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452B1 -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452B1
KR101921452B1 KR1020180059814A KR20180059814A KR101921452B1 KR 101921452 B1 KR101921452 B1 KR 101921452B1 KR 1020180059814 A KR1020180059814 A KR 1020180059814A KR 20180059814 A KR20180059814 A KR 20180059814A KR 101921452 B1 KR101921452 B1 KR 101921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height
width
molded product
sh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백일
Original Assignee
조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백일 filed Critical 조백일
Priority to KR1020180059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036Cutting means, e.g. wate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063Control arrangements
    • B28B17/0081Process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는, 진공토련장치에 의해 제1 폭과 제1 높이로 진공성형되어 상기 진공토련장치의 토출구로 토출된, 혼련된 벽돌성형품을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과,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로 가공하기 위한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돌성형품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제공부,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경로제공부를 따라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제1 이송부, 상기 벽돌성형품의 양 측면을 깎아내는 폭가공부, 상기 벽돌성형품의 상면을 깎아내는 높이가공부,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경로제공부를 따라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brick}
본 발명은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진공토련장치에 의해 제1 폭과 제1 높이로 진공성형되어 상기 진공토련장치의 토출구로 토출된, 혼련된 벽돌성형품을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과,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로 가공하기 위한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많이 이용되는 벽돌은 점토를 주원료로 하여 고온으로 구운 건축재료를 말하며, 재료나 소성조건 및 용도에 따라 크게 보통벽돌, 규회벽돌, 내화벽돌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규회벽돌(sand lime brick)은 모래에 소석회를 넣은 다음, 고압으로 성형하여 수증기가 든 오토클레이브에서 양생시켜 형성되는 벽돌이며, 주로 건축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내화벽돌(firebrick)은 높은 온도에서 녹거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무기재료로 된 벽돌이며, 1000℃ 내지 1,700℃의 열처리장치에 사용된다.
사용의 예로는 보일러, 용광로, 전기로, 우주선몸체, 가스터빈, 원자로 등에 사용되며, 내화벽돌 대신에 가루로 된 부정형 내화물을 사용하기도 하고, 내침식성이 요구되는 부분에는 전기 용융한 내화벽돌을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보통벽돌은 건축물에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벽돌로서 산화철을 많이 포함하는 점토 및 모래로 이루어지는 벽돌원료를 진공토련장치로 압출시킨 후, 철사나 칼 또는 와이어로 일정 크기로 잘라 건조공정 및 소성공정을 거쳐 형성된다.
이 때, 점토와 모래로 형성된 벽돌원료는 건조공정에서의 벽돌 실내와 일광에서 자연건조를 통해 건조하거나 폐열을 이용한 건조실에서 건조되며, 벽돌원료에 금이 생기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시간을 두고 건조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진공토련장치를 이용해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연속 압출시킨 다음 칼이나 철사 등을 이용해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건조 및 소성가공 과정을 거쳐 벽돌을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벽돌의 크기 변경 등의 벽돌 외형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진공토련장치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성형틀을 원하는 형상에 맞게 별도 제작하여 이를 토출구에 부착하므로서 토출되는 벽돌성형품이 성형틀의 토출구 형태에 따라 토출되게 하여 원하는 형태의 벽돌을 만들 수 있었으나, 벽돌의 높이나 폭 차이가 얼마 나지 않은 벽돌의 변형 제조를 위해서 일일이 성형틀을 제조하기에는 너무 많은 비용이 들어갈 뿐 만 아니라 이를 위한 성형틀의 교체작업 또한 무척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6980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610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토련장치에 의해 제1 폭과 제1 높이로 진공성형되어 상기 진공토련장치의 토출구로 토출된, 혼련된 벽돌성형품을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과,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로 가공하기 위한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는, 진공토련장치에 의해 제1 폭과 제1 높이로 진공성형되어 상기 진공토련장치의 토출구로 토출된, 혼련된 벽돌성형품을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과,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로 가공하기 위한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형성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제공부, 상기 토출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양 측면을 가압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경로제공부를 따라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폭이 감소되도록, 상기 벽돌성형품의 양 측면을 깎아내는 폭가공부, 상기 폭가공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높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벽돌성형품의 상면을 깎아내는 높이가공부, 상기 폭가공부 및 상기 높이가공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폭가공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과 상기 높이가공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높이가공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높이가공부에 