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806A -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바닥 포장용 벽돌 - Google Patents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바닥 포장용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806A
KR20060069806A KR1020060045570A KR20060045570A KR20060069806A KR 20060069806 A KR20060069806 A KR 20060069806A KR 1020060045570 A KR1020060045570 A KR 1020060045570A KR 20060045570 A KR20060045570 A KR 20060045570A KR 20060069806 A KR20060069806 A KR 20060069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forming
predetermined
long sid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8437B1 (ko
Inventor
김진완
Original Assignee
김진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완 filed Critical 김진완
Priority to KR1020060045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437B1/ko
Publication of KR2006006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82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parallel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combined with a vacuum, e.g. for moisture ex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재질과 형상을 갖는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공정시, 벽돌의 상부 표면에서 하부 표면 방향으로 이음매를 형성하기 위한 이음매 예정편과, 벽돌의 하단부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돌기부를 선택적인 조합으로 형성하기 위한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바닥 포장용 벽돌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방법은, 혼련된 원료를 압출 성형기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모양과 길이를 갖는 벽돌 컬럼을 압출 및 성형하되, 상기 벽돌 컬럼의 장변 또는 단변 방향의 한 쌍의 하측면에 소정 크기의 돌기부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형성용 철사줄이 구비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벽돌 컬럼의 일측의 장변 또는 단변 방향으로 소정 두께와 깊이를 갖는 이음매 예정편이 형성하기 위한 부분 절단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절단용 철사줄을 이용하여 상기 벽돌 컬럼을 미리 설정된 크기대로 절단하여 복수개의 개별 벽돌을 분리하기 위한 절단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벽돌, 이음매, 이음매 예정편, 돌기, 크랙 유도홈

Description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바닥 포장용 벽돌{Method for Forming Brick Road and Brick Road using the same}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사각벽돌을 이용하여 소정 영역을 포장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벽돌을 이용하여 소정 영역을 포장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a 내지 4j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절차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절차 후 절단절차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절차에 의해 제조된 첫 번째 실시 예의 바닥 포장용 벽돌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절차에 의해 제조된 두 번째 실시 예의 바닥 포장용 벽돌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절차에 의해 제조된 세 번째 실시 예의 바닥 포장용 벽돌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을 소정 영역에 까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시공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을 소정 영역에 까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벽돌 본체
20,20a,20b,20c,20d : 이음매 예정편
30,30a,30b,30c : 돌기부
31a,31b,31c,32a,32b,32c,33a,33b,33c,34a,34b,35a,35b,35c : 돌기바
40,40a,40b: 크랙 유도홈 41 : 압출 성형기
42 : 콘베이어장치 50a,50b : 이음매용 턱
80,90 : 프레임 70a,70n, 80a-80n, 90a-90n : 철사
본 발명은 인도, 광장, 주차장, 차도 등의 지면에 조립방식으로 포장하는 바닥 포장용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포장용 벽돌을 소정 영역의 지면에 포장한 후, 서로 연접한 포장용 벽돌간의 이음매 부분 즉, 이웃한 벽돌의 상부 단면에 동시에 걸리는 하중으로 발생하는 벽돌의 에지부분의 깨짐을 방지하기에 적당한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바닥 포장용 벽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 광장, 주차장, 차도 등에 석재 블록, 콘크리트 블록, 점토 블록, 세라믹 블록 등과 같은 바닥 포장용 벽돌을 사용하여 소정 영역을 포장한다. 이러한 바닥 포장용 벽돌은 아스콘 포장이나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하고 훼손되기 쉬운 단점들도 있지만, 특별한 장비가 없어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해체 및 복구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기 때문에 건설 분야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용 벽돌의 재질은 화강석, 대리석, 점판암 등의 석재, 콘크리트 벽돌, 점토 벽돌, 황토 벽돌, 세라믹 블록 등이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바닥 포장용 사각벽돌을 이용하여 소정 영역을 포장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a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일반 바닥 깔기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b는 90도 바닥 깔기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c는 45도 바닥 깔기 상태를 각각 보인 것이다.
도 1에서는 직사각형 벽돌을 사용하였지만, 어떤 형상의 벽돌을 사용하더라도 특정 벽돌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벽돌간에는 약 3mm의 줄눈 간격을 유지하도록 시공된다.
