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592B1 - 기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기력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592B1
KR101917592B1 KR1020110144699A KR20110144699A KR101917592B1 KR 101917592 B1 KR101917592 B1 KR 101917592B1 KR 1020110144699 A KR1020110144699 A KR 1020110144699A KR 20110144699 A KR20110144699 A KR 20110144699A KR 101917592 B1 KR101917592 B1 KR 101917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additional
power generation
turbine
boi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201A (ko
Inventor
조기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4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5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 F01K11/04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the boilers or condensers being rotated in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 F01K11/02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the engines being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7/00Using steam or condensate extracted or exhausted from steam engine plant
    • F01K17/04Using steam or condensate extracted or exhausted from steam engine plant for specific purposes other tha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2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fluid remaining in the liquid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보일러의 잉여증기를 모아서 추가터빈을 작동하고 발전을 하도록 구성되어 보일러의 추가설치 없이도 추가발전을 할 수 있는 기력발전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력발전장치는 증기터빈사이클을 이루며 물 또는 증기가 유동하도록 순차로 연결된 보일러(210,310,410,510), 터빈(220,320,420,520), 복수기(230,330,430,530)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220,320,420,520)에 연결되는 발전기(240,340,440,540)에 의해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발전유닛(200,300,400,500)을 포함하는 기력발전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전유닛(200,300,400,500)에 포함되는 각 보일러(210,310,410,510)의 잉여증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에 연결되며 잉여증기에 의해서 추가로 발전이 이루지도록 구성된 추가발전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기력발전장치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보일러의 잉여증기를 모아서 추가로 발전을 할 수 있으며, 보일러의 추가설치 없이도 추가발전을 할 수 있고, 잉여증기를 사용하여 기력발전장치의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기력발전장치{STEAM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로 만든 후 이를 터빈에 보내어 터빈을 작동하고 발전을 하도록 구성된 기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의 잉여증기를 모아서 추가터빈을 작동하고 발전을 하도록 구성되어 보일러의 추가설치 없이도 추가발전을 할 수 있는 기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력발전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로 만든 후 이를 터빈에 보내어 터빈을 작동하고 발전을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력발전장치는 증기터빈사이클을 이루도록 순차로 연결된 보일러, 터빈, 복수기 및, 펌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터빈에 연결된 발전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펌프에 의해서 보일러에 공급된 물은 가열되어 증기가 된다. 또한, 보일러에서 만들어진 증기는 터빈에 유입되어 유동한다. 이에 의해서, 터빈이 작동되고 발전기에서 발전을 하게 된다.
종래 이러한 기력발전장치에서는 터빈을 작동하고도 남는 양의 증기가 보일러에서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잉여증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잉여증기는 별도로 사용되지 못하고 터빈에서 소요되는 양을 초과하는 증기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시스템효율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증기터빈사이클에서 계속하여 순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보일러에서 물에 전달된 열에너지가 낭비되어 기력발전장치의 에너지효율이 저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력발전장치에서 발전을 하려면 전술한 증기터빈사이클을 이루는 보일러, 터빈, 복수기 및, 펌프와 터빈에 연결된 발전기가 항상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기력발전장치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보일러의 잉여증기를 모아서 추가로 발전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보일러의 추가설치 없이도 추가발전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잉여증기를 사용하여 기력발전장치의 에너지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기력발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보일러의 잉여증기를 모아서 추가터빈을 작동하고 발전을 하도록 구성되어 보일러의 추가설치 없이도 추가발전을 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기력발전장치는 증기터빈사이클을 이루며 물 또는 증기가 유동하도록 순차로 연결된 보일러, 터빈, 복수기를 포함하고 터빈에 연결되는 발전기에 의해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발전유닛을 포함하는 기력발전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발전유닛에 포함되는 각 보일러의 잉여증기가 유입되도록 각각의 보일러에 연결되며 잉여증기에 의해서 추가로 발전이 이루지도록 구성된 추가발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가발전유닛은 각각의 보일러에 연결되며 잉여증기가 모아져서 유입되는 증기수집헤더; 증기수집헤더에 연결되며 모아진 잉여증기가 유입되어 유동하는 추가터빈; 추가터빈에 연결되며 추가터빈을 통과한 잉여증기가 유입되는 추가복수기; 및 추가터빈에 연결되어 발전을 하는 추가발전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보일러와 증기수집헤더 사이에는 잉여증기의 압력과 온도가 추가터빈의 작동압력과 작동온도에 대응되도록 하는 감압밸브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증기수집헤더는 이웃하는 보일러의 잉여증기가 먼저 합쳐지고 합쳐진 잉여증기가 1회 이상에 걸쳐서 합쳐져서 모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유닛의 각각의 복수기와 각각의 보일러 사이에는 펌프가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보일러와 추가복수기 사이에는 추가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전유닛의 각각의 복수기와 각각의 보일러 사이에는 하나의 단일펌프가 연결되고, 단일펌프에는 추가복수기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유닛의 각각의 복수기와 추가복수기는 하나의 응축처리수원에 연결되어 유입된 증기가 응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력발전장치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보일러의 잉여증기를 모아서 추가로 발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일러의 