의해 가공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양 측면을 가압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경로제공부를 따라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폭가공부는, 상기 벽돌성형품의 양 측면을 깎는 측면깎음부 및 상기 측면깎음부와 연결된 채, 상기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상기 수집부에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폭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높이가공부는, 상기 벽돌성형품의 상면을 깎는 상면깎음부 및 상기 상면깎음부와 연결된 채, 상기 상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상기 수집부에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높이유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의 상기 측면깎음부는,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깎는 제1 측면깎음부 및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깎는 제2 측면깎음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측면깎음부와 상기 제2 측면깎음부는,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 가능하고, 상기 폭유도부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와 연결되는 제1 폭유도부 및 상기 제2 측면깎음부와 연결되는 제2 폭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측면깎음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벽돌성형품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 햐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1 폭유도부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측면깎음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벽돌성형품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 햐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2 폭유도부는, 상기 제2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의 상기 제1 측면깎음부는, 상기 제1 높이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폭유도부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로부터 상기 벽돌성형품의 제1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채, 상기 일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타고 넘어가도록 하며, 상기 제2 측면깎음부는, 상기 제1 높이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폭유도부는, 상기 제2 측면깎음부로부터 상기 벽돌성형품의 제2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채, 상기 일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타고 넘어가도록 하며, 상기 제1 외측 방향은,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의 법선 벡터 방향이고, 상기 제2 외측 방향은,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의 법선 벡터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의 상기 제1 폭유도부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로부터 상기 일정 방향으로 갈수록 곡률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타고 넘어가는 중에, 낙하가 유도되며, 상기 제2 폭유도부는, 상기 제2 측면깎음부로부터 상기 일정 방향으로 갈수록 곡률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타고 넘어가는 중에, 낙하가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의 상기 수집부는, 상기 폭가공부 및 상기 높이가공부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무한 궤도로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로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상기 벽돌성형품의 이동 방향인 상기 일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상면깎음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벽돌성형품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상면과 접촉되는 상면깎음날부를 구비하고, 상기 높이유도부는, 상기 경사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면깎음날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상기 경사부를 타고 넘는 중에 분할되도록 하는 분할부, 상기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제1 부분이 상기 경사부의 상기 제1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제2 부분이 상기 경사부의 상기 제2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경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일정 방향을 따라 형성되다가 상기 제1 외측 방향으로 굴곡진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1 굴곡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굴곡부를 따라 이동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제1 부분이 상기 수집부에 낙하되도록 하는 제1 낙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경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일정 방향을 따라 형성되다가 상기 제2 외측 방향으로 굴곡진 제2 굴곡부 및 상기 제2 굴곡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굴곡부를 따라 이동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제2 부분이 상기 수집부에 낙하되도록 하는 제2 낙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의 상기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2 굴곡부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1 외측 방향과 상기 제2 외측 방향을 왕복하여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낙하부는, 상기 경사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체결된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외측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낙하부는, 상기 