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527B1 -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 - Google Patents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527B1
KR100963527B1 KR20080028702A KR20080028702A KR100963527B1 KR 100963527 B1 KR100963527 B1 KR 100963527B1 KR 20080028702 A KR20080028702 A KR 20080028702A KR 20080028702 A KR20080028702 A KR 20080028702A KR 100963527 B1 KR100963527 B1 KR 100963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tem broach
stem
broach
impac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2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231A (ko
Inventor
김성곤
김현묵
김동훈
황창선
최대원
Original Assignee
(주)오티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티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오티스바이오텍
Priority to KR2008002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52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07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hip femoral endo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핸들(Handle)에 있어서, 해머(Hammer)로부터 전달받은 충격력을 전달하는 충격력 전달부; 스템 브로취(Stem Broach)와 체결되며, 상기 충격력을 상기 스템 브로취로 전달하는 스템 브로취 결합부; 상기 핸들을 고정하며, 상기 충격력 전달부와 상기 스템 브로취 결합부 간에 상기 충격력을 중계하는 손잡이부; 및 갈고리 형상의 돌기를 스템 브로취의 핸들 결합부와 체결하며, 탑재된 스프링(Spring)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는 스템 브로취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을 제공한다.
인공고관절, 스템, 스템 브로취, 핸들, 슬립

Description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Handle for Fixing Stem Broach}
본 발명은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대퇴부에 삽입되는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에 있어서, 스템 브로취와 결합하는 스템 브로취 고정부의 하단을 갈고리 형상의 돌기로 형성함으로써, 스템 브로취와 핸들 간의 결합력을 상승시키고, 시술시 해머링(Hammering)으로 인한 슬립(Slip)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에 관한 것이다.
고관절은 인체의 대퇴골과 골반의 비구 사이를 연결하는 관절로서, 사람이 앉거나 서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는 관절이다. 고관절은 결핵과 같은 병적 원인 및, 질병등에 의해서 손상될 수 있는데, 이를 치유하기 위해서 외과 수술을 통해서 인공고관절용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세계 각국의 임플란트 제조회사들은 인공고관절 기기에 적합한 수술기구를 출시하고 판매하고 있다. 각 제조사들마다 고유의 인공고관절용 기기인 스템(Stem) 을 디자인하고 모델링하여 출시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수술기구도 스템의 외곽 라인에 따라서 디자인되고 개발되어진다.
통상적으로 인공고관절용 기기는 스템과 컵으로 이루어진다. 스템과 컵은 예를 들면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등 합금등으로 제작되며, 스템은 대퇴골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컵은 골반의 비구에 고정된다. 스템의 단부에는 세라믹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 헤드가 고정되며, 컵안에는 상기 헤드가 수용되어 회전할 수 있는 라이너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라이너는 세라믹 재료 또는 고분자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된다.
인체의 대퇴골(femur)은 외피의 구조를 형성하는 피질골(cortical bone)과 상기 피질골의 내부에 존재하는 망상골(cancellous bone)로 이루어진다. 피질골은 매우 단단한 조직인데 반해, 망상골은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해면체 조직이다.
스템은 상기 피질골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망상골을 파고 들어가게 된다. 스템은 피질골에 대한 쐐기 작용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즉, 전체적으로 원통형에 가까운 피질골의 내부에서 스템이 쐐기 작용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스템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이다. 또한, 스템의 쐐기 작용을 보조하고 스템이 피질골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템의 측면에 블레이드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템을 대퇴골에 삽입하는 시술 방식으로, 먼저 스템 브로취를 대퇴골에 삽입한 후 제거하여 일정 공간을 확보한 후 스템을 삽입하게 된다.
