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051B1 -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051B1
KR102347051B1 KR1020150097872A KR20150097872A KR102347051B1 KR 102347051 B1 KR102347051 B1 KR 102347051B1 KR 1020150097872 A KR1020150097872 A KR 1020150097872A KR 20150097872 A KR20150097872 A KR 20150097872A KR 102347051 B1 KR102347051 B1 KR 102347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oking
closing door
heating cooker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750A (ko
Inventor
전세일
이대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7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0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Abstract

가열 조리기가 개시된다. 개시되 가열 조리기는 본체;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고, 서로 높이가 다른 복수의 조리위치를 포함하는 조리실; 조리실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또는 조리실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설정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며, 개폐도어는 개방위치로부터 복수의 조리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승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 조리기{Heating cooker}
본 발명은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도어를 승강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 조리기는 각종 음식물을 내부에 마련된 조리실에 수납하여 데우거나 익히도록 고안된 오븐, 전자렌지 등과 같은 조리장치이다. 최근 가열 조리기는 사이드 스윙 도어 오픈방식(Side Swing Door Open Type)뿐만 아니라 드롭다운 도어 오픈방식(Drop Down Door Open Type)으로도 많이 제작된다.
드롭다운 도어 오픈방식의 가열 조리기는 도어 개방시 도어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가 사이드 스윙 도어 오픈방식에 비해 비교적 짧아 주위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개방된 도어가 보조 선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우선 두꺼운 단열장갑을 착용하여 한 손으로 공간이 협소한 조리실로부터 음식물이 담겨있는 조리용기를 조리실 외측으로 끌어당겨 도어 위에 위치시킨 후 두 손으로 안전하게 옮길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가열조리기는 조리실에 높이를 달리하여 선반을 배치할 수 있도록 여러 층의 선반걸이부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음식물을 조리용기에 담아 조리실의 바닥면에 놓고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반을 조리실의 원하는 높이의 선반걸이부에 지지되도록 한 후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선반 위에 놓고 조리할 수 있다.
그런데 가열 조리기는 도어를 열어 조리실을 개방하는 경우 도어는 조리실의 바닥면과 약간의 높이차이가 형성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리실의 바닥면에 위치한 조리용기를 도어 측으로 끌어당기는 경우, 조리용기는 상술한 단차로 인해 조리실에서 도어로 이동할 때 도어의 내측면 상에 낙하하게 된다. 이때, 조리용기의 낙하 지점이 주로 도어 글래스의 일부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 낙하에 따른 충격으로 글래스에 크래크가 발생하거나 글래스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가열조리기는 도어와 조리실의 선반걸이부에 지지 되는 선반 사이에 상당한 크기의 높이차이가 형성된다.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는 상당히 무거워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들어서 도어에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보조 선반 역할을 하는 도어에 안정적으로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개선이 요구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폐도어와 조리실에 마련된 복수의 조리위치 사이에서 조리용기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를 승강하도록 하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고, 서로 높이가 다른 복수의 조리위치를 포함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또는 상기 조리실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설정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조리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승하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선택된 조리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 또는 선택되지 않은 상기 복수의 조리위치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개폐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개폐도어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전면에 상하 연장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관통공에 일부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회전축을 구비한 모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피니언; 힌지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과 기어 연결되는 래크; 및 상기 래크가 상하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측면을 통하여 상기 힌지부의 일측과 상기 래크의 측면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측면에 장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축을 구비한 모터;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승강하는 무한궤도; 상기 무한궤도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상기 무한궤도를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풀리; 상기 무한궤도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무한궤도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종동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본체의 전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복수의 조리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승강하도록 상기 개폐도어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실은 적어도 하나의 선반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조리위치는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걸이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걸이부는 조리실의 내측벽에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폐쇄위치 및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승강장치;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및 상기 조리실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장치에 연결되는 개폐도어;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조리실에 조리용기가 위치할 수 있는 복수의 조리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 중 하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 상기 개폐도어를 승강시키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개폐도어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일부가 