경사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체결된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외측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의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체결된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일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타측이 왕복 승강 운동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체결된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일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타측이 왕복 승강 운동되고, 상기 높이유도부는, 상기 경사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경사부를 타고 넘는 상기 벽돌성형품의 역방향 진행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의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폭과 같은 크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이송부 및 제1-2 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이송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1-1 모터부 및 상기 제1-1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1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1 롤러부는, 상기 제1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편평하게 하고,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따라 구름 접촉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1-2 이송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1-2 모터부 및 상기 제1-2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2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2 롤러부는, 상기 제1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편평하게 하고,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따라 구름 접촉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의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2 폭과 같은 크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이송부 및 제2-2 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이송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2-1 모터부 및 상기 제2-1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1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1 롤러부는, 상기 제2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편평하게 하고,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따라 구름 접촉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2 이송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2-2 모터부 및 상기 제2-2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2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2 롤러부는, 상기 제2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편평하게 하고,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따라 구름 접촉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의 상기 높이가공부는, 상기 경사부에 연결된 채, 상기 상면깎음부에 의해 가공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상면이 평탄하도록 다듬는 상면다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상면다듬부는, 상기 경사부에 고정되는 고정단 및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유동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상면에 접촉된 채, 미끄럼 접촉하는 자유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하고자 하는 벽돌의 높이와 폭에 맞추어 장치 변형이 용이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벽돌 제조에 따른 부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높이와 폭을 맞추기 위해 깎인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의 수집 및 회수가 용이하여, 수집 및 회수한 벽돌성형품 재료의 재사용이 원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에 의한 벽돌성형품의 가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의 폭가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의 높이가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벽돌 제조를 위한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벽돌 제조의 생상공정을 설명하면, 원토 채취, 혼합/석별 분쇄(Roller Crusher) 공정, 혼련(Kneadling) 공정, 진공성형(Extrusion) 공정, 절단(Cutting) 공정, 건조(Drying) 공정, 소성(Firing) 공정, 포장(Packaging)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원토 채취는, 적점토 채토장, 고령토광산 등에서 필요한 원토를 채취하는 공정이다.
상기 혼합/석별 분쇄(Roller Crusher) 공정은,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점토, 고령토, 백토, 황토 등의 원료를 제품생산에 적합하게 이물질을 고르고, 혼합비에 따라 혼합하여, 세차례 분쇄하여 미분으로 만드는 공정이다.
상기 혼련(Kneadling) 공정은, 제품의 원형을 만들기 전, 혼합과 석별, 분쇄를 마친 원료에 제품에 따른 부원료와 수분(15 ~ 18%)를 공급하여 으깨는 공정이다.
상기 진공성형(Extrusion) 공정은, 소성공정 시, 원형에 균열이 가거나 파손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원료 내,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진공성형 공정으로 원료를 300HP 진공토련장치의 금형(토출구)으로 토출한다.
본 발명의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는, 상기 진공토련장치의 토출구로 토출된 벽돌성형품을 벽돌 크기로 절단하기 전에, 기 설정된 높이와 폭으로 맞추기 위한 절삭 가공장치이다.
다음, 상기 절단(Cutting) 공정은, 진공성형을 마친 벽돌성형품을 절단하여 제품의 원형을 갖추게 하는 공정이다.
상기 건조(Drying) 공정은, 터널 건조기에 성형된 제품을 요입한 후, 터널 소성로의 폐열(180℃ ~ 250℃)을 이용해 잔존수분 1% 이하로 건조하는 공정이다.
상기 소성(Firing) 공정은, 소성대차에 적재된 건조제품을 터널 소성로에 요입한 후 1150℃~ 1250℃의 고온으로 제품에 따라 산화, 환원, 푸레싱 소성하여 원하는 색상과 규격, 강도, 흡수율을 충족한 제품을 만들어 내는 공정이다.
