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774B1 -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774B1
KR102103774B1 KR1020180094672A KR20180094672A KR102103774B1 KR 102103774 B1 KR102103774 B1 KR 102103774B1 KR 1020180094672 A KR1020180094672 A KR 1020180094672A KR 20180094672 A KR20180094672 A KR 20180094672A KR 102103774 B1 KR102103774 B1 KR 102103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cutter
acetabular cup
power transmission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336A (ko
Inventor
주돈수
Original Assignee
아이메디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메디컴(주) filed Critical 아이메디컴(주)
Priority to JP202050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JP6935959B2/ja
Priority to PCT/KR2018/009308 priority patent/WO2019039786A1/ko
Priority to US16/634,117 priority patent/US11484417B2/en
Publication of KR20190022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09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acetabular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4Acetabular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6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ip
    • A61B17/166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ip for the acetabul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002/4619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f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002/4625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parts of the instrument during use
    • A61F2002/4628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parts of the instrument during use with linear motion along or rotating motion about an axis transverse to the instrument axis or to the implantation direction, e.g. clam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002/468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by applying mechanical shocks, e.g. by hamm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는, 메인 구동부; 상기 메인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메인 샤프트; 상기 메인 샤프트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비구컵이 이식된 비구 부분을 따라 틸팅 가능하며, 상기 메인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비구 부분을 절삭하는 커터부; 및 상기 메인 샤프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커터부의 틸팅 각도를 무단으로 조절하는 무단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Separation device of acetabular cup for artificial hip joint}
본 발명은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 고관절은 고관절 기능에 장해가 생겼을 경우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물로, 고관절이 있던 자리에 이식되어 정상적인 활동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인공 고관절은, 골반의 비구 부위에 삽입되며 베어링 역할을 수행하는 라이너를 구비한 반구 형상의 비구컵(acetabular cup)과, 대퇴골에 끼워지는 스템(stem)과, 그리고 대퇴 골두를 대체하기 위해 스템의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비구컵에 삽입되는 반구 형상의 헤드(femoral head)로 구분된다.
따라서, 관절염이나 이형성증, 외상 또는 감염 후유증에 의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고관절에 통증을 나타내는 환자는 통증이 나타나는 고관절을 상기한 인공 고관절로 대체함으로써, 관절의 운동 기능을 회복하고 통증을 없앨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인공 고관절은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헤드와 마찰되는 비구컵은 지속적인 관절 사용으로 인하여, 마모의 발생률이 높고, 마모가 지속될 경우 심하게는 비구컵이 삽입된 골반의 비구 주변에 골용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 삽입된 비구컵을 골반의 비구로부터 탈거하기 위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5095호에 개시된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상기 비구컵 탈거 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도면은 상기 한국공개특허공보의 도 2, 도 3, 도 4에 각각 대응된다. 편의상 도면부호는 수정 없이 그대로 표시되었다.