도 2는 도 1에 보인 일반 바닥 깔기의 일부 단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져진 지반(1)의 상부 표면에 자갈이나 쪼갠 돌로 보조 기층(2)이 형성되고, 다져진 기층(2)의 상부 표면에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부직포(3)를 깐 후, 부직포(3)의 상부 표면에 소정 높이의 모래층(4)이 형성되고, 모래층(4)의 상부 표면에 소정 재질과 모양을 갖는 복수개의 포장용 벽돌(5a,5b,5c)을 미리 계획된 조립 패턴에 따라 순서대로 깔게 되며, 각각의 포장용 벽돌(5a,5b,5c)간 전후좌우 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모든 이음매(또는 줄눈)(6a,6b)에는 모래가 채워진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나의 바닥 포장용 벽돌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웃한 벽돌이 있는 경우, 네 방향에 모두 이음매가 있을 것이며, 이러한 모든 이음매에 모래가 채워진다.
그 이유는 이음매가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닥 포장용 벽돌의 상부 표면에 자동차나 트레일러 등이 운행하게 되어 무거운 하중이 동시에 걸리는 경우, 포장용 벽돌간 상부 단면의 에지가 서로 부딪쳐서 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복수개의 바닥 포장용 벽돌간에 형성된 각각의 이음매에 채워진 모래는 물이나 바람 등의 원인으로 쓸려가게 되어, 결국 세월이 지나감에 따라 점점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일정한 세월이 경과함에 따라 포장용 벽돌간 상부 단면의 에지부분이 서로 부딪쳐서 깨어지는 현상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이렇게 바닥 포장용 벽돌의 상부 표면의 에지부분이 깨지게 되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깨진 포장용 벽돌로 인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 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 재질과 형상을 갖는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공정시, 벽돌의 상부 표면에서 하부 표면 방향으로 이음매를 형성하기 위한 이음매 예정편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바닥 포장용 벽돌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정 재질과 형상을 갖는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공정시, 벽돌의 하단부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돌기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바닥포장용 벽돌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 재질과 형상을 갖는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공정시, 벽돌의 상부 표면에서 하부 표면 방향으로 이음매를 형성하기 위한 이음매 예정편과, 벽돌의 하단부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돌기부를 선택적인 조합으로 형성하기 위한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바닥 포장용 벽돌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은, 혼련된 원료를 압출 성형기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모양과 길이를 갖는 벽돌 컬럼을 압출 및 성형하되, 상기 벽돌 컬럼의 장변 또는 단변 방향의 한 쌍의 하측면에 소정 크기의 돌기부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형성용 철사줄이 구비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벽돌 컬럼의 일측의 장변 또는 단변 방향으로 소정 두께와 깊이를 갖는 이음매 예정편이 형성하기 위한 부분 절단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절단용 철사줄을 이용하여 상기 벽돌 컬럼을 미리 설정된 크기대로 절단하여 복수개의 개별 벽돌을 분리하기 위한 절단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벽돌 컬럼의 장변방향(또는 단변방향)의 양측면의 소정 위치에 일자형의 홈을 가로 방향으로 찍어 넣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변과 상기 단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벽돌 본체와; 상기 벽돌 본체의 일측 장변 또는 단변을 기준으로 소정 두께를 갖으며 소정 깊이 까지 형성된 일자형 홈으로 구분되는 이음매 예정편과; 상기 벽돌 본체의 양측 단변 또는 장변의 하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돌기부로 구성되어, 상기 벽돌 본체를 소정 지역의 바닥을 포장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이음매 예정편에 충격을 주거나 타격을 가하여 상기 벽돌 본체에서 분리한 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일자형 홈의 깊이는 상기 벽돌 본체의 상부 표면에서 하부 표면 방향으로 50% 에서 90% 의 깊이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변과 상기 단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벽돌 본체와; 상기 벽돌 본체의 일측 단변의 하측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1 돌기부와; 상기 벽돌 본체의 일측 장변의 하측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 돌기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변과 상기 단변 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벽돌 본체와; 상기 벽돌 본체의 일측 단변의 하측부에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돌기바와; 상기 벽돌 본체의 일측 장변의 하측부에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돌기바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벽돌의 측면에 이음매를 자연스럽게 형성하기 위한 돌기부나 벽돌의 측면의 소정부분에 이음매를 형성하기 위한 이음매 예정편을 선택적인 조합의 조건으로 성형하기 때문에, 바닥 포장 공정시 특정 벽돌의 전후좌우간 이웃한 벽돌 사이마다 모래를 충진하기 위한 이음매를 형성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서로 이웃한 벽돌의 상부에 강한 하중이 걸려도 이웃한 벽돌의 에지부분이 파손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절차 및 이에 따른 벽돌의 구성을 차례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의 제조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벽돌의 제조 절차는 크게 제토공정, 성형공정, 건조 및 적재 공정, 소성공정 및 포장공정으로 구분된다.
