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236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236B1
KR102621236B1 KR1020180135625A KR20180135625A KR102621236B1 KR 102621236 B1 KR102621236 B1 KR 102621236B1 KR 1020180135625 A KR1020180135625 A KR 1020180135625A KR 20180135625 A KR20180135625 A KR 20180135625A KR 102621236 B1 KR102621236 B1 KR 102621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user
process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563A (ko
Inventor
이명호
김덕우
양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5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236B1/ko
Priority to EP19206663.7A priority patent/EP3651441B1/en
Priority to CN201980072300.1A priority patent/CN112997141B/zh
Priority to PCT/KR2019/014722 priority patent/WO2020096288A1/en
Priority to US16/674,642 priority patent/US11758213B2/en
Publication of KR20200052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저장부; 및 복수의 전자장치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 중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장치로 연결요청신호 및 사용자입력 시 수행할 기능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장치와 연결하고, 상기 선택된 전자장치로부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전자장치가 다수 개 존재하더라도, 그 중에서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전자장치에 자동으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장치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와 같이 사용자가 주로 디스플레이 화면과 원거리에 위치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그 장치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다소 불편하다. 긴 문자열 입력이 필요한 경우의 불편함은 더욱 크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 외부의 전자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 기기로 활용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TV의 입력 기기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 기기로 사용하기 위해 전자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하는 종래의 기술,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TV의 입력 기기로 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주변 장치를 검색하여 그 중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TV를 선택해야 하는 등 설정과정이 복잡하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와 전자장치 사이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전자장치가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그 중 어떤 전자장치와 연결해야 하는지 결정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전자장치가 다수 개 존재하더라도, 그 중에서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전자장치에 자동으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저장부; 및 복수의 전자장치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 중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장치로 연결요청신호 및 사용자입력 시 수행할 기능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장치와 연결하고, 상기 선택된 전자장치로부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그 주변에 주변에 전자장치들이 다수 개 존재하더라도,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전자장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연결 요청함에 따라, 사용자는 번거로운 연결 절차 없이 그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바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전자장치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입력 시 전자장치에서 수행할 기능의 정보도 함께 전자장치로 전송됨에 따라, 전자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 후에 필요한 기능이 바로 실행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 사용자가 사용 중인 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에 가까이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의 스크린의 작동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의 센서에 의해 전자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간(time) 및 구간(duration)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의 위치이동 여부 및 정도에 관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전자장치 선택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의 거리에 더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컨과 상기 전자장치 사이의 거리에 더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혹은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전자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촬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 선택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텍스트 입력창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고, 상기 UI 표시 중에 상기 선택된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자장치와의 연결을 필요로 할만한 시점에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전자장치의 연결을 요청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상기 선택된 전자장치로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선택된 전자장치 중에서 연결된 전자장치를 제외한 다른 전자장치로 연결요청 취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전자장치로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하게 한 이벤트가 종료되면,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한 전자장치에 연결요청 취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연결요청이 전자장치에 표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의 혼란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버와 통신 가능한 제2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자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사용자입력부; 및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연결요청신호 및 사용자입력 시 수행할 기능의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연결요청을 수락하는 입력을 받기 위한 UI를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UI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연결요청을 수락하는 응답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한 기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그래픽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그래픽 화면에 기초하여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상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잠금모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수신한 기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화면은 텍스트 입력을 위한 그래픽 키보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래픽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전자장치의 잠금모드 해제를 위한 화면을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잠금모드를 해제하는 사용자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잠금 해제된 상기 전자장치의 화면과 함께 상기 그래픽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소정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화면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장치를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 시 절전모드 진입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요청신호 수신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꺼져 있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사용자입력부; 및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연결요청신호 및 사용자입력 시 수행할 기능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전자기기의 식별번호가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지 식별하고, 식별번호가 일치하는 것에 기초하여, 연결요청을 수락하는 응답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한 기능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그래픽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그래픽 화면에 기초하여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전자장치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 중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장치로 연결요청신호 및 사용자입력 시 수행할 기능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장치와 연결하고, 상기 선택된 전자장치로부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에 가까이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의 스크린의 작동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의 센서에 의해 상기 전자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간 및 구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전자장치 사이의 거리에 더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컨과 상기 전자장치 사이의 거리에 더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혹은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전자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촬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텍스트 입력창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UI 표시 중에 상기 선택된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선택된 전자장치로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복수의 선택된 전자장치 중에서 연결된 전자장치를 제외한 다른 전자장치로 연결요청 취소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전자장치로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하게 한 이벤트가 종료되면,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한 전자장치에 연결요청 취소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서버와 통신 가능한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장치의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연결요청신호 및 사용자입력 시 수행할 기능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연결요청을 수락하는 입력을 받기 위한 UI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상기 UI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연결요청을 수락하는 응답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기능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그래픽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그래픽 화면에 기초하여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전자장치의 상태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의 잠금모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수신한 기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그래픽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화면은 텍스트 입력을 위한 그래픽 키보드일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의 잠금모드 해제를 위한 화면을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의 잠금모드를 해제하는 사용자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잠금 해제된 상기 전자장치의 화면과 함께 상기 그래픽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소정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화면의 표시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장치를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절전모드 진입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꺼져 