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185B1 - 딸기 삽목 방법 - Google Patents

딸기 삽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185B1
KR101920185B1 KR1020180088223A KR20180088223A KR101920185B1 KR 101920185 B1 KR101920185 B1 KR 101920185B1 KR 1020180088223 A KR1020180088223 A KR 1020180088223A KR 20180088223 A KR20180088223 A KR 20180088223A KR 101920185 B1 KR101920185 B1 KR 101920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berry
runner
cutting
humidification
sh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룡
황승재
호강도
강동일
정해경
유신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10Vegetative propagation by means of cut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3Propagation of plant by cutt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딸기 삽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딸기 모주에서 발생된 런너를 크라운이 포함되도록 자르는 제 1단계와, 상기 런너를 배지에 꽂고, 상기 크라운은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 런너와 배지를 투명한 비닐 하우스 내에서 재배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하우스를 제거한 다음, 액비를 관주하고 청색 LED로 보광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딸기 삽목 방법{Method for rooted cutting propagation of strawberry}
본 발명은 딸기 삽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삽목묘의 초기 활착률을 증진시키고, 균일한 묘를 생산할 수 있는 딸기 삽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는 저칼로리 탄수화물 및 고 섬유함량의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그 외에도 카로티노이드, 안토시아닌, 페놀,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그리고 항암물질로 알려진 ellagic aicd 등을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작물로 소비자들의 보건향상에 기여하고 있다(Mass와 Galletta, 1991; Kim 등, 2012).
딸기는 모주에서 발생한 런너에서 자묘가 발생하며, 발생된 자묘가 일정한 크기에 도달하고 충분한 자묘가 발생된 시점에 모주로부터 런너를 절단하여 각각의 개체로 번식한다. 자묘들은 화아분화를 시킨 후에 본포에 정식하며,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촉성딸기 재배를 위해서는 모주를 2월 말-3월 초에 정식하여 육묘하고, 9월 초-중순에 본포에 자묘들을 정식한다(Jeong, 2008). 과거에는 모주를 토양에 정식한 후 모주를 정식한 토양옆으로 발생된 런너 및 자묘가 착생하여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고, 시설하우스 내부의 토양에서 관행적인 육묘가 이루어졌다(Choi et al., 2011).
종래의 딸기런너 삽목 방법은, 모주에서 발생된 자묘를 런너핀으로 눌러주어 삽목하였으며 런너핀을 소독해야 하고 적정한 시기에 런너핀을 제거해야하므로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9-0078959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딸기의 삽목 번식 시 초기 활착률을 증진시키고, 균일한 묘를 생산할 수 있는 딸기 삽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딸기 삽목 방법은, 딸기 모주에서 발생된 런너를 크라운이 포함되도록 자르는 제 1단계와, 상기 런너를 배지에 꽂고, 상기 크라운은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 런너와 배지를 투명한 비닐 하우스 내에서 재배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하우스를 제거한 다음, 액비를 관주하고 청색 LED로 보광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단계에서는, 크라운에서 런너 절단면까지의 거리가 3 내지 5cm가 되도록 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단계에서는, 하우스 내에 포그시스템을 사용하여 상대습도 95%를 유지하면서 16일 동안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단계와 상기 제 3단계는 10 내지 13℃의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비는 EC 115μS·cm-1, pH 6.9로 맞추어 10일 동안 매일 관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색 LED는 100μmol·m-2·s-1 PPFD 광도이며, 10일 동안 5시 내지 7시에 보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딸기 삽목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런너를 배지에 꽂아 재배하여 런너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활착을 촉진할 수 있고, 시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초기 활착률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런너핀을 사용하지 않고 뿌리의 활착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노동력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에서 