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751B1 -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 Google Patents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751B1
KR101917751B1 KR1020180069135A KR20180069135A KR101917751B1 KR 101917751 B1 KR101917751 B1 KR 101917751B1 KR 1020180069135 A KR1020180069135 A KR 1020180069135A KR 20180069135 A KR20180069135 A KR 20180069135A KR 101917751 B1 KR101917751 B1 KR 101917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ine
refrigerator
refrigerant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우
Original Assignee
대지정공주식회사
조항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지정공주식회사, 조항우 filed Critical 대지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9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comprising regenerative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9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comprising regenerative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 accumulators
    • B60H1/005Regenerative cooling means, e.g. cold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3294Compressor drive is hyb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축냉 기능을 구비하여 차량 운행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냉동탑차에 적재된 화물을 냉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냉동탑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는 냉동기에 축냉재가 저장되는 축냉부와 상기 축냉재를 냉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압축부 구성을 추가하여 차량이 운행 중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별도의 압축부를 외부 상용전원을 통해 구동하여 상기 축냉부의 축냉재를 냉동한 후 상기 냉동 상태의 축냉재를 통해 상기 엔진이 정지한 경우에도 상기 냉동탑 내부의 냉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차량 운행 중에도 냉동탑의 냉동 온도 유지에 필요한 엔진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냉기 중 일부를 상기 축냉부를 통해 보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엔진 부하를 낮추어 연비 향상 및 매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A refrigeration vehicle equipped with a refrigerator having stroage function of cold}
본 발명은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축냉 기능을 구비하여 차량 운행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냉동탑차에 적재된 화물을 냉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냉동탑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기가 구비된 냉동탑차는 냉동 및 냉장이 필요한 화물을 냉동탑차를 구성하는 냉동탑에 적재하여 이송하는 동안 상기 냉동기에 의한 화물의 냉동에 의해 화물의 품질이나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냉동탑차에 구성되는 냉동기는 일반적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여 액체로 변환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 의해 액체로 변환된 저온 및 저압의 냉매가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탑차의 냉동탑 내부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냉동기는 냉동탑차의 엔진의 일부에 상기 압축기가 구성되며, 상기 압축기가 엔진의 모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냉매 가스를 압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냉동탑의 냉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냉동탑차가 항상 엔진에 시동이 걸린 이후 구동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공회전에 따른 매연이 증대하고 연비가 나빠질 뿐만 아니라 냉동탑차의 도난이 우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냉동탑 내부의 냉동 상태 유지를 위해 냉동탑차에 구성되는 엔진의 구동 상태가 장시간 동안 유지되어야 함으로 인해 엔진 부하가 가중되고 이로 인해 엔진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8717호
본 발명은 냉동탑차에 구성되는 냉동기에 상변화물질로 구성되는 축냉기를 추가 구성하여 지속적인 엔진의 구동 상태를 유지할 필요 없이 냉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엔진의 과부하 방지를 통한 연비 향상 및 매연 감소와 더불어 엔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탑 내부의 화물을 냉동시키는 냉동기를 구비한 차량으로 구성된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에 있어서, 상기 냉동기는 상기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제 1 압축부와, 외부 상용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력을 제공받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 모듈을 포함하는 제 2 압축부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고온의 냉매 가스를 응축시켜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제공하는 응축부와, 상기 제 1 압축부 구동시 상기 응축부에 의해 응축된 상기 냉매를 기화시켜 상기 냉동탑 내부의 화물을 냉동시키고, 상기 제 2 압축부 구동시 상기 냉매를 배관을 통해 전달하는 증발부 및 상기 냉동탑 내부에 구성되며 내부에 축냉재를 저장하여 상기 증발부로부터 상기 냉매를 제공받아 상기 냉매의 기화에 따라 내부에 저장된 축냉재를 냉동시켜 축냉하고 상기 축냉재를 통해 상기 화물을 냉동하는 축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축냉재는 상변화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응축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상부에 구성되면서 상기 냉동탑의 일측에 결합된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증발부는 상기 응축부로부터 제공되는 액체 상태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 1 증발 코일과, 상기 응축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액체 상태의 냉매를 상기 제 1 증발코일로 전달하는 제 1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 