상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프로세서(210)와 메모리(또는 저장 매체)(220) 사이에 액티브 커플링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장치(100)의 메모리(120)와 동일한 방법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지만, 또한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로부터, 메모리(220)로부터, 또는 통신 유닛(25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의 출처에 상관없이 이러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240) 및/또는 장치에 제공된 임의의 다른 출력 장치를 통해 장치(200)의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또한 데이터를 나중의 사용자를 위해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장치(300)는 전자 장치(태블릿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휴대용 전기통신 장치, 또는 그러한 장치에 대한 모듈일 수 있다. 장치(100)는 장치(300)에 대한 모듈로, 또는 심지어 장치(300)에 대한 프로세서/메모리로 그러한 장치(300)에 대한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장치(300)는 프로세서(385) 및 저장 매체(390)를 포함하며, 이들은 데이터 버스(38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데이터 버스(380)는 프로세서(380)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프로세서(385)와 저장 매체(390) 사이에 액티브 커플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장치(100)는 장치(100)로부터 출력을 수신하고 이것을 데이터 버스(380)를 통해 장치(300)에 송신하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터페이스(370)는 데이터 버스(380)를 통해 장치(100)로부터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375)(터치 감지 또는 다른)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75)는 장치(300)의 일부일 수 있거나 분리될 수 있다. 장치(300)는 또한 그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해 시그널링을 다른 디바이스 구성요소에 제공하고 이 구성요소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함으로써 장치(300) 뿐만 아니라 장치(100)의 일반적 제어를 위해 구성되는 프로세서(385)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390)는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 제어 또는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 매체(390)는 다른 디바이스 구성요소에 대한 설정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85)는 다른 디바이스 구성요소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해 구성요소 설정을 검색하도록 저장 매체(39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저장 매체(390)는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일시적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저장 매체(390)는 또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영속적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저장 매체(390)는 동일 또는 상이한 메모리 타입의 상이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었다.
도 4a-도 4b는 사용 중인 2개의 장치(디바이스): 태블릿 PC(400)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 및 데스크톱 또는 랩톱 컴퓨터(430)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장치(400, 430)는 스프레드시트(404, 434, 464)에서 데이터의 조작을 허용하는 애플리케이션(402, 432, 462)을 각각 실행하고 있다.
도 4a는 운영 체제 "A"(406)를 사용하고 각각의 아이콘(408)(예를 들어 새로운 워크시트, 클립보드, 삭제, 프린트, 송신)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특정 기능을 갖는 스프레드시트(404) 애플리케이션인 애플리케이션(402)을 실행하는 제 1 디바이스(400)를 도시한다. 제 2 디바이스(430)는 상이한 운영 체제 "B"(436)를 사용하지만, 또한 제 1 디바이스(400)상에 실행하는 것에 대한 균등 스프레드시트(434) 애플리케이션인 애플리케이션(432)을 실행하고 있다. 동일한 특정 기능은 2개의 애플리케이션(402, 432)의 등가를 예시하는 각각의 아이콘(408, 43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400) 및 제 2 디바이스(430)상에 실행하는 2개의 애플리케이션(402, 432)상에 이용 가능하다.
제 1 애플리케이션(402) 및 제 2 애플리케이션(432) 둘 다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그것은 각각의 제 1 디바이스(400) 및 제 2 디바이스(430)의 상이한 운영 체제(406, 436)를 사용하여 제공된 균등 애플리케이션(402, 432)이다. 2개의 장치(400, 430)는 동일한 운영 체제 "A"(406), "B"(436), 또는 다른 운영 체제를 사용하고 있을 수 있었고, 균등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장치상에 실행될 수 있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제 2 애플리케이션(432)은 제 1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이 각각 등가이거나(즉 그것이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거나), 동일한 것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402)과 "적어도 관련"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2개의 애플리케이션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상이한 인스턴스라는 의미에서 동일할 수 있거나, 단일 인스턴스가 제 1 디바이스(400)로부터 제 2 디바이스(430)로 전송되었던 상태에서, 한 애플리케이션의 동일한 인스턴스라는 의미에서 동일할 수 있다.
운영 체제 "A"(406)를 사용하고 각각의 아이콘(40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특정 기능을 갖는 스프레드시트(404) 애플리케이션인 애플리케이션(402)을 실행하는 제 1 디바이스(400)를 다시 도시하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예를 고려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제 2 디바이스(430)는 동일한 운영 체제 "A"(466)를 사용한다. 제 2 디바이스(430)는 제 1 디바이스(400)상에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402)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공통 레벨의 기능을 갖는 애플리케이션(462)을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서의 공통 레벨의 기능은 스프레드시트(464)가 제 2 디바이스(430)상에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드시트(404)가 제 1 디바이스(400)상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공통 기능은 또한 동일한 공통 기능을 갖는 임의의 메뉴 옵션(408, 468)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462)은 또한 기능이 새로운 워크시트를 개방하고, 클립보드를 사용하고, 데이터를 삭제, 프린트, 및 송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그러한 기능은 애플리케이션(402)의 아이콘 기반 옵션(408)보다는 오히려 텍스트 기반 메뉴(468)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다. 따라서, 메뉴 옵션은 아이콘 기반 옵션(408) 및 텍스트 기반 메뉴 옵션(468)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402, 462)에서 상이한 표현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 2 디바이스(430)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462)은 제 1 디바이스(400)상에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402)에 비해 부가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462)은 스프레드시트(464) 사용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명령 라인 타입 입력(470), 상이한 메뉴/아이콘 기능(468)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작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데이터(472)의 그래픽 표현과 같은 상이한 출력을 허용할 수 있는 데이터 조작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물론, 애플리케이션(402)은 또한 예를 들어 재무 보고 생성과 같은, 제 2 애플리케이션(462)에 이용 가능하지 않은 기능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 1 디바이스(40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애플리케이션(402)의 오픈 인스턴스는 제 2 디바이스(43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적어도 관련(제 2) 애플리케이션(462)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와 실질적으로 상이한 외관을 갖는다. 외관은 명령 라인 입력 영역(470), 파일/메뉴 옵션(468), 및 그래픽 디스플레이(472)와 같은,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되는 상이한 요소가 있다는 점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402)에 비해 제 2 애플리케이션(462)에서 상이한 것으로 도 4b에 도시된다. 상이한 색상 배합, 상이한 폰트, 상이한 디스플레이 크기들 및 폼 팩터, 상이한 스타일 버튼/아이콘/메뉴 시스템, 및 많은 다른 가능한 팩터를 갖는 것과 같이, 외관이 2개의 애플리케이션의 2개의 오픈 인스턴스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법이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제 1 애플리케이션(402) 및 적어도 관련 제 2 애플리케이션(462)은 이러한 경우에 동일한 운영 체제 "A"(406, 466)를 사용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402)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462)의 각각의 오픈 인스턴스에 제공되는 공통 레벨의 기능을 제공한다. 2개의 장치(400, 430)는 상이한 운영 체제를 사용할 수 있었고, 공통 레벨의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장치상에 여전히 실행될 수 있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도 4a 및 도 4b의 제 1 디바이스(400) 및 제 2 디바이스(430)는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며, 즉, 서버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로의 연결 없이 독립형 장치로 사용되고, 제 1 애플리케이션(402) 및 적어도 관련(제 2) 애플리케이션(432, 462)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외부 원격 서버와 통신하는 수개의 장치(디바이스)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한다. 예시된 장치는 2개의 랩톱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502, 504), 디지털 카메라(506), 스마트폰/이동 전화/PDA(508) 및 태블릿 PC(510)를 포함한다. 임의의 수의 장치는 여기서 클라우드(512)로 도시되지만, 물리 서버(514)일 수 있는 원격 서버(512, 514)와 통신할 수 있다. 원격 서버(512, 514)와의 통신(516, 518, 520, 522, 524)은 각각의 장치에 대한 양방향 통신이다. 각각의 장치(502, 504, 506, 508, 510)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원격 서버(512, 514)와의 통신(516, 518, 520, 522, 524)에 의해 여러가지 상이한 장치(502, 504, 506, 508, 510)상에 사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처리 애플리케이션은 서버(512, 514)에서 이용 가능할 수 있고, 상이한 버전의 이러한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가 이용 가능할 수 있으며, 각각의 버전은 특정 장치상의 사용에 더 적당하다. 예를 들어, 비교적 큰 기능을 갖는 버전은 랩톱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상의 사용에 적절할 수 있으며, 감소된 기능을 갖는 버전은 이동 전화 또는 스마트폰상의 사용에 적절할 수 있고, 디지털 카메라상의 사용에 적절한 특정 기능을 갖는 버전이 또한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은 원격 서버(512, 514)와의 통신(516, 518, 520, 522, 524)에 의해 여러가지 상이한 장치(502, 504, 506, 508, 510)상에 사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미니 게임, 텍스트 메시지 편집기, 또는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더욱 많은 것이 가능함).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장치상에만 국부적으로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원격 서버와 통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장치와 서버 사이에 분배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치/서버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함께 실행될 필요가 있다.
서버는 예를 들어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허용함으로써 사용을 위해, 동일, 또는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다운로드 후에, 장치는 서버와의 추가 통신 없이,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독립형 장치로 실행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예를 들어 갱신된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저장하기 위해, 서버와 더 통신할 수도 있다. 사용을 위해 제공된 것은 또한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상에 저장되고 실행되고 있고, 사용을 위해 그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된 장치가 서버상에 실행되고 있는 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도록 취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장치의 사용자는 서버와의 통신이 중단되거나 종료되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하나 이상의 장치가 통신하고 있는 하나보다 많은 원격 서버가 있을 수 있다.
