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529B1 -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529B1
KR101502529B1 KR1020130148285A KR20130148285A KR101502529B1 KR 101502529 B1 KR101502529 B1 KR 101502529B1 KR 1020130148285 A KR1020130148285 A KR 1020130148285A KR 20130148285 A KR20130148285 A KR 20130148285A KR 101502529 B1 KR101502529 B1 KR 101502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broach handle
broach
measur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경회
하용찬
이영균
선두훈
김용식
김정성
신태진
심보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130148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62Implants for placement in joint gaps without restricting joint motion, e.g. to reduce arthritic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4Methods for bone or joint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로치핸들에 결합하여 대퇴스템의 전염각을 측정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전염각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가 상기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가능토록 하며 결합완료시의 상기 측정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브로치핸들의 상측에 위치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회전축을 규정하는 돌출부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이동포스트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표시되어 전염각 측정의 기준이 되며 상기 브로치핸들의 정중면에 위치하거나 평행하게 위치하는 기준선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포스트를 회동시켜 상기 이동포스트가 시술하는 다리의 정중면에 평행하거나 일치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기준선과 이동포스트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여 전염각을 산정하므로, 대퇴스템의 전염각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전염각 측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femoral stem anteversion}
본 발명은 브로치핸들에 결합하여 대퇴스템의 전염각을 측정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전염각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가 상기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가능도록 하며 결합완료시의 상기 측정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브로치핸들의 상측에 위치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회전축을 규정하는 돌출부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이동포스트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표시되어 전염각 측정의 기준이 되며 상기 브로치핸들의 정중면에 위치하거나 평행하게 위치하는 기준선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포스트를 회동시켜 상기 이동포스트가 시술하는 다리의 정중면에 평행하거나 일치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기준선과 이동포스트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여 전염각을 산정하므로, 대퇴스템의 전염각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전염각 측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고관절은 몸통과 다리의 연결부위에 위치하여 사람의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관절로, 퇴행성 관절염 등에 의해 상기 고관절이 손상되는 경우 보행이나 일상 생활에 불편함이 초래하므로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술하게 된다.
도 1은 고관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2는 대퇴골의 전염각을 설명하기 위한 CT사진이고, 도 3은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고관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 및 아래의 특허문헌을 참조하여 고관절 치환술 및 종래의 대퇴스템의 전염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10-2010-0005538(2010. 01. 15. 공개) "브로치핸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고관절의 구조를 살펴보면, 엉덩이뼈인 골반골(a)과 엉덩이 아래의 다리뼈인 대퇴골(b) 사이에는 마찰접촉하는 연골부위인 고관절(a1)이 형성되어 고관절(a1) 내에 대퇴골(b)의 대퇴골두가 삽입되어 대퇴골(b)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대퇴경부(femoral neck)는 대퇴골(b)의 장축(b1)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데 이를 대퇴골의 전염각(α1, anteversion)이라 하며, 상기 대퇴골 전염각(α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골의 장축(b1)을 중심으로 관상면(d, frontal plane)과 대퇴골 경축(e, 대퇴골두의 중심과 대퇴골경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의미함) 사이의 각도로 표시된다.
상기 고관절이 손상되는 경우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도 3 및 상기 특허문헌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인공고관절 치환술은 골반(a)과 대퇴골(b) 사이에 대퇴스템(c1)과 비구컵(c2)으로 이루어진 인공관절(c)을 게재하여 시술하게 된다. 상기 대퇴스템(c1)이 대퇴골(b)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대퇴골(b)에 일정 크기로 함몰되는 시술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수술기구가 브로치(10)와 브로치핸들(20)이다. 상기 브로치(10)와 브로치핸들(20)에 의해 형성되는 시술부에 따라 대퇴스템(c1)의 위치가 결정되게 된다. 즉, 브로치핸들(20)의 전염각(대퇴골(b)의 장축(b1)에 대하여 브로치핸들(20)의 기울어진 각도를 의미함)은 대퇴스템(c1)의 전염각(대퇴골(b)의 장축(b1)에 대하여 대퇴스템(c1)의 경부(c11)의 기울어진 각도를 의미함)과 동일하게 된다.