런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의 가습 및 차광에 따른 뿌리 생육 실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의 가습 및 차광에 따른 뿌리 생육 실험에서 7일째의 최대 근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의 가습 및 차광에 따른 뿌리 생육 실험에서 7일째의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의 가습 및 차광에 따른 뿌리 생육 실험에서 11일째의 최대 근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의 가습 및 차광에 따른 뿌리 생육 실험에서 11일째의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의 가습 및 차광에 따른 뿌리 생육 실험에서 16일째의 최대 근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의 가습 및 차광에 따른 뿌리 생육 실험에서 16일째의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의 가습 및 차광에 따른 뿌리 생육 실험에서 26일째의 최대 근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의 가습 및 차광에 따른 뿌리 생육 실험에서 26일째의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의 가습 및 차광에 따른 뿌리 생육 실험에서 26일째 뿌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에서 보광 방법에 따른 엽록소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딸기(품종 : 매향) 삽목 방법에서 보광 방법에 따른 기공의 개폐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딸기 삽목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딸기 삽목 방법은, 딸기 모주에서 발생된 런너를 크라운이 포함되도록 자르는 제 1단계와, 상기 런너를 배지에 꽂고, 상기 크라운은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 런너와 배지를 투명한 비닐 하우스 내에서 재배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하우스를 제거한 다음, 액비를 관주하고 청색 LED로 보광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모주에서 발생한 런너를 크라운이 포함되도록 자른다. 구체적으로 크라운에서 런너 절단면까지의 거리가 3 내지 5cm가 되도록 잘라 준비한다.
상기 크라운에서 런너 절단면까지의 거리가 3cm 미만인 경우 런너 길이가 짧아 지지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뽑히거나 상기 런너의 고정이 어렵다. 또한 상기 크라운이 배지과 접촉되어 뿌리가 썩을 가능성이 높다.
상기 크라운에서 런너 절단면까지 거리가 5cm 초과인 경우 런너 길이가 배지 높이보다 길어지므로 상기 런너를 배지에 꼽더라도 상기 크라운에서 배지까지의 높이 차이가 많이 나고 뿌리가 활착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자른 런너를 배지에 꽂아 재배한다. 상기 배지는 상기 런너의 성장에 사용될 수 있는 기존의 어떤 배지로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런너는 배지에 꽂혀있고, 상기 크라운은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런너가 꼽힌 배지를 투명한 비닐 하우스 내에서 배지를 재배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스 내부는 10 내지 13℃의 온도이고, 포그시스템을 사용하여 상대습도 95%를 유지하면서 16일 동안 재배할 수 있다. 상기 포그시스템은 24시간 동안 가동되며, 상기 투명한 비닐 하우스는 햇빛이 투과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런너를 배지에 꽂아 재배하기 때문에, 상기 런너를 통해 수분을 흡수할 수 있어 런너가 시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크라운에서 뿌리가 성장하여 배지로 활착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뿌리 활착을 위해 런너핀을 꼽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를 생략할 수 있어 시간과 노동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발근을 확인하여 상기 하우스를 제거한 다음, 10일 동안 액비를 관주하여 재배한다. 상기 액비는 EC 115μS·cm-1, pH 6.9로 맞추어 매일 관주한다.
여기서, 5시 내지 7시에 청색 LED로 보광할 수 있다. 상기 청색 LED는 100μmol·m-2·s-1 PPFD 광도이다. 상기 보광이란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태양광의 양을 보충하기 위하여 인공광원으로 조명하는 것으로, 평소에는 햇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하며, 오전 5시 내지 7시에만 보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Ⅰ. 가습 및 차광에 따른 뿌리 생육
본 연구는 딸기 ‘매향’의 삽목 번식시 차광막의 종류, 차광정도 및 가습처리 유무에 따른 삽목묘의 초기 활착률 증진, 묘소질 향상, 균일 묘 생산 및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비교예 1]
1.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묘는 2017년 11월 23일 진주 수곡농협 원당지점으로부터 인계받아 2일간 4℃ 저온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지그포트 21구(21-Zigpot/21 cell tray, Daeseung, Jeonju, Korea)에 BVB 배지(Bas Van Buuren substrate, EN-12580, De Lier, The Netherlands)를 충진하여 삽목한 후 사용하였다.
