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953B1 - 라섭 핸들 - Google Patents

라섭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953B1
KR101220953B1 KR1020110061377A KR20110061377A KR101220953B1 KR 101220953 B1 KR101220953 B1 KR 101220953B1 KR 1020110061377 A KR1020110061377 A KR 1020110061377A KR 20110061377 A KR20110061377 A KR 20110061377A KR 101220953 B1 KR101220953 B1 KR 10122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andle
ratchet
coupling portion
coup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805A (ko
Inventor
선두훈
김용식
김정성
신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11006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9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07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hip femoral endo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002/4622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having the shape of a forceps or a cla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002/4625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parts of the instrument during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섭을 이용한 시술시 라섭을 파지하고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라섭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섭이 라섭 핸들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양자를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라섭과 라섭 핸들을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결합부가 이동하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별도의 구성 및 독립적인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시술중 타격에 의한 외부 충격 등에도 라섭과 라섭 핸들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고정부의 회전축 중심이 고정부의 돌출결합부와 결합부의 함입결합부가 결속된 상태에서의 중심보다 높게 형성되어, 타격에 의한 외부 충격에도 고정부의 돌출결합부가 상향 이동하여 돌출결합부와 함입결합부 간의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고정부에 형성된 손잡이부가 가압되어 하향 이동하게 되면 손잡이부의 말단이 하향 경사진 결합부의 경사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결합부를 후진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고, 손잡이부가 일정 범위 이상 하향 이동되는 것과 결합부의 전후방향 슬라이딩되는 거리가 일정 범위를 넘어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섭 핸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섭 핸들{A Rasp Handle}
본 발명은 라섭을 이용한 시술시 라섭을 파지하고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라섭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섭이 라섭 핸들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양자를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라섭과 라섭 핸들을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결합부가 이동하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별도의 구성 및 독립적인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시술중 타격에 의한 외부 충격 등에도 라섭과 라섭 핸들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고정부의 회전축 중심이 고정부의 돌출결합부와 결합부의 함입결합부가 결속된 상태에서의 중심보다 높게 형성되어, 타격에 의한 외부 충격에도 고정부의 돌출결합부가 상향 이동하여 돌출결합부와 함입결합부 간의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고정부에 형성된 손잡이부가 가압되어 하향 이동하게 되면 손잡이부의 말단이 하향 경사진 결합부의 경사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결합부를 후진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고, 손잡이부가 일정 범위 이상 하향 이동되는 것과 결합부의 전후방향 슬라이딩되는 거리가 일정 범위를 넘어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섭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는 뼈와 뼈 부분이 연결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부위로서 관절이 있는데, 이러한 관절 중에서 무릎관절에 이어 두번째로 큰 관절이 고관절 또는 엉덩이관절로서 사람의 보행을 가능하게 하고, 몸통과 다리의 연결부위에 위치한다. 위와 같은 고관절에 심한 통증과 퇴행성 관절염 등에 의해 보행이나 일상 생활에 불편함이 초래될 때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술하게 되는데, 인공고관절 치환술은 전신 마취하에 허벅지 위쪽과 엉덩이 바깥쪽에서 피부를 절개하고 고관절 부위를 노출시켜 손상된 허벅지 뼈(대퇴골)와 엉덩이 뼈(골반)를 제거하고 인공고관절을 삽입하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고관절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인공고관절 치환술은 대퇴골(a)과 골반(b) 사이에 인공관절(c)을 게재하여 시술되고, 이러한 시술을 위해 상기 인공관절(c)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대퇴골(a)에 일정 크기로 함몰되는 시술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사용되는 수술기구가 라섭(Rasp)이다. 한편, 상기 라섭은 시술자가 파지하고 타격할 수 있는 라섭 핸들(Rasp Handle)과 결합되고, 이러한 상기 라섭과 라섭 핸들은 브로치와 브로치핸들과 같은 용어로도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라섭과 라섭 핸들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인공관절(c)을 삽입하기 위해 상기 대퇴골(a)에 시술부를 형성하는 경우, 최초 시술시에는 작은 크기의 라섭을 사용하고 점차 큰 크기의 라섭으로 교체하면서 상기 대퇴골(a)에 상기 인공관절(c)을 삽입하기 위한 시술부를 형성시키는데, 라섭이 상기 대퇴골(a)에 깊게 박힌 경우 라섭 핸들을 해머로 타격하면서 라섭을 빼내게 되며 종래에는 이 경우 라섭과 라섭 핸들간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어 시술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라섭과 라섭 핸들의 결합 및 고정 구조는 하나의 부재가 결합과 고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을 위한 구성과 고정을 위한 구성이 별개로 있다 하더라도 양자가 항상 하나의 움직임에 다른 하나까지 움직이도록 연결구조를 갖게 되므로, 타격과 같은 외부 충격이 전해져 하나의 구성에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반력이 작용하게 되면 나머지 하나의 구성도 그 힘의 영향을 받게 되어 결합 자체가 보다 쉽게 해제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라섭 핸들 내 구성들의 움직임 범위를 일정 범위 이내로 정확하게 규정하고 통제할 수 있는 구조 등은 찾아볼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섭이 