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906B1 -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906B1
KR101900906B1 KR1020180086655A KR20180086655A KR101900906B1 KR 101900906 B1 KR101900906 B1 KR 101900906B1 KR 1020180086655 A KR1020180086655 A KR 1020180086655A KR 20180086655 A KR20180086655 A KR 20180086655A KR 101900906 B1 KR101900906 B1 KR 101900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flow path
mai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준현
Original Assignee
남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7208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0090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남준현 filed Critical 남준현
Priority to KR1020180086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내연기관의 흡기관에 설치되면서 공기의 유로를 이루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보다 작은 관경을 갖는 관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과 동심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상기 메인관의 중심에 내측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메인관과의 사이에 외측유로를 형성하는 내측관; 및 상기 내측관과 상기 메인관의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관과 상기 내측관을 연결하고,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유로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외측유로로 이동하는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날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관과 메인관의 사이에 형성된 와류날개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와 내측유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혼합되면서 이동하므로 공기가 원활하게 내연기관으로 유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AIR FLOW IMPROVEMENT APPARATUS FOR INTAKE PIPE OF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연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켜 내연기관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엔진 성능 및 연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하여 연소하면서 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즉, 자동차는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각종 연료 공급장치를 통과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됨과 동시에 엔진이 흡입, 압축, 폭발, 배기행정을 반복하면서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동차가 동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자동차 엔진의 출력은 엔진의 회전수와 배기량 및 실린더 속의 혼합기체 압력에 비례하기 때문에, 배기량과 엔진의 회전수가 정해진 상태에서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혼합기체의 압력을 높여야 하며, 혼합기체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공기흡입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러한 공기의 공급은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된다. 즉, 차량 외부의 공기가 에어클리너 하우징으로 유입되며, 상기 에어클리너 하우징에 연결된 흡입관을 통해 흡기 매니폴드로 이동하여 엔진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자동차의 엔진은 연료와 공기의 완전 혼합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공기의 유입량의 부족으로 인한 분사연료의 불완전 연소가 발생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상기와 같은 불완전 연소는 연료의 낭비는 물론 매연 발생을 초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대기오염 및 자동차 엔진의 수명 단축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57293호"와 같은 자동차 엔진의 출력증대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엔진의 출력증대장치는 공기가 통체를 통과 할 시, 통체의 외주연에 다수로 형성된 회전날개에 의해 형성되는 원심력에 의해서만 와류가 형성되기 때문에 흡기되는 공기가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끊어지면서 공급되는 원인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소음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고, 외주연에 형성된 회전날개에 의한 와류와 상기 통체의 내주를 통과 하는 공기의 혼합으로는 충분한 와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연료의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져 연료의 절감효과가 미미한 수준에 불과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회전날개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가 가이드되면서 유동박리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원활한 와류가 발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은 통체의 관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572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흡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를 외측유로의 와류날개를 통해 가이드하는 동시에 일부 공기는 내측유로로 유입시킴으로써 와류가 발생하는 바깥쪽의 공기와 내측유로의 공기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흐름 개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와류날개의 입구측 및 출구측 단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공기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공기의 유동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흐름 개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유로 및 내측유로의 단면적을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유입된 공기의 유속이 증가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흐름 개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연기관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흐름 개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흐름 개선장치는,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내연기관의 흡기관에 설치되면서 공기의 유로를 이루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보다 작은 관경을 갖는 관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과 동심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상기 메인관의 중심에 내측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메인관과의 사이에 외측유로를 형성하는 내측관; 및 상기 내측관과 상기 메인관의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관과 상기 내측관을 연결하고,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유로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외측유로로 이동하는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와류날개는, 원호형의 단면을 이루면서 상기 내측관과 메인관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외측유로로 유입되는 공기를 원호형의 표면을 통해 안내하면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날개본체; 상기 날개본체의 양단부 중 상기 외측유로의 입구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날개본체의 두께가 상기 외측유로의 입구측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사단부; 및 상기 날개본체의 양단부 중 상기 외측유로의 출구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날개본체의 일면에 복수로 돌출되어 상기 날개본체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를 간섭하는 배출단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와류날개는, 상기 경사단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면서 상기 경사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외측유로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단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관은, 상기 외측유로의 단면적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관은, 상기 내측유로의 단면적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관 및 상기 내측관의 양단부 중 출구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출구측 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어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흐름 개선장치에 의하면, 내측관과 메인관의 사이에 형성된 와류날개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와 내측유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혼합되면서 