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066B1 - 과실나무 박피기 - Google Patents

과실나무 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066B1
KR101919066B1 KR1020170045617A KR20170045617A KR101919066B1 KR 101919066 B1 KR101919066 B1 KR 101919066B1 KR 1020170045617 A KR1020170045617 A KR 1020170045617A KR 20170045617 A KR20170045617 A KR 20170045617A KR 101919066 B1 KR101919066 B1 KR 101919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circular
diameter
circular blade
blade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873A (ko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김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호 filed Critical 김용호
Priority to KR102017004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06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1Manual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runing 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3Manual pruning sa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이 큰 것을 고려하여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의 원호 크기를 상대적으로 넉넉하게, 즉 크게 제작하여 사용토록 하는 대신 직경이 작은 줄기일 경우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로부터의 거리를 직경조절횡단뭉치(40) 또는 직경조절스틱뭉치(50)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줄기의 직경이 크든 작든 껍질을 신속하게 제거케 함으로써 작업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과실나무 박피기{PEELING DEVICE FOR FRUIT TREE}
본 발명은 과실나무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이 큰 것을 고려하여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의 원호 크기를 상대적으로 넉넉하게, 즉 크게 제작하여 사용토록 하는 대신 직경이 작은 줄기일 경우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로부터의 거리를 직경조절횡단뭉치 또는 직경조절스틱뭉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줄기의 직경이 크든 작든 껍질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작업성을 보장토록 한 과실나무 박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실나무를 박피하는 기술은 과실나무에서 원줄기의 수피(樹皮)를 인피(靭皮) 부위에 이르는 깊이까지 나비 3∼12㎜ 정도의 고리 모양으로 껍질을 벗겨내는 기술이다.
잎에서 만들어진 양분의 이동통로인 원줄기나 가지가 박피되면, 뿌리로 가는 양분이 차단됨으로써 일시적으로 양분이 과실 등의 지상부에 축적된다.
예를 들어, 포도나무의 경우 포도송이가 익어갈 때쯤 박피를 시행하게 되면 포도송이의 색을 진하고 예쁘게 낼 수 있고, 당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00249호)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에 적용된 제1,2 제거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에 적용된 제1 커터들 및 제1 제거레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d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제2 커터와 제2 제거레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100)는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와, 한 쌍의 제1 커터(130)들 및 제2 커터(140)와, 제1 제거레버(150) 그리고 제2 제거레버(160)를 포함한다.
제1 몸체(110)는 제1 손잡이부(111)와 제1 그립부(112)를 구비한다. 제1 그립부(112)는 제1 손잡이부(1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 몸체(120)는 제2 손잡이(121)와 제2 그립부(122)를 구비한다. 제2 그립부(122)는 제2 손잡이부(1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 손잡이부(121)가 제1 손잡이부(111)와 대응되고 제2 그립부(122)가 제1 그립부(112)와 대응되도록 제2 몸체(120)가 제1 몸체(110)와 교차된 상태에서,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와 교차되는 부분에 힌지축(101)으로 결합된다.
작업자가 제1,2 손잡이부(111)(121)를 쥔 상태에서 오므리거나 벌리게 되면 제1 그립부(112)와 제2그립부(122) 사이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질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제1 커터(130)들은 서로 이격되어 제1 그립부(112)에 각각 설치된다. 제1 커터(130)들은 제1 그립부(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 평면 상에 배열된다. 제1 커터(130)들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줄로 서로 이격되고 제2 그립부(122) 쪽으로 돌출된 제1 커터날(131)들을 각각 갖는다.
제1,2 그립부(112)(122)가 수평으로 놓인 위치를 기준으로 제1 커터날(131)들은 상하로 배열된다. 제1,2 그립부(112)(122)가 나무줄기를 집게 되면, 제1 커터날(131)들 사이에 위치하는 나무줄기의 껍질 부분을 고리 모양으로 잘라낼 수 있게 한다. 제1 커터날(131)들 사이의 간격은 잘라내고자 하는 껍질의 나비에 맞게 설정될 수있다. 예를 들어, 잘라내고자 하는 껍질의 나비가 6㎜라면, 제1 커터날(131)들 사이의 간격은 6㎜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커터(140)는 제1 커터(130)들 사이에서 제1 커터(130)들과 마주하도록 위치되어 제2 그립부(122)에 설치된다. 제2 커터(140)는 제1 커터(130)들과 함께 동일 평면 상에 삼각 형태로 배열된다. 제2 커터(140)는 제1 커터(130)들과의 사이로 나무줄기를 삽입시켜 나무줄기의 둘레를 따라 박피시킬 수 있게 한다.