상기 고관절 치환술 후에 다리의 운동범위를 확인하고 부품간(대퇴스템과 비구컵 등)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대퇴스템(c1)의 전염각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대퇴스템의 전염각과 동일한 브로치핸들의 전염각을 측정하여 대퇴스템의 전염각을 예측한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수술자가 각도기를 상기 브로치핸들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기준점을 잡아 전염각을 측정하므로, 기준점을 선정하고 각도기를 정위치시키는 것이 어려워 전염각 측정과정에서 많은 오차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대퇴스템의 전염각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전염각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퇴스템의 전염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대퇴스템과 연계되는 부품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즉 구체적으로 대퇴스템의 전염각을 정확하게 알고 있으므로 상기 대퇴스템에 연계되는 비구컵의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인공고관절이 시술된 후의 운동범위를 용이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염각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부가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가능하도록 하며 결합완료시의 상기 측정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여, 측정부를 정위치시켜 대퇴스템의 전염각 측정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염각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로치핸들에 결합한 후 이동포스트를 회동시킴으로써 전염각을 측정하는 가능하므로, 향상된 사용상 편리성을 가지는 전염각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므로, 전염각 측정 과정 이외에는 제거가 가능하여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는 과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하게 전염각을 측정할 수 있는 전염각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염각 측정장치는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전염각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정부가 상기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가능도록 하며 결합완료시의 상기 측정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염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브로치핸들의 상측에 위치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회전축을 규정하는 돌출부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이동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염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몸체부 상면에 표시되어 전염각 측정의 기준이 되며, 상기 브로치핸들의 정중면에 위치하거나 평행하게 위치하는 기준선;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이동포스트를 회동시켜 상기 이동포스트가 시술중인 다리의 정중면에 평행하거나 일치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기준선과 이동포스트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여 전염각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염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은 상기 브로치핸들의 정중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염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염각은 상기 기준선과 이동포스트 사이의 각도에서 90도를 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염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표시되며 상기 기준선을 0도로 하여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수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염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 측면에서 각각 하측 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측정부와 브로치핸들 결합시 상기 브로치핸들의 타격부의 외측면에 접하는 측면가이드부와; 상기 측면가이드부의 말단에서 상기 측면가이드부의 내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정부와 브로치핸들의 결합시 상기 타격부의 하면의 일부에 접하는 내측가이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형덩되며, 상기 측정부와 브로치핸들의 결합완료시 상기 타격부의 후면에 접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염각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브로치핸들에 결합한 브로치의 장축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대퇴스템의 전염각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퇴스템의 전염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대퇴스템과 연계되는 부품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즉 구체적으로 대퇴스템의 전염각을 정확하게 알고 있으므로 상기 대퇴스템에 연계되는 비구컵의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인공고관절이 시술된 후의 운동범위를 용이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부가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가능하도록 하며 결합완료시의 상기 측정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여, 측정부를 정위치시켜 대퇴스템의 전염각 측정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로치핸들에 결합한 후 이동포스트를 회동시킴으로써 전염각을 측정하는 가능하므로, 향상된 사용상 편리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므로, 전염각 측정 과정 이외에는 제거가 가능하여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는 과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하게 전염각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고관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대퇴골의 전염각을 설명하기 위한 CT사진.
도 3은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고관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 및 5는 종래의 브로치핸들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염각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전염각 측정장치가 브로치핸들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내지 9는 도 6의 전염각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전염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염각 측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고관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2는 대퇴골의 전염각을 설명하기 위한 CT사진이고, 도 3은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고관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4 및 5는 종래의 브로치핸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염각 측정장치의 사시도로 도 6의 (a)는 전염각 측정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전염각 측정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전염각 측정장치가 브로치핸들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대퇴골에 고정된 브로치핸들에 결합한 전염각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참고도이며, 도 9는 대퇴골에 고정된 브로치핸들에 결합한 전염각 측정장치의 종방향 모습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염각 측정장치(1)를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염각 측정장치(1)는 브로치핸들(2)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전염각을 측정하는 측정부(11)와, 상기 측정부(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정부(11)가 상기 브로치핸들(2)에 착탈식으로 결합가능하도록 하며 결합완료시의 상기 측정부(11)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12)를 포함하여, 대퇴스템(c1)의 전염각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정중면은 물체의 좌우 대칭을 나타내는 대칭면을 의미하며, 수평면은 물체의 연직선에 수직인 평면을 의미한다.
