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053B1 -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 - Google Patents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053B1
KR101921053B1 KR1020170079198A KR20170079198A KR101921053B1 KR 101921053 B1 KR101921053 B1 KR 101921053B1 KR 1020170079198 A KR1020170079198 A KR 1020170079198A KR 20170079198 A KR20170079198 A KR 20170079198A KR 101921053 B1 KR101921053 B1 KR 101921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ember
pressure
metal
intermediate part
intermedi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태
천두만
박홍석
한흥남
박주원
리영방
딘 선 웬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09Pressur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2Pressure but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4Prelimina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은 제 1금속부재 및 제 2 금속부재를 서로 접합시키는 것으로, 전극부; 및 상기 제 1금속부재와 상기 제 2금속부재 사이에 복수개의 미세기공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매개부가 삽입되고,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극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제 1금속부재 및 상기 제 2금속부재에 전달하며, 상기 제 1금속부재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매개부를 통하여 상기 제 1금속부재 및 제 2 금속부재를 접합시키는 압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전압전장치 및 통전압전방법에 의하면, 매개부가 복수개의 미세기공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낮은 압축유동응력으로 제 1금속부재와 제 2금속부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매개부의 높은 전기저항으로 국부적인 고온부위를 발생 가능하여 제 1금속부재와 제 2금속부재의 접합이 용이하다.

Description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Electrically assisted pressure join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금속부재와 제 2금속소재에 전류를 인가하고,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 1금속부재와 제 2금속소재를 확산접합에 의하여 접합시키는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통전압접(Electrically assisted pressure joining)은 두 금속재료를 밀착, 가압시켜 소재를 융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두 금속재료를 서로 접합하는 방법을 말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압접은 두 금속재료를 맞닿은 상태에서 전류를 인가하고, 소성변형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압력을 가해, 접합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원자의 확산을 이용하여 접합한다.
종래의 통전압접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89640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통전압접장치는 제 1금속소재와 제 2금속소재를 서로 맞닿도록 배치시겨 압력을 가함으로써 접합시키므로, 제 1금속소재와 제 2금속소재가 서로 맞닿은 면이 서로 접합된다. 따라서 제 1금속소재와 제 2금속소재의 높은 압축유동응력으로 제 1금속소재와 제 2금속소재에 배럴링(Barreling)과 같은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더불어 제 1금속소재와 제 2금속소재가 이종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접합부위의 성분차이로 인하여 접합성이 저하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제 1금속소재와 제 2금속소재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접합성을 향상시킨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전압접장치는, 제 1금속부재 및 제 2 금속부재를 서로 접합시키는 통전압접장치에 있어서, 전극부; 및 상기 제 1금속부재와 상기 제 2금속부재 사이에 복수개의 미세기공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매개부가 삽입되고,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극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제 1금속부재 및 상기 제 2금속부재에 전달하며, 상기 제 1금속부재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매개부를 통하여 상기 제 1금속부재 및 제 2 금속부재를 접합시키는 압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부는,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고, 제 1금속부재가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금속부재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와,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고, 제 2금속부재가 맞닿도록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는, 상기 제 1금속부재와 상기 제 2금속부재가 맞닿는 접합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는, 3D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금속부재 또는 상기 제 2금속부재에 프린팅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개부는, 메탈파우더(Metal powder)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는, 일측이 상기 제 1 금속부재와 맞닿고 타측이 상기 제 2금속부재와 맞닿도록 구성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2금속부재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1금속부재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통전압전방법은,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고 제 1금속부재가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금속부재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와,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고 제 2금속부재가 맞닿도록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압력부를 구비하는 통전압접장치를 이용하여 제 1금속부재 및 제 2 금속부재를 서로 접합시키는 통전압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금속부재와 상기 제 2금속부재의 접합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복수개의 미세기공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매개부를 제작하는 매개부제작단계; 상기 매개부를 상기 제 1금속부재와 상기 제 2금속부재 사이에 배치시키는 매개부배치단계; 및 상기 전극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고, 상기 가압부를 통하여 상기 제 1금속부재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매개부를 통하여 상기 제 1금속부재 및 상기 제 2금속부재를 접합시키는 접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개부제작단계는, 상기 매개부를 3D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매개부를 상기 제 1금속부재 또는 상기 제 2금속부재에 프린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제작단계는, 상기 매개부를 메탈파우더(Metal powder)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개부는, 일측이 상기 제 1 금속부재와 맞닿고 타측이 상기 제 2금속부재와 맞닿도록 구성되며, 상기 매개부제작단계는, 상기 매개부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2금속부재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1금속부재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전압전장치 및 통전압전방법에 의하면, 매개부가 복수개의 미세기공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낮은 압축유동응력으로 제 1금속부재와 제 2금속부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매개부의 높은 전기저항으로 국부적인 고온부위를 발생 가능하여 제 1금속부재와 제 2금속부재의 접합이 용이하다.