2. 무가습, 무차광 처리(C)를 하였다. 삽목 후 무가습 처리에는 두상관수로 매일 관수하였다.
3. 2017년 12월 9일 발근을 확인하여 차광 및 가습 처리를 제거하였다. 이 후 온실다용도 액비를 조제하여 EC 115μS·cm-1, pH 6.9로 맞추어 매일 관주하며 2017년 12월 20일까지 재배하였다.
[실시예 1]
1.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묘는 2017년 11월 23일 진주 수곡농협 원당지점으로부터 인계받아 2일간 4℃ 저온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지그포트 21구(21-Zigpot/21 cell tray, Daeseung, Jeonju, Korea)에 BVB 배지(Bas Van Buuren substrate, EN-12580, De Lier, The Netherlands)를 충진하여 삽목한 후 사용하였다.
2. 무가습, 흰색 한랭사 차광 55% 처리(W55)를 하였다. 삽목 후 무가습 처리에는 두상관수로 매일 관수하였다.
3. 2017년 12월 9일 발근을 확인하여 차광 및 가습 처리를 제거하였다. 이 후 온실다용도 액비를 조제하여 EC 115μS·cm-1, pH 6.9로 맞추어 매일 관주하며 2017년 12월 20일까지 재배하였다.
[실시예 2]
1.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묘는 2017년 11월 23일 진주 수곡농협 원당지점으로부터 인계받아 2일간 4℃ 저온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지그포트 21구(21-Zigpot/21 cell tray, Daeseung, Jeonju, Korea)에 BVB 배지(Bas Van Buuren substrate, EN-12580, De Lier, The Netherlands)를 충진하여 삽목한 후 사용하였다.
2. 무가습, 검은색 차광막 55% 처리(B55)를 하였다. 삽목 후 무가습 처리에는 두상관수로 매일 관수하였다.
3. 2017년 12월 9일 발근을 확인하여 차광 및 가습 처리를 제거하였다. 이 후 온실다용도 액비를 조제하여 EC 115μS·cm-1, pH 6.9로 맞추어 매일 관주하며 2017년 12월 20일까지 재배하였다.
[실시예 3]
1.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묘는 2017년 11월 23일 진주 수곡농협 원당지점으로부터 인계받아 2일간 4℃ 저온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지그포트 21구(21-Zigpot/21 cell tray, Daeseung, Jeonju, Korea)에 BVB 배지(Bas Van Buuren substrate, EN-12580, De Lier, The Netherlands)를 충진하여 삽목한 후 사용하였다.
2. 무가습, 멀칭비닐 차광 100% 처리(B100)를 하였다. 삽목 후 무가습 처리에는 두상관수로 매일 관수하였다.
3. 2017년 12월 9일 발근을 확인하여 차광 및 가습 처리를 제거하였다. 이 후 온실다용도 액비를 조제하여 EC 115μS·cm-1, pH 6.9로 맞추어 매일 관주하며 2017년 12월 20일까지 재배하였다.
[실시예 4]
1.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묘는 2017년 11월 23일 진주 수곡농협 원당지점으로부터 인계받아 2일간 4℃ 저온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지그포트 21구(21-Zigpot/21 cell tray, Daeseung, Jeonju, Korea)에 BVB 배지(Bas Van Buuren substrate, EN-12580, De Lier, The Netherlands)를 충진하여 삽목한 후 사용하였다.
2. 가습, 무차광 처리(CH)를 하였다. 삽목 후 가습 처리에는 포그발생장치를 24시간 가동하였다.
3. 2017년 12월 9일 발근을 확인하여 차광 및 가습 처리를 제거하였다. 이 후 온실다용도 액비를 조제하여 EC 115μS·cm-1, pH 6.9로 맞추어 매일 관주하며 2017년 12월 20일까지 재배하였다.