라섭 핸들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양자를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라섭과 라섭 핸들을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결합부가 이동하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별도의 구성 및 독립적인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시술중 타격에 의한 외부 충격 등에도 라섭과 라섭 핸들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라섭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부의 회전축 중심이 고정부의 돌출결합부와 결합부의 함입결합부가 결속된 상태에서의 중심보다 높게 형성되어, 타격에 의한 외부 충격에도 고정부의 돌출결합부가 상향 이동하여 돌출결합부와 함입결합부 간의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섭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에 형성된 손잡이부가 가압되어 하향 이동하게 되면 손잡이부의 말단이 하향 경사진 결합부의 경사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결합부를 후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손잡이부가 상향 복원되는 경우에는 결합부 타단에 결합된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결합부를 전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여, 작동이 간편하고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라섭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에서 회전축을 둘러싸는 하면의 결합부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일직선형태로 맞닿도록 형성되는 지지면을 형성하여 손잡이부가 일정 범위 이상 하향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부 내부에서 핀을 수용하는 핀수용공의 전후방향 크기를 결합부의 전후방향 이동 간격만큼 형성하여 결합부의 전후방향 슬라이딩되는 거리를 일정 범위 내로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는 라섭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라섭 핸들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섭 핸들은 라섭을 삽입할 수 있는 수용부; 슬라이딩방식으로 전,후진 왕복이동하며, 상기 수용부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수용부 내의 라섭과 결합하여 라섭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는 독립된 구조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며, 상기 결합부가 수용부 내에 삽입되어 라섭과 결합한 경우에 일단이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여 결합부가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 슬라이딩방식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상기 결합부의 타단에 결합하여 탄성에 의해 결합부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섭 핸들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와는 별개의 독립된 구조를 갖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방향 회전시에는 고정부의 일단이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여 결합부가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결합부와 라섭간의 결합이 해제되지 못하도록 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방향 회전시에는 고정부 일단과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어 결합부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섭 핸들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결합부와 결합하게 되는 일단의 반대 방향 타단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으로는 손잡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일측이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고정지지되어, 손잡이부가 가압되어 손잡이부와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 탄성에 의해 손잡이부를 밀어내어 가압된 손잡이부가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판스프링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라섭과 결합하게 되는 일단의 반대 방향 타단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과 접촉하게 되는 면에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부가 가압되어 하향 이동하게 되면 손잡이부의 말단이 하향 경사진 상기 경사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결합부를 후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섭 핸들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결합부와 결합하는 일단에서 하향 돌출된 돌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면에서 하향 함입되어 상기 돌출결합부가 삽입되어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함입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회전축 중심은 상기 돌출결합부와 함입결합부가 결속된 상태에서의 중심보다 높게 형성되어, 타격에 의한 외부 충격에도 고정부의 돌출결합부가 상향 이동하여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섭 핸들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하면에서 상기 결합부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일직선형태로 맞닿도록 형성되는 지지면을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부를 가압하여 하향 이동시킬시 일정 범위 이상 하향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타측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결합부와는 간섭되지 않도록 결합부와 분리되어 지지됨으로써, 결합부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라섭 핸들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라섭 핸들 몸체와 결합부를 가로지르는 핀에 의해 고정되고, 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핀을 수용하는 핀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핀수용공의 전후방향 크기는 상기 결합부의 전후방향 이동 간격만큼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전후방향 슬라이딩되는 거리를 일정 범위 내로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섭이 라섭 핸들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양자를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라섭과 라섭 핸들을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결합부가 이동하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별도의 구성 및 독립적인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시술중 타격에 의한 외부 충격 등에도 라섭과 라섭 핸들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고정부의 회전축 중심이 고정부의 돌출결합부와 결합부의 