상기 포장(Packaging) 공정은, 생산된 제품의 색상과 규격들을 품질기준(KS, JIS)에 의거 제품을 포장하는 공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에 의한 벽돌성형품의 가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1, 이하 가공장치)는, 진공토련장치(P)에 의해 제1 폭(W1)과 제1 높이(H1)로 진공 성형되어 상기 진공토련장치(P)의 토출구(Q)로 토출된, 혼련된 벽돌성형품(B)을 상기 제1 폭(W1)보다 작은 제2 폭(W2)과, 상기 제1 높이(H1)보다 작은 제2 높이(H2)로 가공하기 위한 벽돌 제조를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토출구(Q)는, 상기 제1 폭(W1)과 상기 제1 높이(H1)의 사각 개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진공토련장치(P)에 의해 진공성형 되어 반죽된 벽돌 재료가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1)는, 경로제공부(10), 제1 이송부(20), 폭가공부(30), 높이가공부(40), 수집부(50) 및 제2 이송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제공부(10)는, 상기 토출구(Q)의 형성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Q)로부터 토출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20)는, 상기 토출구(Q)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Q)로부터 토출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양 측면을 가압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B)이 상기 경로제공부(10)를 따라 일정 방향(D)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폭가공부(30)는, 상기 제1 이송부(20)로부터 이송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폭이 감소되도록, 상기 벽돌성형품(B)의 양 측면을 깎아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폭가공부(30)는, 상기 벽돌성형품(B)의 양 측면을 깎는 측면깎음부(31) 및 상기 측면깎음부(31)와 연결된 채, 상기 측면깎음부(31)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이 상기 수집부(50)에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폭가공부(3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5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높이가공부(40)는, 상기 폭가공부(3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이송부(20)로부터 이송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높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벽돌성형품(B)의 상면(B3)을 깎아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가공부(40)는 상기 벽돌성형품(B)의 상면(B3)을 깎는 상면깎음부(41) 및 상기 상면깎음부(41)와 연결된 채, 상기 상면깎음부(41)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이 상기 수집부(50)에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높이유도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높이가공부(4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집부(50)는, 상기 폭가공부(30) 및 상기 높이가공부(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폭가공부(30)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과 상기 높이가공부(40)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집부(50)는, 상기 폭가공부(30) 및 상기 높이가공부(4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무한 궤도로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50)에 의해 수집된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은 재차 상기 진공토련장치(P)에 투입되어 벽돌 공정을 통해 벽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60)는, 상기 높이가공부(4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높이가공부(40)에 의해 가공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양측면을 가압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B)이 상기 경로제공부(10)를 따라 일정 방향(D)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1)의 제1 이송부(20)는, 상기 제1 폭(W1)과 같은 크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이송부(21) 및 제1-2 이송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이송부(21)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1-1 모터부(미도시) 및 상기 제1-1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1 롤러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롤러부(212)는, 상기 제1 높이(H1)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을 가압하여,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을 편평하게 하고,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을 따라 구름 접촉하여 상기 벽돌성형품(B)이 상기 일정 방향(D)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1 롤러부(212)와 접촉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은, 상기 제1-1 롤러부(2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1 롤러부(212)의 외측면과 구름 접촉하여 상기 일정 방향(D)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롤러부(212)와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은 미끄럼 접촉되지 않고, 구름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1-1 롤러부(212)의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과 접촉되는 외측면은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과의 마찰력이 커지도록, 미세한 요철 형상이 형성되거나 상기 벽돌성형품(B)과의 마찰력이 커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이송부(22)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1-2 모터부(미도시) 및 상기 제1-2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2 롤러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 롤러부(222)는, 상기 제1 높이(H1)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을 가압하여,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을 편평하게 하고,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을 따라 구름 접촉하여 상기 벽돌성형품(B)이 상기 일정 방향(D)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2 롤러부(222)와 접촉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은, 상기 제1-2 롤러부(2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 롤러부(222)의 외측면과 구름 접촉하여 상기 일정 방향(D)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롤러부(222)와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은 미끄럼 접촉되지 않고, 구름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1-2 롤러부(222)의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과 접촉되는 외측면은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과의 