또한 매개부를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하고 제 1금속부재 또는 제 2금속부재에 직접적으로 프린팅 할 수 있어 매개부의 위치고정이 용이하여 제작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매개부의 일측 및 타측의 성분이 각각 제 1금속부재 및 제 2금속부재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 1금속부재 및 제 2금속부재의 접합부위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혼합될 수 있어 접합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전압접장치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통전압접장치의 매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통전압접장치의 매개부의 제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통전압접장치의 매개부의 성분분포를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통전압접장치를 이용한 통전압접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통전압접장치(10)는, 제 1금속부재(B) 및 제 2 금속부재(P)를 서로 확산접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극부(100) 및 압력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부(100)는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에 전류를 공급한다. 즉 상기 전극부(100)는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압력부(200)는 상기 제 1금속부재(B) 및 상기 제 2금속부재(P)와 연결되어,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를 확산 접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부(200)는 상기 전극부(100)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제 1금속부재(B) 및 상기 제 2금속부재(P)에 전달하며, 상기 제 1금속부재(B)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 1금속부재(B) 및 상기 제 2금속부재(P)를 접합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 사이에는 매개부(201)가 삽입된다. 즉 상기 압력부(200)는 상기 매개부(201)를 통하여 상기 제 1금속부재(B) 및 상기 제 2 금속부재(P)를 접합시킬 수 있다. 상기 압력부(200)는, 가압부(210)와 고정부(220)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제 1금속부재(B)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된다.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제 1금속부재(B)가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금속부재(B)에 압력을 가한다. 부연하면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전극부(100)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제 1금속부재(B)에 전류를 전달한 후, 상기 제 1금속부재(B)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를 접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전극부(100)와 연결되고, 상기 제 2금속부재(P)가 맞닿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전극부(100)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제 2금속부재(P)에 전류를 전달한다.
상기 매개부(201)는 복수개의 미세기공(201h)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매개부(201)는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가 맞닿는 접합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매개부(201)는 단면이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가 맞닿는 접합부위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소정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20)는 고정되어 상기 제 2금속부재(P)를 지지하고, 상기 가압부(210)가 상기 제 1금속부재(B)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매개부(201)에 국부적인 고온부위가 유발됨으로서,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가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매개부(201)가 복수개의 미세기공(201h)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높은 전기저항을 가질 수 있으며, 압축유동응력이 낮아 상기 매개부(201)에 집중적으로 소성변형이 발생되도록 유발되어,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개부(201)는, 3D프린팅(3D Printing)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매개부(201)는, 금속 3D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미세기공(201h)을 포함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상기 매개부(2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가 맞닿는 접촉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별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금속부재(B)의 일측면에 프린팅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금속부재(P)의 일측면에 프린팅 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201)가 상기 제 1금속부재(B) 또는 상기 제 2금속부재(P)의 일측면에 제작됨으로써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를 접합시킬 때 상기 매개부(201)의 위치고정이 용이하여 제작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매개부(201)는 3D프린팅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미세기공(201h)을 포함하도록 형성시키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메탈파우더(Metal powder)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복수개의 미세기공(201h)을 포함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매개부(201)는, 일측이 상기 제 1 금속소재(B)와 맞닿고 타측이 상기 제 2금속소재(P)와 맞닿도록 구성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금속부재(B) 또는 제 2금속부재(P)가 이종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매개부(201)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2금속소재(P)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1금속소재(B)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종소재로 구성된 상기 제 1금속소재(B) 상기 제 2금속소재(P)의 성분이 상기 매개부(201)를 통하여 점차적으로 혼합될 수 있어 접합성이 높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통전압접방법(S10)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통전압접방법(S10)은, 전극부(100) 및 압력부(200)를 포함하는 상기 통전압접장치(1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를 접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전압접장치(10)의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통전압접방법(S10)은, 매개부제작단계(S100), 매개부배치단계(S200), 접합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매개부제작단계(S100)는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의 사이에 삽입되는 매개부(201)를 제작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매개부제작단계(S100)는 상기 매개부(201)를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의 접합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한다. 