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030B1 - 접지용 클립 - Google Patents
접지용 클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7030B1 KR101917030B1 KR1020170067062A KR20170067062A KR101917030B1 KR 101917030 B1 KR101917030 B1 KR 101917030B1 KR 1020170067062 A KR1020170067062 A KR 1020170067062A KR 20170067062 A KR20170067062 A KR 20170067062A KR 101917030 B1 KR101917030 B1 KR 1019170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mmet
- elastic
- grounding
- grommet body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접지용 클립에, 접지처리대상을 비도전성의 부착대상에 연결시키는 기능과, 이 연결에 수반해서 상기 접지처리대상을 기준 전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능을 적절하게 구비시킨다.
(해결수단) 접지처리대상(1)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비도전성의 부착대상(2)에 형성된 부착구멍(2c)에 감입(嵌入)되어 상기 접지처리대상(1)을 상기 부착대상(2)에 연결시키는 도전성 수지제의 그로밋체(4)와, 상기 그로밋체(4)에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그로밋체(4)의 감입처측(Fw)에 위치되는 기준 전위체(3)에 대한 탄성 접촉부(50)를 구비한 금속제의 콘택트체(5)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해결수단) 접지처리대상(1)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비도전성의 부착대상(2)에 형성된 부착구멍(2c)에 감입(嵌入)되어 상기 접지처리대상(1)을 상기 부착대상(2)에 연결시키는 도전성 수지제의 그로밋체(4)와, 상기 그로밋체(4)에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그로밋체(4)의 감입처측(Fw)에 위치되는 기준 전위체(3)에 대한 탄성 접촉부(50)를 구비한 금속제의 콘택트체(5)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지처리대상을 비도전성의 부착대상에 연결시키는 기능과, 이 연결에 수반해서 상기 접지처리대상을 기준 전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능을 겸비한 접지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기준 전위체의 개구에 탄성 변형에 의해 수축하면서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 후의 탄성 복귀에 의해 상기 개구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의 접지용 단자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것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것은 기준 전위체에 절연 전선을 연결시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접지용 단자는 플라스틱제이기 때문에 그 탄성력이 영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플라스틱 제품은 특히 고온이고 고응력 하에서는 크리프 변형에 의해 탄성력의 저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상기 접지용 단자의 탄성력이 저하되었을 경우, 상기 기준 전위체와의 걸어맞춤상태, 즉 상기 절연 전선과 상기 기준 전위체의 전기적 접속 상태가 손상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접지용 클립에, 접지처리대상을 비도전성의 부착대상에 연결시키는 기능과, 이 연결에 수반해서 상기 접지처리대상을 기준 전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능을 적절하게 구비시키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접지용 클립을, 접지처리대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비도전성의 부착대상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감입(嵌入)되어 상기 접지처리대상을 상기 부착대상에 연결시키는 도전성 수지제의 그로밋체와, 상기 그로밋체에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그로밋체의 감입처측에 위치되는 기준 전위체에 대한 탄성 접촉부를 구비한 금속제의 콘택트체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다.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기준 전위체에 대한 접촉에 의해, 상기 부착구멍이 상기 부착대상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여도, 상기 접지처리대상을 접지용 클립을 통해서 상기 기준 전위체에 적절하게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 접촉부는 금속제의 콘택트체의 일부로 이루어지므로, 탄성 변형력은 시간이 경과되어도 상실되기 어려워, 일정한 탄성력으로 상기 기준 전위체에 지속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상기 탄성 접촉부는 일정한 탄성력으로 상기 기준 전위체로서의 보디 패널에 접촉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부착구멍과 상기 기준 전위체의 접점으로 되는 개소와의 위치 관계에 약간의 오차가 있는 경우여도, 이 오차를 흡수해서 상기 탄성 접촉부를 상기 기준 전위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그로밋체를 중심부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벽부를 가진 것으로 하고, 상기 콘택트체를 상기 중심부와 상기 벽부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 간극에 상기 그로밋체의 선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1쌍의 탄성 걸어맞춤편을 가진 것으로 하고, 상기 삽입 간극에 대한 삽입종료위치에서의 상기 탄성 걸어맞춤편의 탄성 복귀에 의해서 상기 삽입 간극의 출구부분에 상기 탄성 걸어맞춤편의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또한, 