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423B1 - 내연기관용 와류기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423B1
KR101623423B1 KR1020160027924A KR20160027924A KR101623423B1 KR 101623423 B1 KR101623423 B1 KR 101623423B1 KR 1020160027924 A KR1020160027924 A KR 1020160027924A KR 20160027924 A KR20160027924 A KR 20160027924A KR 101623423 B1 KR101623423 B1 KR 101623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rim body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영
Original Assignee
오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영 filed Critical 오준영
Priority to KR1020160027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4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와류기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 양측에 형성되는 공간턱과 상기 공간턱의 사이로 형성되는 결합홈, 내측면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과 내부 임의의 지점에 형성되는 보조턱이 포함되며 중공관형태로 구성된 테두리 몸체와, 상기 테두리 몸체의 내부로 형성되면서 테두리 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와류날개와, 상기 테두리 몸체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면서 외측으로 와류날개가 연결되며, 내부 중앙으로 테이퍼진 형태의 경사홈이 형성되는 중앙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내부에 테이퍼진 홈이 형성된 중앙부의 체적은 테두리 몸체의 전체 체적에 대하여 10 ~ 50%가 되도록 하여, 테두리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중앙부의 일측으로 테두리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공기의 난류 및 속도변화가 좀 더 길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난류성 및 속도, 공급량을 높여 내연기관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내연기관용 와류기{Air eddy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와류기에 관한 것으로, 와류기 내부에 테이퍼진 경사홈 및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경사홈이 형성된 중앙부의 일부 외측을 테두리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곡률지게 형성하고, 중앙부의 체적은 테두리 몸체 체적의 10 ~ 50%가 되도록 함으로써, 와류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면서 속도를 높여, 연료 등의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하면서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테두리 몸체의 외부에 공간턱 및 결합홈을 형성하여, 내연기관의 흡입구 부분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내연기관용 와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내연기관용 와류기는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3-0075874호와 같이 중앙에 위치된 벤추리관과 상기 벤추리관의 외측으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임펠라 및 몸체를 이용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나류를 발생시키면서 공급량 및 속도를 높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몸체의 중앙에 설치된 벤추리관이 몸체의 전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서 난류되거나 증속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어 연소효율을 크게 높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몸체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있어, 내연기관에 와류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선 고정브라켓의 크기만큼 넓은 공간의 여유가 있어야 함으로써, 와류기를 내연기관에 설치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내부에 테이퍼진 홈이 형성된 중앙부의 체적은 테두리 몸체의 전체 체적에 대하여 10 ~ 50%가 되도록 하여, 테두리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중앙부의 일측으로 테두리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공기의 난류 및 속도변화가 좀 더 길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난류성 및 속도, 공급량을 높여 내연기관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중앙부의 일측 외부를 곡률지게 형성하여 테두리 몸체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테두리 몸체의 내부에 경사면과 보조턱을 형성하여, 상기 테두리 몸체의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면서 와류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 몸체의 외측으로 공간턱 및 결합홈을 형성하여 내연기관에 견고하게 와류기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와류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공간활용도를 우수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주면 양측에 형성되는 공간턱과 상기 공간턱의 사이로 형성되는 결합홈, 내측면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과 내부 임의의 지점에 형성되는 보조턱이 포함되며 중공관형태로 구성된 테두리 몸체와, 상기 테두리 몸체의 내부로 형성되면서 테두리 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와류날개와, 상기 테두리 몸체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면서 외측으로 와류날개가 연결되며, 내부 중앙으로 테이퍼진 형태의 경사홈이 형성되는 중앙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내부에 테이퍼진 홈이 형성된 중앙부의 체적은 테두리 몸체의 전체 체적에 대하여 10 ~ 50%가 되도록 하여, 테두리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중앙부의 일측으로 테두리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공기의 난류 및 속도변화가 좀 더 길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난류성 및 속도, 공급량을 높여 내연기관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중앙부의 일측 외부를 곡률지게 형성하여 테두리 몸체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테두리 몸체의 내부에 경사면과 보조턱을 형성하여, 상기 테두리 몸체의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면서 와류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 몸체의 외측으로 공간턱 및 결합홈을 형성하여 내연기관에 견고하게 와류기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와류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경사홈의 직경을 일정한 크기로 형성하여, 상기 경사홈을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나 압력을 일정하게 변환시켜 와류된 공기를 보다 빠르면서 멀리 보낼 수 있게 됨으로써, 내연기관의 연료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인 내연기관용 와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내연기관용 와류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내연기관용 와류기를 내연기관에 장착하기 전에 실시한 내연기관의 연비를 측정한 시험성적서.