및 상기 제 1 압축부와 증발부를 직접 연결하는 제 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 1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고온의 냉매 가스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증발 코일에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 2 개폐 밸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 및 제 2 개폐 밸브부의 개폐 상태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면서 제 1 개폐 밸브부 및 제 2 개폐 밸브부의 개폐 상태가 상호 반대가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 1 증발 코일에 발생하는 성에를 제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압축부 구동시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를 차단하고, 상기 증발부는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의 차단에 따라 상기 축냉부와 연결된 제 3 배관을 통해 상기 축냉부로 상기 응축부로부터 제공받은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응축부는 상기 냉매 가스를 통과시켜 응축하는 응축코일 및 상기 응축 코일에서 발생하는 응축열을 제거하기 위한 응축기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압축부 구동시 상기 차량에 구성되는 발전기로부터 상기 응축기팬으로 제공되는 전압보다 높은 미리 설정된 설정전압을 상기 응축기팬에 제공하여 상기 응축기팬의 구동속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축냉부는 상기 축냉재가 내부에 저장되는 제 1 탱크 및 상기 제 1 탱크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화시키면서 상기 축냉재를 냉각하여 냉기를 저장하는 제 2 증발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브라인을 상기 축냉부와 증발부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브라인 순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발부는 상기 브라인이 이동하는 냉각 코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축냉부는 상기 제 1 탱크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브라인이 이동하는 브라인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인 순환부는 상기 브라인 코일로 상기 브라인을 전달하여 상기 냉각된 축냉재로부터 냉기를 흡수하도록 하고, 상기 냉기를 흡수한 상기 브라인을 상기 증발부의 상기 냉각 코일로 전달하여 상기 증발부에 의해 상기 브라인의 냉기가 방출되어 상기 냉동탑 내부가 냉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브라인 순환부는 상기 브라인을 상기 축냉부와 상기 증발부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펌프부 및 상기 브라인을 저장하는 제 2 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압축부에서 배관을 통해 응축부로 전달되는 냉매에서 오일을 분리하여 가스 상태의 냉매만이 응축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냉매에서 분리된 오일이 일정 이상 저장되는 경우 다시 제 1 또는 제 2 압축부로 오일을 제공하는 오일 분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는 냉동기에 축냉재가 저장되는 축냉부와 상기 축냉재를 냉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압축부 구성을 추가하여 차량이 운행 중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별도의 압축부를 외부 상용전원을 통해 구동하여 상기 축냉부의 축냉재를 냉동한 후 상기 냉동 상태의 축냉재를 통해 상기 엔진이 정지한 경우에도 상기 냉동탑 내부의 냉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차량 운행 중에도 냉동탑의 냉동 온도 유지에 필요한 엔진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냉기 중 일부를 상기 축냉부를 통해 보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엔진 부하를 낮추어 연비 향상 및 매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냉부에서 제공하는 냉기 뿐만 아니라 축냉부를 통과하여 축냉부에 저장된 냉기를 흡수한 후 증발부로 냉기를 운반하여 증발부를 통해 냉동탑 내부로 축냉부의 냉기를 공급하는 브라인의 순환 구성을 통해 차량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냉동탑 내부에 균일하게 냉기가 공급되도록 지원함으로써, 냉동탑 내부의 냉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에 구성되는 냉동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에 구성되는 냉동기의 상세 구성도 및 동작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탑차를 구성하는 차량(1)에 결합되어 화물을 내부에 적재하는 냉동탑(2) 및 상기 차량(1)에 구성되어 상기 냉동탑(2) 내부에 적재된 상기 화물을 냉동시키는 냉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냉매 가스를 제공하는 제 1 압축부(110a)와, 상기 제 1 압축부(110a)로부터 제공받은 냉매 가스를 액체 상태의 냉매로 응축하는 응축부(120)와, 상기 응축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화시켜 상기 냉동탑(2) 내부를 냉각시키는 증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압축부(110a)는 차량(1)의 엔진(10)에 결합 구성되어 차량(1)의 엔진(10)에 시동이 걸린 이후 구동 상태를 유지해야만 상기 제 1 압축부(110a)가 구동하여 상기 냉동탑(2) 내부의 냉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엔진(10)의 구동 상태 유지에 필요한 부하에 더하여 제 1 압축부(110a)의 구동에 필요한 부하가 엔진(10)에 가중되어 엔진(10) 과부하에 따른 연비 저하와 매연 발생 및 구동 상태 유지에 따른 도난 우려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는 냉동탑(2) 내부에 구성되며 축냉재가 저장되는 축냉부(140)와 상기 축냉재를 냉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 2 압축부(110b) 구성을 냉동기에 추가하여 차량(1)이 운행 중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별도의 제 2 압축부(110b)를 외부 상용전원을 통해 구동하여 상기 축냉부(140)의 축냉재를 냉동한 후 상기 냉동 상태의 축냉재를 통해 상기 엔진(10)이 정지한 경우에도 상기 냉동탑(2) 내부의 냉동(또는 냉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차량(1) 운행 중에도 냉동탑(2)의 냉동 온도 유지에 필요한 엔진(10)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냉기 중 일부를 상기 축냉부(140)를 통해 보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엔진(10) 부하를 낮추어 연비 향상 및 매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도 1의 구성을 참고로 이하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에 구성되는 냉동기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에 