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248B1 -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248B1
KR101920248B1 KR1020180071635A KR20180071635A KR101920248B1 KR 101920248 B1 KR101920248 B1 KR 101920248B1 KR 1020180071635 A KR1020180071635 A KR 1020180071635A KR 20180071635 A KR20180071635 A KR 20180071635A KR 101920248 B1 KR101920248 B1 KR 101920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ortex
vortex plate
fuel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복
Original Assignee
박수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복 filed Critical 박수복
Priority to KR1020180071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having means to impart whirling motion to th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와류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도록 내측으로 다수의 와류플레이트가 형성된 관체;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관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마련하여 흡기구 또는 배기구에 연료 절감기를 설치하여 와류에 의해 유속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엔진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배기구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배출시켜 배기구의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Fuel Saving Device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신속하게 배출시켜 연료 절감 및 매연가스를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연료절감기는 연료로 사용되는 가솔린이나 디젤유의 입자를 활성화시켜, 연료를 엔진의 연소실로 분사하였을 때 공기중의 산소와 원활히 혼합되어 완전연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을 높이고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연료를 사용함에 있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연료를 절감하고자 하는 기대는 매우 자연스런운 일이며, 그동안 매우 다양한 방법 등이 시행되어 온 것 또한 사실이다. 에너지의 불완전연소로 인한 연소효율 저하 및 그로 인해 발생되는 다량의 공해물질 배출은 환경오염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다.
상기의 액체연료와 기체연료는 정유과정을 거쳐 생산된 후 차량에 주입되기까지 최소 25~30일 이상의 이송시간이 소요되며, 그 동안 슬러지와 같은 불순물이 형성되고 정지 상태에서 연료의 결합구조는 덩어리를 이루거나 가화합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어 그 자체로 연소 시에 불완전연소를 일으켜 다량의 공해물질 배출과 기계적 성능에 비해 다량의 연료를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의 연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감에 따라, 차량의 연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된 연료절감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연료절감기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연료공급관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연료절감기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유로에 연결되도록 본체(10)의 양단에 구비된 유입연결관(11) 및 배출연결관(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료공급관(1)의 중간부를 자르고 상기 유입연결관(11)과 배출연결관(12)을 잘려진 연료공급관(1)의 단부에 각각 끼운 후 클램프밴드(미도시)를 이용하여 연료공급관(1)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므로써, 연료절감기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료절감기는 차량의 연료필터와 엔진 사이에 주로 연결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근에 제작되는 차량의 경우, 상기 연료공급관(1)의 단부에 상기 연료필터(20)에 구비된 니플(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30)를 장착하여, 상기 커넥터(30)를 이용하여 연료공급관(1)을 연료필터(20)에 연결하고 있다.
이때, 상기 니플(21)에는 상기 커넥터(30)가 고정되는 걸림턱(21a)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30)를 니플(21)에 끼우면 커넥터(30)가 상기 걸림턱(21a)에 걸려 커넥터(30)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연결방법은 상기 연료필터(20) 이외에 차량의 연료공급에 관여하는 모든 종류의 연료공급유닛에 연료공급관(1) 또는 배기구 등을 연결할 때 동일하게 활용된다.
이와 같은 연료절감기는 연료공급관 또는 배기관 등에 연결되어 연료의 절감 또는 배기가스의 배출을 저감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유로를 지나는 공기의 유속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연료절감기 외에도 공기의 유속을 빠르게 하는 팬 등을 부가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차량용 연료절감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차량용 연료절감기는 유입포트와 배출포트가 형성된 하우징과 둘레면에 나선방향의 유도홈이 형성되며 서로 다른 지름으로 구성되어 서로 동축상으로 끼워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배출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연료 유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연료 유도관의 둘레면에는 상기 유도홈과 교차되는 연결홈이 일체로 더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은 상기 연료 유도관의 길이방향 양단 중에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단부로부터 연료 유도관의 길이방향 중간부까지 연장된 유입단측 연결홈과 연료 유도관의 중간부부터 연료가 배출되는 배출단까지 연장된 배출단측 연결홈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단측 연결홈과 배출단측 연결홈은 상호 일치하지 않도록 연료유도관의 둘레면에 분산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를 흐르는 연료가 상기 유도홈과 연결홈으로 분산되어 연료의 유속과 유체저항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차량의 연료절감 및 추진력 증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차량의 연료절감 및 추진력 증강장치는 공기흡입구가 확개되어 형성된 전단부에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후단부의 내주면에 유입된 공기를 와류화시키는 나선홈이 형성된 공기흡입관과 전단부가 공기흡입관의 후단과 연설되고, 내부에 설치된 터빈축의 선후단에 흡입팬터빈과 배기팬터빈을 각각 교차되게 설치된다.