있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켜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연결요청신호 및 사용자입력 시 수행할 기능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전자기기의 식별번호가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번호와 일치하는지 식별하는 단계; 식별번호가 일치하는 것에 기초하여, 연결요청을 수락하는 응답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기능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그래픽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그래픽 화면에 기초하여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되어 위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서버 내의 매체에 저장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전자장치가 다수 개 존재하더라도, 그 중에서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전자장치에 자동으로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 시스템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전자장치의 동작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전자장치의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전자장치를 검색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전자장치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자장치 선택방법의 여러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전자장치를 선택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전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잠금모드인 경우 동작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컨대, TV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컨대, 전자액자, 디지털 광고판, LFD(Large Format Display), 디지털 싸이니지, 스마트폰, 태블릿, 모바일폰, 스마트워치,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터, 멀티미디어 재생기, 셋탑박스, 스마트 냉장고 등 컨텐츠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전자장치(200)에 대해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연결을 요청할 수 있는 전자장치(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모바일폰, 태블릿, 키보드, 마우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전자장치(2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는 장치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전자장치(200)의 사용자 측면에서도 특별한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자장치(200)가 있는 경우, 각 장치는 서로 사용자가 다를 수도 있고, 한 사용자의 전자장치일 수도 있으며, 일부는 사용자 A, 나머지 일부는 사용자 B 또는 C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 사이의 연결 방식에도 특별한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WiFi Direc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방식에 따라 연결될 수 있으나, 두 장치 사이의 연결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01), 통신부(102), 저장부(103) 및 프로세서(104)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른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배제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회로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1)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1)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r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3)는, 액정 방식인 경우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1)는, 백라이트유닛 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02)는 전자장치(200) 등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0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Wi-Fi, WiFi Direct, 이더넷(Ethernet),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SPP(Serial Port Profile),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Radio Control,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02)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03)는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3)는 프로세서(104)에 의해 엑세스되어,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03)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3)는 프로세서(104)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임시로 로딩되기 위한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디스플레이부(101)에서 표시되도록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04)에서 수행하는 영상처리는, 예를 들어, 입력되는 스트림을 영상, 음성, 부가데이터의 각 하위 스트림으로 구분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스트림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스트림을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스트림을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 이외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 시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프로세서(104)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104)가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의 편의상, 제어프로그램을 언급하지 않고, 프로세서(104)의 동작으로 설명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예컨대,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획득한 상태정보가 저장부(103)에 저장되도록 저장부(10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하나의 프로세서(104)에서 처리와 제어를 함께 수행하는 구성으로 구현된 것을 나타내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프로세서와 별도로 제어부를 추가 구비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는 전자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0), 통신부(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0), 통신부(220) 및 프로세서(230)에 대해서는 앞서 살펴 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01), 통신부(102) 및 프로세서(104)에 관한 설명이 적용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복수의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를 획득한다(S301). 여기서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란, 전자장치(200)의 동작 상태 또는 전자장치(200)의 각 구성의 구동 상태를 포함해 전자장치(200)의 상태와 관련성이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200)의 스크린의 작동상태(스크린이 켜져 있는지 아니면 꺼져 있는지 등), 전자장치(200)를 통해 터치입력이 수신 중인지 여부, 전자장치(200)에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지 여부, 전자장치(200)의 각종 센서에서 감지 또는 수집한 정보 등이 상태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는, 전자장치(200)의 이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전자장치(200)에 대하여 가장 최근에 이동이 있었던 시간(time) 및/또는 이동한 시간의 길이(duration)가 상태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획득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장치(200) 중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200)를 선택한다(S302). 여기서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200)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기에 편리하거나 용이한 상태에 있는 전자장치(200)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현 사용자에 가까이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시청 중인 사용자에게 최적의 상태 또는 위치에 있는 전자장치를 식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현 위치에서 추가적인 위치이동이나 기타 불편함 없이 손쉽게 해당 전자장치(20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현재 수행중인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외부의 전자장치(200)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거나,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프로세서(104)는 통신부(102)를 통하여 선택된 전자장치(200)로 연결요청신호 및 현재 수행중인 프로세스에 따라 전자장치(200)가 수행할 사용자입력 기능의 정보를 전송한다(S303). 여기서 전자장치가 수행할 사용자입력 기능의 정보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가 연결된 이후, 전자장치(200)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전자장치가 표시할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로서, 전자장치(200)에서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입력과 관련이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라면 무엇이든 가능하고 그 내용이나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검색창을 포함하는 웹 브라우저를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검색창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리모컨을 통해 활성화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01)에 그래픽 키보드를 표시하는 데,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하는, 전자장치가 수행할 사용자 입력 기능의 정보는 그래픽 키보드 표시를 위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그래픽 키보드의 레이아웃이나 그래픽 키보드의 종류 등에 관한 정보가 될 수 있고, 그래픽키 보드의 표시를 요청하기 위한 명령어가 될 수도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품 결제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휴대폰을 포함한 전자장치(200)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장치가 수행할 사용자 입력 기능의 정보는 결제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를 위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상품 및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명령어이거나, 전자장치의 보안 키패드의 표시를 요청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가 연결요청신호 및 현재 프로세스에 따른 사용자입력 기능의 정보를 전송하면, 그에 대응하는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는, 그 연결요청신호 및 기능의 정보를 수신하며(S304), 사용자의 연결요청 수락입력을 받기 위한 UI를 출력한다(예를 들어UI 아이템을 표시)(S305). 사용자의 연결요청 수락입력을 받기 위한 UI의 일 예로서,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는, 도 22와 같이, "TV로부터의 연결 요청을 수락하시겠습니까?"등과 같은 텍스트 메시지 및 YES/NO 선택버튼(2001)를 전자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연결요청 수락입력을 받기 위한 UI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로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안내 음성, 벨 또는 멜로디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요청하는 등 사용자의 연결요청 수락입력을 받기 위한 방법이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또한, UI 아이템은 전자장치(200)가 잠금모드 또는 잠금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표시될 수 있다. 그 경우 UI 아이템은 잠금모드임을 나타내는 UI(2002)와 함께 전자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UI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겠다는 사용자의 의사가 확인되면 (S306),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는 연결요청을 수락하는 응답을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하고, 위 응답을 수신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선택된 전자장치(200)와의 연결을 수행한다(S307).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 사이의 통신 방식에 특별한 한정이 없으므로, 두 장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방식에도 특별한 한정은 없고, 두 장치 사이의 통신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가 BLE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경우, 두 장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두 장치 사이에서 페어링(pairing)이 먼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두 장치가 한번 페어링 된 이후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는 상호 간의 주소정보, 예를 들어 BT Mac 주소를 저장해놓고 있을 수 있다.