[실시예 5]
1.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묘는 2017년 11월 23일 진주 수곡농협 원당지점으로부터 인계받아 2일간 4℃ 저온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지그포트 21구(21-Zigpot/21 cell tray, Daeseung, Jeonju, Korea)에 BVB 배지(Bas Van Buuren substrate, EN-12580, De Lier, The Netherlands)를 충진하여 삽목한 후 사용하였다.
2. 가습, 희색 한랭사 차광 55% 처리(W55H)를 하였다. 삽목 후 가습 처리에는 포그발생장치를 24시간 가동하였다.
3. 2017년 12월 9일 발근을 확인하여 차광 및 가습 처리를 제거하였다. 이 후 온실다용도 액비를 조제하여 EC 115μS·cm-1, pH 6.9로 맞추어 매일 관주하며 2017년 12월 20일까지 재배하였다.
[실시예 6]
1.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묘는 2017년 11월 23일 진주 수곡농협 원당지점으로부터 인계받아 2일간 4℃ 저온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지그포트 21구(21-Zigpot/21 cell tray, Daeseung, Jeonju, Korea)에 BVB 배지(Bas Van Buuren substrate, EN-12580, De Lier, The Netherlands)를 충진하여 삽목한 후 사용하였다.
2. 가습, 검은색 차광막 55% 처리(B65H)를 하였다. 삽목 후 가습 처리에는 포그발생장치를 24시간 가동하였다.
3. 2017년 12월 9일 발근을 확인하여 차광 및 가습 처리를 제거하였다. 이 후 온실다용도 액비를 조제하여 EC 115μS·cm-1, pH 6.9로 맞추어 매일 관주하며 2017년 12월 20일까지 재배하였다.
[실시예 7]
1.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묘는 2017년 11월 23일 진주 수곡농협 원당지점으로부터 인계받아 2일간 4℃ 저온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지그포트 21구(21-Zigpot/21 cell tray, Daeseung, Jeonju, Korea)에 BVB 배지(Bas Van Buuren substrate, EN-12580, De Lier, The Netherlands)를 충진하여 삽목한 후 사용하였다.
2. 가습, 멀칭비닐 차광 100% 처리(B100H)를 하였다. 삽목 후 가습 처리에는 포그발생장치를 24시간 가동하였다.
3. 2017년 12월 9일 발근을 확인하여 차광 및 가습 처리를 제거하였다. 이 후 온실다용도 액비를 조제하여 EC 115μS·cm-1, pH 6.9로 맞추어 매일 관주하며 2017년 12월 20일까지 재배하였다.
차광막의 종류, 차광정도 및 가습처리 유무에 따른 각각의 구역 내부 온·습도 측정은 2017년 12월 6일부터 2017년 12월 9일까지 온습도 데이터로거(TR-72u, TandD Co. Ltd., Japan)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60분 간격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였다. 각 처리가 딸기 ‘매향’의 삽목 후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장, 최대근장, 크라운 직경, 엽 수, 엽장, 엽폭, 비엽중(leaf area/leaf dry weight), 엽록소 함량 및 엽면적을 측정하였다. 크라운 직경의 경우 버니어 캘리퍼스(CD-20CPX, Mitutoyo Korea Corp., Gunpo,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생체중 및 건물중의 경우 전자 저울(ENTRIS224i-1S, Sartorius Lab Instruments GmbH & Co., KG, Goettingen, German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엽록소 함량은 엽록소 측정기(SPAD-502, Konica Minolta Inc.,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물중은 시료를 70℃ 순환 건조기(OF-22GW, JEIO Tech. Co., Ltd.,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72시간동안 건조 후 측정하였다. 엽면적은 엽면적 측정기(LI-3000, LI-COR Inc., USA)를 이용하였다.