상기 콘택트체를 상기 삽입 간극에 상기 그로밋체의 선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1쌍의 탄성 협지편을 가진 것으로 하고, 상기 1쌍의 탄성 협지편 사이에 상기 중심부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그로밋체에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또한, 상기 그로밋체의 상기 중심부를 상기 그로밋체의 선단측을 폐색시키고 기부측(基部側)을 개방시킨 통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접지용 클립은 상기 중심부에 상기 기부측으로부터 감입되는 핀체를 가진 것으로 하고, 상기 접지처리대상의 일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관통시킨 상기 핀체를 상기 중심부에 감입함으로써 상기 접지처리대상과 상기 그로밋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또한, 상기 그로밋체는 기부측에 플랜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와 상기 부착구멍의 사이를 액밀(液密)하게 밀봉하는 패킹체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또한, 상기 접지처리대상을 자동차 급유구의 캡과 이것에 접속된 도전성의 테더로 하고, 상기 부착대상을 내측을 급유건의 도입 공간으로 하는 급유구 형성부재로 하고, 상기 기준 전위체를 자동차의 보디 패널로 하고, 상기 접지용 클립에 의해서 상기 캡을 상기 급유구 형성부재측에 접지 처리 상태에서 접속시키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용 클립에, 접지처리대상을 비도전성의 부착대상에 연결시키는 기능과, 이 연결에 수반해서 상기 접지처리대상을 기준 전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능을 적절하게 구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접지용 클립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접지용 클립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접지용 클립을 핀체를 제외하고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상기 접지용 클립을 핀체를 제외하고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접지용 클립을 핀체를 제외하고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상기 접지용 클립을 핀체를 제외하고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상기 접지용 클립을 핀체를 제외하고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상기 접지용 클립을 핀체를 제외하고 나타낸 저면도
도 9는 도 5에 있어서의 B-B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0은 도 5에 있어서의 A-A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1은 상기 접지용 클립을 구성하는 그로밋체의 측면도
도 12는 상기 그로밋체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의 C-C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의 D-D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5는 도 12에 있어서의 E-E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6은 도 12에 있어서의 F-F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7은 상기 접지용 클립을 구성하는 콘택트체의 평면도
도 18은 상기 콘택트체의 측면도
도 19는 상기 콘택트체의 측면도
도 20은 부착대상에 접지용 클립을 통해서 접지처리대상의 일부를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22는 부착대상에 형성되는 접지용 클립의 그로밋체의 부착구멍을 나타낸 부착대상의 요부 평면도
도 2는 상기 접지용 클립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접지용 클립을 핀체를 제외하고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상기 접지용 클립을 핀체를 제외하고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접지용 클립을 핀체를 제외하고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상기 접지용 클립을 핀체를 제외하고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상기 접지용 클립을 핀체를 제외하고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상기 접지용 클립을 핀체를 제외하고 나타낸 저면도
도 9는 도 5에 있어서의 B-B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0은 도 5에 있어서의 A-A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1은 상기 접지용 클립을 구성하는 그로밋체의 측면도
도 12는 상기 그로밋체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의 C-C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의 D-D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5는 도 12에 있어서의 E-E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6은 도 12에 있어서의 F-F선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7은 상기 접지용 클립을 구성하는 콘택트체의 평면도
도 18은 상기 콘택트체의 측면도
도 19는 상기 콘택트체의 측면도
도 20은 부착대상에 접지용 클립을 통해서 접지처리대상의 일부를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22는 부착대상에 형성되는 접지용 클립의 그로밋체의 부착구멍을 나타낸 부착대상의 요부 평면도
이하, 도 1∼도 22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지용 클립은 접지처리대상(1)을 비도전성의 부착대상(2)에 연결시키는 기능과, 이 연결에 수반해서 상기 접지처리대상(1)을 기준 전위체(3)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능을 겸비한 것이다.
