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301B1 -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301B1
KR101917301B1 KR1020160023457A KR20160023457A KR101917301B1 KR 101917301 B1 KR101917301 B1 KR 101917301B1 KR 1020160023457 A KR1020160023457 A KR 1020160023457A KR 20160023457 A KR20160023457 A KR 20160023457A KR 101917301 B1 KR101917301 B1 KR 101917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abular cup
moving
blade
rotated
mov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095A (ko
Inventor
주돈수
백동수
Original Assignee
아이메디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메디컴(주) filed Critical 아이메디컴(주)
Priority to PCT/KR2016/00679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22950A1/ko
Priority to US15/743,543 priority patent/US10653534B2/en
Publication of KR2017001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09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acetabular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6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ip
    • A61B17/166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ip for the acetabul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4Acetabular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002/4619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for extraction
    • A61F2002/462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002/4625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parts of the instrument during use
    • A61F2002/4627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parts of the instrument during use with linear motion along or rotating motion about the instrument axis or the implantation direction, e.g. telescopic, along a guiding rod, screwing inside th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002/4625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parts of the instrument during use
    • A61F2002/4628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parts of the instrument during use with linear motion along or rotating motion about an axis transverse to the instrument axis or to the implantation direction, e.g. clam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002/4688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having 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002/469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having operating or control means electrical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디부, 그리고 비구컵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바디부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비구컵의 표면을 절삭하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제어를 통하여 블레이드를 회전축부와 함께 비구컵의 반경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비구컵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시술이 용이하여 시술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구컵을 비구골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또한, 지지컵 및 블레이드를 비구컵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하고, 블레이드를 미리 정해진 단계별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비구컵이 부착된 비구골 부위를 점진적으로 절삭함으로써, 블레이드의 파손을 예방함은 물론, 비구골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비구컵만을 비구골로부터 정확하게 탈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Separation device of acetabular cup for artificial hip joint}
본 발명은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공고관절이란 고관절의 파손 또는 마모 등으로 인하여 고관절의 사용이 불가능한 환자의 고관절부위에 삽입되어 환자의 정상적인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관절 역할을 수행하는 인공 관절의 하나이다.
인공고관절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골반의 비구 부위에 삽입되어 내주면에 대퇴 골두와 비구컵 사이에서 대퇴 골두의 베어링 역할을 수행하는 라이너를 구비한 반구 형상의 비구컵(acetabular cup), 그리고 대퇴골에 끼워지는 스템(stem), 마지막으로 대퇴 골두를 대체하는 반구 형상의 헤드(femoral head)로 구분된다.
따라서 관절염이나 이형성증, 외상 또는 감염 후유증에 의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고관절에 통증을 나타내는 환자는 통증이 나타나는 고관절의 일부를 제거하고 제거된 부위를 상기한 인공고관절로 치환함으로써, 관절의 운동 기능을 회복하고 통증을 없앨 수 있다.
한편, 인공고관절은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헤드와 마찰되는 비구컵은 지속적인 관절 사용으로 인하여, 마모의 발생률이 높고, 마모가 지속될 경우 심하게는 비구컵이 삽입된 비구골 주변에 골용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 삽입된 비구컵을 비구골로부터 탈거한 후, 다시 새로운 비구컵으로 치환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비구컵을 비구골로부터 탈거하기 위하여, 선단에 고리형의 커팅날이 구비된 별도의 공구를 비구컵의 내면에 밀착시킨 후, 사용자가 직접 공구를 회전시켜 커팅날을 비구컵과 비구골 사이에 삽입시키고, 커팅날을 주축으로 공구를 들어 올려 비구컵을 비구골로부터 분리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비구컵을 탈거하는 과정에서 필요 이상으로 비구골이 과도하게 절삭되어 소실되고, 비구골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져 비구골에 2차적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술자가 직접 공구를 조작하기 때문에, 절삭이 균일하지 못함은 물론, 미숙한 시술자일 경우 균일한 힘 또는 범위로 시술하는 것이 어려워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등록특허공보 US6,565,575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동제어를 통하여 시술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고, 구동 시 비구골로부터 비구컵만을 정확히 탈거해내어 뼈에 충격을 가하지 않음은 물론, 비구골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디(body)부, 그리고 비구컵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바디부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비구컵이 부착된 비구골의 표면을 절삭하는 커팅(cutting)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 측에는 상기 커팅부가 결합되는 회전축부,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를 감싸는 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팅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구컵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회전축부와 함께 상기 비구컵의 반경방향으로 회전되며, 동시에 상기 비구컵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비구컵이 부착된 상기 비구골의 표면을 절삭하는 회동커터, 상기 회전축부의 내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동커터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슬라이드 이동부,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를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회동커터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커터는 상기 회전축부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비구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지지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의 중심축에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이 관통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컵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둘레에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양 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측면커버,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측면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커버에 지지되어 상기 측면커버와 함께 회전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와 함께 회전되는 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체결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체결부의 결합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체결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측면커버에 지지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편, 그리고 상기 체결편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잠금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체결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되고 전방에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비구컵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부의 축 방향으로 함몰된 제1 결합홈 및 상기 결합부의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함몰되어 상기 제1 결함홈에 교차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와 연결되고 상기 각도 조절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의 내면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제1 슬라이드 이동부,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드 이동부와 상기 회동커터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이동부의 전진 시 상기 회동커터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2 슬라이드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드 이동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 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지지부재, 그리고 일 측은 상기 회동커터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전진 시 상기 회동커터를 가압하여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동커터의 회전각도 만큼 외측으로 회전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정레버, 그리고 상기 조정레버의 회전에 따라 단계별로 전방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동커터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정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조정레버가 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전방 측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조정레버가 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후방 측으로 직선 이동되는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2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조정레버가 