상기 전염각 측정장치(1)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전염각 측정장치(1)와 결합하는 브로치핸들(2)을 도 4 및 5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도 4 및 5에 도시된 브로치핸들(2)은 예시일 뿐이며, 상기 전염각 측정장치(1)는 종래의 다양한 브로치핸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브로치핸들(2)의 하단에는 브로치(3)가 착탈식으로 결합하며, 상단에는 시술시 타격 대상이 되는 타격부(21)가 위치하게 된다. 고관절 치환술에서 대퇴스템(c1)을 대퇴골(b)에 삽입하기 위해, 브로치(3)가 결합한 브로치핸들(2)을 타격하여 대퇴스템(c1)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인 시술부를 형성하는데 시술부 형성시, 가능하면 최대한으로 상기 브로치핸들(2)의 정중면(22)이 상기 대퇴골(b)의 경축(e)에 일치하고, 상기 브로치(3)의 장축(31)이 상기 대퇴골(b)의 장축(b1)과 일치하도록, 상기 브로치핸들(2)을 사용하여 시술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브로치핸들(2)과 브로치(3)에 의해 형성되는 시술부에 따라 대퇴스템(c1)의 삽입위치가 결정되게 되므로, 즉 대퇴스템(c1)의 전염각(대퇴골(b)의 장축(b1)에 대하여 대퇴스템(c1)의 경부(c11)의 기울어진 각도를 의미함)은 브로치핸들(2)의 전염각(α3, 대퇴골(b)의 장축(b1)에 대하여 브로치핸들(2)의 기울어진 각도를 의미함)과 동일하게 되어 상기 브로치핸들(2)의 전염각(α3)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대퇴스템(c1)의 전염각을 예측(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정부(11)는 상기 브로치핸들(2)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전염각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몸체부(111), 돌출부(112), 이동포스트(113), 기준선(114), 각도수치(115) 등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1)는 상기 타격부(21)의 상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브로치핸들(2)의 수평면(23)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상기 돌출부(112)는 상기 몸체부(111)의 상면에서 대략 수직하게 돌출되어 후술할 이동포스트(113)의 회전축(x)을 규정한다. 상기 측정부(11)가 상기 브로치핸들(2)에 결합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x)이 상기 브로치핸들(2)에 결합한 브로치(3)의 장축(31)과 평행하도록 상기 돌출부(113)가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x)이 상기 브로치핸들(2)에 결합한 브로치(3)의 장축(31)과 일치하도록 상기 돌출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포스트(113)는 상기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111)와 결합하는 구성으로, 상기 돌출부(112)가 끼워지는 원형고리(113a)와, 상기 원형고리(113a)의 일측에 돌출되는 로드(113b)를 포함한다.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브로치핸들(2)과 결합한 브로치(3)가 대퇴골(b)에 박힌 상태에서, 상기 브로치핸들(2)에 전염각 측정장치(1)를 결합하고, 상기 이동포스트(113)를 회동시켜 상기 이동포스트(113)가 시술중인 다리의 정중면(y)에 평행하거나 일치하도록 위치시키면 대퇴스템(c1)의 전염각을 측정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준선(114)은 상기 몸체부(111)의 상면에 표시되어 전염각 측정의 기준이 되는 선으로, 상기 돌출부(112)를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몸체부(111)의 좌우 중앙을 연결한 선을 의미한다. 상기 전염각 측정장치(1)가 상기 브로치핸들(2)에 결합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선(114)은 상기 브로치핸들(2)의 정중면(22)에 평행하게 위치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선(114)은 브로치핸들(2)의 정중면(22)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각도수치(115)는 상기 몸체부(111)의 상면에 표시되며 상기 기준선(114)을 0도로 하여 각도를 나타낸다.
상기 위치설정부(12)는 상기 측정부(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정부(11)가 상기 브로치핸들(2)에 착탈식으로 결합하가능하도록 하며 결합완료시의 상기 측정부(11)의 위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측면가이드부(121), 내측가이드부(122), 고정부(12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가이드부(121)는 상기 몸체부(111)의 양 측면에서 각각 하측 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측정부(11)와 브로치핸들(2) 결합시 상기 타격부(21)의 외측면에 접한다.
상기 내측가이드부(122)는 상기 측면가이드부(121)의 말단에서 상기 측면가이드부(121)의 내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측정부(11)와 브로치핸들(2)의 결합시 상기 타격부(21)의 하면의 일부에 접한다.