삽입되어 승강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실은 상기 복수의 조리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는 내측면이 상기 선반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가열 조리기의 조리실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가열 조리기의 승강장치의 위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로서, 승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된 승강장치에서 가이드부가 생략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도시된 승강장치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개폐도어의 개방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조리실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조리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개폐도어의 전달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조리실의 최상단 선반걸이부에 대응하는 조리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개폐도어의 전달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에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로서, 승강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된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된 승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가열 조리기(1)의 조리실(110)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가열 조리기(1)의 승강장치(300)의 위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는 본체(100), 개폐도어(200) 및 승강장치(3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사각통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측에 조리실(110)이 형성되며 후술하게 될 개폐도어(200)를 승강하게 하는 승강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0)는 후술하게 될 개폐도어(200)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260)가 삽입되어 본체(100)에 체결되도록 한 쌍의 걸림부홈(160)이 후술하게 될 본체(100)의 전면플레이트(17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에 본체(100)는 다수의 조작 버튼이 구비되는 입력부 즉, 컨트롤 패널과 상기 조리실(110)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기 위한 마그네트론,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 등이 실장되는 전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 등이 실장되는 전장실은 가열 조리기(1)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도시하지 않는다.
조리실(110)은 전면에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0)의 전면에는 전면플레이트(170)가 형성되며, 전면플레이트(170)의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는 조리실(110)의 입구가 될 수 있다. 조리실(110)은 하측에 바닥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10)의 바닥면(150)은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D, 도 8b 참조)가 놓인진 채 가열되어 음식물이 조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리실(110)은 선반(10, 도 9b 참조)을 지지할 수 있도록 양측벽에 선반걸이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선반걸이부(130)는 상하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는 복수의 선반걸이로 이루질 수 있다. 복수의 선반걸이는 하측에서 순차적으로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1 선반걸이(131), 제2 선반걸이(132), 제3 선반걸이(133) 및 제4 선반걸이(1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선반걸이부(13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일한 선반걸이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선반걸이는 본체(100)의 전,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리브형상(131 내지 134)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반(10)을 단수개 또는 복수개를 사용하여 조리실(11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승강장치(300)는 본체(100)의 전면플레이트(170)의 후측에 배치되며, 전면플레이트(170)의 전측에 배치되는 개폐도어(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100)의 전면플레이트(170)의 양측에는 승강장치(300)가 관통하여 개폐도어(200)에 연결되도록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관통홈(18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승강장치(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개폐도어(200)는 중앙부분에 개구(230)가 형성되는 도어프레임(220)과 도어프레임(220)의 개구(230)에 장착되는 강화 글래스(24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200)의 강화 글래스(240)는 도어프레임(220)의 개구(230)에 장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50) 전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개폐도어(200)는 드롭다운 도어 오픈방식(Drop Down Door Open Type)으로 조리실(110)을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본체(100) 즉, 승강장치(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도어(200)는 조리실(110)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및 조리실(110)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폐쇄위치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을 폐쇄하는 위치를 의미하며, 개방위치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을 개방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개폐도어(200)는 내측면(250)이 개방위치에서 조리실(110)의 바닥면(150)과 조리실(110)의 선반걸이부(130)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개폐도어(200)는 일측에 개폐도어(200)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210)는 예를 들면 상승모드버튼(211), 개방위치설정버튼(212) 및 하강모드버튼(213)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기타 다른 기능을 갖는 복수의 버튼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210)가 개폐도어(200)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작부(210)는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일 실시형태의 승강장치(300)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로서, 승강장치(300)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도시된 승강장치(300)에서 가이드부(320)가 생략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 도시된 승강장치(300)의 가이드부(3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승강장치(300)는 본체(100)의 전면플레이트(170)의 후측에 배치되어 전면플레이트(170)에 형성되는 관통홈(180)에 일부 삽입된 