함입결합부가 결속된 상태에서의 중심보다 높게 형성되어, 타격에 의한 외부 충격에도 고정부의 돌출결합부가 상향 이동하여 돌출결합부와 함입결합부 간의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고정부에 형성된 손잡이부가 가압되어 하향 이동하게 되면 손잡이부의 말단이 하향 경사진 결합부의 경사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결합부를 후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손잡이부가 상향 복원되는 경우에는 결합부 타단에 결합된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결합부를 전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여, 작동이 간편하고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고정부에서 회전축을 둘러싸는 하면의 결합부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일직선형태로 맞닿도록 형성되는 지지면을 형성하여 손잡이부가 일정 범위 이상 하향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부 내부에서 핀을 수용하는 핀수용공의 전후방향 크기를 결합부의 전후방향 이동 간격만큼 형성하여 결합부의 전후방향 슬라이딩되는 거리를 일정 범위 내로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고관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섭 핸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라섭 핸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라섭 핸들의 단면도
도 5는 라섭과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라섭과의 결합 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라섭과의 결합 후 고정부의 모멘트 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라섭 핸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섭 핸들의 사시도이고, , 도 3은 도 2의 라섭 핸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라섭 핸들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라섭과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라섭과의 결합 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라섭과의 결합 후 고정부의 모멘트 관계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섭 핸들(30)은 라섭(10)을 삽입할 수 있는 수용부(310); 슬라이딩방식으로 전,후진 왕복이동하며, 상기 수용부(310)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수용부(310) 내의 라섭(10)과 결합하여 라섭(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결합부(320); 상기 결합부(320)와는 독립된 구조로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며, 상기 결합부(320)가 수용부(310) 내에 삽입되어 라섭(10)과 결합한 경우에 일단이 상기 결합부(320)와 결합하여 결합부(320)가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330); 슬라이딩방식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상기 결합부(320)의 타단에 결합하여 탄성에 의해 결합부(320)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10)는 라섭(10)이 삽입되어 라섭 핸들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라섭(1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고 타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의 홀(hole) 형태의 내부 공간 즉, 수용공(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310)의 내부 공간 즉, 수용공(311) 내주면 상의 일측에는 후술할 결합부(32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312)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12)을 통해 삽입된 결합부(320)의 일단과 수용공(311) 내 라섭(10)의 일측이 결합되어 수용부(310) 내에 삽입된 라섭(10)이 수용부(310)에서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고정될 수 있게 된다. 만약, 후술할 바와 같이 결합부(320)가 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결합부(320)의 일단이 상기 관통공(312)에서 빠져 나가는 경우라면 그때서야 수용공(311)에 삽입된 라섭(10)의 일측 역시 수용공(311)에서 이탈하여 라섭 핸들(30)과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수용공(311)의 폐쇄된 타면에는 삽입결합된 라섭(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방지홈(미도시)과 같은 구성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20)는 슬라이딩방식으로 전,후진 왕복이동하며, 상기 수용부(310)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수용부(310) 내의 라섭(10)과 결합하여 라섭(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310)의 관통공(312) 내에 삽입,결합되는 일단에는 상기 관통공(312) 내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311) 내의 라섭(10)의 일측과 결합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단(321)이 형성되고, 반대측 타단에는 측면에 후술할 탄성부재(340)가 결합되는 탄성부재결합부(322)와 후술할 고정부(330)의 손잡이부(334)의 말단과 접촉하게 되는 면에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323)이 형성되며, 결합부(320)의 전방측 상면에는 후술할 고정부(330) 일단의 돌출결합부(333)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하향 함입되는 함입결합부(324)가 형성되고, 결합부(320) 내부에는 결합부(320)를 라섭 핸들(30)의 몸체에 결합시키는 핀(35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핀수용공(3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단(321)은 결합부(320)의 상기 수용부(310)와 접하게 되는 일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결합부(32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수용부(310)에 형성된 관통공(31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311) 내에 삽입된 라섭(10)의 일측과 결합됨으로써, 라섭(10)의 일측이 상기 결합단(321)에 걸려 이탈하지 못하고 라섭 핸들(30)에 견고하게 결합,고정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탄성부재결합부(322)는 결합부(320)에서 상기 결합단(321)이 형성되는 일단과 반대 방향의 타단에서 후방에 위치하는 후술할 탄성부재(3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구성으로, 상기 탄성부재결합부(322)에 결합된 후술할 탄성부재(340)는 상기 결합부(32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에는 압축되다가, 상기 결합부(32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탄성에 의해 결합부(32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후술할 탄성부재(340)는 상기 탄성부재결합부(322)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312)에 삽입,결합된 상기 결합단(321)이 삽입,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라섭(10)을 결합,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력 역시 제공하게 된다.