마찰력이 커지도록, 미세한 요철 형상이 형성되거나 상기 벽돌성형품(B)과의 마찰력이 커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20)는, 상기 토출구(Q)로부터 토출된 상기 제1 폭(W1)과 상기 제1 높이(H1)로 형성된 벽돌성형품(B)이 상기 경로제공부(10)를 따라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벽돌성형품(B)의 양 측면을 다지는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벽돌성형품(B)이 반듯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가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1)의 제2 이송부(60)는, 상기 제2 폭(W2)과 같은 크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이송부(61) 및 제2-2 이송부(6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이송부(61)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2-1 모터부(미도시) 및 상기 제2-1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1 롤러부(6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롤러부(612)는, 상기 제2 높이(H2)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을 가압하여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을 편평하게 하고,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을 따라 구름 접촉하여 상기 벽돌성형품(B)이 상기 일정 방향(D)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1 롤러부(612)와 접촉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은, 상기 제2-1 롤러부(6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1 롤러부(612)의 외측면과 구름 접촉하여 상기 일정 방향(D)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1 롤러부(612)와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은 미끄럼 접촉되지 않고, 구름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2-1 롤러부(612)의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과 접촉되는 외측면은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과의 마찰력이 커지도록, 미세한 요철 형상이 형성되거나 상기 벽돌성형품(B)과의 마찰력이 커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2 이송부(62)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2-2 모터부(미도시) 및 상기 제2-2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2 롤러부(6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2 롤러부(622)는, 상기 제2 높이(H2)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을 가압하여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을 편평하게 하고, 상기 벽돌 성형품이 상기 일정 방향(D)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2 롤러부(622)와 접촉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은, 상기 제2-2 롤러부(6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2 롤러부(622)의 외측면과 구름 접촉하여 상기 일정 방향(D)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2 롤러부(622)와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은 미끄럼 접촉되지 않고, 구름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2-2 롤러부(622)의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과 접촉되는 외측면은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과의 마찰력이 커지도록, 미세한 요철 형상이 형성되거나 상기 벽돌성형품(B)과의 마찰력이 커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60)는, 상기 폭가공부(30) 및 상기 높이가공부(40)에 의해 가공되어 상기 제2 폭(W2)과 상기 제2 높이(H2)로 형성된 벽돌성형품(B)이 상기 경로제공부(10)를 따라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벽돌성형품(B)의 양 측면을 다지는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벽돌성형품(B)이 반듯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가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의 폭가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1)의 폭가공부(30)의 측면깎음부(31)는,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을 깎는 제1 측면깎음부(311) 및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을 깎는 제2 측면깎음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와 상기 제2 측면깎음부는,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어, 제조하고자 하는 벽돌성형품(B)의 폭의 크기인 제2 폭(W2)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 및 상기 제2 측면깎음부는, 상기 제1 높이(H1)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벽돌성형품(B)의 측면 가공 시, 측면 전체면이 깎이도록 하여, 가공된 벽돌성형품(B)의 치수를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는, 상기 제1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벽돌성형품(B)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Q)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과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는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 외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Q)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끝단이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와 접촉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에 의해 깎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벽돌성형품(B)의 폭의 크기는 줄어들게 된다.
상기 제2 측면깎음부는, 상기 벽돌성형품(B)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와 거울상으로 배치되며, 형상 및 효과가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상기 폭유도부(33)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와 연결되는 제1 폭유도부(331) 및 상기 제2 측면깎음부와 연결되는 제2 폭유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폭유도부(331)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폭유도부(331)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로부터 상기 벽돌성형품(B)의 제1 외측 방향(T1)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채, 상기 일정 방향(D)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이 타고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외측 방향(T1)은,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측면(B1)의 법선 벡터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돌성형품(B)은 원토가 혼합되고 반죽되어 점착성을 띨 수 있으며,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은 얇게 썰어진 클레이(clay) 유사하다.