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부를 지지하여 전방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조정레버가 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부로부터 이격되는 이동후크, 상기 제2 이동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2 이동부와 함께 전방 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를 전방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동부, 상기 제3 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이동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조정레버가 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부를 지지하고, 상기 조정레버가 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부로부터 이격되는 고정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조정레버와 상기 제1 이동부를 서로 연결하는 조립핀이 삽입되는 이동제한슬롯이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부, 상기 제1 슬라이딩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부와 일체로 작동되고 전방에는 상기 이동후크가 설치되는 제2 슬라이딩부, 그리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후크를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후크는 상기 스토퍼에 지지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이동후크 및 상기 제1 이동부 사이에 설치된 보조탄성부재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스토퍼로부터 이격될 경우 상기 보조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 이동부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3 이동부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후크가 상기 스토퍼로부터 이격되기 전 상기 이동후크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턱 및 상기 복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이동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 상기 회전축부 및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제1 이동부에 지지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후크 및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설치된 보조탄성부재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제1 이동부로부터 이격될 경우 상기 보조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 이동부에 접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파지 가능한 핸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클램프, 그리고 상기 클램프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를 고정시키는 록킹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를 감싸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너트의 체결 시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클램프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 그리고 상기 케이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외력을 가할 시 압축되어 상기 회전축부에 밀착되는 앵커(anchor), 그리고 상기 앵커의 양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너트의 체결 시 상기 앵커를 가압하는 가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보조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핸들은 회전을 통하여 상기 핸들부의 둘레를 감싸는 클램프 링, 그리고 상기 클램프 링에 체결되는 그립(gri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버튼, 그리고 상기 모터 및 상기 제어버튼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측면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내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체결몸체, 상기 체결몸체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 가능한 슬롯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가이드 홈에 결합되고, 상기 슬롯으로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될 경우, 상기 블레이드에 가압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축부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후, 상기 블레이드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되는 이동부재, 상기 체결몸체의 타 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제한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슬롯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제한부재를 상기 체결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핀, 그리고 상기 고정핀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시키고 있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블레이드로부터 이격될 경우, 압축력이 해제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삽입방향의 반대방향 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몸체는 상기 측면커버에 지지되는 지지판,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 상기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어 상기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의 일 측이 삽입되는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 및 상기 수용홈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핀 체결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부, 그리고 상기 체결몸체의 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이동부의 이동 시 상기 체결몸체의 단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에는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는 이동제한 슬롯 및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일 측이 삽입되는 탄성지지부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마주하는 상기 제1 이동부의 일면에는 일 측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슬롯 내에 고정시키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부에는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턱을 형성하는 파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제한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타 측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탄성지지부재 안착홈 및 단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최대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슬롯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고정된 후, 전방 측으로 회전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단부에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함께 상기 전방 측으로 회전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돌기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제어를 통하여 블레이드를 회전축부와 함께 비구컵의 반경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비구컵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시술이 용이하여 시술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구컵을 비구골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또한, 지지컵 및 블레이드를 비구컵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하고, 블레이드를 미리 정해진 단계별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켜 비구컵이 부착된 비구골 부위를 점진적으로 절삭함으로써, 블레이드의 파손을 예방함은 물론, 비구골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비구컵만을 비구골로부터 정확하게 탈거할 수 있다.
또한, 비구컵의 반경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부의 내측에 직선 이동되는 슬라이드 이동부를 구비하고, 슬라이드 이동부를 레버의 회전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전방 측으로 이동시켜 블레이드의 회전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회전축부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블레이드를 비구컵의 표면을 따라 회전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결하게 배치되어 비구컵의 탈거 시에 공간의 제약이 줄어들어 주변 신체조직과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상용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회동커터가 개략적으로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회동커터가 완전히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회동커터가 비구컵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체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블레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블레이드가 체결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각도 조절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제1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에 동력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블레이드가 체결부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블레이드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블레이드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체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체결부와 블레이드의 결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체결부와 블레이드의 분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1)(이하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1)'라 함)는 골반뼈에 삽입된 비구컵(2)을 탈거하는데 사용되는 비구컵(2) 탈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디부(10) 및 비구컵(2)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바디부(10)와 함께 회전하여 비구컵(2)이 부착된 비구골의 표면(3)을 절삭하는 커팅부(20)를 포함한다.