상기 경사면(323)은 결합부(320)에서 후술할 고정부(330)의 손잡이부(334) 말단과 접촉하게 되는 면상에 하향 경사지는 즉, 위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면을 지칭한다. 따라서, 후술할 고정부(330)의 손잡이부(334)가 가압되어 하향 이동하게 되면 손잡이부(334)의 말단이 하향 경사진 상기 경사면(323)을 따라 접촉하면서 경사면(323)을 후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결합부(320) 전체가 후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작동에 대한 과정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함입결합부(324)는 결합부(320)의 상면에 함입형성되어 후술할 고정부(330)의 돌출결합부(333)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고정부(330)의 전방측 일단에서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결합부(333)와 맞닿게 되는 결합부(320)의 상면 상에서 돌출결합부(33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됨으로써, 고정부(330)의 돌출결합부(333)가 상기 함입결합부(324)에 삽입,결합되는 경우 삽입된 돌출결합부(333)가 상기 결합부(320)가 전후방향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제한시켜 결합부(32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핀수용공(325)은 결합부(320) 내부에서 결합부(320)를 라섭 핸들(30)의 몸체에 결합시키는 핀(35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결합부(320)를 라섭 핸들(30) 몸체에 결합시키기 위해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섭 핸들(3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핀(350)이 라섭 핸들(30)의 몸체와 결합부(320)를 관통하여 양자를 결합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320)의 몸체 내부에는 상기 핀(35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핀수용공(325)이 관통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핀수용공의 관통 형성되는 크기에 있어 특히, 전후방향 즉, 결합부(32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전후방향 크기는 결합부(320)의 전후방향 이동 간격만큼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320)의 전후방향 슬라이딩되는 거리를 일정 범위 내 즉, 핀수용공(325)의 전후방향 크기 내로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330)는 상기 결합부(320)와는 독립된 구조로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며, 상기 결합부(320)가 수용부(310) 내에 삽입되어 라섭(10)과 결합한 경우에 일단이 상기 결합부(320)와 결합하여 결합부(320)가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330)는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30)가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의 중심이 되는 축을 형성하는 회전축(331)과, 상기 회전축(331)을 기준으로 전방측 일단에서 하향 돌출되어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부(320)의 함입결합부(324)와 결합하는 되는 돌출결합부(333)와, 상기 회전축(331)을 기준으로 후방측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고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334)와, 상기 손잡이부(334) 하측으로 손잡이부(334)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일측이 손잡이부(334)와 결합되고 타측은 고정지지되어 손잡이부(334)가 가압되어 손잡이부(334)와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 탄성에 의해 손잡이부(334)를 밀어내어 가압된 손잡이부(334)가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판스프링(3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31)은 고정부(330)가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의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상기 회전축(331)으로는 핀과 같은 구성이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331)을 둘러싸고 있는 고정부(330)의 하면에서는, 상기 손잡이부(334)가 가압되어 고정부(3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향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합부(320)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일직선형태로 결합부(320)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지지면(332)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34)를 가압하여 하향 이동시킬시 상기 지지면(332)이 결합부(320)와 맞닿게 되는 지점까지만 손잡이부(334)가 하향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일정 범위 이상 과도하게 회전하여 하향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손잡이부(334)가 과도하게 가압되어 하향 이동하게 되면 후술할 판스프링(335)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331)의 중심(h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결합부(333)가 함입결합부(324)에 삽입,결속된 상태에서의 돌출결합부(333)와 함입결합부(324)의 중심이 되는 지점(h2)보다 높게 형성되어, 타격에 의한 외부 충격 등이 라섭 핸들(30)에 가해지더라도 후술할 판스프링(335)의 탄성에 더해 위와 같이 돌출결합부(333)의 중심(h2)이 회전축(331)의 중심(h1)보다 낮게 위치하여 충격 등에 의한 고정부(330)의 회전모멘트가 시계반대방향(②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 돌출결합부(333)가 시계방향 즉, 상향으로 회전 이동하기가 더욱 어려워지는 구조로 고정부(330)와 결합부(320)의 결속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돌출결합부(333)는 상기 회전축(331)을 기준으로 고정부(330)의 전방측 일단에서 하향 돌출되어 그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부(320)의 함입결합부(324)와 결합하는 되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부(330)는 상기 돌출결합부(333)가 결합부(320)의 함입결합부(324)에 삽입,결합됨에 따라 돌출결합부(333)가 결합부(320)의 전후방향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부(320)가 상기 관통공(312) 