상기 제1 폭유도부(331)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기 전에, 특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여, 낙하되어 수집되는 위치가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폭유도부(331)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이 낙하되는 위치가, 일정 영역으로 한정되도록 하여,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은 낙하되어 상기 수집부(50)에 낙하되는데 이 때, 상기 수집부(50)로의 낙하가 일정하게 구현되지 않으면,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은 상기 수집부(50)의 외측으로 낙하되어 상기 수집부(50)에 의한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폭유도부(331)를 통해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이 상기 수집부(50)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폭유도부(331)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로부터 상기 일정 방향(D)으로 갈수록 곡률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이 타고 넘어가는 중에,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은, 곡률이 작은 상기 제1 폭유도부(331)의 일부분을 따라 타고 넘다가, 곡률이 상대적으로 큰 상기 제1 폭유도부(331)의 일부분을 타고 넘는 중에 상기 제1 폭유도부(331)에 지지되지 못한 채, 자중에 의해 낙하한다.
상기 제2 폭유도부는, 상기 제2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폭유도부는, 상기 제2 측면깎음부로부터 상기 벽돌성형품(B)의 제2 외측 방향(T2)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채, 상기 일정 방향(D)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이 타고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외측 방향(T2)은, 상기 벽돌성형품(B)의 타측면(B2)의 법선 벡터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폭유도부는, 상기 제2 측면깎음부로부터 상기 일정 방향(D)으로 갈수록 곡률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깎음부(311)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이 타고 넘어가는 중에,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2 폭유도부는 상술한 상기 제1 폭유도부(331)와 그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제1 폭유도부(331)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의 높이가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1)의 상면깎음부(41)는, 상기 제1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벽돌성형품(B)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Q)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411) 및 상기 경사부(411)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벽돌성형품(B)의 상면(B3)과 접촉되는 상면깎음날부(4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높이유도부(43)는, 상기 경사부(411)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면깎음날부(413)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B)의 일부분이 상기 경사부(411)를 타고 넘는 중에 분할되도록 하는 분할부(431), 상기 분할부(431)에 의해 분할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제1 부분(Ba)이 상기 경사부(411)의 상기 제1 외측 방향(T1)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433) 및 상기 분할부(431)에 의해 분할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제2 부분(Bb)이 상기 경사부(411)의 상기 제2 외측 방향(T2)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4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433)는, 상기 경사부(4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일정 방향(D)을 따라 형성되다가 상기 제1 외측 방향(T1)으로 굴곡진 제1 굴곡부(433a) 및 상기 제1 굴곡부(433a)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굴곡부(433a)를 따라 이동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제1 부분(Ba)이 상기 수집부(50)에 낙하되도록 하는 제1 낙하부(43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부(433a)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1 외측 방향(T1)과 상기 제2 외측 방향(T2)을 왕복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낙하부(433b)는, 상기 경사부(411)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4331) 및 상기 제1 연결부(4331)에 체결된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외측 방향(T1)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1 연장부(43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4332)는, 상기 제1 연결부(4331)와 체결된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일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타측이 왕복 승강 운동되어, 상기 제1 굴곡부(433a)를 따라 이동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제1 부분(Ba)이 상기 높이가공부(40)에 체류하지 않고, 상기 수집부(50)로의 낙하가 원활히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435)는, 상기 경사부(4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일정 방향(D)을 따라 형성되다가 상기 제2 외측 방향(T2)으로 굴곡진 제2 굴곡부(435a) 및 상기 제2 굴곡부(435a)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굴곡부(435a)를 따라 이동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제2 부분(Bb)이 상기 수집부(50)에 낙하되도록 하는 제2 낙하부(435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굴곡부(435a)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1 외측 방향(T1)과 상기 제2 외측 방향(T2)을 왕복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낙하부(435b)는, 상기 경사부(411)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4351) 및 상기 제2 연결부(4351)에 체결된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외측 방향(T2)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2 연장부(43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4352)는, 상기 제2 연결부(4351)와 체결된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일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타측이 왕복 승강 운동되어, 상기 제2 굴곡부(435a)를 따라 이동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제2 부분(Bb)이 상기 높이가공부(40)에 체류하지 않고, 상기 수집부(50)로의 낙하가 원활히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유도부(43)는, 상기 경사부(411)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경사부(411)를 타고 넘는 상기 벽돌성형품(B)의 역방향 진행을 제한하는 제한부(43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이가공부(40)는, 상기 경사부(411)에 연결된 채, 상기 상면깎음부(41)에 의해 가공된 상기 벽돌성형품(B)의 상면(B3)이 평탄하도록 다듬는 상면다듬부(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면다듬부(45)는, 상기 경사부(411)에 고정되는 고정단(451) 및 상기 고정단(451)으로부터 연장되며, 유동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벽돌성형품(B)의 상면(B3)에 접촉된 채, 미끄럼 접촉하는 자유단(4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P: 진공토련장치
