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347Y1 - 브로치핸들 - Google Patents

브로치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347Y1
KR200459347Y1 KR2020100006845U KR20100006845U KR200459347Y1 KR 200459347 Y1 KR200459347 Y1 KR 200459347Y1 KR 2020100006845 U KR2020100006845 U KR 2020100006845U KR 20100006845 U KR20100006845 U KR 20100006845U KR 200459347 Y1 KR200459347 Y1 KR 200459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upling
support
broach handle
broa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338U (ko
Inventor
박준규
김정성
신태진
김용식
선두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2020100006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34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3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3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42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ip
    • A61B17/175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ip for preparing the femur for hip prosthesis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42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ip
    • A61B17/1753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ip for fixing pins through femoral hip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6Femoral heads ; Femoral endoprostheses

Abstract

본 고안은 브로치를 삽입할 수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브로치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된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와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는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가 상기 결합부를 압박하여 상기 결합부와 브로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를 위로 올렸을 시에는 상기 브로치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는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하향으로 꺽이도록 연결되어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도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상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레버부의 하면과 상기 지지부의 상면이 일직선형태로 맞닿게 연결되어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도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하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곡선으로 휘어져 형성됨으로써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는 상기 결합부를 강하게 압박하고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는 완충작용을 하는 판스프링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브로치핸들은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의 말단과 맞닿는 부위에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를 적정위치에 위치시키고 공차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브로치핸들{A Broachhandle}
본 고안은 브로치를 삽입할 수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브로치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된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와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는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가 상기 결합부를 압박하여 상기 결합부와 브로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를 위로 올렸을 시에는 상기 브로치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는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하향으로 꺽이도록 연결되어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도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상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레버부의 하면과 상기 지지부의 상면이 일직선형태로 맞닿게 연결되어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도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하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곡선으로 휘어져 형성됨으로써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는 상기 결합부를 강하게 압박하고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는 완충작용을 하는 판스프링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브로치핸들은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의 말단과 맞닿는 부위에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를 적정위치에 위치시키고 공차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는 뼈와 뼈 부분이 연결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부위로서 관절이 있는데, 이러한 관절 중에서 무릎관절에 이어 두번째로 큰 관절이 고관절 또는 엉덩이관절로서 사람의 보행을 가능하게 하고, 몸통과 다리의 연결부위에 위치한다. 위와 같은 고관절에 심한 통증과 퇴행성 관절염 등에 의해 보행이나 일상 생활에 불편함이 초래될 때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술하게 되는데, 인공고관절 치환술은 전신 마취하에 허벅지 위쪽과 엉덩이 바깥쪽에서 피부를 절개하고 고관절 부위를 노출시켜 손상된 허벅지 뼈(대퇴골)와 엉덩이 뼈(골반)를 제거하고 인공고관절을 삽입하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고관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브로치핸들과 브로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인공고관절 치환술은 대퇴골(a)과 골반(b) 사이에 인공관절(c)을 게재하여 시술되고, 이러한 시술을 위해 상기 인공관절(c)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대퇴골(a)에 일정 크기로 함몰되는 시술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사용되는 수술기구가 브로치(10)이다. 