구성되는 냉동기의 상세 구성도 및 동작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기는 냉매 가스를 압축시키는 제 1 압축부(110a)와, 상기 제 1 압축부(110a)를 통해 압축된 냉매 가스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부(120)와, 상기 응축부(120)를 통한 상기 냉매 가스의 응축에 따라 액체 상태로 변환된 냉매를 기화시켜 상기 냉동탑(2)의 내부를 냉동시키는 증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압축부(110a)는 엔진(10)에 결합되어 엔진(10)의 모터(motor)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냉매 가스를 압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압축부(110)가 엔진(10)(10)에 결합되어 구성됨으로써, 상시 냉동이 필요한 냉동탑차의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차량(1)을 항상 시동된 상태로 유지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차량(1)의 공회전에 따라 대기오염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기존의 냉동탑차의 비효율적인 냉동기 구성을 개선하여, 본 발명은 냉동탑(2) 내부에 구성되며 내부에 축냉재가 저장된 축냉부(140)와 상기 축냉부(14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 2 압축부(110b) 구성이 추가된 냉동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차량 엔진(10)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냉기가 저장된 축냉부(140)를 통해 냉동탑(2) 내부를 냉각하여 냉동탑(2) 내부에 저장된 화물을 냉동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 구성을 상기 도 2와 도 3의 구성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압축부(110a)는 차량 엔진(10)에 결합되어 차량 엔진(10)의 구동에 따라 차량 엔진(10)에 구성된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 가스를 압축하여 고온 및 고압의 냉매 가스를 상기 응축부(120)로 배관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부(120)는 상기 제 1 압축부(110a)로부터 전달되는 압축된 고온의 냉매 가스를 응축시켜 액체 상태의 냉매로 변환하며, 상기 액체 상태의 냉매를 배관을 통해 상기 증발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응축부(120)는 상기 제 1 압축부(110a)로부터 제공되는 냉매 가스를 응축하여 액화시키기는 응축 코일(cond. coil)(121)과, 상기 응축 코일(121)을 통과한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저장하며 증발부(130) 내에서 소요되는 만큼의 냉매만을 전달하기 위한 수액기(receiver tank)(122)와, 냉매 속에 포함된 냉동작용을 저해하는 수분을 흡수하는 필터 드라이어(filter drier)(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부(130)는 상기 응축부(120)에 의해 응축된 상기 냉매를 기화시켜 상기 냉동탑(2) 내부의 화물을 냉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체 상태의 냉매는 기화 과정에서 상기 냉동탑(2) 내부의 열을 흡수하며, 이를 통해 상기 냉동탑차를 구성하는 냉동탑(2)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131)는 응축부(120)에서 제공되는 액화한 고온 및 고압의 냉매액과 상기 증발부(130)에 구성되어 상기 냉매액을 기화시키는 제 1 증발 코일(evaporator coil)(134)로부터 상기 열교환기(131)로 제공되는 차가운 냉매 가스와의 열교환을 유도하여 성적 계수를 향상시키고, 상기 열 교환기(131)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압축부(110a)로 제공되는 냉매 가스에 액체 상태의 냉매액이 존재하는 리퀴드 백(liquid back)을 방지하여 상기 냉동기의 냉동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동작한다.
또한, 상기 증발부(130)의 상기 제 1 증발 코일(134)을 통해 기화된 냉매는 냉매 가스로 변환되어 배관을 통해 상기 제 1 압축부(110a)로 전달되며, 상기 냉매 가스를 제공받은 상술한 제 1 압축부(110a)의 동작으로부터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냉동탑(2)의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압축부(110a)는 배관을 통해 상기 증발부(130)와 직접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부(130)로 압축된 고온 및 고압의 냉매 가스를 전달하고, 상기 증발부(130)는 상기 압축된 고온의 냉매 가스를 통해 상기 기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로 다른 개폐 밸브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개폐 밸브부 중 제 1 개폐 밸브부(132)는 상기 열교환기(131)와 상기 제 1 증발 코일(134)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132)는 상기 응축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전달하는 제 1 배관에 구성되어 상기 제 1 증발 코일(134)에 선택적으로 상기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 1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증발부(130)는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132)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배관에 구성되는 제 1 팽창 밸브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응축부(120)를 통해 고온 및 고압의 액체로 된 냉매를 상기 열교환기(131)를 통해 방냉한 후 중온 및 고압의 액체로 만들어 상기 제 1 팽창 밸브부(133)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중온 및 고압의 냉매액이 상기 제 1 팽창 밸브부(133)를 통과하면서 저온 및 저압의 냉매액이 되고, 저온 및 저압의 냉매액이 제 1 증발 코일(134)을 통과하면서 냉동탑(2) 내부의 열을 빼앗고 저온 및 저압의 가스가 되어 다시 제 1 압축부(110a)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팽창 밸브부(133)는 응축부(120)에서 응축 액화된 고온 및 고압의 액체 냉매를 교축 작용에 의해 증발을 일으킬 수 있는 압력까지 감압해 주도록 동작하며, 제 1 증발 코일(134)에 충분한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적정한 냉매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개폐 밸브부 중 제 2 개폐 밸브부(135)는 상기 제 1 압축부(110a)와 증발부(130)를 직접 연결하는 제 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 1 압축부(110a)에 의해 압축된 고온의 냉매 가스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증발 코일(134)에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132) 및 제 2 개폐 밸브부(135)는 전류 인가에 따라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기는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132) 및 제 2 개폐 밸브부(135)의 개폐 상태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면서 