내에 삽입되어 라섭(10)과 결합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라섭(10)과의 락킹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손잡이부(334)는 상기 회전축(331)을 기준으로 후방측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고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손잡이부(334)의 상면에는 쉽게 파지될 수 있도록 물결무늬 형태의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34)의 말단은 가압에 의해 하향 이동함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20)의 경사면(323)과 접촉하게 되는데, 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판스프링(335)은 가압에 의해 하향 이동된 상기 손잡이부(334)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판스프링(335)은 상기 손잡이부(334) 하측으로 손잡이부(334)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일측이 손잡이부(334)와 결합되고 타측은 고정지지되어, 손잡이부(334)가 가압되어 손잡이부(334)와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 탄성에 의해 손잡이부(334)를 밀어내어 가압된 손잡이부(334)가 복원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판스프링(335)의 타측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기 결합부(320)와는 간섭되지 않도록 결합부(320)와 분리되어 지지되어 결합부(320)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게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섭 핸들(30) 몸체에서 길이방향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핀 위에 상기 판스프링(335)의 타측이 고정지지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340)는 슬라이딩방식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상기 결합부(320)의 타단에 결합하여 탄성에 의해 결합부(320)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상기 결합부(320)의 탄성부재결합부(322)에 결합되는 상기 탄성부재(340)는 상기 결합부(32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에는 압축되다가, 상기 결합부(32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탄성에 의해 결합부(32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40)는 상기 관통공(312)에 삽입,결합된 상기 결합부(320)의 결합단(321)이 삽입,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라섭(10)을 결합,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력 역시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섭 핸들에 라섭이 결합,해제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330)의 손잡이부(334)를 가압하여 하향 이동(①방향)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부(330)는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①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고정부(330)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돌출결합부(333)는 상향 이동하여 결합부(320)의 함입결합부(324)에서 이탈되어 결합부(320)를 고정시키던 고정력이 해제되게 된다. 또한, 하향 이동(①방향)하는 상기 손잡이부(334)의 말단은 상기 결합부(320)의 하향 경사진 경사면(323)과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손잡이부(334) 말단이 하향 경사진 경사면(323)을 밀어내어 후방으로(ⓐ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결합부(320) 전체가 후방으로(ⓐ방향)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결합단(321)은 상기 관통공(312)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결합부(322)는 상기 탄성부재(340)를 가압하여 탄성부재(340)가 압축되게 된다. 다만, 이때 결합부(320)가 후방 이동하게 되는 범위는 상기 고정부(330)의 지지면(332)이 결합부(320)와 맞닿게 되는 순간 또는 결합부(320)의 핀수용공(325) 전방측에 핀(350)이 맞닿게 되는 순간까지로 제한되어, 일정 범위 이상 과도하게 손잡이부(334) 또는 탄성부재(340)가 가압되어 판스프링(335) 또는 탄성부재(340)가 변형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섭(10)과 라섭 핸들(30)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라섭(10)을 상기 수용부(310)의 수용공(311)에 삽입한 후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34)에 가하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일차적으로 상기 판스프링(335)의 탄성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334)는 상향 이동(②방향)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330)는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②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34) 말단 역시 상향 이동(②방향)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부(320)가 전방으로(ⓑ방향)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결합단(321)은 상기 관통공(312)에 삽입되어 수용공(311) 내에서 라섭(10)의 일측과 결합하게 되고, 시계반대방향(②방향)으로 회동하던 고정부(330)의 돌출결합부(333)는 상기 결합부(320)의 함입결합부(324)에 삽입,결합되어 결합부(320)가 더이상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결합부(3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앞서 도 7과 함께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31)의 중심(h1)은 상기 돌출결합부(333)가 함입결합부(324)에 삽입,결속된 상태에서의 돌출결합부(333)와 함입결합부(324)의 중심이 되는 지점(h2)보다 높게 형성되므로, 타격에 의한 외부 충격 등이 라섭 핸들(30)에 가해지더라도 후술할 판스프링(335)의 탄성에 더해 위와 같이 돌출결합부(333)의 중심(h2)이 회전축(331)의 중심(h1)보다 낮게 위치하여 충격 등에 의한 고정부(330)의 회전모멘트가 시계반대방향(②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 돌출결합부(333)가 시계방향 즉, 상향으로 회전 이동하기가 더욱 어려워지는 구조로 고정부(330)와 결합부(320)의 