1.제토공정
제토공정은 벽돌의 황토, 점토, 고령토 등의 원재료를 제품 특성에 맞게 각 각의 원료를 배합, 분쇄, 혼련(반죽)하는 공정이다.
(1) 원료 공급 : 원토장에서 원료를 공급한다.
(2) 석별 : 원료 내에 포함된 돌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3) 판밀 : 판밀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다른 성질의 원료에 물을 넣어 혼련 및 분쇄 시킨다.
(4) 1차분쇄기: 판밀기에서 분쇄된 원료의 입자를 더 잘게 분쇄하는 공정으로, 분쇄기의 롤간격을 1.2 ~ 1.5mm로 유지해 원료를 잘게 분쇄한다.
(5) 사이로: 혼련, 분쇄된 원료를 사이로장에 넣어 2주간 숙성 및 저장하는 공정으로, 원료의 숙성 및 원료 속에 함유된 수분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원료의 가소성을 높여준다.
(6) 원료 채굴: 사이로장의 숙성 저장된 원료를 표면층부터 고르게 채취하여 이송시키는 공정으로서, 원료를 다시 한번 고르게 혼합하고 정량을 공급한다.
(7) 2차 분쇄기: 분쇄기의 롤간격을 0.8mm 이하로 유지해 가공 숙성된 원료를 미분쇄하여, 입자분포를 1mm이하로 고르게 하는 설비로 제품의 표면 처리등 품질의 고급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성형공정
성형공정은 제토공정에서 가공된 원료를 이용해 원료를 물과 혼련하여 진공 압출 후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만드는 공정이다.
(1) 1차 혼련: 미분쇄된 원료에 물을 첨가하여 고르게 혼련(반죽)한다.
(2) 2차 혼련 : 1차 혼련된 원료를 자동 수분 조절 장치(미도시)를 사용하여 수분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혼련한다. 따라서, 성형기는 2차 혼련된 원료의 토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전체 제품이 균일하게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갖도록 조절한다.
(3) 성형: 완벽하게 혼련된 원료를 먼저 진공실을 통과시켜 원료속의 공기를 제거한다. 이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제거된 혼련된 원료를 압출 성형기(41)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모양과 길이를 갖는 벽돌 컬럼을 압출 및 성형한다. 이 벽돌 컬럼은 압출 성형기(41)의 출구에 연결된 콘베이어 장치(42)를 통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압출 성형기(41)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점토보도벽돌, 황토벽돌, 이형벽돌 등 여러가지 규격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제품의 강도, 품질, 표면처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벽돌 컬럼의 성형 절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모양과 길이를 갖는 벽돌 컬럼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압출 성형기(41)가 준비되어야 한다.
도 4a 및 도 4b는 압출 성형기에서 생산되는 벽돌 컬럼의 형상이 벽돌의 상면 또는 하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벽돌의 일측 장변방향이 화살표 방향으로 출고된다. 도 4b에서 표시된 점선(P1-Pn)은 낱장 벽돌을 만들기 위한 절단 예정 표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압출 성형기에서 생산되는 벽돌 컬럼의 형상이 벽돌의 측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벽돌의 일측 장변방향이 앞으로 향하도록 출고되는 것을 보인 것이며, 도 4d는 압출 성형기에서 생산되는 벽돌 컬럼의 형상이 벽돌의 상면 또는 하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벽돌의 일측 단변방향이 앞으로 향하도록 출고되는 것을 보인 것이며, 도 4e는 압출 성형기에서 생산되는 벽돌 컬럼의 형상이 벽돌의 측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벽돌의 일측 단변방향이 앞으로 향하도록 출고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4b 내지 도 4e에 보인 성형방식 중에서는 도 4b의 성형방식이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고려해 볼 때 바람직하다 할 수 있겠다.
이때, 압축 성형기의 형틀(사출 금형)의 형상에 따라 벽돌의 모양이 결정되는데, 압축 성형기의 형틀을 개선하여 생산되는 벽돌의 모든 하측 면이나 장변 및 단변을 갖는 "ㄱ"면에 돌기부나 돌기바(Bar)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성형기(41)의 형틀의 하부의 단변방향의 측면에 돌기 형성부(미도시)를 구비시켜, 압축 성형기(41)에서 벽돌 컬럼이 생산될 때 개별 벽돌의 단변에 해당하는 벽돌 컬럼의 양측면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한 쌍의 돌기부(30a,30b)를 갖는 벽돌 컬럼을 성형한다.
