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924B1 -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 Google Patents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924B1
KR102339924B1 KR1020190124056A KR20190124056A KR102339924B1 KR 102339924 B1 KR102339924 B1 KR 102339924B1 KR 1020190124056 A KR1020190124056 A KR 1020190124056A KR 20190124056 A KR20190124056 A KR 20190124056A KR 102339924 B1 KR102339924 B1 KR 102339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roach
coupling
shaft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1685A (ko
Inventor
이상길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190124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9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2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8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78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92Impactors or extractors, e.g. for removing intramedullar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로치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와 중공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샤프트 및 상기 바디부와 연결된 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장된 레버와,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 및 상기 힌지로부터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된 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시 상기 샤프트는 하강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브로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레버를 눌러 상기 바디부 쪽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샤프트는 상승하여 상기 브로치가 상기 결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수술 중 조작이 간편하고 수술시간을 단축시키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Easy-to-use Broach Handle With Lever Mechanism}
본 발명은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로치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와 중공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샤프트 및 상기 바디부와 연결된 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장된 레버와,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 및 상기 힌지로부터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된 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시 상기 샤프트는 하강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브로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레버를 눌러 상기 바디부 쪽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샤프트는 상승하여 상기 브로치가 상기 결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수술 중 조작이 간편하고 수술시간을 단축시키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에 관한 것이다.
인공어깨관절(Shoulder Joint)은 견갑골(Scapula) 상완골(Humerus) 사이의 관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견갑골에는 상기 상완골을 수용하는 부분인 관절와(Glenoid)가 구성되고, 상기 상상완골 가장 위에는 반구 모양의 헤드(Humeral Head)가 형성된다. 구상관절(Ball and Socket Joint)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헤드는 견갑골의 글레노이드와 접하게 되어 움직이면서 자연스러운 팔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데, 관절염, 외상 등에 의해 상기 어깨관절이 제 기능을 상실하였을 때 파괴된 관절을 대치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이식하여 정상적인 어깨관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공어깨관절 치환술을 시술하게 된다. 이러한 인공어깨관절 치환술에는 토탈형 인공어깨관절 치환술과 리버스형 인공어깨관절 수술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어깨관절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관절염 등 다양한 원인으로 어깨관절(Shoulder Joint) 부분이 손상될 수 있다. 손상된 어깨관절을 대체하는 인공어깨관절은 상상완골umerus) 부분에 스템(Stem)을 매식한 후 헤드를 고정시키고, 글레노이드의 관절면과 헤드(Humeral Head)의 관절면의 곡면 접촉을 유도하여 자연스러운 어깨관절운동을 구현하도록 시술된다.
인공어깨관절 치환술(Total Shoulder Arthroplasty)에 있어서, 브로치핸들(Broach Handle)은 상완골 브로치(Humeral Broach)와 결합하여 상완골 스템(Humeral Stem)의 삽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상기 상완골 스템(Humeral Stem)과 결합하여 Humeral Broach로 확공한 공간에 이를 삽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기구이다.
또한, 상기 브로치핸들(Broach Handle)은 인공고관절 치환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고관절은 대퇴골과 골반의 관골 사이를 연결하는 관절로, 동물이 앉거나 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고관절이 어떠한 이유로 손상되어 본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 손상된 고관절의 기능을 대체하는 인공고관절을 삽입하게 된다. 인공고관절은 통상적으로 골반의 비구 부위에 삽입되어 대퇴 골두의 운동을 보조하는 비구컵(acetabular cup), 대퇴골 부분을 대체하는 스템(stem), 그리고 대퇴 골두를 대체하는 헤드(femora hea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브로치핸들은 대퇴골 스템의 삽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브로치핸들(9)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종래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9)에 브로치(B)를 결합 또는 분리할 때의 조작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발명에 따른 브로치핸들(9)은 등록실용신안 제 20-0459347호에 개시된 것으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종래의 브로치핸들(9)은 바디(91)의 일단에 브로치(B)를 수용하고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브로치(B)가 브로치핸들(9)에 결합되거나 브로치핸들(9)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바디(91)와 연결된 레버(93)의 조작에 의한다. 상기 레버(93)를 바디(91) 쪽으로 내렸을 시에는 레버(93)의 하단에 결합된 결합부(94)가 하강하여 상기 브로치(B)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버(93)를 바디(91)로부터 이격되도록 올리면 브로치(B)와 브로치핸들(B)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러나,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디(91)로부터 레버(93)를 당겨 브로치(B)를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바디(91)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바디(91)를 한손으로 잡은 후, 다른 한손으로 레버(93)를 당겨야 한다. 이 경우, 브로치(B)가 쉽게 탈락되는데, 수술과정에서 브로치가 바닥 등 오염된 곳에 떨어지는 경우에 환자의 상완골에 삽입할 수 없어진다. 따라서 브로치(B)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다른 보조자가 브로치(B)를 잡아주거나 다른 곳에 지지해야 하는 등의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한다.
