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602B1 -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 Google Patents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602B1
KR101921602B1 KR1020170046641A KR20170046641A KR101921602B1 KR 101921602 B1 KR101921602 B1 KR 101921602B1 KR 1020170046641 A KR1020170046641 A KR 1020170046641A KR 20170046641 A KR20170046641 A KR 20170046641A KR 101921602 B1 KR101921602 B1 KR 101921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rf
cutting
return duct
duc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674A (ko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4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60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는 스트립으로 분사된 연마유를 수거탱크로 회수하도록 안내하는 리턴덕트에 설치되며 리턴덕트 내에 쌓인 스와프 덩어리를 절단하는 스와프 절단장치, 및 스와프 절단장치 하류 측 리턴덕트 내부의 스와프를 끌어 올려 수거탱크 쪽으로 배출시키는 스와프 배출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SWARF TREATMENT PLANT OF STRIP GRINDING DEVICE}
본 발명은 리턴덕트 내부의 스와프를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는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둔(燒鈍) 열처리를 거친 스트립(스테인리스 강판 등)은 표면에 발생한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공정을 거친다.
연마공정에서는 연삭장치의 연삭벨트로 이송 중인 스트립의 표면을 연삭하여 결함을 제거한다. 연마공정에서 스트립으로 분사한 연마유는 리턴덕트를 따라 흘러 내려 연마유 수거탱크에 모인다. 연마유 수거탱크의 연마유는 스와프 등 이물질을 거른 후 연마공정을 위해 재 사용한다. 또 연마공정에서 발생한 스와프는 연마유와 함께 리턴덕트를 통하여 수거탱크로 모이고, 수거탱크에 설치된 여과장치와 배출컨베이어에 의해 연마유로부터 분리된 후 배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트립 연삭장치는 연마유와 함께 수거탱크 쪽으로 배출되는 스와프가 연마유 리턴덕트 내에서 쌓여 연마유 리턴덕트의 막힘을 초래할 수 있다. 스와프에 의해 연마유 리턴덕트가 막히면, 연마작업을 중단하고 작업자가 이를 제거해야 하는 관계로 연마작업이 지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리턴덕트 내부의 스와프를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트립으로 분사된 연마유를 수거탱크로 회수하도록 안내하는 리턴덕트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덕트 내에 쌓인 스와프 덩어리를 절단하는 스와프 절단장치; 및 상기 스와프 절단장치 하류 측 상기 리턴덕트 내부의 스와프를 끌어 올려 상기 수거탱크 쪽으로 배출시키는 스와프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와프 절단장치는 상기 리턴덕트 내부의 스와프 덩어리를 절단하는 하나 이상의 절단날; 및 상기 절단날을 동작시키는 절단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날은 상기 리턴덕트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덕트 내부를 횡단방향으로 진퇴하는 제1절단날; 및 상기 리턴덕트의 반대편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덕트 내부를 횡단방향으로 진퇴하여 상기 제1절단날과 함께 스와프 덩어리를 절단하는 제2절단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구동부는 상기 리턴덕트 외측에서 상기 제1절단날을 동작시키는 제1절단구동부; 및 상기 리턴덕트 외측에서 상기 제2절단날을 동작시키는 제2절단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와프 절단장치는 상기 제1절단구동부 또는 상기 제2절단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움직여 상기 리턴덕트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와프 배출장치는 스와프의 배출을 위해 상기 리턴덕트로부터 분기된 스와프 배출덕트; 상기 스와프 배출덕트 내에 설치되며 외면에 스와프를 끌어 올리는 복수의 버킷이 설치된 배출컨베이어; 및 상기 배출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스와프를 상기 수거탱크로 배출시키는 나선이송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선이송장치는 상기 스와프 배출덕트로부터 상기 수거탱크 쪽으로 연장된 배출관; 상기 배출관 