한편, 상기 브로치(10)는 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는 브로치핸들(20)과 결합되고, 이러한 상기 브로치(10)와 브로치핸들(20)은 당업계에서 RASP와 RASP핸들과 같은 용어로도 사용되며, 본 고안에서는 브로치와 브로치핸들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인공관절(c)을 삽입하기 위해 상기 대퇴골(a)에 시술부를 형성하는 경우, 최초 시술시에는 작은 크기의 브로치(10)를 사용하고 점차 큰 크기의 브로치(10)로 교체하면서 상기 대퇴골(a)에 상기 인공관절(c)을 삽입하기 위한 시술부를 형성시키는데, 상기 브로치(10)가 상기 대퇴골(a)에 깊게 박힌 경우 상기 브로치핸들(20)을 해머로 타격하면서 상기 브로치(10)를 빼내게 되며 종래에는 이 경우 상기 브로치(10)와 상기 브로치핸들(20)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어 시술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상기 브로치(10)와 상기 브로치핸들(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결합부재를 사용한다거나 브로치(10)와 브로치핸들(20)의 결합구조를 복잡하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브로치(10)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시술자가 시술에 집중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시술시간의 증가에 따라 환자의 고통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대퇴골(a)에 상기 인공관절(c)을 삽입하기 위한 시술부를 형성하는 경우, 종래에는 상기 브로치(10)가 상기 브로치핸들(20)에서 회전하여 시술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로치를 삽입할 수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브로치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된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와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는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가 상기 결합부를 압박하여 상기 결합부와 브로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를 위로 올렸을 시에는 상기 브로치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는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하향으로 꺽이도록 연결되어,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도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상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는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레버부의 하면과 상기 지지부의 상면이 일직선형태로 맞닿게 연결되어,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도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하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곡선으로 휘어져 형성됨으로써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는 상기 결합부를 강하게 압박하고,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는 완충작용을 하는 판스프링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브로치핸들은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의 말단과 맞닿는 부위에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를 적정위치에 위치시키고 공차를 극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면에 회전방지홈을 추가로 포함하여 시술시에 상기 브로치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브로치핸들은 일면에 시술보조기구를 삽입할 수 있는 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브로치핸들은 말단에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브로치를 추출하기 위해 해머로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양 말단 사이의 중앙부에 볼플런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브로치핸들은 몸체 내면에 상기 볼플런져를 수용할 수 있는 볼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를 올렸을 시에 상기 볼플런져가 상기 볼수용부에 걸리게 되면 상기 레버부가 상기 볼플런져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레버부가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브로치핸들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은 브로치를 삽입할 수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브로치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된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와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가 상기 결합부를 압박하여 상기 결합부와 브로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는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하향으로 꺽이도록 연결되어,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도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상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는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레버부의 하면과 상기 지지부의 상면이 일직선형태로 맞닿게 연결되어,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도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하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곡선으로 휘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브로치핸들은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의 말단과 맞닿는 부위에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면에 회전방지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브로치핸들은 일면에 시술보조기구를 삽입할 수 있는 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브로치핸들은 말단에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양 말단 사이의 중앙부에 볼플런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브로치핸들은 몸체 내면에 상기 볼플런져를 수용할 수 있는 볼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를 올렸을 시에 상기 볼플런져가 상기 볼수용부에 걸리게 되면 상기 레버부가 상기 볼플런져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레버부가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브로치핸들에 있어 브로치를 삽입할 수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브로치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된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와 연결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는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가 상기 결합부를 압박하여 상기 결합부와 브로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를 위로 올렸을 시에는 상기 브로치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는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하향으로 꺽이도록 연결되어,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도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상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는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레버부의 하면과 상기 지지부의 상면이 일직선형태로 맞닿게 연결되어,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도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하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곡선으로 휘어져 형성됨으로써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는 상기 결합부를 강하게 압박하고,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시에는 완충작용을 하는 판스프링 역할을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브로치핸들은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의 말단과 맞닿는 부위에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를 