도 21은 상기 접지처리대상(1)을 자동차 급유구의 캡(도시는 생략함)과 이것에 접속된 도전성의 테더(1a)로 하고, 상기 부착대상(2)을 내측을 급유건의 도입 공간(2b)으로 하는 급유구 형성부재(2a)로 하고, 상기 기준 전위체(3)를 자동차의 보디 패널(3a)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급유구 형성부재(2a)는 비도전성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데, 접지용 클립은 테더(1a)를 통해서 캡과 접속되며, 또한 급유구 형성부재(2a)의 내면측에 위치되는 보디 패널(3a)에 후술하는 콘택트체(5)의 탄성 접촉부(50)를 접촉시키므로, 캡은 접지 처리된 상태에서 급유구 형성부재(2a)에 접속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접지처리대상(1)의 일부로서의 상기 테더(1a)의 일단부에 형성된 구멍(1b)에 삽입 관통시킨 후술하는 핀체(6)를, 후술하는 그로밋체(4)의 중심부(41a)에 감입(嵌入)함으로써, 상기 접지처리대상(1)과 상기 그로밋체(4)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핀체(6)를 중심으로 해서 테더(1a)의 타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캡은 선회 가능한 상태로 급유구 형성부재(2a)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접지용 클립은, 그로밋체(4)와, 콘택트체(5)와, 핀체(6), 패킹체(7)로 구성되어 있다.
그로밋체(4)는 도전성 수지제이다. 핀체(6)도 전형적으로는 도전성을 구비한 재료로 구성되며, 전형적으로는 도전성 수지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택트체(5)는 금속제이며 도전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로밋체(4)〉
그로밋체(4)는 접지처리대상(1)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비도전성의 부착대상(2)에 형성된 부착구멍(2c)에 감입되어 상기 접지처리대상(1)을 상기 부착대상(2)에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그로밋체(4)는, 원판 형상의 머리부(40)와, 상기 부착구멍(2c)에 대한 감입부(41)를 구비하고 있다. 머리부(40)는 상기 부착구멍(2c)에 들어가지 않는 크기를 지니고 있다. 이 머리부(40)에 의해 그로밋체(4)는 그 기부(44)측에 바깥 테두리 형상을 이루는 플랜지(42)를 구비하고 있다. 머리부(40)와 감입부(41)는 머리부(40)의 일면측에서 일체화되어 있다.
감입부(41)는 중심부(41a)와, 벽부(41g)와, 양자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 간극(41h)을 가지고 있다.
중심부(41a)는 그로밋체(4)의 선단(43)측, 즉 상기 부착구멍(2c)에 대한 그로밋체(4)의 도입측으로 되는 쪽을 폐색시키고, 이것과 반대의 기부(44)측을 개방시킨 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중심부(41a)는 상기 기부(44)측에서 상기 머리부(40)와 일체화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중심부(41a)는, 감입 방향(x)(도 5 참조)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단면 외곽 형상을 장방형으로 한 각통(角筒)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머리부(40)에는 상기 핀체(6)의 도입구멍(4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도입구멍(40a)은 중심부(41a)의 내부에 연여어 통해 있다.
상기 중심부(41a)는 그로밋체(4)의 기부(44)측에서만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지처리대상(1)의 일부로서의 테더(1a)를 부착대상(2)으로서의 급유구 형성부재(2a)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그로밋체(4)의 중심부(41a)를 통해 빗물 등이 자동차의 내측으로 들어오지 않는다.