실험구는 삽목 후 차광 종류, 차광정도 및 가습처리 유무에 따른 딸기의 생육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처리당 21개체씩 3반복으로 총 504주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의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SAS 9.4, SAS Institute Inc., USA)을 이용하여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평균 간 비교는 던컨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이용하여 5% 유의수준에서 각 처리간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래프는 SigmaPlot 프로그램(Sigma Plot 12.0, Systat Software Inc., USA)을 이용하여 나타냈다.
상술한 실험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딸기(품종 : 매향)의 7일째 최대 근장을 나타낸 그래프에 따르면, 비교예 1에 대해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7에서 뿌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딸기(품종 : 매향)의 7일째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을 나타낸 그래프에 따르면, 비교예 1에 대해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7에서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딸기(품종 : 매향)의 11일째 최대 근장을 나타낸 그래프에 따르면, 비교예 1에 대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 및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에서 뿌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딸기(품종 : 매향)의 11일째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을 나타낸 그래프에 따르면, 비교예 1에 대해 실시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5에서 뿌리의 생체중이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예 1에 대해 실시예 1에서 뿌리의 건물중이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딸기(품종 : 매향)의 16일째 최대 근장을 나타낸 그래프에 따르면, 비교예 1에 대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 및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에서 뿌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딸기(품종 : 매향)의 16일째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을 나타낸 그래프에 따르면, 비교예 1에 대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 및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에서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딸기(품종 : 매향)의 26일째 최대 근장을 나타낸 그래프에 따르면, 비교예 1에 대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 및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에서 뿌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딸기(품종 : 매향)의 26일째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을 나타낸 그래프에 따르면, 비교예 1에 대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5에서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상술한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딸기(품종 : 매향)의 삽목 육묘 시 포그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삽목 초기 지하부의 생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며, 차광막의 종류는 딸기(품종 : 매향)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으나 차광 수준은 무차광 처리가 차광 100% 처리에 비해 지하부 생육에 있어 유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딸기(품종 : 매향)의 26일째 뿌리의 도면에 따르면 실시예 4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Ⅱ. 보광방법에 따른 엽록소 함량 및 기공 개폐
[비교예 2]
1.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묘를 진주 수곡농협 원당지점으로부터 인계받아 2일간 4℃ 저온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지그포트 21구(21-Zigpot/21 cell tray, Daeseung, Jeonju, Korea)에 BVB 배지(Bas Van Buuren substrate, EN-12580, De Lier, The Netherlands)를 충진하여 삽목한 후 사용하였다.
2. 가습, 무차광 처리(CH)를 10일 동안 하였다. 삽목 후 가습 처리에는 포그발생장치를 24시간 가동하였다.
3. 10일 후 발근을 확인하여 차광 및 가습 처리를 제거한 다음 10일 동안 재배하였다.
[실시예 8]
1.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묘를 진주 수곡농협 원당지점으로부터 인계받아 2일간 4℃ 저온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지그포트 21구(21-Zigpot/21 cell tray, Daeseung, Jeonju, Korea)에 BVB 배지(Bas Van Buuren substrate, EN-12580, De Lier, The Netherlands)를 충진하여 삽목한 후 사용하였다.
2. 가습, 무차광 처리(CH)를 10일 동안 하였다. 삽목 후 가습 처리에는 포그발생장치를 24시간 가동하였다.
3. 10일 후 발근을 확인하여 차광 및 가습 처리를 제거하였다. 이 후 오전 5시 부터 7시까지 백색 LED를 100μmol·m-2·s-1 PPFD 광도로 일주일 동안 보광하였다.
[실시예 9]
1.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묘를 진주 수곡농협 원당지점으로부터 인계받아 2일간 4℃ 저온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지그포트 21구(21-Zigpot/21 cell tray, Daeseung, Jeonju, Korea)에 BVB 배지(Bas Van Buuren substrate, EN-12580, De Lier, The Netherlands)를 충진하여 삽목한 후 사용하였다.
2. 가습, 무차광 처리(CH)를 10일 동안 하였다. 삽목 후 가습 처리에는 포그발생장치를 24시간 가동하였다.