채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홈(18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플레이트(17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이 마련됨에 따라, 승강장치(300)도 관통홈(180)에 대응하도록 전면플레이트(17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승강장치(300)는 힌지부(310) 및 구동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310)는 전면플레이트(170)에 형성되는 관통홈(180)에 일부 삽입된 채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310)는 일측(311)에 후술하게 될 래크(330)의 일측면(330b)이 고정 핀(3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313)에 개폐도어(20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연결축(3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부(310)는 상하이동하는 래크(330)과 함께 상하이동하면서 개폐도어(200)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311)는 회전축(312)을 구비한 구동모터(343)과 회전축(312)에 연결되는 피니언(341)로 이루어지는 피니언부(340), 힌지부(310)의 일측에 연결되고, 피니언(341)과 기어 연결되는 래크(330) 및 래크(330)가 상하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343)는 본체(100)에 형성되는 조리실(110)의 외측면(120)에 고정되며 회전축(312)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모터(343)는 구비된 회전축(312)이 회전하도록 회전축(31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피니언(341)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343)에 구비된 회전축(312)에 연결될 수 있다. 피니언(341)은 연결되는 회전축(312)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며 외주면에 래크(330)에 기어 연결되도록 기어치(341a)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12)을 통하여 구동모터(34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는 피니언(341)은 서로 치합되는 래크(330)을 상하 직선운동하게 할 수 있다.
래크(330)은 상하 길게 연장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전면플레이트(170)의 후측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래크(330)은 전면플레이트(170)를 마주보는 면과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에 피니언(341)과 치합되도록 기어치(33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크(330)은 피니언(341)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이때, 래크(330)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부(320)에 의해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래크(330)은 일측면(330b)에 힌지부(310)가 고정 핀(3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힌지부(310)와 래크(330)은 별개의 구성으로 도면에 표현되고 이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힌지부(310)와 래크(3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부(320)는 래크(330)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도록 상하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전면플레이트(170)의 후측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20)는 제1 가이드부(320), 제2 가이드부(320) 및 제3 가이드부(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0)는 래크(33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래크(330)의 기어치가 형성된 면을 마주하는 제1 래크지지부(321), 제1 래크지지부(321)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어 전면플레이트(17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고정부(321a, 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20)는 제1 래크지지부(321)와 한 쌍의 제1 고정부(321a, 321b)에 의해 장홈(18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부(310)의 일측(311)과 래크(330)의 일측면(330b)이 장홈(18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320)는 후술하게 될 제3 가이드부(320)와 함께 래크(330)의 타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가이드부(320)의 상측에 제3 가이드부(32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320)는 래크(330)의 기어치가 형성된 면을 마주하는 제2 래크지지부(323c), 제2 래크지지부(323c)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어 전면플레이트(17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고정부(323a, 3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320)는 전술한 제2 가이드부(320)와 함께 래크(330)의 타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부(320)의 하측에 제2 가이드부(32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320)는 래크(330)의 기어치가 형성된 면을 마주하는 제3 래크지지부(324c), 제3 래크지지부(324c)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되어 전면플레이트(17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3 고정부(324a, 32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320)와 제3 가이드부(320)가 이격됨에 따라 피니언(341)이 배치될 수 있는 피니언수용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니언(341)은 피니언수용부(325)에 수용되어 제2 가이드부(320)와 제3 가이드부(320)에 의해 간섭되지 않은 채 래크(330)과 치합될 수 있다. 이때, 피니언(341)이 제1 가이드부(320) 측으로 이동하여 래크(330)의 기어치가 형성되는 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부(320)의 제1 래크지지부(321c)에 오목부(321d)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지지부(321c, 323c, 324c)는 래크(330)의 기어치가 형성된 면을 본체(100)의 전방으로 지지함에 따라 래크(330)가 전면플레이트(170)로부터 본체(100)의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승강장치(300)에 의해 상승한 개폐도어(200)가 내측면(250)에 놓여진 조리용기(D)의 하중에 의해 다시 하강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면, 힌지부와 본체(100)를 록킹하는 록킹부재(미도시)가 본체(100) 또는 힌지부(3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개폐도어(200)의 승강동작을 도 7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개폐도어(200)의 개방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개폐도어(200)는 최초 걸림부(260)가 본체(100)의 걸림부홈(160)에 체결된 채 조리실(110)을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설정된다. 이후, 개폐도어(200)는 사용자가 개폐도어(200)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본체(100)의 걸림부홈(160)으로부터 걸림부(260)가 체결해제된다. 이에 따라, 개폐도어(200)는 화살표를 따라 폐쇄위치에서 조리실(110)을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개방위치에 설정된 개폐도어(200)는 내측면(25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5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50)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50)과의 높이차이가 형성된다.