추가설치 없이도 추가발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잉여증기를 사용하여 기력발전장치의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력발전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력발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력발전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력발전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기력발전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보일러의 잉여증기를 모아서 추가터빈을 작동하고 발전을 하도록 구성되어 보일러의 추가설치 없이도 추가발전을 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력발전장치(100)는 복수개의 발전유닛(200,300,400,5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발전유닛(200,300,400,500) 각각은 증기터빈사이클을 이루며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또는 증기가 유동하도록 순차로 연결된 보일러(210,310,410,510), 터빈(220,320,420,520), 복수기(230,330,430,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빈(220,320,420,520)에 연결되는 발전기(240,340,440,540)에 의해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발전유닛(200,300,400,500)의 각각의 복수기(230,330,430,530)와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 사이에는 펌프(250,350,450,55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복수기(230,330,430,530)는 응축처리수원(700), 예컨대 해수가 공급되도록 바다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발전유닛(200,300,400,500)의 각각의 펌프(250,350,450,550)에 의해서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에 공급된 물은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에 의해서 가열되어 증기가 된다. 그리고, 증기는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에 연결된 각각의 터빈(220,320,420,520)에 유입되어 유동하면서 각각의 터빈(220,320,420,520)이 작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터빈(220,320,420,520)에 연결된 각각의 발전기(240,340,440,540)에 의해서 발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터빈(220,320,420,520)에서 배출된 증기는 각각의 터빈(220,320,420,520)에 연결된 각각의 복수기(230,330,430,530)에 유입된다. 또한, 각각의 복수기(230,330,430,530)에 유입된 증기는 응축처리수원(700)에 의해서 공급된 응축처리수, 예컨대 해수에 의해서 응축되고 물이 되어 각각의 펌프(250,350,450,550)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에 공급된다.
또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각각의 복수기(230,330,430,530)와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 사이에는 하나의 단일펌프(66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복수기(230,330,430,53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처리수에 의해서 증기가 응축된 물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펌프(660)에 의해서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력발전장치(1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추가발전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발전유닛(60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발전유닛(200,300,400,500)에 포함되는 각 보일러(210,310,410,510)의 잉여증기가 유입되도록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여증기에 의해서 추가로 발전이 이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추가발전유닛(60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증기수집헤더(610), 추가터빈(620), 추가복수기(630) 및, 추가발전기(6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증기수집헤더(610)는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여증기가 모아져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증기수집헤더(6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웃하는 보일러(210,310)(410,510)의 잉여증기가 먼저 합쳐지고, 합쳐진 잉여증기가 1회 이상에 걸쳐서 합쳐져서 모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로부터 잉여증기가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증기수집헤더(610)에 모아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와 상기 증기수집헤더(610) 사이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감압밸브(V1,V2,V3,V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감압밸브(V1,V2,V3,V4)에 의해서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로부터 배출된 잉여증기의 압력과 온도가 후술할 추가터빈(620)의 작동압력과 작동온도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터빈(62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증기수집헤더(610)에 연결되며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수집헤더(610)에 모아진 잉여증기가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터빈(610)이 작동되고, 이에 의해서 추가터빈(620)에 연결되는 후술할 추가발전기(640)에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기력발전장치(1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발전유닛(200,300,400,500)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의 잉여증기를 모아서 추가로 발전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일러의 추가설치 없이도 추가발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잉여증기를 사용하여 기력발전장치의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추가복수기(630)는 추가터빈(6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터빈(620)을 통과한 잉여증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복수기(630)는 전술한 응축처리수원(7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복수기(630)에 유입된 증기는 응축처리수원(700)에서 공급된 응축처리수, 예컨대 해수에 의해서 응축되어 물이 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발전유닛(200,300,400,500)의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와 추가복수기(630) 사이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추가펌프(65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복수기(630)에서 응축되어 이루어진 물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펌프(650)의 작동에 의해서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단일펌프(660)에 추가복수기(63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복수기(630)에서 응축되어 이루어진 물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펌프(660)의 작동에 의해서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에 유입될 수도 있다.