상기 브로치핸들(9)은 브로치(B)를 수용할 시 소정 정도의 결합력을 제공해야 하는 바, 레버(93)를 당길 때 소정 정도의 완력이 필요하며, 레버를 당겨야 하는 조작 때문에 한손 조작으로는 원하는 활동반경이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브로치 또는 스템의 결합 시 두손으로 브로치핸들(9)을 조작한 후 한 손으로 바꿔야 하는 불필요한 과정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사용의 편이성이 떨어지고 수술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한손으로도 브로치의 탈착을 조작할 수 있는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필요로 하며, 한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면서도 체결 시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것을 필요로 하고, 레버의 조작 전후에 원상복귀가 가능한 브로치핸들을 필요로 하며, 나아가 레버를 조작하는 힘 외에 다른 외력에 의해 브로치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브로치핸들을 요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로치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와 중공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장된 레버를 가진 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브로치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되 상기 레버를 눌러 상기 바디부 쪽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브로치가 분리될 수 있어 한손으로도 조작가능한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시 상기 샤프트는 하강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브로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레버를 눌러 상기 바디부 쪽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샤프트는 상승하여 상기 브로치가 상기 결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레버부는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와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된 리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는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샤프트를 상하운동시키도록 구비되어 레버를 누름에 따라 샤프트가 상승하여 브로치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결합부는 일면이 상기 브로치의 제1면과 대략 접하도록 형성되고, 하방으로 소정각도를 이루며 연장된 브랜치를 포함하며, 상기 브랜치의 일면은 상기 브로치의 제2면과 대략 접하도록 형성되어 브로치의 결합 시 두 면에서 상기 브로치를 지지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시 샤프트는 하강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의 일면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브로치에 수용되고, 상기 브랜치는 상기 브로치의 제2면과 대략 접하는 일면에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브로치에 수용되며, 상기 샤프트가 상기 결합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브랜치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은 평행이 아닌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하여 두 면 이상에서의 결합으로 브로치가 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레버는 힌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를 눌러 바디부 쪽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리프트를 상승시켜 레버를 누름에 따라 샤프트가 상승하여 브로치가 분리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 일단으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상단까지 연장되되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레버를 누를 시 단축되고, 상기 레버를 누르지 않을 시 길이가 복구되어 상기 레버를 바디부로부터 이격시키고 샤프트를 하강시키도록 구비되어 레버를 눌러 브로치를 결합시킨 후 원상복귀되어 브로치와의 결합을 담보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레버부는 힌지로부터 일방으로 연장된 부분에 볼플런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볼플런져를 수용할 수 있는 볼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볼플런져는 상기 레버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볼수용부에 걸려 상기 샤프트가 하단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바디부는 상단에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바디부는 상단에 플랜지를 더 포함하여 브로치를 삽입하기 위한 임팩팅이 용이한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레버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1cm 이상 5cm 이하가 되도록 구비함으로써 한손으로도 용이하게 브로치의 결합과 분리를 조작할 수 있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은, 브로치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와 중공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장된 레버를 가진 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브로치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되 상기 레버를 눌러 상기 바디부 쪽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브로치가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시 상기 샤프트는 하강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브로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레버를 눌러 상기 바디부 쪽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샤프트는 상승하여 상기 브로치가 상기 결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은, 상기 레버부는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와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된 리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는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샤프트를 상하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은, 상기 결합부는 일면이 상기 브로치의 제1면과 대략 접하도록 형성되고, 하방으로 소정각도를 이루며 연장된 브랜치를 포함하며, 상기 브랜치의 일면은 상기 브로치의 제2면과 대략 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은, 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시 샤프트는 하강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의 일면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브로치에 수용되고, 상기 브랜치는 상기 브로치의 제2면과 대략 접하는 일면에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브로치에 수용되며, 상기 샤프트가 상기 결합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브랜치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은 평행이 