제 1 개폐 밸브부(132) 및 제 2 개폐 밸브부(135)의 개폐 상태가 상호 반대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교환기(131)를 통과한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제 1 증발 코일(134)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132)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 2 개폐 밸브부(135)를 차단 상태로 제어하여 냉동탑(2)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1 압축부(110a)에서 증발부(130)로 직접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고온 및 고압의 가스로 구성된 냉매를 상기 증발부(130)의 제 1 증발 코일(134)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132)를 차단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 2 개폐 밸브부(135)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냉동탑(2) 내부의 냉각과정에서 상기 증발부(130)의 제 1 증발 코일(134)에 발생하는 성에를 상기 고온 고압의 가스로된 냉매를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기는 차량(1)의 엔진(10) 정지 상태에서 상기 제 1 압축부(110a)와 상이한 제 2 압축부(110b)의 상용 전원을 이용한 냉매 가스의 압축 동작을 기반으로 생성된 냉기를 저장하고, 차량(1) 운행 도중에 일정 시간 동안 차량 엔진(10)의 정지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저장된 냉기를 통해 냉동탑(2) 내부를 냉각하고 차량(1) 운행 중에도 제 1 압축부(110a)의 동작만으로 부족한 냉기를 보충하여 차량(1) 연비를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축냉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냉부(140)의 냉기 저장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상기 냉동기는 외부 상용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력을 제공받아 구동하는 모터(motor)(111)와 상기 모터(111)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 모듈(112)을 포함하는 제 2 압축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압축부(110b)는 콘센트와 같은 외부의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상기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 2 압축부(110b)의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에 연결되어 외부 상용 전원에 상기 제 2 압축부(110b)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 2 압축부(110b)는 상기 콘센트로부터 상용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부(120)는 상기 제 2 압축부(110b) 동작시 상기 제 2 압축부(110b)로부터 제공되는 압축된 고온의 냉매 가스를 응축시켜 액체 상태의 냉매를 상기 증발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부(130)는 차량(1)이 엔진(10) 구동 상태(또는 시동 상태)인 경우 동작하는 제 1 압축부(110a)의 구동시 상기 응축부(120)에 의해 응축된 상기 냉매를 기화시켜 상기 냉동탑(2) 내부의 화물을 냉동시키고, 상기 제 2 압축부(110b) 구동시 상기 응축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액체 상태의 냉매를 상기 증발부(130)와 축냉부(140)를 연결하는 제 3 배관을 통해 상기 축냉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압축부(110a) 또는 제 2 압축부(110b) 구동시 현재 구동 중인 제 1 압축부(110a) 또는 제 2 압축부(110b)를 식별 및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압축부(110b) 구동시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132)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압축부(110a) 동작시 상기 차량(1)에 전원을 제공하는 차량(1)에 구성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하고 상기 제 2 압축부(110b) 동작시 상기 제 2 압축부(110b)에 전원을 제공하는 외부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발부(130)는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132)의 차단에 따라 상기 축냉부(140)와 연결된 제 3 배관을 통해 상기 축냉부(140)로 상기 응축부(120)로부터 제공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배관은 상기 응축부(120)와 상기 축냉부(140)를 직접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 1 개폐 밸브부(132)의 차단에 따라 상기 응축부(120)는 상기 제 3 배관을 통해 상기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3 배관에는 상기 제 3 배관을 개폐하는 제 3 개폐 밸브부(142)와, 상기 제 1 팽창 밸브부(133)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제 2 팽창 밸브부(143)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압축부(110b) 구동시 상기 제 3 개폐 밸브부(142)를 개방하여 상기 증발부(130)에서 전달되는 열 교환기(131)를 통과한 중온 및 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가 상기 축냉부(140)로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압축부(110a) 구동시 상기 제 3 개폐 밸브부(142)를 차단하여 상기 증발부(130)에서 상기 액체 상태의 냉매가 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개폐 밸브부(142)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제 2 압축부(110b)로부터 상기 응축부(120)에 제공된 냉매 가스가 상기 응축부(120)를 통해 고온 및 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로 변환되어 상기 증발부(130)의 열 교환기(131)를 통과하면서 중온 및 고압의 액체로 변환되고, 상기 제 3 배관을 통해 상기 제 2 팽창 밸브부(143)로 전달되며, 상기 제 2 팽창 밸브부(143)는 상기 중온 및 고압의 냉매액을 저온 및 저압의 냉매액으로 변환하여 상기 축냉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냉부(140)는 상기 냉동탑(2) 내부에 구성되며 내부에 축냉재를 저장하며, 상기 축냉재를 냉동(냉각)시키기 위한 제 2 증발 코일(141)이 상기 축냉부(140)의 내부에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팽창 밸브부(143)를 통과한 상기 저온 및 저압의 냉매액이 제 2 증발 코일(141)을 통과하면서 축냉재의 열을 빼앗아 축냉재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축냉재의 열을 흡수한 저온 및 저압의 냉매액은 저온 및 저압의 가스로 변환되어 상기 제 3 배관과 상이한 상기 축냉부(140)와 증발부(130)를 연결하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상기 증발부(130)로 전달되어 상기 증발부(130)의 열교환기(131)를 통과한 후 상기 제 2 압축부(110b)로 전달된다.