상기 흡입팬터빈과 배기팬터빈 사이에 압축터빈과 배기터빈이 중공축으로 연결되어 터빈축과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후단부에 격판으로 구획된 분출구가 형성된 추진본체와 전단부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엔진의 배기관과 연결되고, 중간부는 공기흡입관의 후단부 내부로 관통된 후 추진본체를 통과하여 양방으로 분기되면서 추진본체의 외부로 관통된다.
또 후단부는 추진본체의 압축터빈과 배기터빈의 사이 내부로 관통되어 설치되는 배출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관의 전단부에 단순배출관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의 전단부와 단순배출관의 전단부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밸브가 각각 설치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7-0020953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8-006573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1-000409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입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신속하게 배출시켜 연료 절감 및 매연가스를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 내측에 와류가 형성되는 와류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신속하게 공급 또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는 와류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도록 내측으로 다수의 와류플레이트가 형성된 관체;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관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체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파이프; 유속이 빨라지도록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와류플레이트; 상기 파이프가 연결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파이프의 양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확장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류플레이트는 와류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도록 상기 관체의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됨과 함께 상기 관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홈부는 직경이 다른 연결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확장홈부는 삼각형, 원형, 마름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의 제조방법은 (a) 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b)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 와류플레이트가 형성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 (c) 절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와류플레이트를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 구부리는 제1 절곡단계; (d) 상기 제1 절곡단계에서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 구부려진 상기 와류플레이트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구부리는 제2 절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흡기구 또는 배기구에 연료 절감기를 설치하여 와류에 의해 유속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엔진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배기구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배출시켜 배기구의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확장홈부를 형성하여 직경이 다른 연결관에도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와류플레이트의 와류에 의해 유체의 이동을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연료절감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연료절감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는 와류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도록 내측으로 다수의 와류플레이트(52)가 형성된 관체(50), 상기 관체(50)를 통과하는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관체(50)의 외면에 설치되는 하우징(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는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을 빠르게 하여 엔진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함은 물론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신속하게 배출되게 하여 촉매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시키도록 한다.
이에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공급하여 줌으로써,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한 매연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는 연결관(미도시) 사이에 연결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관체(50)와 상기 관체(50)의 외측을 감싸는 하우징(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체(50)는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체(50)는 흡기구 또는 배기구(미도시)에 연결시키고자 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관체(50)에는 유체의 유속(또는 흐름)을 빠르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와류플레이트(52)가 형성된다. 상기 와류플레이트(52)는 파이프(51)의 일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형성된다.
즉, 와류플레이트(52)는 파이프(51)를 외측에서 소정의 크기 및 형상으로 절단하여 이를 구부려 줌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류플레이트(52)는 파이프(51)의 내측으로 구부러져 유체가 빠르게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와류플레이트(52)는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파이프(51)를 대략 반달 형상으로 절단하여 구부리게 되는데, 파이프(51)를 절단하여 구부리게 됨에 따라 와류플레이트(52)는 소정의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와류플레이트(52)는 절단된 파이프(51)를 파이프(51)의 길이 방향으로 구부려 줌으로써, 흡기구 또는 배기구에 유입된 유체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아울러 파이프(51)에는 와류플레이트(52)가 절단 형성됨에 따라 와류플레이트(52)의 크기 및 형상으로 타공구멍(53)이 형성된다.