적정위치에 위치시키고 공차를 극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면에 회전방지홈을 추가로 포함하여 시술시에 상기 브로치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브로치핸들은 일면에 시술보조기구를 삽입할 수 있는 홀을 추가로 포함하여 시술중에 다양한 시술보조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브로치핸들은 말단에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브로치를 추출하기 위해 해머로 상기 브로치핸들을 타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양 말단 사이의 중앙부에 볼플런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브로치핸들은 몸체 내면에 상기 볼플런져를 수용할 수 있는 볼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를 올렸을 시에 상기 볼플런져가 상기 볼수용부에 걸리게 되면 상기 레버부가 상기 볼플런져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레버부가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고관절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브로치핸들과 브로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과 브로치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과 브로치의 분해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과 브로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의 결합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의 레버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의 지지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의 레버부를 위로 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핸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과 브로치(10)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과 브로치(10)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과 브로치(1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의 결합부(23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의 레버부(24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의 지지부(250)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은 브로치(10)를 삽입할 수 있는 수용부(220)와, 상기 수용부(220)에 삽입된 브로치(10)와 결합하는 결합부(230)와, 상기 결합부(230)와 연결된 레버부(240)와, 상기 레버부(240)와 연결된 지지부(2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20)는 상기 브로치핸들(20)의 일단에서 상기 브로치(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고 타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의 홀(hole)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내주면 상에는 후술하게 될 상기 결합부(230)의 결합돌기(231)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221)이 천공되어 있고, 또한 폐쇄된 밑면에는 상기 브로치(10)의 회전방지부(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회전방지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홈(222)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다각형 형상으로 상기 브로치(10)의 회전방지부(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220)의 폐쇄된 밑면에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브로치(10)의 회전방지부(120)가 상기 회전방지홈(222)에 삽입되면 양자는 서로 밀접하게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공(221)을 통해 후술하게 될 상기 결합부(230)의 결합돌기(231)가 삽입되어 상기 브로치(10)의 결합홈(110)과 결속하게 되며, 상기 회전방지홈(222)에 상기 브로치(10)의 회전방지부(120)가 결속하게 되면 시술중에 상기 브로치(10)가 상기 수용부(220)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일단에는 상기 수용부(220)의 결합공(221)에 삽입되어 상기 브로치(10)의 결합홈(110)과 결합하는 결합돌기(23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231)의 오른쪽단에는 힌지(d1)에 의해 상기 브로치핸들(20)의 몸체(210)와 결합하는 고정단(23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231)의 왼쪽단에는 힌지(d2)에 의해 후술하게 될 상기 레버부(240)의 결합부결합단(243)과 결합하는 레버부결합단(2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결합부(230)이 일단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브로치(10)의 결합홈(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라운드형상 내지는 다각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232)은 상기 결합돌기(231)의 오른쪽단으로 힌지(d1)에 의해 상기 브로치핸들(20)의 몸체(210)와 결합하는 부분이며, 상기 결합부(23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결합단(233)은 상기 결합돌기(231)의 왼쪽단으로 힌지(d2)에 의해 후술하게 될 상기 레버부(240)의 결합부결합단(243)과 결합하는 부분이며, 상기 레버부(240)의 결합부결합단(243)과 맞물려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부결합단(233)은 폭의 중앙부만이 돌출되고 상기 레버부(240)의 결합부결합단(243)은 폭의 중앙부를 제외한 양단만이 돌출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상기 레버부결합단(233)은 폭의 중앙부를 제외한 양단만이 돌출되고 상기 레버부(240)의 결합부결합단(243)은 폭의 중앙부만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230) 및 레버부(240)가 서로 맞물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230)는 상기 레버부(240)를 위로 올리게 되면 상기 힌지(d2)에 의해 후술하게 될 상기 레버부(240)의 결합부결합단(243)과 결합하고 있는 상기 레버부결합단(233)이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정단(232)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결합돌기(231)가 상기 브로치(10)의 결합홈(110)에서 이탈하게 되고, 상기 레버부(240)를 아래로 내리게 되면 상기 힌지(d2)에 의해 후술하게 될 상기 레버부(240)의 결합부결합단(243)과 결합하고 있는 상기 레버부결합단(233)이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정단(232)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결합돌기(231)가 상기 브로치(10)의 결합홈(110)과 결합하게 된다. 