아닌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은, 상기 레버는 힌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를 눌러 바디부 쪽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리프트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은, 상기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 일단으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상단까지 연장되되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레버를 누를 시 단축되고, 상기 레버를 누르지 않을 시 길이가 복구되어 상기 레버를 바디부로부터 이격시키고 샤프트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은, 상기 레버부는 힌지로부터 일방으로 연장된 부분에 볼플런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볼플런져를 수용할 수 있는 볼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볼플런져는 상기 레버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볼수용부에 걸려 상기 샤프트가 하단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은, 상기 레버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1cm 이상 5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브로치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와 중공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연장된 레버를 가진 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브로치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되 상기 레버를 눌러 상기 바디부 쪽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브로치가 분리될 수 있어 한손으로도 조작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시 상기 샤프트는 하강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브로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레버를 눌러 상기 바디부 쪽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샤프트는 상승하여 상기 브로치가 상기 결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레버부는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와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된 리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는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샤프트를 상하운동시키도록 구비되어 레버를 누름에 따라 샤프트가 상승하여 브로치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는 일면이 상기 브로치의 제1면과 대략 접하도록 형성되고, 하방으로 소정각도를 이루며 연장된 브랜치를 포함하며, 상기 브랜치의 일면은 상기 브로치의 제2면과 대략 접하도록 형성되어 브로치의 결합 시 두 면에서 상기 브로치를 지지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시 샤프트는 하강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의 일면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브로치에 수용되고, 상기 브랜치는 상기 브로치의 제2면과 대략 접하는 일면에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브로치에 수용되며, 상기 샤프트가 상기 결합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브랜치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은 평행이 아닌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하여 두 면 이상에서의 결합으로 브로치가 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레버는 힌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를 눌러 바디부 쪽으로 이동시킬 시 상기 리프트를 상승시켜 레버를 누름에 따라 샤프트가 상승하여 브로치가 분리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 일단으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상단까지 연장되되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레버를 누를 시 단축되고, 상기 레버를 누르지 않을 시 길이가 복구되어 상기 레버를 바디부로부터 이격시키고 샤프트를 하강시키도록 구비되어 레버를 눌러 브로치를 결합시킨 후 원상복귀되어 브로치와의 결합을 담보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상기 레버부는 힌지로부터 일방으로 연장된 부분에 볼플런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볼플런져를 수용할 수 있는 볼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볼플런져는 상기 레버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볼수용부에 걸려 상기 샤프트가 하단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효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는 상단에 플랜지를 더 포함하여 브로치를 삽입하기 위한 임팩팅이 용이한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현한다.
본 발명은 상기 레버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1cm 이상 5cm 이하가 되도록 구비함으로써 한손으로도 용이하게 브로치의 결합과 분리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를 준다.
도 1은 일반적인 어깨관절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브로치핸들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브로치를 결합 또는 분리할 때의 조작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1)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브로치핸들(1)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3)의 사시도
도 8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부(13)가 샤프트(15)와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레버부(13)를 눌렀을 때 레버부(13)와 샤프트(15) 및 탄성부(17)의 거동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레버(133)를 눌러 상기 레버(133)를 바디부(11) 쪽으로 이동시킬 때 바디부(11), 레버부(13), 샤프트(15) 및 탄성부(17)의 거동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1)과 브로치(3)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여 직접 맞닿아 연결되는 것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볼트와 너트,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고,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연결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1)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브로치핸들(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은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수술 중 조작이 간편하고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상완골 등에 삽입되는 브로치(3)를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 브로치핸들(1)은 바디부(11), 레버부(13), 샤프트(15) 및 탄성부(17)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인 수술과정에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브로치핸들에 브로치를 결합시킨 후 환자 상완골의 상측으로부터 브로치를 삽입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 바디부(11)의 후술하는 플랜지(117) 쪽을 상측, 브로치(3)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결합부(113) 쪽을 하측이라고 정의하며, 상기 샤프트(15)가 레버부(13)의 조작에 따라 플랜지(117)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상승이라 하고, 결합부(113)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하강이라고 하겠다. 