추가발전기(64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추가터빈(6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터빈(620)에 잉여증기가 유입되어 유동하면, 추가터빈(620)이 작동되어 추가발전기(640)에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응축처리수원(700)에서 공급되는 응축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응축처리수원(700)과 각각의 복수기(230,330,430,530) 또는 응축처리수원(700)과 추가복수기(630) 사이에는 유량조절밸브(V5,V6)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력발전장치(100)를 사용하면, 기력발전장치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보일러의 잉여증기를 모아서 추가로 발전을 할 수 있으며, 보일러의 추가설치 없이도 추가발전을 할 수 있고, 잉여증기를 사용하여 기력발전장치의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기력발전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기력발전장치 200,300,400,500 : 발전유닛
210,310,410,510 : 보일러 220,320,420,520 : 터빈
230,330,430,530 : 복수기 240,340,440,540 : 발전기
250,350,450,550 : 펌프 600 : 추가발전유닛
610 : 증기수집헤더 620 : 추가터빈
630 : 추가복수기 640 : 추가발전기
650 : 추가펌프 660 : 단일펌프
700 : 응축처리수원 V1,V2,V3,V4 : 감압밸브
V5,V6 : 유량조절밸브

Claims (7)

  1. 증기터빈사이클을 이루며 물 또는 증기가 유동하도록 순차로 연결된 보일러(210,310,410,510), 터빈(220,320,420,520), 복수기(230,330,430,530)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220,320,420,520)에 연결되는 발전기(240,340,440,540)에 의해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발전유닛(200,300,400,500)을 포함하는 기력발전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전유닛(200,300,400,500)에 포함되는 각 보일러(210,310,410,510)의 잉여증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에 연결되며 잉여증기에 의해서 추가로 발전이 이루지도록 구성된 추가발전유닛(600)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발전유닛(600)은 상기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에 연결되며 잉여증기가 모아져서 유입되는 증기수집헤더(610), 상기 증기수집헤더(610)에 연결되며 모아진 잉여증기가 유입되어 유동하는 추가터빈(620), 상기 추가터빈(620)에 연결되며 상기 추가터빈(620)을 통과한 잉여증기가 유입되는 추가복수기(630) 및, 상기 추가터빈(620)에 연결되어 발전을 하는 추가발전기(640)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유닛(200,300,400,500)의 각각의 복수기(230,330,430,530)와 상기 추가복수기(630)는 하나의 응축처리수원(700)에 연결되어 유입된 증기가 응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력발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와 상기 증기수집헤더(610) 사이에는 잉여증기의 압력과 온도가 상기 추가터빈(620)의 작동압력과 작동온도에 대응되도록 하는 감압밸브(V1,V2,V3,V4)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력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수집헤더(610)는 이웃하는 보일러(210,310)(410,510)의 잉여증기가 먼저 합쳐지고 합쳐진 잉여증기가 1회 이상에 걸쳐서 합쳐져서 모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력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200,300,400,500)의 각각의 복수기(230,330,430,530)와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 사이에는 펌프(250,350,450,550)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와 상기 추가복수기(630) 사이에는 추가펌프(65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력발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200,300,400,500)의 각각의 복수기(230,330,430,530)와 각각의 보일러(210,310,410,510) 사이에는 하나의 단일펌프(660)가 연결되고,
    상기 단일펌프(660)에는 상기 추가복수기(63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력발전장치.
  7. 삭제
KR1020110144699A 2011-12-28 2011-12-28 기력발전장치 KR101917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699A KR101917592B1 (ko) 2011-12-28 2011-12-28 기력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699A KR101917592B1 (ko) 2011-12-28 2011-12-28 기력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201A KR20130076201A (ko) 2013-07-08
KR101917592B1 true KR101917592B1 (ko) 2018-11-13

Family

ID=4898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699A KR101917592B1 (ko) 2011-12-28 2011-12-28 기력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5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512A (ja) * 2004-03-30 2005-10-13 Kobe Steel Ltd 余剰蒸気の有効利用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512A (ja) * 2004-03-30 2005-10-13 Kobe Steel Ltd 余剰蒸気の有効利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201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2635C2 (ru) Аккумуляц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тепловым аккумулятором и обратное получение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посредством термодинамического кругового процесса
CN100448785C (zh) 将发电和淡化相结合的设备以及相关方法
ES2527995T3 (es) Procedimiento de desalinización accionado por calor residual
RU2529767C2 (ru) Способ для генерации пара с высоким кпд
US81767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transfer of heat from a heat source to a thermodynamic cycle with a working medium of at least two substances with non-isothermal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KR102326406B1 (ko) 개선된 효율을 갖는 조합형 순환 발전소
MA32163B1 (fr) Procédé pour générer de l'énergie au moyen de cycles thermiques avec de la vapeur de pression élevée et de la température modérée
US20120037097A1 (en) High efficiency feedwater heater
KR20170022892A (ko) 발전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CN100543275C (zh) 炼钢转炉余热废气发电装置
CN103062744A (zh) 热回收蒸汽发生器以及将其连接到联合循环发电厂的方法
KR101917592B1 (ko) 기력발전장치
US10082059B2 (en) Recovery of electrical energy and water from exhaust gas
CN103375206A (zh) 电力和水联合产生系统以及方法
CN102588019B (zh) 用于涡轮机及相关装置的饱和蒸汽热力循环
RU2303145C1 (ru) Теплов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станция
WO2015187064A2 (ru) Всережимная парогазовая установка
RU161179U1 (ru) Атомн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станция
RU2334882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плов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танции
MX2019007623A (es) Planta generadora con sistema de aire de admision de turbina de gas.
RU2324823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плов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танции
RU2646853C1 (ru) Атомная турбовоздушная установка с перебросом части циклового воздуха от компрессора к последним ступеням турбины
RU2013138943A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плоэлектроцентрали с открытой теплоф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ой
RU253168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подпиточной воды теплоэлектроцентрали
Homami et al. Study and Design of Waste Heat Recovery using Organic Rankine 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