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844B1 - 신장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신장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844B1
KR101916844B1 KR1020160091837A KR20160091837A KR101916844B1 KR 101916844 B1 KR101916844 B1 KR 101916844B1 KR 1020160091837 A KR1020160091837 A KR 1020160091837A KR 20160091837 A KR20160091837 A KR 20160091837A KR 101916844 B1 KR101916844 B1 KR 101916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ar
subject
distance
elonga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356A (ko
Inventor
김승호
박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6009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8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신장 측정 장치는, 신장 측정 프레임;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어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이동식 바(bar);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식 바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 및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강 속도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의 상기 제 1 위치에 대한 접촉동작으로부터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장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EMENT OF HEIGHT}
본 발명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고령자가 늘고 있고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각국 정부 차원에서 국민들의 건강관리를 적극 지원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늘어나는 복지비용을 줄이고 경제활동 인구를 늘리기 위해서라도 국민들이 건강하고 활기차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지에서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환자의 다양한 신체 특성을 체크하고 이를 기록한다. 병원 등지의 환자 뿐 아니라 상기 신체 특성으로서의 신장 측정은 매우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병원을 비롯하여 건강 관리에 관련된 장소인 각종 공공장소, 휘트니스 센터 및 학교 등에서도 신장 측정을 위한 신장 측정 시스템을 구비하고 이를 사용한다. 따라서 신속하게 신장을 측정하고자 하는 당업계의 수요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현대인들은 사회로부터 좀더 날씬하고 좀 더 마른 몸매를 갖도록 하는 압력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압력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이어트를 비롯한 각종 체중조절의 노력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BMI 지수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건강한 체중 조절을 위하여 정확한 신장을 측정하고자 하는 수요가 존재하고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출원 번호 제 10-2010-0028748호는 신장 측정 장치를 제안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배경에 따라 안출된 본 발명은 피검자의 신장을 신속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배경에 따라 안출된 본 발명은 피검자의 신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배경에 따라 안출된 본 발명은 피검자 및 측정자의 편의를 제고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신장 측정 장치는: 신장 측정 프레임;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어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이동식 바(bar);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식 바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 및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강 속도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의 상기 제 1 위치에 대한 접촉동작으로부터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로부터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를 감산한 감산값이 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제 1 속도로 하강하도록 제어하며,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로부터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를 감산한 감산값이 0인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제 1 속도 미만의 제 2 속도로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해당하는 위치를 제 2 위치로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하강 속도를 사전 결정된 임의의 속도로 감속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에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 및 결정된 상기 제 2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이동식 바의 하강 동작을 정지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1)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초음파 센서의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는 사전 결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하강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이동식 바는,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을 축으로 하여 적어도 한 방향으로 피봇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적외선 모듈, RFID 모듈, 초음파 모듈, Wifi 모듈, 근접 센서 모듈, 광센서 모듈 및 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신장값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및 프린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의 하단부는 무게 측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동작들은: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는 이동식 바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 및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의 하강 속도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로부터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를 감산한 감산값이 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강 속도를 제 1 속도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로부터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를 감산한 감산값이 0인 경우 상기 하강 속도를 상기 제 1 속도 미만의 제 2 속도로 결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해당하는 위치를 제 2 위치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하강 속도를 사전 결정된 임의의 속도로 감속할 것을 결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동작들은: 사전 결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하강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자의 신장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자의 신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자 및 측정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a는 종래의 신장 측정 장치의 제 1 실시예이다.
도 1b는 종래의 신장 측정 장치의 제 2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이동식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이동식 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치에서 출력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적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피측정자", "피검자" 및 "사용자"는 종종 상호교환가능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신장 측정 장치의 제 1 실시예이다.