즉, 상기 제 2 증발 코일(141)은 상기 저온 및 저압의 냉매액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축냉재와의 열교환을 유도하여 상기 응축부(120)로부터 제공되어 상기 제 2 팽창 밸브부(143)를 통과한 냉매액을 기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축냉재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압축부(110b)는 상기 축냉부(140)로부터 증발부(130)를 통해 제공받은 저온 및 저압의 가스를 재차 압축한 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응축부(120) 및 증발부(130)를 통해 상기 축냉부(140)에 냉기를 축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축냉부(140)는 상기 증발부(130)로부터 상기 냉매를 제공받아 상기 냉매의 기화에 따라 내부에 저장된 축냉재를 냉동시켜 축냉하고 상기 축냉재를 통해 상기 냉동탑(2) 내부에 적재된 화물을 냉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축냉재는 냉기 저장을 위한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로 구성될 수 있으며, 냉매를 기화시키면서 고체로 변환한 후 상기 냉동탑(2) 내부의 열을 뺏아아 냉동탑(2)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냉부(140)는 상기 축냉재를 저장하기 위한 PCM 탱크로 구성되는 제 1 탱크(140)와, 상기 제 1 탱크(140) 내에 저장되는 축냉재 및 상기 제 1 탱크(140)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축냉재를 냉각시키는 제 2 증발 코일(1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1)이 운행 중이 아닌 상태에서도 상기 별도의 제 2 압축부(110b)를 외부 상용전원을 통해 구동하여 상기 축냉부(140)의 축냉재를 냉동한 후 상기 냉동 상태의 축냉재를 통해 상기 엔진(10)이 정지한 경우에도 상기 냉동탑(2) 내부의 냉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냉동탑(2)의 냉동 온도 유지에 필요한 엔진(10)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냉기 중 일부를 상기 축냉부(140)에서 방출하는 냉기를 통해 보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엔진(10) 부하를 낮추어 연비 향상 및 매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 냉동을 위해 차량 엔진(10)을 항상 구동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어 차량(1) 도난을 방지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동기는 냉동탑(2) 내부의 냉기 순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브라인(brine) 순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냉동기는 브라인을 상기 축냉부(140)와 증발부(130)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브라인 순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부(130)는 상기 브라인이 이동하는 냉각 코일(1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냉부(140)는 상기 축냉재가 저장되는 PCM 탱크인 제 1 탱크(140)와, 상기 제 1 탱크(140)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액체 상태의 냉매가 이동하는 제 2 증발 코일(141)에 더하여 상기 브라인이 이동하는 브라인 코일(153)이 상기 제 1 탱크(140) 내부에 추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인 순환부는 펌핑(pumping) 구동을 통해 상기 브라인을 순환시키는 펌프부(152) 및 상기 브라인을 저장하는 제 2 탱크(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라인 순환부의 펌프부(152)는 펌핑 구동을 통해 상기 제 2 탱크(151)에 저장된 브라인을 상기 제 1 탱크(140)에 구성되는 브라인 코일(153)로 전달하며, 상기 축냉재에 담긴 브라인 코일(153)을 통과하는 브라인이 상기 축냉재의 냉각에 따라 상기 축냉재의 냉기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를 흡수하여 저온 상태로 냉각된 브라인은 상기 증발부(130)의 냉각 코일(154)로 전달되어 상기 냉각 코일(154) 외부의 열을 흡수하면서 상기 냉동탑(2)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게 되며, 이를 통해 냉동탑(2) 내부에 냉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발부(130)에는 상기 제 1 증발 코일(134) 및 냉각 코일(154)에서 방출되는 냉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팬이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순환팬은 회전을 통해 상기 제 1 증발 코일(134) 및 냉각 코일(154)에서 발생하는 냉기가 냉동탑(2) 내부에 골고루 퍼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냉부(140)로부터 전달되어 상기 냉각 코일(154)을 통과한 브라인은 상기 제 2 탱크(151)로 다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부(152)의 펌핑 구동을 통해 상술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축냉부(140)에서 제공하는 냉기 뿐만 아니라 축냉부(140)를 통과하여 축냉부(140)에 저장된 냉기를 흡수한 후 증발부(130)로 냉기를 운반하여 증발부(130)를 통해 냉동탑(2) 내부로 축냉부(140)의 냉기를 공급하는 브라인의 순환 구성을 통해 차량 엔진(10)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냉동탑(2) 내부에 균일하게 냉기가 공급되도록 지원함으로써, 냉동탑(2) 내부의 냉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부(120)는 상기 차량(1)의 운전석 상부에 구성되면서 상기 냉동탑(2)의 일측에 결합된 케이스(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1) 