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255A - 과실나무 박피기 - Google Patents

과실나무 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255A
KR20180099255A KR1020170026455A KR20170026455A KR20180099255A KR 20180099255 A KR20180099255 A KR 20180099255A KR 1020170026455 A KR1020170026455 A KR 1020170026455A KR 20170026455 A KR20170026455 A KR 20170026455A KR 20180099255 A KR20180099255 A KR 20180099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arc grip
circular arc
grip
fruit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김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호 filed Critical 김용호
Priority to KR102017002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9255A/ko
Publication of KR2018009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00Debarking or removing vestiges of branches from trees or logs; Machines therefor
    • B27L1/06Manually- operated or portable devices for debarking or for removing vestiges of bran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를 활용하여 과실나무의 껍질에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제1원호그립(12)의 연장턱(7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갈퀴(80)로서 간단히 긁어 박피케 하는 것으로, 과실나무의 껍질을 무리한 힘으로 밀면서 벗기는 것이 아닌 갈퀴(80)로서 긁어내듯 벗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 나무에 부딪히는 현상을 철저히 발생치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훨씬 더 신속 간단하게 박피케 할 수 있어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과실나무 박피기{PEELING DEVICE FOR FRUIT TREE}
본 발명은 과실나무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갈퀴로서 껍질을 긁어내듯 벗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 나무에 부딪히는 현상을 철저히 발생치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훨씬 더 신속 간단하게 박피케 할 수 있어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실나무를 박피하는 기술은 과실나무에서 원줄기의 수피(樹皮)를 인피(靭皮) 부위까지 달하는 깊이까지 나비 3∼12㎜ 정도의 고리 모양으로 껍질을 벗겨내는 기술이다.
잎에서 만들어진 양분의 이동통로인 원줄기나 가지가 박피되면, 뿌리로 가는 양분이 차단됨으로써 일시적으로 양분이 과실 등의 지상부에 축적된다.
예를 들어, 포도나무의 경우 포도송이가 익어갈 때쯤 박피를 시행하게 되면 포도송이의 색을 진하고 예쁘게 낼 수 있고, 당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00249호)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에 적용된 제1,2 제거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에 적용된 제1 커터들 및 제1 제거레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d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제2 커터와 제2 제거레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100)는 제1 몸체(110) 및 제2 몸체(120)와, 한 쌍의 제1 커터(130)들 및 제2 커터(140)와, 제1 제거레버(150) 그리고 제2 제거레버(160)를 포함한다.
제1 몸체(110)는 제1 손잡이부(111)와 제1 그립부(112)를 구비한다. 제1 그립부(112)는 제1 손잡이부(1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 몸체(120)는 제2 손잡이(121)와 제2 그립부(122)를 구비한다. 제2 그립부(122)는 제2 손잡이부(1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 손잡이부(121)가 제1 손잡이부(111)와 대응되고 제2 그립부(122)가 제1 그립부(112)와 대응되도록 제2 몸체(120)가 제1 몸체(110)와 교차된 상태에서,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와 교차되는 부분에 힌지축(101)으로 결합된다.
작업자가 제1,2 손잡이부(111)(121)를 쥔 상태에서 오므리거나 벌리게 되면 제1 그립부(112)와 제2그립부(122) 사이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질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제1 커터(130)들은 서로 이격되어 제1 그립부(112)에 각각 설치된다. 제1 커터(130)들은 제1 그립부(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 평면 상에 배열된다. 제1 커터(130)들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줄로 서로 이격되고 제2 그립부(122) 쪽으로 돌출된 제1 커터날(131)들을 각각 갖는다.
제1,2 그립부(112)(122)가 수평으로 놓인 위치를 기준으로 제1 커터날(131)들은 상하로 배열된다. 제1,2 그립부(112)(122)가 나무줄기를 집게 되면, 제1 커터날(131)들 사이에 위치하는 나무줄기의 껍질 부분을 고리 모양으로 잘라낼 수 있게 한다. 제1 커터날(131)들 사이의 간격은 잘라내고자 하는 껍질의 나비에 맞게 설정될 수있다. 예를 들어, 잘라내고자 하는 껍질의 나비가 6㎜라면, 제1 커터날(131)들 사이의 간격은 6㎜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커터(140)는 제1 커터(130)들 사이에서 제1 커터(130)들과 마주하도록 위치되어 제2 그립부(122)에 설치된다. 제2 커터(140)는 제1 커터(130)들과 함께 동일 평면 상에 삼각 형태로 배열된다. 제2 커터(140)는 제1 커터(130)들과의 사이로 나무줄기를 삽입시켜 나무줄기의 둘레를 따라 박피시킬 수 있게 한다.
