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000B1 - 차량용 와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000B1
KR101887000B1 KR1020180063655A KR20180063655A KR101887000B1 KR 101887000 B1 KR101887000 B1 KR 101887000B1 KR 1020180063655 A KR1020180063655 A KR 1020180063655A KR 20180063655 A KR20180063655 A KR 20180063655A KR 101887000 B1 KR101887000 B1 KR 101887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vortex
wing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기남
Original Assignee
문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기남 filed Critical 문기남
Priority to KR1020180063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000B1/ko
Priority to PCT/KR2019/006486 priority patent/WO20192312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using spirally or helically shaped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와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계통 및 배기계통의 내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와류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관 형상의 케이싱 및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임의방향성을 가지며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하여 차량의 엔진으로 이동시키고, 엔진 내부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회전시켜 배출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와류장치{AIR SWALLING UNIT FOR VEHICLE WITH IMPROVED EFFICIENCY}
본 발명은 차량용 와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흡기계통 및 배기계통의 내부에 장착되어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시키도록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하고, 와류발생부에 경사부 및 요홈부를 형성하여 공기의 회전력을 증대시킴에 따라 엔진 내부의 연소를 향상시키며, 연소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여 매연을 감소시키고 연비를 향상시키는 차량용 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주요 교통수단으로서 생활의 변화와 함께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는 구동방식 및 엔진(동력원) 기타 자동차의 용도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며,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엔진에 따라 자동차를 분류하면 내연엔진 자동차, 전기자동차, 증기자동차 등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내연엔진 자동차는 가솔린, 디이젤, LP가스, 가스터빈, 제트엔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는 하나의 기계구조체가 아니라 각 구성부분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과학기술의 집합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 현가장치, 차체 프레임, 조향장치 등의 각종 구동장치로 이루어지며, 특히 엔진은 공급되는 연료를 흡입, 압축, 팽창(폭발), 배기행정을 통해 자동차 주행을 위한 동력을 얻게 된다.
이중에서도 자동차의 흡기계통(air intake system)은 자동차 엔진의 계속적인 작동을 위해서 실린더 내로 전달되는 혼합기(혼합 기체)의 흡입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흡기장치는 실린더에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제거하는 공기청정기(air cleaner) 및 실린더에 홉합기를 분배하는 흡기다기관(intake manifold)을 포함하는 흡기 덕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료의 완전연소 및 연소에 따른 매연발생의 문제 등에 관련되는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흡기장치는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흡입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종래의 흡기장치는 이러한 공기의 흡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함으로 인해 다량의 매연을 발생시킴으로써 환경 및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매연에는 매립자 이상물질(이하 'PPM'으로 표기), 카본, 질소화합물, 흑연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매연 중 PM을 살펴보면 PM은 자동차의 엔진 중에서도 디젤엔진과 관계가 깊은 유해물질로서, 흑연, SOF, 황산염 등을 포함하고 있다. 흑연은 디젤스모그라 부르는 것으로 자동차 연료를 다량으로 발진시킬시 자동차의 분사노즐에서 많이 발생하는 매연이고, SOF는 주로 엔진오일(engine oil)이 실린더로 들어가 연소후 발생되며, 황산염은 연료에 포함되는 황산에 의해 생성되는 매연이다.