상기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1)은 바람직하게는 인공어깨관절 치환술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인공고관절 등 다른 관절의 치환술에도 사용되는 것을 권리범위에서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 바디부(11)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바디부(11)는 수술의가 브로치(3)를 결합시킨 후 상기 바디부(11)를 잡고 브로치(3)를 환자의 상완골 등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수술의가 한 손으로 잡기 용이하고 간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1)는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너비를 가지면서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의 폭과 너비는 수술의가 한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수 c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는데, 1cm, 1.5cm, 2cm, 3cm 등의 폭과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는 수용부(111), 결합부(113), 레버연결부(1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플랜지(117)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수용부(111)는 상기 바디부(11) 내에서 중공을 형성하며, 후술하는 결합부(113)가 구비된 하단으로부터 소정길이 중공을 형성하면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바디부(11)의 하측으로 형성된 중공을 통해 후술하는 샤프트(15)와 탄성부(17)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11)는 바디부(11)의 하단으로부터 소정길이 떨어진 곳에 상기 바디부(11) 일측으로도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부의 일측으로 형성된 중공 쪽으로는 후술하는 레버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고, 레버부(13)의 리프트(137)가 수용되어 샤프트(15)와 연결될 수 있다. 레버부와 샤프트의 연결 및 상호작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3)는 브로치(3)와 결합하도록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면에서 상기 결합부(113)와 브로치(3)가 맞물리면서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3)의 사시도이다. 상기 결합부(113)와 브로치(3)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상기 브로치(3)를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브로치(3)는 환자의 상완골 등에 삽입되며,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브로치핸들(1)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브로치(3)는 상기 바디부(11) 쪽의 상방을 면하도록 형성되며 결합홈(311)을 포함하는 제1면(31)과, 상기 제1면(31)으로부터 비스듬히 절곡되어 형성되며 수용공(331)을 포함하는 제2면(33)을 구비한다.
다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113)는 먼저 하단에 상기 브로치의 제1면(31)과 대략 접하도록 형성된 결합면(1131)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면(1131)은 상술한 브로치의 제1면(31)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며, 후술하는 샤프트(15)가 하강 시 결합면(113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311)에 수용됨으로써 결합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13)는 하방으로 소정각도를 이루며 연장된 브랜치(1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랜치(1133)는 바람직하게는 결합부(113)의 일측에서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연장되고, 브랜치(1133)의 하면은 브로치의 제2면(33)과 대략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면(1131)과 브랜치(1133)의 하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브로치의 제1면(31)과 제2면(33)이 이루는 각도와 같도록 형성되어 각 면이 대략 접하면서 평행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랜치(1133)는 브로치의 제2면(33)과 대략 평행한 하면에 결합돌기(1133a)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돌기(1133a)는 제2면의 수용공(331)에 수용되어 결속됨으로써 결합부(113)와 브로치(3)의 결합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133a)는 수용공(331)의 형상에 대응하여 라운드형상 내지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랜치(1133)가 결합부(113)의 일측에서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연장되고, 결합면(1131)과 브랜치(1131)의 하면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바,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샤프트(15)가 결합부의 결합면(1131)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상기 결합돌기(1133a)가 상기 브랜치(1133)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은 평행이 아닌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샤프트(15)가 결합홈(311)에 수용되는 경우 두 면에서 체결이 일어나기 때문에 안정적인 결합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레버연결부(115)는 바디부(11)와 후술하는 레버부(13)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바디부(11)의 하단으로부터 소정길이 떨어진 곳에 상기 수용부(111)에 의해 중공이 형성된 부분에 구비된다. 이는 후술하는 레버부(13)의 조작에 따라 리프트(137)가 수용부(111) 안에서 샤프트(15)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레버연결부(115)는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공 양쪽으로 형성되며, 힌지수용부(1151)와 볼수용부(1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수용부(1151)는 후술하는 레버부의 힌지(1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힌지수용부(1151)가 힌지(131)를 수용하고 고정시킴으로써 후술하는 레버부(13)는 힌지(13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볼수용부(1153)는 힌지수용부(115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후술하는 볼플런져(135)의 볼이 볼수용부(1153)에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수용부(1153)는 힌지수용부(1151)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되, 이격된 거리는 후술하는 볼플런져(135)로부터 힌지(131)까지의 거리에 대응된다. 