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149B1 - 제진기 - Google Patents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149B1
KR101922149B1 KR1020170049651A KR20170049651A KR101922149B1 KR 101922149 B1 KR101922149 B1 KR 101922149B1 KR 1020170049651 A KR1020170049651 A KR 1020170049651A KR 20170049651 A KR20170049651 A KR 20170049651A KR 101922149 B1 KR101922149 B1 KR 10192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ake
front surface
obstacl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852A (ko
Inventor
두정언
박상협
Original Assignee
(주)디케이엠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케이엠엔이 filed Critical (주)디케이엠엔이
Priority to KR102017004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14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Abstract

본 발명은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수로에 설치되며, 협잡물을 차단하여 걸러내는 스크린과,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되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와,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를 이동시키는 레이크 구동부와,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되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 및 레이크 구동부 및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협잡물의 존재 여부에 따라 레이크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진기{Trash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에 대한 정확한 감지를 통해 제진기의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하여 전력 소비량을 줄이고 제진기의 협잡물 제거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수장, 배수 펌프장, 하수 처리장 등 정화 처리 시설의 수로에는 물과 함께 흘러 들어오는 잡초, 폐병, 플라스틱, 스티로폼, 가정 폐기물 등 협잡물(부유물)을 분리하기 위한 스크린이 설치되는데,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은 원활한 배수와 배수 펌프 등 배수 설비의 보호를 위해 적절하게 제거되어야 한다.
제진기(除塵機)는 양수장, 배수 펌프장, 하수 처리장 등의 수로에 설치되며, 동력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제거하는 장치로, 복수의 인출 갈퀴가 형성된 레이크가 스크린을 따라 상부로 이동할 때에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을 긁어 상부로 인양하여 컨베이어 등을 통해 외부로 폐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대표적으로, 제진기는 레이크를 로드(rod)에 고정하여 유압의 힘으로 로드를 인양하여 레이크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유압식 방식(유압식 제진기)과, 레이크를 회전 순환하는 체인에 고정하고 체인에 연결된 스프라켓(Sprocket)을 회전시켜 레이크를 회전 순환시키는 로터리식 방식(로터리식 제진기)이 대표적이다.
이 중, 레이크를 직선 왕복 시키는 유압식 방식의 제진기는 협잡물 수거의 양이 한정되고 레이크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별도 장치를 필요로 하나 1 대의 제진기로 복수의 수로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며, 로터리식 방식의 제진기는 1 개의 수로에 대해 1 대의 제진기가 무한 반복 운전됨으로 협잡물 수거를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및 유지 관리가 이로운 측면이 있다.
예를 들어, 로터리식 제진기(Rotary-type trash remover)의 구조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2449호 (로터리식 제진기) (2003년 11월 05일 공고) 등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진기는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구동되어 전력 소비량이 높고 계속적인 구동에 따라 제진기의 유효 수명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협잡물의 유입량에 따라 레이크의 이동 속도(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51623호 (제진기의 협잡물 감지장치) (2010년 4월 9일 공고)에는 스크린에 설치된 하중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전면에 작용하는 협잡물의 하중을 감지하여 레이크를 구동을 제어하는 제진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협잡물의 하중을 감지하여 레이크를 구동을 제어하는 제진기의 경우, 전체적인 구조가 다소 복잡할 뿐 아니라, 레이크의 이동 과정에서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에 의해 하중 감지 센서의 파손이 생겨 오동작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구조로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에 대한 정확한 감지를 통해 제진기의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하여 전력 소비량을 줄이고 제진기의 협잡물 제거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진기가 요구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2449호 (로터리식 제진기) (2003년 11월 5일 공고)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51623호 (제진기의 협잡물 감지장치) (2010년 4월 9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된 협잡물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협잡물의 존재 여부에 따라 레이크의 구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에 대한 정확한 감지를 통해 제진기의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하여 전력 소비량을 줄이고 제진기의 협잡물 제거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수로에 설치되며, 협잡물을 차단하여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를 이동시키는 레이크 구동부와,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 및 상기 레이크 구동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협잡물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레이크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 각각은, 상기 스크린의 전면 양 측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측에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스크린의 전면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레일은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을 향하는 일측이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도록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는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부력체는 하단 내부에 무게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는 포토 센서(Photo 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 각각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부력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 케이블이 감겨지거나 풀리는 케이블 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연결 케이블은 방수형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권취부는 