한편 와류플레이트(52)는 파이프(51)에 일체로 연결 형성된다. 즉, 와류플레이트(52)의 타공 시 와류플레이트(52)의 일부는 절단되지 않는 연결부(54)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와류플레이트(52)는 파이프(51)의 일부를 절단하지 않고서 파이프(51)에 일체로 연결되어 와류플레이트(52)가 파이프(51)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되게 절단된다.
이는 와류플레이트(52)를 파이프(51)에 별도로 용접 또는 접합시키지 않고서 파이프(51)와 일체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부(54)는 와류플레이트(52)의 일측에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54)는 와류플레이트(52)가 파이프(51)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켜 유체의 유속에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한다.
한편 와류플레이트(52)는 파이프(51)의 외면에 각각 사분 방향에 형성되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와류플레이트(52)는 2개, 3개, 5개, 6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와류플레이트(52)의 개수는 파이프(51)의 직경에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이동되는 유체의 유속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이프(51)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유체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고자 하는 경우 4개 이상의 와류플레이트(5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유체의 이동 속도를 서서히 증가시키고자 하는 2개 또는 3개의 와류플레이트(5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체(50)의 양단에는 흡기구 또는 배기구 등의 연결관(미도시)에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확장홈부(55)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홈부(55)는 외측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홈부(55)는 직경이 다른 연결관(미도시)과 결합 시 파이프(51)의 직경을 확장시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확장홈부(55)는 파이프(51)의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56)과 상기 경사면(56) 사이에 연결되는 수평면(57)으로 형성된다.
이는 확장홈부(55)의 경사면(56)을 외경을 확장시켜 줌으로써 직경이 다른 연결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70)은 파이프(5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70)은 파이프(51)를 따라 이동되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파이프(51)의 외면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70)은 길이가 신축되는 벨로우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70)의 양단에는 연결관과 연결된 상태에서 관체(50)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양단에 밴드결합부(71)가 형성된다.
즉, 밴드결합부(70)는 파이프(51)의 외면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거나 파이프(51)의 직경보다 크거나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결합부(70)는 연결관의 직경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에는 유체의 유속이 증가되도록 파이프(51)의 내측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와류플레이트(52)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와류플레이트(52)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파이프(51)의 양단에는 각각 확장홈부(55)가 형성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확장홈부(55)는 파이프(51)의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입구(58)가 형성된다.
이러한 입구(58)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입구(58)의 타측에는 파이프(51)의 직경이 보다 확장되도록 원형노치부(59)가 형성된다.
상기 원형노치부(59)는 파이프(51)를 원형으로 절단하여 줌으로써, 파이프(51) 직경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파이프(51)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즉, 입구(58)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파이프(51) 직경의 확장으로 인하여 이격된 간격보다 더 크게 이격되고, 이때 원형노치부(59)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입구(58)의 간격이 이격되더라도 파이프(51)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원형노치부(59)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확장홈부(55)에 비하여 파이프(51)의 파손이나 손상을 보다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는 유체의 유속이 증가되도록 파이프(51)의 내측에 와류를 형성시키는 와류플레이트(52)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와류플레이트(52)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파이프(51)의 양단에는 각각 확장홈부(55)가 형성된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확장홈부(55)는 파이프(51)의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대략 마름모 형상의 마름모형노치부(60)가 형성된다.
상기 마름모형노치부(60)는 파이프(51)의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 마름모 형상의 연결부는 소정의 라운드 형상으로 연결 형성된다.
이와 같은 마름모형노치부(60)는 원형노치부(59)와 같이 파이프(51)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경우 파이프(51)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는 엔진의 흡기구 또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 등에 설치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관체(50)와 하우징(70)을 형성한다.
상기 관체(5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파이프(51)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프(51)에는 유체의 이동에 따라 유체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와류플레이트(52)를 형성한다.