이러한 기존의 비구컵 탈거 장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디부와, 비구컵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바디부와 함께 회전하여 비구컵이 부착된 비구 부분을 절삭하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특히, 커팅부는, 바디부와 함께 회전되면서 비구컵이 부착된 비구 부분을 절삭하는 회동 커터와, 회동 커터가 비구컵의 형태를 따라 비구 부분이 절삭되도록 회동 커터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도 조절부는, 하우징부의 내측에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정 레버와, 조정 레버의 회전에 따라 전방 측으로 3 단계로 이동하면서 회동 커터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순차적으로 회전시키고, 3 단계 이동이 모두 끝나면 원 위치되는 조정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는, 회동 커터가 3 단계로 각도 조절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각각의 단계 별로 시간 차가 발생되어 절삭된 비구의 면이 고르지 못하다. 또한 더 많은 절삭이 필요한 비구의 부분이 단계가 바뀌는 구간에 있을 경우 회동 커터를 그 부분에 위치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는, 회동 커터가 3 단계 각도 조절을 모두 마치고 나서야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회동 커터의 각도를 이전의 각도로 하기 위해서는 3단계의 각도 조절을 모두 마친 다음 원 위치된 상태에서 다시 조절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시술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5095 (공개일: 2017년 2월 8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절삭된 비구 부분의 면을 고르게 할 수 있고, 커터의 틸팅 각도를 이전 각도로 바로 조절할 수 있으며, 비구 부분 중 더 많은 절삭을 요하는 곳에 커터를 바로 위치시킬 수 있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는, 메인 구동부; 상기 메인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메인 샤프트; 상기 메인 샤프트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비구컵이 이식된 비구 부분을 따라 틸팅 가능하며, 상기 메인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비구 부분을 절삭하는 커터부; 및 상기 메인 샤프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커터부의 틸팅 각도를 무단으로 조절하는 무단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단 조절부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상기 메인 샤프트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 전단부에 상기 슬라이더의 후단부가 빠지지 않게 연결되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 고정 클램프, 및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커터부를 틸팅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단 조절부는 상기 메인 샤프트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에 상대적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의 후단부에는 후방커버가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가 후방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하며, 상기 후방커버는 상기 메인 샤프트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메인 샤프트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메인 샤프트를 둘러싸는 동력전달부재 몸체부와,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재 몸체부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커터부를 틸팅 시키는 동력전달아암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동력전달부재 몸체부를 상기 메인 샤프트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메인 샤프트에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안내홈;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탄성체;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 몸체부와 상기 탄성체를 상기 안내홈을 통해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의 일단은 닫힌 상태로 놓이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중공부의 일단에 지지되며,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상기 연결 부재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커터부는 커터와 이를 틸팅시키는 커터틸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틸팅부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샤프트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힌지공을 가지는 제1 틸팅부재; 상기 힌지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동력전달아암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틸팅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2 틸팅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터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가 회전하면서 상기 커터가 틸팅되는 동안 상기 비구 부분에 대응되는 절삭 궤적을 형성시키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의 전방부에서,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베어링과,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와 상기 메인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의 후방부에서,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와 상기 메인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와 상기 메인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단 조절부가 메인 샤프트를 따라 연속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터의 틸팅 각도를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존과 달리 단계 구분이 없어 비구 부분의 면을 고르게 절삭할 수 있다.
또한, 무단 조절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비구 부분 중 더 많은 절삭을 요하는 곳에 커터를 바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커터의 틸팅 각도를 직전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하고 시술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커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커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비구컵을 더 부가하여 비구컵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커터의 각도가 조절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를 V-V 선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회전 커터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무단 조절부(14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커터를 틸팅시키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종래의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도 8의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회동커터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발명한 기존의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에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단 조절부 구성을 새로이 도출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된 구성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들은 본 발명의 요지와는 무관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100)는, 메인 구동부(110)와, 메인 샤프트(120)와, 커터부(150)와, 무단 조절부(140)를 포함한다.