도 6a - 도 6f는 사용 중의 3개의 장치(디바이스): 태블릿 PC(600)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 데스크톱 또는 랩톱 컴퓨터(630), 및 스마트폰/이동 전화/PDA(660)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장치(600, 630, 660)는 맵 애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이 제 1 디바이스(600)상의 제 1 맵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 2 디바이스(630)상의 적어도 관련(맵)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는 또한 제 2 사용자 입력이 제 2 디바이스(630)상의 제 2 맵 애플리케이션의 제 2 오픈 인스턴스를 제 3 장치(660)상의 적어도 관련(맵)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게 할 수 있다. 3개의 장치(600, 630, 660)는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할 수 있으며, 즉 예를 들어 태블릿 PC(600)는 동작시키기 위해 반드시 다른 디바이스로의 또는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로의 임의의 연결을 필요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그러나 다른 디바이스로의 및/또는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으로의 그러한 연결이 가능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 기능을 제공하는 데 유용할 것임). 3개의 장치는 또한 각각의 기능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할 수 있고, 맵 애플리케이션만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자동차용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특정 장치는 GPS 내비게이션/맵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한 애플리케이션만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도 6a는 제 1 애플리케이션(602), 이러한 예에서 맵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태블릿 PC(600)와 같은 제 1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6a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마커(606)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된 맵의 영역으로 줌(608)하기로 결정한다. 이러한 사용자 마커는 예를 들어 (장치가 GPS 위치 능력을 포함하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마커(606)는 친구의 집, 레스토랑, 또는 랜드마크와 같은 특정 장소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위치된 플래그일 수 있다. 특정 장소는 또한 계획된 여행의 시작 또는 종료로서 사용자에 의해 마킹될 수 있었다.
이러한 마커는 맵상의 일시적 지시자이고, 맵 애플리케이션(602)이 폐쇄되었다면, 이러한 마커는 (그것이 정식으로 맵 상세와 같은 다른 데이터 콘텐츠와 함께 데이터 콘텐츠로 우선 저장되지 않은 경우) 누락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마커는 일시적 콘텐츠로 간주될 수 있다. 유사하게, 줌된 영역은 맵 애플리케이션이 폐쇄된다면 맵 애플리케이션을 재개방할 시에 특정 줌 인 영역(604)이 검색되지 않을 것이고 사용자가 영역(604)의 줌 및 디스플레이를 다시 재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으므로, 일시적 콘텐츠로 간주될 수 있다. 줌 팩터, 및 사용자 마커와 같은 일시적 데이터는 통상 애플리케이션이 폐쇄될 시에 통상 저장되지 않는 데이터로 생각될 수 있으며, 즉 일시적 데이터는 통상 개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 사이에서 지속되지 않을 것이다.
일시적 데이터의 다른 예는 디스플레이상의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 텍스트 영역 내의 텍스트 커서의 위치; 페이지가 예를 들어 텍스트 문서, 스프레드시트, 웹사이트, 또는 맵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디스플레이상의 윈도우의 크기;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예를 들어, 15 분에서 2 시간 영화) 내의 위치, 디스플레이된 윈도우 또는 영역의 폼팩터(상대 치수), 디스플레이상의 윈도우(예를 들어 상단 우측 코너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도시된 윈도우)의 위치, 툴바 설정(텍스트 포맷(예를 들어 '볼드체', '이탤릭체', '취소선', '밑줄')), 텍스트 자리맞춤(justification)(좌측, 중심, 우측, 자리맞춤), 또는 폰트 스타일(포인트 크기, 폰트 컬러, 폰트 타입)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또는 강조된 요소(텍스트 문서에 강조된 문자열, 스프레드시트에 강조된 셀 또는 셀들, 또는 연락처 목록에 강조된 연락처와 같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시적 콘텐츠는 애플리케이션이 정식으로 폐쇄될 시에 누락되고,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개방될 때 사용자에 의해 재정의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오픈 애플리케이션(602)에 디스플레이된 맵은 또한 이미지(도로, 빌딩, 숲 등)로 디스플레이된 실제 맵 요소와 같은 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맵 요소는 데이터 콘텐츠를 형성한다. 데이터 콘텐츠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개방할 시에 그것이 사용자에게 항상 이용 가능할 것이라는 점에서, 영속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맵 애플리케이션 자체는 또한 메뉴 및 버튼/아이콘과 같은 요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그러한 요소는 데이터 콘텐츠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을 것이다. 맵 애플리케이션이 개방될 때마다, 맵 요소, 메뉴, 버튼 및 텍스트는 어느 맵이 보여지는 것으로 개방된 것에 상관없이, 또는 실제로 보기를 위해 어떤 맵도 현재 개방되지 않았을지라도 사용자에게 제공되고/되거나 이용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상이한 맵 애플리케이션은 상이한 메뉴 및/또는 버튼/아이콘을 가질 수 있고 여전히 사용자가 동일한 데이터 콘텐츠, 즉 그 맵 요소를 갖는 동일한 맵을 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데이터 콘텐츠의 다른 예는 텍스트(워드 프로세싱 문서, 이메일, 데이터베이스, 텍스트 기반 메시지 또는 연락처 목록에 저장된 텍스트와 같은); 번호(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 패키지, 또는 연락처 목록에 이루어진 입력과 같은); 필드(데이터베이스에 이루어진 입력, 웹사이트 내의 필드에 입력된 텍스트와 같은); 셀(스프레드시트 입력과 같은); 이미지 콘텐츠(사진, 맵, 그림, 프리젠테이션 슬라이드 콘텐츠, 및 게임 내의 이미지와 같은); 오디오 콘텐츠(음악, 노래, 음성 녹음 및 게임 사운드트랙과 같은); 비디오 콘텐츠(게임 내의 비디오 컷, 및 영화와 같은); 및 웹페이지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및 하이퍼링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 리스트는 총망라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이전에 폐쇄된 애플리케이션을 개방할 시에, 그러한 데이터 콘텐츠가 통상 사용자에게 제공되고/되거나 이용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도 6b는 사용자 마커(606)를 포함하는, 도 6a의 맵 애플리케이션(602)에서 선택된 맵의 줌된 영역(604)을 도시한다. 이 시점에, 장치(630) 및 장치(660)는 임의의 오픈 애플리케이션을 그 각각의 디스플레이(650, 680)상에 도시하지 않는다. 이러한 장치상에 현재 개방되는 어떤 애플리케이션도 있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개방된 맵 애플리케이션이 있을 수 있지만, 맵 애플리케이션은 그것이 실행되고 있지만, 그것이 현재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최소화'되거나 숨겨진다. 임의의 경우에, 장치(630, 660)는 사용에 이용 가능한 맵 애플리케이션을 갖는다. 장치(630, 660)의 맵 애플리케이션은 그것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거나(예를 들어, 모든 3개의 장치(600, 630, 660)가 동일한 맵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거나) 그것이 공통 레벨의 기능을 구비한 맵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장치(600)의 맵 애플리케이션과 적어도 관련된다(예를 들어, 장치(600)의 맵 애플리케이션(602)은 하나의 특정 맵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는 반면, 장치(630)는 상이한 맵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고 장치(660)는 2개의 다른 맵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공통 레벨의 기능을 모두 가짐).
이러한 예에서, 맵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장치에 위치된 각각의 메모리에 액세스함으로써 장치(600, 630, 660)상에 사용을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 1 맵 애플리케이션(602)은 제 1 디바이스(600)에 위치된 제 1 메모리(도시되지 않은)상에 위치되고, 제 2 맵 애플리케이션(638)은 제 2 디바이스에 위치된 제 2 메모리(도시되지 않은)상에 위치되고, 제 3 맵 애플리케이션(638)은 제 3 장치에 위치된 제 3 메모리(도시되지 않은)상에 위치된다.
도 6c에서, 사용자(632)는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 사용자 입력(634)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는 슬라이드 제스처를 컴퓨터(630)의 터치 감지 스크린에 제공하고 있다. 다른 사용자 입력은 슬라이드 제스처 대신에 사용될 수 있고, 적절한 사용자 입력의 일부 예는 도 8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634)에 기초하여,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600)의 맵 애플리케이션(602)의 오픈 인스턴스는 제 2 디바이스(630)상의 적어도 관련(맵)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638)로서 제공된다. 즉, 사용자 입력(632)으로 인해, 제 1 디바이스(600)상에 개방된 맵 애플리케이션(602)은 이제 제 2 디바이스(630)상의 맵 애플리케이션(638)의 오픈 인스턴스로서 나타난다. 이러한 예에서, 동일한 데이터 콘텐츠(맵 특징) 및 동일한 일시적 콘텐츠(줌 팩터, 사용자 마커(636))는 제 1 디바이스(600)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602)에 제공된 것처럼 제 2 디바이스(630)상에 제공된다.
도 6c에 도시된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가 그/그녀의 손가락을 점진적으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 1 애플리케이션(602)의 오픈 인스턴스는 제 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점진적으로 제거되고, 제 2(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638)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는 제 2 디바이스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점진적 제거/디스플레이는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 입력의 방향으로 발생하며; 즉,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634)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슬라이딩하고 있고 좌측상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우측의 제 2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명백한 전이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동일한 방향이다. 용어 "명백한 전이"는 이러한 예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가 실제로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된다. 일시적 콘텐츠 및 데이터 콘텐츠는 2개의 장치(600, 630) 사이에서 동기화되고, 제 2 디바이스상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는 사용자 입력 전에 제 1 디바이스상에 보여지는 것과 공통 특징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일시적 콘텐츠 및 데이터 콘텐츠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예에서, 로컬 상태(일시적 콘텐츠 및 데이터 콘텐츠를 포함하는)가 제 1 디바이스에서와 같이 제 2 디바이스상에 복제되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로 전송되었다는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폼 팩터의 차이는 이러한 예에서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장치(600) 및 장치(630)의 디스플레이의 폼 팩터는 상이하므로,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폼 팩터는 제 1 디바이스(600)상에 디스플레이된 제 1 애플리케이션(602)의 오픈 인스턴스가 제 2 디바이스(630)상에 디스플레이된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와 동일한 맵(줌 인 영역(604))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적절히 변경된다.