이동하므로 공기가 원활하게 내연기관으로 유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와류날개를 구성하는 날개본체의 입구측 및 출구측 단부에 각각 경사단부돌기 및 배출단부돌기가 돌출됨에 따라 와류가 더욱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됨과 아울러 유속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유동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날개본체의 입구측 단부에 경사단부가 형성되어 유로의 폭이 점점 좁아지므로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면서 유동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유로 및 내측유로의 단면적이 배출구 쪽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면서 공기의 흐름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관 및 내측관의 출구측 단부에 역류방지홈이 형성됨에 따라 흡기관에서 역류하는 공기가 수용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의 와류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의 와류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는 내연기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관에 설치되어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00), 내측관(200) 및 와류날개(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관(100)은 내연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메인관(100)은 에어크리너와 내연기관을 연결하는 흡기관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흡기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관(100)은 흡기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흡기관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관(100)은 금속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내측관(200)은 전술한 메인관(100)의 유로를 내측유로 및 외측유로로 분할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내측관(200)은 메인관(100)보다 작은 관경을 갖는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메인관(100)과 동심을 이루면서 설치됨으로써 메인관(100)과의 사이에 외측유로를 형성하고, 메인관(100)의 중심측에 내측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내측유로는 내측관(2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공기의 유로를 의미하고, 외측유로는 내측관(200)의 외주면과 메인관(100)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의 유로를 의미한다.
이러한 내측관(200)은 후술되는 와류날개(300)를 통해 메인관(100)과 연결되면서 메인관(100)의 중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관(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0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입구측 단부가 메인관(100)의 입구측 단부보다 후방에 배치되면서 출구측 단부가 메인관(100)의 출구측 단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공기는 메인관(100)의 입구로 유입된 후, 내측관(200)에 의한 내측유로 및 외측유로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와류날개(300)는 내측관(200)과 메인관(100)의 사이에 설치되어 내측관(200)과 메인관(100)을 연결함과 아울러, 외측유로로 이동하는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흡기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도모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와류날개(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본체(310), 경사단부(320) 및 배출단부돌기(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날개본체(310)는 외측유로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면서 회전시켜 와류를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날개본체(310)는 원호형의 단면을 이루면서 내측관(200)과 메인관(100)의 사이에 고정되며, 복수로 구성되어 외측유로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원호형의 표면을 통해 공기를 안내함으로써 외측유로의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경사단부(320)는 날개본체(310)의 양단부 중 입구측 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경사단부(320)는 날개본체(310)의 두께가 외측유로의 입구측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유로는 경사단부(320)에 의해 외측유로의 단면적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으므로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해 유속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경사단부(320)에는 표면을 따라 경사단부돌기(340)가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 경사단부돌기(340)는 경사단부(320)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룰 수 있으며, 복수를 이루면서 돌출형성되어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단부돌기(340)는 공기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공기를 날개본체(310)의 표면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으며,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유동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단부돌기(330)는 외측유로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날개본체(31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를 간섭함으로써 원활한 와류발생을 도모하는 동시에 공기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켜서 유동박리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배출단부돌기(330)는 날개본체(310)의 양단부 중 출구측 단부의 일면에 복수로 돌출형성됨으로써 날개본체(310)의 표면으로 안내되는 공기에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메인관(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유로의 단면적이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관(100)은 내주면의 폭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외측유로의 단면적이 점점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메인관(100)은 외측유로의 단면적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으므로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해 유속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메인관(100)의 입구측 단부에는 출구측에서 입구측으로 갈수록 관경이 넓어지는 확관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외측유로는 확관부(150)에 의해 출구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좁아짐에 따라 공기의 유속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내측관(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유로의 단면적이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관(200)의 입구측 단부에는 출구측에서 입구측으로 갈수록 관경이 넓어지는 확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내측유로는 내측관(200)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므로 공기의 유속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방지홈(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역류방지홈(400)은 흡기관의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역류방지홈(400)은 메인관(100)의 양단부 중 출구측 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홈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흡기관에서 역류하는 공기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관에서 역류하는 공기는 역류방지홈(400)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역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역류방지홈(400)은 내측관(200)의 양단부 중 출구측 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에 의하면, 내측관(200)과 메인관(100)의 사이에 형성된 와류날개(300)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와 내측유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혼합되면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원활하게 내연기관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와류날개(300)를 구성하는 날개본체(310)의 입구측 및 출구측 단부에 각각 경사단부돌기(340) 및 배출단부돌기(330)가 돌출됨에 따라 와류가 더욱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고,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됨과 아울러 유속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유동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메인관
200 : 내측관
300 : 와류날개
310 : 날개본체
320 : 경사단부
330 : 배출단부돌기
340 : 경사단부돌기
400 : 역류방지홈

