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374A -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374A
KR20210085374A KR1020190178343A KR20190178343A KR20210085374A KR 20210085374 A KR20210085374 A KR 20210085374A KR 1020190178343 A KR1020190178343 A KR 1020190178343A KR 20190178343 A KR20190178343 A KR 20190178343A KR 20210085374 A KR20210085374 A KR 20210085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abular cup
cutting blade
hip joint
removing device
artificial 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돈수
Original Assignee
아이메디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메디컴(주) filed Critical 아이메디컴(주)
Priority to KR1020190178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374A/ko
Priority to PCT/KR2020/015249 priority patent/WO2021137409A2/ko
Publication of KR2021008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09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acetabular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92Impactors or extractors, e.g. for removing intramedullar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37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wo parts of a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37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wo parts of a prosthesis
    • A61F2002/464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wo parts of a prosthesis for disconn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로서, 상기 비구컵을 감싸면서 상기 비구컵의 정점을 향하여 연장되고, 일단에 절삭날이 형성된 만곡부, 그리고 상기 만곡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비구컵 탈거장치의 후방을 향하여 상기 비구컵 탈거장치의 중심선에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분기되고, 상기 비구컵 탈거장치의 좌, 우측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 {Cutting blade for an apparatus removing an acetabular cup from artificial hip joint}
본 발명은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 고관절은 고관절 기능에 장해가 생겼을 경우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물로, 고관절이 있던 자리에 이식되어 정상적인 활동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인공 고관절은, 골반의 비구 부위에 삽입되며 베어링 역할을 수행하는 라이너를 구비한 반구 형상의 비구컵(acetabular cup)과, 대퇴골에 끼워지는 스템(stem)과, 그리고 대퇴 골두를 대체하기 위해 스템의 말단에 구비되며 비구컵에 삽입되는 반구 형상의 헤드(femoral head)로 구분된다.
따라서, 관절염이나 이형성증, 외상 또는 감염 후유증에 의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고관절에 통증을 나타내는 환자는 통증이 나타나는 고관절을 상기한 인공 고관절로 대체함으로써, 관절의 운동 기능을 회복하고 통증을 없앨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인공 고관절은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헤드와 마찰되는 비구컵은 지속적인 관절 사용으로 인하여, 마모의 발생률이 높고, 마모가 지속될 경우 심하게는 비구컵이 삽입된 골반의 비구 주변에 골용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 삽입된 비구컵을 골반의 비구로부터 탈거하기 위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제191730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2336호에 개시된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또한, 이러한 비구컵 탈거 장치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국등록디자인공보 제30-094977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고관절 수술용 절삭블레이드를 개발한 바 있다.
도 1 내지 도 2에는 종래의 고관절 수술용 절삭블레이드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종래의 고관절 수술용 절삭블레이드(A)를 비구컵 탈거장치(200)에 장착하여 시술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의 (a)에는 종래의 절삭블레이드가 비구컵 탈거장치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종래의 고관절 수술용 절삭블레이드(A)는 도 2 및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10), 프레임(20), 비구컵 탈거장치에 연결되는 플랜지(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고관절 수술용 절삭블레이드(A)는 프레임(20)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밴드 타입(band type)으로 설계되어 비구컵 탈거장치(200)에 결합 시 사용자가 전후 방향을 직관적으로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관절 수술용 절삭블레이드(A)는 비구컵 탈거장치(200)가 일정 각도 이상 회동할 경우 비구컵(300)이 반구(hemisphere)가 아니라, 타원형일 경우 절삭블레이드(A)의 프레임(20)이 비구컵(300)의 외면에 걸려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원활히 회동되지 못하여 절삭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절삭블레이드(A)의 프레임(20)의 내면이 비구컵(300)의 외면과 면 대 면(face to face)으로 맞닿아 있어 절삭블레이드(A)를 구동시키는 비구컵 탈거장치(200)에 상당한 무리를 주며, 더 나아가 비구컵 탈거장치(200)의 고장을 초래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91730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구컵 탈거시, 비구컵 외면으로 원활하게 회동하여 절삭을 문제없이 수행할 수 있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로서, 상기 비구컵을 감싸면서 상기 비구컵의 정점을 향하여 연장되고, 일단에 절삭날이 형성된 만곡부, 그리고 상기 만곡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비구컵 탈거장치의 후방을 향하여 상기 비구컵 탈거장치의 중심선에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분기되고, 상기 비구컵 탈거장치의 좌, 우측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곡부는 일단은 자유단이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분기부를 통하여 상기 비구컵 탈거장치의 좌, 우측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삭블레이드가 회동하면서 상기 절삭날이 상기 비구컵의 정점으로 향해갈 때, 상기 한 쌍의 분기부는 상기 비구컵에 걸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곡부의 일단의 끝부분인 말단은 상기 비구컵의 외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만곡부는 그 자유단이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지어, 상기 절삭블레이드의 절삭날이 상기 비구컵을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절삭블레이드에서, 한 쌍의 분기부는 만곡부의 타단으로부터 비구컵 탈거장치의 후방을 향하여 비구컵 탈거장치의 중심선에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분기되고, 비구컵 탈거장치의 좌, 우측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종래와는 다르게, 본 절삭블레이드의 분기부가 비구컵에 걸리지 않아, 비구컵 외면으로 본 절삭블레이드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절삭블레이드가 일단이 비구컵의 정점을 향해 전진할 때도 분기부가 뒤로 꺾인 상태로 후퇴되어 있어, 비구컵과의 간섭을 최대한 지연 및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절삭블레이드에서, 만곡부는 그 일단이 자유단이고, 그 타단은 분기부를 통하여 비구컵 탈거장치의 연결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으로 형성되어, 비구컵에 접촉하는 만곡부의 일단이 휘어질 수 있어 비구컵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기재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구성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물론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의 한 예로서, 도 1의 (a)는 그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삭블레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삭블레이드가 적용된 비구컵 탈거 장치를 사용하여 시술을 행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비구컵을 탈거하기 위하여 도 1의 절삭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절삭블레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5의 절삭블레이드의 정면도이고, 도 7의 (b)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절삭블레이드가 비구컵 탈거장치에 초기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비구컵 도시 생략).