도 1b는 종래의 신장 측정 장치의 제 2 실시예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신장 측정 장치는 피검자가 올라서도록 하기 위한 바닥면과, 초음파 등의 신호를 사용하여 바닥면에 올라선 사람의 머리를 향해 신호를 발신하고, 사람의 머리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거리 측정 센서와, 거리 측정 센서를 사람의 머리 윗부분에 고정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프레임(예를 들어, 기둥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바닥면과 대기 동작 시의 거리 측정 센서 사이의 거리(d1)가 사전결정된다. 피검자가 신장 측정을 위하여 바닥면에 올라서면, 거리 측정 센서는 피검자의 머리를 향해 초음파를 발신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거리 측정 센서와 피검자의 머리 사이의 거리(d2)를 측정한다. 거리 측정 센서 내에 구비되는 임의의 제어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 결정된 거리(d1)에서 측정된 상기 거리(d2)를 감산함으로써,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초음파가 반사됨에 있어서 피검자의 실제 머리의 두피에 반사되는 것이 아니라 머리카락에 반사되어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실제 신장값이 동일하지만 서로 상이한 헤어스타일을 갖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방식을 이용하여 측정된 제 1 사용자의 신장값과 제 2 사용자의 신장값은 상이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신장 측정 장치 인근에 피검자보다 키가 큰 다른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거리 측정 센서와 상기 피검자의 머리 사이의 거리(d2)가 아닌 상기 다른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거리(미도시)가 측정되는 경우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방식에 따라 산출되는 피검자의 신장값은 상기 피검자의 실제 신장값과 비교하여 그 오차가 크기 때문에,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한 당업계의 니즈가 존재한다.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의 신장 측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b에 도시된 신장 측정 장치 또한 피검자가 올라서도록 하기 위한 바닥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바닥면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프레임(예를 들어, 기둥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을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식 바(bar)를 포함한다. 피검자가 상기 바닥면에 올라서면 이동식 바는 이동하여 상기 피검자의 머리와 접촉하며, 접촉하는 시점의 이동식 바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바의 하부 일측의 임의의 영역(예를 들어, 상기 이동식 바의 하부 일측의 중앙 지점)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상기 피검자의 머리에 닿는 순간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바닥면과 수직으로 지지되는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식 바의 위치에 따라 신장을 측정하도록 센서가 구비하여, 이동식 바가 피검자의 머리에 닿는 순간의 이동식 바의 위치가 센싱되어 상기 피검자의 신장(d3)이 측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동식 바가 수직 프레임을 따라 예를 들어, 모터 구동에 의해 하강하여 피검자의 머리에 접촉하게되면, 상기 이동식 바에 내장된 접촉 검출 센서로부터 전기 신호가 출력되고 이 시점에서의 이동식 바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피검자의 신장값이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식 바가 피검자의 머리 위에서 압력으로 작용되는 것에 대한 피검자의 불쾌감이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신장 측정 방식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가 제안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신장 측정 장치와 대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1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신장 측정 장치(1) 이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후술되는 구성요소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신장 측정 장치(1)는 구동부 제어 모듈(61), 신장값 계산모듈(63)을 포함하는 신장 측정 모듈(60)과 제어부(50), 그리고 통신부(80), 메모리부(70) 및 출력부(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각 구성요소들은 단일의 혹은 복수의 구성 요소들로 통합 또는 분리되어 동작할 수 있다.
구동부 제어 모듈(61)은 예를 들어, 구동부의 동작 시, 이동식 바(20)가 피검자의 머리에 닿을 경우 모터 회전이 감속되거나 멈추게 되고 이때 부하가 걸렸음을 인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TACT 스위치 및 TACT 소프트웨어가 불필요하며, PCB의 제작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의 노화 등에 따른 고장률 증가 등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으며 제작 공정 또한 간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는 신장 측정 프레임(10), 이동식 바(bar)(20), 출력부(30), 슬라이딩 부재(50)(도 4a참조)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바닥면(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와 다른 장치일 수 있어서, 상기 바닥면(40)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의 결합에 의해 후술되는 동작들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신장 측정 장치(1)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는 종종 출력부(30)와 결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신장 측정 프레임(10)은 슬라이딩 부재가 상하로 승강 및/또는 하강하도록 예를 들어, ㄷ자형의 찬넬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은 개방부가 전면을 향하고 그 개방부로 슬라이딩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어 승하강동작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는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는 결합부재에 의해 이동식 바(20)가 결합된다.
이동식 바(20)의 내부에는 피검자의 머리를 터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60)(도 4b참조)는 예를 들어, 적외선 모듈, RFID 모듈, 초음파 모듈, Wifi 모듈, 근접 센서 모듈, 광센서 모듈 및 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바(20)는 그 이동 상태에 따른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 및 위치 센서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장 측정 장치(1)의 구성은 제작원에 따라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신장 측정 프레임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스케일 프레임의 내부에 스케일이 종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광센서가 스케일에서 신장 측정 펄스를 검출할 수 있도록 측정 장치 프레임의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이동식 바와 함께 슬라이딩 부재에 부착되어 스케일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승강 및/또는 하강되는 구성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피검자가 바닥면에 올라섰을 때 인가되는 신호로 승강장치의 구동부(예를 들어, 기어드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기동제어동작과, 상기 기동제어동작에 따라서 이동식 바가 하강하다가 피검자의 머리와 접촉하였을 때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제어하는 리턴제어동작과, 피검자가 바닥면에 올라섰다가 상기 이동식바와의 접촉 이전에 내려가거나 상기 이동식 바가 측정 하한위치까지 하강하였을 때 자동으로 리턴되게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제어하는 자동리턴제어동작과 그리고 측정리턴제어동작 또는 자동리턴제어동작에 의하여 승강하는 이동식 바를 대기 위치로 정지시키는 정지제어동작 등과 같은 승강 및 하강 장치 제어 동작들이 요구된다.