또한 상기 매개부제작단계(S100)는 상기 매개부(201)가 복수개의 미세기공(201h)을 포함하도록 제작한다. 이때 상기 매개부제작단계(S100)는, 상기 매개부(201)를 3D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매개부제작단계(S100)는 상기 매개부(201)를 금속 3D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미세기공(201h)을 포함하도록 제작한다. 부연하면 상기 매개부제작단계(S100)는 상기 매개부(201)를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가 맞닿는 접촉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별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금속부재(B)의 일측면에 프린팅하거나, 상기 제 2금속부재(P)의 일측면에 프린팅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201)가 상기 제 1금속부재(B) 또는 상기 제 2금속부재(P)의 일측면에 제작됨으로써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를 상기 매개부(201)를 통하여 접합시킬 때 상기 매개부(201)의 위치고정이 용이하여 제작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매개부제작단계(S100)는 상기 매개부(201)를 3D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메탈파우더(Metal powder)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복수개의 미세기공(201h)을 포함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매개부제작단계(S100)는, 상기 매개부(201)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2금속소재(P)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1금속소재(B)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매개부(201)는, 일측이 상기 제 1 금속소재(B)와 맞닿고 타측이 상기 제 2금속소재(P)와 맞닿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매개부제작단계(S100)는 상기 제 1금속부재(B) 또는 제 2금속부재(P)가 이종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매개부(201)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2금속소재(P)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1금속소재(B)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종소재로 구성된 상기 제 1금속소재(B) 상기 제 2금속소재(P)의 성분이 상기 매개부(201)를 통하여 점차적으로 혼합될 수 있어 접합성이 높다.
상기 매개부배치단계(S200)는 상기 매개부제작단계(S100)로부터 제작된 상기 매개부(201)를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 사이에 배치시킨다. 즉 상기 매개부배치단계(S200)는 상기 매개부(201)의 일측이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맞닿도록 배치시키고, 타측이 상기 제 2금속부재(P)에 맞닿도록 배치시킨다.
상기 접합단계(S300)는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를 접합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접합단계(S300)는 상기 전극부(100)로부터 전류를 인가받고, 상기 가압부(210)를 통하여 상기 제 1금속부재(B)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매개부(201)를 통하여 상기 제 1금속부재(B) 및 상기 제 2금속부재(P)를 접합시킨다. 즉 상기 접합단계(S300)는 상기 매개부배치단계(S200)로부터 상기 제 1금속부재(B)와 상기 제 2금속부재(P)사이에 상기 매개부(20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금속부재(B) 및 상기 제 2금속부재(P)에 전류를 인가시키고, 상기 제 1금속부재(B)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매개부(201)에 집중적인 소성변형을 발생시켜 상기 매개부(201)와 상기 제 1금속부재(B) 및 상기 제 2금속부재(P)를 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전압전장치(10) 및 통전압전방법(S10)에 의하면, 매개부(201)가 복수개의 미세기공(201h)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낮은 압축유동응력으로 제 1금속부재(B)와 제 2금속부재(P)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매개부(201)의 높은 전기저항으로 국부적인 고온부위를 발생 가능하여 제 1금속부재(B)와 제 2금속부재(P)의 접합이 용이하다.
또한 매개부(201)를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하고 제 1금속부재(B) 또는 제 2금속부재(P)에 직접적으로 프린팅 할 수 있어 매개부(201)의 위치고정이 용이하여 제작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매개부(201)의 일측 및 타측의 성분이 각각 제 1금속부재(B) 및 제 2금속부재(P)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 1금속부재(B) 및 제 2금속부재(P)의 접합부위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혼합될 수 있어 접합성이 높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통전압접장치 100 : 전극부
200 : 압력부 201 : 매개부
201h : 미세기공 210 : 가압부
220 : 고정부 B : 제 1금속부재
P : 제 2금속부재

Claims (12)

  1. 제 1금속부재 및 제 2 금속부재를 서로 접합시키는 통전압접장치에 있어서,
    전극부; 및
    상기 제 1금속부재와 상기 제 2금속부재 사이에 복수개의 미세기공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매개부가 삽입되고,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극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상기 제 1금속부재 및 상기 제 2금속부재에 전달하며, 상기 제 1금속부재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매개부를 통하여 상기 제 1금속부재 및 제 2 금속부재를 접합시키는 압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개부는, 일측이 상기 제 1 금속부재와 맞닿고 타측이 상기 제 2금속부재와 맞닿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1금속부재와 상기 제 2금속부재가 맞닿는 접합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2금속부재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1금속부재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통전압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부는,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고, 제 1금속부재가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금속부재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와,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고, 제 2금속부재가 맞닿도록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통전압접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는,
    3D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통전압접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는,
    상기 제 1금속부재 또는 상기 제 2금속부재에 프린팅되는 통전압접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는,
    메탈파우더(Metal powder)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통전압접장치.