운행시 상기 차량(1)의 외부로부터 상기 케이스(30) 내부로 공급되는 외기 또는 외풍에 따라 상기 응축부(120)에 구성되는 응축 코일(121)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증발부(130)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차량(1) 운행이 정지되어 차량 엔진(10)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외풍이 공급되지 않아 상기 응축부(120)에 상기 제 2 압축부(110b)로부터 제공되는 고온 및 고압의 냉매 가스가 상기 응축 코일(121)에서 충분히 식혀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증발부(130)의 냉각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응축부(120)는 상기 냉매 가스를 통과시켜 응축하는 응축 코일(121) 및 상기 응축 코일(121)에서 발생하는 응축열을 제거하고 상기 응축코일(121)을 통과하는 냉매 가스를 식히도록 바람을 발생시켜 상기 응축코일(121)을 냉각시키는 응축기팬(fan)(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압축부(110b) 구동시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차량(1)에 구성되는 발전기로부터 상기 응축기팬(124)으로 제공되는 전압보다 높은 미리 설정된 설정전압을 상기 응축기팬(124)에 제공하여 상기 응축기팬(124)의 구동속도를 차량(1) 운행시에 구동되는 응축기팬(124)의 속도보다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차량 엔진(10) 정지시에도 응축 코일(121)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증발부(130)의 냉각 효율을 유지하거나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압축부(110a) 또는 제 2 압축부(110b)에서 토출되는 가스 상태의 냉매에 상기 제 1 압축부(110a) 또는 제 2 압축부(110b)에 대한 발열 및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오일(또는 윤활유)이 상기 제 1 압축부(110a) 또는 제 2 압축부(110b)의 동작 과정에서 함께 섞여 나가게 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동기는 오일 분리부(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 분리부(114)는 상기 제 1 압축부(110a) 또는 제 2 압축부(110b)에서 배관을 통해 응축부(120)로 전달되는 냉매에서 오일을 분리하여 가스 상태의 냉매만이 응축부(120)로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냉매에서 분리된 오일이 일정 이상 저장되는 경우 다시 제 1 압축부(110a) 또는 제 2 압축부(110b)로 오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오일 분리부(114)는 상기 제 1 압축부(110a) 또는 제 2 압축부(110b)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압축부(110a) 또는 제 2 압축부(110b)의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압축부(110a)의 냉매 가스를 응축부(120)로 제공하기 위한 제 4 배관에는 제 4 개폐 밸브부(113)가 구성되고, 제 2 압축부(110b)의 냉매 가스를 응축부(120)로 제공하기 위한 제 5 배관에는 제 5 개폐 밸브부(115)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개폐 밸브부와, 상기 제 4 및 제 5 개폐 밸브부는 모두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 4 개폐 밸브부(113) 및 제 5 개폐 밸브부(115)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압축부(110a) 및 제 2 압축부(110b) 중 어느 하나가 동작시 다른 하나에 연결된 배관을 폐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압축부(110a) 동작시 상기 제 2 압축부(110b)와 연결되는 제 5 배관을 개폐하는 제 5 개폐 밸브부(115)를 제어하여 폐쇄하고 상기 제 4 개폐 밸브부(113)를 제어하여 개방시키며, 상기 제 2 압축부(110b) 동작시 상기 제 1 압축부(110a)와 연결되는 제 4 배관을 개폐하는 제 4 개폐 밸브부(113)를 제어하여 폐쇄하고, 상기 제 5 개폐 밸브부(115)를 제어하여 개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압축부(110a) 동작시 상기 제 1 압축부(110a)의 냉매 가스가 상기 응축부(120)로 전달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 2 압축부(110b)로 냉매 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오일 분리부(114)를 통해 분리된 오일이 상기 제 2 압축부(110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 2 압축부(110b) 동작시 상기 제 2 압축부(110b)의 냉매 가스가 상기 응축부(120)로 전달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 1 압축부(110a)로 냉매 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오일 분리부(114)를 통해 분리된 오일이 상기 제 1 압축부(110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압축부(110a, 110b) 중 어느 하나 동작시 다른 하나에 냉매 가스나 오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탑차에 구성되는 냉동기에 상변화물질로 구성되는 축냉기를 추가 구성하여 지속적인 엔진의 구동 상태를 유지할 필요 없이 냉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엔진의 과부하 방지를 통한 연비 향상 및 매연 감소와 더불어 엔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량 2: 냉동탑
10: 엔진 30: 케이스
110a: 제 1 압축부 110b: 제 2 압축부
111: 모터 112: 압축모듈
113: 제 4 개폐밸브부 114: 오일 분리부
115: 제 5 개폐밸브부 120: 증발부
121: 응축코일 122: 수액기
123: 필터 드라이어 124: 응축기팬
130: 증발부 131: 열교환기
132: 제 1 개폐밸브부 133: 제 1 팽창밸브부