내부에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 케이블 릴(Cable reel)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상기 스크린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위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위 측정 센서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위 측정 센서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레이크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로에 설치된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의 감지 결과 및 상기 펌프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레이크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진기에 따르면,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된 협잡물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협잡물의 존재 여부에 따라 레이크의 구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에 대한 정확한 감지를 통해 제진기의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하여 전력 소비량을 줄이고 제진기의 협잡물 제거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진기에 따르면,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된 협잡물 감지부를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수위에 맞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부력체 및 이에 설치된 감지 센서로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협잡물의 존재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진기에 따르면, 제어부가 협잡물의 존재 여부 이외에 스크린 전후단의 수위차에 따라 레이크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협잡물 감지부의 오동작에 의해 협잡물의 존재 여부가 정확하게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스크린 전후단의 수위차를 통해 협잡물의 존재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제진기의 불필요한 구동을 줄이고 제진기의 협잡물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진기에 따르면, 제어부가 협잡물 감지부에 의해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펌프의 구동 여부에 따라 레이크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진기의 불필요한 구동을 줄이고 제진기의 협잡물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진기에 따르면, 제어부가 협잡물의 존재 여부, 스크린 전후단의 수위차 및 펌프의 구동 여부에 따라 레이크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진기의 불필요한 구동을 줄이고 제진기의 협잡물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를 구성하는 협잡물 감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를 구성하는 협잡물 감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를 구성하는 협잡물 감지부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1)는, 스크린(100),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200), 레이크 구동부(300),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제진기 중, 로터리식 제진기(Rotary-type trash remover)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유압식 방식 등 모든 종류의 제진기에 적용 가능하다.
스크린(100)은 양수장, 배수 펌프장, 하수 처리장 등의 수로(10)에 설치되며, 물과 함께 유입되는 각종 협잡물(부유물)(F)을 차단하여 걸러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00)은 수로(10)의 입구에 상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레이크(200)는 스크린(100)의 전면에 배치되며, 스크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 스크린(100)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F)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로터리식 제진기(1)의 경우, 레이크(200)는 스크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가 스크린(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레이크(200)는 스크린(100)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F)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인출 갈퀴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이크(200)에 의해 제거된 협잡물(F)은 상부로 이동한 후 벨트 컨베이어(3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폐기될 수 있다.
레이크 구동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2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스크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1에 도시된 로터리식 제진기(1)의 경우, 레이크 구동부(300)는 스크린(100)의 양측에 설치되며, 복수의 레이크(200)가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한 쌍의 체인, 각각의 체인에 양단에 결합된 스프라켓, 마주보는 한 쌍의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구동 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협잡물 감지부(400)는 스크린(100)의 전면에 배치되며, 스크린(100)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F)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협잡물 감지부(400)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스크린(100)이 설치된 수로(10)의 일측에 1 개의 협잡물 감지부(400)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협잡물 감지부(400)의 개수 및 설치 위치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협잡물 감지부(40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500)는 레이크 구동부(300) 및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로부터 감지된 협잡물(F)의 존재 여부에 따라 레이크 구동부(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협잡물 감지부(400)의 감지 결과, 스크린(100)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F)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200)가 이동하여 협잡물(F)을 제거하도록 레이크 구동부(3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스크린(100)의 전면에 협잡물(F)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레이크 구동부(300)를 구동(ON)시켜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200)가 협잡물(F)을 제거하도록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20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500)는 스크린(100)의 전면에 협잡물(F)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레이크 구동부(300)의 구동을 정지(OFF)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1)는, 스크린(100)의 전면에 배치된 협잡물 감지부(400)에 의해 감지된 협잡물(F)의 존재 여부에 따라 레이크(20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제진기(1)의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하여 전력 소비량을 줄이고 제진기(1)의 협잡물(F) 