연결요청신호 전송의 대상이 되는 전자장치(200)의 주소정보, 예를 들어 해당 전자장치(200)의 BT Mac 주소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전자장치(200)에 대한 연결 신호에, 해당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로부터의 별도 연결요청 수락 입력이 없더라도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와 같이, 전자장치(200)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연결요청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경우(S1904),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는 사용자의 연결요청 수락 입력을 위한 별도의 UI 아이템을 표시하거나 사용자로부터의 별도 입력을 수신함이 없이,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가 현 장치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1905), 일치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의 연결요청을 수락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3과 비교하여, 도 19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전자장치(200)에 대하여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전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의 연결요청 수락 입력을 별도로 수신하지 않고도, 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가 해당 전자장치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만을 확인함으로써, 또는 별도의 확인 없이 바로,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가 연결되면,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는 수신한 기능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0)에 사용자입력을 위한 그래픽 화면을 표시하고(S308), 표시된 그래픽 화면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S309). 여기서 사용자입력을 위한 그래픽 화면이란, 앞서 S303과 관련하여 현재 수행중인 프로세스에 따라 전자장치가 수행할 사용자입력 기능의 정보에 관해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가 연결된 이후, 전자장치(200)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전자장치가 표시할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그래픽 화면으로서, 예를 들어 그래픽 키보드, 보안 키패드 등일 수 있으나, 그 내용이나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전자장치(200)로부터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그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한다(S310, S311). 나아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한 다른 전자장치(200)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그 다른 전자장치(200)에 대한 연결요청 취소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그 주변에 주변에 전자장치들이 다수 개 존재하더라도,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전자장치(200)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연결 요청함에 따라, 사용자는 번거로운 연결 절차 없이 그 전자장치(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바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입력 시 전자장치(200)에서 수행할 기능의 정보도 함께 전자장치(200)로 전송됨에 따라, 전자장치(200)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연결 후에 필요한 기능이 바로 실행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이상과 같이 전자장치(200)에 표시된 그래픽 화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200)에서의 사용자입력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되고 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동작된 후, 소정 시간동안 전자장치(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S312), 전자장치(200)는 그래픽 화면의 표시를 중단하고 절전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313).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전자장치(200)가 절전모드로 전환되었다는 정보가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S314), 해당 전자장치(200)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타 전자장치(200)에 대한 연결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S315).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는, 전자장치(200)에 표시된 그래픽 화면의 표시를 중단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장치(200)는 절전모드 또는 디스플레이(101)가 꺼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전자장치의 프로세서(230)는 디스플레이(101)가 켜지도록 제어한 후, 앞서 설명한 S304 이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전자장치(200)가 잠금모드인 경우, 프로세서(230)는 잠금모드를 유지한 채로 디스플레이(101)가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가 TV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A가 TV(100)를 시청하고 있고 TV(100)의 주변에는 복수의 전자장치(200)로서 사용자 A의 스마트폰(201)과 블루투스 키보드(202), 태블릿(203), 그리고 사용자 B의 스마트폰(204)가 놓여 있는 경우, TV(100)의 프로세서(104)는 복수의 전자장치(200)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 각 전자장치(201-204) 자체 및 전자장치 스크린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 즉 각 전자장치(200)의 스크린이 켜졌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획득한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4)는 각 전자장치(201-204)로부터, 전자장치의 센서에 의해 전자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간 및 움직임이 지속된 시간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획득한 정보가 저장부(103)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 A가 TV(100)를 시청하고 사용하던 중 TV에 텍스트를 입력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도 5의 (1)), 예를 들어 TV에서 인터넷 검색을 위한 검색어를 입력해야 하는 상황인 경우, TV(100)의 프로세서(104)는 획득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장치(201-204) 중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를 선택한다(도 5의 (2)). 예를 들어, 도 5의 실시예에서 TV(100)의 프로세서(104)는 복수의 전자장치(201-204) 중 스크린이 켜져있는 것으로 파악된 전자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201)을 선택할 수 있다. 스크린이 켜져 있는 전자장치는 TV를 시청 중인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전자장치로 추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201)을 연결대상 전자장치로 선택한 프로세서(104)는, 스마트폰에 대해 연결요청신호 및 수행할 사용자입력 기능의 정보를 제공한다(도 5의 (3)). 본 실시예의 경우 TV(100)에서 인터넷 검색을 위한 검색어 입력이 필요한 상황이므로, 수행할 사용자 입력 기능의 정보는 그래픽 키보드의 표시를 요청하는 정보이다.
TV(100)로부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200)은, 그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TV로부터의 연결요청을 수락하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스마트폰(200)에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연결요청 수락을 명하는 입력을 수신한다(도 5의 (4)).
스마트폰(200)의 사용자로부터 연결요청을 수락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TV(100)와 스마트폰(200)은 상호 연결을 수행하고(도 5의 (5)), 스마트폰(200)의 프로세서(230)는 TV(100)로부터 수신한, 스마트폰이 실행할 기능에 관한 정보(본 실시예에서는 가상키보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키보드를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입력을 스마트폰(200)을 통해 입력한다(도 5의 (6)).