134: 제 1 증발 코일 135: 제 2 개폐밸브부
140: 축냉부, 제 1 탱크 141: 제 2 팽창밸브부
142: 제 3 개폐밸브부 151: 제 2 탱크
152: 펌프부 153: 브라인 코일
154: 냉각 코일

Claims (10)

  1. 냉동탑 내부의 화물을 냉동시키는 냉동기를 구비한 차량으로 구성된 냉동탑차에 있어서,
    상기 냉동기는
    상기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제 1 압축부;
    외부 상용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력을 제공받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 모듈을 포함하는 제 2 압축부;
    상기 제 1 또는 제 2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고온의 냉매 가스를 응축시켜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석 상부에 구성된 응축부;
    상기 제 1 압축부 구동시 상기 응축부에 의해 응축된 상기 냉매를 기화시켜 상기 냉동탑 내부의 화물을 냉동시키고, 상기 제 2 압축부 구동시 상기 냉매를 배관을 통해 전달하는 증발부;
    상기 냉동탑 내부에 구성되며 내부에 상변화물질 축냉재를 저장하여 상기 증발부로부터 상기 제 2 압축부 구동에 따른 상기 냉매를 제공받아 내부에 저장된 축냉재를 냉동시켜 축냉하고 상기 축냉재를 통해 상기 화물을 냉동하는 축냉부; 및
    상기 응축부에 구성되어 응축열을 제거하기 위한 송풍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차량 운행에 따른 제 1 압축부 구동시 차량의 사용 전압에 따른 제 1 속도로 동작하고 제 2 압축부 구동시 외부 상용 전원을 기반으로 제 1 속도 보다 고속인 제 2 속도로 동작하는 응축기팬을 포함하되,
    상기 축냉부는 내부에 브라인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부는 내부에 축냉부에서 냉각된 브라인의 냉기를 제공하는 냉각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인의 냉기를 제공하는 냉각 코일과 상기 브라인 코일을 연결하는 브라인 순환부 및 브라인을 순환시키는 펌프부를 포함하여 운행 여부와 상관 없이 상기 펌프부 동작에 따라 원하는 온도로 화물을 냉동하는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상부에 구성되면서 상기 냉동탑의 일측에 결합된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는
    상기 응축부로부터 제공되는 액체 상태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 1 증발 코일;
    상기 응축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액체 상태의 냉매를 상기 제 1 증발코일로 전달하는 제 1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 및
    상기 제 1 압축부와 증발부를 직접 연결하는 제 2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 1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고온의 냉매 가스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증발 코일에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 2 개폐 밸브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 및 제 2 개폐 밸브부의 개폐 상태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면서 제 1 개폐 밸브부 및 제 2 개폐 밸브부의 개폐 상태가 상호 반대가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 1 증발 코일에 발생하는 성에를 제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압축부 구동시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를 차단하고,
    상기 증발부는 상기 제 1 개폐 밸브부의 차단에 따라 상기 축냉부와 연결된 제 3 배관을 통해 상기 축냉부로 상기 응축부로부터 제공받은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는
    상기 냉매 가스를 통과시켜 응축하는 응축코일; 및
    상기 응축 코일에서 발생하는 응축열을 제거하기 위한 응축기팬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압축부 구동시 상기 차량에 구성되는 발전기로부터 상기 응축기팬으로 제공되는 전압보다 높은 미리 설정된 설정전압을 상기 응축기팬에 제공하여 상기 응축기팬의 구동속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냉부는
    상기 축냉재가 내부에 저장되는 제 1 탱크; 및
    상기 제 1 탱크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화시키면서 상기 축냉재를 냉각하여 냉기를 저장하는 제 2 증발 코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8. 청구항 7에 있어서,
    브라인을 상기 축냉부와 증발부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브라인 순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발부는 상기 브라인이 이동하는 냉각 코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축냉부는 상기 제 1 탱크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브라인이 이동하는 브라인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인 순환부는 상기 브라인 코일로 상기 브라인을 전달하여 상기 냉각된 축냉재로부터 냉기를 흡수하도록 하고, 상기 냉기를 흡수한 상기 브라인을 상기 증발부의 상기 냉각 코일로 전달하여 상기 증발부에 의해 상기 브라인의 냉기가 방출되어 상기 냉동탑 내부가 냉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브라인 순환부는
    상기 브라인을 상기 축냉부와 상기 증발부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펌프부; 및