메인 구동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샤프트(120)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메인 구동부(110)는 회전 모터(111)와, 회전 모터(11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2)를 포함한다. 따라서, 메인 구동부(110)가 구동되면, 메인 샤프트(120)의 전단부에 구비된 커터부(150)는 메인 샤프트(12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메인 구동부(110)는 제1 손잡이(16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샤프트(120)는, 메인 구동부(110)의 구동력을 커터부(150)로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시술자가 본 발명의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100)를 든 상태에서 비구 부분까지 커터(1501)가 닿을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샤프트(120)의 후단부에는 제1 손잡이(160)가 구비되고, 메인 샤프트(120)의 중간부에는 제2 손잡이(170)가 구비된다. 시술자는 한 손으로는 제1 손잡이(16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제2 손잡이(170)를 잡아서 메인 샤프트(12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샤프트(120)의 회전 시 이를 원활하게 지지하기 위해, 메인 샤프트(120)와 무단조절부(140) 사이에는 베어링부(143)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커터부(150)는 커터(1501)와 이를 틸팅 시키는 커터틸팅부(1502)로 구성되고, 비구 부분을 실질적으로 절삭하는 구성요소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5095호에 개시된 본 출원인의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의 커터와 그 구성이 유사하다. 즉, 도 1, 도 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부(150)는 메인 샤프트(120)의 말단부에 구비되고 비구컵이 이식된 비구 부분을 따라 틸팅(tilting)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커터부(150)는 메인 샤프트(120)의 회전에 따라 메인 샤프트(12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되고, 비구 부분을 따라 틸팅되면서 비구 부분을 절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터(1501)는 커터틸팅부(1502)에 의해 비구 부분을 따라 틸팅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커터틸팅부(150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틸팅 부재(151), 제2 틸팅 부재(152), 연결 브라켓(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틸팅 부재(151)는 메인 샤프트(120)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메인 샤프트(120)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힌지공(151a)이 형성된다. 제2 틸팅 부재(152)는 힌지공(151a)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후술하는 동력전달부재(144)의 동력전달아암(148)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이에 연결된다. 연결 브라켓(153)은, 메인 샤프트(120)가 회전됨과 동시에 커터(1501)가 틸팅되는 동안 비구 부분에 대응되는 절삭 궤적(대략 반구 형상의 궤적)을 형성시키는 구성요소로,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브라켓(153)의 일단부는 제2 틸팅 부재(152)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고, 연결 브라켓(153)의 타단부는 커터(1501)에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서 도면부호 "154"는 커터(1501)와 연결 브라켓(153)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가리키며, 도 4에서 도면부호 "10"은 비구컵을, 도면부호 "20"은 비구컵(10)에 제1 틸팅 부재(15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컵"을 각각 가리킨다.
무단 조절부(140)는, 도 1, 도 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샤프트(120)를 따라 연속적으로 전후 방향(도 6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터틸팅부(1502)의 틸팅 각도를 무단으로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무단 조절부(140)가 제공되므로, 기존과는 달리 단계 구분이 없어 비구 부분의 면을 고르게 절삭할 수 있고, 전후 방향의 이동을 통해 비구 부분 중 더 많은 절삭을 요하는 곳에 커터(1501)를 바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커터(1501)의 틸팅 각도를 직전의 각도로 바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하고 시술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무단 조절부(140)는 슬라이더(141),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 그리고 베어링부(143), 동력전달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141)와 동력전달부재(14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슬라이더(141)는 메인 샤프트(120)의 외주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메인 샤프트(120)에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더(141)의 전단부와 접촉하고 있는 동력전달부재(144)를 전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커터부(150)를 틸팅(tilting)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터부(150)에 틸팅을 일으키는 힘은 동력전달부재(144)의 동력전달아암(1442)과, 동력전달아암(1442)의 일단이 연결된 커터틸팅부(150)의 제2 틸팅 부재(152)와, 제2 틸팅 부재(152)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 브라켓(153)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커터(1501)로 전달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 및 도 6에는 슬라이더(141)가 메인 샤프트(120)의 둘레에 배치되는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슬라이더(141)의 전단부와 후단부로부터 점선으로 연장하여 슬라이더(141)를 비구컵 탈거 장치로부터 분리해 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는 제2 손잡이(170)가 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그 전단부에는 전방커버(14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의 후단부에는 후방커버(146)가 위치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를 메인 샤프트(1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후방커버(146)는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가 뒤로 밀려나지 않도록 필요시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후방커버(146)는 메인 샤프트(120)에 필요시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의 전단부에는 슬라이더(141)의 후단부가 연결된다. 여기서, 슬라이더(141)의 후단부는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의 전방커버(147)로부터 빠지지 않게 결합되며(예컨대, 슬라이더의 후단부의 직경을 전방커버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슬라이더의 후단부가 전방커버에 걸리게 하는 방식), 메인 샤프트(120)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베어링부(143; 143a,143b,143c,143d)는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메인 샤프트(120)와 슬라이더(14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의 전단 부분에는, 베어링(143a)이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와 슬라이더(141) 사이에, 베어링(143b)이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와 메인 샤프트(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의 후단 부분에는 베어링(143c)이 후방커버(146) 바로 앞 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무단 조절부(14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축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면서 슬라이더(141)의 후단을 밀어주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143d)이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와 메인 샤프트(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부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이에 국한되지 않고,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에 메인 샤프트(120)와 슬라이더(141)의 상대적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무단 조절부(14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위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베어링을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동력전달부재(144)는 슬라이더(141)가 미는 힘(이동력)을 커터틸팅부(1502)의 제2 틸팅 부재(152)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동력전달부재(144)는 메인 샤프트(120)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메인 샤프트(120)를 둘러싸고 슬라이더(141)의 전단부와 접촉하는 동력전달부재 몸체부(1441)와, 일단이 동력전달부재의 몸체부(14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커터틸팅부(150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동력전달아암(1442)을 구비한다.
