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998B1 -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998B1
KR101921998B1 KR1020170134340A KR20170134340A KR101921998B1 KR 101921998 B1 KR101921998 B1 KR 101921998B1 KR 1020170134340 A KR1020170134340 A KR 1020170134340A KR 20170134340 A KR20170134340 A KR 20170134340A KR 101921998 B1 KR101921998 B1 KR 101921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holder
band
power too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용
정영채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햄머 드릴과 같은 전동공구의 스토퍼를 이동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한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동공구(10)에 장착되는 스토퍼 장치(100)로서, 사이드 핸들(200)과; 상기 사이드 핸들(200)의 상부에 체결부재(124)를 통해 결합되는 밴드 홀더(120)와; 상기 밴드 홀더(120)에 결합되면서 전동공구(10)에 감싸지도록 끼워지는 밴드(110)와; 상기 밴드(110)의 일측에 밴드(110)와 연동되게 결합되는 스토퍼 홀더(13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홀더(130)는, 상기 밴드(110)가 통과되도록 하는 제 1홀더부재(131)와; 상기 제 1홀더부재(131)와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홀더부재(132)와; 상기 제 1,2홀더부재(131)(132)의 각 관통공(131c)(132a)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스토퍼(14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Stopper Apparatus of Power Tool}
본 발명은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햄머 드릴과 같은 전동공구의 스토퍼를 원하는 설정 위치로 이동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한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공구중 햄머 드릴과 같은 전동공구는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지만, 콘크리트를 깨뜨려 구멍을 천공하는 타입과,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임팩트드릴이 사용된다.
이는 좌,우 회전기능, 회전속도 조절기능, 회전하면서 앞뒤로 때려주는 햄머기능이 부가기능이 있어, 콘크리트에 셋트 앵커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을 내거나, 콘크리트 못을 벽에 고정시키는 인서트구멍을 내는 용도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햄머드릴에는 사용자가 안정되게 잡고 사용하기 위한 사이드 핸들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천공하고자 하는 벽의 구멍 깊이를 원하는 깊이만큼만 천공하는 작업시, 햄머드릴의 일측에 막대 형상의 스토퍼(일명 "depth gauge"라고도 함)가 마련되어서 햄머드릴로 소정의 천공 깊이만큼 들어가면 스토퍼의 단부가 벽면과 접촉하게 되어서 천공작업을 중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햄머드릴에 대하여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스토퍼 장치가 장착된 전동공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스토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스토퍼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전동공구(10)의 본체(11) 전방측에 스토퍼 장치(20)가 결합되는데, 상기 스토퍼장치(20)는 사이드 핸들(30)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전동공구(10)의 본체(11) 전방에 결합되는 밴드(21) 및 밴드홀더(22)와, 상기 밴드 홀더(22)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토퍼 홀더(23)와, 상기 스토퍼 홀더(23)의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시부재(24)와, 상기 푸시부재(24)의 안쪽에 탄지되어서 푸시부재(24)가 원상복귀되도록 해주는 탄성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 홀더(23)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스토퍼(26)가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하는 관통공(23a)이 형성되고, 상기 푸시부재(24)는 관통공(23a)의 측면에서 노출되도록 하는 가압편(24a)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푸시부재(2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돌출된 삽입편(24b)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걸림턱(24c)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스토퍼 홀더(23)의 걸림공(23b)이 끼워져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26)는 단면상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스토퍼 장치(20)는 먼저 스토퍼(26)의 돌출길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푸시부재(24)를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누르면, 푸시부재(24)는 스토퍼 홀더(23)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스토퍼 홀더(23)의 내부에는 탄성부재(25)가 탄지되어 있어, 푸시부재(24)를 누르면 탄성부재(25)가 압축되면서 푸시부재(24)가 스토퍼 홀더(23)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푸시부재(24)가 삽입되면, 푸시부재(24)의 가압편(24a)도 동시에 상승 이동하여 관통공(23a)의 측면으로부터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그러면 관통공(23a)안에 삽입되어 있는 스토퍼(26)를 가압하지 않게 되어서 스토퍼(26)는 느슨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스토퍼(26)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적절한 돌출길이로 설정한 다음, 누르고 있던 푸시부재(24)를 놓으면, 압축된 탄성부재(25)의 반발력에 의해 푸시부재(24)는 원위치되고, 그에 따라 푸시부재(24)의 가압편(24a)이 관통공(23a)의 측면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스토퍼(26)를 다시 가압하게 되고, 그러면 스토퍼(26)는 관통공(23a)을 전,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그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스토퍼(26)의 위치를 설정한 다음에는 전동공구(10)를 통해 예를 들어 건물 벽을 천공하는 경우, 스토퍼(26)의 선단부까지만 벽을 천공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스토퍼장치(20)를 구성하는 스토퍼 홀더(23) 및 스토퍼(26)는 전동공구(10)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스토퍼(26)와 