종래에는 스템 브로취와 핸들이 와이어(Wire)를 이용하여 체결된 경우 핸들 의 상단 부분을 해머링(Hammering)하는 과정에서, 스템 브로취와 핸들 간에 슬립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대퇴골에 삽입된 스템 브로취를 제거하는 시술 과정에서도 슬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퇴부에 삽입되는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에 있어서, 스템 브로취와 결합하는 스템 브로취 고정부의 하단을 갈고리 형상의 돌기로 형성함으로써, 스템 브로취와 핸들 간의 결합력을 상승시키고, 시술시 해머링(Hammering)으로 인한 슬립(Slip)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에 있어서, 해머(Hammer)로부터 전달받은 충격력을 전달하는 충격력 전달부와; 상기 핸들을 고정하며, 상기 충격력 전달부와 하기 스템 브로취 결합부 간의 충격력을 중계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핸들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템 브로취와 탈착하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푸쉬 레버(Push Lever)와, 탑재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 전달부, 및 상기 스템 브로취 고정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시술시 해머링으로 인한 슬립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템 브로취의 핸들 결합부와 체결되며 해머링하는 타격 상측 방향으로 굽어진 갈고리 형상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갈고리 형상의 돌기는 상기 푸쉬 레버의 조작 없이도 슬라이딩되며 상기 스템 브로취의 핸들 결합부와 체결되도록 표면이 라운드(Round) 처리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는 스템 브로취 고정부; 및 상기 스프링으로 상기 스템 브로취 고정부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스템 브로취와 체결되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상기 스템 브로취로 전달하는 스템 브로취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퇴부에 삽입되는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에 있어서, 스템 브로취와 결합하는 스템 브로취 고정부의 하단을 갈고리 형상의 돌기로 형성함으로써, 스템 브로취와 핸들 간의 결합력을 상승시키고, 시술시 해머링(Hammering)으로 인한 슬립(Slip)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술자가 스템 브로취를 대퇴부에 삽입하기 위해 핸들의 충격력 전달부를 해머링하는 경우, 발생하는 슬립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을 스템 브로취에 체결하는 경우 라운딩된 갈고리 형상 돌기가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므로,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핸들을 스템 브로취에서 착탈하는 경우에는 푸쉬 레버의 조작만으로 쉽게 핸들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시술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해머링시 접촉되는 플레이트(Plate)의 센터 축을 (약 10 mm) 오프셋(Offset)하여 시술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스템 브로취의 접촉 부분보다 핸들의 접촉부분을 작게 설계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시술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템 브로취 고정부의 정면도, 도 3은 스템 브로취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템 브로취와 핸들을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템 브로취와 핸들의 구체적인 결합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100)은 충격력 전달부(110), 손잡이부(120), 스템 브로취 결합부(130), 스프링(Spring)(132) 및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충격력 전달부(110)는 해머(Hammer)로부터 전달받은 충격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손잡이부(120)는 충격력 전달부(110)로부터 충격력을 수신하여 스템 브로취 결합부(1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시술자가 핸들(100)을 고정하기 위해 잡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한다.
스템 브로취 결합부(130)는 스템 브로취(300)와 체결되는 부위로서, 해머링에 의해 발생된 충격력을 스템 브로취(300)로 전달한다.
또한, 스템 브로취 결합부(130)는 스프링으로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한다.
또한, 스템 브로취 결합부(130)는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의 갈고리 형상 돌기(230)에 대한 유격 범위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충격력이 유격 범위 공간을 통해 스프링(132)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며, 따라서 시술중에 갈고리 형상 돌기(230)가 스템 브로취(300)의 핸들 결합부(310)와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스템 브로취 결합부(130)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 돌기(230)에 대한 유격 범위 공간과 스프링(132)으로 인해 헤머링시 발생하는 충격력이 완화되어 스템 브로취(300)와 핸들(100) 간의 슬립 발생을 방지하여 시술중에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는 하단에, 해머링하는 타격 상측 방향으로 굽어진 갈고리 형상 돌기(230)를 스템 브로취(300)의 핸들 결합부(310)와 체결하며, 탑재된 스프링(132)으로 인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템 브로취(300)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100)을 실제 구현에 있어서, 핸들(100) 스탠다드 타입(Standard Type)과 스몰 타입(Small Type)의 모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템 브로취의 크기에 따라 그에 맞는 핸들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들 들어서, 크기가 작은 스템 브로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몰 타입의 핸들이 이용되어지며, 크기가 큰 스템 브로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텐다드 타입의 핸들이 이용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핸들(100)과 스템 브로취(300)의 접촉영역의 크기는 가장 작은 스템 브로취의 접촉영역을 기준으로 핸들에 적용시킬 수 있다. 즉, 각각의 스템 브로취와 접촉하는 접촉영역의 크기가 사이즈(Size) 별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한 가지 타입의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임펙트(Impact)시에 보다 큰 하중이 걸려 문제 가 되므로 두 가지로 나누어 설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템 브로취(300)의 핸들 결합부(310)의 갈고리 형상 홈에 맞는 갈고리 형상 돌기(230)를 형성시킴으로서 보다 견고한 구조로 갖게 한다.