Q: 토출구
B: 벽돌성형품
1: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10: 경로제공부
20: 제1 이송부
30: 폭가공부
40: 높이가공부
50: 수집부
60: 제2 이송부

Claims (10)

  1. 진공토련장치에 의해 제1 폭과 제1 높이로 진공성형되어 상기 진공토련장치의 토출구로 토출된, 혼련된 벽돌성형품을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과,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로 가공하기 위한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형성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제공부;
    상기 토출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양 측면을 가압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경로제공부를 따라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폭이 감소되도록, 상기 벽돌성형품의 양 측면을 깎아내는 폭가공부;
    상기 폭가공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높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벽돌성형품의 상면을 깎아내는 높이가공부;
    상기 폭가공부 및 상기 높이가공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폭가공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과 상기 높이가공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면,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높이가공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높이가공부에 의해 가공된 상기 벽돌성형품의 양 측면을 가압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경로제공부를 따라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폭가공부는,
    상기 벽돌성형품의 양 측면을 깎는 측면깎음부 및 상기 측면깎음부와 연결된 채, 상기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상기 수집부에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폭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높이가공부는,
    상기 벽돌성형품의 상면을 깎는 상면깎음부 및 상기 상면깎음부와 연결된 채, 상기 상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상기 수집부에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높이유도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면깎음부는,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깎는 제1 측면깎음부 및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깎는 제2 측면깎음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측면깎음부와 상기 제2 측면깎음부는,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 가능하고,
    상기 폭유도부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와 연결되는 제1 폭유도부 및 상기 제2 측면깎음부와 연결되는 제2 폭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측면깎음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벽돌성형품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 햐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1 폭유도부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측면깎음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벽돌성형품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방향으로 햐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2 폭유도부는,
    상기 제2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측면깎음부는,
    상기 제1 높이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폭유도부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로부터 상기 벽돌성형품의 제1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채, 상기 일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타고 넘어가도록 하며,
    상기 제2 측면깎음부는,
    상기 제1 높이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폭유도부는,
    상기 제2 측면깎음부로부터 상기 벽돌성형품의 제2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채, 상기 일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타고 넘어가도록 하며,
    상기 제1 외측 방향은,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의 법선 벡터 방향이고,
    상기 제2 외측 방향은,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의 법선 벡터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유도부는,
    상기 제1 측면깎음부로부터 상기 일정 방향으로 갈수록 곡률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타고 넘어가는 중에, 낙하가 유도되며,
    상기 제2 폭유도부는,
    상기 제2 측면깎음부로부터 상기 일정 방향으로 갈수록 곡률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측면깎음부에 의해 깎인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부분이 타고 넘어가는 중에, 낙하가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폭과 같은 크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이송부 및 제1-2 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이송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1-1 모터부 및 상기 제1-1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1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1 롤러부는, 상기 제1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편평하게 하고,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따라 구름 접촉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1-2 이송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1-2 모터부 및 상기 제1-2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2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2 