신장 측정 장치(1) 내부의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도 3 참조)는 신장 측정 장치(1)의 내부의 일정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5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부(50)는 신장 측정 장치(1)의 내부의 일정측에 구비되지 않고, 통신부(80)(도 3 참조)를 통해 연결된 외부의 다른 장치 및/또는 서버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50)는 통상적으로 신장 측정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는 이동식 바(20)와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간의 거리(D)로부터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를 감산한 감산값이 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제 1 속도로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바(20)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로부터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를 감산한 감산값이 0인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제 1 속도 미만의 제 2 속도로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해당하는 위치를 제 2 위치로 결정하고, 그리고 이동식 바(20)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하강 속도를 사전 결정된 임의의 속도로 감속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신장 측정 장치(1)가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50)는 이동식 바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에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 및 결정된 상기 제 2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0)는 추가적으로, 이동식 바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이동식 바의 하강 동작을 정지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1)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초음파 센서의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바(20)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는 사전 결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되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50)는,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하강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식 바(20)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가 짧을 수록 하강 속도는 감속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식 바(20)의 하부 일측에는 예를 들어 인체 감지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 감지 센서는 일정 거리 부근에 인체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접근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제어부(50)는 슬라이딩 부재가 고속으로 하강하는 신호와 함께 상기 접근 시호가 수신되는 경우 구동부의 회전수를 하강 속도보다 감속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고속 승,하강 시에는 이동식 바의 이동 속도가 170mm/sec으로 설정되고 그리고 머리 부근에서는 20mm/sec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하여 피검자의 머리에 근접한 거리까지는 이동식 바(20)를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피검자의 머리에 접촉하기 전까지 속도를 감속하여 하강 동작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이동식 바(20)를 피검자의 머리 중앙 부위에 부드럽게 접촉하여 신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에 따라서, 불쾌감없이 신장 측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하강시 고속으로 하강하고 피검자의 머리 부근에서는 속도를 감속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50)는 추가적으로,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측정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1 위치와 접촉하는 것을 인식한 시점에 측정된 값을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으로 산출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이동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 및 결정된 상기 제 2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추가적으로, 신장 측정 장치(1)가 하나 이상의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펄스 폭의 길이가 사전 결정된 임계 펄스 폭의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3축 가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1 위치와 접촉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나아가 제어부(50)는 추가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한 값이 사전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3축 가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1 위치와 접촉하였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신장 측정 장치(1)의 제어부(50)는 상기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상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해당하는 위치를 제 2 위치로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에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이동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식 바(20)는,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 1 위치와 접촉하는 시점을 인식하기 위하여 하부 일측에 하나 이상의 3축 가속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의 제 1 실시예는, 신장 측정 프레임(10),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미도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어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이동식 바(bar)(20), 상기 이동식 바(20)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식 바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 및 상기 이동식 바(20)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 및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강 속도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20)의 상기 제 1 위치에 대한 접촉동작으로부터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되는 도 5 내지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신장 측정 장치(1)는 신장 측정 프레임;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어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이동식 바(bar);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1 위치와 접촉하는 시점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식 바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3축 가속도 센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3축 가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1 위치와 접촉하는 것을 인식한 시점에 측정된 값을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으로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되는 도 7 내지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신장 측정 장치(1)는 신장 측정 프레임;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며 그리고 하부 일측에 하나 이상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식 바(bar); 상기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상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해당하는 위치를 제 2 위치로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에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이동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되는 도 9 내지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신장 측정 장치(1)의 외부 일정측에는 신장 측정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30) 및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30)는 신장 측정 장치(1)의 일 측면, 예를 들어, 신장 측정 프레임(10)의 일 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임의의 각도로 이동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피검자가 출력부(30)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들을 확인하기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측정자가 출력부(30)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들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의 구성은 이동식 바(20)와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가 초기 위치 또는 기준 눈금 위치에서 하강하면서 피검자의 머리 중앙 부위를 터치하고 그에 따른 광센서의 정지 펄스 폭 신호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면, 제어부의 카운터 및 상기 초기위치 또는 기준 눈금 위치로부터 정지 펄스 폭 신호가 발생하기까지 검출한 눈금 변위 펄스를 카운트하여 신장 측정 데이터를 출력한다. 