바디부(10)는 회전축부(11) 및 하우징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부(11)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 측에는 커팅부(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부(11)의 외면에는 후술할 커팅부(20)의 직선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가이드 슬롯(111)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13)는 내측에 회전축부(11)가 관통되는 베어링을 구비하여 회전축부(11)를 지지하고, 회전축부(11)의 타 측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커팅부(20)는 회동커터(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회동커터(21)는 회전축부(11)에 결합되어 비구컵(2)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회전축부(11)와 함께 비구컵(2)의 반경방향으로 회전되며, 동시에 비구컵(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어 비구컵(2)이 부착된 비구골의 표면(3)을 절삭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회동커터(21)는 회전축부(11)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부(211) 및 고정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213)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회동부(213)는 회동축(2131) 및 회동부재(2132)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축(2131)은 고정부(211)를 관통하여 고정부(211)의 중심축에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회동부재(2132)는 회동축(2131)이 관통되도록 고정부(211)에 결합되어 지지컵(215)과 고정부(21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동부재(2132)의 둘레에는 회동부재(213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거리를 제한하는 회전 가이드 슬롯(213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부(213)는 회동부재(2132)의 양 측부에 각각 결합되어 회동부재(2132)와 함께 회전되는 측면커버(2133) 및 회동부재(2132)와 회동부재(2132)의 양 측부에 배치된 측면커버(2133) 사이에 배치되어 측면커버(2133)에 지지되고, 측면커버(2133)와 함께 회전되는 체결부(2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체결부(2134)는 구조에 따라 측면커버(2133) 및 회동부재(2132) 사이에 삽입되어 내측으로 회동축(2131)이 관통되고 측면커버(2133)에 지지되는 지지판(21341), 지지판(21341)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블레이드(2135)가 결합되는 체결편(21342) 및 체결편(2134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잠금핀(21343), 그리고 체결부(2134)의 외측에 배치되어 블레이드(2135)와 체결부(2134)의 결합부위를 가압하여 블레이드(2135)를 체결부(2134)에 고정시키는 체결너트(213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편(21342)의 내측에는 블레이드(2135)가 안착되는 안착홈(21342a)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후술할 체결너트(21344)가 체결되는 나사산(21342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부(213)는 체결부(2134)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2134)와 함께 회전되는 블레이드(2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블레이드(2135)는 회전축부(11)의 중심축에 대한 수직 방향을 따라 체결편(2134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홈(21342a)에 안착된 후, 전방 측으로 회전되는 결합부(21351), 그리고 결합부(21351)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단부에 톱니(21353a)가 형성되고, 결합부(21351)와 함께 상기 전방 측으로 회전되어 비구컵(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접촉부(213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21353)는 비구컵(2)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접촉부(21353)의 단부에 형성된 톱니(21353a)는 접촉부(21353)의 단부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21351)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결합부(21351)에는 결합부(21351)가 체결편(21342)의 내측으로 삽입될 경우, 잠금핀(21343)이 삽입되는 제1 결합홈(21351a) 및 결합부(21351)가 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 제1 결합홈(21351a)에 배치된 잠금핀(21343)이 안착되는 제2 결합홈(21351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2135)는 제1 결합홈(21351a)에 잠금핀(21343)이 삽입되도록 체결편(미도시)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잠금핀(21343)이 제2 결합홈(21351b)에 안착되도록 회전됨으로써, 체결부(213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체결부(2134)와 블레이드(2135)는 블레이드(2135)를 체결부(2135)에 삽입시키는 과정만으로 블레이드(2135)를 체결부(2134)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는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체결부(2134)는 블레이드(2135)가 삽입 가능한 삽입공간 및 체결부(2134) 내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블레이드(2135)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블레이드(2135)가 삽입공간으로 삽입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블레이드(2135)를 가압함과 동시에 블레이드(2135)에 결합되어 블레이드(2135)를 체결부(2134)에 구속시킬 수 있다. 즉, 체결편(21342)에 블레이드(2135)를 삽입시킨 후, 체결너트(21344)를 체결편(21342)과 체결하여 블레이드(2135)를 체결부(2134)에 구속시키는 별도의 구속과정 없이, 블레이드(2135)를 체결부(2134)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시키는 것만으로 체결부(2134)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체결부(2134) 및 블레이드(2135)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체결부(2134)는 회동부재(2132)와 측면커버(2133) 사이에 배치되고, 내측에 회전축부(11)의 중심축(CA)에 대한 수직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213453a)이 형성되는 체결몸체(21345) 및 체결몸체(21345)의 일 측에 결합되어 블레이드(2135)가 삽입 가능한 슬롯(21346a)을 형성하는 커버(21346)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체결몸체(21345)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2132)와 측면커버(2133) 사이에 배치되어 측면커버(2133)에 지지되는 지지판(213451), 그리고 지지판(213451)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가이드 홈(213453a)이 형성되는 가이드부(2134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몸체(21345)의 내측에는 가이드 홈(213453a)과 함께, 후술할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2134b)가 수용되는 수용홈(213453b) 및 수용홈(213453b)과 연통되어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2134b)의 일 측이 삽입되는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 삽입공(213453c)이 형성되고, 체결몸체(21345)의 외측에는 가이드 홈(213453a) 및 수용홈(213453b)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핀 체결공(213453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134)는 체결몸체(21345)에 결합되어 블레이드(2135)를 고정시키는 이동부재(2134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이동부재(21347)는 체결몸체(21345)의 가이드 홈(213453a)에 결합되고, 슬롯(21346a)으로 블레이드(2135)가 삽입될 경우, 블레이드(2135)에 가압되어 가이드 홈(213453a)을 따라 회전축부(11)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후, 다시 블레이드(2135)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블레이드(2135)를 가압함과 동시에 블레이드(2135)에 결합되어 블레이드(2135)를 체결몸체(21345)와 커버(21346) 사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부재(21347)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213453a)에 안착되어 가이드 홈(213453a)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부(213471), 그리고 일면이 체결몸체(21345)의 단부에 안착되어 제1 이동부(213471)의 이동 시 체결몸체(21345)의 단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부(21347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동부(213471)에는 후술할 고정핀(2134a)이 관통하고 제1 이동부(213471)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이동제한 슬롯(213471a) 및 후술할 탄성지지부재(21349)의 일 측이 삽입되는 탄성지지부재 삽입홈(213471b)이 형성되고, 블레이드(2135)와 마주하는 제1 이동부(213471)의 일면에는 블레이드(2135)가 슬롯(21346a)에 삽입될 경우 블레이드(2135)에 접촉되는 일 측에 경사면(a)을 형성하고, 블레이드(2135)와 결합되어 블레이드(2135)를 슬롯(21346a) 내에 고정시키는 걸림돌기(213471c)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동부(213473)에는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턱을 형성하는 파지돌기(213473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134)는 체결몸체(21345)의 타 측에 결합되어 이동부재(21347)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재(21348), 그리고 이동부재(21347) 및 이동제한부재(21348)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부재(21347)를 슬롯(21346a)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2134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이동제한부재(21348)는 커버(21346)에 대향 배치되어 체결몸체(21345)의 타 측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이동제한부재(21348)를 체결몸체(21345)에 고정시키는 고정핀(2134a)이 관통하는 관통공(21348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21347)와 마주하는 이동제한부재(21348)의 일면에는 탄성지지부재(21349)의 타 측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탄성지지부재 안착홈(213483), 그리고 단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되어 이동부재(21347)가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제한부재(21348)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도록 이동부재(21347)에 접하여 이동부재(21347)의 최대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돌기(21348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134)는 이동부재(21347) 및 이동제한부재(21348)를 체결몸체(21345)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핀(2134a), 그리고 블레이드(213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213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2134b)는 고정핀(2134a)에 설치되어 상기한 체결몸체(21345)의 수용홈(213453b)에 배치되며, 일 측은 체결몸체(21345)의 내측에 형성된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 삽입공(213453c)에 삽입되고, 타 측은 블레이드(2135)의 단부에 가압되어 블레이드(2135)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2134b)는 블레이드(2135)를 고정시키고 있는 이동부재(21347)가 블레이드(2135)로부터 이격될 경우,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력이 해제되어 블레이드(2135)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블레이드(2135)를 블레이드(2135)의 삽입방향의 반대방향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17 및 도 22를 참조하면, 블레이드(2135)는 체결몸체(21345)와 커버(21346) 사이에 형성된 슬롯(21346a)으로 삽입되어 이동부재(21347)의 걸림돌기(213471c)에 결합된 후, 전방 측으로 회전되는 결합부(21351), 그리고 결합부(21351)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단부에 톱니(21353a)가 형성되고, 결합부(21351)와 함께 전방 측으로 회전되어 비구컵(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접촉부(213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21351)에는 걸림돌기(213471c)가 삽입되는 걸림돌기 결합공(21351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부(21353)는 비구컵(2)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고, 접촉부(21353)의 단부에 형성된 톱니(21353a)는 접촉부(21353)의 단부를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부(2134)와 블레이드(2135)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2135)가 슬롯(21346a)으로 삽입된 후, 슬롯(21346a)으로 삽입중인 블레이드(2135)는 슬롯(21346a)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돌기(213471c)의 경사면(a)에 접촉되어 걸림돌기(213471c)를 가압한다.