제2 커터(140)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줄로 서로 이격되고 제1 그립부(112) 쪽으로 돌출된 제2 커터날(141)들을 갖는다. 제1,2 그립부(112)(122)가 수평으로 놓인 위치를 기준으로 제2 커터날(141)들은 제1 커터날(131)들과 동일한 높이로 상하로 배열되어 제2 커터날(141)들 사이에 위치하는 나무줄기의 껍질 부분을 고리모양으로 잘라낼 수 있게 한다.
제1 제거레버(150)는 각각의 제1 커터(130)들 사이에 인입된 상태에서 인출되면서 각각의 제1 커터날(131)들 사이에 끼인 나무껍질을 제거하도록 제1 그립부(1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제거레버(160)는 제2 커터날(141)들 사이에 인입된 상태에서 인출되면서 제2 커터날(141)들 사이에 끼인 나무껍질을 제거하도록 제2 그립부(1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나무줄기의 껍질이 제1,2 커터(130)(140)에 의해 잘리기만 하고 그대로 나무줄기에 붙어있는 경우, 제1,2 제거레버(150)(160)의 각 돌출 부위나 제1,2 그립부(112)(122)의 각 선단을 이용하여 잘린 부위를 파내고 밀어냄으로써, 잘린 껍질을 나무줄기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는 나무줄기의 껍질이 제1,2커터(130)(140)에 의해 잘린 후 나무줄기에 붙어있는 경우 제1,2 제거레버(150)(160)의 각 돌출 부위나 제1,2 그립부(112)(122)의 각 선단을 이용하여 잘린 부위를 파내고 밀어내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나무줄기에 붙어있는 껍질을 파내고자 할 경우 제1,2 손잡이부(111)(121)를 잡고 제1,2 제거레버(150)(160)의 각 돌출 부위나 제1,2 그립부(112)(122)의 각 선단을 세워야 할 뿐만 아니라 이렇게 세울 경우 제1,2 제거레버(150)(160)의 각 돌출 부위나 제1,2 그립부(112)(122)의 각 선단으로의 미는 힘이 나무줄기의 껍질에 잘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껍질 제거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나아가 나무줄기에 붙어있는 껍질을 밀어서 파내고자 할 경우 제1,2 손잡이부(111)(121)를 잡고 제1,2 제거레버(150)(160)의 각 돌출 부위나 제1,2 그립부(112)(122)의 각 선단을 껍질을 향하여 밀어내야만 하여, 자칫 껍질의 저항(껍질이 줄기에 붙어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저항)을 이겨내는 순간 제1,2 손잡이부(111)(121)가 함께 밀려가면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나무줄기에 순식간에 부딪히면서 상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00249호 - 과실나무용 박피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원호그립의 연장턱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갈퀴로서 껍질을 간단히 긁어 박피케 할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갈퀴로서 껍질을 긁어내듯 벗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 나무에 부딪히는 현상을 철저히 발생치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훨씬 더 신속 간단하게 박피케 할 수 있어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실나무의 껍질을 당기면서 긁지 아니하고 밀면서 긁어낼 때 자칫 껍질의 저항(껍질이 줄기에 붙어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저항)을 이겨내는 순간이 발생되더라도 제2원호그립이 먼저 과실나무의 줄기에 부딪힐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을 더욱 철저하게 보호케 할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진 첨단라인 및 후진 첨단라인을 통해 과실나무의 껍질을 보다 정확하게(껍질의 표면에 부딪혀 미끄러지는 현상 없이) 밀거나 당기면서 신속하게 긁어낼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평탄부가 과실나무의 줄기 속으로 미끄러지듯 이동되어 과실나무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실나무의 줄기를 감싸면서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을 회전시킬 때 한 쌍의 원형칼날이 마찰 없이 훨씬 더 부드럽게 회전되면서 과실나무의 껍질을 커팅할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축볼트를 이동하면서 한 쌍의 원형칼날을 조립케 하여 과수원 현장에서의 작업성까지 보장케 할 수 있는 과실나무 박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힌지홀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1원호그립 및 제1핸들을 지닌 제1회동바와, 제2힌지홀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2원호그립 및 제2핸들을 지닌 제2회동바와, 상기 제1힌지홀 및 제2힌지홀에 끼워져 상기 제1회동바 및 제2회동바를 교차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축과, 상기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를 포함하는 과실나무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그립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연장턱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갈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힌지홀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1원호그립 