또한, 카본(carbon)은 탄소물질로서 약 800℃ 정도의 자기청정온도에서 연소된 후 배출되어 자동차의 엔진 등에 남게 된다. 이러한 카본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으로 제거할 경우 기관의 손실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카본 역시 연료의 불완전한 연소 때문에 발생되는 물질이다. 그리고 질소화합물, 흑연 등은 산 성비를 유발시키고 인체의 호흡기 질환에 악영향을 미치는 매연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9970호(2011.07.12. 공개)인 “차량용 와류장치”를 살펴보면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축지지관, 축지지관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지지체, 끝 부분에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된 하부는 축지지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그리고 상부의 표면에 결합 망과 하나 이상의 결함 홈이 형성된 회전축 및 회전축의 상부가 삽입되는 익편관과 익편관의 둘레 표면을 따라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둘레 표면의 외부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익편관의 외주면에 회전익이 형성되고, 익편관이 회전하면서 공기를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익편관이 차지하는 면적 및 회전익의 두께 등으로 인하여 이동하는 공기가 마찰되어 와류의 형성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99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용 흡기계통 및 배기계통의 내부에 장착되어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시키도록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하고, 와류발생부에 경사부 및 요홈부를 형성하여 공기의 회전력을 증대시킴에 따라 엔진 내부의 연소를 향상시키며, 연소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여 매연을 감소시키고 연비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와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와류발생부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더 포함하여 공기의 저항을 줄이고 회전력을 증대 시키도록 하여 공기를 압축한 형태로 엔진 배부로 이동시키는 차량용 와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용 엔진의 흡기계통 및 배기계통의 내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와류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관 형상의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임의방향성을 가지며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하여 차량의 엔진으로 이동시키고, 엔진 내부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회전시켜 배출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와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원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 반구형상의 제1 날개부 및 상기 제1 날개부의 타단에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며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제2 날개부가 형성되어 'S'형상을 이루는 날개부, 상기 제1 날개부 및 상기 제2 날개부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일직선을 이루는 수평부 및 상기 날개부의 일면이 요와 홈 형상이 서로 이웃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원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홈부는 상기 날개부에 의해 회전되는 공기의 회전력을 유지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원의 중심을 지나는 일직선상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의 각도는 45도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날개부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요홈부에 대응하여 돌출부 및 오목부로 형성된 요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날개부에 의해 회전하여 이동하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는 케이싱을 소정의 길이로 형성하더라도 공기의 회전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제작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약하여 경제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는 케이싱의 내부에 와류발생부를 설치하고, 와류발생부는 'S'형상의 날개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임의방향성을 가지며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하여 차량의 엔진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엔진 내부의 연소를 향상시키고, 배기계통의 내부에도 설치하여 엔진 내부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회전시켜 배출시키도록 하여 매연을 감소시키고 연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는 날개부에 경사부 및 요흠부를 형성하여,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고, 회전력을 유지시킴으로써, 공기의 압축성이 증가하여 엔진 내부의 연소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는 요철부를 더 포함하여 케이싱 및 날개부가 서로 인접하여 결합되는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공기의 회전력이 유지되고, 공기의 압축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의 공기가 이동하는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요 와류장치의 날개부의 형상의 변형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응용에 따라 와류발생부에 형성된 요철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요철부에 의해 미세한 와류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공기’라는 용어는 외부의 공기가 차량의 에어클리너를 통과하여 압축된 형태로 엔진 내부로 유입되는 것뿐만 아니라, 엔진 내부에서 연소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지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의 공기가 이동하는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요 와류장치의 날개부의 형상의 변형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10)는 케이싱(100) 및 와류발생부(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10)는 차량용 흡기계통 및 배기계통에 장착되는 차량용 와류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관 형상의 케이싱(100) 및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임의방향성을 가지며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하여 차량의 엔진으로 이동시키고, 엔진 내부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회전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와류발생부(2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싱(100)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관 형상으로,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케이싱(100)은 차량용 흡기계통 및 배기계통인 머플러와 연결되는 내부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케이싱(100)은 차종의 흡기계통의 직경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약 3cm 내지 5cm 정도의 길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케이싱(100)은 전술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거나 길게 형성되면, 흡기계통 및 배기계통에서 이동하는 공기의 회전력이 감소되어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즉, 짧게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10)를 설치하지 않는 것과 동일하여 공기를 회전시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길게 형성되는 경우, 공기가 이동하면서 마찰되는 면적이 커지게 되어 회전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10)는 케이싱(100)을 소정의 길이로 형성시켜 흡기계통 및 배기계통의 내부에 설치하여 배기가스의 원할 한 배출을 유도함으로써, 엔진의 과부하를 줄이고 흡입, 배기의 원할 한 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와류발생부(200)는 케이싱(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임의방향성을 가지며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하여 차량의 엔진으로 이동시키고, 엔진 내부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회전시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와류발생부(200)는 케이싱(100)이 설치된 흡기계통의 내부에 설치하여 별도의 전력 공급 없이 자동차의 주행 속도의 가감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을 압축하여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공기의 와류 형성 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와류발생부(200)는 배기계통의 내부에 설치하여 엔진 내부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회전시켜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 시킴으로써, 엔진 내부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와류발생부(200)는 날개부(210), 수평부(220) 및 요홈부(23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날개부(210)는 케이싱(100)의 내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원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 반구형상의 제1 날개부(210a) 및 제1 날개부(210a)의 타단에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며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제2 날개부(210b)가 형성되어 'S'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날개부(2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의 내주면에 ‘형상으로 직선 또는 임의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하여 일측의 공기 및 타측의 공기가 회전되는 회전력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면서도 회전력을 증대시켜 빠른 속도로 와류를 형성하게 한다.