전동공구(10)의 측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스토퍼 홀더(23)의 길이를 설정해야 하므로, 그 만큼 스토퍼 홀더(23)의 사이즈가 커져서 중량이 증가하여 제작비용 및 부품 비용이 상승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스토퍼(26)는 단면상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스토퍼(26)의 형상대로 관통공(23a) 및 푸시부재(24)의 가압편(24a)이 적합하도록 형성되어야하고, 만일 형상이 적합하지 않게 이루어지면, 가압편(24a)의 가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스토퍼(26)의 설정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6-84203호(공개일자 : 2016년 07월 13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토퍼에 의한 전동공구와의 간섭이 없고, 사이드 핸들을 회전시키면 간단히 스토퍼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수단은 전동공구에 장착되는 스토퍼 장치로서, 사이드 핸들과; 상기 사이드 핸들의 상부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밴드 홀더와; 상기 밴드 홀더에 결합되면서 전동공구에 감싸지도록 끼워지는 밴드와; 상기 밴드의 일측에 밴드와 연동되게 결합되는 스토퍼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홀더는, 상기 밴드가 통과되도록 하는 제 1홀더부재와; 상기 제 1홀더부재와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홀더부재와; 상기 제 1,2홀더부재의 각 관통공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상기 사이드 핸들을 밴드홀더에 밀착되도록 조이면, 체결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밴드가 하향 이동하는 힘이 작용하여 스토퍼 홀더를 이루는 제 1홀더부재가 하향 이동하여 제 1,2홀더부재의 관통공이 서로 어긋남에 따라 스토퍼가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동공구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홀더부재는 밴드가 통과되도록 하는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로 세워져서 형성되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에는 제 2홀더부재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훅크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걸림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단면상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햄머드릴과 같은 전동공구에 장착되어서 천공작업시 천공 깊이를 설정해주어서 설정된 천공 깊이까지만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해는 스토퍼의 설정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사이드 핸들을 자체 회전하여 밴드홀더와 밀착되도록 하여 체결부재의 가압력에 의한 밴드의 하향 이동에 따른 스토퍼 홀더의 관통공이 어긋남에 의한 결합력으로 스토퍼의 위치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다시 사이드 핸들을 풀면 스토퍼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서 느슨한 상태가 되어 스토퍼에 의한 위치 조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토퍼가 전동공구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동공구와의 간섭이 거의 없어 스토퍼 홀더의 사이즈를 크게 증가시킬 필요가 없어 종래에 비해 전동공구의 중량이 증대되는 것을 억제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토퍼 장치가 장착된 전동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토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종래의 스토퍼 장치의 스토퍼와 클램핑 부재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스토퍼가 록킹되기 전 상태이다.
도 4b는 도 4a로부터 스토퍼가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장치에서 스토퍼가 록킹되기 전상태에서 전동공구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장치에서 스토퍼가 록킹된 상태로 전동공구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종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장치에서 사이드 핸들을 다른 위치에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 장치(100)는 사이드 핸들(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밴드(110) 및 밴드홀더(120)와, 상기 밴드(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스토퍼 홀더(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밴드홀더(120)에는 밴드(110)의 안쪽 하부면에 위치하는 체결홀더(122)와, 이 체결홀더(122) 및 밴드홀더(120)를 관통하여 사이드핸들(200)의 상면(201)중앙에 형성된 체결공(202)안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24)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홀더(122)는 체결부재(124)의 관통후 결합력이 작용할때, 보다 확실한 결합력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스토퍼 홀더(130)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고, 2개의 부재로 결합되는데, 밴드(110)가 통과되도록 하는 제 1홀더부재(131)와, 상기 제 1홀더부재(131)와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홀더부재(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홀더부재(131)는 밴드(110)가 통과되도록 하는 하부면(131a)과, 상기 하부면(131a)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로 세워져서 형성되는 수직면(13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131b)의 상부측에는 스토퍼(140)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관통공(131c)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수직면(131b)에는 제 2홀더부재(132)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훅크부재(132b)가 삽입되도록 하는 걸림공(131d)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걸림공(131d)은 장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홀더부재(132)는 상기 제 1홀더부재(131)와 결합되면서 상부측에는 스토퍼(140))가 관통되는 관통공(132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스토퍼(140)는 스틸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토퍼(140)의 길이 조정후 록킹시, 스토퍼홀더(130)의 제 1홀더부재(131)의 하향 이동으로 스토퍼(140)가 더욱 압착되는 것이다.