예를 들어서, 스템 브로취(300)의 핸들 결합부(310)가 핸들(100)과 결합할 때, 와이어(Wire)를 이용하여 스프링(Spring)에 힘을 전달시키며 결합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시술자가 해머링시 하중 전달 방향과 스프링 변형 방향이 같아서 슬립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가 해머링하는 타격 상측 방향으로 굽어진 갈고리 형상을 구비하고, 스프링(132)이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해머링시에 전달되는 하중 전달 방향과 스프링(132)의 변형 방향이 수직으로 교차되어 핸들(100)과 스템 브로취(300)의 핸들 결합부(310)가 슬립되지 않아 시술중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템 브로취 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는 푸쉬 레버(Push Lever)(210), 탄성 전달부(220) 및 갈고리 형상 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푸쉬 레버(210)는 핸들(100)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템 브로취(300)와 탈착하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탄성 전달부(220)는 스프링(132)으로 인한 탄성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해머링하는 타격 상측 방향으로 굽어진 갈고리 형상 돌기(230)는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의 하단에 위치하며, 스템 브로취(300)의 핸들 결합부(310)와 직접 체결되는 부위이다.
또한, 갈고리 형상 돌기(230)의 표면은 라운드(Round) 처리되어 갈고리 형상 돌기(230)가 핸들 결합부(310)의 갈고리 형상 홈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Sliding)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시술자가 푸쉬 레버(210)를 조작하지 않아도 스프링(132)으로 인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갈고리 형상 돌기(230)가 핸들 결합부(310)의 갈고리 형상 홈에 체 결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스템 브로취의 정면도이다.
스템 브로취(300)는 중앙부(350), 대퇴골 삽입부(360), 경부(320), 핸들 결합부(310)로 구성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등부(330), 배부(340)에는 도면 부호를 명시하였다.
스템 브로취(300)는 중앙에 위치한 중앙부(350)와, 중앙부(350)로부터 수직 하강하여 형성되며 대퇴골에 삽입되는 대퇴골 삽입부(370)와, 중앙부(350)와 대퇴골 삽입부(370)를 연결하는 세로 중심 축(314)과 둔각(322)을 이루며, 중앙부(350)로부터 연장된 경부(320)와, 경부(320)로부터 연장되어 핸들과 결합되도록 형성된 핸들 결합부(310)를 갖되, 중앙부(350)에서 대퇴골 삽입부(370)를 향하여 삼중으로 테이퍼(Taper)를 형성하며, 중앙부(350), 대퇴골 삽입부(37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등부(330)에서 배부(340)를 향하여 테이퍼를 형성한다.
여기서, 둔각(322)은 127° 내지 132°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한국인의 체형에는 132°가 적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템 브로취와 핸들의 결합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 브로취(300)와 핸들(100)은 결합할 수 있으며, 스템 브로취(300)의 핸들 결합부(310)와 핸들(100)의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의 구체적인 결합도(400)는 도 5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템 브로취와 스템 브로취의 구체적인 결합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 브로취(300)의 핸들 결합부(310)는 내측 각(Inner Angle)을 갖는 갈고리 형상 홈을 포함하며, 스템 브로취 고정부의 갈고리 형상 돌기는 해머링하는 타격 상측 방향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핸들 결합부(310)와 결합되어 시술중 분리되지 않게 결합된다.
여기서, 내측 각은 3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내측 각의 각도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브로취(300)와 핸들(100)을 결합하면, 시술자가 푸쉬 레버(210)를 조작하지 않아도 스프링(132)으로 인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표면이 라운드(Round) 처리된 갈고리 형상 돌기(230)가 핸들 결합부(310)의 갈고리 형상 홈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핸들 결합부(310)의 갈고리 형상 홈에 체결된 갈고리 형상 돌기(230)의 상측과 하측에는 갈고리 형상 돌기(230)에 대한 유격 범위 공간을 형성되어 있으며, 해머링으로 인한 충격력이 유격 범위 공간을 통해 스프링(132)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충격력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스템 브로취 결합부(130)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 돌기(230)에 대한 유격 범위 공간과 스프링(132)으로 인해 헤머링시 발생하는 충격력이 유격 범위 공간을 통해 스프링(132)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며, 따라서 시술중에 갈고리 형상 돌기(230)가 스템 브로취(300)의 핸들 결합부(310)와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핸들(100)을 스템 브로취(300)로부터 탈착하고자하는 경우, 사용자가 푸쉬 레버(210)를 조작하여 갈고리 형상 돌기(230)가 핸들 결합부(310)의 갈고리 형상 홈에서 벗어나도록 한 후 핸들(100)을 스템 브로취(300)로부터 탈착할 수 있 을 것이다.