다른 예에서, 디스플레이된 오픈 애플리케이션의 폼 팩터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오픈 인스턴스를 디스플레이할 시에 보존되지 않을 수 있고, 폼 팩터는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가장 적합하게 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랩톱의 풍경 지향 모니터상의 와이드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도시된 비디오는 초상화 지향 스크린을 갖는 이동 전화상에 후속 개방되면 와이드스크린의 폼 팩터를 유지할 수 있으며; 비디오를 나타내지 않는 이동 전화 스크린의 다른 영역은 블랙이거나 다른 옵션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경관 지향하도록 이동 전화를 회전시키면 영화가 상응하게 회전되고 이동 전화의 경관 지향 디스플레이상의 경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2개의 장치(600 및 630)는 상이한 폼 팩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상이한 디스플레이 크기들을 갖는다. 제 2 디바이스상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는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제 2 디바이스의 더 큰 스크린을 수용하기 위해 제 1 디바이스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와 비교하여 리사이징된다. 2개의 장치(600, 630)는 또한 상이한 디스플레이 해상도 및/또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색상 배합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한 장치는 블랙 및 화이트 스크린을 가질 수 있고, 다른 디바이스는 컬러 스크린을 가질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600)로부터의 디스플레이에서 점진적으로 제거되고 제 2 디바이스(630)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맵의 명백한 전이는 사용자 입력(634)의 속도 의존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더 빠른 슬라이드 제스처(634)를 나타내면, 명백한 전이가 비교적 더 빠르게 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비교적 느린 슬라이드 제스처(634)를 나타냈으면, 이때 명백한 전이는 비교적 더 느릴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슬라이드 제스처를 나타내기 시작할 수 있으며, 그 다음(그것이 전이를 실시하기 원하는 것에 관한 그의 마음을 변경했다면) 그는 자신의 입력을 반전시키고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다시 원래 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제공은 2개의 장치 사이에만 있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e는 제 3 장치(660)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 사용자 입력(664)을 제공하는 사용자(662)를 도시한다. 또한, 사용자는 슬라이드 제스처(664)를 이동 전화/스마트폰/PDA(660)의 터치 감지 스크린에 제공하고 있다(그러나 다른 사용자 입력이 가능함).
이러한 사용자 입력(664)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630)의 맵 애플리케이션(638)의 오픈 인스턴스는 제 2 디바이스(660)상의 적어도 관련(맵)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668)로서 제공된다.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664)으로 인해, 제 2 디바이스(630)상에 제공된 맵 애플리케이션(638)은 이제 제 3 장치(660)상의 맵 애플리케이션(668)의 오픈 인스턴스로서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데이터 콘텐츠(맵 특징) 및 동일한 일시적 콘텐츠(줌 팩터, 사용자 마커(636))는 제 2 디바이스(630)의 제 2 애플리케이션(638) 및 제 1 디바이스(600)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602)에 제공된 것처럼 제 3 장치(660)상에 제공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일시적 콘텐츠가 전달 중에 보존되었으므로, 다시 줌 인하거나, 사용자 입력 후에 임의의 새로운 사용자 마커(666)를 삽입할 필요가 없다.
도 6f에 도시된 예에서, 제 2 애플리케이션(638)의 오픈 인스턴스는 맵 애플리케이션(668)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가 제 3 장치(660)상에 디스플레이된 후에 제 2 디바이스(630)상에 디스플레이(640)를 유지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러한 나머지 디스플레이(640)는 사용자에게 제 2 디바이스(630)상에 디스플레이되었던 것을 상기시키지만 이전과 같이 완전한 상호 작용을 허용하지 않는 이미지로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나머지 디스플레이(640)는 여전히 실행하고 있고 사용자가 여전히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제 2 애플리케이션(638)일 수 있다. 제 1/제 2 디바이스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제 2/제 3 장치로의 분명한 전이 후에 폐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물론, 그것은 개방을 유지하고 갱신될 수 있어, 사용자가 상호 작용하고 있는 장치상에 이루어진 변경과 동기화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을 구성하고 제 3 장치(660)상의 오픈 애플리케이션(668)을 조작할 수 있지만, 그 또는 그녀는 또한 입력을 구성하고 제 2 디바이스(630)상의 오픈 애플리케이션(638)을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오로지 오픈 인스턴스가 제공되었기 때문에 추가 장치가 여전히 초기 장치상에 실행되고 있는 오픈 애플리케이션의 능력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 제 2 디바이스(630)상에 이루어진 임의의 입력은 제 2 디바이스(630)상의 애플리케이션(638)의 오픈 인스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지만; 제 2 디바이스(630) 및 제 3 장치(660)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일시적 콘텐츠의 지속 동기화는 제 2 디바이스(630)에서 그러한 입력의 효과가 제 3 장치(660)상에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서, 장치 중 하나, 또는 원격 서버는 다수의 장치 사이에서 동기화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역할을 할 수 있거나, 장치 중 하나보다 많은 장치는 협력하여 동기화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제스처는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가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로부터 풀링되는 것으로 인식되는 점에서, 풀 제스처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예에서, (제스처) 입력은 제 2 디바이스상에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의 푸시 제스처 입력일 수 있었다.
2개의 장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제공을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개인) 공유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7a - 도 7f는 사용 중의 2개의 장치(디바이스): 이동 전화, 스마트폰, 또는 PDA(700)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 및 태블릿 PC(750)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장치(700, 750)는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할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즉 각각은 동작시키기 위해 다른 디바이스로의 또는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로의 임의의 연결을 필요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그러나 다른 디바이스로의 및/또는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으로의 그러한 연결이 가능할 수 있고,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허용하도록 요구됨). 2개의 장치(700, 750)는 또한 각각의 기능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700)는 호출 능력을 갖고, SMS, MMS 및 비디오 메시지를 송신/수신할 수 있고, 이메일을 송신/수신하고, 게임을 플레이하고, 소셜 미디어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수 있다. 장치(750)는 생산성 애플리케이션(워드 프로세싱,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프리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 및 이미지 처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도 7a는 제 1 애플리케이션(702), 이러한 예에서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바이스(700)를 도시한다. 도 7a에서, 사용자는 메시지 "Hello, this"(704)를 타이핑(706)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는 텍스트 커서(708)의 일시적 콘텐츠를 포함하며, 이는 후속 텍스트 입력이 위치되는 텍스트의 바디 내의 위치이다. 사용자는 비교적 작은 키보드(710)를 갖는 장치(700)상에 메시지를 타이핑하기보다는 오히려, 자신이 오히려 메시지를 자신의 태블릿 PC(750)상에 구성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a는 장치(750)상에 디스플레이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의 어떤 오픈 인스턴스도 있지 않은 것을 도시한다. 장치(750)상에 현재 실행되는 어떤 애플리케이션도 있지 않는 것일 수 있거나, 어떤 애플리케이션(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은 실행되고 있지만 최소화되므로 그것이 스크린상에서 현재 인식될 수 없는 것일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장치(700, 750)는 사용에 이용 가능한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갖는다.
장치(700, 750)의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은 그것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거나(예를 들어, 장치(700, 750) 둘 다가 노트패드 타입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거나) 그것이 공통 레벨의 기능을 구비한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된다(예를 들어, 장치(700)의 텍스트 애플리케이션(702)은 평문의 입력을 허용하는 비교적 기본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는 반면, 장치(750)는 오픈 오피스 라이터와 같은 더 정교한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음). 장치(750)와 같은 장치는 오픈 오피스 라이터, 노트패드, 및 페이지와 같은 사용에 이용 가능한 하나보다 많은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모든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그것이 텍스트를 편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공통 레벨의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예에서,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장치에 위치된 각각의 메모리에 액세스함으로써 장치(700, 750)상에 사용을 위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장치가 원격 서버 또는 클라우드로부터의 요구된 소프트웨어에 액세스하는 것이 다른 예에 있을 수 있다.
도 7b에서, 사용자(758)는 제 2 디바이스(750)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 사용자 입력(760)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는 슬라이드 제스처를 태블릿 PC(750)의 터치 감지 스크린에 제공하고 있다. 다른 사용자 입력은 슬라이드 제스처 대신에 사용될 수 있고, 적절한 사용자 입력의 일부 예는 도 8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758)에 기초하여,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700)의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702)의 오픈 인스턴스는 제 2 디바이스(750)상의 적어도 관련(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752)로 제공된다. 사용자 입력(758)으로 인해, 제 1 디바이스(700)상에 개방된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702) 내의 데이터 콘텐츠 및 일시적 콘텐츠는 이제 제 2 디바이스(750)상의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752)의 오픈 인스턴스에 나타난다. 동일한 데이터 콘텐츠(텍스트 "Hello, this"(704, 754)) 및 동일한 일시적 콘텐츠("this"의 "s" 후에 위치된 텍스트 커서(756))는 제 1 디바이스(700)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702)에 제공된 것처럼 제 2 디바이스(750)상에 제공된다.