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나선이송부재; 및 상기 나선이송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와프 배출장치는 상기 버킷의 움직임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스와프 배출덕트를 타격하는 타격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격장치는 상기 스와프 배출덕트의 출구 쪽 내부에 시소형태로 설치되며, 한쪽 단이 상기 버킷과 접하도록 상기 배출컨베이어 쪽으로 연장되고, 반대편 단에 무게추가 설치된 작동부재; 및 상기 무게추에 의해 타격될 수 있도록 상기 스와프 배출덕트 내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와프 배출장치는 상기 배출컨베이어에 부착된 스와프의 분리를 위해 상기 스와프 배출덕트의 출구 쪽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에어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와프 처리설비는 상기 리턴덕트에 설치되어 스와프의 뭉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와프 절단장치 및 상기 스와프 배출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는 리턴덕트 내부의 스와프 덩어리를 스와프 절단장치가 절단하여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고, 스와프 배출장치가 리턴덕트 내부의 스와프를 별도의 경로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리턴덕트가 스와프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프 처리설비가 적용된 스트립 연삭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프 처리설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프 처리설비의 나선이송장치와 타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프 처리설비의 스와프 절단장치 사시도로, 도 4는 스와프 절단 전 상태, 도 5는 스와프 절단 후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트립 연삭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하는 스트립(1)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트립(1)의 표면을 연삭하는 연삭벨트(10), 연삭벨트(10)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롤(20), 연삭벨트(10) 주위를 포위하여 연마유 및 스와프의 비산을 방지하는 포집덕트(30)를 포함한다.
연삭벨트(10)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11)과, 구동롤(11)의 상부에 설치된 피동롤(12)에 의해 지지되며, 구동롤(11)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스트립(1) 표면을 연삭한다.
포집덕트(30)의 상부에는 배기덕트(31)가 연결되고, 포집덕트(30)의 하부에는 연마과정에서 분사노즐들(63)로부터 분사된 연마유 및 연마과정에서 발생하는 스와프를 하측에 배치된 수거탱크(40) 쪽으로 모으기 위한 리턴덕트(32)가 설치된다.
리턴덕트(32)를 따라 흘러 내리는 연마유는 여과필터(34)를 통과한 후 수거탱크(40)로 모인다. 리턴덕트(32)의 출구 쪽에는 연마유와 함께 흘러 내려 여과된 스와프를 제거하는 컨베이어 형태의 배출장치(35)가 설치될 수 있다. 수거탱크(40)의 바닥에도 가라앉은 스와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컨베이어형태의 배출장치(41)가 설치될 수 있다.
수거탱크(40)로 모인 연마유는 이물질 여과장치(43)에 의해 여과된 후 제1펌프(61)의 동작에 의해 연마유 저장탱크(50)로 공급된다. 그리고 연마유 저장탱크(50)에 저장된 연마유는 제2펌프(62)의 동작에 의해 다시 분사노즐들(63)로 공급되어 연마작업을 위해 분사된다.
리던덕트(32)를 따라 수거탱크(40) 쪽으로 흘러 내리는 스와프는 리턴덕트(32) 내에 쌓여 덩어리 형태로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스와프 덩어리는 리턴덕트(32)의 막힘을 초래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 따른 스와프 처리설비(100)는 이러한 스와프를 리턴덕트(32)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스와프 처리설비(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턴덕트(32) 내에 쌓인 스와프 덩어리를 절단하는 스와프 절단장치(110), 스와프 절단장치(110) 하류 측 리턴덕트(32) 내부의 스와프를 끌어 올려 별도의 경로를 통해 수거탱크(40) 쪽으로 배출시키는 스와프 배출장치(130), 리턴덕트(32)에 설치되어 스와프의 뭉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50), 감지센서(150)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스와프 절단장치(110) 및 스와프 배출장치(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를 포함할 수 있다.
