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687A - 세트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세트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687A
KR20140053687A KR1020120119920A KR20120119920A KR20140053687A KR 20140053687 A KR20140053687 A KR 20140053687A KR 1020120119920 A KR1020120119920 A KR 1020120119920A KR 20120119920 A KR20120119920 A KR 20120119920A KR 20140053687 A KR20140053687 A KR 20140053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fixing
wedge
fixing pipe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수 filed Critical 김태수
Priority to KR1020120119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3687A/ko
Priority to PCT/KR2013/009529 priority patent/WO2014065610A1/ko
Publication of KR20140053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 F16B13/085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with an expansible sleeve or dowel body driven against a tapered or spherical expander plu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3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extending completely through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2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나 바닥에 외장재나 다른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세트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 벽체나 바닥에 뚫린 구멍에 쐐기와 함께 앵커볼트를 끼워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확개부가 형성된 앵커볼트를 구비하고, 절개홈에 의해 쐐기날개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관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관의 일측으로 와셔를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단순히 너트를 회전시키는 스패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간단히 세트앵커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세트 앵커볼트{set anchor bol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나 바닥에 외장재나 다른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세트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 벽체나 바닥에 뚫린 구멍에 쐐기와 함께 앵커볼트를 끼워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앵커볼트(Anchor Bolt)는 콘크리트 벽체나 바닥에 각종 외장재나 구조물을 설치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드릴을사용하여 구멍을 뚫은 후 상기 구멍에 박아서 빠지지 않게 고정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외장재나 다른 구조물을 설치 고정할 수 있다.
기존의 앵커볼트(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확개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 나사부(1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앵커볼트(10)는 벽면(5)에 뚫은 구멍에 확개부(11)가 끼워지게 한 후 나사부(12) 쪽을 통하여 원통형의 고정관(20)을 외삽시키되 상기 고정관(20)은 확개부(11)쪽으로 3개 정도의 쐐기날개(21)가 형성되게 하는 한편 길이방향으로 절개홈(22)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앵커볼트(10)의 외측으로 고정관(20)을 밀어주는 타격관(50)을 끼워준 후 상기 타격관(50)을 망치(60)로 타격함으로써 고정관(20)이 확개부(11)쪽으로 밀리면서 고정관(20)의 쐐기날개(21)가 확개부(11)의 외측으로 타고 넘어 벽면(5)의 구멍(6)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앵커볼트(10)에 와셔(32)와 스프링 와셔(31)및 고정너트(30)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즉 기존의 앵커볼트(10)는 타격관(50)을 이용하여 앵커볼트(10)에 끼워진 고정관(20)이 타격에 의해 밀리게 함으로써 고정관(20)의 쐐기날개(21)가 확개부(11)쪽으로 벌어지면서 이동되어 앵커볼트(10)가 구멍(5)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04-0020854호(2004.03.09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11-0061179호(2011.06.09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10-0027627호(2010.03.11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362505호(2004.09.08 등록)
본 발명은 세트앵커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고정관을 밀어주기 위한 타격관과 함께 망치를 갖추어야 하나, 작업 현장에서는 타격관을 잃거나 미리 준비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공구멍의 깊이를 일정하게 뚫을 수 없기 때문에 작업면에 고정된 앵커볼트의 돌출 높이가 달라 작업물을 앵커볼트에 고정시킨 후 앵커볼트의 돌출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앵커볼트의 일부를 절단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세트앵커를 고정시킬 때 반드시 필요한 타격관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앵커볼트의 돌출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확개부가 형성된 앵커볼트를 구비하고, 절개홈에 의해 쐐기날개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관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관의 일측으로 