제2 커터(140)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줄로 서로 이격되고 제1 그립부(112) 쪽으로 돌출된 제2 커터날(141)들을 갖는다. 제1,2 그립부(112)(122)가 수평으로 놓인 위치를 기준으로 제2 커터날(141)들은 제1 커터날(131)들과 동일한 높이로 상하로 배열되어 제2 커터날(141)들 사이에 위치하는 나무줄기의 껍질 부분을 고리모양으로 잘라낼 수 있게 한다.
제1 제거레버(150)는 각각의 제1 커터(130)들 사이에 인입된 상태에서 인출되면서 각각의 제1 커터날(131)들 사이에 끼인 나무껍질을 제거하도록 제1 그립부(1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제거레버(160)는 제2 커터날(141)들 사이에 인입된 상태에서 인출되면서 제2 커터날(141)들 사이에 끼인 나무껍질을 제거하도록 제2 그립부(1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나무줄기의 껍질이 제1,2 커터(130)(140)에 의해 잘리기만 하고 그대로 나무줄기에 붙어있는 경우, 제1,2 제거레버(150)(160)의 각 돌출 부위나 제1,2 그립부(112)(122)의 각 선단을 이용하여 잘린 부위를 파내고 밀어냄으로써, 잘린 껍질을 나무줄기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는 과실나무의 직경이 지나치게 크거나 지나치게 작을 경우 제1,2 손잡이부(111)(121)를 파지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벌리거나 그 반대로 오므려야만 하고, 심지어는 과실나무의 직경에 맞출 수 없는 경우까지 발생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는 나무줄기의 껍질이 제1,2커터(130)(140)에 의해 잘린 후 나무줄기에 붙어있는 경우 제1,2 제거레버(150)(160)의 각 돌출 부위나 제1,2 그립부(112)(122)의 각 선단을 이용하여 잘린 부위를 파내고 밀어내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나무줄기에 붙어있는 껍질을 파내고자 할 경우 제1,2 손잡이부(111)(121)를 잡고 제1,2 제거레버(150)(160)의 각 돌출 부위나 제1,2 그립부(112)(122)의 각 선단을 세워야 할 뿐만 아니라 이렇게 세울 경우 제1,2 제거레버(150)(160)의 각 돌출 부위나 제1,2 그립부(112)(122)의 각 선단으로의 미는 힘이 나무줄기의 껍질에 잘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껍질 제거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나아가 나무줄기에 붙어있는 껍질을 밀어서 파내고자 할 경우 제1,2 손잡이부(111)(121)를 잡고 제1,2 제거레버(150)(160)의 각 돌출 부위나 제1,2 그립부(112)(122)의 각 선단을 껍질을 향하여 밀어내야만 하여, 자칫 껍질의 저항(껍질이 줄기에 붙어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저항)을 이겨내는 순간 제1,2 손잡이부(111)(121)가 함께 밀려가면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나무줄기에 순식간에 부딪히면서 상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00249호 - 과실나무용 박피기
본 발명의 목적은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이 큰 것을 고려하여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의 원호 크기를 상대적으로 넉넉하게, 즉 크게 제작하여 사용토록 하는 대신 직경이 작은 줄기일 경우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로부터의 거리를 직경조절횡단뭉치 또는 직경조절스틱뭉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줄기의 직경이 크든 작든 껍질을 신속하게 제거케 하여 작업성을 보장토록 한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 그리고 직경조절횡단바에 의한 삼각지점을 이룬 상태에서 제1핸들 및 제2핸들을 더 벌리거나 더 오므려서 과실나무 줄기의 미세한 직경 차이를 극복케 할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 크기가 훨씬 더 크게 차이가 날 경우 제1조절볼트 및 제2조절볼트를 다른 위치의 제1직경조절홀들 및 제2직경조절홀들에 끼워줌으로써 더 큰 직경의 크기 차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그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 중심에 절곡부가 맞닿도록 하여 줄기의 다른 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상처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돌출부들로서 동시에 긁으면서 자동으로 박피할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를 향하도록 제1원호그립에 일직선상으로 돌출된 고정볼트들에 직경조절스틱의 유격홈이 끼워지도록 하여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 그리고 직경조절스틱이 삼각지점을 이루어 과실나무 줄기의 외주연에 맞닿을 수 있도록 한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 그리고 직경조절스틱에 의한 삼각지점을 이룬 상태에서 제1핸들 및 제2핸들을 더 벌리거나 더 오므려서 과실나무 줄기의 미세한 직경 차이를 극복케 할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 크기가 훨씬 더 크게 차이가 날 경우에는 유격홈을 따라 고정볼트들로부터 직경조절스틱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줌으로써 더 큰 직경의 크기 차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그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 중심에 절곡단부가 맞닿도록 하여 줄기의 다른 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상처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절곡단부로서 동시에 긁으면서 자동으로 박피할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실나무 