출력된 신장측정데이터는 출력부에 디지털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 및 포토 센서를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딩 부재의 내부에 내장시킴으로써, 프레임의 내부 구성을 단순화시켜서 소형화되고 심플하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출력부(3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및 프린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30)는 신장 측정 장치(1)의 외부 일정측 및/또는 내부 일정측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신장 측정 장치(1)와 연관된 다른 장치 및/또는 상기 신장 측정 장치(1)의 피검자와 연관된 사용자 장치의 임의의 출력부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30)는 도 12에서 후술되는 사용자 장치(4)의 디스플레이부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신장값을 출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신장 측정 장치(1)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장 측정 장치(1)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부는 상기 신장 측정 장치(1)에서 생성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부는 음성 신호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부는 제어부(50)의 문자 음성(TTS: Text To Speech) 변환 모듈에 의해 생성된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프린터부는 예를 들어, 감열지를 사용하여 잉크가 없이 인쇄가 될 수도 있다. 또한 프린터부에 의해 출력될 수 있는 정보는 피검자의 신장값 뿐 아니라 측정 날짜 정보, 측정 장소 정보, 이전 측정값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부는 신장 측정 장치(1)의 일부이거나, 유/무선으로 연결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터치 패드, 스위치, 키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입력부는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인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는 또한,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가 통신부(80)를 포함하는 경우, 입력부는 외부 콘솔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입력부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 외부 콘솔 디바이스는 적외선 리모트 콘트롤러일 수 있다. 또는, 입력부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 외부 콘솔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일 수 있다. 관련하여 도 11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입력부는 피검자 또는 측정자로부터, 신장 측정 장치(1)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피검자 또는 측정자로부터 상기 피검자 또는 상기 측정자에 대한 식별 정보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통신부(80)는 피검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식별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식부는 근거리 통신 기술의 일종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기술을 이용하여, 전파를 이용하여 원거리의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RFID 모듈이 포함된 카드,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RFID 모듈에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예를 들어,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ID, 식별 코드 등)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신장 측정 장치(1)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RFID 모듈을 식별함으로 인하여, 피검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검자에 대한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12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식부는 RFID 기술 외에도, 접촉식/비접촉식으로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예를 들어, 블루투스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식부는 입력부의 마이크로폰, 터치패드, 카메라부 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음성, 지문, 얼굴)를 식별하는 생체 데이터 식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70)는 신장 측정 장치의 구현 및 신장값 연산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70)는 제어부(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5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량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신장 측정 장치(1)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장치(4)(도 12 참조)가 본 시스템 내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장비, 모바일, 무선 통신이 가능한 PC, 핸드폰, 키오스크, 셀룰러 폰, 셀룰러, 셀룰러 단말,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단말, 원격국, PDA,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무선 접속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장치, 무선 모뎀과 같은, 무선 접속 매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사용자 장치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Public Switi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Infrared Data Asso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유선 인터넷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s to the hom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내용 및 전술한 신장 측정 장치(1)의 외관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해 제시된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외관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신장 측정 장치(1)로 도시하였으나, 바닥면에 측정 수단(예를 들어, 체중계)을 포함하여 신장값과 체중으로부터 비만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그리고 대안적으로, 신장 측정 장치(1)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장치일 수도 있다. 따라서 신장 측정 장치(1)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피검자가 바닥면에 올라서서 하중이 걸리면, 하중 측정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변환된 데이터를 체중치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신장 측정 프레임(10)의 하단부에는 무게 측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중치가 사전 결정된 체중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50)는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측정하기 위한 명령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식 바(20)는 하강하며, 상기 이동식 바(20)에 의해 피검자의 머리가 터치되면 제어부(50)는 터치신호로부터 신장값을 산출하고 신장값을 출력한다.
신장 측정 장치(1)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보다 적거나 또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구동하는 구동부(예를 들어, 기어드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구동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슬라이딩 부재는 하강하고 그리고 구동부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슬라이딩 부재는 상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의 승강 및/또는 하강 속도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된다.