스와프 절단장치(110)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턴덕트(32) 내부의 스와프 덩어리을 절단하는 하나 이상의 절단날과, 이 절단날을 동작시키는 절단구동부를 포함한다. 절단날은 리턴덕트(32)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며 리턴덕트(32) 내부를 횡단방향으로 진퇴하는 제1절단날(111)과, 리턴덕트(32)의 반대편 측면에 설치되며 역시 리턴덕트(32) 내부를 횡단방향으로 진퇴하여 제1절단날(111)과 함께 스와프 덩어리를 절단하는 제2절단날(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구동부는 리턴덕트(32) 외측에서 제1절단날(111)을 동작시키는 제1절단구동부(113)와, 리턴덕트(32) 외측에서 제2절단날(112)을 동작시키는 제2절단구동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단구동부(113)와 제2절단구동부(114)는 제1 및 제2절단날(111,112)을 진퇴시키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와프 절단장치(110)는 리턴덕트(32)에 설치된 감지센서(150)의 감지에 의해 리턴덕트(32) 내에 스와프 덩어리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와프 덩어리를 절단함으로써 스와프 덩어리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스와프 절단장치(110)는 제1절단구동부(113)와 제2절단구동부(114)의 동작에 의해 움직이며 리턴덕트(32)를 타격하는 타격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1절단구동부(113)와 제2절단구동부(114) 모두에 타격부(115)가 마련된 경우를 제시하고 있으나, 타격부(115)는 어느 한쪽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타격부(115)는 제1절단구동부(113) 또는 제2절단구동부(114)의 작동로드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15a)와, 연장부(115a)의 단부에 마련된 무게추(115b)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격부(115)는 제1절단구동부(113) 또는 제2절단구동부(114)가 동작할 때 무게추(115b)가 함께 진퇴하면서 리턴덕트(32)의 외면을 타격하여 리턴덕트(32)의 진동을 유발함으로써 리턴덕트(32) 내부의 스와프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스와프 배출장치(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턴덕트(32) 내부의 스와프를 배출시키기 위해 리턴덕트(32)로부터 분기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스와프 배출덕트(131), 스와프 배출덕트(131) 내에 설치되며 외면에 스와프를 끌어 올리는 복수의 버킷(133)이 설치된 배출컨베이어(132), 배출컨베이어(132)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스와프를 수거탱크(40)로 배출시키는 나선이송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컨베이어(132)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상측의 구동롤(134)과 하측의 피동롤(135)에 의해 지지되며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할 수 있다. 또 배출컨베이어(132)는 스와프에 포함된 연마유가 흘러 내릴 수 있는 철망형태일 수 있다.
나선이송장치(140)는 스와프 배출덕트(131)의 상측 출구로부터 수거탱크(40) 쪽으로 연장된 배출관(141), 배출관(141) 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나선이송부재(142), 나선이송부재(14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선이송장치(140)는 배출컨베이어(132)에 의해 스와프 배츨덕트(131) 상부로 이동한 스와프를 수거탱크(140)로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스와프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스와프 배출장치(130)는 배출컨베이어(132)의 버킷(133)의 움직임에 의해 동작하여 스와프 배출덕트(131)를 타격하는 타격장치(136)와, 배출컨베이어(132)에 부착된 스와프의 분리를 위해 스와프 배출덕트(131)의 출구 쪽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에어분사노즐(1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타격장치(13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와프 배출덕트(131)의 출구 쪽 내부에 시소형태로 설치되며, 한쪽 단이 버킷(133)과 접하도록 배출컨베이어(132) 쪽으로 연장되고, 반대편 단에 무게추(136b)가 설치된 작동부재(136a)와, 무게추(136b)에 의해 타격될 수 있도록 스와프 배출덕트(131) 내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36c)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격장치(136)는 배출컨베이어 버킷(133)의 움직임에 의해 무게추(136b)가 들리도록 작동부재(136a)가 회전하고, 버킷(133)에 의한 작동부재(136a)의 걸림이 해제될 때 무게추(136b)가 자유낙하하면서 연장부(136c)를 타격함으로써 스와프 배출덕트(131)의 진동을 유발한다. 따라서 스와프 배출덕트(131) 출구 쪽 내부에 쌓이는 스와프는 배출덕트(131)의 진동에 의해 나선이송장치(140) 쪽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스와프 처리설비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연삭장치(10)가 동작할 때는 분사노즐들(63)로부터 스트립(1)의 연마면으로 분사된 연마유가 리턴덕트(32) 쪽으로 흘러 내린다. 아울러 연마과정에서 발생한 스와프도 연마유와 함께 리턴덕트(32) 쪽으로 낙하한다.