줄기의 껍질이 매우 단단할 경우를 대비하여 절곡단부의 끝단에 장착된 제3원형칼날뭉치를 더 포함시켜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와 더불어 줄기의 껍질에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을 더욱 수월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실나무의 박피를 위하여 제1핸들 및 제2핸들을 잡고 돌릴 때 직경조절스틱이 밀려가는 현상(후진되는 현상)을 내측톱니에 의해 저항토록 하여 작업성을 보장케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실나무의 박피를 위하여 제1핸들 및 제2핸들을 잡고 돌릴 때 직경조절스틱이 밀려가는 현상(후진되는 현상)을 외측톱니에 맞물리는 스토퍼뭉치에 의해 더욱 철저히 차단시켜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경조절횡단뭉치 또는 직경조절스틱뭉치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볼록부를 통해 동시에 긁으면서 자동으로 박피케 할 수 있도록 한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힌지홀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1원호그립 및 제1핸들을 지닌 제1회동바와, 제2힌지홀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2원호그립 및 제2핸들을 지닌 제2회동바와, 상기 제1힌지홀 및 제2힌지홀에 끼워져 상기 제1회동바 및 제2회동바를 교차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축과, 상기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를 포함하는 과실나무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을 횡단토록 조립되어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하여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조절횡단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힌지홀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1원호그립 및 제1핸들을 지닌 제1회동바와, 제2힌지홀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2원호그립 및 제2핸들을 지닌 제2회동바와, 상기 제1힌지홀 및 제2힌지홀에 끼워져 상기 제1회동바 및 제2회동바를 교차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축과, 상기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를 포함하는 과실나무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를 향하도록 상기 제1원호그립에 조립되면서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를 향하는 거리를 조절하여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조절스틱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힌지홀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1원호그립 및 제1핸들을 지닌 제1회동바와, 제2힌지홀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2원호그립 및 제2핸들을 지닌 제2회동바와, 상기 제1힌지홀 및 제2힌지홀에 끼워져 상기 제1회동바 및 제2회동바를 교차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축과, 상기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를 포함하는 과실나무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그립은 상기 제1힌지홀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를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그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이 큰 것을 고려하여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의 원호 크기를 상대적으로 넉넉하게, 즉 크게 제작하여 사용토록 하는 대신 직경이 작은 줄기일 경우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로부터의 거리를 직경조절횡단뭉치 또는 직경조절스틱뭉치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줄기의 직경이 크든 작든 껍질을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작업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 그리고 직경조절횡단바에 의한 삼각지점을 이룬 상태에서 제1핸들 및 제2핸들을 더 벌리거나 더 오므려서 과실나무 줄기의 미세한 직경 차이를 극복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 크기가 훨씬 더 크게 차이가 날 경우 제1조절볼트 및 제2조절볼트를 다른 위치의 제1직경조절홀들 및 제2직경조절홀들에 끼워줌으로써 더 큰 직경의 크기 차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그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 중심에 절곡부가 맞닿도록 하여 줄기의 다른 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상처를 미연에 방지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돌출부들로서 동시에 긁으면서 자동으로 박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이 큰 것에 대비하여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의 원호 크기를 상대적으로 넉넉하게, 즉 크게 제작하여 사용토록 하는 대신 직경이 작은 줄기일 경우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로부터의 거리를 