제거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1)를 구성하는 협잡물 감지부(4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를 구성하는 협잡물 감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를 구성하는 협잡물 감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협잡물 감지부(400)는 가이드 레일(410), 부력체(420)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10)은 스크린(100)의 전면 양 측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측에 스크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부력체(420)는 스크린(100)의 전면 수위(W1)에 따라 가이드 레일(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430)는 부력체(4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스크린(100)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F)을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협잡물(F)은 수면(W)에 뜬 상태로 스크린(100)의 전면에 걸리므로, 수면(W)에 뜨는 부력체(420)와 감지 센서(430)를 이용하는 경우, 보다 간단한 구조로 협잡물(F)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410)은 스크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수용 공간(411)이 형성되며, 스크린(100)을 향하는 일측이 수용 공간(411)과 연통하도록 개방된 개구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부력체(420)는 수용 공간(411)에 수용된 상태로 스크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부력체(420)는 수위(W)에 따라 수면(W)에 떠오를 수 있도록 발포 스트리폴 등 가벼운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420)는 가이드 레일(410)의 수용 공간(411) 내에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면서도 가이드 레일(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a)에서는 부력체(420)의 단면이 직사각형의 네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경우를 나타내고, 도 4의 (b)에서는 부력체(420)의 단면이 타원형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일 예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420)는 단면의 상하 평면 부분이 가이드 레일(410)의 내부면에 면접촉하고 라운드 처리된 양측 모서리 부분(A, B)이 가이드 레일(410)의 내부면에 선접촉하므로, 수용 공간(411) 내에서 보다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420)는 타원형 단면의 사분점(Quadrant) 중 3 개의 사분점(A, B, C)은 가이드 레일(410)의 내부면에 선접촉하므로, 가이드 레일(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부력체(420)의 단면이 직사각형의 네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경우, 타원형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력체(420)의 단면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420)는 수위(W)가 낮아질 때에 수용 공간(411)에서 스크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하강하기 위해, 하단 내부에 무게추(4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 센서(430)는 가이드 레일(410)의 일측에 개방된 개구부(412)를 통해 스크린(100)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F)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센서(430)는 감지 위치 및 정밀도 등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부력체(420)의 상단에 1 개의 감지 센서(430)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감지 센서(430)의 개수 및 설치 위치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감지 센서(430)는 비접촉 센서인 포토 센서(Photo sensor)를 사용할 수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포토 센서는 빛을 내는 투광부와 빛을 받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투광부로부터 투광된 빛의 양과 수광부에서 감지된 빛의 양을 통해 부력체(420)가 위치하는 수위(W)에서 스크린(100)의 전면에 협잡물(F)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1)는, 스크린(100)의 전면에 배치된 협잡물 감지부(400)를 스크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410), 수위(W)에 맞춰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이동하는 부력체(420) 및 이에 설치된 감지 센서(430)로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협잡물(F)의 존재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잡물 감지부(400)를 구성하는 부력체(420)는 스크린(100)의 전면 수위(W1)에 따라 수면(W)에 떠오른 상태로 가이드 레일(410)의 수용 공간(411)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부력체(420)의 상단에 설치된 감지 센서(430)는 가이드 레일(410)의 개구부(412)를 통해 스크린(100)의 전단에 협잡물(F)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감지 센서(430)의 감지 결과, 스크린(100)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F)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레이크 구동부(300)를 구동시켜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200)가 이동하며 스크린(100)의 전면으로부터 협잡물(F)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1)를 구성하는 각각의 협잡물 감지부(400)는 연결 케이블(440)과 케이블 권취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를 구성하는 협잡물 감지부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케이블(440)은 일단은 하나의 감지 센서(4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어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연결 케이블(440)은 가이드 레일(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410)의 수용 공간(411)에 배치되므로, 부력체(420)의 이동 중에도 연결 케이블(440)이 협잡물(F) 등에 의해 간섭 받아 연결 케이블(440)이 엉키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권취부(450)는 가이드 레일(4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스크린(100)의 전면 수위(W1)에 따라 이동하는 부력체(420)의 위치에 따라 연결 케이블(440)이 감겨지거나 풀리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권취부(450)는 부력체(420)의 이동 중에도 연결 케이블(440)이 팽팽하게 장력을 유지하여 연결 케이블(440)이 엉키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권취부(450)는 내부에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451)가 구비된 케이블 릴(Cable reel)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권취부(450)는 별도의 구동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보다 간단한 구조로 연결 케이블(44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력체(420)의 이동을 보다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연결 케이블(440)은 방수형 커넥터(441)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43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에 연결된 연결 케이블(440)과 감지 센서(430)의 전선 