및 제1핸들을 지닌 제1회동바와, 제2힌지홀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2원호그립 및 제2핸들을 지닌 제2회동바와, 상기 제1힌지홀 및 제2힌지홀에 끼워져 상기 제1회동바 및 제2회동바를 교차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축과, 상기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를 포함하는 과실나무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는 상기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에 각각 뚫려진 축홀과, 상기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을 각각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양방향 볼륨을 지닌 한 쌍의 원형칼날과, 상기 축홀에 끼워져 상기 원형칼날을 회전 가능하게 잡아주는 축볼트 및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는 상기 제1원호그립 또는 제2원호그립에 뚫려진 직경조절 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를 활용하여 과실나무의 껍질에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제1원호그립의 연장턱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갈퀴로서 간단히 긁어 박피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과실나무의 껍질을 무리한 힘으로 밀면서 벗기는 것이 아닌 갈퀴로서 긁어내듯 벗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 나무에 부딪히는 현상을 철저히 발생치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훨씬 더 신속 간단하게 박피케 할 수 있어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갈퀴를 연장턱으로부터 제2원호그립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시켜 과실나무의 껍질을 당기면서 긁지 아니하고 밀면서 긁어낼 때 자칫 껍질의 저항(껍질이 줄기에 붙어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저항)을 이겨내는 순간이 발생되더라도 제2원호그립이 먼저 과실나무의 줄기에 부딪힐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을 더욱 철저하게 보호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진 첨단라인 및 후진 첨단라인을 통해 과실나무의 껍질을 보다 정확하게(껍질의 표면에 부딪혀 미끄러지는 현상 없이) 밀거나 당기면서 신속하게 긁어낼 수 있으며, 슬라이딩 평탄부가 과실나무의 줄기 속으로 미끄러지듯 이동되어 과실나무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원형칼날이 양방향 볼륨에 의해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에 간격을 두고서 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볼트의 머리 및 너트와도 간격을 두고서 밀착될 수 있게 되어 과실나무의 줄기를 감싸면서 제1원호그립 및 제2원호그립을 회전시킬 때 한 쌍의 원형칼날이 마찰 없이 훨씬 더 부드럽게 회전되면서 과실나무의 껍질을 커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축볼트를 이동하면서 한 쌍의 원형칼날을 조립케 하여 과수원 현장에서의 작업성까지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에 적용된 제1,2 제거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용 박피기에 적용된 제1 커터들 및 제1 제거레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d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제2 커터와 제2 제거레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제1원형칼날뭉치 및 제2원형칼날뭉치로 과실나무의 원줄기에서 껍질을 커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갈퀴로 과실나무의 원줄기로부터 껍질을 긁어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로 과실나무의 원줄기에서 껍질을 커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에 적용된 갈퀴(80)로 과실나무의 원줄기로부터 껍질을 긁어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는 과실나무의 원줄기에서 껍질을 얇은 폭과 얕은 깊이로 벗겨내어 과실의 색을 진하고 예쁘게 낼 수 있도록 하면서 당도 또한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홀(1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1원호그립(12) 및 제1핸들(13)을 지닌 제1회동바(10)와, 제2힌지홀(2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2원호그립(22) 및 제2핸들(23)을 지닌 제2회동바(20)와, 제1힌지홀(11) 및 제2힌지홀(21)에 끼워져 제1회동바(10) 및 제2회동바(20)를 교차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축[30: 힌지축(30)은 리벳일 될 수도 있고, 도면에서처럼 힌지볼트 및 힌지너트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과,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를 포함한다.