    상기 브라인을 저장하는 제 2 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압축부에서 배관을 통해 응축부로 전달되는 냉매에서 오일을 분리하여 가스 상태의 냉매만이 응축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냉매에서 분리된 오일이 일정 이상 저장되는 경우 다시 제 1 또는 제 2 압축부로 오일을 제공하는 오일 분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KR1020180069135A 2018-06-15 2018-06-15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KR101917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35A KR101917751B1 (ko) 2018-06-15 2018-06-15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35A KR101917751B1 (ko) 2018-06-15 2018-06-15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751B1 true KR101917751B1 (ko) 2018-11-13

Family

ID=6439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135A KR101917751B1 (ko) 2018-06-15 2018-06-15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75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130B1 (ko) 2019-12-16 2021-03-29 디에스브이 주식회사 축열 시스템을 이용한 버스 차량 냉난방 구조
KR102263000B1 (ko) 2019-12-16 2021-06-10 디에스브이(주) 차량 냉난방 장치
KR20210138428A (ko) * 2020-05-12 2021-11-19 조항우 열전 소자를 이용한 열교환 시스템 및 냉동 탑차
KR20220062904A (ko) 2020-11-09 2022-05-17 정원중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냉동 탑차의 적재함
KR20220062905A (ko) 2020-11-09 2022-05-17 정원중 저온 및 상온 보관이 가능한 냉동 탑차의 적재함
KR20220104337A (ko)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이에스티 냉장/냉동 탑차용 pcm모듈부와 냉동기가 분리 구성된 리모트 축냉 시스템
KR20230111483A (ko) * 2022-01-18 2023-07-25 ㈜마이엘 차량용 보조 냉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냉방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689B1 (ko) * 2013-11-21 2014-12-12 (주)에이스써모 하이브리드 서브타입 차량용 냉동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689B1 (ko) * 2013-11-21 2014-12-12 (주)에이스써모 하이브리드 서브타입 차량용 냉동기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130B1 (ko) 2019-12-16 2021-03-29 디에스브이 주식회사 축열 시스템을 이용한 버스 차량 냉난방 구조
KR102263000B1 (ko) 2019-12-16 2021-06-10 디에스브이(주) 차량 냉난방 장치
KR20210138428A (ko) * 2020-05-12 2021-11-19 조항우 열전 소자를 이용한 열교환 시스템 및 냉동 탑차
KR102357251B1 (ko) * 2020-05-12 2022-01-28 조항우 열전 소자를 이용한 열교환 시스템 및 냉동 탑차
KR20220062904A (ko) 2020-11-09 2022-05-17 정원중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냉동 탑차의 적재함
KR20220062905A (ko) 2020-11-09 2022-05-17 정원중 저온 및 상온 보관이 가능한 냉동 탑차의 적재함
KR20220104337A (ko)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이에스티 냉장/냉동 탑차용 pcm모듈부와 냉동기가 분리 구성된 리모트 축냉 시스템
KR20230111483A (ko) * 2022-01-18 2023-07-25 ㈜마이엘 차량용 보조 냉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냉방 시스템
KR102618216B1 (ko) 2022-01-18 2023-12-27 (주)마이엘 차량용 보조 냉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냉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751B1 (ko) 축냉 기능을 가진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KR101917750B1 (ko) 차량 엔진과 분리 구성된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KR101309419B1 (ko) 냉동탑차용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
US11635233B2 (en) Cooling system
CN103429975A (zh) 用于运输制冷系统的制冷剂分配设备及方法
CN111619305B (zh) 电动或混合动力车辆、用于其的设备和控制方法
KR200456849Y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KR20160004169A (ko) 자가발전 냉장냉동탑차
KR20190142185A (ko) 차량 엔진과 분리 구성된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KR20100027353A (ko) 냉장냉동장치
CN212720353U (zh) 一种冷藏车及其制冷系统
WO2022222758A1 (zh) 一种lng车船制冷微动力空调系统
JP3106151B2 (ja) 冷凍装置を装備したガスエンジン搭載車輌
JP2010076587A (ja) 輸送車両のキャビン空調装置
KR20040017474A (ko) 냉동차량의 축냉시스템
KR20240048997A (ko) Dc 이중 압축기를 이용한 냉동탑차
KR20200083878A (ko) 냉동탑차의 전기구동식 냉각시스템
JPH10311614A (ja) 蓄熱式冷却装置
JPH07269983A (ja) 店舗用空調装置
CN115046324B (zh) 一种制冷系统及蒸发器循环融霜方法
JP2009192187A (ja) 氷蓄熱式冷凍装置
KR20240048998A (ko) 무시동 냉동기를 구비한 냉동탑차
KR200156951Y1 (ko) 에어컨 및 냉장 겸용 차량 냉동기
KR20070019275A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JPH09159210A (ja) 冷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