상기 고정부(123)는 상기 몸체부(111)의 후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측정부(11)와 브로치핸들(2)의 결합완료시의 상기 타격부(21)의 후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111), 측면가이드부(121) 및 내측가이드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s1)에는 상기 브로치핸들(2)의 타격부(21)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타격부(21)의 후면이 상기 고정부(123)에 접하여 상기 측정부(11)와 브로치핸들(2)의 결합이 완료되게 되며, 이때 상기 기준선(114)은 상기 브로치핸들(2)의 정중면(22)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x)은 상기 브로치핸들(2)에 결합한 브로치(3)의 장축(31)과 일치하게 된다. 상기 전염각 측정장치(1)를 상기 브로치핸들(2)에서 이탈시에는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전염각 측정장치(1)를 이동시켜 상기 전염각 측정장치(1)와 브로치핸들(2)을 분리한다. 상기 회전축(x)이 브로치(3)의 장측(31), 즉 대퇴골(b)의 장축(b1)과 일치하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브로치핸들(3)과 전염각 측정장치(1)의 결합시 기준선(114)은 상기 브로치핸들(2)의 정중면(22)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회전축(x)이 브로치(3)의 장측(31) 즉 대퇴골(b)의 장축(b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브로치핸들(3)과 전염각 측정장치(1)의 결합시 기준선(114)은 상기 브로치핸들(2)의 정중면(22)에 평행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상기 전염각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대퇴스템(c1)의 전염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대퇴스템(c1)을 대퇴골(b)에 삽입하기 위한 시술부를 형성하기 위해 브로치핸들(2)에 결합한 브로치(3)를 골두가 제거된 대퇴골(b)에 박아 시술부를 형성한다. 이 과정은 종래의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브로치(3)가 대퇴골(b)에 박힌 상태에서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염각 측정장치(1)를 상기 브로치핸들(2)에 결합하면, 상기 전염각 측정장치(1)의 측정부(11)의 상면은 상기 브로치핸들(2)의 수평면(23)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x)은 상기 브로치핸들(2)에 결합한 브로치(3)의 장축(31) 및 대퇴골(b)의 장축(b1)과 일치하고, 상기 기준선(114)은 브로치핸들(2)의 정중면(22)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염각 측정장치(1)가 상기 브로치핸들(2)에 결합하여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포스트(113)를 회동시켜 다리의 정중면(y)에 위치시킨다. 상기 이동포스트(113)의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을 90도 굽혀 종아리 부위가 신체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이동포스트(113)를 상기 종아리 부위와 평행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이동포스트(113)를 상기 다리의 정중면(y)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준선(114)과 이동포스트(113) 사이의 각도(β)를 각도수치(115)를 통해 읽어내고 측정된 각도(β)에서 90도를 빼면, 상기 브로치핸들(2)의 전염각(α3)이 된다. 도 9는 대퇴골(b)에 고정된 브로치핸들(2)에 결합한 전염각 측정장치(1)의 종방향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인데, 상기 이동포스트(113)를 다리의 정중면(y)에 위치시키면 상기 이동포스트(113)와 관상면(d) 사이의 각도는 90도를 가지게 되고, 상기 기준선(114)과 이동포스트(113) 사이의 각도(β)에서 90도를 빼면 상기 브로치핸들(2))의 전염각(α3)이 되게 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대퇴스템(c1)의 전염각은 브로치핸들(2)의 전염각(α3)과 동일하므로, 브로치핸들(2)의 전염각(α3)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대퇴스템(c1)의 전염각을 예측(측정)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경우 브로치핸들의 전염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술자가 임의로 각도기를 브로치핸들의 수평면에 평행하고 위치시키고 각도측정의 기준이 되는 선(0도 선)을 브로치핸들의 정중면에 평행하거나 일치하게 위치시켜야 하므로 브로치핸들의 전염각의 측정이 복잡하고 정확성이 떨어지는데 반해, 상기 전염각 측정장치는 상기 브로치핸들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브로치핸들의 수평면에 평행하게 되고 기준선이 브로치핸들의 정중면에 평행하거나 일치하게 위치되므로 브로치핸들의 전염각의 측정이 간단하고 정확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전염각 측정장치 11: 측정부 12: 위치설정부
111: 몸체부 112: 돌출부 113: 이동포스트
114: 기준선 115: 각도수치 121: 측면가이드부
122: 내측가이드부 123: 고정부 113a: 원형고리
113b: 로드
2: 브로치핸들 21: 타격부 22: 정중면
23: 수평면 3: 브로치 31: 장축
α1: 대퇴골의 전염각 α3: 브로치핸들의 전염각
s1: 수용공간 x: 회전축 y: 다리의 정중면
β: 기준선과 이동포스트 사이의 각도

Claims (8)

  1.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전염각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정부가 상기 브로치핸들에 착탈식으로 결합가능토록 하며 결합완료시의 상기 측정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브로치핸들의 상측에 위치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회전축을 규정하는 돌출부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하는 이동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몸체부 상면에 표시되어 전염각 측정의 기준이 되며, 상기 브로치핸들의 정중면에 위치하거나 평행하게 위치하는 기준선;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이동포스트를 회동시켜 상기 이동포스트가 시술중인 다리의 정중면에 평행하거나 일치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기준선과 이동포스트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여 전염각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은 상기 브로치핸들의 정중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염각은