또한, 시술자는 스템 브로취(300)를 대퇴부에 삽입한 후 이를 다시 뽑아내기 위하여 스템 브로취(300)와 연결되는 핸들(100)을 핸들 결합부(310)에 내측 각(Iner Angel)을 갖는 갈고리 형상 홈과 엇박이 되도록하여 스템 브로취(30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다.
예들 들어서, 시술자는 도 6의 (a)와 같이 스템 브로취(300)와 핸들(100)을 결합하면, 시술자가 푸쉬 레버(210)를 조작하지 않아도 스프링(132)으로 인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표면이 라운드(Round) 처리된 갈고리 형상 돌기(230)가 핸들 결합부(310)의 갈고리 형상 홈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체결된다.
한편, 시술자가 핸들(100)을 스템 브로취(300)로부터 탈착하고자하는 경우, 한쪽 손으로 푸쉬 레버(210)를 조작하여 갈고리 형상 돌기(230)가 핸들 결합부(310)의 갈고리 형상 홈에서 벗어나도록 하면서 상측으로 들어올려 핸들(100)을 스템 브로취(300)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6의 (b)와 같이 시술자가 핸들(100)과 체결된 스템 브로취(300)를 시술하기 위한 대퇴부로 이동시키고, 도 6의 (c)와 같이 시술자가 핸들(100)의 충격력 전달부(110)를 해머링하여 스템 브로취(300)를 대퇴부에 삽입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의 갈고리 형상 돌기(230)와 핸들 결합부(310)의 갈고리 형상의 홈으로 체결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서, 스템 브로취(300)의 핸들 결합부(310)가 핸들(100)과 결합할 때, 와이어(Wire)를 이용하여 스프링(Spring)에 힘을 전달시키며 결합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시술자가 해머링시 하중 전달 방향과 스프링 변형 방향이 같아서 슬립 현상이 발생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처럼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의 갈고리 형상 돌기(230)와 핸들 결합부(310)의 갈고리 형상의 홈으로 체결된 경우, 즉 스템 브로취 고정부의 갈고리 형상 돌기(230)가 해머링하는 타격 상측 방향으로 굽어진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132)이 스템 브로취 고정부(140)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해머링시에 전달되는 하중 전달 방향과 스프링(132)의 변형 방향이 수직으로 교차되어 핸들(100)과 스템 브로취(300)의 핸들 결합부(310)가 슬립되지 않아 시술중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6의 (c)와 같이 시술자가 해머링하는 과정에서, 스템 브로취 결합부(130)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 돌기(230)에 대한 유격 범위 공간을 통해 충격력이 스프링(132)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충격력을 완화하도록 한다.
즉, 스템 브로취 결합부(130)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 돌기(230)에 대한 유격 범위 공간과 스프링(132)으로 인해 헤머링시 발생하는 충격력이 완화되어 스템 브로취(300)와 핸들(100) 간의 슬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예들 들어서, 시술자가 핸들(100)의 충격력 전달부(110)를 해머링하는 과정에서 해머로 충격력 전달부(110)의 왼쪽을 타격하는 경우에도 스템 브로취 결합부(130)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 돌기(230)에 대한 유격 범위 공간과 스프링(132)으로 인해 스템 브로취(300)와 핸들(100) 간의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 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템 브로취 고정부의 정면도
도 3은 스템 브로취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템 브로취와 핸들을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템 브로취와 핸들의 구체적인 결합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핸들 110: 충격력 전달부
120: 손잡이부 130: 스템 브로취 결합부
132: 스프링 140: 스템 브로취 고정부
210: 푸쉬 레버 220: 탄성 전달부
230: 갈고리 형상 돌기 300: 스템 브로취
310: 핸들 결합부 314: 세로 중심 축
320: 경부 322: 둔각
330: 등부 340: 배부
350: 중앙부 360: 대퇴골 삽입부

Claims (5)

  1.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에 있어서,
    해머(Hammer)로부터 전달받은 충격력을 전달하는 충격력 전달부;
    상기 핸들을 고정하며, 상기 충격력 전달부와 하기 스템 브로취 결합부 간의 충격력을 중계하는 손잡이부;
    상기 핸들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템 브로취와 탈착하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푸쉬 레버(Push Lever)와, 탑재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 전달부, 및 상기 스템 브로취 고정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시술시 해머링으로 인한 슬립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템 브로취의 핸들 결합부와 체결되며 해머링하는 타격 상측 방향으로 굽어진 갈고리 형상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갈고리 형상의 돌기는 상기 푸쉬 레버의 조작 없이도 슬라이딩되며 상기 스템 브로취의 핸들 결합부와 체결되도록 표면이 라운드(Round) 처리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는 스템 브로취 고정부; 및