도 7c는 일시적 콘텐츠 요소의 위치, 즉 텍스트 커서(756)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가 제 2 디바이스(750)상에 개방된 후에 구성되는(754) 텍스트의 끝에 보존되는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텍스트 커서가, 텍스트 파일이 편집된; 즉 이러한 일시적 콘텐츠가 보존되었던 마지막 시간인 위치를 발견하는 것과 관련될 필요가 없다. 텍스트 커서는 반드시 입력 스트링의 끝에 있을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오타를 정정하거나 텍스트의 일부를 추가하는 동안 문서의 중간 부분을 마지막으로 편집해 왔을 수 있었다. 이것은 더 큰 문서를 편집한은 경우 특히 유용할 수 있고, 마지막 보여진 페이지, 마지막 보여진 페이지상의 위치, 마지막 사용된 폰트 설정(볼드체, 이탤릭체, 케이스 등)와 같은 다른 일시적 특성은 또한 그것이 텍스트 파일을 재개방할 시에 이러한 일시적 콘텐츠를 재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존될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상에 그의 텍스트 기반 메시지의 편집/구성을 계속할 시에 사용자를 원조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도 7b에 도시된 이러한 예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702)의 오픈 인스턴스는 제 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점진적으로 제거되고, 제 2 애플리케이션(752)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는 제 2 디바이스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점진적 제거/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의 방향으로 발생하며; 즉,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슬라이딩하고 있고 좌측상의 제 1 디바이스(700)로부터 우측의 제 2 디바이스(750)로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명백한 전이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동일한 방향이다. 물론, 제스처 입력은 특정 키를 누름으로써, 또는 디스플레이가 터치 입력을 허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사용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700)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텍스트는 제 2 디바이스상의 제 2 애플리케이션(752)의 오픈 인스턴스에서의 디스플레이 시에 리사이징되고, 디스플레이된 폰트는 2개의 애플리케이션(702, 752)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예에서, 데이터 콘텐츠(텍스트 "Hello, this") 및 일시적 콘텐츠(텍스트 커서(756))의 일부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가 사용될 시에 보존되지만, 다른 데이터 콘텐츠(폰트 스타일 및 폰트 크기)는 제 2 디바이스(750)의 일부 사전 설정 속성과 일치하도록 변경된다. 다른 예에서, 폰트 스타일 및 폰트 크기는 제 2 디바이스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제 2 오픈 인스턴스에서 데이터 및 일시적 콘텐츠를 시청할 때 보존될 수 있다. 보존되는 데이터 콘텐츠 및 일시적 콘텐츠 속성, 및 사용되는 특정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데이터 콘텐츠 및 일시적 콘텐츠 속성은 선호 설정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700)로부터의 디스플레이에서 점진적으로 제거되고 제 2 디바이스(750)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의 명백한 전이는 사용자 입력(758)의 속도 의존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더 빠른 슬라이드 제스처(760)를 나타내면, 명백한 전이가 비교적 더 빠르게 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비교적 느린 슬라이드 제스처(758)를 나타냈으면, 이때 명백한 전이는 비교적 더 느릴 수 있다. 명백한 전이는 또한 다른 예에서 전달을 나타내도록 제공된 사용자 입력의 범위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점진적으로 제거하고 제 2 디바이스상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슬라이드 입력이 나타나게 하는 것을 개시할 수 있다. 완전한 입력(이는 예를 들어 손가락을 장치 중 하나에 대한 터치 감지 스크린의 대향 에지로 슬라이딩하는 것일 수 있다) 도중에 사용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다시 제 1 디바이스에 분명히 이동시키기 위해 그/그녀의 마음을 변경하고, 슬라이드 입력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슬라이드 입력을 앞뒤로 제공하는 자신의 손가락을 "흔들(wag)"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분명한 이동은 "흔드는(wagging)" 앞뒤 움직임을 따른다.
도 7d는 사용자(766)가 현재 "Hello, this is a note to say..."(762)를 판독하기 위해 태블릿 PC의 가상 키보드(764)를 개방했고 텍스트 메시지를 계속 구성했던 것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타입 장치(700)의 더 작은 키보드상에서보다 태블릿 PC(750)의 가상 키보드(764)상에 타이핑하는 것이 더 쉬워지면 다른 디바이스상에 텍스트 메시지를 계속 구성하기를 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는 이렇게 구성된 텍스트를 SMS 메시지로서 자신의 스마트폰 타입 장치(700)의 연락처 목록에 저장된 연락처에 송신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시지(756)를 연락처에 송신하기 위해 구성된 메시지(756)를 다시 제 1 디바이스(700)에 개방하기를 원한다.
도 7e는 애플리케이션(752)(이러한 경우에, 참조 번호(752)가 이전 예에서와 같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지칭하고 -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지칭하지 않음)의 오픈 인스턴스가 우측상의 장치(750)(이러한 경우에, 참조 번호(750)가 이전 예에서와 같이 제 1 디바이스를 지칭하고, 제 2 디바이스를 지칭하지 않음)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점진적으로 제거되고, 애플리케이션(702)(이러한 경우에, 참조 번호(702)가 이전 예서와 같이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지칭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지칭하지 않음)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가 좌측상의 장치(700)(이러한 예에서, 참조 번호(700)가 이전 예에서와 같이 제 2 디바이스를 지칭하고, 제 1 디바이스를 지칭하지 않음)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사용자(712)가 슬라이드(714) 사용자 입력을 다시 제공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점진적 제거/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의 방향으로 발생하며; 즉,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슬라이딩하고 있고, 우측상의 제 1 디바이스(750)로부터 제 2 디바이스(700)(장치(750)에 대해 좌측(700)상의)로 애플리케이션(752)의 오픈 인스턴스의 명백한 전이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동일한 방향이다. 물론,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는 (도 7e에 도시된 풀링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제 1 디바이스(750)로부터 제 2 디바이스(700)로 푸시 오버될 수 있다.
도 7f는 장치(750)상에 구성된 메시지(716)가 이제 장치(700)상의 애플리케이션(702)의 오픈 인스턴스에 이용 가능한 것을 예시한다. 장치(700)는 예를 들어 SMS(및 다른 타입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장치에 이용 가능하지 않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시지를 구성하고 그 메시지를 상이한 장치를 사용하여 연락처에 송신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가지며, 각각의 장치는 태블릿 PC 장치(750)의 더 큰 키보드(764)상에 타이핑하는 것, 및 메시지를 스마트폰 장치(700)의 연락처 목록(700)에 저장된 연락에 송신하는 것과 같이, 다른 것을 통해 특정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콘텐츠(지금까지 타이핑된 텍스트와 같은) 및 일시적 콘텐츠(텍스트 커서(708, 756) 위치와 같은)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에 가용성을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 2 디바이스상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는 장치의 능력은 사용자가 2개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 사이에서 더 순조롭고 더 균일한 전이를 경험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가 입력을 구성하고 태블릿 PC 장치(750)상의 오픈 애플리케이션(752)을 조작할 수 있지만, 그 또는 그녀는 또한 입력을 구성하고 제 1 디바이스(700) 장치상에 여전히 이용 가능한 오픈 애플리케이션(702)을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텍스트 편집 애플리케이션은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개방되고 제 2 디바이스상에 사용한 후에도 제 1 디바이스상에 이용 가능하고 동작 가능한 것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장치(700, 750)는 이러한 예에서 상이한 폼 팩터를 갖는다. 이것은 텍스트가 어느 디스플레이에 디스프레이되고 있든지 텍스트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텍스트를 재자리맞춤하는 장치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700)상에서, 텍스트 "Hello, this is a"는 디스플레이의 한 라인에 걸쳐 적합할 것이다(도 7f 참조). 그러나, 장치(750)상에서, 텍스트 "Hello, this is a note to"는 디스플레이의 한 라인에 걸쳐 적합할 것이다(도 7d 참조). 다른 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의 동일한 자리맞춤(및 가능하게는 폰트 크기, 폰트 스타일, 폰트 컬러 등과 같은 다른 팩터)이 장치 특성에 상관없이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 사이에 보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a-도 8g는 2개의 예시적 장치(800, 850)를 예시하고, 각각의 도 8a-도 8g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가 제 1 디바이스(800)로부터의 디스플레이에서 점진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가 제 2 디바이스(850)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상이한 방법을 나타낸다. 물론, 상응하는 인스턴스는 특정 사용자 입력의 점진적 특징으로 점진적으로 링크된 것보다는 오히려, 즉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키를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상에서 누르는 것은 제 2 디바이스상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즉시 제공할 수 있다.
도 8a는 사용자(854)가 슬라이드 제스처(856)를 대각선 방향으로 제 2 디바이스(850)의 스크린의 상단 우측으로부터 하단 좌측으로 제공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제 1 애플리케이션(802)의 오픈 인스턴스는 제 1 디바이스(800)로부터의 디스플레이에서 점진적으로 제거되고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852)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는 제 2 디바이스(850)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다른 예에서, 슬라이드 제스처를 임의의 방향으로, 예를 들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대각선으로,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또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는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의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제 2 디바이스(850)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향은 사용자 입력의 방향에 역일 수 있었으며,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상에(또는 제 2 디바이스상에) 이루어진 좌측에서 우측 입력은 상응하는 인스턴스를 제 2 디바이스상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방향은 사용되는 장치의 상대 위치의 그 또는 그녀의 관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임의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 나타나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로부터의 전이 효과가 지향성의 것인 경우에, 장치는 반드시 다른 디바이스에 대해 그의 위치를 인식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추가 예로서, 사용자는 슬라이드 제스처 출력을 임의의 방향으로 제공할 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다시 원래 제 1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해 자신의 마음을 변경할 수 있고 슬라이드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자신의 슬라이딩 손가락을 앞뒤로 '흔들고' 2개의 장치 사이에서 앞뒤로 흔드는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임프레션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b는 사용자가 "핀치" 제스처(806)를 제 1 디바이스(800)의 스크린상에 제공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제 1 애플리케이션(804)의 오픈 인스턴스는 제 1 디바이스(800)로부터의 디스플레이에서 점진적으로 제거되고 옷감이 중간에 핀칭되고 표면으로부터 리프팅 업되는 것과 유사하게, 핀칭 업되는 것처럼 나타날 수 있다.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858)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는 이러한 예에서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중심으로부터 후퇴(860)되는 것처럼 제 2 디바이스(850)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유사한 전이 효과가 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는 중심이 아닌, 스크린의 어디든 핀칭(즉, 제 1 디바이스(800)의 스크린상에서 함께 2개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을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850)의 스크린상에서 보여지는 효과는 제 2 디바이스의 스크린상의 상응하는 위치로부터 제 2 디바이스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된 오픈 인스턴스의 후퇴일 수 있다.