이후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을 통해 입력된 정보는 스마트폰과 연결된 TV(100)로 전송되게 되고(도 5의 (7)), 이를 수신한 TV(100)는 그 수신한 사용자입력에 기초한 동작,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입력값을 키워드로 한 인터넷 검색의 수행 및 검색결과의 표시 등을 수행한다(도 5의 (8)).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의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TV(100)를 시청하던 사용자가 시청 중에 인터넷 검색이 필요하여 리모컨에서 검색 버튼을 누른 경우, TV(100)의 화면에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501)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전자장치 중에서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로 TV(100)의 프로세서(104)에 의해 선택되어 TV(100)와 연결된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부(210)에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그래픽 화면으로서,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502)가 표시될 수 있다. 스마트폰(200)에서 입력된 문자열을 바로 확인하기 위한 표시창(503)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표시된 키보드(502)를 통한 스마트폰(200)에서의 문자 입력은, 스마트폰에서의 검색을 위한 것이 아니라, TV로 전송될 것임을 나타내기 위한 UI(504)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도 6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전자장치(200)의 표시 화면은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화면에서 사용자입력이 필요한 경우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전자장치(200)의 사용자입력 시 수행될 기능의 종류, 내용 및 형태도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전자장치(200)가 잠금모드 또는 잠금상태인 경우에도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의 연결요청신호 및 사용자입력 기능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그래픽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는, 전자장치(200)의 잠금상태를 유지한 채로, 사용자입력 기능정보에 따른 그래픽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전자장치(200)(예를 들어 사용자 A의 스마트폰(201))의 프로세서(230)는, 잠금모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연결 요청 및 사용자입력 기능 정보를 수신하면, 먼저 위 수신 사실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와 같이,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는 전자장치(200)의 잠금모드를 유지한 채로 전자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0)에, 전자장치(200)가 잠금모드임을 나타내는 UI(2002)와 함께, 디스플레이부(210)의 상단에 텍스트 형태의 알림메시지(2001) 또는 소정 아이콘를 표시할 수 있다.
위 알림메시지 또는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의 연결요청을 수락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는, 잠금모드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입력 기능 정보에 기초한 그래픽 화면, 예를 들어 도 23과 같이, 그래픽 키보드 UI(2101)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그래픽 키보드 UI(2101)는 도 23과 같이 전자장치(200)가 잠금모드임을 나타내는 UI(2002)와 함께 표시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200)의 잠금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 패턴 입력, 지문 인식, 얼굴 인식, 홍채 인식 등이 가능한 경우,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는 위 그래픽 화면(2101)을 표시하는 동안에는 위 사용자 인증에 관련된 화면, 예를 들어 패턴 입력 화면 등은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잠금모드에서 그래픽 키보드 UI(2101)가 표시된 경우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는, 전자장치(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더라도, 사용자 인증을 위한 UI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비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위 그래픽 키보드 UI가 표시되지 않는, 일반적인 잠금모드 상태에서 전자장치(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자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10)에 그래픽 화면으로서 그래픽키보드 UI(2101)가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지문이 감지되고 그 지문이 전자장치(200) 사용자의 지문으로 식별된 경우,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는, 예를 들어 도 24와 같이, 전자장치(200)에 대한 잠금모드를 해제하고, 그래픽키보드 UI(2101)를 전자장치(200)의 초기화면 또는 잠금모드 해제 시 자동으로 표시되는 화면(2201, 2202)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가 잠금모드인 경우에도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선택한 전자장치가 현재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소유가 아니라는 등의 이유로 사용자가 전자장치의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선택된 전자장치에 표시된 내용을 이용하여 사용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전자장치(200)를 검색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복수의 전자장치 중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를 선택하기에 앞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전자장치(200)를 검색하여 각 장치들의 정보를 미리 파악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에 복수의 전자장치(200)로서 사용자 A의 스마트폰(201)과 블루투스 키보드(202), 태블릿(203), 그리고 사용자 B의 스마트폰(204)이 놓여 있는 경우, 그리고 각 장치는 BLE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각 전자장치(201-204)는 다른 장치와의 연결을 위해 BLE 신호를 3초마다 발산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그 주변에 위치하고 통신 연결 가능한 전자장치(200)를 검색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수신되는 BLE 신호를 2초마다 스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자신의 주변에 위치한 통신 연결 가능한 전자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모듈의 종류, 전자장치의 통신 신호 발산 주기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통신 신호 스캔 주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주변에 있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BLE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각 전자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얼마나 멀리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전자장치(200) 만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200)로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거리가 3M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3M 이내에 위치한 전자장치(200)만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로 선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A의 스마트폰(201)과 사용자 B의 스마트폰(204)의 스크린이 켜져 있고, 태블릿(202)의 스크린은 꺼져 있는 상태이고, 사용자 A의 스마트 폰(201)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4M 거리에 있고, 사용자 B의 스마트 폰(204)은 2M 거리에 있다면 TV(100)의 프로세서(104)는 사용자 B의 스마트 폰(204)을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 A의 스마트폰(201)과 사용자 B의 스마트폰(204)이 모두 스크린이 켜져 있는 상태이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3M 이내에 위치한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사용자 A의 스마트 폰(201)과 사용자 B의 스마트 폰(204)을 모두 선택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버와 통신 가능한 제2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제2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TV(100)의 주변에 복수의 전자장치(200)로서 사용자 A의 스마트폰(201)과 블루투스 키보드(202), 태블릿(203), 그리고 사용자B의 스마트폰(204)이 놓여 있는 경우, 각 전자장치(201-204)는 자신의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AP(Access Point)(700)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와 통신 가능한 제2통신부를 구비한 TV(100)의 프로세서(104)는, 제2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각 전자장치(201-203)에서 수신한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또는, AP(700)가 서버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도 있다. 즉, 각 전자장치(201-204)에서 전송된 상태정보는 AP(700) 내에 저장될 수 있고, TV(100) 프로세서(104)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AP(700)로부터 TV(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2통신부를 이용하여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버에서 각 전자장치(201-203)에 먼저 상태정보의 제공을 요청하여 그에 따라 상태정보가 서버로 수집될 수도 있다. TV(100)와 서버, 서버와 전자장치(201-203) 사이의 통신 방식에도 특별한 한정은 없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른 구성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전자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직접 통신을 통해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 사이의 직접 통신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BLE, Wi-Fi, Wi-Fi Direct, NFC 등의 통신 방식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 사이에서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이 가능한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자장치(200)는 BLE를 통해 자신의 상태정보, 예를 들어 스크린 ON/OFF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위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전자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된 BLE 신호에는 그 신호를 발송한 전자장치(200)의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이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에서 