상기 중심부(41a)에 있어서의 4개의 코너부에는 각각, 상기 중심부(41a)의 긴 변쪽 측면부(41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 형상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부(41g)는 상기 중심부(41a)의 2개소의 긴 변쪽 측면부(41b)의 바깥쪽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부(41g)는 하나의 긴 변쪽 측면부(41b)의 양측에 위치되는 상기 리브 형상부(41c, 41c) 사이에 가설된 밴드플레이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벽부(41g)는 그로밋체(4)의 선단(43)과 기부(44)의 사이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부(41g)에 있어서의 그로밋체(4)의 기부(44)측을 향한 가장자리부에 의해 상기 삽입 간극(41h)의 출구부분(41i)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벽부(41g)에 있어서의 그로밋체(4)의 선단(43)측을 향한 가장자리부에 의해 상기 삽입 간극(41h)의 입구부분(41j)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41a)의 2개소의 긴 변쪽 측면부(41b, 41b)의 바깥쪽에는 각각, 상기 부착구멍(2c)에 그로밋체(4)를 도입했을 때에, 도입처측, 즉 감입처측(Fw)(도 21 참조)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멍(2c)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분(41d)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 걸어맞춤부분(41d)은, 상기 벽부(41g)에 있어서의 그로밋체(4)의 기부(44)측을 향한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머리부(40)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탄성편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탄성편의 내면은 벽부(41g)의 내면과 같은 면 위에 위치된다. 탄성편의 외면은 벽부(41g)와의 연접측(連接側)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탄성편의 두께를 점증시키는 경사면(41e)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 상기 걸어맞춤부분(41d)은, 상기 중심부(41a)의 긴 변쪽 측면부(41b)를 좌우로 실질적으로 이등분하는 상기 감입 방향(x)을 따른 직선(y)(도 5 참조)을 사이에 둔 한쪽편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삽입 간극(41h)의 출구부분(41i)은 상기 직선(y)을 사이에 둔 다른쪽편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2개소의 긴 변쪽 측면부(41b, 41b)의 한쪽의 외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부분(41d)과 출구부분(41i)에 대해, 2개소의 긴 변쪽 측면부(41b, 41b)의 다른쪽의 외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부분(41d)과 출구부분(41i)은, 상기 중심부(41a)의 축 중심(z)(도 14 참조)을 중심으로 한 점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부착구멍(2c)은 도시한 예에서, 상기 감입부(41)의 중심부(41a)의 단면 외곽 형상을 본뜬 장방형의 메인 구멍부(2d)와, 이 메인 구멍부(2d)의 2개소의 너비측 구멍 가장자리부의 한쪽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 오목부(2e)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구멍부(2d)의 2개소의 길이측 구멍 가장자리부(2f, 2f) 사이의 거리는, 상기 그로밋체(4)의 2개소의 걸어맞춤부분(41d, 41d)을 구성하는 탄성편에 있어서의 상기 기부(44)측에서의 외면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다. 또한, 그로밋체(4)의 머리부(40)와 상기 걸어맞춤부분(41d)을 구성하는 탄성편의 상기 기부(44)측의 단부의 거리는, 상기 부착구멍(2c)의 형성 개소에서의 급유구 형성부재(2a)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부착구멍(2c)에 자동차의 외측으로부터 그로밋체(4)를 도입하면, 2개소의 걸어맞춤부분(41d)을 구성하는 탄성편을 안쪽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이 도입이 허용됨과 아울러, 도입종료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걸어맞춤부분(41d)을 구성하는 탄성편의 탄성 복원에 의해 이 걸어맞춤부분(41d)을 구성하는 탄성편과 상기 머리부(40)에 의해 안팎에서 부착구멍(2c)의 형성 개소를 샌드위치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부착구멍(2c)에 대한 상기 그로밋체(4)의 감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콘택트체(5)〉