도 4g에서는 도 4f에 도시된 한 쌍의 돌기부(30a,30b)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한 쌍의 일자형의 돌기바(31a,31b)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벽돌을 보이고 있다.
도 4h에서는 도 4f에 도시된 한 쌍의 돌기부(30a,30b)가 성형된 위치에 한 쌍의 이단형 돌기바(32a,32b)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벽돌을 보이고 있다.
도 4f 내지 도 4h에 도시된 돌기부(30a,30b) 및 돌기바(31a,31b,32a,32b)는 압축 성형기(41)에서 벽돌 컬럼이 성형될 때 벽돌 컬럼의 일측면에 함께 연속적으 로 성형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4f 내지 도 4h에 도시된 돌기부(30a,30b) 또는 돌기바(31a,31b,32a,32b)가 성형되지 않은 다른 측면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한 쌍의 돌기부(30c)나 돌기바(31c,32c,33c)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추가 성형공정이 요구되거나, 하나 이상의 낱장의 벽돌을 성형하면서 절단하는 소형의 압축 성형기에 적합하다.
또한, 도 4f 내지 도 4h에 도시된 돌기부(30a,30b,30c) 또는 돌기바(31a,31b,31c,32a,32b,32c)는 벽돌의 장변 또는 단변의 측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성형되었는데,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의 장변 또는 단변의 측면을 기준으로 소정 두께와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돌기바(34a,34b,35a,35b,35c)를 세로방향으로 형성한다. 이때, 형성되는 돌기바(34a,34b,35a,35b,35c)는 편의상 장변측에 3개 그리고 단변측에 2개를 형성시켰지만, 그 개수는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조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도 4i에 도시된 돌기바(34a,34b,35a,35b,35c)는 압축 성형기(41)에서 벽돌 컬럼이 성형될 때 벽돌 컬럼의 일측면에 함께 연속적으로 성형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공정에서 성형하거나, 벽돌 컬럼을 생산하지 않고 소량의 벽돌을 성형하면서 절단하는 소형의 압축 성형기에 적합하다.
또한, 벽돌 컬럼의 성형 공정시, 벽돌의 장변 또는/및 단변의 측면에 소정 무늬나 문자를 찍어 넣거나, 도 4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의 장변방향(또는 단변방향)의 양측면의 소정 위치에 일자형의 홈을 가로 방향으로 찍어 넣는다. 이와 같은 일자형 홈은 벽돌의 측면에서 볼 때 그 깊이가 깊지 않지만, 후술될 이음매 예정편이 용이하게 깨져 떨어져나가게 하기 위한 것이다.
(4)절단 :성형과정에서 토출된 일정 모양의 벽돌 컬럼을 제품별 치수에 따라 일정한 모양을 만들기 위하여 철사나 기타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절단한다. 이 과정에서는 최종 완제품의 규격, 휨 등을 결정한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후 절단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압출 성형기가 벽돌의 일측 장변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이음매 예정편을 소정 깊이로 성형하기 위한 복수개의 성형용 철사줄(80a-80n)을 구비한 홈 성형용 프레임(80)과, 압출 성형기가 벽돌의 일측 장변방향으로 개별 벽돌을 절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절단용 철사줄(70a-70n)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벽돌 컬럼(60a)이 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홈 성형용 프레임(80)이 상하운동을 하면서 성형용 철사줄(80a-80n)을 이용하여 각각의 개별 벽돌의 일측의 장변 방향으로 소정 두께와 깊이를 갖는 이음매 예정편의 형성 동작과, 절단용 철사줄(70a-70n)을 이용하여 개별 벽돌을 분리하기 위한 절단동작이 동시에 실행되는 것이다.
도 5a에 보인 홈 성형용 프레임(80)이 상하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성형용 철사줄(80a-80n)이 이음매 예정편을 성형하도록 벽돌의 통과 깊이가 조절된다.
도 5b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홈 성형용 프레임(90)에 구비된 성형용 철사줄(90a-90n)이 하나의 벽돌에 두 개의 이음매 예정편을 성형하도록 그 개수가 더 추가된 구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벽돌 컬럼(60a,60b)이 횡방항으로 이송 되면서 홈 성형용 프레임(90)이 상하운동을 하면서 성형용 철사줄(90a-90n)을 이용하여 각각의 개별 벽돌의 양측의 장변 방향으로 소정 두께와 깊이를 갖는 이음매 예정편의 형성 동작과, 절단용 철사줄(70a-70n)을 이용하여 개별 벽돌을 분리하기 위한 절단동작이 동시에 실행되는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닥 포장용 벽돌의 절단 동작은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벽돌 컬럼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4c 내지 도 4e에 도시된 벽돌컬럼을 이용하여도 동일한 방식으로 절단할 수 있다.