위 BLE 신호를 전송한 전자장치(200)를 선택함에 따라 해당 전자장치(200)에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 위 BLE 신호에 포함되어 전달된 전자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장치(200)에 대한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 사이의 페어링이 수행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저장된, 위 전자장치(200)에 대한 주소정보(예를 들어, BT Mac 주소)를 이용하여 위 전자장치(200)에 대하여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가 전자장치(200)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가, 복수의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장치(200) 중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200)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로서, 전자장치(200)의 스크린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예를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복수의 전자장치(200)의 이동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장치(200) 중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TV(100)의 주변에 놓인 스마트폰(201)과 블루투스 키보드(202), 태블릿(203), 및 사용자B의 스마트폰(204) 중 스마트폰(201)에 대해서는 최근 201a에서 201b로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었으나, 블루투스 키보드(202)와 태블릿(203)에 대해서는 위치 이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04)는 위치 이동이 감지된 전자장치인 스마트폰(201)을 연결 대상 전자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최근 들어 그 위치가 이동한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최근까지 사용한 전자장치라고 볼 개연성이 있기 때문이다. 전자장치(200)의 위치가 이동했는지 여부는 전자장치(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가속도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할 수 있고, 또는 삼각측량 등을 이용하는 실내측위 센서 또는 GPS 센서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측정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전자장치(200)의 프로세서(230)은 전자장치(2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이와 관련된 정보를 시간정보와 함께 서버, AP(700) 또는 직접 TV(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각 전자장치(200)로부터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면, TV(100)에서 시간정보를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200)의 위치이동 여부 및 정도에 관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전자장치(200) 선택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4)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전자장치(200) 사이의 거리에 더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장치(200) 중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TV(100)의 주변에 놓인 사용자 A 내지 C의 스마트폰(901-903)에 대해 TV(100)와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사용자 A의 스마트폰(901)이 TV(100)로부터 가장 가깝고 다음으로는 B의 스마트폰(902), C의 스마트폰(903) 순서라면, 그 중에서 TV(100)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사용자 A의 스마트폰(901)을 연결대상 전자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TV(100)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현재 TV(100)를 시청하는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디스플레이장치(100)와 거리가 가까운 전자장치(200)만이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전자장치(20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전자장치(200)가 현재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전자장치(200)로 볼 확률이 크다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전자장치(200)를 선택할 수도 있다.
TV(100)와 전자장치(2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통신부(102)를 통하여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혹은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한 측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SSI 값을 측정하여 이로부터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또는, IR 센서 등을 이용하여 TV(100)와 전자장치(2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200) 선택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는 리모컨(1001)과 전자장치(200) 사이의 거리에 더 기초하여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200)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V(100)의 사용자 A가 리모컨(1001)을 사용하여 TV(100)를 시청하고 있고, TV(100)의 주변에 놓인 스마트폰(201)과 블루투스 키보드(202), 태블릿(203)과 리모컨(1001) 사이의 거리 관계가 도 11과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리모컨(1001)으로부터 거리가 가장 가까운 스마트폰(201)을 연결 대상 전자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TV(100)의 사용자가 리모컨(1001)을 사용할 경우 리모컨(1001)은 사용자로부터 인접한 곳에 두고 수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리모컨(1001)에 근접한 전자장치(200)라면 리모컨(1001)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이거나 직전까지 사용됐던 전자장치일 개연성이 높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모컨(1001)과 전자장치(2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앞서 도 10를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리모컨(1001)의 통신부를 통하여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혹은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한 측정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1001)이 블루투스 리모컨일 경우, 블루투스 리모컨을 통해 수집한 RSSI 정보를 바탕으로 연결 대상 전자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전자장치(200)의 통신부(220)를 통하여 리모컨(1001)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혹은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한 측정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200) 선택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가 전자장치(200)를 선택하는 방법의 여러 예를 살펴보았으나, 각 방법이 서로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위에서 언급한 각 방법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전자장치(200)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서 참조한 정보들을 저장부(103)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참조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각 전자장치(200)로부터 획득한 상태정보 등을 표 등의 형태로 구성하여 저장부(103)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프로세서(104)는 각 전자장치(200)에 대하여, 예를 들어, 그 장치의 식별값(1101), 스크린 ON/OFF에 관한 작동상태정보(1102), 최근 이동이 있었는지에 관한 이동상태정보(1103),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거리를 나타내는 위치정보(1104)를 DB 형태로 저장부(103)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에 관한 위와 같은 여러 종류의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대상 전자장치(200)를 선택하는 경우, 어떤 정보를 얼만큼의 비율로 고려할지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일 예로, 프로세서(104)는 각 전자장치(200)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다 고려하여 연결 대상 전자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4)는 각 전자장치(200)에 대한 정보 중 일부만을, 그러나 둘 이상을 고려하여 연결 대상 전자장치(200)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각 정보 사이에는 우선순위를 두거나 가중치를 두는 등의 방법을 통해 전자장치(200) 사이의 선택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9를 참조하여 도 12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를 선택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현재 실행중인 기능이 전자장치(200)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는 기능인지를 식별한다(S1801).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검색창을 포함하는 웹 브라우저를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검색창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리모컨을 통해 활성화되는 경우, 프로세서(104)는 이를 전자장치(200)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는 기능으로 식별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현재 실행중인 기능이 전자장치(200)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는 기능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04)는 도 3의 정보로부터, 소정 거리(예를 들어 3m) 이내의 전자장치(200)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한다(S1802). 소정 거리(예를 들어 3m) 이내의 전자장치(200)가 있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04)는 그 중에서 전자장치(200)의 스크린이 ON 상태인 장치가 있는지 식별한다(S1803). 스크린이 ON 상태인 전자장치(200)가 있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04)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3m 이내에 있고 스크린이 ON 상태인 전자장치를 선택한다(S1084). 이후 프로세서(104)는 선택된 전자장치에 대해 연결요청신호 및 사용자입력 기능의 정보를 전송하고(S1805), 연락요청을 수락한 전자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한다(S1806). 이 때, 연결요청신호 및 사용자입력 기능의 정보를 전송한 전자장치(200)가 복수 개인 경우, 프로세서(104)는 가장 먼저 연락요청을 수락한 전자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하고, 연결된 전자장치(200) 이외의 나머지 전자장치(200)에 대해서는 연결요청 취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807).