콘택트체(5)는 상기 그로밋체(4)에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그로밋체(4)의 감입처측(Fw)에 위치되는 기준 전위체(3)에 대한 탄성 접촉부(50)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택트체(5)는, 상기 중심부(41a)와 상기 벽부(41g)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 간극(41h)에, 상기 그로밋체(4)의 선단(43)측으로부터 삽입되는 1쌍의 탄성 걸어맞춤편(51, 51)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콘택트체(5)는, 상기 삽입 간극(41h)에 대한 삽입종료위치에서의 상기 탄성 걸어맞춤편(51)의 탄성 복귀에 의해 상기 삽입 간극(41h)의 출구부분(41i)에 상기 탄성 걸어맞춤편(51)의 걸어맞춤부(51b)를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택트체(5)는 상기 삽입 간극(41h)에 상기 그로밋체(4)의 선단(43)측으로부터 삽입되는 1쌍의 탄성 협지편(52, 5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콘택트체(5)는 상기 1쌍의 탄성 협지편(52, 52) 사이에 상기 중심부(41a)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그로밋체(4)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 콘택트체(5)는 금속판에 절단과 절곡을 실시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콘택트체(5)는 실질적으로 장방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부(53)를 가지고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53)의 2개소의 너비측 변부(53a, 53a)의 한쪽에 밴드플레이트 형상을 나타내는 탄성 접촉부(50)의 기부측이 일체로 접속되어 있고, 탄성 접촉부(5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53)로부터 돌출되는 암(arm)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탄성 접촉부(50)는 그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53)의 너비측 변부(53a)와의 거리를 점증시키는 경사를 지니도록 돌출되어 있다. 또한, 탄성 접촉부(50)의 선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53)의 너비측 변부(53a)측으로 되접혀 있고, 탄성 접촉부(50)에 있어서의 베이스플레이트부(53)를 향한 측과 반대의 외측에 상기 되접기에 의한 숄더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택트체(5)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53)의 2개소의 길이측 변부(53b, 53b)를 굴곡 개소로 해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53)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립하는 2개소의 기립부(54, 54)를 구비하고 있다. 2개소의 기립부(54, 54)에는 각각, 그 선단으로부터 기립 방향 중간 정도의 위치에 이르는 분할홈(55)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분할홈(55)에 의해서 2개소의 기립부(54, 54)에 각각 상기 탄성 걸어맞춤편(51)과 상기 탄성 협지편(52)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53)의 2개소의 길이측 변부(53b)의 한쪽편에 형성된 탄성 걸어맞춤편(51)과 탄성 협지편(52)에 대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53)의 2개소의 길이측 변부(53b)의 다른쪽편에 형성된 탄성 걸어맞춤편(51)과 탄성 협지편(52)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53)의 중심(z')(도 17 참조)을 중심으로 한 점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53)의 너비측 변부(53a)측으로부터 콘택트체(5)를 본 상태에 있어서(도 19 참조) 1쌍의 탄성 걸어맞춤편(51, 51)은 대략 그 상단측에 형성된 상기 걸어맞춤부(51b)로 되는 굴곡부에 가까워질수록 1쌍의 탄성 걸어맞춤편(51, 51) 사이의 거리를 점증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다. 탄성 걸어맞춤편(51)의 상기 걸어맞춤부(51b)로 되는 굴곡부보다 위쪽은 1쌍의 탄성 걸어맞춤편(51, 51) 사이의 거리를 점감시키는 방향으로 경사진 도입 안내부(51a)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53)의 너비측 변부(53a)측으로부터 콘택트체(5)를 본 상태에 있어서(도 19 참조) 1쌍의 탄성 협지편(52, 52)은 대략 그 선단에 가까워질수록 1쌍의 탄성 협지편(52, 52) 사이의 거리를 점감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그로밋체(4)의 선단(43)에 상기 콘택트체(5)의 베이스플레이트부(53)를 마주보게 하며, 또한 상기 그로밋체(4)의 2개소의 삽입 간극(41h)에 상기 입구부분(41j)측으로부터 각각 대응하는 탄성 걸어맞춤편(51)과 탄성 협지편(52)을 삽입하도록 하면, 1쌍의 탄성 협지편(52, 52)이 각각 상기 중심부(41a)의 긴 변쪽 측면부(41b)에 슬라이딩 접촉해서 이 중심부(41a)를 사이에 끼운다. 이것에 의해 상기 1쌍의 탄성 걸어맞춤편(51, 51)은 각각, 상기 삽입 간극(41h)의 입구부분(41j)에 걸리지 않고 상기 삽입 간극(41h) 내에 도입 안내부(51a)를 도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그로밋체(4)의 선단(43)에 상기 콘택트체(5)의 베이스플레이트부(53)가 맞닿는 위치까지 상기 삽입 간극(41h)에 상기 탄성 걸어맞춤편(51)과 상기 탄성 협지편(52)이 삽입되면, 탄성 걸어맞춤편(51)은 외측 방향으로 휘어져 나오고, 상기 걸어맞춤부(51b)로 되는 굴곡부는 상기 삽입 간극(41h)의 출구부분(41i)에 걸려, 상기 삽입 간극(41h)으로부터 상기 탄성 걸어맞춤편(51) 및 상기 탄성 협지편(52)이 빠져나오는 것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상기 그로밋체(4)와 상기 콘택트체(5)의 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그로밋체(4)와 