  7. 삭제
  8.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고 제 1금속부재가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금속부재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와, 상기 전극부와 연결되고 제 2금속부재가 맞닿도록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압력부를 구비하는 통전압접장치를 이용하여 제 1금속부재 및 제 2 금속부재를 서로 접합시키는 통전압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금속부재와 상기 제 2금속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일측이 상기 제 1 금속부재와 맞닿고 타측이 상기 제 2금속부재와 맞닿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1금속부재와 상기 제 2금속부재의 접합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매개부를 제작하며, 상기 매개부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2금속부재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1금속부재의 성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작하는 매개부제작단계;
    상기 매개부를 상기 제 1금속부재와 상기 제 2금속부재 사이에 배치시키는 매개부배치단계; 및
    상기 전극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고, 상기 가압부를 통하여 상기 제 1금속부재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매개부를 통하여 상기 제 1금속부재 및 상기 제 2금속부재를 접합시키는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통전압접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제작단계는,
    상기 매개부를 3D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통전압접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제작단계는,
    상기 매개부를 상기 제 1금속부재 또는 상기 제 2금속부재에 프린팅하는 통전압접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제작단계는,
    상기 매개부를 메탈파우더(Metal powder)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통전압접방법.
  12. 삭제
KR1020170079198A 2017-06-22 2017-06-22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 KR101921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198A KR101921053B1 (ko) 2017-06-22 2017-06-22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198A KR101921053B1 (ko) 2017-06-22 2017-06-22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053B1 true KR101921053B1 (ko) 2018-11-22

Family

ID=6455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198A KR101921053B1 (ko) 2017-06-22 2017-06-22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065A1 (ko) * 2018-11-14 2020-05-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585A (ja) * 2002-03-08 2003-09-16 Masao Hondo パルス通電による固体接合方法および接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585A (ja) * 2002-03-08 2003-09-16 Masao Hondo パルス通電による固体接合方法および接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065A1 (ko) * 2018-11-14 2020-05-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7695B2 (ja) 静電チャッ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711926B2 (en) Method of forming an interface for an electrical terminal
CN106424392A (zh) 使用辅助接合元件的接合方法
KR101921053B1 (ko) 통전압접장치 및 통전압접방법
JP6636719B2 (ja) 電線接続用端子および電線接続用端子と電線の接合方法
KR950028576A (ko) 전자-기계적 조인트 형성을 위한 구조체 및 방법
JP5191629B2 (ja) 溶接方法
US10780519B2 (en) Integrated resistance welding of functional element and auxiliary element
JP3454055B2 (ja) 絶縁電線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6516247B2 (ja) 片側スポット溶接方法
CN110014660A (zh) 用于制造载具构件的方法、载具构件及具有载具构件的载具
EP3488999B1 (en) Joining method for thermoplastic elements
WO2013076759A1 (ja) 金属接合方法
JP6416959B2 (ja) 電気導体の接合方法
JP3943838B2 (ja) 金属同士の接合方法
JP2014235777A (ja) 電線と端子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US20210394298A1 (en) Electrically assisted pressure joining apparatus and electrically assisted pressure joining method
US20120024825A1 (en) Pulse electric-current bonding method and pulse electric-current bonding apparatus
JP7171818B1 (ja) 融着方法および構造体
JP2009248172A (ja) 被覆電線の接続方法
JP3067271B2 (ja) 積層型圧電体
US2017001219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KR20190051315A (ko) 통전압접방법
JP2009026723A (ja) 面状発熱体
JP2591623B2 (ja) 被覆線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