3. 10일 후 발근을 확인하여 차광 및 가습 처리를 제거하였다. 이 후 오전 5시 부터 7시까지 청색 LED를 100μmol·m-2·s-1 PPFD 광도로 일주일 동안 보광하였다.
[실시예 10]
1.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묘를 진주 수곡농협 원당지점으로부터 인계받아 2일간 4℃ 저온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지그포트 21구(21-Zigpot/21 cell tray, Daeseung, Jeonju, Korea)에 BVB 배지(Bas Van Buuren substrate, EN-12580, De Lier, The Netherlands)를 충진하여 삽목한 후 사용하였다.
2. 가습, 무차광 처리(CH)를 10일 동안 하였다. 삽목 후 가습 처리에는 포그발생장치를 24시간 가동하였다.
3. 10일 후 발근을 확인하여 차광 및 가습 처리를 제거하였다. 이 후 오전 5시 부터 7시까지 혼합(청색과 적색의 혼합) LED를 100μmol·m-2·s-1 PPFD 광도로 일주일 동안 보광하였다.
[실시예 11]
1.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묘를 진주 수곡농협 원당지점으로부터 인계받아 2일간 4℃ 저온보관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지그포트 21구(21-Zigpot/21 cell tray, Daeseung, Jeonju, Korea)에 BVB 배지(Bas Van Buuren substrate, EN-12580, De Lier, The Netherlands)를 충진하여 삽목한 후 사용하였다.
2. 가습, 무차광 처리(CH)를 10일 동안 하였다. 삽목 후 가습 처리에는 포그발생장치를 24시간 가동하였다.
3. 10일 후 발근을 확인하여 차광 및 가습 처리를 제거하였다. 이 후 오전 5시 부터 7시까지 적색 LED를 100μmol·m-2·s-1 PPFD 광도로 일주일 동안 보광하였다.
상술한 실험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너(품종 : 매향)의 엽록소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에 따르면, 비교예 2에 대해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0에서 엽록소 a와 엽록소 b의 함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딸기(품종 : 매향)의 기공 개폐를 나타낸 500배 확대 도면에 따르면, 비교예 2에 대해 실시예 9 및 실시예 11에서 기공의 개수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2000배 확대도면에 따르면, 비교예 2에 대해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1에서 기공의 크기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삭제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딸기 모주에서 발생된 런너를 크라운이 포함되도록 자르는 제 1단계;
    상기 런너를 배지에 꽂고, 상기 크라운은 지면에 닿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 런너와 배지를 투명한 비닐 하우스 내에서 재배하는 제 2단계;
    상기 하우스를 제거한 다음, 액비를 관주하고 청색 LED로 보광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단계에서는, 크라운에서 런너 절단면까지의 거리가 3 내지 5cm가 되도록 자르고,
    상기 제 2단계에서는, 하우스 내에 포그시스템을 사용하여 상대습도 95%를 유지하면서 16일 동안 재배하며,
    상기 런너에 햇빛이 주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청색 LED를 100μmolㆍ m-2ㆍs-1 PPFD 광도로, 7일 동안 오전 5시부터 7시까지 보광하고,
    상기 딸기는 매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삽목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88223A 2018-07-28 2018-07-28 딸기 삽목 방법 KR101920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223A KR101920185B1 (ko) 2018-07-28 2018-07-28 딸기 삽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223A KR101920185B1 (ko) 2018-07-28 2018-07-28 딸기 삽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185B1 true KR101920185B1 (ko) 2019-02-08

Family

ID=6536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223A KR101920185B1 (ko) 2018-07-28 2018-07-28 딸기 삽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1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6468A (zh) * 2019-07-23 2019-09-13 新疆农业科学院综合试验场 一种适合寒地的露地草莓的育苗方法和种植方法