직경조절스틱뭉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줄기의 직경이 크든 작든 껍질을 신속하게 제거케 함으로써 작업성을 보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 그리고 직경조절스틱에 의한 삼각지점을 이룬 상태에서 제1핸들 및 제2핸들을 더 벌리거나 더 오므려서 과실나무 줄기의 미세한 직경 차이를 극복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 크기가 훨씬 더 크게 차이가 날 경우에는 유격홈을 따라 고정볼트들로부터 직경조절스틱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줌으로써 더 큰 직경의 크기 차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그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 중심에 절곡단부가 맞닿도록 하여 줄기의 다른 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상처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절곡단부로서 동시에 긁으면서 자동으로 박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과실나무 줄기의 껍질이 매우 단단할 경우를 대비하여 절곡단부의 끝단에 장착된 제3원형칼날뭉치를 더 포함시켜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와 더불어 줄기의 껍질에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을 더욱 수월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과실나무의 박피를 위하여 제1핸들 및 제2핸들을 잡고 돌릴 때 직경조절스틱이 밀려가는 현상(후진되는 현상)을 내측톱니에 의해 저항토록 하여 작업성을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과실나무의 박피를 위하여 제1핸들 및 제2핸들을 잡고 돌릴 때 직경조절스틱이 밀려가는 현상(후진되는 현상)을 외측톱니에 맞물리는 스토퍼뭉치에 의해 더욱 철저히 차단시켜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를 활용하여 과실나무 줄기의 껍질에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제1원호그립의 연장턱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갈퀴로서 간단히 긁어 박피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직경조절횡단뭉치 또는 직경조절스틱뭉치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볼록부를 통해 동시에 긁으면서 자동으로 박피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에 적용된 제1,2 제거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에 적용된 제1 커터들 및 제1 제거레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d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제2 커터와 제2 제거레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로 과실나무의 원줄기에서 껍질을 커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갈퀴로 과실나무의 원줄기로부터 껍질을 긁어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로 과실나무의 원줄기에서 껍질을 커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3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제1원형칼날뭉치, 제2원형칼날뭉치 및 제3원형칼날뭉치로 과실나무의 원줄기에서 껍질을 커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로 과실나무의 원줄기에서 껍질을 커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갈퀴(81)로 과실나무의 원줄기로부터 껍질을 긁어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는 과실나무의 원줄기에서 껍질을 얇은 폭과 얕은 깊이로 벗겨내어 과실의 색을 진하고 예쁘게 낼 수 있도록 하면서 당도 또한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홀(1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1원호그립(12) 및 제1핸들(13)을 지닌 제1회동바(10)와, 제2힌지홀(2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2원호그립(22) 및 제2핸들(23)을 지닌 제2회동바(20)와, 제1힌지홀(11) 및 제2힌지홀(21)에 끼워져 제1회동바(10) 및 제2회동바(20)를 교차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축(30; 축 및 너트 포함)과,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포함한다.
제1핸들(13) 및 제2핸들(23)을 벌려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을 교차 회동시켜 상호 벌려지도록 하여 과실나무의 줄기를 받아들인 후 제2핸들(23) 및 제2핸들(23)을 오므려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을 교차 회동시켜 상호 오므려지도록 하여 줄기의 껍질 속으로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가 파고들도록 한 상태에서 제1핸들(13) 및 제2핸들(23)을 동시에 잡고 돌리면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에 의해 줄기의 껍질에 동일한 폭(바람직하게는 5∼10㎜의 폭)과 동일한 깊이(바람직하게는 3∼6㎜의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과실나무의 줄기는 그 수령에 따라 직경의 크기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데, 직경의 차이가 작을 경우에는 제1핸들(13) 및 제2핸들(23)을 벌린 각도에 따라 작업(껍질 제거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나, 직경의 차이가 클 경우에는 