케이블(431)은 각각 방수형 커넥터(441)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센서(430)와 연결 케이블(440)은 물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협잡물 감지부(400) 또는 제어부(500)의 교체 작업 등을 위해 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제진기(1)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 만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스크린(100)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스크린(100)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위(W)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위 측정 센서(도 7의 600A, 6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1)를 구성하는 제어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수위 측정 센서(600A, 600B)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의 감지 결과 및 적어도 하나의 수위 측정 센서(600A, 600B)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레이크 구동부(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스크린(100A, 100B)의 후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만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스크린(100A, 100B),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200A, 200B), 레이크 구동부(300A, 300B),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A, 400B), 제어부(5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7 및 도 8에서는 2 개의 수로(10A, 10B)에 각각 2 개의 제진기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는 스크린(100A, 100B)의 후단에 설치되며, 스크린(100A, 100B)의 후단 수위(W2)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는 각각의 수로(10A, 10B)에 설치된 스크린(100A, 100B)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레이크 구동부(300A, 300B), 각각의 협잡물 감지부(400A, 400B) 및 각각의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A, 400B)의 감지 결과,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레이크 구동부(300A, 300B)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협잡물 감지부(400A, 400B)에 의해 감지된 협잡물(F)의 존재 여부, 협잡물 감지부(400A, 400B)의 위치(보다 정확하게는, 도 3의 부력체(420)의 위치)에 따른 스크린(100A, 100B)의 전단 수위(W1)와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로부터 측정된 스크린(100A, 100B)의 후단 수위(W2)의 차(스크린(100A, 100B) 전후단의 수위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레이크 구동부(300A, 300B)의 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협잡물 감지부(400A, 400B)의 오동작에 의해 협잡물(F)의 존재 여부가 정확하게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스크린(100A, 100B) 전후단의 수위차를 통해 협잡물(F)의 존재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스크린(100A, 100B)의 후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 이외에, 스크린(100A, 100B)의 전단 수위(W1)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위 측정 센서(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스크린(100A, 100B),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200A, 200B), 레이크 구동부(300A, 300B),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A, 400B), 제어부(500),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위 측정 센서(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는 스크린(100A, 100B)의 후단에 설치되어 스크린(100A, 100B)의 후단 수위(W2)를 측정하고, 제2 수위 측정 센서(620)는 스크린(100A, 100B)의 전단에 설치되어 스크린(100A, 100B)의 전단 수위(W1)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는 각각의 수로(10A, 10B)에 설치된 스크린(100A, 100B)의 후단에 설치되나, 제2 수위 측정 센서(620)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만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00)는 레이크 구동부(300A, 300B), 각각의 협잡물 감지부(400A, 400B), 각각의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 및 제2 수위 측정 센서(620)에 연결되며, 제어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A, 400B)의 감지 결과,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 및 제2 수위 측정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레이크 구동부(300A, 300B)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협잡물 감지부(400A, 400B)에 의해 감지된 협잡물(F)의 존재 여부, 제1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와 제2 수위 측정 센서(620)로부터 측정된 스크린(100A, 100B) 전후단의 수위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레이크 구동부(300A, 300B)의 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제어부(500)가 협잡물(F)의 존재 여부 이외에 스크린(100A, 100B) 전후단의 수위차에 따라 레이크 구동부(300A, 300B)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협잡물 감지부(400A, 400B)의 오동작에 의해 협잡물(F)의 존재 여부가 정확하게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스크린(100A, 100B) 전후단의 수위차를 통해 협잡물(F)의 존재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제진기의 불필요한 구동을 줄이고 제진기의 협잡물(F)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 만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제어부(500)는 수로(10A, 10B)에 설치된 펌프(20A, 20B)에 연결되어 펌프(20A, 20B)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스크린(100A, 100B),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200A, 200B), 레이크 구동부(300A, 300B),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A, 400B)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며, 제어부(500)는 레이크 구동부(300A, 300B),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A, 400B) 및 수로(10A, 10B)에 설치된 펌프(20A, 20B)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A, 400B)의 감지 결과, 펌프(20A, 20B)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레이크 구동부(300A, 300B)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협잡물 감지부(400A, 400B)에 의해 감지된 협잡물(F)의 존재 여부, 각각의 수로(10A, 10B)에 설치된 펌프(20A, 20B)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레이크 구동부(300A, 300B)의 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협잡물 감지부(400A, 