소정 거리(예를 들어 3m) 이내의 전자장치(200)는 있는 것으로 식별되었으나, 그 중에서 전자장치(200)의 스크린이 ON 상태인 장치는 없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04)는 가장 최근 움직임이 있었던 장치를 선택하여(S1808), 해당 장치에 대해 연결요청신호 및 사용자입력 기능의 정보를 전송하고(S1804), 연락요청을 수락한 전자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한다(S1805).
소정 거리(예를 들어 3m) 이내의 전자장치(200)는 없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04)는 스크린이 ON 상태인 전자장치를 식별하여(S1809), 해당 장치에 대해 연결요청신호 및 사용자입력 기능의 정보를 전송하고(S1805), 연락요청을 수락한 전자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한다(S1806).
이상의 과정을 거쳐 특정 전자장치(20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이후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현재 실행중인 기능으로서 전자장치(200)와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는 기능이 종료되었는지를 식별하여, 종료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된 전자장치(200)에 기능 종료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1810).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200) 선택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가 전자장치(200)를 선택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104)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전자장치(200)를 선택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현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전자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200)의 유력한 후보 중 하나이다. 따라서 현재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직접 식별할 수 있다면, 복수의 전자장치(200) 중 그 식별된 사용자의 전자장치(200)를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현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전자장치(200)를 선택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현재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일 예로, 프로세서(104)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3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TV(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TV에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을 수행하여 TV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또는 추천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로그인을 할 수 있다. TV(100)에 특정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이 되어 있다면, 현재 그 사용자가 TV(100)를 시청하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자장치(200) 중 로그인된 사용자의 전자장치(200)를 선택하여 연결 요청을 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현 사용자가 사용 중인 전자장치(200)에 대해 연결 요청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TV(100)의 주변에 사용자 A 내지 C의 스마트폰(901-903)이 존재하는 경우, TV(100)의 프로세서(104)는 우선 주변 장치 검색을 통해 TV(100)의 주변에 식별번호가 각각 00:00:00:01, 00:00:00:10, 00:00:00:20인 3 대의 전자장치가 존재함을 파악한다. 또한, 프로세서(104)는 TV(100)에 현재 사용자 A의 계정으로 로그인이 되어 있음을 파악한다. TV(100)에 현재 사용자 A의 계정으로 로그인이 되어 있다는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01)를 통해 표시되어 있을 수도 있고(1201),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후 프로세서(104)는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 등을 포함하여 전자장치(200)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DB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도 12의 DB를 참조하여, 검색된 전자장치(200) 중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 A의 전자장치를 선택한다.