결속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섭 핸들(30)은 라섭(10)이 라섭 핸들(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양자를 결합하는 결합부(320)와, 상기 결합부(320)가 라섭(10)과 라섭 핸들(30)을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결합부(320)가 이동하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부(330)를 별도의 구성 및 독립적인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시술중 타격에 의한 외부 충격 등에도 결합부(320)를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부(330)에는 직접적인 반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330)가 결합부(320)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라섭(10)과 라섭 핸들(30)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격 등에 의해 상기 고정부(330)에 작용하는 회전모멘트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정부(33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부(32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330)에 형성된 손잡이부(334)가 가압되어 하향 이동하게 되면서 동시에 손잡이부(334)의 말단이 하향 경사진 결합부(320)의 경사면(323)을 따라 접촉하면서 결합부(320)를 후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판스프링(335)의 탄성에 의해 손잡이부(334)가 상향 복원되는 경우에는 결합부(320) 타단에 결합된 탄성부재(340)의 탄성에 의해 결합부(320)를 전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여 작동이 간편하고, 판스프링(335)이나 탄성부재(340)의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라섭
30: 라섭 핸들
310: 수용부 311: 수용공 312: 관통공
320: 결합부 321: 결합단 322: 탄성부재결합부
323: 경사면 324: 함입결합부 325: 핀수용공
330: 고정부 331: 회전축 332: 지지면
333: 돌출결합부 334: 손잡이부 335: 판스프링
340: 탄성부재
350: 핀

Claims (6)

  1. 삭제
  2. 라섭을 삽입할 수 있는 수용부;
    슬라이딩방식으로 전,후진 왕복이동하며, 상기 수용부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수용부 내의 라섭과 결합하여 라섭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는 독립된 구조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며, 상기 결합부가 수용부 내에 삽입되어 라섭과 결합한 경우에 일단이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여 결합부가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
    슬라이딩방식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상기 결합부의 타단에 결합하여 탄성에 의해 결합부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와는 별개의 독립된 구조를 갖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방향 회전시에는 고정부의 일단이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여 결합부가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결합부와 라섭간의 결합이 해제되지 못하도록 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방향 회전시에는 고정부 일단과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어 결합부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섭 핸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결합부와 결합하게 되는 일단의 반대 방향 타단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으로는 손잡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일측이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타측은 고정지지되어, 손잡이부가 가압되어 손잡이부와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 탄성에 의해 손잡이부를 밀어내어 가압된 손잡이부가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판스프링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라섭과 결합하게 되는 일단의 반대 방향 타단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과 접촉하게 되는 면에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부가 가압되어 하향 이동하게 되면 손잡이부의 말단이 하향 경사진 상기 경사면을 따라 접촉하면서 결합부를 후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섭 핸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결합부와 결합하는 일단에서 하향 돌출된 돌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면에서 하향 함입되어 상기 돌출결합부가 삽입되어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함입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회전축 중심은 상기 돌출결합부와 함입결합부가 결속된 상태에서의 중심보다 높게 형성되어, 타격에 의한 외부 충격에도 고정부의 돌출결합부가 상향 이동하여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섭 핸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하면에서 상기 결합부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 일직선형태로 맞닿도록 형성되는 지지면을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부를 가압하여 하향 이동시킬시 일정 범위 이상 하향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타측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결합부와는 간섭되지 않도록 결합부와 분리되어 지지됨으로써, 결합부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섭 핸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라섭 핸들 몸체와 결합부를 가로지르는 핀에 의해 고정되고, 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핀을 수용하는 핀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핀수용공의 전후방향 크기는 상기 결합부의 전후방향 이동 간격만큼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전후방향 슬라이딩되는 거리를 일정 범위 내로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섭 핸들.