도 5는 본 발명인 내연기관용 와류기를 내연기관에 장착한 후에 실시한 내연기관의 연비를 측정한 시험성적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내연기관용 와류기(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몸체(10), 와류날개(20), 중앙부(3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테두리 몸체(10)는 내부가 비워진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의 양측부분으로 돌출된 형태의 공간턱(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외부에 형성되되 한 쌍의 공간턱(11)의 사이로 나선이나 원형형태의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내부 타측 끝부분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임의의 지점에 계단과 같이 각지거나 경사진 형태의 보조턱(1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13)과 보조턱(14)은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때, 상기 경사면(13)을 통해 공기가 더욱 원활하게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보조턱(14)에 부딪치게 되면서 와류가 발생하여, 공기의 흐름에 변화를 주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와류날개(20)는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내부에 자전거의 바퀴살(도면에 미도시)과 같이 하나 이상으로 배열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변화를 줄 수 있도록 임의의 각도로 틀어져 있다.
다시 말해, 외부의 공기가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면 그 공기가 와류날개(20)를 거치게 되면서 난류가 발생하여 공기의 압력, 속도 등이 증가하게 되면서 와류가 발생하면서 테두리 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와류날개(20)는 현재 일반적으로 와류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어떠한 형태 또는 재질, 수량 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 중앙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면서 외측으로 와류날개(20)가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와류날개(20)에 의해 테두리 몸체(10)의 내부에 고정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30)의 내부 중앙으로는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는 경사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홈(31)은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방향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면서 직경이 상대적을 작은 방향으로 배출될 때,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을 통과하게 되어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공기가 유입되는 중앙부(30)의 타측(30b) 부분의 직경(d1)은 7~12mm로 형성되도록 하고, 공기가 배출되는 일측(30a) 부분의 직경(d2)은 5~7mm로 형성하여 상기 경사홈(31)이 테이퍼지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경사홈(31)을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나 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중앙부(30)의 타측(30b) 부분의 직경(d1)과 일측(30a) 부분의 직경(d2)의 수치를 상술한 수치보다 크거나 작게 할 수도 있지만, 상술한 수치보다 직경이 크거나 작을 경우, 경사홈(31)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변하게 되어 경사홈(31)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공기의 속도나 압력이 크게 변하지 않게 되며, 경사홈(31)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많지 않게 되면 공기의 속도나 압력이 크게 변하게 되지만 속도나 압력이 증가한 공기의 양이 많이 않아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와류되는 공기를 제대로 멀리 보내지 못하게 됨으로써,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경사홈(31)의 일측(30a) 및 타측(30b)의 직경(d2, d1)을 상술한 수치대로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30)가 테두리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될 때, 중앙부(30)의 체적은 테두리 몸체(10)의 체적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지만,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른 난류성 및 속도, 압력의 증가를 효율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30)의 체적은 테두리 몸체(10)의 체적에 대해 10 ~ 50%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중앙부(30)의 체적은 테두리 몸체(10)의 체적에 대해 51%가 넘을 경우 테두리 몸체(10)와 중앙부(30) 간의 공간이 줄어들어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공기가 일정량 이하로 유입되면서 와류된 공기의 양이 부족하게 되며, 9% 이하일 경우에는 테두리 몸체(10)와 중앙부(30) 사이에 많은 공간이 발생하여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될 수는 있지만, 유입되는 많은 양의 공기 중에서 제대로 와류가 되지 않는 공기가 발생하게 되어, 와류의 효율이 좋지 못함으로 중앙부(30)의 체적은 테두리 몸체(10)의 체적에 대해 10 ~ 50%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부(30)의 체적이 테두리 몸체(10)의 체적에 대해 10 ~ 50%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테두리 몸체(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중앙부(30)의 일측(30a)은 테두리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중앙부(30)의 타측(30b)은 상술한 바대로 테두리 몸체(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부(30)의 일측(30a)은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30)의 일측(30a)이 테두리 몸체(10)의 외측으로 노출될 때, 일측(30a)의 외측면을 곡률(r)지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중앙부(30)의 일측(30a)을 테두리 몸체(1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이유는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와류날개(20)를 거친 공기가 다시 테두리 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중앙부(30)의 외부를 따라 흐르도록 상기 중앙부(30)의 일측(30a)이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테두리 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보다 멀리, 증가된 속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내연기관용 와류기(50)를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내연기관의 흡입구(도면에 미도시) 부분에 설치하면서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외부로 주름관 및 클램프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도면에 미도시)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외부에 형성된 공간턱(11)과 결합홈(12)이 고정부재에 견고히 밀착되면서 밀착력 및 고정력이 증가되면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내연기관용 와류기(50)를 흡입구에 결합시킬 때, 테두리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중앙부(30)의 일측(30a)이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고, 중앙부(30)의 타측(30b)이 공가기 흡입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면서 결합한다.