(5) 적재:성형 및 절단된 제품을 건조대차에 싣는 과정이다.
3. 건조 및 적재 공정
건조 및 적재공정은 성형과정에서 가소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 수분을 제거해 제품에 일정 이상의 강도를 부여한 후 적재하는 공정이다.
(1) 건조 : 성형된 제품의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소성로의 냉각대에서 제품의 냉각을 위해 열 교환된 열풍을 이용하며, 열풍공급온도, 습도, 풍량, 풍압을 건조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최적의 건조 효율을 유지하는 공정이다.
- 건조실 최고온도 : 75∼85℃
- 건조시간 : 72시간
- 제품수분 : 1.5 ~ 2.5%
(2) 소성적재 : 건조실에서 완전히 건조된 제품을 로봇을 이용해 소성대차에 적재하는 과정이다. 세움적재, 눕힘적재등 적재방법의 조정으로 다양한 색상의 제품을 생산 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이며, 적재된 제품은 예비건조실을 거쳐 소성로 로 이송하게 된다.
4. 소성공정
소성공정은 제품에 최대 강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건조된 제품을 터널킬른에 요입시켜 열처리하는 고정으로서, 제품의 완성공정이다.
(1) 예열: 터널킬른의 앞쪽부분에 해당하는 과정으로 최고 소결 온도까지 소성온도를 높이기 전 단계로 잔존 수분의 증발 및 각종 산화물의 산화가 일어난다.
(2) 소성 :각 제품별 소성 온도를 최고 1250℃까지 올려서 소결하는 공정으로 제품의 입자성장, 재배치와 융제의 융용으로 조직의 치밀화가 일어나 제품의 강도를 부여한다. 가마내의 균일한 온도분포와 분위기에 의해서 소성색상과 제품의 전체적인 품질 균일화가 결정된다.
(3) 환원: 소성시 최고 소성구간에서 노내 분위기를 LP 개스를 이용해 환원 분위기를 형성해 제품 속에 함유된 제2산화철을 환원하여 여러 가지 다색채의 소성색상을 발색하고 있다.
(4) 냉각: 소성 후 제품이 요출 될 때 까지 안전하게 냉각시켜 주는 공정이다. 소성의 소결공정과 함께 제품의 외관미와 냉파 등 품질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소성 메인 컴퓨터가 자동으로 냉각속도를 제어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5. 포장공정
포장공정은 공정의 마지막 단계로서, 철저한 품질관리에 의한 규격 및 색상 등을 선별, 관리하여 포장하는 공정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절차에 의해 만들어진 벽돌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 예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변(a1,a2)과 상기 단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변(b1,b2)을 갖는 직사각형 벽돌 본체(10)와; 벽돌 본체(10)의 장변(b1)을 기준으로 소정 두께를 갖으며 소정 깊이 까지 형성된 일자형 홈(21)으로 형성된 이음매 예정편(20)과; 벽돌 본체(10)의 양측 단변(a1,a2)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돌기부(30)와; 이음매 예정편(20)의 측면에 일자형 홈(21)의 바닥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장변(b1)에 평행하게 형성된 크랙 유도홈(40)으로 구성된다.
도 6b는 작업자가 도 6a에 도시된 벽돌 본체를 소정 지역의 바닥을 포장할 경우, 작업자가 이음매 예정편(20)에 충격을 주거나 타격을 가하여 크랙 유도홈(40)을 따라 이음매 예정편(20)이 벽돌 본체(10)에서 떨어져 나간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이음매 예정편(20)이 떨어져 나간 후 남아 있는 벽돌 본체에는 이음매를 형성하기 위한 이음매용 턱(50)이 남게 된다.