400B)에 의해 감지된 협잡물(F)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해당 수로(10A, 10B)에서의 펌프(20A, 20B)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수로(10A, 10B)에 설치된 제진기의 레이크 구동부(300A, 300B)는 구동하지 않고, 펌프(20A, 20B)가 구동되는 경우에만 레이크 구동부(300A, 300B)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제어부(500)가 협잡물 감지부(400A, 400B)에 의해 스크린(100A, 100B)의 전면에 걸린 협잡물(F)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펌프(20A, 20B)의 구동 여부에 따라 레이크 구동부(300A, 300B)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진기의 불필요한 구동을 줄이고 제진기의 협잡물(F)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스크린(100A, 100B),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200A, 200B), 레이크 구동부(300A, 300B),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A, 400B), 제어부(500) 및 적어도 하나의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 620)를 포함하며, 제어부(500)는 레이크 구동부(300A, 300B),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A, 400B), 적어도 하나의 수위 측정 센서(600) 및 수로(10A, 10B)에 설치된 펌프(20A, 20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를 구성하는 제어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400A, 400B)의 감지 결과, 적어도 하나의 수위 측정 센서(610A, 610B, 620)의 측정 결과, 펌프(20A, 20B)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레이크 구동부(300A, 300B)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는, 제어부(500)가 협잡물(F)의 존재 여부, 스크린(100A, 100B) 전후단의 수위차 및 펌프(20A, 20B)의 구동 여부에 따라 레이크 구동부(300A, 300B)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진기의 불필요한 구동을 줄이고 제진기의 협잡물(F)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로터리식 제진기(Rotary-type trash remover)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유압식 제진기, 로터리식 제진기는 물론, 수로에 설치된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모든 방식의 제진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진기
10: 수로 20: 펌프
30: 벨트 컨베이어
100: 스크린 200: 레이크
300: 레이크 구동부 400: 협잡물 감지부
410: 가이드 레일 420: 부력체
430: 감지 센서 440: 연결 케이블
450: 케이블 권취부 500: 제어부
600: 수위 측정 센서 610: 제1 수위 측정 센서
620: 제2 수위 측정 센서

Claims (10)

  1. 수로에 설치되며, 협잡물을 차단하여 걸러내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를 이동시키는 레이크 구동부;
    상기 스크린의 전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 및
    상기 레이크 구동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협잡물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레이크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 각각은,
    상기 스크린의 전면 양 측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측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을 향하는 일측이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도록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하단 내부에 무게추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의 전면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Photo sensor);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부력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 케이블이 감겨지거나 풀리도록 조절하는 케이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방수형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권취부는 내부에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 케이블 릴(Cable reel)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9. 수로에 설치되며, 협잡물을 차단하여 걸러내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를 이동시키는 레이크 구동부;
    상기 스크린의 전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
    상기 스크린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위 측정 센서; 및
    상기 레이크 구동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위 측정 센서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위 측정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레이크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 각각은,
    상기 스크린의 전면 양 측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측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을 향하는 일측이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도록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하단 내부에 무게추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의 전면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Photo sensor);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부력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 케이블이 감겨지거나 풀리도록 조절하는 케이블 권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협잡물의 존재 여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위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스크린의 전후단 수위차를 판단하되,
    판단 결과,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레이크 구동부를 구동하고,
    판단 결과,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크린의 전후단 수위차에 따라 상기 레이크 구동부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10. 수로에 설치되며, 협잡물을 차단하여 걸러내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를 이동시키는 레이크 구동부;
    상기 스크린의 전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 및
    상기 레이크 구동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 및 상기 수로에 설치된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의 감지 결과 및 상기 펌프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레이크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 각각은,