볼플런져(135)의 볼이 볼수용부(1153)에 걸림에 따라, 샤프트(15)가 레버부(13)에 작용하는 외력이 아닌 브로치(3)의 삽입 시 하단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17)는 상기 바디부(11)의 상단에 구비되며, 시술중에 깊게 박힌 브로치(3)를 빼내기 위해 상기 브로치핸들(1)을 해머 등을 이용해 타격시에 상기 플랜지(117)를 타격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17)는 일면에 시술보조기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홀에 여러가지 시술보조기구 등을 삽입하여 인공관절을 삽입하기 위한 시술부를 형성하는 시술시에 활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부(13)가 샤프트(15)와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레버부(13)를 눌렀을 때 레버부(13)와 샤프트(15) 및 탄성부(17)의 거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레버부(13)는 바디부(11)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13)를 조작함으로써 브로치(3)와 브로치핸들(1)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원발명의 레버부(13)는 수술의가 한 손으로 조작하여 브로치(3)의 결합과 분리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부(13)는 힌지(131), 레버(133), 볼플런져(Ball plunger,135) 및 리프트(137)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131)는 힌지수용부(1151)에 수용되어 레버부(13)의 회전의 중심이 될 수 있다. 힌지(131)는 상기 레버부(13) 양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힌지수용부(1151)에 삽입되어 레버부(13)의 회전을 가이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133)는 상기 힌지(131)를 중심으로 하여 바디부(1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133)를 눌러 바디부(11)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버(133)를 누를 때 브로치(3)가 분리될 수 있다. 이 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레버(133)는 손으로 파지하거나 누르기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하면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위로 볼록한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버(133)를 누르지 않을 시 바디부(11)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1cm 이상 5cm 이하일 수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레버(133)가 상기 범위를 넘어서 이격되는 것을 제한하지는 않으며, 수술의가 한손으로 레버를 조작하여 브로치를 탈착할 수 있다면 무방하다.
상기 볼플런져(ball plunger,135)는 내부에 볼을 포함하는 원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볼이 상기 볼플런져(135)의 적어도 일단으로 약간 돌출되게 되므로 상기 레버(133)가 바디부(11)로부터 이격될 시에 볼이 상기 볼수용부(1153)에 걸리게 되면, 볼플런져(135)를 볼수용부(1153)로부터 벗어나게 하기 위해 더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므로 다른 외력에 의해 레버부(13)가 회전하거나 후술하는 샤프트(15)가 하단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플런져(135)는 힌지(131)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부(111)에 의해 바디부(11)의 일측으로 형성된 중공이 볼플런져(135) 및 볼수용부(1153)가 형성되는 부분까지 진행되지 않고 막혀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볼플런져(135)의 회전반경을 제한하여 상기 레버(133)가 바디부(11)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리프트(137)는 상기 힌지(131)로부터 수용부(111) 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됨으로써 상기 바디부(11)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137)는 레버(133)를 조작함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며, 자세히는 상기 레버(133)를 눌러 바디부(11) 쪽으로 이동시킬 때 리프트(137)가 상승하고, 레버(133)가 원상복귀하여 바디부(11)로부터 이격될 때 리프트(137)가 하강한다. 상기 리프트(137)는 후술하는 샤프트(15)와 연결되어 레버(133)의 조작에 따라 샤프트(15)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샤프트(15)는 상기 수용부(111) 내에 수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레버부(13)의 리프트(137)와 연결됨에 따라 레버(133)의 조작에 따라 상하운동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15)가 상하운동하게 됨에 따라 상술한 브로치(3)의 결합홈(311)에 수용되거나 탈락되어 본원발명의 브로치핸들(1)과 브로치(3)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유도한다. 상기 샤프트(15)가 레버(133)의 조작에 의해 상하운동하여 브로치(3)와 결합되는 원리는 후술하도록 하며, 상기 샤프트(15)는 몸체(151)와 리프트결합부(153) 및 결합단(155)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51)는 샤프트(15)의 외관을 구성하며, 상하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151)는 수용부(111)와 대응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수용부(111)가 원형의 중공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몸체(151)도 상하로 연장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트결합부(153)는 샤프트(15)와 상기 리프트(137)를 연결하여 리프트(137)의 거동을 샤프트(15)와 연동시킨다. 리프트결합부(153)는 리프트(137)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뚫려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155)은 샤프트(15)의 하단에 형성되며 브로치(3)의 결합홈(311)에 수용됨으로써 브로치핸들(1)과 브로치(3)의 결합을 매개한다. 결합단(155)은 상기 몸체(151)의 하단으로부터 축경되어 연장되고, 상기 결합홈(311)에 수용되기 적합한 형태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도 5,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탄성부(17)는 수용부(111)에 수용되되, 수용부의 내측 일단으로부터 샤프트(15)의 상단까지 연장되며,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17)는 레버(133)를 누를 시 단축되고, 상기 레버를 누르지 않을 시 길이가 복구되어 상기 레버(133)를 바디부(11)로부터 이격시키고 샤프트(15)를 하강시키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17)가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스프링이 아니더라도 신축성을 가지면서 리프트(137) 및 샤프트(15)의 거동에 따라 단축되고 신장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다시 도 7을 참고하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3)는 본원발명에 따른 브로치핸들(1)과 결합되어 환자의 상완골 등에 삽입되며, 브로치핸들(1)과의 견고한 결합력을 담보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면에서 브로치핸들(1)과 맞물려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로치(3)는 상기 바디부(11) 쪽의 상방을 면하도록 형성되며 결합홈(311)을 포함하는 제1면(31)과, 상기 제1면(31)으로부터 비스듬히 절곡되어 형성되며 수용공(331)을 포함하는 제2면(33)을 구비한다.