그 작동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레버부(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에는 힌지(d2)에 의해 상기 결합부(230)의 레버부결합단(233)과 결합하는 결합부결합단(243)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힌지(d4)에 의해 후술하게 될 상기 지지부(250)의 레버부결합단(251)과 결합하는 지지부결합단(24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결합단(243)과 지지부결합단(241) 사이에는 볼(d3)을 포함하는 볼플런져(ball plunger,242)가 형성되며,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레버(244)가 일단에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결합단(243)은 상기 레버부(240)가 상기 결합부(230)와 맞닿는 일단에 형성되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30)의 레버부결합단(233)과 맞물려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230)의 레버부결합단(233)은 폭의 중앙부만이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결합단(243)은 폭의 중앙부를 제외한 양단만이 돌출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상기 결합부(230)의 레버부결합단(233)은 폭의 중앙부를 제외한 양단만이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결합단(243)은 폭의 중앙부만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240) 및 결합부(230)가 서로 맞물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결합단(241)은 상기 레버부(240)가 상기 지지부(250)와 맞닿는 일단에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250)의 레버부결합단(251)과 맞물려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250)의 레버부결합단(251)은 폭의 중앙부를 제외한 양단만이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결합단(241)은 폭의 중앙부만이 돌출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상기 지지부(250)의 레버부결합단(251)은 폭의 중앙부만이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결합단(241)은 폭의 중앙부를 제외한 양단만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240) 및 지지부(250)가 서로 맞물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다만 상기 레버부(240)와 지지부(250)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레버부(240)의 지지부결합단(241)의 하면(e)과 상기 지지부(250)의 레버부결합단(251)의 상면(f)이 일직선형태로 맞닿게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볼플런져(ball plunger,242)는 내부에 볼(d3)을 포함하는 원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볼(d3)이 상기 볼플런져(ball plunger,242)의 양단으로 약간 돌출되게 되므로 상기 레버부(240)를 위로 올렸을 시에 상기 볼(d3)이 상기 브로치핸들(20)의 몸체(210) 내부에 형성된 볼수용부(211-도4에 도시됨)에 걸리게 되면 상기 볼플런져(ball plunger,242)는 상기 볼(d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레버부(2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상기 레버부(240)가 위로 올라간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스스로 아래로 내려오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버(244)는 상기 레버부(240)의 일단에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위로 볼록한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말단은 상기 브로치핸들(20)의 몸체(210) 내지는 후술하게 될 탄성부재(260)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부(240)의 레버(244)를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림에 따라 상기 레버부(240)와 힌지(d2,d4)에 의해 결합된 상기 결합부(230)와 지지부(250)가 함께 작동할 수 있게 되는데, 그 작동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부(2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에는 힌지(d4)에 의해 상기 레버부(240)의 지지부결합단(241)과 결합하는 레버부결합단(25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힌지(d5)에 의해 상기 브로치핸들(20)의 몸체(210)에 고정되는 고정단(253)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결합단(251)과 고정단(253)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결합단(251)은 상기 지지부(250)에서 상기 레버부(240)의 지지부결합단(241)과 결합하는 일단에 형성되는데, 상기 레버부(240)의 지지부결합단(241)과 맞물려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부결합단(251)은 폭의 중앙부를 제외한 양단만이 돌출되고 상기 레버부(240)의 지지부결합단(241)은 폭의 중앙부만이 돌출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상기 레버부결합단(251)은 폭의 중앙부만이 돌출되고 상기 레버부(240)의 지지부결합단(241)은 폭의 중앙부를 제외한 양단만이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250) 및 레버부(240)가 서로 맞물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다만 상기 지지부(250) 및 레버부(240)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레버부(240)의 지지부결합단(241)의 하면(e)과 상기 지지부(250)의 레버부결합단(251)의 상면(f)이 일직선형태로 맞닿게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단(253)은 상기 지지부(250)의 타단에서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d5)에 의해 상기 브로치핸들(20)의 몸체(210)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d5)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52)는 상기 레버부결합단(251)과 고정단(253)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로 일정길이를 갖는 바(bar)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곡선으로 휘어져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레버부(240)의 레버(244)를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힌지(d4)에 의해 상기 레버부(240)의 지지부결합단(241)과 결합하는 레버부결합단(251)이 상기 고정단(253)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레버부결합단(251)이 위로 따라올라가게 되고, 상기 레버부(240)의 레버(244)를 아래로 내리게 되면 상기 힌지(d4)에 의해 상기 레버부(240)의 지지부결합단(241)과 결합하는 레버부결합단(251)이 상기 고정단(253)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레버부결합단(251)이 아래로 따라내려가게 되는데, 그 작동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은 상기 레버부(240)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는 상기 레버부(240)와 지지부(250)가 상기 결합부(230)를 압박하여 상기 결합부(230)와 브로치(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240)를 위로 올렸을 시에는 상기 브로치(10)와 상기 결합부(2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은 상기 레버부(240)와 지지부(250)가 상기 레버부(240)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240)와 지지부(250)의 연결부위가 하향으로 꺽이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부(240)의 레버(244)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지지부(250)의 레버부결합단(251)과 고정단(253)을 잇는 축 즉, 상기 지지부(250)의 중심축을 'X축'이라 명명했을 때 상기 레버부(240)의 지지부결합단(241)과 결합부결합단(243)을 잇는 축 즉, 상기 레버부(240)의 중심축이 'X축'선상으로부터 일정각도(θ)만큼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 연결되는 것인데, 이러한 경우 시술중에 깊게 박힌 브로치(10)를 빼내기 위해 상기 브로치핸들(20)을 해머 등을 이용해 타격시에도 상기 레버부(240)와 지지부(250)의 연결부위가 상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부(230)를 지속적으로 압박하여 상기 결합부(230)와 브로치(10)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은 상기 레버부(240)와 지지부(250)가 상기 레버부(240)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240)와 지지부(250)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레버부(240)의 지지부결합단(241)의 하면(e)과 상기 지지부(250)의 레버부결합단(251)의 상면(f)이 일직선형태로 맞닿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5의 'A'부분의 