롤러부는, 상기 제1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편평하게 하고,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따라 구름 접촉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2 폭과 같은 크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이송부 및 제2-2 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이송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2-1 모터부 및 상기 제2-1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1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1 롤러부는, 상기 제2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편평하게 하고, 상기 벽돌성형품의 일측면을 따라 구름 접촉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2 이송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제2-2 모터부 및 상기 제2-2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2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2 롤러부는, 상기 제2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채, 회전되어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편평하게 하고, 상기 벽돌성형품의 타측면을 따라 구름 접촉하여 상기 벽돌성형품이 상기 일정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10. 삭제
KR1020180059814A 2018-05-25 2018-05-25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KR101921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14A KR101921452B1 (ko) 2018-05-25 2018-05-25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14A KR101921452B1 (ko) 2018-05-25 2018-05-25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871A Division KR102026031B1 (ko) 2018-08-07 2018-08-07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452B1 true KR101921452B1 (ko) 2018-11-22

Family

ID=6455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814A KR101921452B1 (ko) 2018-05-25 2018-05-25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4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6252A (zh) * 2021-05-10 2021-09-14 宿州市鑫磊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烧结砖快速成型设备及其成型方法
CN114571587A (zh) * 2022-03-17 2022-06-03 沭阳苏星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发泡水泥板切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46B1 (ko) 2007-07-16 2009-01-19 주식회사 삼한 씨원 점토 벽돌의 표면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101411274B1 (ko) * 2014-05-01 2014-06-25 주식회사 중앙벽돌 점토벽돌 제조용 벽돌무늬 형성장치
KR101533211B1 (ko) * 2015-02-16 2015-07-02 청화요업(주) 점토벽돌의 표면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46B1 (ko) 2007-07-16 2009-01-19 주식회사 삼한 씨원 점토 벽돌의 표면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101411274B1 (ko) * 2014-05-01 2014-06-25 주식회사 중앙벽돌 점토벽돌 제조용 벽돌무늬 형성장치
KR101533211B1 (ko) * 2015-02-16 2015-07-02 청화요업(주) 점토벽돌의 표면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6252A (zh) * 2021-05-10 2021-09-14 宿州市鑫磊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烧结砖快速成型设备及其成型方法
CN113386252B (zh) * 2021-05-10 2022-05-13 宿州市鑫磊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烧结砖快速成型设备及其成型方法
CN114571587A (zh) * 2022-03-17 2022-06-03 沭阳苏星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发泡水泥板切割装置
CN114571587B (zh) * 2022-03-17 2023-11-17 沭阳苏星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发泡水泥板切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452B1 (ko)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KR102026031B1 (ko)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US301017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rous refractory insulating materials
CN108117376A (zh) 一种烧结多孔砖的制备方法
CA1196771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rticles consisting of ceramic material and equipment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US3540093A (en)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pressed ceramic articles
RU260025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рупноразмерных стеклокристаллических пеноблоков
KR101596847B1 (ko) 벽돌 제조장치
KR101596835B1 (ko) 벽돌 제조방법
KR20060069806A (ko)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바닥 포장용 벽돌
EP2826608A1 (en) Method of moulding kneadable material and mould for kneadable material
CN211233634U (zh) 具有热能再利用功能的粉体干燥系统
KR101536660B1 (ko) 발포유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562864A (zh) 利用淤泥制造粘土砖的方法
EP0088181B1 (en) Manufacture of highly porous refractory material
CN203824330U (zh) 制砖窑工艺中具有陈化作用的中转料仓
RU2008215C1 (ru) Лин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ирпичей
RU2397068C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керамических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методом компрессион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CN208000054U (zh) 一种用于耐火材料烧成用的隔板
US3183573A (en) Apparatus for making ceramic bodies and ceramic composition for use therewith
CN214187721U (zh) 一种砖坯泥口成型装置
JPH0780703B2 (ja) 長尺陶板の連続製造装置
RU809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пористых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CN113670076A (zh) 旋转式铝矾土焙烧工艺
CN209987148U (zh) 一种瓷砖均化成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