도 8c는 사용자가 "소용돌이(swirl)"(또한 "선회"로 칭해질 수 있는) 제스처(810)를 제 1 디바이스(800)의 스크린상에 제공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소용돌이 제스처는 사용자가 개념적으로 디스플레이상에 콘텐츠를 '소용돌이치게 하는' 또는 '휘젓는' 나선형 또는 다른 방법으로 아치형 제스처일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806)의 오픈 인스턴스는 제 1 디바이스(800)로부터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점진적으로 제거되고, 위로 휘저어지고/주위에 소용돌이치는 것처럼 예를 들어 소용돌이에 있는 것처럼 나타난다.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862)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는 이러한 예에서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중심으로부터 소용돌이치지 않는(864) 것처럼 제 2 디바이스(850)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8d는 사용자(812)가 스크린을 인근 장치(850)로 푸시 오버하는 것처럼 슬라이드 제스처(814)를 제 1 디바이스(814)의 디스플레이상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제공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제 1 애플리케이션(816)의 오픈 인스턴스는 제 1 디바이스(800)로부터의 디스플레이에서 점진적으로 제거되고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866)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는 제 2 디바이스(850)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다른 예에서, 푸시 슬라이드 제스처를 임의의 방향으로, 예를 들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대각선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는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814)의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제 2 디바이스(850)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8a 및 도 8d에 이루어진 사용자 슬라이드 입력(856, 814)으로 인해 제공되는 효과는 다른 예에서, 사용자 입력의 다른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슬라이드를 예를 들어 동일한 장치상의 상이한 홈 스크린으로 이동하도록 의도된 슬라이드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자는 슬라이드를 스크린을 가로질러 에지에서 에지까지, 또는 가능하게는 디스플레이의 한 에지 외부에서 디스플레이의 중심까지 내내 구성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그러한 제스처는 슬라이드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한 에지 외부에서 기원했으므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외부에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한 슬라이드 제스처는 터치 감지 스크린의 주변 외부에(예를 들어 장치의 하나 이상의 에지상에) 위치된 터치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에지' 터치 센서는 슬라이드 사용자 입력의 시작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의 최외각 터치 감지 영역에서 시작함에 따라 터치 감지 스크린에 의해 검출되는 임의의 슬라이드/스와이프 사용자 입력은 터치 감지 영역의 주변 외부에서 시작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제 2 디바이스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출력의 의도된 효과가 있는 장치를 표시하는(제 2 디바이스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슬라이딩 전에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누르고 유지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입력은 예를 들어 탭 및 슬라이드, 누르기 및 슬라이드, 튀기기, 누르기 및 튀기기, 다수의 탭 및 슬라이드 또는 다수의 손가락 슬라이드를 포함한다. 다른 예는 장치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또는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가속도계 및/또는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하는 장치(800)가 사용자가 그러한 입력을 구성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사 동작은 사용자가 다른 디바이스상의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방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장치에 준비시키는 이전 입력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입력은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가능하다.
일부 형태의(예를 들어 개인) 공유 네트워크는 2개의 장치 사이에 이용 가능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것은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 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그러한 입력이 수신되었다는 결정에 따라 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 입력을 검출한 후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했던 장치는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제공을 허용하기 위해 그것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장치를 찾을 수 있다. 그러한 네트워크는 사전 구성될 수 있거나, 장치는 사용자에게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식별/확인하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소스(제 1) 장치 및/또는 수신자(제 2)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푸시/풀 제스처 입력으로 인해 식별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으로 인해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할 시에 수반될 장치를 식별하는 방법의 다른 예는 각각의 장치의 아이덴티티가 이전에 정의되었던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메뉴 내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제조업자 아이덴티티를 미리 정의함으로써 될 수 있다. 다른 예는 인근 장치가 서로로부터의 그 상대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고,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할 시에 수반되는 것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호 작용되는 장치에 가장 가깝도록 결정된다. 추가 예는 인근 장치가 서로로부터 그 상대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고,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의 방향은 다른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것,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방향(예를 들어 수신자 장치의 방향으로 이루어진 스와이프)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추가 예는 풀(슬라이드) 사용자 입력의 경우에, 소스 장치(출력이 이루어지고 있는)를 제외하고 이용 가능한 모든 장치가 그들에게 (오픈 애플리케이션이 그 장치를 향해 풀링됨으로써)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인스턴스를 개방하도록 명령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을 대기하는 스탠바이 상태에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도 8e는 사용자가, 제 1 애플리케이션(816)의 오픈 인스턴스가 제 1 디바이스(800)로부터의 디스플레이에서 (점진적으로) 제거되도록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870)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가 제 2 디바이스(850)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명령하는 음성 입력(814) "Go to tablet"을 제공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장치(800)는 음성 인식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tablet", "my phone", "screen two"와 같은 그 또는 그녀의 장치에 대한 명칭을 사전 설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800)는 어느 다른 디바이스(네트워크 내의)가 데이터 및 일시적 콘텐츠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도록 명령하는지를 인식한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가 제 1 디바이스(전화 또는 데스크톱)로부터의 디스플레이에서 (점진적으로) 제거되도록 그리고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가 제 2 디바이스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명령하는 "Switch from my phone" 또는 "Take from desktop"와 같은 '풀(pull)' 음성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f는 사용자가, 사용자(878)에 의해 눌러질 때 제 1 애플리케이션(820)의 오픈 인스턴스가 제 1 디바이스(800)로부터의 디스플레이(822)에서 제거되도록 그리고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874)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가 제 2 디바이스(850)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876)되도록 명령하는 제 2 디바이스(850)의 키보드상에 이용 가능한 키(880)를 갖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는 이 목적을 위해 키(880) 또는 키의 특정 조합을 구성할 수 있다. 도 8f에 예시된 키(880)는 (점진적으로든지 즉각적으로든지) 다른 디바이스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로부터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이미 존재하는 키 또는 키를 나타낸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도 8g는 사용자가 주변 장치, 이러한 경우에 마우스(888)를 사용함으로써 슬라이드 제스처(884)를 제공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마우스(888)의 연관된 물리적 이동과 함께 좌측/우측 클릭 즉 활성화 입력을 사용할 때 마우스 포인터(886)를 제 2 디바이스(850)의 디스플레이를 가로질러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제 1 애플리케이션(824)의 오픈 인스턴스는 제 1 디바이스(800)로부터의 디스플레이(826)에서 점진적으로 제거되고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882)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는 마우스(888)에 의한 이러한 사용자 입력으로 인해 제 2 디바이스(850)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882)의 오픈 인스턴스는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884)의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제 2 디바이스(850)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마우스 포인터(886)는 스크린의 임의의 영역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활성화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의 한 영역은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882)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개방하는 한편 제 1 디바이스(800)로부터 오픈 인스턴스(824)를 제거(826)하는 입력으로 그 영역에서 누르기 및 슬라이드 움직임을 수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변 장치로부터의 그러한 입력은 또한 예를 들어 완드(a wand), 포인트 스틱, 터치패드, 스타일러스 및 패드, 조이스틱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점진적으로 제거되는 한편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가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되는 예에서, 2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전진(전이의 임프레션을 한 장치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로 제공하는)이 일치될 수 있다. 일치됨으로써,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4분의 1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거되면, 이때 상응적으로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4분의 1이 제 2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3분이 1이 제거되는 것과 유사하게, 이때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3분의 1이 제 2 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의미된다. 명백한 전이가 발생하는 속도는 또한 제 1 디바이스상의 오픈 애플리케이션의 점진적 제거의 속도가 제 2 디바이스상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점진적 디스플레이의 속도와 일치되는 것을 필요로 했다. 이러한 점진적인 명백한 전이는 상이한 디스플레이의 폼 팩터 또는 크기의 임의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a-도 6f 참조).
도 9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902);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 2 디바이스상의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는 단계(904)를 예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하고, 설명이 필요없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컴퓨터/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10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컴퓨터/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CD(compact disc)와 같은 디스크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프로그램되었던 임의의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동일한 타입의 다수의 메모리, 또는 ROM, RAM, 플래시, 하드 디스크, 고체 상태 등과 같은 상이한 타입의 다수의 메모리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 랩톱 컴퓨터, 이동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시계, 비휴대용 전자 장치,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서버, 또는 그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모듈/회로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개시된 양태/실시예에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장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텍스트/비디오 통신 기능(예를 들어 전기통신, 비디오 통신, 및/또는 텍스트 송신(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이메일링) 기능들), 상호 작용/비상호 작용 보기 기능(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 내비게이션, TV/프로그램 보기 기능), 음악 녹화/플레이 기능(예를 들어 MP3 또는 다른 포맷 및/또는 (FM/AM) 라디오 방송 녹화/플레이), 데이터 기능의 다운로드/송신, 이미지 캡처 기능(예를 들어 (예를 들어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는), 및 게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임의의 언급된 장치/디바이스/서버 및/또는 특정 언급된 장치/디바이스/서버의 다른 특징은 그것이 엔에이블, 예를 들어 스위칭 온 등일 때에만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도록 배열된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그것은 반드시 인에이블되지 않은 상태(예를 들어 스위칭 오프 상태)에서 활성 메모리 내로 로딩된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갖고 인에이블된 상태(예를 들어 온 상태)에서 적절한 소프트웨어만을 로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장치는 하드웨어 회로 및/또는 펌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메모리에 로딩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컴퓨터 프로그램은 동일한 메모리/프로세서/기능 유닛상에 및/또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프로세서/ 기능 유닛상에 기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특정 언급된 장치/디바이스/서버는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적절한 소프트웨어로 사전 프로그램될 수 있고, 적절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그 연관된 기능을 언로크/인에이블하기 위해 "키"를 다운로드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인에이블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와 연관된 장점은 추가 기능이 장치에 요구될 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감소된 요건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인에이블되지 않을 수 있는 기능을 위한 그러한 사전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갖는 것으로 인지된 예에서 유용할 수 있다.