도 8a 및 도 8b는 조리실(110)의 바닥면(150)에 대응하는 조리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개폐도어(200)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개폐도어(200)는 사용자가 조작부(210)의 조작에 의해 상승동작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부(310)가 관통홈(180)을 따라 상승하게 됨에 따라 힌지부(310)에 연결되는 개폐도어(200)가 상승동작을 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311)의 구동모터(343)가 피니언(341)에 동력을 전달하면 피니언(341)이 회전동작에 의해 래크(330)을 상승시킴에 따라 래크(330)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힌지부(310)가 상승동작을 하게된다.
여기서, 조리위치는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D)가 조리실(110)에 배치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조리실(110)에는 바닥면(150)과 선반걸이부(130)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조리위치는 복수가 될 수 있다.
한편, 조리위치에 대응하는 개폐도어(200)의 위치는 이하 전달위치라 한다. 이러한 전달위치는 조리위치의 높이와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50)의 높이가 대략 동일하여 조리용기(D)가 조리위치와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50) 사이를 단차에 의한 간섭 없이 이동할 수 있는 개폐도어(200)의 위치를 의미한다.
개폐도어(200)는 도 8a 및 도 8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5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50)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이때, 조리위치는 조리용기(D)가 조리실(110)의 바닥면(150) 상에 배치되는 제1 조리위치(C1)이다. 전달위치는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50)의 높이가 조리용기(D)의 바닥면(150)의 높이와 동일하게 배치되는 개폐도어(200)의 제1 전달위치(T1)이다.
도 9a 및 도 9b는 조리실(110)의 최상단 선반걸이(134)에 대응하는 조리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개폐도어(200)의 전달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조리용기(D)가 조리실(110)의 바닥면(15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4 선반걸이(134)의 선반지지면(134a)에 놓인 선반(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개폐도어(200)는 사용자가 조작부(210)의 조작에 의해 제1 전달위치(T1)로부터 계속해서 상승동작을 이어갈 수 있다. 개폐도어(200)는 계속되는 상승동작에 의해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50)이 제4 선반걸이(134)의 선반지지면(134a)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이때 조리위치는 조리용기(D)가 제4 선반걸이(134)의 선반지지면(134a)에 놓인 선반(10)의 상면(11)에 배치되는 제5 조리위치(C5)이다. 전달위치는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50)이 제4 선반걸이(134)의 선반지지면(134a)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는 제5 전달위치(T5)이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D)는 제5 전달위치(T5)와 제5 조리위치(C5)사이에서 단차에 의한 간섭 없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제2 내지 제4 조리위치는 제5 조리위치를 설명하는 원리와 동일한 원리로 설명될 수 있으며, 제2 내지 제4 전달위치 역시 마찬가지로 제5 전달위치를 설명하는 원리와 동일한 원리로 설명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다른 실시형태의 승강장치(300)를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일 실시형태의 승강장치(4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도 3에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로서, 승강장치(400)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된 승강장치(4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된 승강장치(400)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형태의 승강장치(400)는 전면플레이트(170)의 후측에 배치되며 힌지부(310) 및 구동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힌지부(410)는 후술하게 될 무한궤도(420)의 외주면에 연결핀(4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힌지부(410)는 연결되는 개폐도어(200)의 자중에 의해 전면플레이트(170)의 후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4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돌기(415)의 일측면이 각각 전면플레이트(170)의 외측면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힌지부(410)는 관통홈(180)에 일부 삽입된 채 상하이동할 수 있으며 개폐도어(200)의 자중에 의해 전면플레이트(170)의 후측으로 밀리지 않은 채 개폐도어(200)를 안정적으로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411)는 구동축(442)을 구비한 모터(443)와 무한궤도(420) 일단부에 연결되어 구동축(442)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무한궤도(420)를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풀리(440)를 포함하는 구동풀리부(440), 힌지부(410)와 연결되어 힌지부(410)를 승강하는 무한궤도(420), 무한궤도(42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무한궤도(4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종동풀리(431)와 지지축(432)을 포함하는 종동풀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443)는 전면플레이트(170)의 후측에 배치되어 조리실(110)의 외측면(120)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모터(443)는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축(442)을 회전시켜 동력을 구동풀리(441)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풀리(441)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후술하게 될 무한궤도(420)의 내주면과 기어 결합되도록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치형(44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풀리(441)는 구동축(442)을 통하여 구동모터(44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후술하게 될 무한궤도(4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무한궤도(420)는 구동풀리(441)와 후술하게 될 종동풀리(431)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주면에 구동풀리(441)의 외주면과 종동풀리(431)의 외주면에 기어 결합되도록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치형(420a)이 형성될 수 있다.