이러한, 날개부(210)는 판형상의 부재를 케이싱(100)의 내부에 'S'형상으로 설치됨으로써, 판형상의 부재가 이동하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얇은 박판형상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날개부(210)는 방향에서 볼 때, 'S'자의 형상이 대칭의 형태로 제작가능하다. 이는 차량 엔진의 성능 또는 종류에 따라 공기의 회전 이동을 상승시키기 위해서이다.
제1 날개부(210a)는 케이싱(100)의 내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원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날개부(210a)는 케이싱(10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일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되, 공기가 케이싱(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에서 차량의 엔진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공기가 제1 날개부(210a)의 일측 및 케이싱(100)의 내주면이 결합되는 부분에 마찰되더라도 공기의 회전을 도와주어 와류를 형성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날개부(210b)는 제1 날개부(210a)의 일단에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며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케이싱(100)의 내주면 타측에 결합된다. 또한, 제2 날개부(210b)는 원호가 제1 날개부(210a)의 원호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날개부(210)가 'S'형상을 이루게 한다.
한편, 날개부(210)는 원의 중심을 지나는 일직선상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211)를 형성한다.
경사부(211)는 케이싱(100)의 원의 중심으로부터 원의 테두리 방향으로 날개부(210)를 경사지게 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임의방향의 공기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경사부(211)는 판형상의 부재를 경사지게 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더욱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경사부(211)는 원의 중심을 지나는 동일선상을 기준으로 제1 날개부(210a) 및 제2 날개부(210b)가 각각 지름의 외측방향으로 눕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부(211)의 각도는 45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경사부(211)의 각도가 45도 이상으로 형성되면, 케이싱(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을 막는 칸막이 역할을 하게 되어 공기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사부(211)는 경사지는 각도가 45도 이하로 제작되되, 5도 내지 35도 사이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평부(220)는 제1 날개부(210a) 및 제2 날개부(210b)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일직선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러한 수평부(220)는 케이싱(100)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 중앙부분의 공기와 마찰되는 부분으로, 공기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직선 형상으로 수평 또는 수직을 이루게 한다.
일례로, 관의 중심부를 지나는 공기는 공기저항을 최대로 받는 부분이다. 이러한 공기의 공기저항을 최소로 받도록 수평부(220)를 형성하는 것이다.
요홈부(230)는 날개부(210)의 일면이 요와 홈 형상이 서로 이웃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원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즉, 요홈부(230)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되, 반구의 일단에 연결되는 이웃하는 반구의 원호가 서로 다른 외측방향으로 향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요홈부(230)는 반구형상의 골과 산이 반복하여 형성되되, 원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퍼지는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요홈부(23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상 뿐만 아니라, 삼각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다리꼴 모양 등 그 도형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요홈부(230)는 날개부(210)에 의해 회전되는 공기의 회전력을 유지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와류발생부(200)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어 흡기 계열의 관의 형상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고장 및 파손 시 분리가 간편하여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류장치(1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부(230)의 형상이 제외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날개부(210)는 민무늬 형상의 판부재를 'S'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공기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공기의 이동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응용에 따른 요철부가 형성된 와류발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라 요철부(2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응용에 따라 와류발생부에 형성된 요철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요철부에 의해 미세한 와류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7을 참조하면, 와류발생부(200)는 요철부(240)를 더 포함한다.
요철부(240)는 날개부(210)의 선단에 형성된 요홈부(230)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선단부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 케이싱(100)의 일측으로 공기가 유입된 후, 차량의 엔진으로 이동되는 방향을 지시한다. 즉, 케이싱(100)의 타측 부분을 선단부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설명하면, 요철부(240)는 날개부(210)에 형성된 요홈부(230)의 선단에 위치하여 돌출부 및 오목부가 교차로 형성된다.