걸림돌기(213471c)가 블레이드(2135)에 가압됨에 따라,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몸체(21345)의 가이드 홈(213453a)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213471c)를 일면에 구비한 이동부재(21347)는 가이드 홈(213453a)을 따라 이동제한부재(21348) 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탄성지지부재(21349) 및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2134b)를 가압하여 압축시킨다. 이때, 상기 소정의 거리는 슬롯(21346a)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돌기(213471c)의 돌출길이와 일치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이동부재(21347)에 의하여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탄성지지부재(21349)는 블레이드(2135)의 걸림돌기 결합공(21351c)이 걸림돌기(213471c)에 대응되는 위치, 즉 걸림돌기 결합공(21351c)에 걸림돌기(213471c)가 삽입 가능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탄성 복원되어 이동부재(21347)를 블레이드(2135) 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2134b)는 여전히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제한부재(21348) 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이동부재(21347)는 다시 블레이드(2135)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이동부재(21347)에 구비된 걸림돌기(213471c)가 블레이드(2135)에 형성된 걸림돌기 결합공(21351c)에 삽입되어 블레이드(2135)를 고정시킨다.
반대로, 체결부(2134)와 블레이드(2135)의 분리과정을 살펴보면,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부재(21347)에 구비된 파지돌기(213473a)를 가압하여 이동부재(21347)를 이동제한부재(21348) 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탄성지지부재(21349)를 가압하여 압축시킨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213471c)가 블레이드(2135)의 걸림돌기 결합공(21351c)으로부터 이격되고, 블레이드(2135)에 가압되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2134b)는 탄성 복원되어 블레이드(2135)를 블레이드(2135)가 삽입된 방향에 대한 반대방향 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걸림돌기(213471c)에 고정되어 있던 블레이드(2135)는 걸림돌기(213471c)로부터 분리되어 체결몸체(21345)에 대한 구속이 해제된다. 이때, 이동제한부재(21348) 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이동부재(21347)는 탄성 복원되는 탄성지지부재(21349)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체결부(2134)와 블레이드(2135) 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체결부(2134)와 블레이드(2135) 간의 결합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1)의 회동커터(21)는 고정부(211)의 선단에 결합되어 비구컵(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반구 형상의 지지컵(21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컵(215)은 비구컵(2)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폴리머 분자량 300만 PM 이상인 UHMW-PE수지로 제조되어 비구컵(2)과 회동부(213) 사이에서 윤활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커팅부(20)는 슬라이드 이동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이동부(23)는 회전축부(11)의 내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축부(11)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하여 회동커터(21)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슬라이드 이동부(23)는 회전축부(1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드 이동부(231) 및 회전축부(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드 이동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이동부(231)는 회전축부(11)의 내측에 배치되어 후술할 각도 조절부(25)와 연결되고, 각도 조절부(25)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부(11)의 내면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슬라이드 이동부(233)는 회전축부(11)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1 슬라이드 이동부(231)와 회동커터(21)를 서로 연결하고, 제1 슬라이드 이동부(231)의 전진 시 회동커터(21)를 가압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슬라이드 이동부(233)는 지지부재(2331) 및 가압부재(23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2331)는 회전축부(11)의 외측에 배치되어 회전축부(11)의 내측에 배치된 제1 슬라이드 이동부(231)와 결합되고, 제1 슬라이드 이동부(231)의 전진 또는 후진 시 회전축부(11)의 외주면을 따라 직선 운동할 수 있다.