물론, 스토퍼(140)로서의 기본 기능 즉, 소정의 길이만큼만 전동공구에 의한 작업시 지지해주는 것은 아무런 지장이 없이 수행가능하다.
또헌, 상기 스토퍼(140)는 단면상 종래와 달리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110)는 정원으로 형성되는 구조가 아니라 일측(스토퍼 홀더(130)가 결합되는 부분)이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서 전동공구(10)에 끼울때 원활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 장치(100)는, 스토퍼(140)가 끼워진 스토퍼 홀더(130)가 전동공구(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이때 사이드 핸들(200)은 전동공구(10)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스토퍼(140)를 원하는 돌출길이로 설정한 다음, 사이드 핸들(200)을 조여서 스토퍼(140)를 스토퍼 홀더(130)에서 고정시킨다.
다시 말해서, 스토퍼(140)를 스토퍼 홀더(130)에 위치 고정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동공구(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사이드 핸들(200)을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핸들(200)의 자체 회전시켜서 밴드홀더(12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조이도록 한다.
그러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10) 및 체결홀더(122)를 관통하여 사이드 핸들(200)의 체결공(202)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체결부재(124)가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그러면 밴드(110)의 하부도 동시에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서 밴드(110)가 관통되는 스토퍼 홀더(130)의 제 1홀더부재(131)도 동시에 하향 이동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제 1홀더부재(131)에는 걸림공(131d)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공(131d)에 제 2홀더부재(132)의 전방에 형성된 훅크부재(132b)가 걸려 있는데, 상기 제 1홀더부재(131)의 하향 이동하게 되면, 상기 걸림공(131d)은 장공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훅크부재(132b)가 걸림공(131d)의 상단부에 근접하게 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D1)에서 간격(D2) 만큼 제 1홀더부재(131)가 하향 이동하게 되면서 제 1홀더부재(131)의 관통공(131c)과 제 2홀더부재(132)의 관통공(132a)이 서로 어긋나게 되고, 이 어긋난 차이만큼 상기 관통공(131c)(132a)을 관통하고 있는 스토퍼(140)는, 고정되는 힘으로 작용하여 스토퍼(140)는 설정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
도 8a 및 도 8b에서 원안의 확대도에서 제 1홀더부재(131)의 하부면(131a) 하부의 점선(일점쇄선)은 밴드(110)가 감싸지는 전동공구(10)의 전방측 외면이다.
한편, 고정된 상태의 스토퍼(140) 설정위치를 다시 조정하기 하고자 스토퍼(140)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이드 핸들(200)을 다시 역회전시켜서 풀어서 도 8a와 같이 밴드홀더(120)와 간격을 두도록 하면, 체결부재(124)의 가압력이 느슨해지면서 밴드(110)의 하향 이동력이 상실되어 스토퍼 홀더(130)의 제 1홀더부재(131)의 하향 이동력이 작용하기 않아 스토퍼(14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토퍼(140)가 관통하고 있는 관통공(131c)(132a)간의 어긋남이 일치되게 되고, 그에 따라 스토퍼(140)는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로 스토퍼(140)를 조정한 다음, 다시 풀었던 사이드 핸들(200)을 조여서 밴드홀더(120)에 밀착시키면, 체결부재(124)가 가압되는 방향(도 8b에서 하부 방향)으로 작용하여 밴드(110)을 하부 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스토퍼 홀더(130)의 제 1홀더부재(131)가 밴드(110)의 하향 이동과 동시에 간격(D2) 만큼 하향 이동하여 제 1홀더부재(131)의 관통공(131c)과 제 2홀더부재(132)의 관통공(132a)간의 위치가 어긋나게 하여 스토퍼(14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도 9는 사이드 핸들(200)의 설치위치를 달리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사이드핸들(200)을 풀고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면, 밴드(110) 및 스토퍼 홀더(130)도 동시에 전동공구(10)의 전방측에서 회전하여 위치 이동이 되고,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다시 풀었던 사이드 핸들(200)을 조여서 밴드홀더(120)에 밀착시키면, 스토퍼(140)의 설정위치도 고정될 뿐만 아니라, 하향 이동한 제 1홀더부재(131)가 전동공구(10)의 결합면에 가압 밀착되어서 위치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동공구(10)를 이용한 작업시 사이드 핸들(200)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설치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설정된 스토퍼(140)도 설정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0 : 전동공구
11 : 본체
20 : 스토퍼 장치
21 : 밴드
22 : 밴드홀더
23 : 스토퍼 홀더
23a : 관통공
24 : 푸시부재
24a : 가압편
24b : 삽입편
24c : 걸림턱
25 : 탄성부재
26 : 스토퍼
30 : 사이드 핸들