프로세서(104)가 전자장치(200)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DB를 참조하여 복수의 전자장치(200) 중에서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의 전자장치(200)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전자장치(200)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DB의 내용 내에, 각 전자장치(200)와 관련하여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즉, 도 12의 표 중 사용자 열(1105)과 같이, 각 전자장치(200)에 대하여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DB 내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각 전자장치(200)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는, 프로세서(104)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별 계정을 관리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사용하는 전자장치(200)에 관한 정보를 직접 등록함으로써 각 전자장치(200)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특정 전자장치(200)를 통해 사용자계정에 로그인 한 경우, 프로세서(104)는 해당 전자장치(200)를 그 사용자의 전자장치(200)로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정보를 DB에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200) 선택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현재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 그 리모컨을 활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모컨을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리모컨을 통해 감지할 수 있는 정보가 지문 정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른 정보, 예를 들어 다른 생체 정보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리모컨을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하고(S1301), 수신된 지문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한다(S1302). 식별된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장치(200) 중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200)를 선택한다(S1303). 식별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200)를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전자장치(200)에 대하여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담긴 DB 정보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200)를 선택함으로써 전자장치(200) 선택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현재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촬상부를 더 구비하여, 프로세서(104)가 촬상부에서 촬상된 영상에 기초하여 직접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영상을 촬상하도록 촬상부를 제어하고(S1401), 촬상된 영상을 수신하여 그 영상으로부터 사용자를 식별한다(S1402). 그리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전자장치(200)를 선택한다(S1403). 식별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200)를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각 전자장치(200)에 대하여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담긴 DB 정보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기술로는 다양한 영상처리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VM(Support Vector Machin) 알고리즘 등을 이용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이나 딥 러닝(Deep Learning), 그 중에서도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이용한 딥 러닝 기술 등을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구현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 다양한 영상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4)가 촬상된 영상을 우선 개략적으로 분석한 결과 복수의 사람이 촬상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 각 사람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역에 대하여 모두 구체적인 식별을 수행하기 보다는, 그 복수의 사람 중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실제로 시청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을 먼저 분류해 낸 후 그 사람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서만 구체적인 사용자 식별을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그 일 예로서, 프로세서(104)는 촬상 영상 중 사람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각 사람의 안면 방향 또는 시선 방향만을 우선적으로 분석해낸 후, 안면 방향 또는 시선 방향이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향한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영역에 대해서만 구체적인 사용자 식별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장치(200) 중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이미 사용 중인 전자장치(200)가 있다면,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서 TV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이를 통해 TV를 제어하는 경우, 그 전자장치(200)는 이미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 중인 전자장치(200)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별도로 전자장치(200)를 선택하고 연결 요청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사용자입력 시 수행할 기능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이후 그 전자장치(200)로부터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복수의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를 획득한 후(S1501), 리모컨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인 전자장치(200)가 있는지 식별한다(S1502). 리모컨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인 전자장치(200)가 없는 경우, 프로세서(104)는,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200)를 선택하여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하고(S1503), 전자장치(200)로부터의 연결요청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전자장치(200)와 연결하여(S1506), 이후 사용자입력 시 수행할 기능을 정보를 전송하고(S1507) 이를 통해 전자장치(200)에 입력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510)를 거치게 된다. 그러나 만약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전자장치(200)가 있다면, 해당 전자장치(200)와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미 연결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별도의 연결요청 과정 없이 바로 사용자입력 시 수행할 기능을 정보를 전송하여(S1507) 이를 통해 전자장치(200)에 입력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510)로 진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200) 선택 및 연결의 신뢰성과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가 복수의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전자장치(200) 중 사용자입력 수신에 적합한 상태의 전자장치(200)를 선택하는 단계로 나아가는 방법이나 시기에 특별한 한정은 없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전자장치(200)의 선택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전자장치(200) 선택 단계로 나아갈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4)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 중에 사용자로부터의 텍스트 입력이 필요한 상황인 텍스트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여 그에 따라 자동으로 전자장치(200) 선택 단계로 나아갈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후자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복수의 전자장치(200)의 상태정보를 획득한 후(S1601), 텍스트 입력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식별한다(S1602). 텍스트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텍스트 입력 이벤트의 발생을 대기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여 프로세서(104)가 이를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04)는 디스플레이부에 텍스트 입력창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고, UI 표시 중에 선택된 전자장치(200)로부터 사용자입력을 수신한다. 텍스트 입력 이벤트를 감지한 이후의 동작은 도 3 또는 도 16를 통해 설명한 내용이 적용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자장치(200)와의 연결을 필요로 할만한 시점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전자장치(200)의 연결을 요청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상기 전자장치(200)로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하게 한 이벤트(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이벤트)가 종료되면,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한 전자장치에 연결요청 취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하게 한 이벤트가 종료되는 경우의 일 예는,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검색창을 포함하는 웹 브라우저를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검색창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리모컨을 통해 활성화되었다가 리모컨을 통한 선택에 의해 다시 비활성화되는 경우 등일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복수의 전자장치(200)를 선택하여 각 전자장치(200)로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하고, 복수의 선택된 전자장치(200) 중에서 연결된 전자장치(200)를 제외한 다른 전자장치(200)에 대해 연결요청 취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자장치(200)를 선택하여 각각에 대해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한 후, 그 중 하나로부터 연결요청이 수락되어 연결되면,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전자장치(200)에 대한 연결요청 신호는 더 이상 유지될 필요가 없으므로 이를 취소하는 신호를 보냄으로써 전자장치(200)에 대하여 불필요한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과 같이, TV(100)의 주변에 사용자 A의 스마트폰(201)과 블루투스 키보드(202), 태블릿(203), 그리고 사용자 B의 스마트폰(204)의 복수의 전자장치(200)가 놓여 있는 경우, 프로세서(104)는 그 복수의 전자장치(200) 중에서 하나의 전자장치(201)를 선택하여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다른 전자장치 중 적어도 일부(202, 203, 204)에 대해서도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즉 여러 개의 전자장치에 대하여 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자장치(200) 선택에서 오차가 발생한 경우를 대비할 수 있다(도 18의 (1)). 이후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한 전자장치(201)가 연결요청을 수락하여 해당 전자장치(201)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연결되면(도 18의 (2), (3)), 프로세서(104)는 나머지 전자장치(202, 203, 204)에 대해서는 연결요청 취소신호를 전송한다(도 18의 (4)).