종동풀리부(430)는 종동풀리(431) 및 지지축(432)을 포함할 수 있다. 종동풀리(431)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후술하게 될 무한궤도(420)의 내주면과 기어 결합되도록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치형(431a)이 형성될 수 있다. 종동풀리(431)는 일측에 지지축(432)이 연결될 수 있다. 지지축(432)은 전면플레이트(17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절곡부(171)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동풀리(431)는 무한궤도(420)와 기어결합되어 무한궤도(420)를 안정적으로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의 사용법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열 조리기(1)에 의한 조리가 완료 시 사용자는 개폐도어(200)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본체(100)의 걸림부홈(160)으로부터 걸림부(260)가 체결해제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개폐도어(200)가 화살표를 따라 폐쇄위치에서 조리실(110)을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하도록 한다. 이때, 조리용기(D)는 예를 들면, 제4 선반걸이(134)의 선반지지면(134a)에 놓인 선반(10)의 상면(11)에 배치되는 제5 조리위치(C5)에 설정될 수 있다.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50)과 제4 선반걸이(134)의 선반지지면(134a)에 놓인 선반(10)의 상면(11)과는 상당한 높이차이가 형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조작부(210)의 상승모드버튼(211)을 눌러 개폐도어(200)를 개방위치로부터 상승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조작부(210)의 상승모드버튼(211)을 한 번 누를 때마다 개방위치와 제5 전달위치(T5) 사이에서 개폐도어(200)를 한 단계씩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폐도어(200)를 개방위치에서 제5 전달위치(T5)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승모드버튼(211)을 5번 눌러서 개폐도어(200)를 제5 전달위치(T5)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승모드버튼(211)을 5번 누르면, 개방위치에 있던 개폐도어(200)가 상승하게 되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50)과 제4 선반걸이(134)의 선반지지면(134a)에 놓인 선반(10)의 상면(11)이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조작부(210)의 조작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두꺼운 단열장갑을 두 손에 착용하고 한 손으로 제5 조리위치에 설정된 조리용기(D)를 끌어당겨 제5 전달위치에 설정되는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5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두꺼운 단열장갑을 착용한 두 손으로 조리용기(D)를 파지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 또는 힌지부(310)에 설치되는 록킹부재(미도시)에 의해 개폐도어(200)가 조리용기(D)의 자중에 의해 밀려서 하강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개폐도어(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작부(210)의 개방위치설정버튼(212)을 한 번 누르는 동작에 의해 개폐도어(200)를 제5 전달위치(T5)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으나 상승모드버튼(211)를 작동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하강모드버튼(123)을 한 번 누를 때마다 제5 전달위치(T5)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개폐도어(200)를 한 단계씩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개방위치에 설정된 개폐도어(200)를 파지한 채 폐쇄위치로 회동시켜 조리실을 폐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가열 조리기 100: 본체
110: 조리실 130: 선반걸이부
150: 조리실의 바닥면 180: 관통홈
200: 개폐도어 250: 개폐도어의 내측면
300, 400: 승강장치

Claims (16)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고, 서로 높이가 다른 복수의 조리위치를 포함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또는 상기 조리실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설정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조리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전달위치로 상승하고,
    상기 조리실은 적어도 하나의 선반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위치는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제1 전달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걸이부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달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제1 전달 위치에서 내측면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달 위치에서 내측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걸이부에 놓인 선반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선택된 조리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 또는 선택되지 않은 상기 복수의 조리위치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개폐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개폐도어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에 상하 연장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관통공에 일부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을 따라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축을 구비한 모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피니언;