임의의 언급된 장치/회로/요소/프로세서는 언급된 기능에 더하여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동일한 장치/회로/요소/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개시된 양태는 적절한 캐리어(예를 들어 메모리, 신호)상에 기록된 연관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인코딩된 소스/트랜스포트일 수 있는)의 전자적 분배를 망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컴퓨터"는 동일한 회로 보드, 또는 회로 보드의 동일한 영역/위치 또는 심지어 동일한 장치상에 위치될 수 있거나 위치되지 않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별 프로세서/처리 요소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임의의 언급된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장치를 통해 분산될 수 있다. 동일 또는 상이한 프로세서/처리 요소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임의의 언급된 컴퓨터 및/또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예를 들어 ROM, CD-ROM 등을 포함하는)의 임의의 논의와 관련하여, 이것은 컴퓨터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및/또는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프로그램되었던 다른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각의 개별 특징 및 2개 이상의 그러한 특징의 임의의 조합을 당업자의 일반 상식에 비추어 그러한 특징 또는 특징의 조합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지와 관계없이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대한 제한 없이 그러한 특징 또는 조합이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정도까지 개별적으로 개시한다. 본 출원인은 개시된 양태/실시예가 임의의 그러한 개별 특징 또는 특징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술한 설명을 고려하여, 다양한 수정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기본적인 새로운 특징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것처럼 도시되고, 설명되고 언급되었지만, 본 개시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형태와 장치 및 방법의 상세에서 다양한 생략 및 대체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는 그러한 요소 및/또는 방법 단계의 모든 조합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분명히 의도된다. 더욱이, 임의의 다른 개시된 형태 또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되거나 설명된 구조 및/또는 요소 및/또는 방법 단계는 설계 선택의 일반적 문제로서 임의의 다른 개시되거나 설명되거나 제안된 형태 또는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더욱이, 청구범위에서 수단-플러스-기능(means-plus-function) 절은 언급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 및 구조적 균등물뿐만 아니라 균등 구조를 망라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못 및 나사는 못이 원통형 표면을 이용하여 목재 부재를 서로 고정시키는 반면 나사는 목재 부분을 조여주는 환경에서 나선형 표면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구조적 균등물이 아닐 수 있지만, 못 및 나사는 균등 구조일 수 있다.

Claims (38)

  1.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an open instance of a first application)를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는 것 - 상기 장치는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내에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내에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상기 데이터 컨텐츠는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편집 가능하도록 제공됨 -
    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는 별개의 컴퓨팅 디바이스인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가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의 디스플레이에서 점진적으로 제거되고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가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가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또는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상기 사용자 입력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부분이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상기 사용자 입력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오픈 인스턴스의 부분이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점진적으로 제거되고 상기 적어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부분이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상응하게 점진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상기 특성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방향, 상기 사용자 입력의 속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반전을 포함하는
    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상기 특성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콘텐츠가 제 1 컴퓨팅 디바이스와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 전송되고 있다는 사용자 인식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2개의 컴퓨팅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분배될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오픈 인스턴스의 부분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부분을 제공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기 각각의 부분은 조합되는 경우 상기 2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에 분배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콘텐츠의 완전한 표현을 형성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가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후에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오픈 인스턴스가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채로 남아있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영역(a touch-sensitive region)을 가로지르는 스와이프(a swipe)를 포함하고, 상기 스와이프는 상기 장치의 상기 터치 감지 영역의 한 에지에서 시작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영역에 의해 검출되는 소용돌이 제스처(a swirl gesture)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는 음성 입력(a voice input)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관된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루어지는 이하의 제스처: 슬라이드, 디스플레이의 한 에지로부터의 슬라이드, 탭, 다수의 탭, 누르기(a press), 튀기기(a flick), 핀치 제스처(a pinch gesture), 및 소용돌이 제스처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완드(a wand), 포인팅 스틱(a pointing stick),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스타일러스 및 패드, 마우스, 물리 키보드(a physical keyboard), 가상 키보드, 조이스틱, 리모트 컨트롤러, 버튼, 마이크로폰, 모션 검출기, 위치 검출기, 스크라이버(a scriber) 및 가속도계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상에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데이터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함으로써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일시적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함으로써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에 위치된 각각의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사용을 위해 제공되는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각각의 오픈 인스턴스에 제공되는 공통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각각의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동일한 운영 체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각각의 오픈 인스턴스에 제공되는 공통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각각의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이한 운영 체제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각각의 오픈 인스턴스에 제공되는 공통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각각의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동일한 운영 체제를 사용하여 제공되는 서로 균등한 애플리케이션(equivalent applications)인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각각의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이한 운영 체제를 사용하여 제공되는 서로 균등한 애플리케이션인
    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원격 서버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각각의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사용을 위해 제공되는
    장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원격 서버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각각의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사용을 위해 제공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인
    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로의 연결 없이 사용될 수 있는
    장치.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는 각각의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콘텐츠는 텍스트, 번호, 필드, 셀, 이미지 콘텐츠, 오디오 콘텐츠, 비디오 콘텐츠, 및 웹페이지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3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 콘텐츠는 포인터 위치, 커서 위치, 줌 팩터, 페이지상의 위치, 윈도우 크기,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 내의 위치, 윈도우 폼 팩터, 디스플레이상의 윈도우의 위치, 툴바 설정, 및 강조된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는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제공된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와 실질적으로 상이한 외관을 갖는
    장치.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이동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시계, 비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서버, 또는 그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모듈/회로인
    장치.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는 각각 상이한 디스플레이 크기들, 상이한 디스플레이 폼 팩터, 상이한 디스플레이 해상도, 및 상이한 디스플레이 색상 체계 중 하나 이상을 갖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상의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제공에서 이러한 상이한 양태를 고려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는 적외선 연결, 블루투스 연결, 무선 연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연결, 전화 연결, 물리적 유선 연결, 네트워크 연결, 및 수동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 통신가능하게 링크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통신 링크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제 1 오픈 인스턴스와 연관된 일시적 콘텐츠가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로 제공되는 것을 허용하는
    장치.
  36. 방법으로서,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내에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내에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상기 데이터 콘텐츠는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편집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는 별개의 컴퓨팅 디바이스인
    방법.
  37.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내에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내에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상기 데이터 콘텐츠는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편집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는 별개의 컴퓨팅 디바이스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38. 제 2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를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로서 제공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내에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내에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상응하는 오픈 인스턴스의 상기 데이터 콘텐츠는 상기 적어도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편집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 1 컴퓨팅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컴퓨팅 디바이스는 별개의 컴퓨팅 디바이스인
    장치.