제1핸들(13) 및 제2핸들(23)의 벌린 각도 또는 오므리는 각도로서도 한계가 있어 껍질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곤 한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을 횡단토록 조립되어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하여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조절횡단뭉치(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는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이 큰 것을 고려하여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의 원호 크기를 상대적으로 넉넉하게, 즉 크게 제작하여 사용토록 하는 대신 직경이 작은 줄기일 경우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로부터의 거리를 직경조절횡단뭉치(40)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줄기의 직경이 크든 작든 껍질을 신속하게 제거케 함으로써 작업성을 보장케 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직경조절횡단뭉치(40)는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각각 뚫려진 제1직경조절홀(41a)들 및 제2직경조절홀(41b)들과, 이들 제1직경조절홀(41a)들 및 제2직경조절홀(41b)들에 선택적으로 각각 끼워지는 제1조절볼트(43a) 및 제2조절볼트(43b)와, 제1조절볼트(43a) 및 제2조절볼트(43b)에 각각 끼워지는 제1장홈(42a) 및 제2장홈(42b)을 지님과 동시에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을 횡단하면서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조절횡단바(42)와, 제1조절볼트(43a) 및 제2조절볼트(43b)에 각각 조립되는 제1조절너트(44a) 및 제2조절너트(44b)를 포함한다[제1조절너트(44a) 및 제2조절너트(44b)는 제1조절볼트(43a) 및 제2조절볼트(43b)의 길이를 길게 하면서 직경조절횡단바(42)를 위쪽으로 위치되도록 할 경우 실제 적용치 않을 수도 있다].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각각 뚫려진 제1직경조절홀(41a)들 및 제2직경조절홀(41b)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제1조절볼트(43a) 및 제2조절볼트(43b)에 직경조절횡단바(42)의 제1장홈(42a) 및 제2장홈(42b)이 끼워지도록 하여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 그리고 직경조절횡단바(42)가 삼각지점을 이루어 과실나무 줄기의 외주연에 맞닿을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핸들(13) 및 제2핸들(23)을 잡고서 돌리게 되면 과실나무 줄기의 껍질 속으로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가 파고들면서 껍질에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 그리고 직경조절횡단바(42)에 의한 삼각지점을 이룬 상태에서 제1핸들(13) 및 제2핸들(23)을 더 벌리거나 더 오므려서[제1장홈(42a) 및 제2장홈(42b)을 따라 제1조절볼트(43a) 및 제2조절볼트(43b)가 회동되면서 제1핸들(13) 및 제2핸들(23)이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함] 과실나무 줄기의 미세한 직경 차이를 극복케 할 수 있고, 나아가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 크기가 훨씬 더 크게 차이가 날 경우에는 제1조절볼트(43a) 및 제2조절볼트(43b)를 다른 위치의 제1직경조절홀(41a)들 및 제2직경조절홀(41b)들에 끼워줌으로써 더 큰 직경의 크기 차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직경조절횡단바(42)는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의 중심 및 힌지축(30)의 중심에 수평선상으로 일치하도록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42c)를 가지도록 하여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그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 중심에 절곡부(42c)가 맞닿도록 하여 줄기의 다른 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상처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고, 바람직하게 절곡부(42c)는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42d)들을 더 구비하여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돌출부(42d)들로서 동시에 긁으면서 자동으로 박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로 과실나무의 원줄기에서 껍질을 커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 역시 과실나무의 원줄기에서 껍질을 얇은 폭과 얕은 깊이로 벗겨내어 과실의 색을 진하고 예쁘게 낼 수 있도록 하면서 당도 또한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홀(1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1원호그립(12) 및 제1핸들(13)을 지닌 제1회동바(10)와, 제2힌지홀(2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2원호그립(22) 및 제2핸들(23)을 지닌 제2회동바(20)와, 제1힌지홀(11) 및 제2힌지홀(21)에 끼워져 제1회동바(10) 및 제2회동바(20)를 교차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축(30)과,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향하도록 제1원호그립(12)에 조립되면서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향하는 거리를 