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382B1 -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382B1
KR101920382B1 KR1020180053547A KR20180053547A KR101920382B1 KR 101920382 B1 KR101920382 B1 KR 101920382B1 KR 1020180053547 A KR1020180053547 A KR 1020180053547A KR 20180053547 A KR20180053547 A KR 20180053547A KR 101920382 B1 KR101920382 B1 KR 101920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essel
supporting
fram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Priority to KR1020180053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B65G59/062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escapement-like mechanis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적재부로부터 투하 배출되는 용기 이외의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지지부의 구성을 전동식이 아닌 간단한 기계식 구조로 개량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 단가를 절감하고 전동식 구조에서 자주 발생되던 에러 현상을 해소한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라면(31)이 들어 있는 용기(30)가 순차적으로 적재되며, 하단 양 측면에는 상기 용기지지부(200)의 걸림동작부(220)의 선단부(F)가 내측으로 삽입 돌출되도록 절개공(111)이 각각 형성되는 용기적재부(110); 상기 용기적재부(110)의 하단에서 최하부의 용기(30)를 지지하고 동시에 승하강 동작되는 승하강부(120); 및 상기 용기적재부(110)의 하단 양측면에 결합 구성되는 한 쌍의 용기지지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지지부(200)는 프레임부(210)와, 상기 프레임부(210)에 결합되고 지렛대부(225)의 동작에 의해 본체(221)가 이동하여 선단부(F)가 용기(30)를 지지하도록 하여주는 걸림동작부(220)로 구성되되, 상기 지렛대부(225)는 상기 승하강부(120)의 하강 및 승강 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Container loading and supporting device of ramen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끓인 라면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적재부로부터 투하 배출되는 용기 이외의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지지부의 구성을 전동식이 아닌 간단한 기계식 구조로 개량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 단가를 절감하고 전동식 구조에서 자주 발생되던 에러 현상을 해소한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끓인 라면 자동판매기(이하 '자판기'라고도 함)는 즉석에서 라면을 끓여 판매하는 자판기다.
도 1 및 도 2에는 일반적인 라면 자판기(10)의 구성이 도시된다.
종래의 라면 자판기(10)의 내부에는 스프와 함께 라면(31)이 들어있는 용기(30)가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용기적재부(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적재부(20)의 하부 양단에는 상기 용기(30)가 하나씩만 배출되도록 배출되는 용기(30) 이외에 상단에 위치한 용기(30)는 지지하여 주는 용기지지부(40)가 설치되고, 상기 용기적재부(20)의 하단에는 승하강 동작되며 최하부의 용기(30)를 지지하고 동시에 일정거리 하강하여 상기 용기(30)가 미 도시된 푸쉬 수단을 통해 불판(60) 상단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승하강부(5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라면 자판기(10)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라면의 주문이 입력되면 승하강부(50)는 아래로 하강한다.
이때 용기지지부(40)가 구동하여 상기 승하강부(50) 상단에 안착되어 있는 최하부의 용기(30)는 승하강부(50)를 따라 아래로 하강하나, 두 번째 최하부에 있던 용기(30)는 상기 용기지지부(40)의 작동에 의해 지지되어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게 된다.
상기 승하강부(50)가 하강하여 지정된 장소에 이르면 정지하고, 그 다음 미 도시된 푸쉬수단이 상기 승하강부(50) 상에 있는 용기(30)만을 밀어주어 상기 용기(50)가 불판부(60)에 안착되도록 하여준다.
상기 용기(30)가 상기 불판부(60)에 안착되면 뜨거운 물이 용기 내로 유입되고, 동시에 불판부(60)가 가열되어 용기(30) 내부의 라면(31)은 일정 시간 후 완전히 끓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라면조리가 완료되면 불판부(60)는 용기(30)와 함께 배출구(12)를 통해 커버(11)를 밀쳐내고 자판기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이와 같은 자판기 동작에 있어서, 상기 용기지지부(40)의 구성은 매우 중요한 데, 그 이유는 용기(30)가 배출될 때 정확하게 1개씩만 배출되도록 배출되는 용기 이외의 상단 용기(30)는 걸림 지지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의 용기지지구조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4028, 공개특허공보 10-2007-0039748,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0836,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4027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모두 모터를 이용하는 전동식구조로, 우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되고 조립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전동식 구조는 모터의 구동을 기계구조와 연결하기 위한 세팅과정이 번거롭고 자주 수정을 요하게 된다. 실제 전동식 용기지지부를 가지는 라면 자판기의 경우, 잦은 에러로 용기가 2중으로 투출되거나 걸림 현상이 자주 발생되는 등 소비자 클래임이 있어 왔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4028, 공개특허공보 10-2007-0039748,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0836,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402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적재부로부터 투하 배출되는 용기 이외의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지지부의 구성을 전동식이 아닌 간단한 기계식 구조로 개량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 단가를 절감하고 전동식 구조에서 자주 발생되던 에러 문제를 일시에 해소한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면이 들어 있는 용기가 순차적으로 적재되며, 하단 양 측면에는 상기 용기지지부의 걸림동작부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삽입 돌출되도록 절개공이 각각 형성되는 용기적재부;