가압부재(2333)는 일 측은 회동커터(21)에 결합되고, 타 측은 지지부재(233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지지부재(2331)의 전진 시 회동커터(21)를 가압하여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동커터(21)의 회전각도 만큼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커팅부(20)는 각도 조절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각도 조절부(25)는 하우징부(13)의 내측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부(23)를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시켜 회동커터(2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각도 조절부(25)는 하우징부(13)의 내측에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정레버(251) 및 조정레버(251)의 회전에 따라 단계별로 전방 측으로 이동하여 회동커터(21)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레버(251)는 하우징부(13)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후술할 조립핀(25313)을 통하여 하우징부(13)의 내측에 배치된 조정부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조정부는 조정레버(251)의 회전에 따라 단계별로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후방으로 복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조정부는 조정레버(251)의 회전에 따라 전방으로 직선이동하여 회동커터(21)를 회전시키거나 후방으로 직선이동하여 회동커터(2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수 개의 이동부(제1 이동부(2531), 제2 이동부(2534), 제3 이동부(2535)), 복수 개의 이동부에 반력을 가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제1 탄성부재(2532) 및 제2 탄성부재(2536)) 및 복수 개의 이동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전방으로 이동된 복수 개의 이동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후크(이동후크(2533), 고정후크(25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2531)는 조정레버(251)에 연결되어 조정레버(251)가 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전방 측으로 직선 이동되고, 조정레버(251)가 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후방 측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이동부(2531)는 하우징부(13)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외주면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레버(251)와 제1 이동부(2531)를 서로 연결하는 조립핀(25313)이 삽입되어 제1 이동부(2531)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 슬롯(25311a)이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부(25311), 제1 슬라이딩부(253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조립핀(25313)을 통해 제1 슬라이딩부(25311)와 연결되어 일체로 작동되고, 전방에는 후술할 이동후크(2533)가 설치되는 제2 슬라이딩부(25315) 및 제1 슬라이딩부(25311)에 설치되어 이동후크(2533)를 지지하는 스토퍼(253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532)는 제1 이동부(2531)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 이동부(253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제1 이동부(2531)가 전방 측으로 이동된 후 조정레버(251)를 회전시키는 힘이 해제되면 제1 이동부(2531)에 반력을 가하여 제1 이동부(2531)를 후방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이동부(2534)는 회전축부(11)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턱(253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이동부(2534)는 제1 이동부(2531) 및 회전축부(11)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이동부(2534)의 외주면에는 제3 이동부(2535)를 지지하고 이동후크(2533)가 스토퍼(25317)로부터 이격되기 전 이동후크(2533)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턱(25343) 및 복수 개의 걸림턱(2534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턱(25343)은 복수 개의 걸림턱(25341)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이동부(2534)는 초기상태에서 제1 이동부(2531)가 전방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이동후크(2533)가 스토퍼(25317)에 밀착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걸림턱(25341)보다 외측에 형성된 지지턱(25343)에 지지되어 이동되고, 첫 번째 이동을 마친 제1 이동부(2531)가 다시 전방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이동후크(2533)가 스토퍼(25317)로부터 이격되어 내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복수 개의 걸림턱(25341)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걸림턱(25341)의 전면은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고, 후면은 수직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후크(2533)가 전방 측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걸림턱(25341)의 수직한 면에 접한 상태로 이동하고, 이동후크(2533)가 후방 측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걸림턱(25341)의 경사진 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이동후크(2533)는 제1 이동부(2531)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조정레버(251)가 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제2 이동부(2534)를 지지하여 제2 이동부(2534)를 전방 측으로 이동시키고, 조정레버(251)가 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제2 이동부(253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이동후크(2533)는 제2 이동부(2534)의 외주면에 접하거나 제2 이동부(2534)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 이동부(25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스토퍼(25317)에 지지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후크(2533) 및 제1 이동부(2531) 사이에 설치된 보조탄성부재(2538)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스토퍼(25317)로부터 이격될 경우 보조탄성부재(2538)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제2 이동부(2534)에 접할 수 있다.
제3 이동부(2535)는 제2 이동부(2534)에 지지되어 제2 이동부(2534)와 함께 전방 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부(23)와 연결되어 슬라이드 이동부(23)를 전방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3 이동부(2535)는 회전축부(11)의 외측에 설치되는 연결부(25351) 및 연결부(25351), 회전축부(11) 및 슬라이드 이동부(23)를 관통하여 연결부(25351) 및 슬라이드 이동부(23)를 연결하는 연결핀(253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2536)는 제3 이동부(2535)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3 이동부(253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조정레버(251)가 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 제3 이동부(2535)에 반력을 가하여 제2 이동부(2534) 및 제3 이동부(2535)를 후방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후크(2537)는 하우징부(13)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제2 이동부(2534)의 후방에 배치되며, 조정레버(251)가 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제2 이동부(2534)를 지지하고, 조정레버(251)가 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제1 이동부(2531)의 단부에 지지되어 수평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제2 이동부(253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고정후크(2537)는 제1 이동부(2531)에 지지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고정후크(2537) 및 하우징부(13) 사이에 설치된 보조탄성부재(2538)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제1 이동부(2531)로부터 이격될 경우 보조탄성부재(2538)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제2 이동부(2534)에 접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0)는 파지 가능한 핸들부(15) 및 회전축부(11)에 결합되어 회전축부(11)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핸들부(15)는 회전축부(1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회전축부(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클램프(151) 및 클램프(151)의 단부에 체결되어 클램프(151)를 고정시켜 클램프(151)의 이동을 제한하는 록킹너트(15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151)는 회전축부(11)의 둘레를 감싸는 케이지(1511), 케이지(1511)의 내측에 배치되고 록킹너트(153)의 체결 시 회전축부(1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클램프(151)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1513), 그리고 케이지(1511)의 내측에 배치되어 회전축부(11)를 지지하는 베어링(15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제한부(1513)는 회전축부(11)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다공성 소재로 형성되어 외력을 가할 시 압축되어 회전축부(11)에 밀착되는 앵커(15131) 및 앵커(15131)의 양 단부에 배치되고 록킹너트(153)의 체결 시 내측으로 압축되는 케이지(1511)에 가압되어 앵커(15131)를 가압하는 가압블록(1513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핸들부(15)는 보조 핸들(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핸들(155)은 회전을 통하여 핸들부(15)의 둘레를 감싸는 클램프 링(1551), 그리고 클램프 링(1551)에 체결되는 그립(15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클램프 링(1551)은 반 원 형상의 고리가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각 고리의 일 측에는 반 원통형의 볼트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 링(1551)이 핸들부(15)의 둘레를 감쌀 경우, 그립(1553)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각 고리의 볼트와 체결되어 각 볼트 사이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핸들부(15)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동력부(17)는 회전축부(11)에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71), 모터(17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173), 모터(17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버튼(175), 그리고 모터(171) 및 제어버튼(175)을 수용하는 하우징(177)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71)의 토크 및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력공급부(173)는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 또는 충전식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도 조절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초기 상태에서 조정레버(251)가 후방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면, 조정레버(251)에 결합된 제1 이동부(2531)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와 함께 이동후크(2533)가 제2 이동부(2534)의 지지턱(25343)에 접촉되어 제2 이동부(2534)를 전방 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조정레버(251)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후크(2533)는 스토퍼(25317)에 지지되어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고, 고정후크(2537)는 제1 이동부(2531)가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보조탄성부재(2538)에 가압되어 내측으로 회동된다.