제1핸들(13) 및 제2핸들(23)을 벌려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을 교차 회동시켜 상호 벌려지도록 하여 과실나무의 줄기를 받아들인 후 제2핸들(23) 및 제2핸들(23)을 오므려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을 교차 회동시켜 상호 오므려지도록 하여 과실나무의 껍질 속으로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가 파고들도록 한 상태에서 제1핸들(13) 및 제2핸들(23)을 동시에 잡고 돌리면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에 의해 과실나무의 껍질에 동일한 폭(바람직하게는 5∼10㎜의 폭)과 동일한 깊이(바람직하게는 3∼6㎜의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실나무 박피기는 제1원호그립(1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연장턱(70)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갈퀴(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핵심 특징으로 한다.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를 활용하여 과실나무의 껍질에 동일한 폭과 동일한 깊이로 두 줄의 원형 커팅라인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제1원호그립(12)의 연장턱(7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갈퀴(80)로서 간단히 긁어 박피케 하는 것이다.
과실나무의 껍질을 무리한 힘으로 밀면서 벗기는 것이 아닌 갈퀴(80)로서 긁어내듯 벗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 나무에 부딪히는 현상을 철저히 발생치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훨씬 더 신속 간단하게 박피케 할 수 있어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갈퀴(80)는 연장턱(70)으로부터 제2원호그립(22)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과실나무의 껍질을 당기면서 긁지 아니하고 밀면서 긁어낼 때 자칫 껍질의 저항(껍질이 줄기에 붙어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저항)을 이겨내는 순간이 발생되더라도 제2원호그립(22)이 먼저 과실나무의 줄기에 부딪힐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을 더욱 철저하게 보호케 할 수 있다.
한편, 갈퀴(80)는 연장턱(70)의 연장방향으로 뾰족하게 튀어나온 전진 첨단라인(81)과, 전진 첨단라인(81)의 반대방향으로 뾰족하게 튀어나온 후진 첨단라인(82)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전진 첨단라인(81) 및 후진 첨단라인(82) 사이에 슬라이딩 평탄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진 첨단라인(81) 및 후진 첨단라인(82)을 통해 과실나무의 껍질을 보다 정확하게(껍질의 표면에 부딪혀 미끄러지는 현상 없이) 밀거나 당기면서 신속하게 긁어낼 수 있으며, 슬라이딩 평탄부(83)가 과실나무의 줄기 속으로 미끄러지듯 이동되어 과실나무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는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각각 뚫려진 축홀(H1)과,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을 각각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양방향 볼륨(V)을 지닌 한 쌍의 원형칼날(K)과, 축홀(H1)에 끼워져 원형칼날(K)을 회전 가능하게 잡아주는 축볼트(B) 및 너트(N)를 포함한다.
한 쌍의 원형칼날(K)이 양방향 볼륨(V)에 의해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간격을 두고서 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볼트(B)의 머리 및 너트(N)와도 간격을 두고서 밀착될 수 있게 되어 과실나무의 줄기를 감싸면서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을 회전시킬 때 한 쌍의 원형칼날(K)이 마찰 없이 훨씬 더 부드럽게 회전되면서 과실나무의 껍질을 커팅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는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각각 뚫려진 직경조절 축홀(H2)을 더 포함하여 과실나무 줄기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축볼트(B)를 이동하면서 한 쌍의 원형칼날(K)을 조립케 하여 과수원 현장에서의 작업성까지 보장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도나무 키위나무 사과나무 다래나무와 같은 과실나무의 줄기로부터 껍질을 얇은 폭과 얕은 깊이로 벗겨내는, 즉 박피하는 산업 기술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제1회동바 11 : 제1힌지홀
12 : 제1원호그립 13 : 제1핸들
20 : 제2회동바 21 : 제2힌지홀
22 : 제2원호그립 23 : 제2핸들
30 : 힌지축 40 : 제1원형칼날뭉치
50 : 제2원형칼날뭉치 H1 : 축홀
V : 양방향 볼륨 K : 원형칼날
B : 축볼트 N : 너트
H2 : 직경조절 축홀 70 : 연장턱
80 : 갈퀴 81 : 전진 첨단라인
82 : 후진 첨단라인 83 : 슬라이딩 평탄부

Claims (7)

  1. 제1힌지홀(1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1원호그립(12) 및 제1핸들(13)을 지닌 제1회동바(10)와, 제2힌지홀(2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2원호그립(22) 및 제2핸들(23)을 지닌 제2회동바(20)와, 상기 제1힌지홀(11) 및 제2힌지홀(21)에 끼워져 상기 제1회동바(10) 및 제2회동바(20)를 교차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축(30)과, 상기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를 포함하는 과실나무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그립(1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연장턱(70)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갈퀴(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80)는 상기 연장턱(70)으로부터 상기 제2원호그립(22)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80)는