또한, 동력전달부재(144)는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재(144)를 메인 샤프트(120)에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탄성 지지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4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동력전달부재(144)를 전방으로 밀 때 동력전달부재(144)가 급속히 이동하지 않고 탄성 지지부(145)를 누르면서 서서히 이동할 수 있어 커터(1501)의 틸팅 각도를 더욱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무단 조절부(14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별도로 후방 방향으로 무단 조절부(140)에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탄성 지지부(145)로 인하여 슬라이더(141) 및 무단 조절부(140)가 후퇴할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지지부(1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45a), 안내홈(145b), 탄성체(145c), 그리고 연결 부재(145d)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145a)는 탄성체(145c)가 놓이는 곳으로 메인 샤프트(120)에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홈(145b)은 연결 부재(145d)의 이동을 안내하는 곳으로 메인 샤프트(120)의 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중공부(145a)와 연결되어 통할 수 있다. 탄성체(145c)는 중공부(145a)에 삽입되며, 연결 부재(145d)는 바(bar) 형태를 가지고 동력전달부재(144)와 탄성체(145c)를 안내홈(145b)을 통해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145c)로는 코일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45a)의 일단은 제1 틸팅 부재(151)와의 연결을 통해 닫힌(막힌) 상태로 놓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145c)의 일단은 중공부(145a)의 닫힌 일단에 지지될 수 있고, 탄성체(145c)의 타단은 연결 부재(145d)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홈(145b)은 동력전달부재(144)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에 맞게 연결 부재(145d)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그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141)가 동력전달부재(144)와 별도의 분리된 구성요소로 설명하였으나, 슬라이더(141)와 동력전달부재(144)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는 무단 조절부(14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커터(1501)를 순차적으로 전방(반시계방향)으로 틸팅시키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의 (a)는 도 2에, 도 7의 (c)는 도 6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메인 구동부(110)를 작동시키면 메인 샤프트(120)가 회전하고, 메인 샤프트(120)에 연결된 커터틸팅부(1502)도 회전된다. 그리고 커터 틸팅부(1502)에 연결된 동력전달아암(1442)으로 인해 동력전달부재(144)도 회전한다. 이때, 동력전달부재(144)의 후단부와 접촉하고 있는 슬라이더(141)도 회전될 수 있다. 슬라이더(141)는 베어링(143a)에 의해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1501)를 원하는 만큼 틸팅 시키기 위하여, 제2 손잡이(170)을 전방으로 밀어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슬라이더(141)의 후단부와 접촉하고 있는 무단조절부(140)의 스러스트 베어링(143d)이 손잡이 고정 클램프(142)에 빠지지 않게 연결된 슬라이더(141)를 밀어주게 되고, 그 다음 슬라이더(141)가 동력전달부재(144)를 밀어주게 되며, 그 다음 동력전달아암(1442)이 커터틸팅부(1502)를 틸팅시키면서 커터(1501)도 함께 틸팅된다. 한편, 동력전달부재(144)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연결부재(145d)도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체(145c)를 압축시키게 되는데, 도 7의 (b)와 같은 상태로 사용자가 커터(1501)를 틸팅 시키고자 할 경우, 제2 손잡이(170)를 전방으로 미는 힘을 줄여주면 탄성체(145c)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커터(1501)를 소정의 각도만큼 후방으로 틸팅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단 조절부가 메인 샤프트를 따라 연속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터의 틸팅 각도를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존과 달리 단계 구분이 없어 비구 부분의 면을 고르게 절삭할 수 있다.