신장 측정 프레임(10) 내부와 외부로 슬라이딩 부재가 원활하게 승강 및/또는 하강 운동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신장 측정 프레임(10)의 외벽에는 예를 들어 일정 간격의 스케일 눈금이 상단 일정 부분으로부터 하단의 일정 부분까지 표시될 수 있다. 스케일 눈금은 예를 들어, 1~4mm의 간격으로 반사면과 비반사면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인쇄된 리니어스케일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의 내측면에는 발광 소자 및 광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소자 및 광센서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장 측정 장치(1)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5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70)에 저장되고, 제어부(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이동식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이동식 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식 바(20)는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측으로 돌출된 이동식 바(20)에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예를 들어, 정수리)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접촉함으로써 피검자의 신장이 측정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이동식 바(20)는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바(20)는 신장 측정 프레임을 축으로 하여 적어도 한 방향으로 피봇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동식 바(20)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각도 조절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 관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이동식 바(20)는 신장 측정 프레임(10)과 이동식 바(20)의 각도 및 이동식 바(20)와 바닥면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1축 이상의 회전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바(20)는 2축 이상의 회전 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나아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바(20)와 결합된 슬라이딩 부재 는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승강 운동할 수 있어서, 이동식 바(20)가 신장 측정 프레임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외부에 위치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또는 슬라이딩 부재는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하강 운동할 수 있어서, 신장 측정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입된 임의의 위치에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딩 부재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운동할 수 있어서 이동식 바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슬라이딩 부재는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강 및/또는 승강 속도는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바(20)는 신장 측정 프레임(10)을 축으로 하여 적어도 한 방향으로 피봇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바(20)는 신장 측정 프레임(10)과 결합되는 영역에 대하여 180도 회전 가능하도록 이중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로써, 임의의 기준 신장값 미만의 피검자(예를 들어, 어린이)의 신장을 측정하는 경우, 상기 이동식 바(20)는 신장 측정 프레임(10)을 기준으로 180도 하부에 위치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기준 신장값 이상의 피검자(예를 들어, 성인)의 신장을 측정하는 경우,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10)을 기준으로 180도 상부에 위치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이로써,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형성되는 신장 측정 프레임(10)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장 측정 장치(1)의 이동에의 편의성을 허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신장 측정 장치(1)의 보관 및/또는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바(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기준 신장값 미만의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는 경우, 이동식 바(20)가 대기 위치일 때보다 낮은 높이에 이동식 바(20)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어서, 피검자의 신장을 보다 빠르게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기준 신장값은 어린이의 평균 신장에 적어도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시간 이상 동일한 자세를 취하기 어려움을 겪는 어린이들에 대한 보다 정확한 신정 측정 또한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몸이 불편한 피검자에 대해서도 피검자 및 측정자 모두에게 상기 피검자에 대한 신장 측정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이동식 바(20)는 20a의 형태 및 20b의 형태로 이동할 수 있어서, 보관 및 수송에도 용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동식 바(20)는 이동식 바(20) 및 메인보드(예를 들어, 제어부 등)간에 요구되는 전원 및/또는 신호 전달을 위하여 케이블 대신, 이동식 바(20)에 배터리와 무선통신칩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블이 불필요하여 신장 측정 장치(1)의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식 바(20)를 형성하는 경우, 케이블 불량에 따른 문제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바(20)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바(20)가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경우, 하우징들은 결합 수단(25)을 포함하여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b를 참조하면, 이동식 바(20)는 상부 하우징(21) 및 하우 하우징(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23)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60)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는 예를 들어 적외선 모듈, RFID 모듈, 초음파 모듈, Wifi 모듈, 근접 센서 모듈, 광센서 모듈 및 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이동식 바(20)에 내장되어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도록 허용 또는 보조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센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 2 내지 도 4b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1)의 구성요소 및 동작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의 각 단계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들이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도 5에서 제시되는 방법의 단계들이 신장 측정 장치(1)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 내지 도 4b를 통해 신장 측정 장치(1)에 대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 제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신장 측정 장치(1)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는 이동식 바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가 측정될 수 있다(S110).
여기서, 제 1 위치는 바닥면에 수직하게 올라선 피검자의 신체의 가장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예를 들어, 피검자의 정수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 및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의 하강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S120).
이러한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는 사전에 결정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피검자의 정보(예를 들어, 상기 피검자로부터 기입력된 신장, 체중 및 나이 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이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로부터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를 감산한 감산값이 0을 초과하는 경우(즉, 도 6의 구간 A) 이동식 바(20)는 제 1 속도로 하강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D)로부터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를 감산한 감산값이 0인 경우상기 하강 속도는 상기 제 1 속도 미만의 제 2 속도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 바(20)는 구간 A에서는 제 1 속도로 하강하고, 구간 B에서는 제 1 속도 미만의 제 2 속도로 하강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위치로부터 상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해당하는 위치는 제 2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이동식 바(20)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이동식 바(20)의 하강 속도를 사전 결정된 임의의 속도로 감속할 것이 결정될 수 있다. 이동식 바(2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그리고 공지된 기술들이 채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또한, 사전 결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이동식 바(20)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가 측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동식 바(20)의 위치를 실시간에 가깝게 추적할 수 있다. 사전 결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하강 속도가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피검자의 신장값이 산출될 수 있다(S130).