KR1020147021097A 2011-12-28 2011-12-28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제공 KR101922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1/074178 WO2013097895A1 (en) 2011-12-28 2011-12-28 Provision of an open instance of an appl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323A KR20140108323A (ko) 2014-09-05
KR101922283B1 true KR101922283B1 (ko) 2019-02-13

Family

ID=4605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097A KR101922283B1 (ko) 2011-12-28 2011-12-28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제공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83771B2 (ko)
EP (2) EP2798451A1 (ko)
JP (1) JP6034401B2 (ko)
KR (1) KR101922283B1 (ko)
CN (1) CN104137048B (ko)
GB (1) GB2498228B (ko)
RU (1) RU2601831C2 (ko)
TW (1) TWI596538B (ko)
WO (1) WO20130978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040A1 (ko) * 2019-10-24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3063730A1 (ko) * 2021-10-13 2023-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환경 내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9624B2 (en) 2011-09-29 2014-07-01 Apple Inc. Access control utilizing indirect authentication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CN103218105B (zh) * 2012-01-19 2016-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的处理方法、系统及电子设备
JP6065369B2 (ja) * 2012-02-03 2017-01-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17479B2 (en) * 2012-02-24 2017-11-1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reting a gesture
US10235014B2 (en) 2012-05-09 2019-03-19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US20140075377A1 (en) * 2012-09-10 201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isplay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GB201300031D0 (en) 2013-01-02 2013-02-13 Canonical Ltd Ubuntu UX innovations
KR102091028B1 (ko) * 2013-03-14 2020-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기기의 오브젝트 운용 방법 및 장치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KR102018378B1 (ko) * 2013-07-08 2019-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10001817B2 (en) 2013-09-03 2018-06-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US9710126B2 (en) 2013-10-17 2017-07-1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review of an application to a user
CN105723309A (zh) 2013-10-28 2016-06-29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导致在串珠装置上呈现内容项目段
CN105683890B (zh) 2013-10-28 2019-06-28 诺基亚技术有限公司 串珠显示装置上显示的内容项目与标签之间的关联
US11704016B2 (en) * 2013-12-04 2023-07-18 Autodesk, Inc. Techniques for interacting with handheld devices
CA2887503C (en) * 2014-04-07 2018-10-16 The Toronto-Dominion Bank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technology assets in an open environment
US20150350146A1 (en) 2014-05-29 2015-12-03 Apple Inc. Coordination of message alert presentations across devices based on device modes
US10482461B2 (en) 2014-05-29 2019-11-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9967401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hone call routing among devices
EP4365725A2 (en) * 2014-05-30 2024-05-08 Apple Inc. Continuity
CN104064201B (zh) * 2014-06-13 2017-04-12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数据同步方法和系统
EP3161603B1 (en) 2014-06-27 2019-10-16 Apple Inc. Manipulation of calendar application in device with touch screen
WO2016014601A2 (en) 2014-07-21 2016-01-28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US9712639B2 (en) * 2014-08-01 2017-07-18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rovisioning of mobile application content
US10339293B2 (en) 2014-08-15 2019-07-02 Apple Inc.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EP3189406B1 (en) 2014-09-02 2022-09-07 Apple Inc. Phone user interface
KR102016160B1 (ko) 2014-09-02 2019-08-29 애플 인크. 경고를 관리하기 위한 축소된 크기의 인터페이스
KR20160045269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WO2016069011A1 (en) 2014-10-31 2016-05-06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Management controller
CN105988759B (zh) * 2015-02-04 2019-04-19 华为技术有限公司 页面显示方法、装置及系统
US10466883B2 (en) 2015-03-02 2019-11-05 Apple Inc. Screenreader user interface
US10055121B2 (en) 2015-03-07 2018-08-21 Apple Inc. Activity based thresholds and feedbacks
US10567477B2 (en) 2015-03-08 2020-02-18 Apple Inc. Virtual assistant continuity
CN106161765A (zh) * 2015-04-24 2016-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启动方法及相应的移动终端
CA2929803C (en) 2015-05-12 2021-10-12 The Toronto-Dominion Bank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computational resources in an open environment
CN105320433B (zh) * 2015-05-19 2019-02-15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移动终端的近距离数据传输方法及其移动终端
US9916075B2 (en) 2015-06-05 2018-03-13 Apple Inc. Formatting content for a reduced-size user interface
US10353473B2 (en) 2015-11-19 2019-07-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lient device motion control via a video feed
KR20170059693A (ko) * 2015-11-23 2017-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6899795B (zh) * 2015-12-17 2020-06-0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相机硬件参数调用、设置方法、装置及相机应用系统
KR102480462B1 (ko) * 2016-02-05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474358B2 (en) * 2016-02-29 2019-11-12 Google Llc Computing devices having dynamically configurable user input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105868738B (zh) * 2016-05-03 2021-11-09 深圳市君康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环
DK179186B1 (en) 2016-05-19 2018-01-15 Apple Inc REMOTE AUTHORIZATION TO CONTINUE WITH AN ACTION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DK201670622A1 (en) 2016-06-12 2018-02-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nsactions
AU2017100879B4 (en) * 2016-07-29 2017-09-28 Apple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user interface controls at touch-sensitive secondary display
US11599383B2 (en) * 2016-08-30 2023-03-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current execution of task instances relating to a plurality of applications
DK179492B1 (en) 2016-10-25 2019-01-08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LOW-VISION USERS TO INTERACT WITH A TOUCH-SENSITIVE SECONDARY DISPLAY
US11237709B2 (en) 2016-10-25 2022-02-0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low-vision users to interact with a touch-sensitive secondary display
WO2018081112A1 (en) * 2016-10-25 2018-05-03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low-vision users to interact with a touch-sensitive secondary display
US20180268478A1 (en) 2017-03-20 2018-09-20 MTL Ventures LLC Specialized Calculator with Graphical Element and User Interfaces
CN110520841B (zh) 2017-04-03 2023-03-2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基于目标距离的应用启动
US11431836B2 (en) 2017-05-02 2022-08-30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media playback
US10992795B2 (en) 2017-05-16 2021-04-27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20220279063A1 (en) 2017-05-16 2022-09-01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CN111343060B (zh) 2017-05-16 2022-02-11 苹果公司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AU2017418882A1 (en) * 2017-06-13 2019-12-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11263399B2 (en) * 2017-07-31 2022-03-01 Apple Inc. Correcting input based on user context
FR3079327A1 (fr) * 2018-03-26 2019-09-27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info-divertissement pour vehicule.
CN115421939A (zh) 2018-03-29 2022-12-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间的数据迁移的方法和设备
KR102080046B1 (ko) * 2018-05-08 2020-02-21 김대원 열풍히터가 내장된 스마트 마우스패드
KR102527824B1 (ko) * 2018-07-31 2023-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출력 화면 환경에서 가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21236B1 (ko) 2018-11-07 2024-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7170620A (zh) 2019-05-31 2023-12-05 苹果公司 用于音频媒体控件的用户界面
US11010121B2 (en) 2019-05-31 2021-05-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US11477609B2 (en) 2019-06-01 2022-10-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US11481094B2 (en) 2019-06-01 2022-10-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US11184833B2 (en) * 2019-06-19 2021-11-23 Citrix Systems, Inc. Bandwidth sharing amongst trusted peers
CN110602308A (zh) * 2019-07-30 2019-12-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屏控制方法和设备
US11599322B1 (en) * 2019-09-26 2023-03-07 Apple Inc. Systems with overlapped displays
US11774260B2 (en) 2019-11-13 2023-10-03 Airbnb, Inc. Dynamic obfuscation of a mapped point of interest
CN117891369A (zh) * 2020-07-29 2024-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跨设备的对象拖拽方法及设备
CN114764298B (zh) * 2020-07-29 2023-03-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跨设备的对象拖拽方法及设备
CN114816294A (zh) 2020-09-02 2022-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设备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CN114968165A (zh) * 2021-02-28 2022-08-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布式音频播放方法及电子设备
US11847378B2 (en) 2021-06-06 2023-12-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routing
US11678006B2 (en) 2021-06-17 2023-06-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le device content management
CN115993924A (zh) * 2021-10-18 2023-04-21 华为技术有限公司 跨设备拖拽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1923A1 (en) 2009-10-02 2011-04-07 Babak Forutanpour Device movement user interface gestures for file sharing functionality

Family Cites Families (10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4843A (en) 1997-03-21 2000-11-28 Microsoft Corporation Secure remote access computing system
US5987376A (en) 1997-07-16 1999-11-1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and synchronization of data and state information between clients i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JPH1195931A (ja) 1997-09-19 1999-04-09 Fujitsu Ltd 操作対象マシン自動切替装置及び方法
JP3846666B2 (ja) * 1998-09-24 2006-11-15 富士通株式会社 共有画面制御装置
US6463299B1 (en) 1998-10-14 2002-10-08 Avaya Technology Corp.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an integral computer and telephone system
US6356933B2 (en) 1999-09-07 2002-03-12 Citrix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interactive application data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using markup language
US7080159B2 (en) 2000-12-15 2006-07-18 Ntt Docomo, Inc.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ng migration of application among heterogeneous devices
GB0108044D0 (en) 2001-03-30 2001-05-23 British Telecomm Application synchronisation
US6947975B2 (en) 2001-10-03 2005-09-20 Palm, Inc. Mobile device peripheral interface system and method
EP1495420B1 (en) 2002-04-17 2008-11-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for synchronization of database data routed through a router
JP2004056604A (ja) 2002-07-23 2004-02-19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運用監視装置
US6879828B2 (en) 2002-09-09 2005-04-12 Nokia Corporation Unbroken primary connection switching between communications services
US7231609B2 (en) * 2003-02-03 2007-06-1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remote screen content
US7623892B2 (en) 2003-04-02 2009-11-24 Palm, In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person to switch use of computing devices
US7995090B2 (en) 2003-07-28 2011-08-09 Fuji Xerox Co., Ltd. Video enabled tele-presence control host
US7310060B2 (en) 2003-08-15 2007-12-18 L-3 Communications Cyterra Corporation Multi-mode landmine detector
EP1515223A1 (de) * 2003-09-10 2005-03-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Generierung einer Objekt-Bearbeitungsplattform zwischen zwei Computern über eine Bildschirmzusammenfügung
AU2003246060B1 (en) 2003-09-12 2004-05-06 Aconex Ltd Mobile report capture
US7870199B2 (en) 2003-10-06 2011-01-11 Aol Inc.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bringing external services into instant messaging session
WO2005051020A1 (en) 2003-11-18 2005-06-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real-time information
CA2547902A1 (en) 2003-12-19 2005-07-21 Speechgear, Inc. Display of visual data as a function of position of display device
US7458029B2 (en) 2004-01-15 2008-11-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process for controlling a shared display given inputs from multiple users using multiple input modalities
WO2005109829A1 (en) 2004-05-06 2005-11-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seamlessly transferring the execution of a software application from a first to a second device