Claims (5)

  1.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내연기관의 흡기관에 설치되면서 공기의 유로를 이루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보다 작은 관경을 갖는 관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과 동심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상기 메인관의 중심에 내측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메인관과의 사이에 외측유로를 형성하는 내측관; 및
    상기 내측관과 상기 메인관의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관과 상기 내측관을 연결하고,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유로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외측유로로 이동하는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와류날개는,
    원호형의 단면을 이루면서 상기 내측관과 메인관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외측유로로 유입되는 공기를 원호형의 표면을 통해 안내하면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날개본체;
    상기 날개본체의 양단부 중 상기 외측유로의 입구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날개본체의 두께가 상기 외측유로의 입구측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사단부; 및
    상기 날개본체의 양단부 중 상기 외측유로의 출구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날개본체의 일면에 복수로 돌출되어 상기 날개본체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를 간섭하는 배출단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관 및 상기 내측관의 양단부 중 출구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출구측 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되어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홈을 더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날개는,
    상기 경사단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면서 상기 경사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외측유로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단부돌기를 더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은,
    상기 외측유로의 단면적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은,
    상기 내측유로의 단면적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5. 삭제
KR1020180086655A 2018-07-25 2018-07-25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KR101900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55A KR101900906B1 (ko) 2018-07-25 2018-07-25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55A KR101900906B1 (ko) 2018-07-25 2018-07-25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906B1 true KR101900906B1 (ko) 2018-09-21

Family

ID=6372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655A KR101900906B1 (ko) 2018-07-25 2018-07-25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664B1 (ko) * 2019-01-07 2019-02-20 남준현 내연기관의 와류 발생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842B1 (ko) * 2014-04-14 2015-12-23 (주)에이씨씨기술 엔진 출력 증폭장치
KR101771384B1 (ko) * 2017-05-25 2017-08-24 남준현 내연기관용 와류 발생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842B1 (ko) * 2014-04-14 2015-12-23 (주)에이씨씨기술 엔진 출력 증폭장치
KR101771384B1 (ko) * 2017-05-25 2017-08-24 남준현 내연기관용 와류 발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664B1 (ko) * 2019-01-07 2019-02-20 남준현 내연기관의 와류 발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384B1 (ko) 내연기관용 와류 발생기
JPS6021518Y2 (ja) 内燃機関の冷却装置用フアン
US7028663B1 (en) Fluid swirling device
JP4830836B2 (ja) ジェット噴流排気ノズル及びジェットエンジン
WO2005073544A1 (en) Gaseous fuel mixer and method of operation
EP3183441B1 (en) Valvular-conduit manifold
KR101900906B1 (ko)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JPWO2016031017A1 (ja) 膨張タービン及びターボチャージャ
JPS5813734B2 (ja) エンジンの排気デイフユ−ザ
JP2018503022A (ja) 内燃機関の、特に自動車の、吸気管用の空気管
JP4632076B2 (ja) 排気タービン過給機
KR200246432Y1 (ko) 내연기관용 흡기관의 와류 발생장치
KR101623423B1 (ko) 내연기관용 와류기
KR102137023B1 (ko) 내연기관용 와류 형성 장치
KR102056811B1 (ko) 흡·배기용 램제트 발생기
KR101885754B1 (ko) 흡·배기용 램제트 발생기
KR101920790B1 (ko) 내연기관용 와류기
KR20150118463A (ko) 공기 흐름 개선 증폭장치
KR101922373B1 (ko) 엔진배관 유속 증대장치
KR970059488A (ko) 재생펌프
JP2019203441A (ja) 排気系部品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
KR101887000B1 (ko) 차량용 와류장치
JP2018025191A (ja) 吸気口消音器
JP7251093B2 (ja) 遠心圧縮機
JP4402503B2 (ja) 風力機械のディフューザおよびディフュー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363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1107

Effective date: 2019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