CN110432102A (zh) * 2019-07-25 2019-11-12 华润三九(雅安)药业有限公司 一种金果榄扦插繁殖方法
CN110946012A (zh) * 2019-10-21 2020-04-03 山东圣豪植物科技有限公司 一种苗木无性系快速繁育方法
CN111279900A (zh) * 2020-04-10 2020-06-16 岭南生态文旅股份有限公司 苗木压条繁殖固定架
WO2022104862A1 (zh) * 2020-11-18 2022-05-27 福建省中科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促进工业大麻生根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226B2 (ja) * 1992-11-30 2000-09-18 エイ・ティ・アンド・ティ・コーポレーション セルラ無線電話システム
JP2017000122A (ja) 2015-06-15 2017-01-05 みかど化工株式会社 イチゴ栽培用マルチ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226B2 (ja) * 1992-11-30 2000-09-18 エイ・ティ・アンド・ティ・コーポレーション セルラ無線電話システム
JP2017000122A (ja) 2015-06-15 2017-01-05 みかど化工株式会社 イチゴ栽培用マルチフィル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6468A (zh) * 2019-07-23 2019-09-13 新疆农业科学院综合试验场 一种适合寒地的露地草莓的育苗方法和种植方法
CN110226468B (zh) * 2019-07-23 2021-10-15 新疆农业科学院综合试验场 一种适合寒地的露地草莓的育苗方法和种植方法
CN110432102A (zh) * 2019-07-25 2019-11-12 华润三九(雅安)药业有限公司 一种金果榄扦插繁殖方法
CN110946012A (zh) * 2019-10-21 2020-04-03 山东圣豪植物科技有限公司 一种苗木无性系快速繁育方法
CN111279900A (zh) * 2020-04-10 2020-06-16 岭南生态文旅股份有限公司 苗木压条繁殖固定架
WO2022104862A1 (zh) * 2020-11-18 2022-05-27 福建省中科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促进工业大麻生根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185B1 (ko) 딸기 삽목 방법
Hemming et al. The effect of diffuse light on crops
CN102113445B (zh) 思茅松嫩枝高效扦插扩繁育苗方法
CN101982050B (zh) 东北红豆杉无性繁育的方法
KR101330101B1 (ko) 접목·삽목묘 생산장치
MILENKOVIĆ et al. Yield and pepper quality a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using colour shade nets.
Both et al. Coordinated management of daily PAR integral and carbon dioxide for hydroponic lettuce production
CN104429853A (zh) 一种马铃薯种薯的生产方法
KR101870813B1 (ko) 두상 또는 안개 관수방법을 이용한 하절기 '매향' 딸기 삽목묘의 발근율 및 생육 향상 방법
CN109526432B (zh) 高海拔冷凉地区甜樱桃育苗及建园方法
Hejazi et al. Effects of planting time, irrigation system, rooting medium, and IBA concentration on cutting propagation of the persimmon dwarfing rootstock ‘MKR1’
KR20030031030A (ko) 황금소나무의 접목방법
CN110558130B (zh) 七子花扦插方法
RU2707529C1 (ru) Способ размножения туи западной
CN108935094A (zh) 一种快速高效的白芨栽培方法
Jat et al. Hybrid seed production of bitter gourd is a remunerative venture
CN105075602A (zh) 一种马铃薯种薯的生产方法
CN110754305A (zh) 一种高产的火龙果种植方法
CN104521583B (zh) 一种蓖麻嫁接方法
KR101535376B1 (ko) 고로쇠나무의 속성 번식방법
Sharma et al. Effect of substrate mixtures on precocity and flower development in strawberry potted plants
CN107873285A (zh) 一种金边瑞香花期冬季扦插方法
CN115715523B (zh) 一种滇中地区草莓脱毒种源快速构建与扩繁的方法
CN110521568B (zh) 一种婚纱吊兰的快速繁殖方法
Isoyama et al. Effects of Supplemental LED Interlighting Irradiance Position on Photosynthesis and Aboveground Dry-Matter Weight Accumulation in Tomatoes Under Dense Pla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