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240)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240)와 지지부(250)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레버부(240)의 지지부결합단(241)의 하면(e)과 상기 지지부(250)의 레버부결합단(251)의 상면(f)이 일직선형태로 맞닿게 연결됨으로써, 시술중에 깊게 박힌 브로치(10)를 빼내기 위해 상기 브로치핸들(20)을 해머 등을 이용해 타격시에 상기 레버부(240)의 레버(244)의 말단이 상기 몸체(210) 내지는 후술하게 될 탄성부재(260)에 간섭되는 것과 함께 상기 레버부(240)와 지지부(250)의 연결부위가 상기 힌지(d4)를 중심으로 더 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 즉, 하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부(230)를 지속적으로 압박하여 상기 결합부(230)와 브로치(10)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은 상기 지지부(250)의 연결부(252)가 곡선으로 휘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버부(240)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지지부(250)의 연결부(252)가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보다 상기 결합부(230), 레버부(240) 및 지지부(250)가 더 용이하게 결속될 수 있게 하며, 곡선으로 휘어진 상기 지지부(250)의 연결부(252)가 상기 레버부(240) 및 결합부(230)를 강하게 압박하여 상기 결합부(230)가 상기 브로치(10)와 강하게 결속하도록 하며, 시술중에 깊게 박힌 브로치(10)를 빼내기 위해 상기 브로치핸들(20)을 해머 등을 이용해 타격시에는 완충작용을 하는 판스프링 역할을 하여 상기 결합부(230)와 상기 브로치(10)의 결속이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은 상기 레버부(240)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240)의 레버(244)의 말단과 맞닿는 부위에 탄성부재(2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60)는 상기 레버부(240)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240)의 레버(244)의 말단과 맞닿는 상기 브로치핸들(20)의 몸체(210)부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데, 실리콘이나 고무 등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240) 및 지지부(250)가 일정각도(θ)만큼 기울어져 연결되어 상기 결합부(230)를 강하게 압박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레버(244)가 위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버부(240)의 레버(244)를 적정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시술중에 깊게 박힌 브로치(10)를 빼내기 위해 상기 브로치핸들(20)을 해머 등을 이용해 타격시에 상기 레버부(240)의 레버(244)의 말단이 상기 탄성부재(260)에 간섭되어 상기 레버부(240)와 지지부(250)의 연결부위가 상기 힌지(d4)를 중심으로 더 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즉, 하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부품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차를 일정부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은 몸체(210)의 일면에 시술보조기구를 삽입할 수 있는 홀(270)이나 말단에 플랜지(28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270)에는 여러가지 시술보조기구 등을 삽입하여 인공관절을 삽입하기 위한 시술부를 형성하는 시술시에 활용할 수 있고, 시술중에 깊게 박힌 브로치(10)를 빼내기 위해 상기 브로치핸들(20)을 해머 등을 이용해 타격시에 상기 플랜지(280)를 타격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20)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로치핸들의 레버부를 위로 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부(240)의 레버(244)가 아래로 내려와 있어 상기 레버부(240)와 지지부(250)가 상기 결합부(230)를 압박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240)의 레버(244)를 위로(①방향) 들어올리게 되면 그에 따라 상기 지지부(250)의 고정단(25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부(250)의 레버부결합단(251)과 상기 레버부(240)의 지지부결합단(241)의 연결부분이 위로(②방향) 올라가고, 상기 레버부(240)가 상기 볼플런져(24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레버부(240)의 결합부결합단(243)과 상기 결합부(230)의 레버부결합단(233)의 연결부분이 아래로(③방향) 내려가고, 상기 결합부(230)의 고정단(23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부(230)의 결합돌기(231)가 위로(④방향) 올라가게 되어 상기 결합부(230)와 브로치(10)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또한 도 9의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240)의 레버(244)를 아래로 내리게 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원리의 역순으로 진행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30)와 브로치(10)가 결합하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브로치 20: 브로치핸들
110: 결합홈 120: 회전방지부
210: 몸체 211: 볼수용부
220: 수용부 221: 결합공 222: 회전방지홈
230: 결합부 231: 결합돌기 232: 고정단 233: 레버부결합단
240: 레버부 241: 지지부결합단 242: 볼플런져 243: 결합부결합단
244: 레버
250: 지지부 251: 레버부결합단 252: 연결부 253: 고정단
260: 탄성부재 270: 홀 280: 플랜지
a: 대퇴골 b:골반 c: 인공관절
d1,d2,d4,d5: 힌지 d3: 볼
e:지지부결합단의 하면 f:레버부결합단의 상면

Claims (8)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브로치를 삽입할 수 있는 수용부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일단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브로치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된 레버부와; 상기 몸체와 레버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와 함께 상기 결합부를 압박하여 상기 결합부와 브로치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는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의 중심축이 상기 지지부의 중심축 선상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 연결됨으로서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하향으로 꺽이도록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레버부의 하면과 상기 지지부의 상면이 일직선형태로 맞닿게 연결되어,
    브로치핸들의 타격시에도 상기 레버부와 지지부의 연결부위가 상향 및 하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곡선으로 휘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치핸들은 상기 레버부를 아래로 내렸을 시에 상기 레버부의 말단과 맞닿는 부위에 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면에 회전방지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치핸들은 일면에 시술보조기구를 삽입할 수 있는 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치핸들은 말단에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양 말단 사이의 중앙부에 볼플런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브로치핸들은 몸체 내면에 상기 볼플런져를 수용할 수 있는 볼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를 올렸을 시에 상기 볼플런져가 상기 볼수용부에 걸리게 되면 상기 레버부가 상기 볼플런져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레버부가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치핸들.