도 6a에 도시된 돌기부(30)는 벽돌 본체(10)의 양측 단변의 하측 바닥에서 일자형 홈(21)의 바닥부분의 연장선에 상응하는 높이 사이에 형성된 소정 두께의 직사각 띠 형상이지만, 도 6c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의 돌기바를 가로방향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c에서는 벽돌 본체(10)의 양측 단변(a1,a2)의 하측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돌기바(Bar)(31)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 다. 또한, 도 6d에서는 벽돌 본체(10)의 양측 단변(a1,a2)의 하측 바닥에서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한 쌍의 돌기바(Bar)(32,33)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돌기부(30)와 돌기바(31,32,33)는 모두 가로 방향으로 성형된 것이지만,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 본체(10)의 단측 단변의 하측 바닥에서 일자형 홈(21)의 바닥부분의 연장선에 상응하는 높이 사이에 복수개의 소정 두께를 갖는 돌기바(34a,34b)를 세로방향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에 도시된 일자형 홈(21)의 깊이(h1)는 벽돌 본체(10)의 상부 표면에서 하부 표면 방향으로 50% 에서 90% 의 깊이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너무 낮게 형성되면 이음매 예정편(20)이 떨어져 나가기가 쉽지 않을 것이며, 너무 깊게 형성되면 이음매용 턱(50)에 크랙이 발생하기가 용이할 것이기 때문이다.
도 6f는 도 6a에 도시된 벽돌에서, 벽돌 본체(10)의 일측 단변(a1)의 하측에 돌기부나 돌기바가 성형되지 않고, 벽돌 본체(10)의 일측 단변(a1)을 기준으로 소정 두께를 갖으며 소정 깊이 까지 형성된 일자형 홈(21a)으로 각각 구분되는 제2 이음매 예정편(20a)와; 제2 이음매 예정편(20a)이 형성된 벽돌 본체(10)의 측면에 일자형 홈(21a)의 바닥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단변(a1)에 평행하게 형성된 크랙 유도 홈(40a)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제 2 실시 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바닥포장용 벽돌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변(a1,a2)과 단변(a1,a2)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변(b1,b2)을 갖는 직사각형 벽돌 본체(10)와; 벽돌 본체(10)의 일측 단변(a1)의 바닥에서부터 벽돌 본체(10)의 중심 높이 사이에서 소정 높이로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기부(30a)와; 벽돌 본체의 일측 장변(b1)의 바닥에서부터 중심 높이 사이에서 소정 높이로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2 돌기부(30b)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에서, 제1 돌기부(30a)와 대응하는 위치에 벽돌 본체(10)의 타측 단변(b2)의 바닥에서부터 벽돌 본체(10)의 중심 높이 사이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된 제3 돌기부와; 제2 돌기부(30b)와 대응하는 위치에 벽돌 본체(10)의 타측 장변(b2)의 바닥에서부터 중심 높이 사이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된 제4 돌기부가 더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보인 제2 돌기부(30b)는 형성시킨 상태에서 제1 돌기부(30a)를 형성시키지 않고, 도 6c 내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나 돌기바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실시 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바닥 포장용 벽돌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변(a1,a2)과 단변(a1,a2)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변(b1,b2)을 갖는 직사각형 벽돌 본체(10)와; 벽돌 본체(10)의 일측 단변(a1)의 바닥에서부터 벽돌 본체(10)의 중심 높이 사이에서 소정 두께와 높이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돌기바(34a,34b)와; 벽돌 본체의 일측 장변(b1)의 바닥에 서부터 중심 높이 사이에서 소정 두께와 높이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돌기바(35a-35c)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바닥포장용 벽돌에서, 복수개의 제1 돌기바(34a,34b)와 대응하는 위치에 벽돌 본체(10)의 타측 단변(b2)의 바닥에서부터 벽돌 본체(10)의 중심 높이 사이에서 소정 두께와 높이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3 돌기바와; 제2 돌기바(35a-35c)와 대응하는 위치에 벽돌 본체(10)의 타측 장변(b2)의 바닥에서부터 중심 높이 사이에서 소정 두께와 높이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4 돌기바를 더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에 보인 복수개의 제2 돌기바(35a-35c)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복수개의 제1 돌기바(34a,34b)를 형성시키지 않고, 도 6a 내지 도 6d 그리고 도 6f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나 돌기바를 가로방향으로 형성시키거나, 이음매 예정편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돌기바(34a,34b,35a,35b,35c)는 편의상 장변측에 3개 그리고 단변측에 2개를 형성시켰지만, 그 개수는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조절 가능할 것이다.
이어, 첨부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닥 포장용 벽돌을 이용한 도로 포장 시공 절차를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시공자는 현장을 실측하고, 작업 계획을 수립한다. 이때, 포장할 범위와, 벽돌의 종류, 전체 문양 등도 함께 결정하여야한다.