US20060041893A1 (en) 2004-08-20 2006-02-23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device synchronization architecture and user interface
JP4701027B2 (ja) 2004-09-02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711681B2 (en) 2004-11-05 2010-05-04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System for distributed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interaction
US9398137B2 (en) 2005-04-19 2016-07-1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application launching in a mobile terminal device
JP4438690B2 (ja) * 2005-05-31 2010-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
EP1760584A1 (en) 2005-08-23 2007-03-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n application state from a first electronic device to a second electronic device
US9864628B2 (en) 2005-08-23 2018-01-0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n application state from a first electronic device to a second electronic device
US20070127426A1 (en) 2005-10-26 2007-06-07 Watters Andrew P Development environment
US7636794B2 (en) * 2005-10-31 2009-12-22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sensing techniques for mobile devices
US20070250645A1 (en) 2006-04-20 2007-10-25 Robert Meadows Mobile phone data backup system
US8564544B2 (en)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7983614B2 (en) 2006-09-29 2011-07-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andover for audio and video playback devices
TWI319540B (en) * 2006-11-15 2010-01-11 Inventec Appliances Corp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US20080154907A1 (en) 2006-12-22 2008-06-26 Srikiran Prasad Intelligent data retrieval techniques for synchronization
US8583090B2 (en) 2006-12-29 2013-11-12 Nokia Corporation Transferring task completion to another device
US8665225B2 (en) 2007-01-07 2014-03-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preting a finger gesture
US8239760B2 (en) 2007-06-26 2012-08-07 Sap Ag Multi-user document editing system and method
JP2009130876A (ja) 2007-11-28 2009-06-11 Hitachi Ltd 端末連携継続視聴システム、端末、サーバ、方法
US8838152B2 (en) 2007-11-30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Modifying mobile device operation using proximity relationships
US9246924B2 (en) * 2007-12-13 2016-01-26 Sonim Technologies, Inc. Method for sharing service identity among multiple client devices in a real-time communications network
US20090172565A1 (en) 2007-12-26 2009-07-02 John Clarke Jacks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haring Content
US20090204966A1 (en) * 2008-02-12 2009-08-13 Johnson Conrad J Utility for tasks to follow a user from device to device
US8013835B2 (en) 2008-02-21 2011-09-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system having shared display devices
EP2106186A1 (en) 2008-03-28 2009-09-30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uplink direction in a 3G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003315B2 (en) 2008-04-01 2015-04-07 Litl Llc System and method for streamlining user interaction with electronic content
US8516125B2 (en) 2008-06-08 2013-08-2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data transfer
WO2009152316A1 (en) 2008-06-11 2009-12-17 Teliris, Inc. Surface computing collab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8010487B2 (en) 2008-06-27 2011-08-30 Microsoft Corporation Synchronization and collaboration within peer-to-peer and client/server environments
CN101662667A (zh) 2008-08-29 2010-03-03 北京创先泰克科技有限公司 用电话机终端控制摄像装置的控制系统和方法
US8863038B2 (en)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8947320B2 (en) * 2008-09-08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indicating location and direc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
US9094910B2 (en) 2008-09-09 2015-07-28 Htc Corporation Methods utilized in mobile device for handling situations when time alignment timer expires, and mobile device thereof
US8082576B2 (en) 2008-09-12 2011-12-20 At&T Mobility Ii Llc Network-agnostic content management
US8214747B1 (en) 2008-10-10 2012-07-03 Adobe Systems Incorporated Role based state and dynamic feature enablement for collaborative and non-collaborative workspaces and imbeded applications
KR101526995B1 (ko) 2008-10-15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9240214B2 (en) 2008-12-04 2016-01-19 Nokia Technologies Oy Multiplexed data sharing
US8112480B2 (en) 2009-01-16 2012-02-07 Microsoft Corporation Signaling support for sharer switching in application sharing
US8255360B1 (en) 2009-01-30 2012-08-28 Apple Inc. Synchronization of database changes among multiple devices
US8588824B2 (en) 2009-02-26 2013-11-19 Adobe Systems Incorporated Transferring media context information based on proximity to a mobile device
US20100231735A1 (en) 2009-03-13 2010-09-16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acilitating Concurrent Video Recording and Still Image Capture
GB2468893A (en) 2009-03-26 2010-09-29 Nec Corp Frame structure for use in an ad hoc communication network
US8185828B2 (en) 2009-04-08 2012-05-22 Cisco Technology, Inc. Efficiently sharing windows during online collaborative computing sessions
CN101534411B (zh) 2009-04-08 2012-12-1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的视讯会议控制方法、终端及系统
US8325148B2 (en) * 2009-04-08 2012-12-0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gestur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ommunication
JP5177071B2 (ja) 2009-04-30 2013-04-03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送受信システム
US9830123B2 (en) 2009-06-09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with intuitively displaying content transmission direc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GB2471483A (en) 2009-06-30 2011-01-05 Nokia Corp Data type selection based on channel type
JP5438412B2 (ja) 2009-07-22 2014-03-12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ビデオゲーム装置、ゲーム情報表示制御方法及びゲーム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8675084B2 (en) 2009-09-04 2014-03-18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amera control
US8412185B2 (en) 2009-09-14 2013-04-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evic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8245069B2 (en) 2009-09-14 2012-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power supplies providing enhanced power efficiency
JP2011065518A (ja) * 2009-09-18 2011-03-31 Brother Industries Ltd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20110112819A1 (en) * 2009-11-11 2011-05-12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between a portable device and a computer
US8457604B2 (en) 2009-11-17 2013-06-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on a mobile device
KR101685364B1 (ko) * 2010-01-05 201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8769443B2 (en) 2010-02-11 2014-07-01 Apple Inc. Touch inputs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items
US9213220B2 (en) 2010-04-06 2015-12-15 Youbiq, Llc Camera control
KR101680344B1 (ko) 2010-05-06 201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527591B2 (en) 2010-05-20 2013-09-03 Actua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sharable browsing experience on a guest device
US8433759B2 (en) * 2010-05-24 2013-04-3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Direction-conscious information sharing
US8266551B2 (en) 2010-06-10 2012-09-1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user interface elements and granular reflective processing
US10104183B2 (en) * 2010-06-22 2018-10-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etworked device authentication, pairing and resource sharing
US20110320978A1 (en) * 2010-06-29 2011-12-29 Horodezky Samuel J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screen gesture recognition overlay
US20120084356A1 (en) 2010-10-01 2012-04-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 session sharing and group synchronization of multi media streams
US8473577B2 (en) 2010-10-13 2013-06-25 Google Inc. Continuous application execu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KR101750898B1 (ko) 2010-12-06 2017-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487871A1 (en) 2011-02-11 2012-08-15 Telefónica, S.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application status between different devices
US8171137B1 (en) 2011-05-09 2012-05-01 Google Inc. Transferring application state across devices
US8224894B1 (en) 2011-05-09 2012-07-17 Google Inc. Zero-click sharing of application context across devices
US9762662B2 (en) 2011-05-12 2017-09-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ss re-formation of groups in a peer-to-peer network
CN102202355A (zh) 2011-05-24 2011-09-28 上海聚力传媒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在用户设备间切换当前网络应用的方法与设备
US9009618B2 (en) 2011-06-08 2015-04-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status and progress of a process
US8775850B2 (en) 2011-06-28 2014-07-08 Amazon Technologies, Inc. Transferring state inform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WO2013009337A2 (en) 2011-07-08 2013-01-17 Arnold Goldberg Desktop application for access and interaction with workspaces in a cloud-based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synchronization mechanisms thereof
US20130046935A1 (en) 2011-08-18 2013-02-21 Microsoft Corporation Shared copy cache across networked devices
TWI442664B (zh) 2011-08-19 2014-06-21 Primax Electronics Ltd 無線電腦周邊裝置之無線充電方法
US9230243B2 (en) 2011-10-13 2016-01-05 Dassault Systemes Collaborative design using duplicated workspaces
US8812987B2 (en) 2011-12-20 2014-08-19 Wikipad, Inc. Virtual multiple sided virtual rotatable user interface icon queue
WO2013097898A1 (en) 2011-12-28 2013-07-04 Nokia Corporation Synchronising the transient state of content in a counterpart application
WO2013097878A1 (en) 2011-12-29 2013-07-04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of applying structural elements to an absorbent article
US9021136B2 (en) 2012-04-02 2015-04-28 F-Secure Corporation Data synchronisation
US9098357B2 (en) 2012-04-11 2015-08-0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ity management across multiple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1923A1 (en) 2009-10-02 2011-04-07 Babak Forutanpour Device movement user interface gestures for file sharing functiona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040A1 (ko) * 2019-10-24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3063730A1 (ko) * 2021-10-13 2023-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환경 내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36986A1 (en) 2014-05-15
JP6034401B2 (ja) 2016-11-30
GB2498228A (en) 2013-07-10
TW201342186A (zh) 2013-10-16
EP4134808A1 (en) 2023-02-15
US9983771B2 (en) 2018-05-29
RU2601831C2 (ru) 2016-11-10
CN104137048A (zh) 2014-11-05
KR20140108323A (ko) 2014-09-05
EP2798451A1 (en) 2014-11-05
RU2014128244A (ru) 2016-02-20
TWI596538B (zh) 2017-08-21
CN104137048B (zh) 2019-10-25
JP2015505402A (ja) 2015-02-19
GB2498228B (en) 2020-11-25
GB201204842D0 (en) 2012-05-02
WO2013097895A1 (en)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283B1 (ko)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제공
US20230315748A1 (en) Multifunction device with integrated search and application selection
CN106164856B (zh) 自适应用户交互窗格管理器
EP2774019B1 (en) Electronic device mode,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US9529524B2 (en)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100074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KR101859536B1 (ko) 단말기에서 독서 아이템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80225263A1 (en) Inline insertion viewport
MX2012008069A (es) Manipulacion y visualizacion de texto electronico.
TW201606631A (zh) 利用關聯指示器及浮動選單列的關聯選單
US11182070B2 (en)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based on gesture and electronic device
AU2012312075A1 (en) Multi-column notebook interaction
WO2014018574A2 (en) Manipulating tables with touch gestures
EP29162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notes on electronic devices
US20150180998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81102B2 (en) Navigating long distances on navigable surfaces
CN106415626B (zh) 从单个项目发起的组选择
US10162492B2 (en) Tap-to-open link selection areas
Hart-Davis MacBook Pro® and MacBook Air® 5th Edition
Boysen Windows 10 Plain & Sim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05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29

Effective date: 201809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