    힌지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과 기어 연결되는 래크; 및
    상기 래크가 상하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측면을 통하여 상기 힌지부의 일측과 상기 래크의 측면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측면에 장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축을 구비한 모터;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승강하는 무한궤도;
    상기 무한궤도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상기 무한궤도를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풀리;
    상기 무한궤도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무한궤도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종동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본체의 전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복수의 조리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승강하도록 상기 개폐도어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걸이부는 조리실의 내측벽에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폐쇄위치 및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3.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승강장치;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및 상기 조리실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장치에 연결되는 개폐도어;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조리실에 조리용기가 위치할 수 있는 복수의 조리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전달위치 중 하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 상기 개폐도어를 승강시키고,
    상기 조리실은 적어도 하나의 선반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위치는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제1 전달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걸이부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달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제1 전달 위치에서 내측면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달 위치에서 내측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걸이부에 놓인 선반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개폐도어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일부가 삽입되어 승강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097872A 2015-07-09 2015-07-09 가열 조리기 KR102347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872A KR102347051B1 (ko) 2015-07-09 2015-07-09 가열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872A KR102347051B1 (ko) 2015-07-09 2015-07-09 가열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750A KR20170006750A (ko) 2017-01-18
KR102347051B1 true KR102347051B1 (ko) 2022-01-05

Family

ID=5799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872A KR102347051B1 (ko) 2015-07-09 2015-07-09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0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6164A (zh) * 2022-04-09 2022-07-22 江苏星徽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铰链用的翻转滑动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862B1 (ko) 1997-06-27 1999-08-02 윤종용 전자렌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363B1 (ko) * 2009-07-15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293235B1 (ko) * 2011-09-27 2013-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960820B1 (ko) * 2012-10-08 2019-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862B1 (ko) 1997-06-27 1999-08-02 윤종용 전자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750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3016B2 (en) Bottom-loading cooking appliance
ES2390413T3 (es) Aparato de cocción
AU2006317793B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ovens
US8327837B2 (en) Cooking range with rotable rack
KR102070777B1 (ko) 오븐 레인지
CN101336354B (zh) 对烤箱所作改进
CA2759917C (en) Home appliance with improved rack system
KR102347051B1 (ko) 가열 조리기
KR20190120881A (ko)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KR101683085B1 (ko)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CN209090960U (zh) 用于小烤箱的烹饪腔的开口的覆盖元件
US11105515B2 (en) Cooking apparatus
KR102103721B1 (ko) 조리기기
KR100846317B1 (ko) 그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KR101925390B1 (ko) 가변형 식탁
KR20110006893A (ko) 조리기기
CN213097542U (zh) 一种升降机构及牛排机
KR102169100B1 (ko) 구이 테이블
CN104720618B (zh) 电烤箱
EP4176779B1 (en) Worktop oven for cooking foods with two levels
CN215127566U (zh) 多功能料理机
KR102416471B1 (ko) 튀김 열효율을 향상시킨 전기 튀김기
CN112484096A (zh) 一种新型微波炉
CN212591673U (zh) 锅体及烹饪器具
KR101744981B1 (ko) 가스오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