즉, 요철부(240)는 날개부(210)에 의해 회전하여 이동하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공기가 케이싱(100)의 타측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켜, 회전력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차량용 와류장치
100 : 케이싱
200 : 와류발생부
210 : 날개부
210a : 제1 날개부
210b : 제2 날개부
211 : 경사부
220 : 수평부
230 : 요홈부
240 : 요철부

Claims (4)

  1. 차량용 엔진의 흡기계통 및 배기계통의 내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와류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관 형상의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임의방향성을 가지며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하여 차량의 엔진으로 이동시키고, 엔진 내부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회전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원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 반구형상의 제1 날개부 및 상기 제1 날개부의 타단에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며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제2 날개부가 형성되어 'S'형상을 이루는 날개부;
    상기 제1 날개부 및 상기 제2 날개부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일직선을 이루는 수평부; 및
    상기 날개부의 일면이 요와 홈 형상이 서로 이웃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원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는
    상기 요홈부는 상기 날개부에 의해 회전되는 공기의 회전력을 유지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류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원의 중심을 지나는 일직선상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의 각도는 45도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날개부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요홈부에 대응하여 돌출부 및 오목부로 형성된 요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날개부에 의해 회전하여 이동하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류장치.
KR1020180063655A 2018-06-01 2018-06-01 차량용 와류장치 KR101887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655A KR101887000B1 (ko) 2018-06-01 2018-06-01 차량용 와류장치
PCT/KR2019/006486 WO2019231248A1 (ko) 2018-06-01 2019-05-30 차량용 와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655A KR101887000B1 (ko) 2018-06-01 2018-06-01 차량용 와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000B1 true KR101887000B1 (ko) 2018-08-08

Family

ID=6323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655A KR101887000B1 (ko) 2018-06-01 2018-06-01 차량용 와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7000B1 (ko)
WO (1) WO20192312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253B1 (ko) * 2005-01-28 2007-10-05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내수소취화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스프링용 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9970A (ko) 2010-01-04 2011-07-12 김정환 차량용 와류장치
KR20140003239A (ko) * 2012-06-29 2014-01-09 진영국 자동차 엔진의 연료 소비 효율 향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238A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차량용 배기가스 배출장치
KR20010025656A (ko) * 2001-01-15 2001-04-06 지정현 자동차 흡기의 고속와류장치
KR101365892B1 (ko) * 2012-11-10 2014-02-21 손계동 차량용 흡기계통의 흡기효율향상 흡기 덕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9970A (ko) 2010-01-04 2011-07-12 김정환 차량용 와류장치
KR20140003239A (ko) * 2012-06-29 2014-01-09 진영국 자동차 엔진의 연료 소비 효율 향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253B1 (ko) * 2005-01-28 2007-10-05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내수소취화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스프링용 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1248A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384B1 (ko) 내연기관용 와류 발생기
US7028663B1 (en) Fluid swirling device
CN102725056B (zh) 用于排气后处理设备的混合系统
JP5179568B2 (ja) 排ガスターボチャージャを具えた内燃機関
AU2003237869B2 (en) Fluid swirl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2673001C (en) Jet flow discharge nozzle and jet engine
JP5887049B2 (ja) タービン・エンジン用の排気プレナム部
KR101578840B1 (ko) 내연기관의 연소효율 향상장치
JPWO2006129371A1 (ja) Egrガス混合装置
KR101907139B1 (ko) 내연기관의 출력 증강을 위한 소음 저감형 흡·배기 장치
GB2410296A (en) Speed increaser for engine intake air
CN105317479A (zh) 涡轮机出口扩散器
KR101887000B1 (ko) 차량용 와류장치
KR200246432Y1 (ko) 내연기관용 흡기관의 와류 발생장치
KR102137023B1 (ko) 내연기관용 와류 형성 장치
JP2019515171A (ja) タービン用タービンホイール
KR101933494B1 (ko) 내연기관의 출력 증강을 위한 소음 저감형 배기 장치
KR101885754B1 (ko) 흡·배기용 램제트 발생기
KR101920790B1 (ko) 내연기관용 와류기
KR101365892B1 (ko) 차량용 흡기계통의 흡기효율향상 흡기 덕트 장치
KR20190049403A (ko) 흡·배기용 램제트 발생기
KR101900906B1 (ko)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CN111692023B (zh) 可双向置入内燃机的导流装置
KR20200058719A (ko)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KR102529284B1 (ko) 자동차용 기류 저항 저감형 유체 덕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