와셔를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단순히 너트를 회전시키는 스패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간단히 세트앵커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관의 일측에 와셔를 일체로 고정시키되 상기 와셔와 반대쪽으로 확개부가 위치하도록 앵커볼트를 고정관에 끼운 후 천공구멍에 확개부와 고정관을 밀어넣되 고정관의 와셔가 천공구멍의 입구에 밀착되게 한 상태에서 구조물을 끼우고 너트를 앵커볼트의 나사부에 끼워 조임으로써 앵커볼트의 확개부가 고정관의 쐐기날개를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앵커볼트는 고정관에 의해 천공구멍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은 쐐기날개의 선단부 두께보다 와셔 쪽의 쐐기날개 두께가 점점 더 두꺼워지도록 함으로써 천공구멍에 쐐기날개가 잘 밀착되어 앵커볼트를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은 작업면에 뚫린 천공구멍에 앵커볼트를 끼워 고정시킴에 있어서, 고정관의 측면으로 천공구멍에 걸리는 와셔를 일체로 형성한 후 고정관이 끼워진 앵커볼트를 천공구멍에 끼운 상태에서 고정관을 잡고 앵커볼트의 나사부에 구조물을 끼운 후 너트를 끼워 조이게 되면, 앵커볼트의 확개부가 고정관의 쐐기날개를 외측으로 벌리게 됨으로써 쐐기날개가 천공구멍과 앵커볼트를 압착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존의 앵커볼트 고정시와 같이 파이프 형태의 타격관을 사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너트를 조일 수 있는 스패너 등의 작업공구를 이용하여 앵커볼트를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앵커볼트의 확개부가 끼워지는 쪽의 쐐기날개 두께보다, 와셔 쪽의 쐐기날개 두께를 두껍게 하여 형성시킬 경우 앵커볼트의 확개부에 의해 쐐기날개가 외측으로 벌어질 때 넓은 부위에서 천공구멍과 앵커볼트를 압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도 1은 기존 세트앵커 분해 사시도
도 2는 기존 세트앵커가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기존 세트앵커 고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 분해 단면도
도 7내지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의 고정순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분해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고정순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세트앵커에 관한 것으로, 타격관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고정너트를 조이는 동작만으로 앵커볼트를 천공구멍에 끼워 고정시키는 한편 구조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서, 작업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앵커볼트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한편 일측으로는 확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가 내측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고정관은 길이 방향으로 절개홈을 형성하여 수 개의 쐐기날개가 형성되게 하는 한편 일측으로는 와셔를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고정관을 관통한 앵커볼트에는 와셔 쪽으로 스프링 와셔와 구조물을 끼운 후 고정너트를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고정관은 원통형을 갖고 일측으로 와셔가 고정되고, 몸통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홈을 형성하여 통상 3개의 쐐기날개가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관에 앵커볼트를 끼우되 확개부 쪽으로 절개홈이 위치하도록 앵커볼트에 고정관을 끼운 후 상기 고정관이 끼워진 앵커볼트를 천공구멍에 끼워주되 상기 고정관의 와셔가 천공구멍의 입구에 걸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앵커볼트의 나사부에 구조물을 끼운 후 고정너트를 끼워 조이게 되면 구조물이 와셔에 닿아 고정될 때까지 고정너트가 앵커볼트의 나사부를 타고 이동하게 되고, 고정너트가 조여져 압착할 때 앵커볼트가 천공구멍의 입구 쪽으로 이동하면서 확개부가 고정관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쐐기날개를 외측으로 벌려주게 되며, 이로 인하여 쐐기날개가 앵커볼트와 천공구멍 사이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앵커볼트의 고정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서, 쐐기날개의 재질을 무르게 하는 경우 보다 확실한 압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쐐기날개가 와셔가 고정된 쪽보다 그렇지 않은 쪽의 두께를 얇게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관의 외경 두께를 변화시키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4내지 11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앵커볼트(10)는 일측으로 확개부(11)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 쪽으로 나사부(12)가 형성되는 것으로, 기존의 앵커볼트(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고정관(20)은 기존 고정관(20)의 일측에 와셔(25)를 일체로 고정시킨 것으로, 고정관(20)의 측면에 와셔(25)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고정관(20)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홈(22)을 형성하되 와셔(25)가 고정된 쪽에서는 일부 형성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먼저 벽면(5)에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구멍(6)을 뚫어주게 되고, 상기 천공구멍(6)의 입구에 도 7과 같이 앵커볼트(10)에 고정관(20)을 끼운 상태에서 앵커볼트(10)의 확개부(11)가 천공구멍(6)의 내측으로 끼워지게 하는 한편 고정관(20)의 와셔(25)와 반대쪽이 먼저 천공구멍(6)에 끼워지게 하며, 상기 고정관(20)은 도 8과 같이 와셔(25)가 천공구멍(6)의 입구에 걸린 채로 끼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앵커볼트(10)에 스프링 와셔(31)를 끼우고 고정을 원하는 구조물(40)을 끼우고, 구조물(40)의 외측으로 고정너트(30)를 끼운 후 도 9와 같이 고정너트(30)를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조여 주도록 한다.