또한, 무단 조절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비구 부분 중 더 많은 절삭을 요하는 곳에 커터를 바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커터의 틸팅 각도를 직전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하고 시술 시간이 줄어들 수 있어, 환자의 회복 시간 단축에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110: 메인 구동부 120: 메인 샤프트
140: 무단 조절부
141: 슬라이더 142: 손잡이 고정 클램프
170: 제2 손잡이 142b: 걸림부
143: 베어링부 144: 동력전달부재
145: 탄성 지지부 145a: 중공부
145b: 안내홈 145c: 탄성체
145d: 연결 부재 150: 커터부
1501: 커터 1502: 커터틸팅부
151: 제1 틸팅 부재 152: 제2 틸팅 부재
153: 연결 브라켓

Claims (11)

  1. 메인 구동부;
    상기 메인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메인 샤프트;
    상기 메인 샤프트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비구컵이 이식된 비구 부분을 따라 틸팅 가능하며, 상기 메인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비구 부분을 절삭하는 커터부; 및
    상기 메인 샤프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커터부의 틸팅 각도를 무단으로 조절하는 무단 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무단 조절부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상기 메인 샤프트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
    전단부에 상기 슬라이더의 후단부가 빠지지 않게 연결되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 고정 클램프, 및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커터부를 틸팅시키는 동력전달부재
    를 포함하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무단 조절부는
    상기 메인 샤프트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에 상대적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메인 샤프트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메인 샤프트를 둘러싸는 동력전달부재 몸체부와, 일단이 상기 동력전달부재 몸체부에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커터부를 틸팅 시키는 동력전달아암
    을 구비하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동력전달부재 몸체부를 상기 메인 샤프트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메인 샤프트에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안내홈;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탄성체;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 몸체부와 상기 탄성체를 상기 안내홈을 통해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중공부의 일단은 닫힌 상태로 놓이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중공부의 일단에 지지되며,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상기 연결 부재에 지지되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9. 제5항에서,
    상기 커터부는 커터와 이를 틸팅시키는 커터틸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틸팅부는,
    상기 메인 샤프트의 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샤프트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힌지공을 가지는 제1 틸팅부재;
    상기 힌지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동력전달아암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틸팅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2 틸팅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터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가 회전하면서 상기 커터가 틸팅되는 동안 상기 비구 부분에 대응되는 절삭 궤적을 형성시키는 연결 브라켓
    을 포함하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10. 제3항에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의 전방부에서,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베어링과,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와 상기 메인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의 후방부에서,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와 상기 메인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고정 클램프와 상기 메인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하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KR1020180094672A 2017-08-23 2018-08-14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KR102103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03825A JP6935959B2 (ja) 2017-08-23 2018-08-14 人工股関節用髀臼カップ脱去装置
PCT/KR2018/009308 WO2019039786A1 (ko) 2017-08-23 2018-08-14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US16/634,117 US11484417B2 (en) 2017-08-23 2018-08-14 Acetabular cup removing apparatus for artificial hip j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90 2017-08-23
KR20170106590 2017-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336A KR20190022336A (ko) 2019-03-06
KR102103774B1 true KR102103774B1 (ko) 2020-04-23