이러한 와류플레이트(52)는 파이프(51)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이를 절곡시킴으로써 형성한다. 즉, 파이프(51)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한 다음 절단된 부위를 파이프(51)의 내측으로 구부려 줌으로써, 와류플레이트(52)를 형성한다.
상기 와류플레이트(52)는 일정 직경으로 형성된 파이프(51)를 절단하여 형섬하므로, 상기 와류플레이트(52)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와류를 형성하여 줌은 물론 유체와의 접촉 시 유체의 흐름을 곡면, 즉 유선형으로 전환시켜 주어 유체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와류플레이트(52)는 파이프(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구부려 줌으로써, 유체와의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이프(51)에는 절단된 와류플레이트(52)에 의해 와류플레이트(52)와 동일한 타공구멍(53)이 형성되며, 상기 와류플레이트(52)는 연결부(54)에 의해 파이프(51)에 일체로 연결된다.
아울러 파이프(51)의 양단에는 각각 확장홈부(55)를 형성하며, 제1 실시 예서와 같이, 상기 확장홈부(55)는 양측의 경사면(56)과 수평면(57)에 의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확장홈부(55)는 파이프(51)의 끝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및 이격된 입구(58)와 상기 입구(58)와 연결되는 원형노치부(59)를 형성한다.
또한 제3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확장홈부(55)는 파이프(51)의 끝단으로부터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마름모형노치부(6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확장홈부(55)는 파이프(51)와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진 연결관(미도시)과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확장홈부(55)는 파이프(51)에 비하여 직경이 큰 연결관 또는 직경이 작은 연결관과 연결되도록 경사면(56) 또는 입구(58) 및 마름호형노치부(60)를 확장 또는 축소시켜 연결관과 긴밀하게 연결되게 한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절감기의 제조방법은 (a) 파이프(51)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S10); (b) 상기 파이프(51)의 내측으로 와류플레이트(52)가 형성되도록 상기 파이프(51)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S20); (c) 절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와류플레이트(52)를 상기 파이프(51)의 내측으로 구부리는 제1 절곡단계(S30); (d) 상기 제1 절곡단계에서 상기 파이프(51)의 내측으로 구부려진 상기 와류플레이트(52)가 상기 파이프(51)의 길이 방향으로 구부리는 제2 절곡단계(S40);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 절감기의 제조방법은 소정의 길이로 파이프(51)를 절단한다(S10).
즉, 중공으로 이루어진 파이프(51)를 적정한 길이로 절단한다.
이러한 파이프(51)의 내측으로 와류플레이트(52)를 형성하기 위하여 파이프(51)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한다(S20).
도 3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와류플레이트(52)는 대략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파이프(51) 내에서 와류의 형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와류플레이트(52)는 파이프(51)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폭으로 연결부(54)가 형성되도록 절단한다. 상기 연결부(54)는 와류플레이트(52)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에도 와류플레이트(52)가 파이프(5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상기 절단된 와류플레이트(52)는 파이프(51)의 내측으로 1차 절곡한다(S3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류플레이트(52)는 파이프(51)로부터 절단된 다음 파이프(51)의 길이 방향, 즉 Z축을 기준으로 파이프(51)의 내측으로 힘을 가하여 와류플레이트(52)를 절곡시킨다(S30).
이렇게 1차 절곡된 와류플레이트(52)는 Y축을 기준으로 힘을 가하여 와류플레이트(52)를 2차 절곡시킨다(S40).
이와 같이 와류플레이트(52)는 일정 직경을 갖는 파이프(51)를 절단함으로써,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의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류플레이트(52)를 파이프(51)의 내측 방향으로 구부림과 함께 파이프(51)의 길이 방향으로 구부려 절곡시킨다.