조절하여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조절스틱뭉치(50)를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는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이 큰 것을 고려하여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의 원호 크기를 상대적으로 넉넉하게, 즉 크게 제작하여 사용토록 하는 대신 직경이 작은 줄기일 경우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로부터의 거리를 직경조절스틱뭉치(50)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줄기의 직경이 크든 작든 껍질을 신속하게 제거케 함으로써 작업성을 보장케 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직경조절스틱뭉치(50)는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향하도록 제1원호그립(12)에 일직선상으로 돌출된 고정볼트(51)들과, 이들 고정볼트(51)들에 끼워지는 유격홈(52a)을 지니면서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향하는 거리를 조절하여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조절스틱(52)과, 고정볼트(51)들에 각각 조립되는 고정너트(53)들을 포함한다.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향하도록 제1원호그립(12)에 일직선상으로 돌출된 고정볼트(51)들에 직경조절스틱(52)의 유격홈(52a)이 끼워지도록 하여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 그리고 직경조절스틱(52)이 삼각지점을 이루어 과실나무 줄기의 외주연에 맞닿을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핸들(13) 및 제2핸들(23)을 잡고서 돌리게 되면 과실나무 줄기의 껍질 속으로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가 파고들면서 껍질에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 그리고 직경조절스틱(52)에 의한 삼각지점을 이룬 상태에서 제1핸들(13) 및 제2핸들(23)을 더 벌리거나 더 오므려서 과실나무 줄기의 미세한 직경 차이를 극복케 할 수 있고, 나아가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 크기가 훨씬 더 크게 차이가 날 경우에는 유격홈(52a)을 따라 고정볼트(51)들로부터 직경조절스틱(52)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줌으로써 더 큰 직경의 크기 차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직경조절스틱(52)은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절곡된 절곡단부(52c)를 가지도록 하여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그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 중심에 절곡단부(52c)가 맞닿도록 하여 줄기의 다른 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상처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고, 바람직하게 절곡단부(52c)에 의해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동시에 긁으면서 자동으로 박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제1원형칼날뭉치(60), 제2원형칼날뭉치(70) 및 제3원형칼날뭉치(54)로 과실나무의 원줄기에서 껍질을 커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는 과실나무 줄기의 껍질이 매우 단단할 경우를 대비하여 절곡단부(52c)의 끝단에 장착된 제3원형칼날뭉치(54)를 더 포함시켜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와 더불어 줄기의 껍질에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을 더욱 수월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직경조절스틱(52)은 유격홈(52a)의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톱니(52b)를 더 구비하여 과실나무의 박피를 위하여 제1핸들(13) 및 제2핸들(23)을 잡고 돌릴 때 직경조절스틱(52)이 밀려가는 현상(후진되는 현상)을 내측톱니(52b)에 의해 저항토록 하여 작업성을 보장케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직경조절스틱뭉치(50)는 직경조절스틱(52)의 사이드에 형성된 외측톱니(52d)와, 제1원호그립(12)에 고정되어 직경조절스틱(52)의 후진을 차단토록 외측톱니(52d)에 맞물리는 스토퍼뭉치(55)를 더 포함하여 과실나무의 박피를 위하여 제1핸들(13) 및 제2핸들(23)을 잡고 돌릴 때 직경조절스틱(52)이 밀려가는 현상(후진되는 현상)을 외측톱니(52d)에 맞물리는 스토퍼뭉치(55)에 의해 더욱 철저히 차단시켜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토퍼뭉치(55)는 제1원호그립(12)에 돌출된 체결봉(55a)과, 체결봉(55a)에 끼워져 외측톱니(52d)에 맞물리는 스토퍼(55b)와, 체결봉(55a)에 조립되는 체결너트(55c)를 포함하여, 체결봉(55a)에 끼워진 스토퍼(55b)가 외측톱니(52d)에 맞물림으로써 직경조절스틱(52)의 후진을 더욱 적극적으로 차단케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는 제1원호그립(1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연장턱(80)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갈퀴(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활용하여 과실나무 줄기의 껍질에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제1원호그립(12)의 연장턱(8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갈퀴(81)로서 간단히 긁어 박피케 하는 것이다.