도 9는 도 5의 절삭블레이드가 도 8 대비 대략 45도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5의 절삭블레이드가 도 8 대비 대략 90도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을 위에다 내려다본 평면도이다(비구컵 도시).
도 12는 도 11에서 절삭블레이드가 장착된 비구컵 탈거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의 (a)는 도 1의 절삭블레이드가 비구컵 탈거장치에 장착된 모습을 도 7의 (b)는 도 5의 절삭블레이드가 비구컵 탈거장치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비구컵 탈거장치 자체는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사상과는 무관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용 절삭블레이드에 국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절삭블레이드의 평면도이고, 도 7의 (a)는 도 5의 절삭블레이드의 정면도이고, 도 7의 (b)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절삭블레이드가 비구컵 탈거장치에 초기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비구컵 도시 생략), 도 9는 도 5의 절삭블레이드가 도 8 대비 대략 45도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도 5의 절삭블레이드가 도 8 대비 대략 90도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도 10을 위에다 내려다본 평면도이고(비구컵 도시), 도 12는 도 11에서 절삭블레이드가 장착된 비구컵 탈거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7의 (b)는 도 5의 절삭블레이드가 비구컵 탈거장치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절삭블레이드는, 만곡부(1)와 한 쌍의 분기부(2)를 포함한다.
만곡부(1)는,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구컵(300)을 감싸면서 비구컵(300)의 정점(301)을 향하여 연장되고, 일단(12)에 절삭날(11)이 형성된다.
한 쌍의 분기부(2)는 만곡부(1)의 타단(13)으로부터 비구컵 탈거장치(200)의 후방을 향하여 비구컵 탈거장치(200)의 중심선(C1)에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분기되고(도 11의 C2 방향), 비구컵 탈거장치(200)의 좌, 우측 연결부(201,202)에 각각 연결된다(도 13의 (b)).
따라서, 만곡부(1)는 그 일단(12)이 자유단이고, 그 타단(13)은 분기부(2)를 통하여 비구컵 탈거장치의 연결부(201,202)에 고정된 고정단이다. 따라서, 만곡부(1)의 일단(12)은 타단(13)에 대하여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지게 된다. 한편, 만곡부(1)의 말단 즉, 만곡부(1)의 일단(12)의 끝부분은 그 내면이 비구컵(300)에 접촉하도록 만곡부(1)의 곡률반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구컵 탈거장치(200)의 좌, 우측 연결부(201,202)가 회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본 절삭블레이드가 회동하면서 절삭날(11)이 비구컵(300)의 정점(301)으로 향해갈 때, 한 쌍의 분기부(2)는 비구컵(300)에 걸리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용 절삭블레이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절삭블레이드를 비구컵 탈거장치에 장착하면, 한 쌍의 분기부(2)는 만곡부(1)의 타단(13)으로부터 비구컵 탈거장치(200)의 후방을 향하여 비구컵 탈거장치(200)의 중심선(C1)에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분기되고(도 11의 C2 방향), 비구컵 탈거장치(200)의 좌, 우측 연결부(201,202)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본 절삭블레이드의 분기부(2)가 비구컵(300)에 걸리지 않아, 비구컵(300)의 외면으로 본 절삭블레이드가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비구컵 탈거장치(200)의 좌, 우측 연결부(201,202)가 회동함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절삭블레이드가 회동하게 되고,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블레이드의 일단(1)이 비구컵(300)의 정점(301)을 향해 전진할 때도 분기부(2)가 뒤로 꺾인 상태로 후퇴되어 있어, 비구컵(300)과의 간섭을 최대한 지연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절삭블레이드에서, 만곡부(1)는 그 일단(12)이 자유단이고, 그 타단(13)은 분기부(2)를 통하여 비구컵 탈거장치의 연결부(201,202)에 고정된 고정단이다. 그리고 만곡부(1)의 말단(즉, 일단(12)의 끝부분)은 그 내면이 비구컵(300)에 접촉하도록 만곡부(1)의 곡률반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만곡부(1)는 그 자유단이 어느 정도의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지게 되어, 본 절삭블레이드의 절삭날(11)이 비구컵(300)을 원활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하여, 종래의 절삭블레이드는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삭블레이드와 같은 자유단 구성을 가지고 있지 못해, 절삭날이 비구컵을 제대로 타고 넘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절삭블레이드는 비구컵(300)의 곡률이 본 절삭블레이드의 만곡부(1)의 곡률과 다소간 차이 나더라도(예를 들면, 비구컵이 타원형) 만곡부(1)의 절삭날이 비구컵(300)을 스무스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어, 인공 고관절로부터 비구컵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00...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
201, 202...비구컵 탈거장치의 좌, 우측 연결부
300...비구컵
301...비구컵의 정점
1...만곡부
11...절삭날
2...한 쌍의 분기부

Claims (5)

  1.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로서,
    상기 비구컵을 감싸면서 상기 비구컵의 정점을 향하여 연장되고, 일단에 절삭날이 형성된 만곡부, 그리고
    상기 만곡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비구컵 탈거장치의 후방을 향하여 상기 비구컵 탈거장치의 중심선에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분기되고, 상기 비구컵 탈거장치의 좌, 우측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부