상기 제1면(31)은 상기 브로치(3)의 상측에 형성되며, 브로치핸들(1)의 바디부(11) 쪽을 면하도록 형성된다. 제1면(31)은 상술한 결합면(1131)과 대략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합홈(311)은 제1면(31)상에 홈의 형태로 파인 부분으로, 전술한 결합단(155)을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결합홈(311)은 결합단(155)의 단면 형태에 상응하도록 구비되어 결합단(155)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면(33)은 상기 제1면(31)으로부터 비스듬히 절곡되어 형성되며,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데, 그 각도는 결합면(1131)과 브랜치(1133)의 하면이 이루는 각도와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331)은 상술한 결합돌기(1133a)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결합돌기(1133a)와 결합단(155)이 각각 수용공(331)과 결합홈(311)에 수용됨으로써 결합이 형성된다.
도 1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133)를 눌러 상기 레버(133)를 바디부(11) 쪽으로 이동시킬 때 바디부(11), 레버부(13), 샤프트(15) 및 탄성부(17)의 거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1)과 브로치(3)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본원발명의 사시도와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레버(133)를 조작할 시 본원발명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33)를 조작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샤프트(15)는 하강한 상태로 존재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113)의 결합면(1131)으로부터 결합단(155)이 소정길이 돌출되므로, 브로치핸들(1)과 브로치(3)가 결합된 상태라면 결합을 유지하고 브로치(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33)를 눌러 바디부(11) 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힌지(131)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레버부(13)가 회전하고, 수용부(111) 내측으로 연장된 리프트(137)가 상승하게 된다. 리프트(137)가 상승함에 따라 리프트(137)와 연결된 리프트결합부(153) 및 샤프트(15)가 상승하게 되면서 결합단(155)은 결합면(1131)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탄성부(17)는 수축하게 된다.
다시 레버(133)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어지면, 탄성부(17)의 탄성력으로 인해 샤프트(15)가 하강하면서 결합단(155)이 다시 돌출되며, 레버(133)는 바디부(11)로부터 이격된다. 본 발명은 레버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과정을 재현하는 것을 권리범위에서 배제하지 않는다.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1)과 브로치(3)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a) 과정에서 브로치핸들(1)과 브로치(3)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133)를 눌러 샤프트(15)를 상승시키고, (b) 과정에서 레버부(13)의 레버(133)를 누른 채로 수용공(331)과 결합돌기(3311a)를 맞춰 상기 결합돌기(3311a)가 수용공(331)에 수용되도록 한다. (c) 과정에서 누르고 있던 레버(133)에서 압력을 제거하여 레버를 원상복귀시키면, (d) 과정에서 샤프트(15)가 아래로 하강하여 결합단(155)이 결합면(1131)으로부터 돌출되고 결합홈(311)에 수용되어 상기 브로치핸들(1)과 브로치(3)가 결합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11: 바디부 111: 수용부
113: 결합부 1131: 결합면
1133: 브랜치 1133a: 결합돌기
115: 레버연결부 1151: 힌지수용부
1153: 볼수용부 117: 플랜지
119: 홀
13: 레버부 131: 힌지
133: 레버 135: 볼플런져
137: 리프트
15: 샤프트 151: 몸체
153: 리프트연결부 155: 결합단
17: 탄성부
3: 브로치
31: 제1면 311: 결합홈
33: 제2면 331: 수용공

Claims (11)

  1. 중공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소정거리 연장된 레버를 가진 레버부,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샤프트 및 상기 레버의 조작에 따라 브로치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의 일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브로치의 제1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되, 하방으로 소정각도를 이루며 연장된 브랜치를 포함하고,
    상기 브랜치는 브로치의 제2면과 접하는 일면에 상기 브랜치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브로치에 수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가 상기 결합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브랜치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은 평행이 아닌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레버를 조작하지 않을 시 상기 샤프트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브로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레버를 일측으로 조작할 시 상기 샤프트가 상승하여 상기 브로치가 상기 결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의 중심이 되는 힌지와 상기 수용부 내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된 리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는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샤프트를 상하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힌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를 일측으로 조작할 시 상기 리프트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 일단으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상단까지 연장되되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레버를 누를 시 단축되고, 상기 레버를 누르지 않을 시 길이가 복구되어 상기 레버를 바디부로부터 이격시키고 샤프트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9. 