신장 측정 장치(1)에 의해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사전 결정되어 채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병원 등 신체 검사장에서 사용되는 신장 자동 측정 장치뿐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신장 자동 측정 장치를 이용하는 사람들(즉, 피검자 및 측정자 모두)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신장을 측정되기를 원한다. 신장을 신속하기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동식 바(20)의 하강 속도를 빠르게 제어(예를 들어, 구동부의 회전수 증가)하여 이동식 바(20)를 고속으로 하강시켜야 한다. 이러한 경우, 이동식 바(20)가 피검자에 접촉할 때, 피검자의 머리에 부딪히는 충격으로 인한 불쾌감이 야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바(20)는 일정 거리(여기서는,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까지는 제 1 속도(V1)로 하강 동작하고 그리고 이동식 바가 일정 거리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제 1 속도 미만의 제 2 속도(V2)로 하강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 바(20)는 고속 하강하다가 피검자와 근접한 거리부터는 감속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속도(V1)는 170~200mm/sec이며 그리고 제 2 속도(V2)는 20~50mm/sec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제 2 속도(V2)는 제 1 속도(V1)에 비해 50~80% 감속되도록 결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라서, 피검자의 머리에 근접한 거리까지는 이동식 바(20)를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피검자의 머리에 근접한 거리부터는 속도를 줄여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식 바(20)는 피검자의 머리에 부드럽게 안착할 수 있어 피검자의 불쾌감 없이 신장 측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도시된 플로우차트의 각 단계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들이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도 7서 제시되는 방법의 단계들이 신장 측정 장치(1)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 내지 도 4b를 통해 신장 측정 장치(1)에 대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 제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신장 측정 장치(1)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동식 바가 하강 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식 바(2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3축 가속도 센서는 상기 제 1 위치와 접촉하는 시점을 인식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펄스 폭의 길이가 사전 결정된 임계 펄스 폭의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이동식 바(20)가 상기 제 1 위치와 접촉하였다고 결정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바(20)가 피검자의 머리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에서 이동되는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pulse)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를 거쳐서 B 위치에 이르는 부분의 펄스는 머리 중앙 부위의 상부 부근에서 이동식 바(20)와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가 하강하면서 발생되는 펄스 신호로, 머리 중앙 부위를 터치할 때까지 일정한 길이의 펄스 폭을 가지면서 발생된다.
B에서 C에 이르는 위치는 이동식 바(20)가 머리 중앙부위를 터치한 상태를 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펄스로써, 정지 상태에서 정지 펄스 폭 신호는 펄스 폭이 슬라이더가 움직일 때보다 길이가 긴 펄스 폭 신호가 발생된다.
C지점에서는 슬라이딩 부재가 머리 중앙 부위로부터 다시 상승하는 경우 나타나는 펄스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다시 일정한 길이의 펄스 폭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50) 에서는, 상기 펄스 폭의 길이가 일정한 길이(예를 들어, 펄스 폭의 1.5배(0.5mm)에 해당하는 주기 등)를 초과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이동식 바(20)가 머리 중앙부위를 터치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부에 이동식 바(20)를 상승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는 카운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 신호를 받은 제어부(50)는 구동부를 역회전하도록 역전 제어신호를 보내 구동부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식 바(20)를 승강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는 펄스를 발생시키는 센서에 의한 펄스 신호만으로 이동식 바(20)가 피검자의 제 1 위치에서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하게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다시, 단계 S210을 참조하면,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한 값이 사전 결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동식 바(20)가 상기 제 1 위치와 접촉하였다고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사전 결정된 임계값은 예를 들어, 이동식 바(20)의 피검자의 머리에서 크게 충돌한 경우 0.5g의 부하가 측정되고, 그리고 이동식 바(20)가 이동할 때 0.1g로 부하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임계 값은 0.3g(즉, 중간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210을 통하여 이동식 바가 상기 제 1 위치와 접촉하는 것을 인식한 시점에 측정된 값을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S220).