상기 콘택트체(5)는 상기 탄성 걸어맞춤편(51)과 상기 탄성 협지편(52)에 의해 적절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부착구멍(2c)에 대한 상기 그로밋체(4)의 감입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50)는 상기 오목부(2e)를 통과해 상기 부착구멍(2c)의 감입처측(Fw)으로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와 같이 진입된 상기 탄성 접촉부(50)가 상기 급유구 형성부재(2a)의 차량 내측에 위치되는 보디 패널(3a)의 가장자리부에 대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53)에 다가가는 방향으로 약간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 접촉부(50)의 상기 기준 전위체(3)로서의 보디 패널(3a)에 대한 접촉에 의해, 상기 부착구멍(2c)이 상기 부착대상(2)으로서의 급유구 형성부재(2a)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여도, 상기 접지처리대상(1)으로서의 테더(1a) 및 캡을 접지용 클립을 통해서 상기 기준 전위체(3)에 적절하게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 접촉부(50)는 금속제의 콘택트체(5)의 일부로 이루어지므로, 탄성 변형력은 시간이 경과되어도 상실되기 어려워, 일정한 탄성력으로 상기 기준 전위체(3)로서의 보디 패널(3a)에 지속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상기 탄성 접촉부(50)는 일정한 탄성력으로 상기 기준 전위체(3)로서의 보디 패널(3a)에 접촉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부착구멍(2c)과 상기 기준 전위체(3)로서의 보디 패널(3a)의 접지를 위한 접점으로 되는 개소(3b)의 위치 관계에 약간의 오차가 있는 경우여도, 이 오차를 흡수해서 상기 탄성 접촉부(50)를 상기 기준 전위체(3)로서의 보디 패널(3a)에 접촉시킬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부착구멍(2c)에 감입된 그로밋체(4)에 대해, 이것을 빼낼 정도의 큰 외력이 작용되었을 경우, 상기 콘택트체(5)의 탄성 접촉부(50)의 숄더부(50a)의 형상에 의해, 탄성 접촉부(5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53)에 다가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오목부(2e)를 통과하며, 그로밋체(4)와 분리되지 않고, 그로밋체(4)와 함께 상기 부착대상(2)으로서의 급유구 형성부재(2a)로부터 빠지도록 되어 있다.
〈핀체(6)〉
핀체(6)는 원판 형상의 머리부(6a)와, 이 머리부(6a)의 일면측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는 축부(6b)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축부(6b)의 선단과 기부의 사이에는 교축부(6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그로밋체(4)의 중심부(41a) 내에는 상기 교축부(6c)에 대한 융기부(41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부(41a) 내에 핀체(6)의 축부(6b)를 도입하면, 핀체(6)의 선단이 융기부(41f)에 맞닿아서 중심부(41a)가 탄성 변형하여 핀체(6)의 더 안쪽으로의 도입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핀체(6)의 머리부(6a)와 그로밋체(4)의 머리부(40a)의 사이에 접지처리대상(1)의 일부로서의 테더(1a)의 일단부가 끼워넣어지는 위치까지 중심부(41a) 내에 핀체(6)가 도입되면 중심부(41a)측이 탄성 복귀해서 교축부(6c)에 융기부(41f)가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패킹체(7)〉
패킹체(7)는 상기 그로밋체(4)의 머리부(40a)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플랜지(42)와 상기 부착구멍(2c)의 사이를 액밀(液密)하게 밀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로밋체(4)는 상기 중심부(41a)의 단면 외곽 형상을 본뜬 그로밋체(4)의 통과구멍(7a)을 가지며, 이 통과구멍(7a)에 그로밋체(4)의 감입부(41)를 통과시켜 상기 플랜지(42)에 그 일면을 접하게 하도록 해서 그로밋체(4)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접지처리대상(1)의 일부로서의 테더(1a)를 부착대상(2)으로서의 급유구 형성부재(2a)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그로밋체(4)의 중심부(41a)를 통해서 빗물 등이 자동차의 내측으로 들어오지 않는다. 이와 함께, 그로밋체(4)와 부착구멍(2c)의 사이로부터도, 상기 패킹체(7)에 의해서 빗물 등이 자동차의 내측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당연하지만 본 발명은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모든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1 : 접지처리대상 2 : 부착대상
2c : 부착구멍 3 : 기준 전위체
4 : 그로밋체 5 : 콘택트체
50 : 탄성 접촉부 Fw : 감입처측
2c : 부착구멍 3 : 기준 전위체
4 : 그로밋체 5 : 콘택트체
50 : 탄성 접촉부 Fw : 감입처측
Claims (7)
- 접지처리대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비도전성의 부착대상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감입(嵌入)되어 상기 접지처리대상을 상기 부착대상에 연결시키는 도전성 수지제의 그로밋체와,