KR1020110061377A 2011-06-23 2011-06-23 라섭 핸들 KR101220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377A KR101220953B1 (ko) 2011-06-23 2011-06-23 라섭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377A KR101220953B1 (ko) 2011-06-23 2011-06-23 라섭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05A KR20130006805A (ko) 2013-01-18
KR101220953B1 true KR101220953B1 (ko) 2013-01-22

Family

ID=4783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377A KR101220953B1 (ko) 2011-06-23 2011-06-23 라섭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924B1 (ko) * 2019-10-07 2021-12-17 주식회사 코렌텍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CN113974761B (zh) * 2021-11-30 2023-06-20 优适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髋关节股骨侧髓腔锉辅助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3636B1 (en) 2002-03-12 2003-12-16 United Orthopedic Corporation Femur rasp fastener
KR20080043785A (ko) * 2005-09-09 2008-05-19 발데마르 링크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골수 공동에 삽입되는 인공삽입물 축을 포함하는 관내인공삽입물용 삽입기구
JP2010057621A (ja) 2008-09-02 2010-03-18 Japan Medical Materials Corp ブローチハンドル
KR20100009338U (ko) * 2010-06-29 2010-09-27 주식회사 코렌텍 브로치핸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3636B1 (en) 2002-03-12 2003-12-16 United Orthopedic Corporation Femur rasp fastener
KR20080043785A (ko) * 2005-09-09 2008-05-19 발데마르 링크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골수 공동에 삽입되는 인공삽입물 축을 포함하는 관내인공삽입물용 삽입기구
JP2010057621A (ja) 2008-09-02 2010-03-18 Japan Medical Materials Corp ブローチハンドル
KR20100009338U (ko) * 2010-06-29 2010-09-27 주식회사 코렌텍 브로치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05A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9440B2 (en) Knockout tool for minimally invasive prosthesis revision
EP1923023B1 (en) Controlled force impacting device
JP4320263B2 (ja) ロッド押込み具
US20170245997A1 (en) Spinal spacing implant, spinal spacer assembly, expander and insertion instrument, kit an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AU2003249923B2 (en) Ligament tensing device with displaceable lug
US9901462B2 (en) Femoral component instrument
KR101824619B1 (ko) 히프 내부 보철물용 히프 소켓 내로 소켓 삽입물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기구
JPH09289997A (ja) 人工膝関節埋め込み工具システムおよびユニバーサル手具
US7344542B2 (en) Pin extraction assembly
JP2016526455A5 (ko)
JP6028035B2 (ja) 整形外科アンカーアセンブリ
JP2000139935A (ja) 整形外科用鉗子器具システムおよび鉗子器具
CN109069145B (zh) 手术缝合设备
US20090036909A1 (en) Femoral component holder
EP2837364B1 (en) Surgical impactor/extractor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1220953B1 (ko) 라섭 핸들
US9408720B2 (en) Orthopedic implant inserter with removable jaws
JP2003509105A (ja) 骨破片の整復装置
KR100804775B1 (ko) 브로치와 브로치핸들의 탈부착 구조
KR200459347Y1 (ko) 브로치핸들
EP2915494A1 (en) Surgical extraction device
US20210153915A1 (en) Implant Apparatus for Spinal Surgery
CN211325523U (zh) 一种带尖复位钳
KR101207389B1 (ko) 척추교정기구
KR20100005536A (ko) 브로치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