과실나무 줄기의 껍질을 무리한 힘으로 밀면서 벗기는 것이 아닌 갈퀴(81)로서 긁어내듯 벗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 나무에 부딪히는 현상을 철저히 발생치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훨씬 더 신속 간단하게 박피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그리고, 제1원형칼날뭉치(60)는 제1원호그립(12)에 각각 뚫려진 축홀(H1)과, 제1원호그립(12)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양방향 볼륨(V)을 지닌 한 쌍의 원형칼날(K)과, 축홀(H1)에 끼워져 원형칼날(K)을 회전 가능하게 잡아주는 축볼트(B) 및 축너트(N)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로 제2원형칼날뭉치(70) 또는 제3원형칼날뭉치(54) 역시 제1원형칼날뭉치(60)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설명상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원형칼날(K)이 양방향 볼륨(V)에 의해 제1원호그립(12) 에 간격을 두고서 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볼트(B)의 머리 및 축너트(N)와도 간격을 두고서 밀착될 수 있게 되어 과실나무의 줄기를 감싸면서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을 회전시킬 때 한 쌍의 원형칼날(K)이 마찰 없이 훨씬 더 부드럽게 회전되면서 과실나무 줄기의 껍질을 커팅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그리고, 제1원호그립(12)은 제1힌지홀(11)의 주변으로부터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12a)를 더 구비하여 직경조절횡단뭉치(40) 또는 직경조절스틱뭉치(50)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에 의해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이 껍질에 형성될 때 볼록부(12a)를 통해 동시에 긁으면서 자동으로 박피케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포도나무 키위나무 사과나무 다래나무와 같은 과실나무의 줄기로부터 껍질을 얇은 폭과 얕은 깊이로 벗겨내는, 즉 박피하는 산업 기술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제1회동바 11 : 제1힌지홀
12 : 제1원호그립 12a : 볼록부
13 : 제1핸들 20 : 제2회동바
21 : 제2힌지홀 22 : 제2원호그립
23 : 제2핸들 30 : 힌지축
40 : 직경조절횡단뭉치 41a : 제1직경조절홀
41b : 제2직경조절홀 42 : 직경조절횡단바
42a : 제1장홈 42b : 제2장홈
42c : 절곡부 42d : 돌출부
43a : 제1조절볼트 43b : 제2조절볼트
44a : 제1조절너트 44b : 제2조절너트
50 : 직경조절스틱뭉치 51 : 고정볼트
52 : 직경조절스틱 52a : 유격홈
52b : 내측톱니 52c : 절곡단부
52d : 외측톱니 53 : 고정너트
54 : 제3원형칼날뭉치 55 : 스토퍼뭉치
55a : 체결봉 55b : 스토퍼
55c : 체결너트 60 : 제1원형칼날뭉치
70 : 제2원형칼날뭉치 H1 : 축홀
V : 양방향 볼륨 K : 원형칼날
B : 축볼트 N : 축너트
80 : 연장턱 81 : 갈퀴

Claims (15)

  1. 제1힌지홀(1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1원호그립(12) 및 제1핸들(13)을 지닌 제1회동바(10)와, 제2힌지홀(2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2원호그립(22) 및 제2핸들(23)을 지닌 제2회동바(20)와, 상기 제1힌지홀(11) 및 제2힌지홀(21)에 끼워져 상기 제1회동바(10) 및 제2회동바(20)를 교차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축(30)과, 상기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포함하는 과실나무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을 횡단토록 조립되어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하여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조절횡단뭉치(40)를 포함하고,
    상기 직경조절횡단뭉치(40)는 상기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각각 뚫려진 제1직경조절홀(41a)들 및 제2직경조절홀(41b)들과, 상기 제1직경조절홀(41a)들 및 제2직경조절홀(41b)들에 선택적으로 각각 끼워지는 제1조절볼트(43a) 및 제2조절볼트(43b)와, 상기 제1조절볼트(43a) 및 제2조절볼트(43b)에 각각 끼워지는 제1장홈(42a) 및 제2장홈(42b)을 지님과 동시에 상기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을 횡단하면서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조절횡단바(42)를 포함하고,
    상기 직경조절횡단뭉치(40)는 상기 제1조절볼트(43a) 및 제2조절볼트(43b)에 각각 조립되는 제1조절너트(44a) 및 제2조절너트(44b)를 포함하고,
    상기 직경조절횡단바(42)는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의 중심 및 상기 힌지축(30)의 중심에 수평선상으로 일치하도록 상기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42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42c)는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42d)들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6. 제1힌지홀(1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1원호그립(12) 및 제1핸들(13)을 지닌 제1회동바(10)와, 제2힌지홀(2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2원호그립(22) 및 제2핸들(23)을 지닌 제2회동바(20)와, 상기 제1힌지홀(11) 및 제2힌지홀(21)에 끼워져 상기 제1회동바(10) 및 제2회동바(20)를 교차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축(30)과, 상기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포함하는 과실나무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향하도록 상기 제1원호그립(12)에 조립되면서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향하는 거리를 조절하여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조절스틱뭉치(50)를 포함하고,