상기 그로밋체에 조립됨과 아울러, 상기 그로밋체의 감입처측에 위치되는 기준 전위체에 대한 탄성 접촉부를 구비한 금속제의 콘택트체를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그로밋체는 중심부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벽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콘택트체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벽부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 간극에 상기 그로밋체의 선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1쌍의 탄성 걸어맞춤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삽입 간극에 대한 삽입종료위치에서의 상기 탄성 걸어맞춤편의 탄성 복귀에 의해서 상기 삽입 간극의 출구부분에 상기 탄성 걸어맞춤편의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도록 해서 이루어지는 접지용 클립.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체는 상기 삽입 간극에 상기 그로밋체의 선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1쌍의 탄성 협지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1쌍의 탄성 협지편 사이에 상기 중심부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그로밋체에 조립되도록 해서 이루어지는 접지용 클립.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체의 상기 중심부는 상기 그로밋체의 선단측을 폐색시키고 기부측(基部側)을 개방시킨 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중심부에 상기 기부측으로부터 감입되는 핀체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접지처리대상의 일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관통시킨 상기 핀체를 상기 중심부에 감입함으로써 상기 접지처리대상과 상기 그로밋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해서 이루어지는 접지용 클립.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체는 기부측에 플랜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와 상기 부착구멍의 사이를 액밀(液密)하게 밀봉하는 패킹체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접지용 클립.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처리대상을 자동차 급유구의 캡과 이것에 접속된 도전성의 테더로 하고, 상기 부착대상을 내측을 급유건의 도입 공간으로 하는 급유구 형성부재로 하고, 상기 기준 전위체를 자동차의 보디 패널로 해서 이루어지는 접지용 클립.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지처리대상을 자동차 급유구의 캡과 이것에 접속된 도전성의 테더로 하고, 상기 부착대상을 내측을 급유건의 도입 공간으로 하는 급유구 형성부재로 하고, 상기 기준 전위체를 자동차의 보디 패널로 해서 이루어지는 접지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08855A JP6498151B2 (ja) | 2016-05-31 | 2016-05-31 | 接地用クリップ |
JPJP-P-2016-108855 | 2016-05-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5755A KR20170135755A (ko) | 2017-12-08 |
KR101917030B1 true KR101917030B1 (ko) | 2018-11-08 |
Family
ID=6047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7062A KR101917030B1 (ko) | 2016-05-31 | 2017-05-30 | 접지용 클립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446947B2 (ko) |
EP (1) | EP3467943B1 (ko) |
JP (1) | JP6498151B2 (ko) |
KR (1) | KR101917030B1 (ko) |
CN (1) | CN109075465B (ko) |
MX (1) | MX2018012315A (ko) |
WO (1) | WO201720869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1645875S (ko) * | 2019-05-27 | 2019-11-18 | ||
USD947128S1 (en) * | 2019-06-27 | 2022-03-29 | Luen Yick Electrical Manufacturing Co. Ltd. | Electrical socket |
KR20210017789A (ko) | 2019-08-09 | 2021-02-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USD1008972S1 (en) | 2023-05-17 | 2023-12-26 | Liqing LIAO | Insert socke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60666A (ja) * | 2000-03-22 | 2001-09-26 | Piolax Inc | 導電性樹脂チューブの帯電防止装置 |
JP2009061974A (ja) * | 2007-09-07 | 2009-03-26 | Honda Motor Co Ltd | フューエルリッド部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68138B2 (en) * | 2000-03-27 | 2007-01-30 | Newfrey Llc | Resilient clip fastener |