이어, 포장할 지역에 약 100mm 정도의 보조기층을 깔고 다지며, 보조기층의 상부표면에 모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오텍스타일 설치한다.
이어, 20-50mm 두께로 모래를 포장할 지역에 포설한다(S11).
이어, 모래평탄 작업을 하면서 충분히 살수한다(S12).
이어, 모래에 살수한 후 콤펙터 등의 평탄화 장비를 사용하여 여러번 다진다. 이때, 모래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S13).
이어, 미리 계획된 전체 문양을 확인하고, 벽돌을 운반한 뒤, 벽돌의 수평을 맏추기 위해 기준이 되는 기준선을 설치한다(S14).
이때, 벽돌의 단변 및/또는 장변의 측면 부분에 하나 이상의 이음매 예정편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작업자는 다른 벽돌이나 햄머 등의 작업 도구를 이용하여 이음매 예정편을 절단시킨 후, 띄워 놓은 줄을 기준으로 벽돌 깔기를 반복적으로 실행한다(S15). 이때, 벽돌의 한 쌍의 단변과 장변에 각각 이음매 예정편이 절단된 경우에는 무관하지만, 하나의 단변과 장변에만 이음매 예정편이 절단된 경우에는 이음매 예정편이 절단된 ㄱ자 모양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포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벽돌과 벽돌 사이 줄눈을 3-4mm 간격으로 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과 벽돌 사이의 밑부분은 거의 완벽하게 밀착된 상태이지만, 이음매 예정편이 절단된 부분은 서로 이웃한 벽돌의 측면으로 인해서 모래가 채워질 이음매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이어, 벽돌의 접합부, 코너부 등에 사용할 보도벽돌에 컷팅(Cutting)및 그라인딩 (Grinding)을 실시한다(S16). 이때, 주로 다이아몬드 컷팅날이 사용된다. 또한, 경계 및 모서리부분 깔기를 실행한다(S17).
이어, 경계 및 모서리 부분에 그라인딩 작업한 벽돌을 깐 후, 보도 벽돌의 줄눈을 일정하게 조정하고, 가는 모래를 뿌려 콤팩트를 이용하여 다진다(S18). 따라서, 벽돌사이에 형성된 이음매부분에 자연스럽게 모래가 채워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살수 및 비질로 줄눈에 모래를 충분히 충전시킨다(S19).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바닥 포장용 벽돌에 따르면, 소정 재질과 형상을 갖는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공정시, 벽돌의 상부 표면에서 하부 표면 방향으로 이음매를 형성하기 위한 이음매 예정편을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또한, 벽돌의 하단부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돌기부를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또한, 벽돌의 상부 표면에서 하부 표면 방향으로 이음매를 형성하기 위한 이음매 예정편과, 벽돌의 하단부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돌기부를 선택적인 조합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웃한 바닥 포장용 벽돌의 각각의 하측부분은 종래에 남겨두었던 약 3mm의 이음매 간격이 없이 서로 밀착되어있으면서도 이음매 예정편이 떨어져 나간 턱부분 부터 이음매를 자연스럽게 형성시켜주기 때문에, 이웃한 벽돌의 상부에 강한 하중이 걸려도 이웃한 벽돌의 에지부분이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이라면 당업자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혼련된 원료를 압출 성형기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모양과 길이를 갖는 벽돌 컬럼을 압출 및 성형하되, 상기 벽돌 컬럼의 장변 또는 단변 방향의 한 쌍의 하측면에 소정 크기의 돌기부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형성용 철사줄이 구비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벽돌 컬럼의 일측의 장변 또는 단변 방향으로 소정 두께와 깊이를 갖는 이음매 예정편이 형성하기 위한 부분 절단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절단용 철사줄을 이용하여 상기 벽돌 컬럼을 미리 설정된 크기대로 절단하여 복수개의 개별 벽돌을 분리하기 위한 절단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 컬럼은 상면 또는 하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벽돌 컬럼의 일측 장변방향이 앞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 컬럼의 장변방향(또는 단변방향)의 양측면의 소정 위치에 일자형의 홈을 가로 방향으로 찍어 넣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4.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변과 상기 단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벽돌 본체와;
    상기 벽돌 본체의 일측 장변 또는 단변을 기준으로 소정 두께를 갖으며 소정 깊이 까지 형성된 일자형 홈으로 구분되는 이음매 예정편과;
    상기 벽돌 본체의 양측 단변 또는 장변의 하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돌기부로 구성되어,
    상기 벽돌 본체를 소정 지역의 바닥을 포장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이음매 예정편에 충격을 주거나 타격을 가하여 상기 벽돌 본체에서 분리한 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포장용 벽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예정편이 형성된 벽돌 본체의 측면에 상기 일자형 홈의 바닥에 상응하는 높이에서, 상기 장변 또는 단변에 평행하게 크랙 유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포장용 벽돌.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 홈의 깊이는 상기 벽돌 본체의 상부 표면에서 하부 표면 방향으로 50% 에서 90% 의 깊이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포장용 벽돌.