상기 용기적재부의 하단에서 최하부의 용기(30)를 지지하고 동시에 승하강 동작되는 승하강부; 및
상기 용기적재부의 하단 양측면에 결합 구성되는 한 쌍의 용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지지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지렛대부의 동작에 의해 본체가 이동하여 선단부가 용기를 지지하도록 하여주는 걸림동작부로 구성되되,
상기 지렛대부는 상기 승하강부의 하강 및 승강 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는 ㄷ자 형태로 양단을 절곡하여 용기적재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단 양측에는 걸림동작부의 끼움부가 좌우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레일공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걸림동작부의 지렛대부를 회전 동작시키는 회전축이 고정 설치되고, 상단에는 탄성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동작부는 양단에 상기 프레임부의 레일공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고 선단부가 용기지지부의 절개홈으로 삽입 출몰되도록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의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에 일단이 결합되고 중앙의 축공에 상기 프레임부의 회전축이 삽입 결합되는 지렛대부와, 상기 본체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적재부로부터 투하 배출되는 용기 이외의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지지부의 구성을 전동식이 아닌 간단한 기계식 구조로 개량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 단가를 절감하고 전동식 구조에서 자주 발생되던 에러 문제를 해결한 특징을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라면 자동판매기의 외형도,
도 2는 일반적인 라면 자동판매기의 내부 주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지지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지지부의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지지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는,
용기(30)가 적재되는 용기적재부(110)와, 상기 용기적재부(110)의 하단에서 최하부의 용기(30)를 지지하고 동시에 승하강 동작되는 승하강부(120)와, 상기 용기적재부(110)의 하단 양측면에 결합 구성되는 한 쌍의 용기지지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적재부(110)는 라면(31)이 들어 있는 용기(30)가 순차적으로 적재되며, 하단 양 측면에는 상기 용기지지부(200)의 걸림동작부(220)의 선단부(F)가 내측으로 삽입 돌출되도록 절개공(11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용기지지부(200)는 프레임부(210)와, 상기 프레임부(210)에 결합되는 걸림동작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부(210)는 ㄷ자 형태로 양단을 절곡하여 결합부(212)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212)에 형성된 체결공(213)을 통해 용기적재부(110)의 측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210)의 상단 양측에는 걸림동작부(220)의 끼움부(222)가 좌우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레일공(21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걸림동작부(220)의 지렛대부(225)를 회전 동작시키는 회전축(214)이 고정 설치되고, 상단에는 탄성부재(216)의 일단이 고정되는 연결부(215)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동작부(220)는 양단에 상기 프레임부(210)의 레일공(21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222)가 돌출 형성되고 선단부(F)가 용기지지부(110)의 절개홈(111)으로 삽입 출몰되도록 구성되는 본체(221)와, 상기 본체(211)의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223)의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축(224)과, 상기 연결축(224)에 일단이 결합되고 중앙의 축공(226)에 상기 프레임부(210)의 회전축(214)이 삽입 결합되는 지렛대부(225)와, 상기 지렛대부(225)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공(227)에 관통 결합되는 터치봉(228)과, 상기 본체(221)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216)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부(22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용기지지부(200)는 도 4에서와 같이 초기 상태는 탄성부재(216)의 수축에 의해 걸림동작부(220)가 프레임부(210)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걸림동작부(220)의 본체(221) 선단부(F)는 프레임부(210)의 결합부(212) 면과 같은 위치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후술하겠지만 터치봉(228)이 있는 지렛대부(225) 부위가 승하강부(120)에 의해 눌려지면, 즉 지렛대부(25)를 하방으로 밀게 되면 회전축(214)을 중심으로 지렛대부(225)가 회전하여 타단인 연결축(224)을 통해 본체(22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22)는 양측의 끼움부(222)가 프레임부(210)의 레일공(211)에 안내되어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에서와 같이, 용기적재부(110)의 내부에는 라면 용기(30)가 순차적으로 적재된다.
이때 상기 용기적재부(110)의 하단에는 승하강부(120)가 위치하게 되어, 최하단의 용기(30a)는 상기 승하강부(12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적재부(110)의 하단 양측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용기지지부(200)는 초기 상태에서는 지렛대부(225)의 터치봉(228) 부위가 승하강부(120)의 간섭을 받지 않는 저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라면 끓이기 동작이 개시되면, 상기 승하강부(120)는 최하부의 용기(30a)를 불판부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하강 동작한다.
즉 상기 승하강부(120)가 하강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용기지지부(200)의 지렛대부(225)의 터치봉(228) 부위가 눌려진다.