조정레버(251)가 최대 지점까지 회동된 후, 조정레버(251)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면 제1 이동부(2531)의 전방에 배치된 제1 탄성부재(25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이동부(2531)가 후방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후크(2533)가 스토퍼(25317)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이로 인해 이동후크(2533)는 내측으로 회동되어 제2 이동부(2534)의 외면에 접한 상태로 제2 이동부(2534)의 걸림턱(25341)에 형성된 경사진 면을 타로 후방 측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고정후크(2537)는 제2 이동부(2534)의 걸림턱(25341)에 접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제2 이동부(2534)를 지지한다.
따라서 첫 번째 각도 조절단계를 마친다.
도 12를 참조하면, 첫 번째 각도 조절단계를 마친 후, 최초 지점으로 복귀한 조정레버(251)가 다시 후방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1 이동부(2531)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와 함께 이동후크(2533)가 제2 이동부(2534)의 걸림턱(25341)에 지지되어 제2 이동부(2534) 및 제3 이동부(2536)를 전방 측으로 이동시킨다.
조정레버(251)가 최대 지점까지 회동된 후, 조정레버(251)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면 첫 번째 각도 조절단계와 동일하게 제1 이동부(2531)가 제1 탄성부재(25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방 측으로 이동되고, 조정레버(251)가 최초 지점으로 복귀하며, 고정후크(2537)는 제2 이동부(2534)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이동부(2534)를 지지한다.
따라서 두 번째 각도 조절단계를 마친다.
도 13을 참조하면, 두 번째 각도 조절단계를 마친 후, 최초 지점으로 복귀한 조정레버(251)가 다시 후방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1 이동부(2531)가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와 함께 이동후크(2533)가 제2 이동부(2534)의 걸림턱(25341)의 또 다른 위치에 지지되어 제2 이동부(2534) 및 제3 이동부(2536)를 전방 측으로 이동시킨다.
조정레버(251)가 최대 지점까지 회동된 후, 조정레버(251)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면 두 번째 각도 조절단계와 동일하게 제1 이동부(2531)가 제1 탄성부재(25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방 측으로 이동되고, 조정레버(251)가 최초 지점으로 복귀하며, 고정후크(2537)는 제2 이동부(2534)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이동부(2534)를 지지한다.
따라서 세 번째 각도 조절단계를 마친다.
도 14를 참조하면, 세 번째 각도 조절단계를 마친 후, 최초 지점으로 복귀한 조정레버(251)가 전방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다.
조정레버(251)가 전방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제1 이동부(2531)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이동후크(2533) 및 고정후크(2537)에 밀착되고, 제2 이동부(2534)의 외주면에 접해있던 이동후크(2533) 및 고정후크(2537)가 외측으로 회동되며 수평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2 이동부(2534)를 지지하고 있는 힘이 해제되어 제3 이동부(2535)의 전방에 압축되어있던 제2 탄성부재(2536)가 탄성 복원력을 통해 제2 이동부(2534) 및 제3 이동부(2535)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1)가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제어를 통하여 블레이드(2135)를 회전축부(11)와 함께 비구컵(2)의 반경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비구컵(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시술이 용이하여 시술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구컵(2)을 비구골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또한, 지지컵(215) 및 블레이드(2135)를 비구컵(2)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하고, 블레이드(2135)를 미리 정해진 단계별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비구컵(2)이 부착된 비구골 부위를 점진적으로 절삭함으로써, 블레이드(2135)의 파손을 예방함은 물론, 비구골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비구컵(2)만을 비구골로부터 정확하게 탈거할 수 있다.
또한, 비구컵(2)의 반경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부(11)의 내측에 직선 이동되는 슬라이드 이동부(23)를 구비하고, 슬라이드 이동부(23)를 레버의 회전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전방 측으로 이동시켜 블레이드(2135)의 회전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회전축부(11)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블레이드(2135)를 비구컵(2)의 표면을 따라 회전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결하게 배치되어 비구컵(2)의 탈거 시에 공간의 제약이 줄어들어 주변 신체조직과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10. 바디부
11. 회전축부 111. 가이드 슬롯
13. 하우징부
15. 핸들부
151. 클램프
1511. 케이지
1513. 이동제한부
15131. 앵커 15133. 가압블록
1515. 베어링
153. 록킹너트
155. 보조 핸들
1551. 클램프 링 1553. 그립
17. 동력부
171. 모터 173. 전력공급부
175. 제어버튼 177. 하우징
20. 커팅부
21. 회동커터
211. 고정부
213. 회동부
2131. 회동축
2132. 회동부재 2132a. 회전 가이드 슬롯
2133. 측면커버
2134. 체결부
2134a. 고정핀 2134b.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
21341. 지지판
21342. 체결편
21342a. 안착홈 21342b. 나사산
21343. 잠금핀
21344. 체결너트
21345. 체결몸체
213451. 지지판
213453. 가이드부
213453a. 가이드 홈
213453b. 수용홈
213453c.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 삽입공
213453d. 핀 체결공
21346. 커버
21346a. 슬롯
21347. 이동부재
213471. 제1 이동부
213471a. 이동제한 슬롯
213471b. 탄성지지부재 삽입홈
213471c. 걸림돌기
a. 경사면
213473. 제2 이동부
213473a. 파지돌기
21348. 이동제한부재
213481. 관통공
213483. 탄성지지부재 안착홈
213485. 이동제한돌기
21349. 탄성지지부재
2135. 블레이드
21351. 결합부
21351a. 제1 결합홈 21351b. 제2 결합홈
21351c. 걸림돌기 결합공
21353. 접촉부 21353a. 톱니
215. 지지컵
23. 슬라이드 이동부
231. 제1 슬라이드 이동부
233. 제2 슬라이드 이동부
2331. 지지부재 2333. 가압부재
25. 각도 조절부
251. 조정레버
253. 조정부
2531. 제1 이동부
25311. 제1 슬라이딩부 25311a. 이동제한 슬롯
25313. 조립핀 25315. 제2 슬라이딩부
25317. 스토퍼
2532. 제1 탄성부재
2533. 이동후크
2534. 제2 이동부
25341. 걸림턱
25343. 지지턱
2535. 제3 이동부
25351. 연결부 25353. 연결핀
2536. 제2 탄성부재
2537. 고정후크
2538. 보조탄성부재
2. 비구컵 3. 비구골의 표면
4. 비구골

Claims (34)

  1.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디(body)부, 그리고 비구컵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바디부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비구컵이 부착된 비구골의 표면을 절삭하는 커팅(cutting)부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 측에는 상기 커팅부가 결합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팅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구컵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회전축부와 함께 상기 비구컵의 반경방향으로 회전되며, 동시에 상기 비구컵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비구컵이 부착된 상기 비구골의 표면을 절삭하는 회동커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커터는
    상기 회전축부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 및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비구컵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지지컵
    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는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의 중심축에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이 관통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컵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둘레에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양 측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측면커버,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양 측부에 배치된 상기 측면커버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측면커버와 함께 회전되는 체결부, 그리고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와 함께 회전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를 감싸는 하우징부
    를 더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내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동커터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슬라이드 이동부,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를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회동커터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측면커버에 지지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편,
    상기 체결편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잠금핀, 그리고
    상기 체결편에 체결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시키는 체결너트
    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부의 중심축에 대한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후, 전방 측으로 회전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단부에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함께 상기 전방 측으로 회전되는 접촉부
    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체결편의 내측으로 삽입될 경우, 상기 잠금핀이 삽입되는 제1 결합홈 및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결합홈에 배치된 상기 잠금핀이 안착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9. 삭제