EP1446585A1 (en) * | 2001-11-21 | 2004-08-18 | Newfrey LLC | Plastic retaining clip for rib attachment |
EP1387440B1 (de) * | 2002-07-30 | 2012-02-22 |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 Verfahren zum Erden eines ummantelten Metallrohres und Clip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JP4528513B2 (ja) * | 2003-10-21 | 2010-08-18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燃料タンクへの部品取付構造 |
JP2013222527A (ja) | 2012-04-13 | 2013-10-28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接地用端子付電線及び接地用端子 |
JP2016108855A (ja) | 2014-12-08 | 2016-06-20 | 大和薬品株式会社 | 緊急遮断装置 |
-
2016
- 2016-05-31 JP JP2016108855A patent/JP6498151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4-26 MX MX2018012315A patent/MX2018012315A/es unknown
- 2017-04-26 CN CN201780026698.6A patent/CN109075465B/zh active Active
- 2017-04-26 WO PCT/JP2017/016575 patent/WO2017208691A1/ja unknown
- 2017-04-26 EP EP17806250.1A patent/EP3467943B1/en active Active
- 2017-04-26 US US16/091,827 patent/US10446947B2/en active Active
- 2017-05-30 KR KR1020170067062A patent/KR1019170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60666A (ja) * | 2000-03-22 | 2001-09-26 | Piolax Inc | 導電性樹脂チューブの帯電防止装置 |
JP2009061974A (ja) * | 2007-09-07 | 2009-03-26 | Honda Motor Co Ltd | フューエルリッド部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075465A (zh) | 2018-12-21 |
CN109075465B (zh) | 2021-03-02 |
US20190089073A1 (en) | 2019-03-21 |
EP3467943A1 (en) | 2019-04-10 |
EP3467943B1 (en) | 2021-08-04 |
JP2017216120A (ja) | 2017-12-07 |
EP3467943A4 (en) | 2020-01-15 |
WO2017208691A1 (ja) | 2017-12-07 |
KR20170135755A (ko) | 2017-12-08 |
MX2018012315A (es) | 2019-02-20 |
US10446947B2 (en) | 2019-10-15 |
JP6498151B2 (ja) | 2019-04-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7030B1 (ko) | 접지용 클립 | |
KR101798349B1 (ko) | 플러그 타입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 | |
US20190271339A1 (en) | Dual component u-base fastener | |
US9368906B2 (en) | Electric terminal | |
US9847597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sealing structure | |
US8992244B2 (en) | Terminal fitting | |
US9954320B1 (en) | Cable connector | |
CN105191007A (zh) | 直角接头组件 | |
US9190753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10148028B1 (en) | Terminal for round pin-shaped electrical contact | |
US20050106916A1 (en) | Connector | |
US9515473B2 (en) | Electric wire holding device and wire harness | |
US20170033493A1 (en) | Waterproofing structure for connector | |
US10627428B2 (en) | Current detection device | |
JP2006196427A (ja) | 電気コネクタ | |
US10892580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rear pressing pins pressing on a terminal fitting | |
US10842032B2 (en) | Combination of a plug and a cover | |
US10756450B2 (en) | Terminal and electric wire with the same | |
US11746812B2 (en) | Dual component sealing fastener and coupling assembly including same | |
KR102253612B1 (ko) | 고전압 커넥터 | |
US20010027050A1 (en) | Insulation-displacement connecting piece able to be connected to an adjacent connecting piece | |
US20240170231A1 (en) | Terminal module | |
CN102959810B (zh) | 被屏蔽的插塞连接器 | |
KR20220091863A (ko) | 터미널 | |
KR20240047311A (ko) | 밀봉 부재 및 커넥터 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