Family

ID=6576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672A KR102103774B1 (ko) 2017-08-23 2018-08-14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84417B2 (ko)
JP (1) JP6935959B2 (ko)
KR (1) KR102103774B1 (ko)
CN (1) CN11105070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5235A (ko) 2022-08-18 2024-02-27 아이메디컴(주)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KR20240045552A (ko) 2022-09-30 2024-04-08 아이메디컴(주)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0016A (zh) * 2022-07-01 2023-07-04 北京和华瑞博医疗科技有限公司 工具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893B1 (ko) 2013-01-22 2014-06-02 주식회사 코렌텍 비구컵 제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3916A (en) * 1974-12-26 1976-03-16 Leslie Vadas Surgical instrument for conization of the cervix
US6626913B1 (en) * 1999-03-03 2003-09-30 Smith & Nephew, Inc. Methods, systems, and instruments for inserting prosthetic implants
US7572294B2 (en) * 2007-03-07 2009-08-11 Biomet Manufacturing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 acetabular bearing
EP2501313A1 (en) * 2009-11-17 2012-09-26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Patient-specific guide for acetabular cup placement
JP6117204B2 (ja) * 2011-08-08 2017-04-19 ヒップ・イノベ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エルエルシー 寛骨臼カップを移植するための整形外科器具、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202313816U (zh) * 2011-11-16 2012-07-11 天津正天医疗器械有限公司 髋臼尼龙内衬的拆除装置
KR102203975B1 (ko) * 2013-01-11 2021-01-18 인피네쎄 코포레이션 비구 컵 추출을 위한 구형 아크 회전 톱 블레이드 전동 기구
AU2013379741B2 (en) * 2013-03-01 2018-08-30 Stryker Corporation Acetabular cup remover with indexing assembly for rotating the removal blade around the cup
CN105012054B (zh) * 2014-04-25 2017-06-06 上海微创骨科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髋关节置换的导向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376082B1 (ko) * 2015-07-27 2022-03-18 힙 이노베이션 테크놀러지 엘엘씨 고관절 대체 보철물에서 비구컵으로부터 비구 볼을 제거하기 위한 도구 및 방법
KR101917301B1 (ko) 2015-07-31 2018-11-12 아이메디컴(주)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893B1 (ko) 2013-01-22 2014-06-02 주식회사 코렌텍 비구컵 제거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5235A (ko) 2022-08-18 2024-02-27 아이메디컴(주)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KR20240045552A (ko) 2022-09-30 2024-04-08 아이메디컴(주)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84417B2 (en) 2022-11-01
CN111050704A (zh) 2020-04-21
JP6935959B2 (ja) 2021-09-15
CN111050704B (zh) 2021-10-26
KR20190022336A (ko) 2019-03-06
JP2020528786A (ja) 2020-10-01
US20200205998A1 (en)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774B1 (ko)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US6666871B2 (en) Insertion device for deformable intraocular lens
US11147689B2 (en) Acetabular cup remover with indexing assembly for rotating the removal blade around the cup
US8034059B2 (en) Acetabular shell removal instrument
US9510843B2 (en) Discectomy instrument
US8236004B2 (en) Inserter for minimally invasive joint surgery having an interchangeable prosthesis engaging piston
US11672582B2 (en) Surgical wire driver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for the diameter of the wire or pin being driven
CA2627683C (en) Medical device installation tool and methods of use
AU2003202555B2 (en) Surgical instrument for grinding the cotyloid cavity
US20180049756A1 (en) Inserter guide and driver system
KR101917301B1 (ko) 인공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US10653534B2 (en) Acetabular cup detaching apparatus for artificial hip joint
CN106691589A (zh) 激光刀口可进退刀与朝向可旋转的手术内窥镜装置
CN113303864A (zh) 刀头角度可调的弯管磨削刀具
US20220330950A1 (en) Discectomy Instruments and Methods Thereof
WO2019039786A1 (ko)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KR20240025235A (ko) 인공 고관절용 비구컵 탈거 장치
US20210145606A1 (en) Prosthesis impactor assembly
CN219662000U (zh) 一种角度可调刮刀
CN213606668U (zh) 刀头可变向的弯管磨削刀具及其变向控制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