앵커볼트(1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 손으로 잡아준 상태에서 고정너트(30)를 스패너로 조이게 되면, 고정너트(30)는 도 10과 같이 나사부(12)를 타고 이동하며 구조물(40)을 밀게 되므로, 구조물(40)은 고정관(20)에 고정된 와셔(25)에 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너트(30)를 더 조이게 되면, 고정너트(30)가 구조물(40)에 닿아 천공구멍(6)쪽으로 전진하지 못하게 되므로, 도 11과 같이 앵커볼트(10)가 고정너트(30) 쪽으로 이동하면서 앵커볼트(10)의 확개부(11)가 고정관(20)의 내측을 파고들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고정관(20)의 쐐기날개(21)는 확개부(11)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고정너트(30)를 조이게 되면, 고정너트(30)가 구조물(40)을 밀어 와셔(25)에 닿을 때부터 앵커볼트(10)가 이동하여 확개부(11)가 쐐기날개(21)를 넓히게 되는 것으로, 기존과 같은 파이프 형태의 타격관을 사용하지 않고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간단히 앵커볼트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때 앵커볼트(10)가 회전하지 않도록 잡아준 상태에서 고정너트(30)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앵커볼트(10)의 확개부(11)가 어느 정도 쐐기날개(21)의 내측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앵커볼트(10)가 고정관(20)에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고정너트(30)를 조여도 앵커볼트(10)가 회전되지 않게 되며, 이 경우는 가볍게 와셔(25)를 잡고 구조물(40)을 끼운 상태에서 고정너트(30)를 조이게 되면, 전술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0)의 확개부(11)가 쐐기날개(21)의 내측을 파고들면서 쐐기날개(21)를 벌려주어 앵커볼트(10)를 천공구멍(6)에서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너트(30)를 조이는 스패너 등의 도구만 있으면 앵커볼트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지는 것으로, 기존과 같이 구하기 힘든 타격관을 꼭 구비하지 않고도,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스패너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사용상 간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12 내지 도 15에 의거 살펴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앵커볼트(10)와 고정관(20)의 구조는 동일하나, 다만 고정관(20)의 쐐기날개(21)에 대한 두께를 변화시켜 보다 높은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쐐기날개(21)는 와셔(25)가 고정되는 쪽의 두께(T)가 그와 반대쪽의 두께(t)보다 두껍게 하는 것으로, 고정관(20)의 내경의 두께를 주기 보다는 외경의 두께를 주는 것이, 앵커볼트(10)의 고정에 유리하다.
즉, 본 발명은 도 12와 같이 쐐기날개(21)의 두께를 달리하여 제작한 후 얇은 쪽 쐐기날개(21)가 천공구멍(6)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한 후 전술된 바와 같이 스패너를 이용하여 고정너트(30)를 조이게 되면, 도 15와 같이 앵커볼트(10)의 확개부(11)가 쐐기날개(21)의 내측을 파고들면서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앵커볼트(10)는 천공구멍(6)에서 고정관(2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고정관(20)의 쐐기날개(21)는 확개부(11)에 끼워지는 쪽이 와셔(25)가 고정된 쪽보다 두께가 얇게 함으로서 앵커볼트(10)의 확개부(11)가 쐐기날개(21)를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면, 쐐기날개(21)는 도 15와 같이 천공구멍(6)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밀리게 되므로, 앵커볼트(10)가 고정관(20)에 의해 천공구멍(6)에서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쐐기날개(21)의 두께를 달리하는 이유는 앵커볼트(10)의 확개부(11)가 고정관(20)의 내측을 이동할 때 강력한 힘으로 쐐기날개(21)를 외측으로 밀어주어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고정관(20)이 천공구멍(6)에 끼워질 때 와셔(25)가 천공구멍(6)의 입구에 걸린 채로 끼워진 후 앵커볼트(10)를 당겨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고정관(20)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관(20)의 쐐기날개(21)를 밀어 고정시키는 앵커볼트(10)는 그 벽면(5)에서의 돌출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고정관(20)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고정관(20)에 끼워져 고정되는 앵커볼트(10)의 돌출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천공구멍(6)의 깊이가 서로 다르더라도 앵커볼트(10)의 돌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앵커볼트(10)의 길이를 절단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타격관이나 망치 등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공사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스패너 등의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앵커볼트를 고정하는 것이어서,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5 : 벽면 6 : 천공구멍
10 : 앵커볼트 11 : 확개부
20 : 고정관 21 : 쐐기날개
22 : 절개홈 25 : 와셔
30 : 고정너트 31 : 스프링 와셔
40 : 구조물

Claims (2)

  1. 일측으로 확개부(11)가 형성되는 한편 타측으로 나사부(12)가 형성되는 앵커 볼트(10)를 구비하고,
    상기 앵커볼트(10)가 내측에 끼워지는 고정관(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관(20)은 길이 방향으로 절개홈(22)을 형성하여 쐐기날개(21)가 형성되게 하는 한편 상기 고정관(20)의 일측으로는 와셔(25)를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앵커볼트(10)에 고정관(20)을 끼워 와셔(25)가 천공구멍(6)에 닿게 한 채로 구조물(40)을 끼운 후 고정너트(30)를 앵커볼트(10)의 나사부(12)에 끼워 조임으로써 확개부(11)가 고정관(20)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쐐기날개(21)를 벌려서 앵커볼트(10)를 천공구멍(6)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앵커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관(20)의 쐐기날개(21)는 와셔(25)가 고정된 쪽의 두께(T)가 두껍고, 상기 와셔(2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쐐기날개(21)의 두께(t)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앵커볼트.