  7.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변과 상기 단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벽돌 본체와;
    상기 벽돌 본체의 일측 단변의 하측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1 돌기부와;
    상기 벽돌 본체의 일측 장변의 하측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 돌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포장용 벽돌.
  8.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변과 상기 단변 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벽돌 본체와;
    상기 벽돌 본체의 일측 단변의 하측부에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 1 돌기바와;
    상기 벽돌 본체의 일측 장변의 하측부에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 2 돌기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포장용 벽돌.
KR1020060045570A 2006-05-22 2006-05-22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바닥 포장용 벽돌 KR100708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570A KR100708437B1 (ko) 2006-05-22 2006-05-22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바닥 포장용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570A KR100708437B1 (ko) 2006-05-22 2006-05-22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바닥 포장용 벽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806A true KR20060069806A (ko) 2006-06-22
KR100708437B1 KR100708437B1 (ko) 2007-04-18

Family

ID=3716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570A KR100708437B1 (ko) 2006-05-22 2006-05-22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바닥 포장용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4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636A (ko) 2014-03-20 2015-10-02 주식회사 이엘피 벽돌 제조방법
KR20150109637A (ko) 2014-03-20 2015-10-02 주식회사 이엘피 벽돌 제조장치
KR102026031B1 (ko) 2018-08-07 2019-09-26 조백일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KR102085504B1 (ko) 2019-04-01 2020-03-05 김교원 스티로폼을 결합한 기능성 벽돌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100B1 (ko) * 2010-04-05 2010-10-05 주식회사 상산쎄라믹 줄눈용 수지돌기가 형성된 점토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636A (ko) 2014-03-20 2015-10-02 주식회사 이엘피 벽돌 제조방법
KR20150109637A (ko) 2014-03-20 2015-10-02 주식회사 이엘피 벽돌 제조장치
KR102026031B1 (ko) 2018-08-07 2019-09-26 조백일 벽돌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KR102085504B1 (ko) 2019-04-01 2020-03-05 김교원 스티로폼을 결합한 기능성 벽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437B1 (ko)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437B1 (ko) 바닥 포장용 벽돌의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바닥 포장용 벽돌
EP4098416B1 (en) System for producing slabs, tiles or sheets of artificial stone with a wide vein effect vein effect
KR20170048405A (ko) 합성 몰딩된 슬래브와 그 관련 시스템 및 방법
CN109629389B (zh) 一种路面精准养护系统及其方法
WO2004061239A1 (de) Verbundformstein
EP1893811B1 (en) Paving stones, method for laying pavement with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1674270B2 (en) Plastic paver blocks
US200400913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concrete blocks with the appearance of natural fossil stone
US6279291B1 (en) Method of ageing manufactured building components
KR101778579B1 (ko) 빗물 침투 및 저류 저장이 용이한 경계석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경계석
WO2015051210A1 (en) Cementitious product
US202100532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ver block having veined tread surface
US202401317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Slabs, Tiles or Sheets of Artificial Stone with a Wide Vein Effect
KR20070001025U (ko) 석재 포장용 블록
RU2000119044A (ru) Способ рециклинга отвалов
CN110480825B (zh) 鹅卵石混凝土浮雕装饰预制板的制作方法
US11332892B2 (en) Patio blocks and method of providing a UV coating
KR102198718B1 (ko) 고밀도 블록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고밀도 블록
EP1372923B1 (en) Masonry block splitting assembly and method
IT1181498B (it) Procedimento di rigenerazione e riciclaggio in sito a caldo delle pavimentazioni stradali usurate e impianto per attuare detto procedimento
CN108858820B (zh) 石材切断装置及利用其生产的石制品
WO2021048749A1 (en) Method and plant for manufacturing granulate materials designed to be used for manufacturing articles in form of slab or block from a mixture
KR100985100B1 (ko) 줄눈용 수지돌기가 형성된 점토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048053A (ja) 自然石製品の天面縁部の加工
KR101475723B1 (ko) 블록포장용 기층블록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