리턴덕트(32)를 따라 수거탱크(40) 쪽으로 이동하는 스와프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스와프가 연마유와 함께 수거탱크(40) 쪽으로 원활히 흘러 내릴 수 있다. 그러나 리턴덕트(32) 내에 스와프가 쌓여 스와프 덩어리가 커질 경우에는 스와프가 원활히 흘러 내리지 않아 리턴덕트(32) 내부의 막힘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스와프 처리설비(100)는 감지센서(150)에 의해 리턴덕트(32) 내의 스와프 덩어리가 감지될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와프 절단장치(110)가 동작하여 스와프 덩어리를 절단함으로써 스와프가 연마유와 함께 하부로 흘러 내리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와프 절단장치(110)의 동작은 수회 이상 반복됨으로써 스와프 덩어리를 잘게 절단할 수 있다. 또 스와프 절단장치(110)가 동작할 때는 타격부(115)가 리턴덕트(32)를 타격하여 진동시키므로 리턴덕트(32) 내부의 스와프가 수거탱크(40) 쪽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절단된 스와프 덩어리 중 크기가 작은 것은 연마유와 함께 수거탱크(40)로 흘러 내릴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것은 스와프 절단장치(110) 하류 측에 배치된 배출컨베이어(132) 하단에 걸릴 수 있다. 배출컨베이어(132)에 걸린 스와프 덩어리는 배출컨베이어(132)의 동작에 의해 리턴덕트(32)로부터 상방으로 이송되므로 리턴덕트(32) 내부의 스와프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배출컨베이어(132)에 의해 스와프 배출덕트(131) 상측으로 끌어 올려진 스와프는 나선이송장치(140)로 공급되고, 나선이송장치(140)의 동작에 의해 수거탱크(40) 내부로 낙하한다. 또 배출컨베이어(132)가 동작할 때는 배출컨베이어(132)의 버킷(133)이 타격장치(136)를 동작시켜 스와프 배출덕트(131)의 진동을 유발하므로, 스와프 배출덕트(131) 상측으로 이송된 스와프가 나선이송장치(140) 쪽으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스와프 처리설비(100)는 리턴덕트(32) 내부의 스와프 덩어리를 스와프 절단장치(110)가 절단하여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고, 스와프 배출장치(130)가 리턴덕트(32) 내부의 스와프를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수거탱크(40)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리턴덕트(32)가 스와프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 연삭벨트, 30: 포집덕트,
32: 리턴덕트, 40: 수거탱크,
100: 스와프 처리설비, 110: 스와프 절단장치,
111: 제1절단날, 112: 제2절단날,
113: 제1절단구동부, 114: 제2절단구동부,
115: 타격부, 130: 스와프 배출장치,
131: 스와프 배출덕트, 132: 배출컨베이어,
133: 버킷, 136: 타격장치,
140: 나선이송장치, 150: 감지센서.