KR1020120119920A 2012-10-26 2012-10-26 세트 앵커볼트 KR20140053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920A KR20140053687A (ko) 2012-10-26 2012-10-26 세트 앵커볼트
PCT/KR2013/009529 WO2014065610A1 (ko) 2012-10-26 2013-10-24 세트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920A KR20140053687A (ko) 2012-10-26 2012-10-26 세트 앵커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687A true KR20140053687A (ko) 2014-05-08

Family

ID=50544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920A KR20140053687A (ko) 2012-10-26 2012-10-26 세트 앵커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53687A (ko)
WO (1) WO201406561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356B1 (ko) * 2015-02-10 2015-06-08 주식회사 금오조경개발 뽑힘 방지 기능과 내진 기능을 갖는 퍼걸러
CN108045766A (zh) * 2017-12-28 2018-05-18 重庆辰罡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粉末冶金的粉筛保护装置
CN108678426A (zh) * 2018-04-28 2018-10-19 温州科技职业学院 一种园林廊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028B1 (ko) * 2001-01-18 2003-06-25 김세욱 앵커볼트
KR200324147Y1 (ko) * 2003-05-14 2003-08-21 이진태 앵커볼트
KR20040077602A (ko) * 2004-08-02 2004-09-04 하재용 앵커볼트 조립체
KR200427895Y1 (ko) * 2006-07-12 2006-10-02 (주)진흥엔지니어링 엘리베이터 레일용 브라켓의 앵커볼트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356B1 (ko) * 2015-02-10 2015-06-08 주식회사 금오조경개발 뽑힘 방지 기능과 내진 기능을 갖는 퍼걸러
CN108045766A (zh) * 2017-12-28 2018-05-18 重庆辰罡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粉末冶金的粉筛保护装置
CN108678426A (zh) * 2018-04-28 2018-10-19 温州科技职业学院 一种园林廊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5610A1 (ko)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4335A1 (en) Self-drilling wall anchor
US20170044756A1 (en) Post-installed anchor, method for installing post-installed anchor, post-installed anchor system, and rotation preventing jig
WO2007069630A1 (ja) 機械式ブラインド拡開ボードアンカー
KR20140053687A (ko) 세트 앵커볼트
US7191538B1 (en) Templet system for cutting openings in lath and plaster panels
DK1305529T3 (da) Dyvel til lette byggematerialer og anvendelse af en skruetrækkerbit til indskruning af en sådan dyvel
AU2020201703A1 (en) Fastening method
JP2020033698A (ja) あと施工アンカー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502600B1 (ko) 스트롱 앵커
KR20180072501A (ko) 전동공구용 앵커 펀치
US20130008016A1 (en) Wall fastener with knife blade and a string
KR20140047926A (ko) 세트 앵커볼트
KR20180003303U (ko) 해머드릴용 앵커펀치
KR101279615B1 (ko) 앵커 볼트 고정장치
KR100871684B1 (ko) 원터치형 스트롱 앙카
KR101788699B1 (ko) 샌드위치 판넬 펀칭기
KR100981679B1 (ko) 타공장치
KR20070003474A (ko) 고정용 앵커
KR100841090B1 (ko) 앵커 볼트
KR20170137428A (ko) 칼블럭
NO180688B (no) Plugg
KR200385156Y1 (ko) 앵커 볼트의 고정장치
KR20190002896U (ko) 천장용 세트앵커
KR200307614Y1 (ko) 지하 옹벽 거푸집용 타이볼트
KR20170121506A (ko) 목재구조물 전기배관 배선용 장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911

Effective date: 201410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28

Effective date: 201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