    상기 스크린의 전면 양 측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측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을 향하는 일측이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도록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하단 내부에 무게추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의 전면 수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Photo sensor);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전면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부력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 케이블이 감겨지거나 풀리도록 조절하는 케이블 권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협잡물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협잡물의 존재 여부 및 상기 펌프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되,
    판단 결과,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이 존재하고 상기 펌프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레이크 구동부를 구동하고,
    판단 결과,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이 존재하나 상기 펌프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린 상기 협잡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레이크 구동부를 구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KR1020170049651A 2017-04-18 2017-04-18 제진기 KR10192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651A KR101922149B1 (ko) 2017-04-18 2017-04-18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651A KR101922149B1 (ko) 2017-04-18 2017-04-18 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852A KR20180116852A (ko) 2018-10-26
KR101922149B1 true KR101922149B1 (ko) 2019-02-13

Family

ID=6409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651A KR101922149B1 (ko) 2017-04-18 2017-04-18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324A (ko) *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케이마린 쓰레기 수거가 용이한 태양광보트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2291A (zh) * 2018-12-05 2019-02-12 郭潇晴 一种排水沟自动清洁装置
KR102169392B1 (ko) * 2020-04-16 2020-10-26 이영범 파쇄장치를 포함하는 제진기
KR102399564B1 (ko) * 2021-09-15 2022-05-17 박민수 하수 또는 우수의 적정량 차집과 악취저감을 위한 스마트 우수토실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084Y1 (ko) * 2003-05-30 2003-08-27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전면상승형 로터리 제진기
KR200338337Y1 (ko) * 2003-10-20 2004-01-13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협잡물 제거용 세목 스크린
KR200351855Y1 (ko) * 2004-02-05 2004-05-31 주식회사신화기공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량 감지장치
JP2006241861A (ja) * 2005-03-03 2006-09-14 Kanto Regional Development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河川構造物のゲート開閉操作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8063890A (ja) * 2006-09-11 2008-03-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除塵機、及び除塵機の運転方法
KR101301974B1 (ko) * 2012-12-07 2013-08-30 주식회사 이엔이텍 브러쉬를 갖는 이중 레이크 구조
KR101408394B1 (ko) * 2014-02-12 2014-06-17 동근한 스크린이 상하로 분리되는 스크린 인양식 제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449Y1 (ko) 2003-01-08 2003-11-05 주식회사 케이엠 로터리식 제진기
KR100951623B1 (ko) 2007-11-19 2010-04-09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제진기의 협잡물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084Y1 (ko) * 2003-05-30 2003-08-27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전면상승형 로터리 제진기
KR200338337Y1 (ko) * 2003-10-20 2004-01-13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협잡물 제거용 세목 스크린
KR200351855Y1 (ko) * 2004-02-05 2004-05-31 주식회사신화기공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량 감지장치
JP2006241861A (ja) * 2005-03-03 2006-09-14 Kanto Regional Development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河川構造物のゲート開閉操作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8063890A (ja) * 2006-09-11 2008-03-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除塵機、及び除塵機の運転方法
KR101301974B1 (ko) * 2012-12-07 2013-08-30 주식회사 이엔이텍 브러쉬를 갖는 이중 레이크 구조
KR101408394B1 (ko) * 2014-02-12 2014-06-17 동근한 스크린이 상하로 분리되는 스크린 인양식 제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324A (ko) *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케이마린 쓰레기 수거가 용이한 태양광보트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KR102610343B1 (ko) * 2021-09-14 2023-12-06 주식회사 케이마린 쓰레기 수거가 용이한 태양광보트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 수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852A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149B1 (ko) 제진기
US10087646B2 (en) Filter for swimming pool cleaner
KR101695462B1 (ko)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
KR101880087B1 (ko) 먼지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KR20090051383A (ko) 제진기의 협잡물 감지장치
KR101544800B1 (ko) 조, 세목 협잡물의 동시제거가 가능한 일체형 로터리제진기
KR101549377B1 (ko) 수중 청소로봇
KR101019404B1 (ko) 체인 인장 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수집기
KR101475203B1 (ko) 수중 청소로봇
KR101427980B1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1633231B1 (ko) 제진기
KR101458768B1 (ko) 협잡물의 초기 신속 제거를 위한 수위 연동형 협잡물 제거용 제진기 및 이를 이용한 협잡물 제거 방법
KR101427981B1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200351855Y1 (ko)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량 감지장치
KR102132902B1 (ko) 프론트스크린의 승강구조를 가진 로터리 제진기
CN213008672U (zh) 河道水质巡检测机器鱼
KR200310478Y1 (ko)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량 감지장치
KR20140124939A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20200042686A (ko) 협잡물 제거기능이 향상된 제진기
KR102557086B1 (ko) 협잡물의 무게 감지용 레이크를 구비한 제진기
KR102514569B1 (ko) 잔여협잡물 유실 방지 기능을 갖는 로터리 제진기
KR101759790B1 (ko) 제진기
KR20150053410A (ko) 수중 청소로봇
KR101932087B1 (ko) 협잡물 제거기능이 향상된 제진기
KR101670430B1 (ko) 레이크의 자동 회전 속도조절 기능을 갖는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