Claims (11)

  1. 스트립으로 분사된 연마유를 수거탱크로 회수하도록 안내하는 리턴덕트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덕트 내에 쌓인 스와프 덩어리를 절단하는 스와프 절단장치; 및
    상기 스와프 절단장치 하류 측 상기 리턴덕트 내부의 스와프를 끌어 올려 상기 수거탱크 쪽으로 배출시키는 스와프 배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와프 절단장치는,
    상기 리턴덕트 내부의 스와프 덩어리를 절단하는 하나 이상의 절단날;
    상기 절단날을 동작시키는 절단구동부; 및
    상기 절단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움직여 상기 리턴덕트를 타격하는 타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부는,
    상기 절단구동부의 작동로드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마련된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스와프 배출장치는,
    스와프의 배출을 위해 상기 리턴덕트로부터 분기된 스와프 배출덕트;
    상기 스와프 배출덕트 내에 설치되며 외면에 스와프를 끌어 올리는 복수의 버킷이 설치된 배출컨베이어; 및
    상기 버킷의 움직임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스와프 배출덕트를 타격하는 타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타격장치는
    상기 스와프 배출덕트의 출구 쪽 내부에 시소형태로 설치되며, 한쪽 단이 상기 버킷과 접하도록 상기 배출컨베이어 쪽으로 연장되고, 반대편 단에 무게추가 설치된 작동부재; 및
    상기 무게추에 의해 타격될 수 있도록 상기 스와프 배출덕트 내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상기 리턴덕트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덕트 내부를 횡단방향으로 진퇴하는 제1절단날; 및
    상기 리턴덕트의 반대편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덕트 내부를 횡단방향으로 진퇴하여 상기 제1절단날과 함께 스와프 덩어리를 절단하는 제2절단날;을 포함하는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구동부는,
    상기 리턴덕트 외측에서 상기 제1절단날을 동작시키는 제1절단구동부; 및
    상기 리턴덕트 외측에서 상기 제2절단날을 동작시키는 제2절단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프 배출장치는,
    상기 배출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스와프를 상기 수거탱크로 배출시키는 나선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이송장치는,
    상기 스와프 배출덕트로부터 상기 수거탱크 쪽으로 연장된 배출관;
    상기 배출관 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나선이송부재; 및
    상기 나선이송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프 배출장치는 상기 배출컨베이어에 부착된 스와프의 분리를 위해 상기 스와프 배출덕트의 출구 쪽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에어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덕트에 설치되어 스와프의 뭉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와프 절단장치 및 상기 스와프 배출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KR1020170046641A 2017-04-11 2017-04-11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KR101921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641A KR101921602B1 (ko) 2017-04-11 2017-04-11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641A KR101921602B1 (ko) 2017-04-11 2017-04-11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674A KR20180114674A (ko) 2018-10-19
KR101921602B1 true KR101921602B1 (ko) 2018-11-26

Family

ID=6410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641A KR101921602B1 (ko) 2017-04-11 2017-04-11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6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674A (ko) 201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600B1 (ko) 집진기용 분진제거장치
KR101753542B1 (ko)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물질 집진장치
JP4249243B2 (ja) エンジン洗浄からの廃水を収集し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EP0120920B1 (en) Filter assembly for a spray booth
JP4688063B2 (ja) ブラスト媒体の回収装置
CN113737695A (zh) 车辆辅助工作装置、清洁系统以及方法
KR20130050913A (ko) 필터 세정 방법 및 그 장치
WO2006009094A1 (ja) 切粉搬送式切粉濾過および排出装置
JP3453689B2 (ja) 液体処理装置
KR101921602B1 (ko)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JPH084701B2 (ja) 集塵装置
JP5240877B2 (ja) 濾過方法、濾過機及び当該濾過機が搭載されたチップコンベヤ装置
JP6408285B2 (ja) 解袋装置
CN204737305U (zh) 具有滚筒除屑装置的排屑过滤输送机
JP3194550U (ja) ドラム形屑除去装置を有する屑排出兼ろ過用搬送機
JP2011156512A (ja) 濾材の洗浄システム及び濾材の洗浄方法
JP3013053B2 (ja) ブラスト装置
US200300315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ted surface soil
CN112316585A (zh) 一种刮板打磨除尘设备
JP3821278B2 (ja) 舗装の目詰まり物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
JP5916271B2 (ja) 固液分離装置及び固液分離方法
JP2006305052A (ja) 付着物除去装置
BE1016213A3 (nl) Inrichting voor het verkleinen van afval.
JP2000042493A (ja) 粗大ごみ処理施設におけるプラスチックシート類の回収装置
JPH0835216A (ja) 舗装面付着物の除去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