100 : 스토퍼 장치
110 : 밴드
120 : 밴드홀더
122 : 체결홀더
124 : 체결부재
130 : 스토퍼 홀더
131 : 제 1홀더부재
131a : 하부면
131b : 수직면
131c : 관통공
131d : 걸림공
132 : 제 2홀더부재
132a : 관통공
132b : 훅크부재
140 : 스토퍼
200 : 사이드 핸들
201 : 상면
202 : 체결공

Claims (3)

  1. 전동공구(10)에 장착되는 스토퍼 장치(100)로서,
    사이드 핸들(200)과;
    상기 사이드 핸들(200)의 상부에 체결부재(124)를 통해 결합되는 밴드 홀더(120)와;
    상기 밴드 홀더(120)에 결합되면서 전동공구(10)에 감싸지도록 끼워지는 밴드(110)와;
    상기 밴드(110)의 일측에 밴드(110)와 연동되게 결합되는 스토퍼 홀더(130);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홀더(130)는,
    상기 밴드(110)가 통과되도록 하는 제 1홀더부재(131)와;
    상기 제 1홀더부재(131)와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홀더부재(132)와;
    상기 제 1,2홀더부재(131)(132)의 각 관통공(131c)(132a)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스토퍼(140);
    를 포함하여,
    상기 사이드 핸들(200)을 밴드홀더(120)에 밀착되도록 조이면, 체결부재(124)의 가압력에 의해 밴드(110)가 하향 이동하는 힘이 작용하여 스토퍼 홀더(130)를 이루는 제 1홀더부재(131)가 하향 이동하여 제 1,2홀더부재(131)의 관통공(131c)(132a)이 서로 어긋남에 따라 스토퍼(140)가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동공구(10)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홀더부재(131)는 밴드(110)가 통과되도록 하는 하부면(131a)과, 상기 하부면(131a)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로 세워져서 형성되는 수직면(13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131b)에는 제 2홀더부재(132)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훅크부재(132b)가 삽입되도록 하는 걸림공(131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40)는 단면상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
KR1020170134340A 2017-10-17 2017-10-17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 KR101921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340A KR101921998B1 (ko) 2017-10-17 2017-10-17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340A KR101921998B1 (ko) 2017-10-17 2017-10-17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998B1 true KR101921998B1 (ko) 2018-11-28

Family

ID=6456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340A KR101921998B1 (ko) 2017-10-17 2017-10-17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9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8280A (ja) * 2002-09-05 2004-04-02 Hilti Ag 深さ止め固定装置
JP2011000705A (ja) * 2004-07-15 2011-01-06 Makita Corp 防振ハンド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8280A (ja) * 2002-09-05 2004-04-02 Hilti Ag 深さ止め固定装置
JP2011000705A (ja) * 2004-07-15 2011-01-06 Makita Corp 防振ハンド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1626B2 (en) Anchor assembly for fastener
US8858143B2 (en) Wall anchor
JP3076286B2 (ja) ステープル打込装置
EP3085973A1 (en) Post-installed anchor, post-installed anchor implementation method, post-installed anchor system and rotation-stopping tool
JPH06190745A (ja) 動力締結工具の位置決め装置
JP2008508477A (ja) 開閉リベット
EP1726858B1 (en) Part fixing tool and nailing device
US6497166B1 (en) Screw setter tool
JPH10103317A (ja) アンダーカットアンカーの取付工具
KR101921998B1 (ko) 전동공구의 스토퍼 장치
US20180109084A1 (en) Wire shear anvil tool
CA2695201A1 (en) Fastener device
WO2018008645A1 (ja) 拡径孔部の穿孔装置
KR20180072501A (ko) 전동공구용 앵커 펀치
CA2225146C (en) Attachment member and a method of anchoring same
JP4596997B2 (ja) 壁パネル、そのアンカー及びその取付方法
JP2004257226A (ja) 断熱材等の取り付け施工用の釘ガイド部材及びアタッチメント並びに取り付け施工方法
JP2010077728A (ja) アンカー、アンカー固定装置および前記アンカーの埋設方法
KR20140053687A (ko) 세트 앵커볼트
JP3757243B2 (ja) ネジ状先端部を有する錨留装置
KR20070003474A (ko) 고정용 앵커
KR200489171Y1 (ko) 자동 그립 장치
JP2004176303A (ja) 内部コーン打込み式アンカー用の取付工具
US20170073959A1 (en) Anchoring System & Method of Use
JPH09151607A (ja) パネルの穿孔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