신장 측정 장치(1)에 의해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사전 결정되어 채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신장 측정 장치(1)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1)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부 수직 방향으로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해당하는 위치가 제 2 위치로 결정되고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20)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에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이동식 바(20)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 및 결정된 상기 제 2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이 산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바(20)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이동식 바(20)의 하강 동작을 정지할 것이 결정되고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20)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초음파 센서의 동작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P1)로부터 상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해당하는 위치가 제 2 위치(P2)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20)가 상기 제 2 위치(P2)에 도달하는 시점에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이동식 바(20)와 상기 제 1 위치(P1) 간의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이 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신장 측정 장치(1) 인근에 피검자보다 키가 큰 다른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거리 측정 센서와 상기 피검자의 머리 사이의 거리가 아닌 상기 다른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거리가 측정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대기 위치에서 이동식 바(20)와 제 1 위치(P1)간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2 위치(P2)와 제 1 위치(P1)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할 때 그 오차가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의 각 단계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들이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도 10에서 제시되는 방법의 단계들이 신장 측정 장치(1)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 내지 도 4b를 통해 신장 측정 장치(1)에 대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 제시되는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신장 측정 장치(1)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 2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S310).
단계 S310 이전에 이동식 바(20)와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 간의 거리(D1)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부 수직 방향으로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해당하는 위치가 제 2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는 상기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피검자의 신장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검자의 신장값을 모르는 경우에는 상기 피검자의 연령대에 기초한 평균 신장값에 기초하여 임계 거리(PD)가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는 상기 이동식 바(20)의 대기 위치에서 초음파 센서로부터 측정된 이동식 바와 제 1 위치 간의 거리(D1)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신장값이 180cm인 제 1 사용자와 신장값에 160cm인 제 2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에 대한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사용자에 대한 제 1 위치간의 거리와 제 2 사용자에 대한 이동식 바와 상기 제 2 사용자에 대한 제 1 위치간의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사용자에 대한 임계 거리(PD) 및 상기 제 2 사용자에 대한 임계 거리(PD)는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사용자에 대한 임계 거리(PD)는 10cm로 결정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사용자에 대한 임계 거리(PD)는 30cm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위치는 P1으로 제 2 위치는 P2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이동식 바(20)가 제 2 위치(P2)에 도달하는 것이 감지될 수 있다(S320). 이동식 바(20)가 제 2 위치(P2)에 도달하는 경우, 이동식 바의 하강 동작을 정지할 것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피검자로부터 측정 모드가 입력될 수 있다(S330).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자로부터 수신된 측정 모드에 따라서 상이한 방식의 신장 측정이 이뤄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측정 모드에 기초하여 이동식 바(20)가 상기 제 1 위치와 접촉하는 것을 인식한 시점에 측정된 값을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으로 산출하도록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이동식 바(20)와 상기 제 1 위치간의 거리 및 결정된 상기 제 2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자로부터 수신된 측정 모드가 초음파 센서 측정 모드인지 확인하는 단계 S340가 수행될 수 있다.
피검자로부터 수신된 측정 모드가 초음파 센서 측정 모드인 경우, 초음파 센서로부터 측정된 이동식 바와 제 1 위치간의 거리 및 결정된 상기 제 2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피검자의 신장 값이 산출될 수 있다(S350).
피검자로부터 수신된 측정 모드가 초음파 센서 측정 모드가 아닌 경우, 이동식 바(20)의 하강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S360).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식 바(20)의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까지 이동식 바(20)는 제 1 속도로 하강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 1 속도 미만의 제 2 속도로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고하도록 한다.
또한, 이동식 바(20)와 제 1 위치의 접촉이 인식될 수 있다(S370).
인식한 시점에 측정된 값을 피검자의 신장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S380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은 꼭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단계 S330의 경우 다른 단계들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측정 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치에서 출력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적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장 측정 장치(1)에 의해 측정 및/또는 생성되는 정보들을 출력부에서 표시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에는 상기 신장 측정 장치(1)와 연관된 다른 장치(예를 들어, 리모트 콘트롤러(2), 컴퓨터(3) 및 사용자 장치(4))가 도시된다.