이에 따라 와류플레이트(52)는 파이프(51) 내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와류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와류에 의해 유체의 유속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연료 절감기가 엔진의 흡기구에 설치되면,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연료 절감기가 배기구에 설치되면, 배기가스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50: 관체 51: 파이프
52: 와류플레이트 53: 타공구멍
54: 연결부 55: 확장홈부
56: 경사면 57: 수평면
58: 입구 59: 원형노치부
60: 마름모형노치부
70: 하우징부재 71: 밴드결합부

Claims (5)

  1. 와류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도록 내측으로 다수의 와류플레이트가 형성된 관체;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관체의 외면에 설치되되, 그 양단에는 연결관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관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밴드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관체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파이프;
    유속이 빨라지도록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와류플레이트;
    상기 파이프가 연결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파이프의 양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확장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류플레이트는 와류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도록 상기 관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크기 및 형상으로 절단하되, 반달형상으로 절단하여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을 이루고,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절곡하여 설치됨과 함께 상기 관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에 와류플레이트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타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타공구멍 형성 시 와류플레이트의 일부는 파이프에서 절단되지 않는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유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와류플레이트의 개수는 가변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 절감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홈부는 직경이 다른 연결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관체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확장홈부는 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 사이에 연결되는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외경을 확장시켜 파이프에 직경이 다른 연결관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지거나,
    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타측에는 파이프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원형 형상의 원형노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노치부의 외경을 확장시켜 파이프에 직경이 다른 연결관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지거나,
    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의 타측에 파이프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마름모 형상의 마름모형노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마름모형노치부의 외경을 확장시켜 파이프에 직경이 다른 연결관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 절감기.
  5. (a) 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b)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 와류플레이트가 형성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반달 형상을 포함하는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되, 와류플레이트는 파이프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폭으로 연결부가 형성되도록 절단하는 단계;
    (c) 절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와류플레이트를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 구부리되,
    파이프의 길이방향인 Z축을 기준으로 파이프의 내측으로 힘을 가하여 와류플레이트를 절곡하는 제1 절곡단계;
    (d) 상기 제1 절곡단계에서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 구부려진 상기 와류플레이트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구부리되, 와류플레이트를 파이프의 내측 방향으로 구부림과 함께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구부려 절곡시키는 제2 절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 절감기의 제조방법.
KR1020180071635A 2018-06-21 2018-06-21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920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635A KR101920248B1 (ko) 2018-06-21 2018-06-21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635A KR101920248B1 (ko) 2018-06-21 2018-06-21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248B1 true KR101920248B1 (ko) 2019-02-08

Family

ID=6536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635A KR101920248B1 (ko) 2018-06-21 2018-06-21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2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21834A1 (en) * 2016-05-06 2017-11-09 Northwest Pipe Company Pipe ram joi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21834A1 (en) * 2016-05-06 2017-11-09 Northwest Pipe Company Pipe ram joi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82983B (zh) 天然气发动机用扰流式集成混合器
CN105378382A (zh) 具有双文丘里流动路径的文丘里装置
GB2410296A (en) Speed increaser for engine intake air
KR101314900B1 (ko) 흡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흡기계통의 다중유로 흡기 덕트 장치
CN102562243A (zh) 用于内燃机的排气喷射器
US20190101084A1 (en) Air pipe for an intake trac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5143516A (ja) 排ガス還流装置及び該排ガス還流装置を備えるエンジンシステム
CN102062022B (zh) 废气再循环系统
CA2580594C (en) Fuel manifold with reduced losses
KR101920248B1 (ko) 차량용 연료 절감기 및 그 제조방법
US20060092758A1 (en) Fluid mixing venturi
JP2002004961A (ja) 気体混合系
EP3341615A1 (en) Restrictors using the venturi effect
TWI579454B (zh) 空氣增力器
KR200423824Y1 (ko) 내연기관의 연료절감용 구경변환베인
RU150274U1 (ru) Система выпуска в двигателе (варианты)
JPH10103620A (ja) 燃焼室を作動するためのバーナ
JPH11210563A (ja) エンジンのegr装置
JP2007205192A (ja)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KR101900906B1 (ko)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RU150646U1 (ru) Система выпуска в двигателе (варианты)
TWM534696U (zh) 空氣增力器
KR20070020953A (ko) 차량용 연료절감기
JP2018025191A (ja) 吸気口消音器
KR102055547B1 (ko) 엔진출력 증폭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