이에 의하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연결요청이 전자장치(200)에 표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의 혼란을 예방할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01: 디스플레이부
102: 통신부
103: 저장부
104: 프로세서

Claims (26)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저장부; 및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 가능한 복수의 제1전자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복수의 제1전자장치 각각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제1전자장치의 상기 획득된 상태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전자장치 중 복수의 제2전자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제2전자장치로, 상기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수행되기 위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연결요청신호와 함께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제2전자장치 중,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락하는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요청신호에 관련된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연결요청신호에 응답한 상기 전자장치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제2전자장치 중에서 상기 연결된 전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전자장치 각각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요청 취소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연결된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상기 제1전자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에 가까이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제1전자장치의 스크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제1전자장치의 센서에 의해 상기 전자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간 및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제1전자장치 사이의 거리에 더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전자장치에 연결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컨과 상기 제1전자장치 사이의 거리에 더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전자장치에 연결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혹은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2전자장치에 연결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촬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텍스트 입력창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고, 상기 UI 표시 중에 상기 연결된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 가능한 제2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전자장치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통신부를 통해 연결 가능한 복수의 제1전자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복수의 제1전자장치 각각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전자장치의 상기 획득된 상태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전자장치 중 복수의 제2전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제2전자장치로, 상기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수행되기 위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연결요청신호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전자장치 중,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락하는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요청신호에 관련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결요청신호에 응답한 상기 전자장치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제2전자장치 중에서 상기 연결된 전자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전자장치 각각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요청 취소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연결된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제1전자장치의 스크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제1전자장치의 센서에 의해 상기 제1전자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간 및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전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제1전자장치 사이의 거리에 더 기초하여 상기 제2전자장치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전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2전자장치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에 텍스트 입력창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UI 표시 중에 상기 연결된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서버와 통신 가능한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전자장치의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5. 삭제
  26.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되어 제18항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80135625A 2018-11-07 2018-11-0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21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25A KR102621236B1 (ko) 2018-11-07 2018-11-0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9206663.7A EP3651441B1 (en) 2018-11-07 2019-10-3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980072300.1A CN112997141B (zh) 2018-11-07 2019-11-01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PCT/KR2019/014722 WO2020096288A1 (en) 2018-11-07 2019-11-0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674,642 US11758213B2 (en) 2018-11-07 2019-11-05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25A KR102621236B1 (ko) 2018-11-07 2018-11-0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563A KR20200052563A (ko) 2020-05-15
KR102621236B1 true KR102621236B1 (ko) 2024-01-08

Family

ID=6842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625A KR102621236B1 (ko) 2018-11-07 2018-11-0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58213B2 (ko)
EP (1) EP3651441B1 (ko)
KR (1) KR102621236B1 (ko)
CN (1) CN112997141B (ko)
WO (1) WO2020096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9083B1 (fr) * 2018-11-27 2021-04-16 La Team Procédé et dispositif d’affichage de données de communication
JP6849743B2 (ja) * 2019-07-05 2021-03-3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221239A4 (en) * 2020-10-31 2024-03-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VICE COMMUNICATION
KR20230109318A (ko) * 2022-01-13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015354A1 (en) * 2022-07-11 2024-01-11 Roku, Inc. Automatic parental control using a remote control or mobile ap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9230A1 (en) 2012-12-24 2014-06-26 Jaroslaw J. Sydir Location-based selection of wireless peripheral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6774B2 (en) 2008-07-10 2017-07-25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ing a user interface on a server device to a user interface on a client device
KR101649162B1 (ko) * 2009-06-11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058525B1 (ko) 2009-10-09 2011-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텍스트 입력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638222B2 (en) * 2010-04-19 2014-01-28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able device selection based on controller location
CN103119914A (zh) * 2011-09-20 2013-05-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便携终端及使用该便携终端的电子设备操作的控制方法
KR101922283B1 (ko) * 2011-12-28 2019-02-13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애플리케이션의 오픈 인스턴스의 제공
KR101982151B1 (ko) * 2012-08-24 2019-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2015347B1 (ko) * 2013-01-07 2019-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를 이용한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50350146A1 (en) * 2014-05-29 2015-12-03 Apple Inc. Coordination of message alert presentations across devices based on device modes
US10684707B2 (en) * 2014-06-25 2020-06-16 Sony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157224B1 (ko) * 2014-11-03 2020-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WO2016072635A1 (en) * 2014-11-03 2016-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102404356B1 (ko) * 2015-09-11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US10846128B2 (en) * 2015-10-02 2020-11-2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anaging the graceful termination of a virtualized network function instance
US9640043B1 (en) * 2015-12-18 2017-05-02 Mitutoyo Corporation Remote display device for use in a metrology personal area network
DK201670583A1 (en) * 2016-03-28 2017-10-16 Apple Inc Keyboard input to an electronic device
US20180061220A1 (en) * 2016-08-24 2018-03-01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unwanted home automation notifications
CN106842968B (zh) * 2017-02-08 2020-08-18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装置及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9230A1 (en) 2012-12-24 2014-06-26 Jaroslaw J. Sydir Location-based selection of wireless peripheral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6288A1 (en) 2020-05-14
EP3651441A1 (en) 2020-05-13
CN112997141B (zh) 2024-06-14
CN112997141A (zh) 2021-06-18
EP3651441B1 (en) 2023-07-19
US20200145602A1 (en) 2020-05-07
KR20200052563A (ko) 2020-05-15
US11758213B2 (en)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123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8669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electronic device
JP5420261B2 (ja) 遠隔操作装置、操作対象装置、遠隔操作装置の制御方法、操作対象装置の制御方法、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US94732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relay device
WO2009119168A1 (ja) 遠隔操作装置、操作対象装置、遠隔操作装置の制御方法、操作対象装置の制御方法、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US77693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airing electronic devices
US20180191890A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remote control of plurality of devices
US10084649B2 (en) Terminal for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10085290B2 (en) Discover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required services
JP2009246487A (ja) 遠隔操作装置、操作対象装置、遠隔操作装置の制御方法、操作対象装置の制御方法、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KR201601475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2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US10588433B2 (en) Data setting method for body information analysis apparatus
JP7118283B2 (ja) ディスプレイ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EP3270264A1 (en)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 actuation of companion devices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KR102460491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21535B1 (ko) 전자 장치, 보조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377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9919B1 (ko) 모바일 단말의 비콘 수신기 활성화 장치 및 방법
KR102585875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26652A (ko) 스마트 도어
KR20200062868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