    상기 스프링으로 상기 스템 브로취 고정부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스템 브로취와 체결되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상기 스템 브로취로 전달하는 스템 브로취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 브로취 결합부는,
    상기 충격력 전달부에 해머링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화하여 상기 스템 브로취와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상기 갈고리 형상 돌기에 대한 유격 범위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력이 상기 유격 범위 공간을 통해 상기 스프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
  5. 삭제
KR20080028702A 2008-03-28 2008-03-28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 KR100963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8702A KR100963527B1 (ko) 2008-03-28 2008-03-28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8702A KR100963527B1 (ko) 2008-03-28 2008-03-28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231A KR20090103231A (ko) 2009-10-01
KR100963527B1 true KR100963527B1 (ko) 2010-06-15

Family

ID=4153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8702A KR100963527B1 (ko) 2008-03-28 2008-03-28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5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685A (ko) * 2019-10-07 2021-04-16 주식회사 코렌텍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886B1 (ko) 2021-02-09 2021-12-27 아이메디컴(주) 정형외과용 임팩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9003A1 (en) * 2003-10-28 2005-04-28 Motorola, Inc. Method for retransmitting vocoded data
KR20080010224A (ko) * 2006-07-26 2008-01-30 주식회사 코렌텍 브로치와 브로치핸들의 탈부착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9003A1 (en) * 2003-10-28 2005-04-28 Motorola, Inc. Method for retransmitting vocoded data
KR20080010224A (ko) * 2006-07-26 2008-01-30 주식회사 코렌텍 브로치와 브로치핸들의 탈부착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685A (ko) * 2019-10-07 2021-04-16 주식회사 코렌텍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KR102339924B1 (ko) 2019-10-07 2021-12-17 주식회사 코렌텍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231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0254B1 (en) Dual modulus hip stem
KR101651857B1 (ko) 인공 기관
US11207197B2 (en) Orthopaedic surgical instrument for total hip arthroplasty and associated orthopaedic surgical method of use
GB2446105A (en) Artificial cementless hip prosthesis stem
US20210330476A1 (en) Prosthetic componenet extractor
JP2007117603A (ja) 人工股関節用の大腿骨ステム及びそれを含む人工股関節
JP7405971B2 (ja) ラスプ用のブローチハンドルおよび前記ハンドルを備える外科用デバイス
AU2018202696B2 (en) Femoral prosthesis with insertion/extraction feature
KR100963527B1 (ko)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를 고정하기 위한 핸들
EP2606861B1 (en) Femoral lesser trochanter securing device for firmly securing the lesser trochanter and the surrounds and stably strengthening the same so as to allow artificial hip replacement surgery
US11382766B2 (en) Prosthetic component extractor
CN213047083U (zh) 一种髋臼外下缘拉钩
WO2022254738A1 (ja) ボール抜去器
JP2020536705A (ja) 外科用移植材料を挿入するためのデバイス、集合部品および方法
CN102599971A (zh) 一种股骨近端假体周围骨折内固定器
CN207186717U (zh) 解剖型近端固定翻修股骨柄
US20210196479A1 (en) Surgical instrument bolt
EP2886085B1 (en) Dual modulus orthopaedic prosthesis stem
JP5168682B2 (ja) 人工関節固定用ステム
KR101135875B1 (ko) 인공고관절용 스템 브로취
CN117017585A (zh) 一种髋关节股骨假体取出工具
JP2020014827A (ja) 人工股関節置換術用具
JP2020014527A (ja) 人工股関節置換術用具及びこれらを用いた人工股関節置換手術システム
Harrison et al. Design Rationale MSA™ Total Hip Stem Design (Muscle Sparing Approach)
ATE268148T1 (de) Femurkomponente für eine hüftendoprothe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