그런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내연기관을 작동시키게 되면, 내연기관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내연기관용 와류기(50)에 형성된 중앙부(30)의 타측(30b)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흐르면서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에서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때,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타측 끝부분에 형성된 경사면(13)을 따라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흐르게 되면서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중앙부(30)의 중앙에 형성된 경사홈(31)으로 유입되며, 나머지 공기는 중앙부(30)의 외측방향으로 흐르면서 와류날개(20)의 사이로 흐르게 된다.
한편, 외부에서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때, 중앙부(30)의 체적은 테두리 몸체(10)의 체적에 대하여 10 ~ 50%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 및 와류라 발생되는 양 및 후술할 경사홈(31)으로 유입되어 속도나 압력이 증가되는 양이 최적화됨으로써, 공기의 난류성 및 속도, 공급량을 높여 내연기관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중앙부(30)에 형성된 경사홈(31)으로 유입된 공기는 경사홈(31)의 경사에 따라 흐르게 되면서 경사홈(31)으로 유입된 공기의 속도 및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경사홈(31)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직경(d2)이 상대적으로 크고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의 직경(d1)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어, 경사홈(31)으로 유입된 공기가 최초에는 많은 양이 천천히 유입되다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되어 공기의 속도 및 압력이 빨라지게 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중앙부(30)의 경사홈(31)으로 유입되지 않은 공기는 중앙부(30)의 외측으로 따라 흐르면서 와류날개(20) 및 보조턱(14)에 부딪치게 되면서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중앙부(30)의 외측방향과 와류날개(20)의 사이로 흐르게 되는 공기가 상기 와류날개(20)에 부딪치게 되면서 와류가 발생함은 물론, 테두리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보조턱(14)에도 동시에 부딪치게 되면서 한번 발생된 와류에 새로운 와류가 다시 발생되어 와류의 성능이 보다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테두리 몸체(10)의 보조턱(14) 및 와류날개(20)를 거친 공기에 와류가 발생하게 되면서 중앙부(30)의 일측(30a)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중앙부(30)의 일측(30a)의 끝면은 곡률(r)지게 형성되어 있어, 와류가 발생된 공기가 원활하게 중앙부(30)의 외부 일측(30a) 면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테두리 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며, 상기 중앙부(30)의 일측(30a)이 테두리 몸체(10)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경사홈(31)을 흐르는 공기의 가이드를 길게 함은 물론, 중앙부(30)의 외측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가이드도 동시게 길게 하여,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효율성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보조턱(14) 및 와류날개(20)를 거치면서 와류가 발생되어 테두리 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가 중앙부(30)의 경사홈(31)을 거치면서 속도 또는 압력이 증가된 공기와 만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중앙부(30)의 경사홈(31)을 거쳐 속도 및 압력이 증가된 공기에 의해 중앙부(30)의 외측으로 흘러 와류가 발생된 공기가 보다 빠른 속도로 멀리 배출되면서 내연기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연기관의 연료연소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내연기관용 와류기(50)를 통해 내연기관으로의 공기 유입시 테두리 몸체(10)에 형성된 경사면(13)을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테두리 몸체(10)로 유입되어 보강턱(14) 및 와류날개(20)를 통해 다중으로 와류가 발생하게 되어 와류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중앙부(30)에 형성된 경사홈(31)을 통해 와류된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멀리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내연기관의 연료가 완전하게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효율을 높이고 환경오염을 줄이면서 내연기관의 성능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내연기관용 와류기(50)를 차량에 장착하여 실험한 데이터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연기관용 와류기(50)를 차량의 내연기관 흡입구 부분에 설치하지 않고 차량을 운행하였을 경우 약 11.25km/L의 연비를 나타나게 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몸체(10)의 체적에 대해 약 10 ~ 50%의 체적을 차지하는 중앙부(30) 및 공기가 유입되는 중앙부(30)의 타측(30b)의 경사홈(31)의 직경(d1)이 7~12mm로 구성되며, 공기가 배출되는 중앙부(30)의 일측(30a)의 경사홈(31)의 직경(d2)이 5~7mm로 구성되어 약 1 : 2의 비율로 이루어진 상기 내연기관용 와류기(50)를 차량의 내연기관 흡입구 부분에 설치하고 동일한 구간을 운행하였을 경우에는 14.6km/L의 연비를 나타나게 되어 차량의 연비가 약 30% 증가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이는, 상기 경사홈(31)의 직경(d1, d2)을 상술한 수치대로 형성함으로써,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나 압력을 약 2배 이상으로 상승시켜 상기 와류날개(20)에 의해 와류된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내연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내연기관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부(30)의 체적을 테두리 몸체(10)의 체적에 맞추어 비율을 조절하고, 중앙부(30)의 일측(30a) 외부가 곡률(r)지도록 하면서 테두리 몸체(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 와류가 발생되는 공기의 양, 속도 및 압력이 증가되는 공기의 양의 비율이 잘 어울려지도록 함은 물론,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보다 멀리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류되면서 속도 및 압력이 증가되는 공기의 효율을 높여 내연기관의 성능 및 연소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몸체