KR2020100006845U 2010-06-29 2010-06-29 브로치핸들 KR200459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845U KR200459347Y1 (ko) 2010-06-29 2010-06-29 브로치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845U KR200459347Y1 (ko) 2010-06-29 2010-06-29 브로치핸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617A Division KR20100005536A (ko) 2008-07-07 2008-07-07 브로치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38U KR20100009338U (ko) 2010-09-27
KR200459347Y1 true KR200459347Y1 (ko) 2012-03-23

Family

ID=4419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845U KR200459347Y1 (ko) 2010-06-29 2010-06-29 브로치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3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953B1 (ko) * 2011-06-23 2013-01-22 주식회사 코렌텍 라섭 핸들
KR101502529B1 (ko) * 2013-12-02 2015-03-25 주식회사 코렌텍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9003A (en) * 1989-12-22 1992-02-18 Zimmer, Inc. Rasp tool including detachable handle member
US5324293A (en) * 1992-11-13 1994-06-28 U.S. Medical Products, Inc. Surgical broach and broach holder
KR20080010224A (ko) * 2006-07-26 2008-01-30 주식회사 코렌텍 브로치와 브로치핸들의 탈부착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9003A (en) * 1989-12-22 1992-02-18 Zimmer, Inc. Rasp tool including detachable handle member
US5324293A (en) * 1992-11-13 1994-06-28 U.S. Medical Products, Inc. Surgical broach and broach holder
KR20080010224A (ko) * 2006-07-26 2008-01-30 주식회사 코렌텍 브로치와 브로치핸들의 탈부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338U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3023B1 (en) Controlled force impacting device
US8740911B2 (en) Method of preparing a femur for implantation of a femoral implant
JP6025182B2 (ja) 二重オフセットを有した手術器具
JP4054174B2 (ja) 可動支持人工膝関節
US20140207123A1 (en) Knockout Tool for Minimally Invasive Prosthesis Revision
US6786931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modular orthopaedic elements
CA2581517A1 (en) Compound offset handle
US20080255565A1 (en) Broach handle for minimally invasive hip replacement surgery
JPH06169930A (ja) 大腿骨人工装具把握/駆動工具および該工具を使用した移植法
US20130226186A1 (en) Straight Cup Impactor
US20130289634A1 (en) Orthopedic tool for altering the connection between orthopedic components
US20110257656A1 (en) Taper sleeve extractor
US20070156155A1 (en) Surgical cup impactor
EP2777634A1 (en) Assembly tool for orthopaedic prosthesis components
KR200459347Y1 (ko) 브로치핸들
US10201374B2 (en) Assembly tool for a prosthesis
KR20100005536A (ko) 브로치핸들
US6520966B1 (en) Setting instrument for a tibia part of a knee joint prosthesis
US8496666B2 (en) Instrumentation for mobile bearing prosthetics
KR102339924B1 (ko) 레버 메카니즘을 적용한 사용이 간편한 브로치핸들
KR100804775B1 (ko) 브로치와 브로치핸들의 탈부착 구조
KR101220953B1 (ko) 라섭 핸들
US20220409219A1 (en) Assemblies and kits for reaming, methods of assembling reamers and use thereof in reaming an orthopedic joint
CN114053004A (zh) 一种中间持髁器
JP2024516854A (ja) オフセット寛骨臼シェルインパクタ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