  10.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디(body)부, 그리고 비구컵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바디부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비구컵이 부착된 비구골의 표면을 절삭하는 커팅(cutting)부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 측에는 상기 커팅부가 결합되는 회전축부,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를 감싸는 하우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커팅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구컵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회전축부와 함께 상기 비구컵의 반경방향으로 회전되며, 동시에 상기 비구컵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비구컵이 부착된 상기 비구골의 표면을 절삭하는 회동커터,
    상기 회전축부의 내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동커터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슬라이드 이동부,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를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회동커터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와 연결되고 상기 각도 조절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의 내면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제1 슬라이드 이동부,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드 이동부와 상기 회동커터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이동부의 전진 시 상기 회동커터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2 슬라이드 이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슬라이드 이동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 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지지부재, 그리고
    일 측은 상기 회동커터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전진 시 상기 회동커터를 가압하여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동커터의 회전각도 만큼 외측으로 회전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11. 삭제
  12.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디(body)부, 그리고 비구컵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바디부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비구컵이 부착된 비구골의 표면을 절삭하는 커팅(cutting)부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 측에는 상기 커팅부가 결합되는 회전축부,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를 감싸는 하우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커팅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비구컵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회전축부와 함께 상기 비구컵의 반경방향으로 회전되며, 동시에 상기 비구컵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비구컵이 부착된 상기 비구골의 표면을 절삭하는 회동커터,
    상기 회전축부의 내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동커터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슬라이드 이동부,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를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회동커터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정레버, 그리고
    상기 조정레버의 회전에 따라 단계별로 전방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동커터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조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정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조정레버가 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전방 측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조정레버가 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후방 측으로 직선 이동되는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이동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2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조정레버가 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부를 지지하여 전방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조정레버가 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부로부터 이격되는 이동후크,
    상기 제2 이동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2 이동부와 함께 전방 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를 전방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동부,
    상기 제3 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이동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조정레버가 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부를 지지하고, 상기 조정레버가 전방 측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부로부터 이격되는 고정후크
    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조정레버와 상기 제1 이동부를 서로 연결하는 조립핀이 삽입되는 이동제한슬롯이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부,
    상기 제1 슬라이딩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부와 일체로 작동되고 전방에는 상기 이동후크가 설치되는 제2 슬라이딩부, 그리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후크를 지지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이동후크는
    상기 스토퍼에 지지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이동후크 및 상기 제1 이동부 사이에 설치된 보조탄성부재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스토퍼로부터 이격될 경우 상기 보조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 이동부에 접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15. 제13항에서,
    상기 제2 이동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3 이동부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후크가 상기 스토퍼로부터 이격되기 전 상기 이동후크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턱 및 상기 복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16. 제12항에서,
    상기 제3 이동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 상기 회전축부 및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핀
    을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17. 제12항에서,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제1 이동부에 지지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후크 및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설치된 보조탄성부재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제1 이동부로부터 이격될 경우 상기 보조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 이동부에 접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18. 삭제
  19.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디(body)부, 그리고 비구컵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바디부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비구컵이 부착된 비구골의 표면을 절삭하는 커팅(cutting)부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 측에는 상기 커팅부가 결합되는 회전축부,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를 감싸는 하우징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파지 가능한 핸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클램프, 그리고
    상기 클램프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를 고정시키는 록킹너트
    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회전축부의 둘레를 감싸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너트의 체결 시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클램프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 그리고
    상기 케이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을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21. 제20항에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외력을 가할 시 압축되어 상기 회전축부에 밀착되는 앵커(anchor), 그리고
    상기 앵커의 양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너트의 체결 시 상기 앵커를 가압하는 가압블록
    을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22. 제20항에서,
    상기 핸들부는 보조 핸들을 더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23. 제22항에서,
    상기 보조 핸들은
    회전을 통하여 상기 핸들부의 둘레를 감싸는 클램프 링, 그리고
    상기 클램프 링에 체결되는 그립(grip)
    을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24. 제2항에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를 더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25. 제24항에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버튼, 그리고
    상기 모터 및 상기 제어버튼을 수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26. 제1항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측면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내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체결몸체,