11 : 공간턱 12 : 결합홈
13 : 경사면 14 : 보조턱
20 : 와류날개
30 : 중앙부
31 : 경사홈
50 : 내연기관용 와류기

Claims (4)

  1. 외주면 양측에 형성되는 공간턱(11)과 상기 공간턱(11)의 사이로 형성되는 결합홈(12), 내측면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13)과 내부 임의의 지점에 형성되는 보조턱(14)이 포함되며 중공관형태로 구성된 테두리 몸체(10);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내부로 형성되면서 테두리 몸체(10)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와류날개(20);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면서 외측으로 와류날개(20)가 연결되며, 내부 중앙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도록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의 직경(d1)은 7~12mm로 이루어지며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의 직경(d2)은 5~7mm로 이루어지는 경사홈(31)이 형성되고, 전체 체적이 테두리 몸체(10)의 전체 체적에 대해 10 ~ 50%로 형성되며, 일측(30a)은 테두리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며, 타측(30b)은 테두리 몸체(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테두리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30a) 외부는 곡률지게 형성되는 중앙부(30);
    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내연기관용 와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27924A 2016-03-08 2016-03-08 내연기관용 와류기 KR101623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924A KR101623423B1 (ko) 2016-03-08 2016-03-08 내연기관용 와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924A KR101623423B1 (ko) 2016-03-08 2016-03-08 내연기관용 와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423B1 true KR101623423B1 (ko) 2016-05-23

Family

ID=5610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924A KR101623423B1 (ko) 2016-03-08 2016-03-08 내연기관용 와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4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780B1 (ko) 2018-08-20 2019-03-12 백효성 내연기관용 와류기
KR102123448B1 (ko) * 2020-03-19 2020-06-16 서정필 내연기관용 와류 흡배기장치
CN112901608A (zh) * 2021-01-15 2021-06-04 武汉理工大学 一种双涡环相互作用力增益的高效驱动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780B1 (ko) 2018-08-20 2019-03-12 백효성 내연기관용 와류기
KR102123448B1 (ko) * 2020-03-19 2020-06-16 서정필 내연기관용 와류 흡배기장치
WO2021187918A1 (ko) * 2020-03-19 2021-09-23 장복만 내연기관용 와류 흡배기장치
CN112901608A (zh) * 2021-01-15 2021-06-04 武汉理工大学 一种双涡环相互作用力增益的高效驱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8663B1 (en) Fluid swirling device
US6796296B2 (en) Fluid swirl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952142B1 (ko) 다중 회오리 바람 생성이 가능하도록 케이스가 구비된 와류 발생기
KR101623423B1 (ko) 내연기관용 와류기
JP4988922B2 (ja) 排気ガス圧力除去及び逆流防止装置
RU200111498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параметра поток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движущегося по трубопроводу
US7614379B2 (en) Air horn for efficient fluid intake
JP3889777B1 (ja) 内燃機関の渦流発生器
KR101956780B1 (ko) 내연기관용 와류기
KR101885754B1 (ko) 흡·배기용 램제트 발생기
KR102056811B1 (ko) 흡·배기용 램제트 발생기
US9803667B2 (en) Vortex flow apparatus
KR20200086807A (ko) 와류날개가 형성되는 차량의 흡배기관내 공기 와류발생기의 제작방법
CN111780160B (zh) 一种带有旋流驻涡结构的钝体稳焰器
KR101900906B1 (ko) 내연기관의 흡기관용 공기흐름 개선장치
KR20200084714A (ko) 차량용 배기가스 배출 개선 장치
JPH0828281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TWM510368U (zh) 交通工具的進氣歧管
KR200495900Y1 (ko) 내연기관의 출력증강 매연저감기
KR20200058719A (ko) 내연기관의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
KR102232248B1 (ko) 내연기관용 매연저감장치
KR20140105213A (ko) 자동차의 배기유속증가장치
CN210217901U (zh) 高效涡流增压装置
KR102208180B1 (ko) 내연기관 흡기용 와류발생기
JP5243647B1 (ja) 熱機関の排気促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