    상기 연장턱(70)의 연장방향으로 뾰족하게 튀어나온 전진 첨단라인(81)과,
    상기 전진 첨단라인(81)의 반대방향으로 뾰족하게 튀어나온 후진 첨단라인(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80)는 상기 전진 첨단라인(81) 및 후진 첨단라인(82) 사이에 슬라이딩 평탄부(8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는
    상기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각각 뚫려진 축홀(H1)과,
    상기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을 각각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양방향 볼륨(V)을 지닌 한 쌍의 원형칼날(K)과,
    상기 축홀(H1)에 끼워져 상기 원형칼날(K)을 회전 가능하게 잡아주는 축볼트(B) 및 너트(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는 상기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각각 뚫려진 직경조절 축홀(H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7. 제1힌지홀(1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1원호그립(12) 및 제1핸들(13)을 지닌 제1회동바(10)와, 제2힌지홀(21)을 중심에 두고 양분된 제2원호그립(22) 및 제2핸들(23)을 지닌 제2회동바(20)와, 상기 제1힌지홀(11) 및 제2힌지홀(21)에 끼워져 상기 제1회동바(10) 및 제2회동바(20)를 교차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축(30)과, 상기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를 포함하는 과실나무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는 상기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에 각각 뚫려진 축홀(H1)과, 상기 제1원호그립(12) 및 제2원호그립(22)을 각각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양방향 볼륨(V)을 지닌 한 쌍의 원형칼날(K)과, 상기 축홀(H1)에 끼워져 상기 원형칼날(K)을 회전 가능하게 잡아주는 축볼트(B) 및 너트(N)를 구비하고,
    상기 제1원형칼날뭉치(40) 및 제2원형칼날뭉치(50)는 상기 제1원호그립(12) 또는 제2원호그립(22)에 뚫려진 직경조절 축홀(H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나무 박피기.
KR1020170026455A 2017-02-28 2017-02-28 과실나무 박피기 KR20180099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55A KR20180099255A (ko) 2017-02-28 2017-02-28 과실나무 박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55A KR20180099255A (ko) 2017-02-28 2017-02-28 과실나무 박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255A true KR20180099255A (ko) 2018-09-05

Family

ID=6359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455A KR20180099255A (ko) 2017-02-28 2017-02-28 과실나무 박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92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962A (ko) 2018-10-29 2020-05-08 오재진 박피용 커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249A (ko) 2011-06-22 2013-01-02 이성문 과실나무용 박피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249A (ko) 2011-06-22 2013-01-02 이성문 과실나무용 박피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962A (ko) 2018-10-29 2020-05-08 오재진 박피용 커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7913B1 (de) Sparschäler
US5452767A (en) Vegetation removal apparatus
US9854748B2 (en) Handheld pruning tool
US20180132424A1 (en) Handheld Pruning Tool
KR101919066B1 (ko) 과실나무 박피기
US8925985B2 (en) Garden tool
KR101726437B1 (ko) 박피 깊이의 조절기능을 갖는 환상박피기
KR20180099255A (ko) 과실나무 박피기
KR101300246B1 (ko) 과실나무용 박피기
US20080022533A1 (en) Harvest shear
US20060242843A1 (en) Telescoping V blade cutting apparatus
US2547608A (en) Fowl eviscerating tool
KR102584943B1 (ko) 손 다침 방지용 칼
DE19707739C1 (de) Abisolierzange für ummantelte elektrische Kabel
JP4099581B2 (ja) 樹木の立ち枯らし用皮剥機
JPH0719242Y2 (ja) 掴持装置付鋏具
CN219780983U (zh) 一种林业嫁接装置
KR200278930Y1 (ko) 나무뿌리 절단기
CN214545809U (zh) 一种推进式树木环切刀
CN213245803U (zh) 一种可调节开口大小的园艺剪
CN219479310U (zh) 一种火龙果去皮切块手套
EP1591047B1 (de) Zange zum Entfernen unerwünschter oder ungeniessbarer Bereiche aus Gemüsen, Früchten oder Knollen
KR101975987B1 (ko) 화훼용 가위
JP3213441U (ja) 手鋸
DE10333335B3 (de) Werkzeug zum Entfernen des Stielansatzes von Toma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