따라서 상기 지렛대부(225)는 회전축(21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타단인 연결축(224)을 통해 본체(22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동작부(220)의 본체(221) 선단부(F)는 용기적재부(110)의 절개홈(111)으로 삽입되고, 상기 선단부(F)는 최하위 두번째 용기(30b)의 테두리부위를 걸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최하위 용기(30a)는 승하강부(120)에 안착된 상태로 하강하게 되며, 상기 승하강부(120)는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한 상태에서도 상기 지렛대부(225)를 터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하강부(120)가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하면, 안착된 용기(30a)를 미 도시된 푸쉬수단을 통해 불판부로 이동하고, 조리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부(120)로부터 최하위 용기(30a)가 이탈되면 상기 승하강부(120)는 다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부(120)는 상승하면서 일정 시간동안 지렛대부(225)의 터치봉(228) 부위를 눌러준 후, 다시 도 6과 같이 상기 지렛대부(225)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동작부(220)의 본체(221)는 탄성부재(216)의 수축에 의해 프레임부(210) 측으로 당겨지면서 선단부(F)가 원위치되며, 두 번째 최하위 용기(30)가 승하강부(120) 상부에 안착되게 된다.
이와 같은 간단한 동작의 반복을 통하여 용기(30)를 배출 및 지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적재부로부터 투하 배출되는 용기 이외의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지지부의 구성을 전동식이 아닌 간단한 기계식 구조로 개량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 단가를 절감하고 전동식 구조에서 자주 발생되던 에러 문제를 일시에 해소한 특징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10; 용기적재부 111: 절개부
120: 승하강부 200: 용기지지부
210: 프레임부 211: 레일공
212: 결합부 213: 체결공
214: 회전축 215,229: 연결부
220: 걸림동작부 221: 본체
222: 끼움부 223: 브라켓
224: 연결축 225: 지렛대부
226: 축공 227: 결합공
228: 터치봉

Claims (3)

  1. 라면(31)이 들어 있는 용기(30)가 순차적으로 적재되며, 하단 양 측면에는 용기지지부(200)의 걸림동작부(220)의 선단부(F)가 내측으로 삽입 돌출되도록 절개공(111)이 각각 형성되는 용기적재부(110);
    상기 용기적재부(110)의 하단에서 최하부의 용기(30)를 지지하고 동시에 승하강 동작되는 승하강부(120); 및
    상기 용기적재부(110)의 하단 양측면에 결합 구성되는 한 쌍의 용기지지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지지부(200)는 프레임부(210)와, 상기 프레임부(210)에 결합되고 지렛대부(225)의 동작에 의해 본체(221)가 이동하여 선단부(F)가 용기(30)를 지지하도록 하여주는 걸림동작부(220)로 구성되되,
    상기 지렛대부(225)는 상기 승하강부(120)의 하강 및 승강 동작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프레임부(210)는 ㄷ자 형태로 양단을 절곡하여 용기적재부(11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212)를 형성하고, 상단 양측에는 걸림동작부(220)의 끼움부(222)가 좌우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레일공(21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걸림동작부(220)의 지렛대부(225)를 회전 동작시키는 회전축(214)이 고정 설치되고, 상단에는 탄성부재(216)의 일단이 고정되는 연결부(215)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동작부(220)는 양단에 상기 프레임부(210)의 레일공(21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222)가 돌출 형성되고 선단부(F)가 용기지지부(110)의 절개홈(111)으로 삽입 출몰되도록 구성되는 본체(221)와, 상기 본체(221)의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223)의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축(224)과, 상기 연결축(224)에 일단이 결합되고 중앙의 축공(226)에 상기 프레임부(210)의 회전축(214)이 삽입 결합되는 지렛대부(225)와, 상기 본체(221)의 후단에 형성되어 탄성부재(216)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부(22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53547A 2018-05-10 2018-05-10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 KR101920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47A KR101920382B1 (ko) 2018-05-10 2018-05-10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47A KR101920382B1 (ko) 2018-05-10 2018-05-10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382B1 true KR101920382B1 (ko) 2019-02-08

Family

ID=6536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547A KR101920382B1 (ko) 2018-05-10 2018-05-10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38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6625B1 (en) Cooking stove having a drive assembly for driving a food processing assembly in a pan
KR101920382B1 (ko)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적재 및 지지 장치
JP2010104499A (ja) 加熱装置
KR101510871B1 (ko)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KR101051976B1 (ko) 라면조리 판매기의 용기 이송장치
CN111588263A (zh) 蒸汽加热式烹饪器具
US20230157476A1 (en) Kitchen appliance
CN109892959B (zh) 炒菜机及平台升降机构
CN108852036B (zh) 一种手动升降机构
CN209436945U (zh) 可操纵固液分离式内托篮的煮食器具
CN209863317U (zh) 一种可倾斜烹饪的烹饪器具
JP6497838B2 (ja) フライヤ
CN215175292U (zh) 烹饪器具
CN212591673U (zh) 锅体及烹饪器具
CN111743391A (zh) 一种烹饪设备
KR102347051B1 (ko) 가열 조리기
CN105832186B (zh) 智能煎烤器
CN219249875U (zh) 一种低糖电饭煲的驱动装置
CN211511444U (zh) 一种升降火锅
JP2001061668A (ja) 焼物調理器の支持台昇降装置
CN216907587U (zh) 具有温度检测功能的烹饪装置以及电炒炉
CN219331296U (zh) 烹饪器具
CN218355865U (zh) 一种用于厨师机的抬头机构及厨师机
CN109077611A (zh) 液体加热容器
CN217488441U (zh) 一种食物处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