제8항에 있어서, 레버부는 힌지로부터 일방으로 연장된 부분에 볼플런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볼플런져를 수용할 수 있는 볼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볼플런져는 상기 레버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볼수용부에 걸려 상기 샤프트가 하단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단에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1cm 이상 5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KR1020190124056A 2019-10-07 2019-10-07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KR102339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056A KR102339924B1 (ko) 2019-10-07 2019-10-07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056A KR102339924B1 (ko) 2019-10-07 2019-10-07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685A KR20210041685A (ko) 2021-04-16
KR102339924B1 true KR102339924B1 (ko) 2021-12-17

Family

ID=7574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056A KR102339924B1 (ko) 2019-10-07 2019-10-07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9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1393A (zh) * 2023-03-14 2023-06-06 北京市春立正达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肩关节肱骨髓腔远端扩髓器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527B1 (ko) 2008-03-28 2010-06-15 (주)오티스바이오텍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
US20120083769A1 (en) 2010-03-05 2012-04-05 Greatbatch Medical S.A. Double Offset Surgical Tool Handle Assembly To Provide Greater Offset From The Coronal Plane
US20130197489A1 (en) 2012-01-13 2013-08-01 Smith & Nephew, Inc. Surgical instrument hand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53B1 (ko) * 2011-06-23 2013-01-22 주식회사 코렌텍 라섭 핸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527B1 (ko) 2008-03-28 2010-06-15 (주)오티스바이오텍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
US20120083769A1 (en) 2010-03-05 2012-04-05 Greatbatch Medical S.A. Double Offset Surgical Tool Handle Assembly To Provide Greater Offset From The Coronal Plane
US20130197489A1 (en) 2012-01-13 2013-08-01 Smith & Nephew, Inc. Surgical instrument hand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685A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75543A1 (en) Glenoid implant having multiple sections of differing diameters
JP5415091B2 (ja) 拘束リングインサーター
US8858640B2 (en) Joint prosthesis attach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EP2042135B1 (en) Talar Implant System
US8262712B2 (en) Phalangeal arthrodesis implant, surgical k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6840959B2 (en) Pelvic prosthesis plus methods and tools for implantation
CN102905649B (zh) 联锁相反髋部和翻修假体
EP0539036B1 (en) Hip prosthesis
JP4198297B2 (ja) 無カラー式肩関節形成プロテーゼおよびプロテーゼシステム
EP1518519A2 (en) Extended articular surface resurfacing head
US6676708B1 (en) Prosthetic foot with differentiated heel elasticity and split upper ankle
JP2014171902A (ja) 第2関節窩プロテーゼをインプラン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4113804A (ja) 上腕骨肩関節プロテーゼ
JPH0236862A (ja) 関節人工器官のための関節ソケット部材
CN101600403A (zh) 包含无菌接合面的髋臼
CN108135584B (zh) 在植入的髋关节假体中分离股骨杯与髋臼球的工具及方法
JP4589098B2 (ja) モジュール式関節インプラント及びモジュール式股関節インプラント
US11413153B2 (en) Bionic artificial hip joint
US78324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implants
KR102339924B1 (ko)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JP4243060B2 (ja) 人工股関節の各パーツ間の相互角を調整するためのツール
WO2004108024A1 (en) Surgical device
AU2013295182B2 (en) Plug-on module for a long shaft prosthesis
CA2577404A1 (en) Joint prosthesis and method of bone fixation
KR200459347Y1 (ko) 브로치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