    상기 체결몸체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 가능한 슬롯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가이드 홈에 결합되고, 상기 슬롯으로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될 경우, 상기 블레이드에 가압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축부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후, 상기 블레이드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되는 이동부재,
    상기 체결몸체의 타 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제한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슬롯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27. 제26항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제한부재를 상기 체결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핀, 그리고
    상기 고정핀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시키고 있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블레이드로부터 이격될 경우, 압축력이 해제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삽입방향의 반대방향 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28. 제27항에서,
    상기 체결몸체는
    상기 측면커버에 지지되는 지지판,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 상기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어 상기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의 일 측이 삽입되는 블레이드 탄성지지부재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 및 상기 수용홈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핀 체결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29. 제27항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부, 그리고
    상기 체결몸체의 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이동부의 이동 시 상기 체결몸체의 단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부
    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30. 제29항에서,
    상기 제1 이동부에는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는 이동제한 슬롯 및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일 측이 삽입되는 탄성지지부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마주하는 상기 제1 이동부의 일면에는 일 측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슬롯 내에 고정시키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31. 제29항에서,
    상기 제2 이동부에는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턱을 형성하는 파지돌기가 형성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32. 제27항에서,
    상기 이동제한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이동제한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타 측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탄성지지부재 안착홈 및 단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최대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이동제한돌기가 형성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33. 제30항에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슬롯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고정된 후, 전방 측으로 회전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단부에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함께 상기 전방 측으로 회전되는 접촉부
    를 포함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34. 제33항에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돌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KR1020160023457A 2015-07-31 2016-02-26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KR101917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6794 WO2017022950A1 (ko) 2015-07-31 2016-06-24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US15/743,543 US10653534B2 (en) 2015-07-31 2016-06-24 Acetabular cup detaching apparatus for artificial hip j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103 2015-07-31
KR20150109103 2015-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095A KR20170015095A (ko) 2017-02-08
KR101917301B1 true KR101917301B1 (ko) 2018-11-12

Family

ID=5815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457A KR101917301B1 (ko) 2015-07-31 2016-02-26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3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374A (ko) 2019-12-30 2021-07-08 아이메디컴(주)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0704B (zh) 2017-08-23 2021-10-26 爱美迪克株式会社 人工髋关节用髋臼杯拆除装置
WO2019039786A1 (ko) * 2017-08-23 2019-02-28 아이메디컴(주)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KR20240025235A (ko) * 2022-08-18 2024-02-27 아이메디컴(주)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KR20240045552A (ko) * 2022-09-30 2024-04-08 아이메디컴(주)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6007A1 (en) 2001-02-16 2002-08-22 Lewis Randall J.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 acetabular cup
US20060200165A1 (en) 2005-03-01 2006-09-07 Howmedia Osteonics Corp. Acetabular shell removal instrument
KR101402893B1 (ko) 2013-01-22 2014-06-02 주식회사 코렌텍 비구컵 제거시스템
WO2014110517A1 (en) * 2013-01-11 2014-07-17 Infinesse Corporation Spherical-arc rotating saw blade power tool for acetabular cup extra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6007A1 (en) 2001-02-16 2002-08-22 Lewis Randall J.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 acetabular cup
US20060200165A1 (en) 2005-03-01 2006-09-07 Howmedia Osteonics Corp. Acetabular shell removal instrument
WO2014110517A1 (en) * 2013-01-11 2014-07-17 Infinesse Corporation Spherical-arc rotating saw blade power tool for acetabular cup extraction
KR101402893B1 (ko) 2013-01-22 2014-06-02 주식회사 코렌텍 비구컵 제거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374A (ko) 2019-12-30 2021-07-08 아이메디컴(주)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
WO2021137409A3 (ko) * 2019-12-30 2021-08-26 아이메디컴(주)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095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301B1 (ko)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US65655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 acetabular cup
EP0645992B1 (en) Instrumentation for preparing the femur for an artificial knee implant and for positioning the femoral component of the implant
JP6205435B2 (ja) 寛骨臼カップを中心として取外しブレードを回転させるための割出しアセンブリを有する寛骨臼カップ取外し装置
EP0655224A1 (en) Spring loaded screw and driver/extractor therefor
US11672582B2 (en) Surgical wire driver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for the diameter of the wire or pin being driven
EP2305154A1 (en) Rod holder and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system using the same
EP3116462B1 (en) Limb positioning system
KR101824619B1 (ko) 히프 내부 보철물용 히프 소켓 내로 소켓 삽입물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기구
US10653534B2 (en) Acetabular cup detaching apparatus for artificial hip joint
JP2018532566A (ja) 表面再建用骨頭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ホルダ
JP2018501905A (ja) 組立工具
US20130213678A1 (en) Dual reamer driver
WO1993025164A9 (en) Instrumentation for preparing the femur for an artificial knee implant and for positioning the femoral component of the implant
WO2018111575A1 (en) Quick release coupler
US9724209B2 (en) Spherical-arc rotating saw blade power tool for acetabular cup extraction
US75663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tella resection
EP2476397A1 (en) Straight cup impactor with lever arm
CN105997190B (zh) 用于将外科器械附接到患者的骨的系统和方法
KR102103774B1 (ko)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KR101709585B1 (ko) 정형외과 수술용 관절부 고정장치
KR101220953B1 (ko) 라섭 핸들
JP6936799B2 (ja) 骨手術用圧迫器具
CN218247367U (zh) 夹紧装置
CN213993859U (zh) 一种股骨柄打入器及髋关节置换手术器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