    를 포함하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
  2. 제1항에서,
    상기 만곡부는 일단은 자유단이고, 타단은 상기 한 쌍의 분기부를 통하여 상기 비구컵 탈거장치의 좌, 우측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단인,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
  3. 제2항에서,
    상기 절삭블레이드가 회동하면서 상기 절삭날이 상기 비구컵의 정점으로 향해갈 때, 상기 한 쌍의 분기부는 상기 비구컵에 걸리지 않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
  4. 제3항에서,
    상기 만곡부의 일단의 끝부분인 말단은 상기 비구컵의 외면에 접촉하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
  5. 제2항에서,
    상기 만곡부는 그 자유단이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지어, 상기 절삭블레이드의 절삭날이 상기 비구컵을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용 절삭블레이드.
KR1020190178343A 2019-12-30 2019-12-30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 KR20210085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343A KR20210085374A (ko) 2019-12-30 2019-12-30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
PCT/KR2020/015249 WO2021137409A2 (ko) 2019-12-30 2020-11-03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343A KR20210085374A (ko) 2019-12-30 2019-12-30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374A true KR20210085374A (ko) 2021-07-08

Family

ID=7668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343A KR20210085374A (ko) 2019-12-30 2019-12-30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85374A (ko)
WO (1) WO202113740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034A1 (ko) * 2022-08-18 2024-02-22 아이메디컴(주)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301B1 (ko) 2015-07-31 2018-11-12 아이메디컴(주)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3031B2 (en) * 2005-03-01 2010-07-27 Howmedica Osteonics Corp. Acetabular shell removal instrument
KR102203975B1 (ko) * 2013-01-11 2021-01-18 인피네쎄 코포레이션 비구 컵 추출을 위한 구형 아크 회전 톱 블레이드 전동 기구
EP2818125B1 (en) * 2013-06-28 2016-08-17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Surgical blade for use with an acetabular cup remover to remove bone around acetabular cup
WO2017019332A1 (en) * 2015-07-27 2017-02-02 Hip Innovation Technology, LLC Acetabular cup extra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301B1 (ko) 2015-07-31 2018-11-12 아이메디컴(주)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034A1 (ko) * 2022-08-18 2024-02-22 아이메디컴(주)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409A3 (ko) 2021-08-26
WO2021137409A2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6270A (en) Hip replacement
US8480752B2 (en) Tibial bearing having increased axial-rotation
US8075626B2 (en) Orthopaedic knee prosthesis having increased axial-rotation
JP4335139B2 (ja) プロテーゼ
US56699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oothing an anatomical joint bearing surface during hemi-joint replacement
US4057858A (en) Elbow prosthesis
DE69727953D1 (de) Pfanne für hüftgelenkprothese
US8246688B2 (en) Knee endoprosthesis
JP2008508974A (ja) 上または下肢のためのボール型3重関節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CA2894769A1 (en) Medical implant for reducing pain in diseased joints
US11406507B2 (en) Total wrist prosthesis and related methods
CN103002835A (zh) 髋关节植入物
KR20210085374A (ko)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장치에 사용되는 절삭블레이드
EP0910991A2 (en) Orthopedic reaming instrument
US10918493B2 (en) Joint replacement device
US9452058B2 (en) Artificial implant for carpometacarpal joint
CN215307045U (zh) 一种具有peek外套的骨修复假体
KR102168619B1 (ko) 선천성고관절발육불량 치료용 코브라 형상 대퇴스템삽입물
US6468307B1 (en) Anterior chamber implant for treating the phakic eye
CN209347323U (zh) 一种股骨柄假体
US20190298529A1 (en) Orthopaedic hip prosthesis surfac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JP5325504B2 (ja) 人工股関節用コンポーネント
EP2524671B1 (fr) Implant articulaire d'interposition métatarso-phalangien ou métacarpo-phalangien
KR20240045552A (ko)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EP0681816A2 (en) Femoral part of a hip joint endoprosth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