    상기 직경조절스틱뭉치(50)는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향하도록 상기 제1원호그립(12)에 일직선상으로 돌출된 고정볼트(51)들과, 상기 고정볼트(51)들에 끼워지는 유격홈(52a)을 지니면서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향하는 거리를 조절하여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조절스틱(52)과, 상기 고정볼트(51)들에 각각 조립되는 고정너트(53)들을 포함하고,
    상기 직경조절스틱(52)은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절곡된 절곡단부(52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단부(52c)의 끝단에 장착된 제3원형칼날뭉치(5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조절스틱(52)은 상기 유격홈(52a)의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톱니(52b)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조절스틱뭉치(50)는
    상기 직경조절스틱(52)의 사이드에 형성된 외측톱니(52d)와,
    상기 제1원호그립(12)에 고정되어 상기 직경조절스틱(52)의 후진을 차단토록 상기 외측톱니(52d)에 맞물리는 스토퍼뭉치(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뭉치(55)는
    상기 제1원호그립(12)에 돌출된 체결봉(55a)과,
    상기 체결봉(55a)에 끼워져 상기 외측톱니(52d)에 맞물리는 스토퍼(55b)와,
    상기 체결봉(55a)에 조립되는 체결너트(5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13. 제1항, 제5항, 제6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그립(1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연장턱(80)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갈퀴(8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14. 제1항, 제5항, 제6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그립(12)은 상기 제1힌지홀(11)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60) 및 제2원형칼날뭉치(70)를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12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15. 삭제
KR1020170045617A 2017-04-08 2017-04-08 과실나무 박피기 KR101919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617A KR101919066B1 (ko) 2017-04-08 2017-04-08 과실나무 박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617A KR101919066B1 (ko) 2017-04-08 2017-04-08 과실나무 박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73A KR20180113873A (ko) 2018-10-17
KR101919066B1 true KR101919066B1 (ko) 2018-11-19

Family

ID=6409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617A KR101919066B1 (ko) 2017-04-08 2017-04-08 과실나무 박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724A (ko) * 2020-07-29 2022-02-07 장상홍 양식용 밧줄 이물질 제거용 집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9714B (zh) * 2019-07-15 2021-08-17 徐州果姿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果树横割器
KR102566730B1 (ko) * 2020-12-29 2023-08-11 조이혁 과수용 속피 절단기
CN117941542B (zh) * 2024-03-01 2024-08-06 仲恺农业工程学院 自主攀爬式肉桂剥皮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724A (ko) * 2020-07-29 2022-02-07 장상홍 양식용 밧줄 이물질 제거용 집게
KR102459580B1 (ko) 2020-07-29 2022-10-27 장상홍 양식용 밧줄 이물질 제거용 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73A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066B1 (ko) 과실나무 박피기
EP1417913B1 (de) Sparschäler
US8074361B2 (en) Rose pruning and stripping device
KR200472987Y1 (ko) 과실삽입부를 포함하는 적과 가위
KR101726437B1 (ko) 박피 깊이의 조절기능을 갖는 환상박피기
EP1476058B1 (de) Gemüseschäler
EP3771534B1 (de) Rollschneider mit auswechselbarer klinge
KR101300246B1 (ko) 과실나무용 박피기
KR20180099255A (ko) 과실나무 박피기
AT396199B (de) Geraet zum abschneiden von aesten, baeumchen und straeuchern
DE19707739C1 (de) Abisolierzange für ummantelte elektrische Kabel
KR102584943B1 (ko) 손 다침 방지용 칼
KR20170124269A (ko) 박피기능을 갖춘 안전 과도
JP6469818B1 (ja) 植物の摘葉カッター
DE202005003252U1 (de) Freischneidegerät mit einem Wickelschutz
KR101975987B1 (ko) 화훼용 가위
EP1795066B1 (de) Motorisch angetriebenes Handschneidgerät für kleine Zierhecken, Gesträuche
JPH09135629A (ja) 摘花ハサミ
KR102637564B1 (ko) 탄성 자루 정렬편을 구비한 적과가위
EP1591047B1 (de) Zange zum Entfernen unerwünschter oder ungeniessbarer Bereiche aus Gemüsen, Früchten oder Knollen
KR102282824B1 (ko) 과실나무 신초수세 조절용 염지가위
CN213245803U (zh) 一种可调节开口大小的园艺剪
DE10333335B3 (de) Werkzeug zum Entfernen des Stielansatzes von Tomaten
DE102019000091B4 (de) Vorrichtung zum Beschneiden einer Frucht
AT163359B (de) Werkzeug zum Ausschneiden von Baumkrebs- und Gummiflußwunden u. dgl., insbesondere an Obstbäu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