이러한 신장 측정 장치(1)와 연관된 다른 장치들을 통하여 피검자 및/또는 측정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리모트 콘트롤러(2)로부터 신장 측정 장치(1)의 동작 모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또는, 피검자 또는 측정자로부터 상기 피검자 또는 상기 측정자에 대한 식별 정보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신장 측정 장치(1)에 의해 측정된 신장값은 컴퓨터(3)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거나 또는 사용자 장치(4)(도 12 참조)에서 출력될 수 있으며, 출력될 수 있는 정보들은 신장값에 제한되지 아니함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4)에서 출력될 수 있는 정보는 신장값 통계 정보, 건강 정보, 임의의 기간(예를 들어, 요일별, 월별 등) 단위로 생성된 운동 추천 정보 및 식단 정보, 임의의 기간 단위로 기록된 신장값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은 측정시마다 신장값의 차이가 크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따라서, 어린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하여 자녀의 신장값 및 체중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시된 그리고 상술된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4) 또는 신장 측정 장치(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들을 출력하기 위한 예시적 단계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 12에서 상술되고 그리고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요소들은 당업자 및/또는 사용자의 니즈에 의해 생략되거나 추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신장 측정 장치로서,
    신장 측정 프레임;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의 전면 측으로 돌출되어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이동식 바(bar);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식 바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피검자의 식별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피검자의 신장, 체중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 및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하강 속도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의 상기 제 1 위치에 대한 접촉 동작으로부터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거리를 변경하고,
    상기 이동식 바가 제 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이동식 바가 제 1 속도로 하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1 속도보다 느린 제 2 속도로 하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임계 거리만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인,
    신장 측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에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 및 결정된 상기 제 2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신장 측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이동식 바의 하강동작을 정지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1)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초음파 센서의 동작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되는,
    신장 측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는 사전 결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하강 속도를 제어하는,
    신장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바는,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을 축으로 하여 적어도 한 방향으로 피봇 가능한,
    신장 측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적외선 모듈, RFID 모듈, 초음파 모듈, Wifi 모듈, 근접 센서 모듈, 광센서 모듈 및 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신장값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및 프린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신장 측정 프레임의 하단부는 무게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신장 측정 장치.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동작들은:
    피검자의 식별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피검자의 신장, 체중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및
    상기 피검자의 신체의 상부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피검자의 신장을 측정하는 이동식 바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 및 사전 결정된 임계 거리(P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신장 측정 프레임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의 하강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피검자의 신장값을 산출하는 동작 -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거리를 변경하고,
    상기 이동식 바가 제 2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이동식 바가 제 1 속도로 하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이동식 바가 상기 제 1 속도보다 느린 제 2 속도로 하강하도록 제어함 - ;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임계 거리만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사전 결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사전 결정된 시간 단위로 측정되는, 상기 이동식 바와 상기 제 1 위치 간의 거리(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하강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091837A 2016-07-20 2016-07-20 신장 측정 장치 KR101916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837A KR101916844B1 (ko) 2016-07-20 2016-07-20 신장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837A KR101916844B1 (ko) 2016-07-20 2016-07-20 신장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356A KR20180010356A (ko) 2018-01-31
KR101916844B1 true KR101916844B1 (ko) 2018-11-09

Family

ID=6108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837A KR101916844B1 (ko) 2016-07-20 2016-07-20 신장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8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139B1 (ko) * 2018-08-07 2019-08-01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골밀도 측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458B2 (ja) * 1992-03-06 1996-11-06 株式会社エー・アンド・デイ 身長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458B2 (ja) * 1992-03-06 1996-11-06 株式会社エー・アンド・デイ 身長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356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3887B1 (en) Alarm clo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ake-up alarm
CN109477355A (zh) 电动门开启装置
JP2016529081A (ja) 転倒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238924B (zh) 一种控制可穿戴设备屏幕点亮的方法及装置
KR20130123597A (ko) 휴대용 혈압 측정 장치 및 휴대 단말에서의 혈압 측정 방법
CN103300838A (zh) 血压测定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916844B1 (ko) 신장 측정 장치
KR102265713B1 (ko) 사용자의 코골이를 방지하는 전동 침대
JP5688155B2 (ja) 離床通報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142948B2 (en) Access control apparatus
KR101802156B1 (ko) 신장 측정 장치
KR20170127591A (ko) 사물인터넷 기반 간병 로봇
JP2012186620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25259A (ko) 상황 인지 기반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5154868A (ja) 生体情報収集装置及び生体情報収集方法
JP6730087B2 (ja) 監視システム
JP6365003B2 (ja) 行動評価装置、行動評価方法、プログラム
KR20210058405A (ko) 어깨 인식이 가능한 마사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89627B1 (ko) 저전력 하이브리드형 낙상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상 감지 방법
JP6863779B2 (ja) ドアシステム、およびドアシステムを用いた監視方法
US118810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obility management using haptic guidance
KR20180050942A (ko) 대상자 안내 시스템
KR101760805B1 (ko)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KR102131189B1 (ko) 피부 상태 측정 장치, 전자 장치 및 그의 피부 상태 정보 제공 방법
KR102370933B1 (ko) 코골이 원인을 예측하고 그리고 코골이를 방지하는 전동 침대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