    상기 기준선과 이동포스트 사이의 각도에서 90도를 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표시되며 상기 기준선을 0도로 하여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수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 측면에서 각각 하측 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측정부와 브로치핸들 결합시 상기 브로치핸들의 타격부의 외측면에 접하는 측면가이드부와; 상기 측면가이드부의 말단에서 상기 측면가이드부의 내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정부와 브로치핸들의 결합시 상기 타격부의 하면의 일부에 접하는 내측가이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정부와 브로치핸들의 결합완료시 상기 타격부의 후면에 접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브로치핸들에 결합한 브로치의 장축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KR1020130148285A 2013-12-02 2013-12-02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KR101502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285A KR101502529B1 (ko) 2013-12-02 2013-12-02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285A KR101502529B1 (ko) 2013-12-02 2013-12-02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529B1 true KR101502529B1 (ko) 2015-03-25

Family

ID=5302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285A KR101502529B1 (ko) 2013-12-02 2013-12-02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5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16B1 (ko) 2006-11-13 2008-01-11 한국과학기술원 인공 고관절 비구컵 각도측정 장치
KR20100005536A (ko) *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코렌텍 브로치핸들
JP2010057621A (ja) 2008-09-02 2010-03-18 Japan Medical Materials Corp ブローチハンドル
KR20100009338U (ko) * 2010-06-29 2010-09-27 주식회사 코렌텍 브로치핸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16B1 (ko) 2006-11-13 2008-01-11 한국과학기술원 인공 고관절 비구컵 각도측정 장치
KR20100005536A (ko) *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코렌텍 브로치핸들
JP2010057621A (ja) 2008-09-02 2010-03-18 Japan Medical Materials Corp ブローチハンドル
KR20100009338U (ko) * 2010-06-29 2010-09-27 주식회사 코렌텍 브로치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339B2 (en) Computer-assisted hip replacement surgery
JP6651549B2 (ja) 大腿骨変位を測定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損傷した股関節を修復するための外科的処置の間に整形外科的測定を行う方法
US7488324B1 (en) Femoral guide for implanting a femoral knee prosthesis
AU20123158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cise prosthesis positioning in hip arthroplasty
EP3383284B1 (en) Alignment device
US9539112B2 (en) Computer-guided system for orienting a prosthetic acetabular cup in the acetabulum during total hip replacement surgery
US20110060339A1 (en) Hip surgery assembly
CA2443219A1 (en) Computer assisted insertion of an artificial hip joint
AU2002246466A1 (en) Computer assisted insertion of an artifical hip joint
Barbier et al. Interest of an intraoperative limb-length and offset measurement device in total hip arthroplasty
CN104394805A (zh) 用于整形外科的测量器械
US20210030481A1 (en) Scanning Apparatus For Scanning An Anatomical Region
CN104546234B (zh) 股骨大小测量器
CN107708551A (zh) 股骨头测量装置
JP2021528196A (ja) 大腿骨頸部切除治具
US20060036149A1 (en) Navigated femoral axis finder
US92379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ibia bone rotation in knee implant surgery
KR101502529B1 (ko) 대퇴스템 전염각 측정장치
RU2562876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длины конечности при эндопротезировании тазобедренного сустава
Kessler et al. A method to quantify alteration of knee kinematics caused by changes of TKR positioning
CN216675735U (zh) 一种下肢力线角度的测量系统
Kendoff et al. A navigated 8-in-1 femoral cutting guide for total knee arthroplasty: technical development and cadaveric evaluation
Inkpen et al. Repeatability and Accuracy of Bone Cutting and Ankle Digitization in Computer-Assisted Total Knee Replacements
Elfring et al. Determination of the Mechanical Leg Axis Using a Force-Torque Sensor
CN110769785A (zh) 取向引导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